KR20240093435A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93435A KR20240093435A KR1020240077133A KR20240077133A KR20240093435A KR 20240093435 A KR20240093435 A KR 20240093435A KR 1020240077133 A KR1020240077133 A KR 1020240077133A KR 20240077133 A KR20240077133 A KR 20240077133A KR 20240093435 A KR20240093435 A KR 202400934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transmission
- flexible flat
- flat cable
- ground
- conductive adhes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8—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이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복수의 접지부와 상기 복수의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부와 상기 신호 전송부 및 접지부를 둘러싸는 외피부와 상기 접지부 및 상기 신호 전송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에 매립된 스트립 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와 동일 단면을 가지는 접지부재와 상기 접지부재에 도전성 접착층과 연결되는 도전성 접착제 블럭으로 구성된다.A flexible flat cable is disclosed. The disclosed flexible flat cable includes a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ground portion, the ground portion,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It includes a conductiv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part and the outer skin,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member and a strip line embedded in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ground part includes a ground membe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as the strip line and the ground. It consists of a conductive adhesive block connected to the member with a conductive adhesive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flat cable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종래에는 신호의 차폐를 위하여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동축케이블은 고비용으로 인해 사용영역에 제한이 있었다. 임피던스 매칭 필름을 이용한 종래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경우 동축케이블에 비해 비용은 저렴하나 신호선을 완전히 둘러싸지 못해 신호의 차폐가 완벽하지 못하였고, 신호간 혼선이 발생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비아(Via)를 에칭하여 도전체를 채운 케이블의 경우에도 신호선을 완전히 둘러싸지 못해 차폐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coaxial cables were used to shield signals. However, coaxial cables were limited in their use area due to their high cos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lexible flat cable using an impedance matching film, the cost is lower than that of a coaxial cable, but the signal is not completely shielded because it cannot completely surround the signal lin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rosstalk between signals occur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cables filled with conductors by etching vias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re was a problem of low shielding efficiency because they could not completely surround the signal line.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성접착제가 부착된 실드 필름을 활용하여, 다양한 신호 전송 선로의 형태에서 신호 전송 선로를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flat cable having a structure that completely surrounds signal transmission lines in various signal transmission line shapes by utilizing a shield film attached with a conductive adhesi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판상의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 내에 매립되는 신호 전송부재와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는 외피부와 상기 절연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evice comprising a plate-shaped insulating part, a signal transmission member embedded in the insulating part,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insulating part,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art and the outer skin. Cable is provided.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스트립 선로일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may be a strip line.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스트립 선로일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may be a pair of strip line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절연부는 제1 커버레이와, 상기 제1 커버레이에 적층되고 상기 제1 커버레이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2 커버레이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버레이 상에서 상기 제2 커버레이가 점유하지 않는 상기 제1 커버레이의 일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접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includes a first coverlay and a second coverlay laminated on the first coverlay and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first coverlay, and the flexible flat cab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lay on the first coverlay.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ground members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that is not occupied.
한 쌍의 접지부재는 상기 신호 전송부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ground memb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in between.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는 각각 상기 제2 커버레이에 의해 일부분이 덮일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grounding members may be partially covered by the second coverlay.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스트립 선로일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may be a pair of strip line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절연부 내에 매립되고, 상기 신호 전송부재 양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절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grounding members embedded in the insulat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where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trudes inside the insulating part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grounding members, respectively. there is.
상기 접지부재는 단면이 스트립 선로의 단면과 동일 형상일 수 있다.The grounding member may have a cross section of the same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p line.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절연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part.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와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ir of ground members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와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신호 전송부재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The pair of ground members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completely surround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상기 외피부는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er skin may be composed of a conductive film.
상기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or patter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exible flat cable.
서로 다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적어도 일단에는 신호 전송부재가 노출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차부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될 수 있다.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복수의 접지부와 상기 복수의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부와 상기 신호 전송부 및 접지부를 둘러싸는 외피부와 상기 접지부 및 상기 신호 전송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에 매립된 스트립 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부는 접지부재와 상기 접지부재에 도전성 접착층과 연결되는 도전성 접착제 블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케이블을 제공한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different flexible flat cables, a step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end of each flexible flat cable to expose a signal transmission member, and each step portion can be coup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portions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unit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units, a shell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and the ground unit, and a 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ground unit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shell. A flexible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member and a strip line embedded in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grounding portion is composed of a grounding member and a conductive adhesive block connected to the grounding member with a conductive adhesive layer. Cable is provided.
상기 복수의 접지부와 도전성 접착층은 각각의 상기 신호 전송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completely surround each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s.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스트립 선로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추가 스트립 선로를 가질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have an additional strip lin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trip line.
상기 도전성 접착제 블럭은 상기 접지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block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rounding member.
본 발명은 일면에 구리 박막층이 형성된 제1 커버레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구리 박막층의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에칭된 구리 박막층 상에 제2 커버레이를 적층하는 단계와 도전접착제가 도포된 실드 필름으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레이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first coverlay with a copper thin film layer formed on one side, etching a portion of the copper thin film layer, laminating a second coverlay on the etched copper thin film layer, and a shield to which a conductive adhesive is applied. Provided is a flexible cabl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wrapping the first and second coverlays with a film.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스트립 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 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to form one or a pair of strip lines.
상기 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립 선로의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접지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The etching step may form a pair of ground members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strip line.
상기 제2 커버레이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립 선로를 감쌀 수 있다.The step of laminating the second coverlay may cover the strip line.
상기 제2 커버레이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립 선로와 접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길이방향 홈을 가지는 제2 커버레이를 적층하고, 상기 도전성 접착제가 도포된 실드 필름으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레이를 감싸는 단계는, 상기 제2 커버레이의 길이방향 홈에 도전성 접착제가 충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The step of laminating the second coverlay includes laminating a second coverlay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in a position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rip line and the grounding member,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first coverlays with a shield film coat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2 The step of wrapping the coverlay may be performed by filling the longitudinal groove of the second coverlay with a conductive adhesive.
상기 제2 커버레이를 적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커버레이에 상기 구리 박막층에 대응되는 부분을 에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laminating the second coverlay, the step of etching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corresponding to the copper thin film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한 쌍의 접지부재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접지부재 측면에 배치된 절연부가 제거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플 평판 케이블의 한 쌍의 접지부재 상하면이 각각 도전성 접착층과 연결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신호 전송선로가 한 쌍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은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플렉서플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상면 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A-A', B-B'단면도이다.
도 16은도 7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끝 단에 도체패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끝 단에 연결단자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연결단자의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신호 혼선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grounding members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sulation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rounding member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is removed.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pair of grounding member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are each connected to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ir of signal transmission lines.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3.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5.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7.
Figure 1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flat cable of Figure 11.
Figures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ure 13.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unit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7.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16.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 conductor pattern formed at the end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at the end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Figure 19.
Figure 21 is a graph comparing the degree of signal crosstalk between a conventional flexible flat cable and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to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t is only used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o the first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flat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은 신호 전송부재(110), 절연부(120), 도전성 접착층(130), 외피부(1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lexible
신호 전송부재(110)는 절연부(120)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절연부(120)의 노출된 면을 외피부(140)가 둘러싼다. 절연부(120)와 외피부(140)는 도전성 접착층(130)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120)와 외피부(140)사이에는 도전성 접착층(130)이 형성된다. The
도전성 접착층(130)이 절연부(120)를 둘러싸면서 신호 전송부재(110)를 차폐함에 따라, 도전성 접착층(130)은 절연부(120) 내부의 신호 전송부재(110)에 전송되는 신호가 외부신호에 의해 혼선이 일어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s the conductive
외피부(140)는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층(130)은 구성 성분인 도전성 접착제에 도전성 물질의 포함 정도에 따라 차폐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접착층(130)의 차폐 효율을 감안하여, 외피부(140)는 선택적으로 도전성 재질 또는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층(130)의 차폐 효율이 낮은 경우 외피부(14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하여 도전성 접착층(130)의 차폐 성능을 보완할 수 있고, 반대로 도전성 접착층(130)의 차폐 효율이 높은 경우 외피부(140)는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부재(110)는 스트립 선로로 구성된 신호 전송선로일 수 있고, 재질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을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1.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은 연성 인홰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공정이나 평면 연성 케이블(FFC : Flat Flexible Cable)공정과 같은 연성을 가지는 회로나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Flexible flat cables can use processes that can manufacture flexible circuits or cables, such a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process or the flat flexible cable (FFC) process.
도 2(a)와 같이, 일면에 구리 박막층(112)이 형성된 제1 커버레이(121)를 준비한다. 이 경우, 제1 커버레이(121)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prepare a
도 2(b)와 같이, 구리 박막층(112)의 일부를 에칭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재(11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b), a portion of the copper
도 2(c)와 같이, 신호 전송부재(110) 및 제1 커버레이(121) 상에 제2 커버레이(122)를 적층한다.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레이(122)는 절연 성질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족하다.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와 함께 절연부재(12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c), the
신호 전송부재(110)는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적층된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에 의해 둘러 싸이게 되므로, 결국 절연부재(120) 내부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도 2(d)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131, 132)가 일면에 각각 도포된 제1 및 제2 실드 필름(141,142)이 절연부재(120)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된 후, 절연부재(120)를 완전히 둘러 싸도록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접착제(131, 132)는 차폐 기능을 하는 도전성 접착층(130)을 이루며, 제1 및 제2 실드 필름(141,142)은 외피부(140)를 이룬다.As shown in FIG. 2(d), after the first and
상기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은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을 제조할 수 있다.The flexibl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한 쌍의 접지부재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ir of grounding members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은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들이 신호 전송부재(110)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 된다. Referring to FIG. 3, in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도전성 접착층(130)은 절연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된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블럭(130a,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성 접착층(130)은 신호 전송부재(110)을 완전히 둘러싸기 때문에 신호 전송부재(110)로 들어오는 외부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호 전송부재(110)의 전송 신호는 외부 신호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conductive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는 신호 전송부재(110)의 재질과 같이 구리와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ir of
신호 전송부재(110)는 스트립 선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 각각의 단면은 즉, 신호 전송부재(1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접지부재의 두께와 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도 4(a)를 참조하면, 일면에 구리 박막층(112)이 형성된 제1 커버레이(121)를 준비한다. 이 경우 제1 커버레이(121)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
도 4(b)와 같이 구리 박막층(112)의 일부를 에칭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재(110)과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b), a portion of the copper
도 4(C)와 같이, 제2 커버레이(122)는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에 대응되는 부분이 펀칭되어 홈을 가진다. 홈을 가지는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상에 적층된다.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상에 적층된 후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에 대응되는 부분이 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과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절연 성질을 가지는 재질이면 족하다. 이 경우,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과 함께 절연부(12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 (C), the
신호 전송부재(110)는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적층된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되므로 도 3과 같이 절연부(120)에 신호 전송부재(110)가 매립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도 4(d)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131)가 도포된 제1 실드필름(141)이 제2 커버레이(122)의 상측에 적층된 후, 제1 실드필름(141)이 가압된다. 이 경우, 도전성 접착제(131)는 절연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홈에 충전되어,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블럭(130a,130b)를 형성한다. 도 4(e)에서와 같이, 제1 커버레이(121)의 하층에서 도전성 접착제(132)가 도포된 제2 실드필름(142)이 가압되어 둘러싼다.이 경우, 도 4(f)와 같이 신호 전송부재(110)는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로 둘러싸고, 제1 및 제2 실드필름(141,142)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131,132)는 차폐기능을 하는 도전성 접착층(130)을 이룬다.As shown in FIG. 4(d), after the
신호 전송부재(110)는 도전성 접착층(130)과 한 쌍의 접지부재 (150a, 150b)로 둘러싸게 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도 4(a) 내지 도 4(f)의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es of FIGS. 4(a) to 4(f).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접지부재 측면에 배치된 절연부가 제거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sulation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rounding member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is remov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절연부(120)는 제1 커버레이(121)와 제2 커버레이(122)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insulating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들은 절연부(120) 중 제1 커버레이(121)상에 위치하고, 제2 커버레이(122)의 양 측에 배치된다. 신호 전송부재(110)는 제2 커버레이(122)의 내부에 신호 전송부재(110)가 배치된다.A pair of
외피부(140)는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와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를 감싼다. 외피부(140)는 러버재질과 같은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변형이 용이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도 5와 같은 굴곡이 있는 형상도 감쌀 수 있다.The
외피부(140)는 일면이 도전성 접착층(130)으로 도포되어 있고, 도전성 접착층(130)은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e side of the
따라서, 도전성 접착층(130)은 신호 전송부재(110)를 차폐하고, 신호 전송부재(110)에 전송되는 신호와 외부신호간의 혼선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ductive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부(140)는 도전성 접착제에 도전성 물질의 포함 정도에 따라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부재(11)는 스트립 선로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5.
도 6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Based on FIG. 6,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도 6(a) 및 도 6(b)의 단계는 상술한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다.The steps in FIGS. 6(a) and 6(b) are the same as those in FIGS. 4(a) and 4(b) described above.
도 6(c)를 참조하면, 제2 커버레이(122)는 신호 전송부재(110)를 감싸는 부분만 남기고 펀칭된다. 펀칭된 제2 커버레이(122)가 제1 커버레이(121)에 적층된다. 제2 커버레이(122)를 제1 커버레이(121)에 적층한 후 제2 커버레이(122)를 펀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절연 성질을 가지는 재질이면 족하다. 이 경우,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와 함께 절연부(120)를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6(c), the
신호 전송부재(110)는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되므로, 절연부(120)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도 5(d)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131)가 도포된 제1 실드필름(141)이 제2 커버레이(122) 및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의 상면에 적층된 후, 제1 실드필름(141)은 가압된다. 이 경우, 제1 실드필름(141)은 제1 및 제2 실드부재(141, 142)와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가 이루는 형상에 따라 변형되고, 도전성 접착제(131)에 의해 결합된다.As shown in Figure 5(d), after the
도 5(e)와 같이, 제1 커버레이(121)의 하층에서 도전성 접착제(132)가 도포된 제2 실드필름(142)이 가압되어 둘러싼다. 제1 및 제2 실드필름(141, 142)에 도포된 도전성 접착제(131, 132)는 도전성 접착층(130)을 이룬다.As shown in FIG. 5(e), the
이 경우, 도 5(f)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은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로 신호 전송부재(110)를 둘러싸고, 추가로 도전성 접착층(130)과 한 쌍의 접지부재 (150a, 150b)로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를 둘러싸게 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lexible
도 7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플 평판 케이블의 한 쌍의 접지부재 상하면이 각각 도전성 접착층과 연결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pair of grounding member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3 are each connected to a conductive adhesive layer.
도 7을 참조하면, 도전성 접착층(130)은 절연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도전성 접착블럭(130c,130d)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성 접착층(130)은 신호 전송부재(110)를 상하로 완전히 둘러싸기 때문에 신호 전송부재(110)로 들어오는 외부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제조공정은 복잡해지지만, 신호 전송부재(110)의 전송 신호는 도 3의 경우보다 신호 혼선 가능성은 더 줄어들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ductive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7.
도 8(a)를 참조하면, 일면에 구리 박막층(112)이 형성된 제1 커버레이(121)를 준비한다. 이 경우 제1 커버레이(121)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a
도 8(b)와 같이 구리 박막층(112)의 일부를 에칭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재(110)와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8(b), a portion of the copper
도 8(c)와 같이, 제2 커버레이(122)는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에 대응되는 부분이 펀칭되어 홈을 가진다. 홈을 가지는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상에 적층된다. 공정에 따라 제2 커버레이(122)는 적층된 후 펀칭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과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절연 성질을 가지는 재질이면 족하다. 이 경우, 제2 커버레이(122)는 제1 커버레이(121)과 함께 절연부재(12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8(c), the
신호 전송부재(110)는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적층된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122)에 의해 둘러 쌓이게 되므로 도 3과 같이 절연부재(120)에 신호 전송부재(110)가 매립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도 8(d)와 같이, 제1 커버레이(121)에도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에 대응되는 부분이 펀칭되어 홈을 가진다.As shown in FIG. 8(d), the
도 8(e)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131)가 도포된 제1 실드필름(141)이 제2 커버레이(122)의 상측에 적층한 후, 가압된다. 이 경우, 도전성 접착제(131)는 절연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홈에 충전(150b)되어 한 쌍의 접지부재(150a,15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도전성 접착블럭(130a,130b)를 형성한다. 또한, 제1 커버레이(121)의 하층에서 도전성 접착제(132)가 도포된 제2 실드필름(142)이 가압되어 둘러싼다. 이 경우에도, 도전성 접착제(132)는 절열부 내측으로 돌출된 홈에 충전되어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도전성 접착블럭(130c,130d)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8(e), the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8(f)와 같이 도전성 접착제(131, 132)는 도전성 접착층(130)을 이루고, 한 쌍의 접지부재(150a, 150b)와 도전성 접착층(130)이 신호 전송부재(110)를 완전히 둘러싸고, 외부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as shown in Figure 8(f), the
상기 도 8(a) 내지 도 8(f)의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es of FIGS. 8(a) to 8(f).
도 9는 신호 전송선로가 한 쌍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플렉서플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ir of signal transmission lines,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3.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5,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7.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도 9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신호 전송선로(110a,110b)로 구성된 신호 전송부재(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호 전송선로(110a, 110b)는 서로 다른 위상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차동 신호 전송선로(110a, 110b)는 신호 간의 간섭이나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각각의 차동 신호 전송선로(110a, 110b)에 전송되는 신호의 크기 차이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이다. 이 경우 거리가 가까이 있는 선로간에 간섭되는 노이즈의 양은 비슷하고 각 차동 신호 전송선로(110a, 110b)의 신호 차에 의해 간섭되는 노이즈는 상쇄되므로,차동 신호 전송선로(110a,110b)에 의한 신호 전송은 단일단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송선로보다 외부 노이즈 간섭의 영향을 덜 받는다. 추가로, 전도성 접착층(130), 도체필름으로 이루어진 외피부(140)과 접지부재(150)로 신호 전송부재(110)를 감싸서 전자기적 차폐를 이룰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FIG. 9 includes a
따라서, 차동 신호 전송선로(110a,110b)는 단일단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송선로의 신호 전송보다 더욱 외부 노이즈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differential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각각은 도 3, 도 5 및 도 7에 한 쌍의 신호 전송선로(110a, 110b)로 구성된 신호 전송부재(110)를 더 포함한 것으로, 신호 전송선로(110b)의 추가되는 구성과 그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Each of the flexible flat cables shown in FIGS. 10 to 12 further includes a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상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A-A', B-B'단면도이다.FIG. 13 is a top view of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 11, and FIGS.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of FIG. 13.
도 13을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외피부(140)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치된 부재들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중앙(144)에는 제2 커버레이(122, 도11 참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고, 중앙부(144)에서 폭방향으로는 한 쌍의 절연부재(150a,150b, 도11 참조)의 높이에 대응되는 절곡부(145)가 형성된다.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외측(146)은 내부에 도전성 접착층(130)과 외피부(140)만으로 형성된단다. 외측(146)에는 돌출된 브리지(143)이 형성된다.13,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브리지(143)는 한 쌍의 절연부재(150a, 150b)중 어느 하나가 제2 커버레이(122)에 매립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을 한번에 제작할 경우, 복수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제조를 위한 각각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커버레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제1 및 제2 커버레이(121, 122)는 정해진 위치에서 작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여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적인 브리지(143)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it can be seen that the bridge 143 represents a portion where one of the pair of insulating
도 13의 경우, 브리지(143)를 지그재그로 배치하였지만, 브리지(143)가 신호 전송 선로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FIG. 13, the bridges 143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but the bridges 143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signal transmission line.
도 16은 도 7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부가 추가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에 신호 전송선로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unit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7, and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line is added to the flexible flat cable shown in Figure 16.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신호 전송부(160b)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전송부(160)는 복수 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신호 전송부(160a, 160b)는 별개의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신호 전송부를 통하여 복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200)은 신호 전송부(160)와 접지부(17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6, a second
신호 전송부(160)는 절연부재(120,121)에 매립된 신호 전송선로(110,111)를 가진다. 접지부(170)는 한 쌍의 도전성 접착제 블럭(130a, 130b, 130c, 130d, 130e, 130f)과 접지부재(150a, 150b, 150c)로 구성된다.The
제1 및 제2 접지부(170a, b)와 도전성 접착층(130)이 제1 내지 제4 도전성 접착제 블럭(130a, 130b, 130c, 130d)에 연결되어 제1 신호 전송부(160a)를 감싼다. 제2 신호 전송부(160b)는 제1 신호 전송부(160a)와 마찬가지로, 제3 내지 제6 도전성 접착제 블록(130c, 130d, 130e, 130f), 제2 및 제3 접지부(170b, 170c) 및 도전성 접착층(130)에 의해 감싸진다. 도전선 접착층(130)은 외피부(140)에 도포되어 있어, 외피부(140)가 케이블 전체를 감싼다.The first and
도 17을 참조하면, 도16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200)에서 제1 및 제2 신호 전송부(160a, 160b)는 각각 한 쌍의 신호 전송선로(110a, 110b, 111a, 111b)를 구성하여 차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6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과 같은 단일 신호 전송선로(110,111)보다 신호 전송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in the flexibl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끝 단에 도체패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끝 단에 연결단자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연결단자의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 conductor pattern formed at the end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formed at the end of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and 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of FIG. 19.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공정 또는 평면 연성 케이블공정을 이용하므로, 신호 전송부재(110)가 매립된 외피부가 제거된 연결부(182)와 회로기판(180)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회로기판(180)은 연결부(182)와 일체로 형성된 도체패턴(18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구현된 도체패턴(181)이나 다양한 도체패턴(181)을 포함하는 회로기판(180)을 플렉세블 평판 케이블(1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flexible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제조과정에서, 제1 커버레이(121)상에 구리박막층을 도포하고, 구리박막층을 에칭하여 신호전송부재(110), 접지부재(150a, 150b) 및 도체패턴(181)을 형성한다. 이후,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신호전송부재(110), 접지부재(150a, 150b)가 포함된 부분에만 제2커버레이(122)를 도포하여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의 끝단에는 도체패턴(181)을 포함하는 회로기판(180)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exible
도 19를 참조하여,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a, 100b)의 연장방법을 설명한다. 제1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a)은 일단에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외부단자(192a)와 타단에 다른 플렉서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단자(191a)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100b)도 일단에 제2 외부단자(192b)와 타단에 제2 연결단자(191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a method of extending the flexible
제1 및 제2 외부단자(192a,192b) 각각은 제1 및 제2 신호 전송부재(110a, 110b)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연결단자(191a, 191b) 각각은 제1 및 제2 신호 전송부재(110a, 110b)가 노출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 연결단자(191a, 191b)는 제1 및 제2 신호 전송부재(110a, 110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케이블(100')을 연장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제1 및 제2 신호 전송선로(100a, 110b)는 리플로우 공정이나,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연결단자(191a)에서 노출되는 제1 신호전송부재(110a)양 옆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접지부재(150a, 150b)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배치한다. 제1 접지부재(150a), 제1 신호전송부재(110a) 및 제2 접지부재(150b)의 제1 연결단자(191a)에 노출된 길이는 순차적으로 줄어든다.Referring to FIG. 20, the first and
제2 연결단자(191b)도 제2 신호전송부재(110b), 제1 및 제2 접지부재(150c, 150d)의 노출되는 길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제1 연결단자와 대응되도록 한다.The
케이블(100")은 제1 및 제2 연결단자(191a, 191b)를 중첩시켜 각도를 가지고 꺽이는 케이블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신호전송부재(110a), 제1 및 제2 접지부재(150a, 150b) 각각은 제2 신호전송부재(110b), 제3 및 제4 접지부재(150c, 150d)와 서로 접촉하게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The
도 20에서는 90도로 꺽이는 케이블을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신호전송부재(110a), 제1 및 제2 접지부재(150a, 150b)의 제1 연결단자(191a)에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꺽이는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ure 20, the explanation is based on a cable bent at 90 degrees,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able exposed to the
도 21은 종래의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신호 혼선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21 is a graph comparing the degree of signal crosstalk between a conventional flexible flat cable and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종래의 비아를 이용한 신호 케이블의 혼선 정도와 비교하였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rosstalk was compared with that of a signal cable using a conventional via.
종래의 신호 케이블이 주파수에 따라 가지는 혼선 크기는 실선으로 표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이 주파수에 따라 가지는 혼선 크기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The amount of crosstalk that a conventional signal cable has depending on frequency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amount of crosstalk that a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pending on frequency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그래프를 참조하면 모든 주파수 영역 대에서 종래의 비아를 이용한 케이블보다 혼선 정도가 개선된 효과를 가질 수 있었다.Referring to the graph, the degree of crosstalk was improved over cables using conventional vias in all frequency ranges.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이 종래의 신호 케이블보다 약 5GHz의 주파수에서 약 31.22 dB정도의 개선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flexible flat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results of about 31.22 dB at a frequency of about 5 GHz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gnal ca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y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in .
100, 200 :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110 : 신호 전송부재
120 : 절연부
121 : 제1 커버레이
122 : 제2 커버레이
130 : 도전성 접착층
131 : 도전성 접착블럭
140 : 외피부
141 : 제1 실드 필름
142 : 제2 실드 필름
150 : 접지부재
160 : 신호 전송부
170 : 접지부100, 200: Flexible flat cable 110: Signal transmission member
120: insulating portion 121: first coverlay
122: Second coverlay 130: Conductive adhesive layer 131: Conductive adhesive block 140: Outer skin 141: First shield film 142: Second shield film
150: Ground member 160: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Ground section
Claims (13)
상기 절연부 내에 매립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신호 전송부재;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는 외피부;
상기 절연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층; 및
상기 제2절연층이 적층되지 않은 상기 제1절연층의 부분에 설치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는 전도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 plate-shaped insulating portion formed of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and including a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signal transmission member embedded in the insulating part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insulating portion;
a conductiv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art and the outer skin; and
A pair of grounding members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wher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not laminated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outer skin is formed of a conductive film.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스트립 선로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is a flexible flat cable that is a pair of strip line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is a flexible flat cable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ground members.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의 부분은 상기 도전성 접착층에 의해 덮히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3,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a portion of the pair of ground members is covered by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는 상기 제1절연층에 설치되며, 각각 상기 신호 전송부재의 양측에 상기 신호 전송부재의 양측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ground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protrudes toward the pair of ground member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ground members.
상기 신호 전송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스트립 선로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clause 5,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is a flexible flat cable that is a pair of strip lines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제1절연부의 상면 및 상기 제2절연부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돌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clause 5,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a flexible flat cable including a pair of connec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상기 한 쌍의 접지부재와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신호 전송부재를 완전히 둘러싸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clause 5,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pair of ground members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mpletely surround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상기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1,
A flexible flat cable further comprising a conductor patter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exible flat cable.
서로 다른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의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신호 전송부재가 노출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단차부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paragraph 1,
A step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end of each flexible flat cable to expose the signal transmission member so that different flexible flat cab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flexible flat cable where each step is joined facing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접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 전송부;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 및 상기 복수의 접지부를 둘러싸는 외피부; 및
상기 복수의 접지부,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외피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 각각은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에 매립된 스트립 선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지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와 동일 평면에 설치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접지부재를 상기 도전성 접착층과 연결시키는 도전성 접착제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제1절연층과 상기 제1절연층에 적층되는 제2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절연층의 폭은 상기 제1절연층의 복보다 좁고,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제2절연층이 적층되지 않은 상기 제1절연층의 부분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부는 전도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units and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units; and
It includes a conductiv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portions, and the outer skin por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consists of an insulating member and a strip line embedded in the insulating member,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nd units includes a ground member installed on the same plane as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and a conductive adhesive block connecting the ground member 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he insul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width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grounding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wher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not laminated,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outer skin is formed of a conductive film.
상기 복수의 접지부와 상기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According to clause 11,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completely surround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portions.
상기 복수의 신호 전송부는 서로 이격되는 플렉서블 평판 케이블.
According to clause 11,
A flexible flat cable wherein the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103808 | 2016-08-16 | ||
KR1020160103808 | 2016-08-16 | ||
KR1020220100232A KR102676320B1 (en) | 2016-08-16 | 2022-08-10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0232A Division KR102676320B1 (en) | 2016-08-16 | 2022-08-10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3435A true KR20240093435A (en) | 2024-06-24 |
Family
ID=615313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3851A Ceased KR20180019472A (en) | 2016-08-16 | 2017-04-04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1020240077133A Ceased KR20240093435A (en) | 2016-08-16 | 2024-06-13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3851A Ceased KR20180019472A (en) | 2016-08-16 | 2017-04-04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80019472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2838B1 (en) | 2019-02-19 | 2024-10-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272085B1 (en) * | 2019-02-25 | 2021-07-02 | 주식회사 이랜텍 |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cable data cable and flat cable data cable |
KR102277157B1 (en) * | 2019-02-25 | 2021-07-14 | 주식회사 이랜텍 |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cable data cable and flat cable data cable |
KR102719282B1 (en) | 2019-05-08 | 2024-10-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exible cable |
KR102772339B1 (en) | 2019-07-18 | 2025-02-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exible cable |
KR102733474B1 (en) * | 2019-07-25 | 2024-11-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10081968A (en) | 2019-12-24 | 2021-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t |
KR20210089342A (en) | 2020-01-08 | 2021-07-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014162A (en) | 2020-07-28 | 2022-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2777455B1 (en) * | 2023-11-14 | 2025-03-10 | 주식회사 기가레인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able with enhanced shielding performance |
-
2017
- 2017-04-04 KR KR1020170043851A patent/KR20180019472A/en not_active Ceased
-
2024
- 2024-06-13 KR KR1020240077133A patent/KR20240093435A/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9472A (en) | 2018-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6320B1 (en)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240093435A (en) | Flexible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9203193B2 (en) | Electrical device having a circuit board and a differential pair of signal conductors terminated thereto | |
CN112106151B (en) | Shielded flat cable | |
US10777936B2 (en) |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termination component with strain relief | |
US10170862B2 (en) |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bus terminated to a cable drain wire | |
JPS63500342A (en) | Screened flexible cable | |
CN104981089B (en) | Printed circuit board (PCB) | |
US20150351222A1 (en) | Resin multilayer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 |
CN102801053B (en) | Communicatio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same | |
US8202111B2 (en) |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 |
WO2012146562A1 (en) | High speed input/output connection interface element, cable assembly and interconnection system with reduced cross-talk | |
TWI750848B (en) | Connecting object, connector and harness | |
TWI761991B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9585068B (en) | Long straight high-frequency transmission cable | |
US12119591B2 (en) | Shielded flat cable and shielded flat cable with circuit board | |
JP2017027721A (en) | Cable with connector | |
CN217363377U (en) | Transmission lin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040207975A1 (en) | Electronic circuit unit having mounting structure with high soldering reliability | |
KR101133630B1 (en) | Receptacle connector improved in mounting structure | |
CN111463600A (en) | Electrical devices with plug connectors with flexible parts | |
KR101052160B1 (en) | Flat cable with multiple wiring layers | |
JP3229385U (en) | Flexible flat cable structure | |
CN112885527B (en) | Serial advanced technology installation cable | |
JP2023067978A (en) |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pai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8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10023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