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051A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4051A KR20240084051A KR1020220168452A KR20220168452A KR20240084051A KR 20240084051 A KR20240084051 A KR 20240084051A KR 1020220168452 A KR1020220168452 A KR 1020220168452A KR 20220168452 A KR20220168452 A KR 20220168452A KR 20240084051 A KR20240084051 A KR 202400840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ase
- diffuser
- exhaust
- bathroo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5 indoor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2—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 F24F12/003—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using a heat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일 측면에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외기 토출구와 내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전열 소자가 배치되는 환기 장치; 상기 외기 토출구에서 연장되는 급기 덕트; 상기 내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 내부로 안내하는 배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욕실의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급기 덕트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욕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디퓨저; 및 상기 디퓨저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욕실 내부에 있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in which an external air inlet and an internal air outlet are formed on one side, an external air outlet and an internal air inlet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therein; an air supply duct extending from the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vent inlet and guiding air inside the bathroom into the ventilation device; a diffus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air supply duct and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to allow air supplied along the air supply duct to be supplied into the bathroom; and a sensor uni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iffuser to detect occupants inside the bathroom.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ntilation systems.
일반적으로 욕실 환기를 위한 수단으로서, 욕실 천장에 부착된 환기팬이 많이 사용된다. 이에 더하여, 욕실 환기를 위한 별도의 환기 장치가 천장에 부착되기도 함다. In general, a ventilation fan attached to the bathroom ceiling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bathroom ventilation. In addition, a separate ventilation device for bathroom ventilation may be attached to the ceiling.
아래의 선행 기술은 욕실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연결된 배기관으로 빠르게 배출하며,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 욕실 공기를 따뜻하게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나의 공기 유입구와 두 개의 공기 배출구를 가지며, 난방 모드와 습공기 배출 모드에 따라 두 개의 공기 배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The prior art below relates to a bathroom ventilation device, which quickly discharges moist air inside the bathroom through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has a built-in heater to warm up the bathroom air. Additionally, it has one air inlet and two air outlets, and the two air outlets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the heating mode and humid air discharge mode.
상기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욕실 환기 장치의 경우, 욕실 공기 배출 시 욕실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없기 때문에, 욕실 내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어 장시간 사용 시 습공기의 배기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bathroom ventilation device disclosed in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no air inflow into the bathroom when bathroom air is discharged,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bathroom,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bility to exhaust wet air is reduced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제습 모듈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아 제습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is poor because a separate dehumidification module is not provided.
또한, 공기 배출과 공기 가열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이 필요한 시점에서 연속적인 공기 배출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ir discharge and air heating are performed separately in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ontinuous air discharge is not possible when heating is nee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일 측면에 외기 유입구와 내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외기 토출구와 내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전열 소자가 배치되는 환기 장치; 상기 외기 토출구에서 연장되는 급기 덕트; 상기 내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 내부로 안내하는 배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욕실의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급기 덕트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욕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디퓨저; 및 상기 디퓨저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욕실 내부에 있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n external air inlet and an internal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an external air discharge port and an internal air inlet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inside. ventilation device; an air supply duct extending from the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vent inlet and guiding air inside the bathroom into the ventilation device; a diffus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air supply duct and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to allow air supplied along the air supply duct to be supplied into the bathroom; and a sensor uni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iffuser to detect occupants inside the bathroom.
상기 센서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lifted up and down.
상기 디퓨저는, 상기 욕실의 천장을 관통하는 디퓨저 케이스; 상기 디퓨저 케이스의 하단에 정의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디퓨저 디스크; 및 상기 디퓨저 디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디퓨저 디스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ffuser includes a diffuser case penetrating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 diffuser disk that opens and closes an outlet defined at the bottom of the diffuser case; and a lifting module that moves the diffuser dis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nsor unit is mounted on the diffuser disk.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 디스크의 상면에 결합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무빙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모터 서포터; 상기 무빙 케이스의 상단을 덮는 승강 커버를 더 포함한다.The diffuser includes a moving cas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ffuser disk; a motor supporter mounted on the top of the moving case; It further includes a lifting cover covering the top of the moving case.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무빙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 서포터에 고정되는 승강 모터; 상기 승강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 커버와 상기 모터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승강 커버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승강 스크류; 상기 승강 스크류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너트; 상기 승강 너트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퓨저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암을 포함한다.The lifting module includes: a lifting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moving case and fixed to the motor supporter; a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ifting motor and interposed between the lifting cover and the motor supporter; a lifting screw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through the lifting cover; A lifting nut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screw; It includes a fixing arm that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nut and is fixed to the diffuser case.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승강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The lift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bearing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lifting cover.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디스크에는 상기 센서 케이스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occupant, and a sensor case that accommodates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nd the diffuser disk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nsor mounting hole in which the sensor case is mounted is formed.
상기 디퓨저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급기 덕트에 연결되는 하강부와, 상기 하강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디퓨저의 토출구는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ffuser case includes a lowering part at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and a diffu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ing part and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Due to the shape of the diffusion part, the discharge port of the diffuser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It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전열 소자를 수용하는 메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와 상기 외기 토출구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ntil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main case accommodating the heating element,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inside air outle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case, and the inside air inlet and the outside air outlet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내기 유입구와 상기 내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상기 전열 소자를 우회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ypass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main case, and the bypass flow path connects the bet inlet and the bet outlet, but extends to bypass the heating element.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외기 토출구에 장착되는 흡입팬 모듈; 상기 내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배기팬 모듈; 및 상기 전열 소자와 상기 외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더 포함한다.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suction fan module mounted on the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fan module mounted on the exhaust outlet; and an evaporator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 and the external air outlet.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욕실의 제습 및 환기를 통한 욕실 내 세균 번식 억제의 효과가 있다. First, it is effective in suppressing bacterial growth in the bathroom through dehumidification and ventilation in the bathroom.
둘째, 하절기에 욕실 냉방이 가능하고, 동절기에 욕실 난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l the bathroom in the summer and heat the bathroom in the winter.
셋째, 급속 배기를 통한 욕실 오염원의 신속 제거가 가능하므로, 욕실 냄새가 거실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bathroom contaminants through rapid exhaust,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bathroom odors from penetrating into the living room.
넷째, 신선한 외기를 욕실로 공급 가능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 및 습기로 인한 호흡 곤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fresh outdo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bathroom,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ser's health and preventing breathing difficulties caused by moisture.
다섯째, 욕실 내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욕실내 습공기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quipped with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a user is present in the bathroom, allowing the humid air in the bathroom to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환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환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환기 장치의 횡단면 사시도.
도 6은 환기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환기 장치의 메인 케이스를 구성하는 미들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상기 미들 케이스의 평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메인 케이스를 구성하는 어퍼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저면도.
도 11은 메인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로어 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상기 로어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퓨저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상기 디퓨저의 평면 사시도.
도 15는 상기 디퓨저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상기 디퓨저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멀티 댐퍼 모듈의 사시도.
도 18은 상기 멀티 댐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상기 멀티 댐퍼 모듈을 구성하는 댐퍼 유닛의 사시도.
도 20은 댐퍼 유닛의 회전량에 따라 연결 포트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는 멀티 댐퍼의 횡단면도.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evice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evice.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taken along line 5-5 in Figure 4;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ase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evice.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case constituting the main case of the ventilation device.
Figure 8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case.
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case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case.
11 is a view showing the lower cas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case.
Figure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ase.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diffuser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Figure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ffuser taken along line 16-16 in Figure 14.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amper module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damper module.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unit constituting the multi-damper module.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amper show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damper unit.
이하에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은, 환기 장치(10)와, 상기 환기 장치(10)에 연결되는 급기 덕트(91) 및 배기 덕트(9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급기 덕트(91)의 단부에는 디퓨저(60)가 연결되고, 상기 디퓨저(60)는 욕실(H)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급기 덕트(91)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욕실(H) 내부로 공급된다. A
또한, 상기 배기 덕트(92)의 단부에는 멀티 댐퍼 모듈(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댐퍼 모듈(70)에는 하나의 흡입 포트와 두 개의 배기 포트가 형성되며, 두 개의 배기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배기 덕트(92)의 단부가 연결된다. Additionally, a
그리고, 상기 흡입 포트에는 환풍 덕트(93)가 연결되고, 상기 환풍 덕트(93)의 단부에는 환풍기(80)가 연결된다. 상기 환풍기(80)는 상기 욕실(H) 내부에 장착되는 환풍팬을 포함한다.Additionally, a
또한, 상기 두 개의 배기 포트 중 다른 하나에는 공동 배기 덕트(94)가 연결되고, 상기 공동 배기 덕트994)의 단부는 실외에 제공되는 공동 배기관(95)에 연결된다. 상기 공동 배기관(95)은 아파트와 같이 다가구가 층을 이루는 건물에 배치되는 배기관으로서, 다가구에서 연장되는 배기 덕트들이 연결되는 공동 배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mmon exhaust duct 94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two exhaust ports, and an end of the common exhaust duct 994 is connected to 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환기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환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환기 장치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evice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Figure 5 is a drawing. This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cut along 5-5 in 4.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을 구성하는 환기 장치(10)는, 주로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자는 환기 장치(10)의 저면을 주로 인식하게 된다. 2 to 5, the
그리고, 사용자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커버를 열어서 공기 정화 모듈을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open the cov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는, 외형을 이루고, 저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된 저면을 덮는 쉴드 커버(16)와, 상기 하우징(11)의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덕트 플랜지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상기 하우징(11)의 일 측면의 양 단부에는 외기 유입구(outdoor air inlet)(101)와 내기 배출구(indoor air outlet)(10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11)이 타 측면의 양 단부에는 내기 유입구(indoor air inlet)(103)와 외기 토출구(outdoor air outlet)(102)가 각각 형성된다. An
그리고, 상기 외기 유입구(101)와 내기 유입구(103)가 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내기 배출구(104)와 상기 외기 토출구(102)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외기 유입구(10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10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상기 내기 배출구(104)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들 중 후술하게 될 공기 정화 모듈을 통과할 때,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한편, 상기 덕트 플랜지는, 상기 외기 유입구(101)에 장착되는 외기 유입 플랜지(outdoor air inlet flange)(171)와, 상기 외기 토출구(102)에 장착되는 외기 토출 플랜지(outdoor air discharge flange)(172)와, 상기 내기 유입구(103)에 장착되는 내기 유입 플랜지(indoor air inlet flange)(173), 및 상기 내기 배출구(104)에 장착되는 내기 배출 플랜지(indoor air exhaust flange)(174)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duct flange includes an outdoor
선택적으로, 상기 외기 토출구(102)에는 히팅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기 토출구(102)에 상기 히팅 장치(50)가 장착될 경우, 상기 외기 토출 플랜지(172)는 상기 히팅 장치(50)의 출구에 장착될 수 있다. Optionally, a
또한, 상기 환기 장치(10)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쉴드 커버(16)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덮는 로어 커버(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어 커버(15)에는 후술할 공기 정화 모듈이 통과하는 통과홀(15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스는, 로어 케이스(14), 미들 케이스(13) 및 어퍼 케이스(12)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케이스(12)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결합체는 메인 케이스(100)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15)는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쉴드 커버(16)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쉴드 커버(16)는 상기 하우징(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쉴드 커버(16)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The case includes a
상기 환기 장치(10)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 모듈(ventilation module)(40)과, 냉방 모듈, 및 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방 모듈은, 냉매를 순환 유체로 하는 냉매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저온 저압의 2상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1)는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출구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팬 모듈은,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흡입팬 모듈(19)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팬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 팬 모듈은 팬과 상기 팬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The fan module includes a
상기 흡입팬 모듈(19)은 상기 외기 토출구(102)가 형성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팬 모듈(19)의 토출구와 상기 외기 토출구(10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 모듈(20)은 상기 내기 배출구(104)가 형성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토출구와 상기 내기 배출구(104)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은, 모듈 프레임(41)과, 상기 모듈 프레임(4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열 소자(42)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은 헤파 필터(43)와 프리 필터(44) 및 광 필터(4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필터(45)는, UV 램프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공기 정화 모듈(40)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 또는 상기 프리 필터(44)에 묻은 진드기와 같은 유해균을 제거하는 필터를 의미한다. The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은 상기 외기 유입구(101)에 가까운 쪽부터 광 필터(45), 프리 필터(44), 헤파 필터(43), 및 전열 소자(42)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상기 외기 유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광 필터(45), 프리 필터(44), 헤파 필터, 및 전열 소자(4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상기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선택적으로, 상기 환기 장치(10)는 공기 청정 모듈(air cleaning module)(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 청정 모듈(30)은 상기 증발기(21)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 사이, 또는 상기 증발기(21)와 상기 흡입팬 모듈(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과 상기 공기 청정 모듈(30) 및 상기 증발기(21)는 실외 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배치 위치는 상기 케이스, 특히 메인 케이스(100)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Optionally, the
상기 팬 모듈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팬 모듈이 원심팬인 경우, 상기 흡입팬 모듈(19)의 토출구는 상기 외기 토출구(102)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외기 토출 플랜지(172)의 중심축이 상기 흡입팬 모듈(19)의 토출구의 중심을 지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외기 토출 플랜지(172)의 중심축(또는 외기 토출구의 중심축)과 상기 흡입팬 모듈(19)의 팬축이 직교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e fan module may be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When the fan module is a centrifugal fan, the outlet of the
반면, 환기 장치(10)의 컴팩트화를 위하여, 또는 상기 하우징(11)의 규격이 정해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팬축은 상기 내기 배출 플랜지(174)의 중심축(L1)(또는 내기 배출구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토출구의 중심을 지나는 선(L2)과 상기 내기 배출 플랜지(174)의 중심축(L1)이 직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 모듈(20)과 상기 내기 배출구(104) 사이에는 배기 유동 전환 공간(exhaust air flow transition space)(106)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pact the
다른 표현으로서, 상기 내기 배출구(104)의 중심축과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회전축이 평행하도록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장착 위치가 설계된다. In other word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실외 공기가 흐르는 외기 유로와 실내 공기가 흐르는 내기 유로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이 놓인다. 그리고, 상기 내기 유로 중, 상기 내기 유입구(103)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연결하는 내기 유로 상에 제 1 댐퍼 유닛(2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은, 상기 내기 유입구(10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과 바이패스 유로(후술함) 중 어느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미들 케이스(13)와 상기 로어 케이스(14) 사이에 형성되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inside the
또한, 상기 내기 유입구(103)로 유입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 쪽으로 흐르는 실내 공기가 상기 증발기(21)가 설치된 외기 유로로 흐르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 2 댐퍼 유닛(23)이 상기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에 의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외기 유로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속 냉방이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내기 유입구(103)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 다음 상기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한편, 상기 환기 장치(10)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종 부품은, 상기 팬 모듈(19,20)과, 상기 댐퍼 유닛(22,23), 상기 공기 청정 모듈(30), 및 상기 광 필터(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18)는 상기 하우징(11)의 측면, 구체적으로 실내측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도 6은 환기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ase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devic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케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케이스(12)와 상기 로어 케이스(13)의 결합체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기 유로와 내기 유로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케이스(110)의 일 측면에는 외기 유입구(101)와 내기 배출구(104)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내기 유입구(103)와 외기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네 개의 공기 통과홀들(101 ~ 104)의 일부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측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로어 케이스(13)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13)와 어퍼 케이스(12)가 결합되면, 완전한 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Inside the
상기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급기 유입 영역(supply air introducing area)(1001), 급기 토출 영역(supply air discharge area)(1002), 배기 유입 영역(exhaust air introducing area)(1003), 배기 배출 영역(exhaust air exhausting area)(1004),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 바이패스 안내 영역(bypass guide area)(1006), 배기 입구 영역(exhaust air entrance area)(1007), 및 상기 배기 유동 전환 공간(106)이 각각 정의된다. Inside the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의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상기 메인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상기 내기 유입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103)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의 측면에 제 1 댐퍼홀(1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홀(106)에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이 장착된다. The
또한, 상기 제 1 댐퍼 홀(106)이 형성되는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의 측면 또는 상기 내기 유입구(103)가 형성되는 측면과 직교하는 측면에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의 일단이 연결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은 급기 유로와 배기 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된다.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4 측면이 연속하여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air purification
상기 급기 유입 영역(1001)은 상기 외기 유입구(101)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의 제 1 측면 사이에 정의된다. The supply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과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의 제 2 측면 사이에 상기 배기 유입 영역(1003)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배기 유입 영역(1003)과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이 선택적으로 연통한다. The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은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입구를 연결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출구는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이다. The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은, 상기 급기 토출구(102)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의 제 3 측면 사이에 정의된다.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과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의 경계면에 상기 제 2 댐퍼홀(107)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과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이 선택적으로 연통한다. 상기 제 3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의 맞은 편에 위치한다. The supply
또한,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은,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의 제 4 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기 유동 전환 공간(106)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과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을 구획하는 경계면에는 배기팬 장착홀(105)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토출구는 상기 배기팬 장착홀(105)에 연결된다. Additionally, the
상기 배기팬 장착홀(105)과 상기 내기 배출구(104)는 서로 교차하는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을 따라 흐르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유동 전환 공간(106)에서 유동 방향이 전환된 후 상기 내기 배출구(104)로 배출된다. The exhaust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과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은 유동 분리벽에 의하여 구획되어,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혼합이 차단된다.The
상기 배기팬 모듈(20)은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팬 모듈(19)은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에 배치된다. The
도 7은 환기 장치의 메인 케이스를 구성하는 미들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미들 케이스의 평면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case constituting the main case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Figure 8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cas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케이스(13)는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상면이 결합되는 저면(131)과,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이 결합되는 상면(132)과, 상기 상면(132)과 저면(131)을 연결하는 측면(13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상기 측면(133)은 제 1 면(133a), 제 2 면(133b), 제 3 면(133c), 및 제 4 면(133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면(133a)과 제 3 면(133c)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면(133b)과 제 4 면(133d)이 서로 마주본다. The
상기 제 1 면(133a)에 상기 외기 유입홈(1331)과 내기 배출홈(1334)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면(133c)에 내기 유입홈(1333)과 외기 토출홈(1332)이 형성된다. The outside
상기 외기 유입홈(1331)은 상기 외기 유입구(101)의 절반을 형성하고, 상기 내기 배출홈(1334)은 상기 내기 배출구(104)의 절반을 형성한다. 상기 내기 유입홈(1333)은 상기 내기 유입구(103)의 절반을 형성하고, 상기 외기 토출홈(1332)은 상기 외기 토출구(102)의 절반을 형성한다. The outside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저면(131) 가장자리에는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이 형성된다.An
상세히,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의 입구단(일단)은,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으로 흐르는 실내 공기는 환기 모드에서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의 출구단(타단)은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에 연결된다. In detail, the entrance end (one end) of the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가장자리를 따라 n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급기 토출 영역(1002)의 저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저면(131)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 2면(133c)의 하단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암(135)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면(133a)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연장암(135)의 단부에는 유동 안내벽(136)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안내벽(136)은 상기 연장암(135)의 양 측단에서 상기 제 2 면(133b)과 제 4 면(133d)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미들 케이스(131)의 상면(132) 쪽으로 소정 높이 연장된다. 상기 유동 안내벽(136)는 상기 측면(13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From the edge of the
상기 연장암(135)은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의 저면과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의 저면을 분리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연장암(135)의 폭만큼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의 저면이 감소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댐퍼홀(106)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 4 면(133d)의 내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댐퍼홀(106)의 타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유동 안내벽(136)의 일 측면에는 제 1 댐퍼 장착부(1312)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장착부(1312)에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의 양 측면이 끼워진다.An inner edge of the fourth surface (133d)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 2 댐퍼홀(107)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유동 안내벽(136)의 타 측면과, 상기 제 2 댐퍼홀(107)의 타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 바이패스홈(1311)의 입구단에는 제 2 댐퍼 장착부(1313)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댐퍼 장착부(1313)에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양 측면이 끼워진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유동 안내벽(136)의 타단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한 모서리를 지지한다. The other end of the
한편,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의 출구단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유동 분리벽(134)이 연장된다. 상기 하부 유동 분리벽(134)은 상기 유동 분리벽의 하측 일부분을 형성한다. Meanwhile, the lower
상기 하부 유동 분리벽(134)의 저면에는 배관 수용부(1341)가 상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21)에서 연장되는 기관(211)과 액관(212)은 상기 배관 수용부(1341)를 통과한다. 즉, 상기 기관(211)과 액관(212)은 상기 하부 유동 분리벽(134)의 하측으로 연장된다.A
또한, 상기 제 1 면(133a)의 내측 면에서 배관 안내턱(137)이 돌출된다. 상기 배관 안내턱(137)의 일 측면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측면을 지지하고, 타 측면은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형성한다. Additionally, a
상기 배관 안내턱(137)의 저면에는 액관 수용홈(1371)과 기관 수용홈(137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 유동 분리벽(134)의 배관 수용부(1341)를 지나는 액관(212)과 기관(211)은 각각 상기 기관 수용홈(1372)과 액관 수용홈(137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면(133a)을 통과한다. A liquid
또한, 상기 제 4 면(133d)의 내측 면에서 공기 정화 모듈 지지턱(138)이 돌출되며,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지지턱(138)의 일 측면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측면을 지지하고, 타 측면은 상기 배기 유입 영역(1003)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In addition, an air purification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지지턱(138)의 일 측면은 상기 배관 안내턱(137)의 일 측면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air purification
한편,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132) 일측에는 흡입팬 수용홈(1323)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흡입팬 수용홈(1323)은 상기 제 2 면(133b)과 제 3 면(133c)이 만나는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면(133c)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 토출홈(1332)은 상기 흡입팬 수용홈(1323)과 연통한다. Meanwhile, a suction
또한, 상기 제 1 면(133a)과 제 2 면(133b)이 만나는 모서리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132)에는 상기 배기 유동 전환 공간(106)의 저면을 정의하는 배기 유동 전환면(1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에는 상기 유동 전환 공간(106)의 일 측면을 정의하는 배기팬 장착벽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장착벽에는 배기팬 장착홈(1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면(133a)에는 상기 배기 배출홈(1334)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팬 장착홈(1321)의 중심을 지나는 선(L2)과 상기 배기 배출홈(1334)의 중심을 지나는 선(L1)은 서로 직교한다. 즉, 상기 배기팬 장착홈(1321)을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유동이 90도 전환되어 상기 배기 배출홈(1334)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메인 케이스를 구성하는 어퍼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메인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case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cas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어퍼 케이스(12)는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된 영역들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벽들이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상세히, 상기 어퍼 케이스(12)는,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에 밀착되는 저면(121)과, 상기 저면(121)의 반대 면인 상면(122)과, 상기 저면(121)과 상면(122)을 연결하는 측면(123)을 포함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측면(123)은, 제 1 면(123a), 제 2 면(123b), 제 3 면(123c), 및 제 4 면(123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면(123a)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1 면(133a)과 동일 면을 이루고, 상기 제 2 면(123a)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2 면(133b)과 동일 면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3 면(123c)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3 면(133c)과 동일 면을 이루고, 상기 제 4 면(123d)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4 면(133d)과 동일 면을 이룬다. And, the
상기 제 1 면(123a)에는 외기 유입홈(1231)과 내기 배출홈(12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기 유입홈(1231)과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외기 유입홈(1331)이 결합되어 완전한 외기 유입구(101)를 형성한다. 상기 내기 배출홈(1234)과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내기 배출홈(1334)이 결합되어 완전한 내기 배출구(104)를 형성한다. An external
상기 제 3 면(123c)에는 내기 유입홈(1233)과 외기 토출홈(12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기 유입홈(1233)과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내기 유입홈(1333)이 결합되어 완전한 내기 유입구(103)를 형성한다. 상기 외기 토출홈(1232)과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외기 토출홈(1232)이 만나서 완전한 외기 토출구(102)를 형성한다. An internal
상기 제 1 면(123a)의 내측 면에서 제 1 공기 정화 모듈 지지턱(126)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공기 정화 모듈 지지턱(126)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배관 안내턱(137)에 밀착된다. A first air purification
상기 배기 배출홈(1234)이 형성되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 모서리 영역에 상기 유로 전환 공간(106)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면에 상기 어퍼 케이스(12)가 결합되면, 상기 배기 유동 전환면(1322)은 상기 유로 전환 공간(106)의 저면을 형성한다. The flow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는 상기 유로 전환 공간(106)의 일 측면을 정의하는 배기팬 장착벽(129)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팬 장착벽(129)에는 배기팬 장착홈(12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배기팬 장착홈(1321)과 상기 배기팬 장착홈(1291)이 결합되어 완전한 배기팬 장착홀(105:도 6 참조)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 exhaust
상기 유로 전환 공간(106)의 모서리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상부 유동 분리벽(124)이 연장되며, 상기 상부 유동 분리벽(124)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하부 유동 분리벽(134)에 밀착되어 완전한 유동 분리벽(도 6 참조)이 완성된다. 상기 유동 분리벽의 단부는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의 일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모듈 지지벽으로 기능한다. An upper
상기 미들 케이스(13)에 형성되는 급기 유입 영역(1001), 급기 토출 영역(1002), 배기 유입 영역(1003), 배기 배출 영역(104),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 및 배기 입구 영역(1007)의 직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급기 유입 영역(1001), 급기 토출 영역(1002), 배기 유입 영역(1003), 배기 배출 영역(104), 공기 정화 모듈 장착 영역(1005),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 및 배기 입구 영역(1007)이 형성된다. A supply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는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유동 안내벽(136)에 밀착되는 유동 안내벽(125)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1 댐퍼 장착부(1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댐퍼 장착부(1212)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2 댐퍼 장착부(13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댐퍼 장착부(1213)가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 안내벽(125)의 일 단부에는 제 1 댐퍼 장착부(1212)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제 2 댐퍼 장착부(1213)가 형성된다. A
한편,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과 상기 흡입팬 모듈(19)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21)가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21)의 상면은 상기 어퍼 케이스(12)에 의하여 차폐되고, 하면에는 후술하게 될 드레인팬(drain pan, 24)이 놓인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증발기(21)의 상면 가장자리들 중 두 개의 단변 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저면에는 증발기 지지 리브(127)가 각각 돌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증발기 지지 리브들(127)은 상기 외기 토출 영역(1002)의 입구측 가장자리 지점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지지 리브들(127) 각각은, 상기 증발기(21)의 상면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다수 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0, the two
한편, 상기 증발기(21)는, 증발 배관과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지는 증발기 본체(211)와, 상기 증발기 본체(211)의 단변부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 채널(212)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상기 지지 채널(212)은 대략 n자 형태로 절곡되는 횡단면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의 입구단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 채널(212)을 지지하는 채널 지지벽(139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지지 채널(212) 중 하나는 상기 채널 지지벽(139b)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채널 지지벽(139b)은 상기 두 개의 증발기 지지 리브(127)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상기 두 개의 증발기 지지 리브(127)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는 지점에도 채널 지지벽(139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 채널(212)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채널 지지벽(139a)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A
도 11은 메인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로어 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상기 로어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lower cas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case, and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의 케이스는 메인 케이스(100)와, 상기 메인 케이스(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로어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 케이스(100)는 상기 어퍼 케이스(12)와 상기 로어 케이스(13)의 결합체로 정의되며,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저면에 상기 로어 케이스(14)가 결합된다. 11 and 12, the case of the
상기 로어 케이스(14)는, 상기 어퍼 케이스(12) 또는 미들 케이스(13)와 마찬가지로, 상면(41), 저면(142), 및 측면(143)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143)은 제 1 면(143a), 제 2 면(143b), 제 3 면(143c), 및 제 4 면(143d)을 포함한다.The
상기 제 1 내지 제 4 면(143a ~ 143d) 각각은 상기 어퍼 케이스(12)의 제 1 내지 제 4 면(123a ~ 123d) 각각 및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1 내지 제 4 면((133a ~ 133d) 각각과 동일 면을 이룬다. Each of the first to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상면에는,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상부 바이패스 홈(1311)에 결합되는 하부 바이패스 홈(141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바이패스 홈(1311)과 하부 바이패스 홈(1411)이 결합되어 완전한 바이패스 유로가 완성된다. A
상기 로어 케이스(14)에는 공기 정화 모듈 삽입홀(145)과 드레인팬 장착홀(144)이 형성된다. An air purification
상기 공기 정화 모듈 삽입홀(145)의 일측 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141)에는 모듈 지지벽(1415)이 연장되고, 상기 모듈 지지벽(1415)은 상기 유동 분리벽의 단부 하면에 닿는다. 상세히, 상기 로어 케이스(14)가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저면에 결합되면,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하부 유동 분리벽(134)의 단부의 하면에 상기 모듈 지지벽(1415)이 닿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지지벽(1415)의 단부는 상기 배관 수용부(1341)를 제외한 부분에 닿아서, 상기 배관 수용부(1341)를 지나는 기관(211) 및 액관(212)과 간섭되지 않는다. A
그리고, 상기 배관 수용부(1341)의 직하방에 대응하는 상기 상면(141)의 어느 지점에는 배관 수용홈(1414)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액관(212) 및 기관(211)을 수용한다.In addition, a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제 1 면(133a)에 대응되는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제 1 면(143a)의 상단에는 기관 수용홈(1413)과 액관 수용홈(1412)이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미들 케이스(13)의 액관 수용홈(1371)과 기관 수용홈(1372)에 결합된다. An
한편,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저면에는 드레인 파이프 수용홈(142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 수용홈(1421)의 일 단은 상기 드레인 팬 장착홀(14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로어 케이스(14)의 측면(143)으로 연장된다. 일례로, 상기 드레인 파이프 수용홈(1421)의 타단은 제 1 면(143a)으로 연장될 수 있다. Meanwhile, a drain
한편, 상기 환기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운전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operation mode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ventil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첫째, 전열 교환 모드(total heat exchange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total heat exchange mode will be explained.
전열 교환 모드는 상기 증발기(21)가 오프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하는 운전 모드이다.The total heat exchange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indoor air and outdoor air exchang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전열 교환 모드에서는, 전열 교환기가 구비된 종래의 환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전열 소자(42)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열이 상기 전열 소자(42)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로 전달된다. 즉, 실외로 배출되는 폐열이 다시 실내로 회수된다. 실외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은 계절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후에 실내로 공급되므로, 실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In the total heat exchange mode, as is done in a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equipped with a total heat exchanger, the hea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hat passes through the
또한, 실외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높은 계절에는,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므로, 실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Additionally, in seasons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indoor temperature, the incoming outdoor air releases heat into the outgoing indoor air and is supplied indoors at a lower temperature, thereby minimizing changes in indoor temperature and allowing fresh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room. .
여기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것(열기 전달)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것(냉기 전달)을 모두 포함하여 폐열 회수로 정의한다. Her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discharged indoor air to the incoming outdoor air (heat transfer), as well as heat transfer from the incoming outdoor air to the discharged indoor air (cold air transfer), resulting in waste heat recovery. define.
둘째, 직팽식 전열 교환 모드(direct expansion total heat exchange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Second, the direct expansion total heat exchange mode will be explained.
직팽식 전열교환 모드는, 증발기(21)가 온된 상태, 즉 증발기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가 흐르는 상태에서 전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운전 모드이다. 따라서, 직팽식 전열교환 모드는, 외기 유입을 통한 냉방과 전열 환기를 구현하는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The direct expansion type total heat exchange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otal heat exchange is performed with the
일례로, 여름철 직팽식 전열교환 모드의 경우, 외기 유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하면서 상기 내기 유입구(103)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한 다음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다. 따라서,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 감소량이 증가하여, 실내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direct expansion heat exchange mode in summer, outdoor air flowing in through the
반면, 겨울철에는 실외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한 다음 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므로, 여름철에 비해서는 온도 감소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On the other hand, in winter, outdoor air absorbs heat from indoor air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셋째, 급속 환기 모드(quick ventilation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Third, the quick ventilation mode is explained.
급속 환기 모드는, 증발기(21)가 오프된 상태에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되,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지 않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The rapid ventilation mode refers to an operation mode in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indoor air is discharged outdoors when the
상세히, 급속 환기 모드에서는, 실외 공기는 상기 외기 유입구(101)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 및 증발기(21)를 통과한 뒤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실내 공기는 상기 내기 유입구(103)를 통하여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B)를 통하여 상기 내기 배출구(104)로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열교환하지 않으므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외기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한다. In detail, in the rapid ventilation mode, outdoor air flows into the
이와 같은 공기 유동을 위해서 상기 제 1 댐퍼 유닛(22)과 제 2 댐퍼 유닛(23)은 상기 제 1 댐퍼홀(106)과 제 2 댐퍼홀(107)을 각각 폐쇄한다. 그러면,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기 유입 영역(1003)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을 따라 흘러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B)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B)를 따라 흐르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배출 영역(1004)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배기팬 모듈(2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유로 전환 공간(106)으로 안내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내기 배출구(104)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For this air flow, the
급속 환기 모드에서는,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전열 소자(4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실외로 배출되므로, 전열 소자(42)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주방에서 고기나 생선을 굽는 요리를 하는 중에 환기를 위해서 급속 환기 모드를 선택하면, 기름이나 악취가 전열 소자(42)에 흡착되지 않으므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rapid ventilation mode, the discharged indoor air is discharged directly outdoor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지 않고 실내로 공급되므로,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신선한 공기에 의하여 가스렌지, 쿡탑, 오븐 등에 의하여 가열된 주방의 공기를 신속히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door air is supplied indoors without absorbing heat from the indoor air,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fresh air has the effect of quickly lowering the air in the kitchen heated by the gas stove, cooktop, oven, etc.
또한, 실내 공기가 전열 소자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전열 소자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Additionally, since indoor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heating element, the lifespan of the heating element is extended.
넷째, 직팽식 환기 모드(direct expansion ventilation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Fourth, the direct expansion ventilation mode will be described.
직팽식 환기 모드는, 증발기(21)가 온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급속 환기 운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한 실외 공기는, 배출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고 증발기(21)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는 전열 소자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실외로 바로 배출된다. The direct expansion ventilation mode refers to a rapid ventilation operation performed with the
직팽식 전열교환 모드는 전열 소자(42)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폐열을 회수하기 때문에, 직팽식 환기 모드에 비하여 환기 장치(10)의 냉방 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direct expansion type heat exchange mode primarily recovers wast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다섯째, 급속 냉방 모드(quick cooling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Fifth, the quick cooling mode will be described.
급속 냉방 모드는, 증발기(21)은 온되고, 실외 공기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실내 공기가 공기 정화 모듈(40)을 통과하지 않고 증발기(21)만을 통과한 다음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The rapid cooling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indoor air passes only the
상기 급속 냉방 모드에서, 상기 외기 유입구(102)는 폐쇄되어 실외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외기 유입구(102)에 댐퍼가 장착되어,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기 유입구(102)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 모듈(20)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rapid cooling mode, the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은 상기 제 1 댐퍼홀(106)을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댐핑 플레이트(222)는 상기 제 2 댐퍼홀(107)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유로(B)의 입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회동한다. And, the
이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 모듈(19)이 회전하면, 상기 내기 유입구(10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으로 안내되고,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에서 상기 바이패스 안내 영역(1006)으로 흐르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 정화 모듈(40)과 상기 증발기(21) 사이 공간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 후 상기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급속 냉방 모드에서 상기 환기 장치(10)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여섯째, 환기/냉방 동시 운전 모드(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Sixth, the 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환기/냉방 동시 운전 모드는, 직팽식 전열 교환 모드와 급속 냉방 모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운전 모드이다.The 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direct expansion type heat exchange mode and rapid cooling mode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환기/냉방 동시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댐핑 플레이트(222)는 상기 제 2 댐퍼홀(107)을 개방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B)의 입구를 폐쇄한다. In the 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 the damping plate 222 of the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유닛(22)의 댐핑 플레이트(222)는 9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배기 입구 영역(1007)에 있는 실내 공기가 상기 제 1 댐퍼홀(106)과 상기 바이패스 유로(B)로 나뉘어 흐르도록 한다. And, the damping plate 222 of the
그러면, 상기 외기 유입구(10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전열 소자(42)로 안내되는 실내 공기로부터 폐열을 흡수한 다음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다. 그리고, 폐열을 흡수한 실외 공기는 상기 증발기(21)로 안내된다. Then,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또한, 상기 바이패스 유로(B) 쪽으로 안내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제 2 댐퍼 유닛(23)의 댐핑 플레이트(222)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21) 쪽으로 안내되고, 폐열을 흡수한 상기 실외 공기와 합쳐진 다음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guided toward the bypass flow path (B) is guided toward the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는 상기 외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Outdoor air an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환기/냉방 동시 운전 모드는, 실내 온도를 빨리 낮추는 급속 냉방과 실내 공기 오염도를 낮추기 위해서 일부 환기가 모두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한 공간에 많은 인원이 유입되어 실내 온도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 경우에, 상기 환기/냉방 동시 운전 모드를 선택하면, 신선한 실외 공기가 냉각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 공기 일부는 실외로 배출됨과 동시에,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냉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 can be useful in situations where both rapid cooling to quickly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and partial ventilation to reduce indoor air pollution are required. 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enter a space,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indoor temperature but also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en the ventilation/cooling simultaneous operation mode is selected, fres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in a cooled state, and the indoor air While some of it is discharged outdoors, the indoor air can be cooled quickly.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퓨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디퓨저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디퓨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16-16을 따라 절개되는 상기 디퓨저의 종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diffuser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and Figure 16 is a 16-16 of Figure 14.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ffuser cut along.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을 구성하는 디퓨저(60)는, 디퓨저 케이스(61)와, 상기 디퓨저 케이스(6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 부재(67)와, 상기 승강 부재(67)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6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3 to 16, the
또한, 상기 디퓨저(60)는, 상기 디퓨저 케이스(61)의 토출구를 개페하는 디퓨저 디스크(62)와, 상기 디퓨저 디스크(62)에 장착되는 센서 유닛(63)과, 상기 디퓨저 디스크(62)의 상면에 연결되는 무빙 케이스(65)와, 상기 무빙 케이스(65)의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 커버968) 및 무빙 서포터(6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세히, 상기 디퓨저 케이스(61)는, 원통 형상의 하강부(611)와, 상기 하강부(611)의 하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산부(612)를 포함한다. 상기 하강부(611)는 상기 급기 덕트(91)의 토출단에 연결되고, 상기 욕실(H)의 천장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612)는 상기 욕실(H) 내부에 노출된다. 상기 확산부(612)는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디퓨저 디스크(62)는 상기 확산부(6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 부재(67)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기 디퓨저 디스크(62)가 하강하면 상기 디퓨저 케이스(61)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기 토출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디퓨저 디스크(62)가 상승하면 상기 공기 토출 면적이 감소한다. 상기 디퓨저 디스크(62)는 상기 확산부(612)의 저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The
상기 디퓨저 디스크(62)의 중앙에는 센서 장착홀(621)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홀(621)에 상기 센서 유닛(63)이 장착된다. A
상기 센서 유닛(63)은, 상기 센서 장착홀(621)에 삽입 장착되는 센서 케이스(632)와, 상기 센서 케이스(6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체 감지 센서(631)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 감지 센서(631)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일 수 있고, 욕실(H)의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The
상기 무빙 케이스(65)는 상기 센서 유닛(63)을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퓨저 디스크(62)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moving
상세히, 상기 무빙 케이스(62)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모터 서포터(66)가 안착되는 안착단(6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케이스(62)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커버(68)가 결합되며, 상기 승강 커버(68)와 상기 무빙 케이스(65)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서포터(66)의 중앙에는 개구부(661)가 성된다. In detail, the moving
상기 승강 부재(67)는, 상기 승강 커버(68)와 상기 모터 서포터(66) 사이에 놓이는 회전판(671)과, 상기 회전판(671)과 상기 승강 커버(68)의 접촉면에 개재되는 베어링(674)과, 상기 회전판(671)의 상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승강 스크류(672)와, 상기 승강 스크류(67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너트(675)와, 상기 승강 너트(675)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암(673)을 포함한다.The lifting
상기 다수의 고정암(673)은 상기 하강부(61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The plurality of fixing
상기 승강 모터(64)는 상기 모터 서포터(66)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축(641)은 상기 모터 서포터(66)의 개구부(66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671)의 저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모터(64)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스크류(672)가 회전하고, 상기 승강 스크류(672)가 회전하면, 고정된 상기 승강 너트(675)와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672)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The lifting
정리하면, 상기 승강 모터(64)가 구동하면, 상기 모터축(641)과 한 몸으로 연결된 상기 회전판(671) 및 상기 승강 스크류(672)는 회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 디스크(62)와, 상기 무빙 케이스(65), 모터 서포터(66), 및 상기 승강 커버(68)는 회전하지 않고 상승 또는 하강한다. In summary, when the lifting
상세히, 상기 회전판(671)은 상기 승강 커버(68)의 저면에서 회전하고, 상기 베어링(674)에 의하여 상기 승강 커버(68)와 상기 회전판(671) 사이에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센서 유닛(63)에 의하여 재실자가 감지되면, 작동 조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디스크(62)가 하강하고, 상기 환기 장치(10)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가 상기 욕실(H)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 장치(10)의 운전 모드에 따라서, 상기 욕실(H)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는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된 공기,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 및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 저온 건조한 공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욕실(H)로 공급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 저온 건조한 공기이다. In addition, when an occupant is detected by the
또한, 상기 환기 장치(10) 내부에 설치된 히터(50)가 작동하면, 소정 온도로 가열된 따뜻한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 덕트(91)를 통하여 상기 욕실(H)로 공급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멀티 댐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멀티 댐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9는 상기 멀티 댐퍼 모듈을 구성하는 댐퍼 유닛의 사시도이다.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amper module constituting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damper module, and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amper unit constituting the multi-damper module.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1)을 구성하는 멀티 댐퍼 모듈(70)은, 댐퍼 하우징(71)과, 상기 댐퍼 하우징(71)의 내부에 장착되는 댐퍼 유닛(76)과, 상기 댐퍼 하우징(71)의 외측에 놓여서 상기 댐퍼 유닛(76)을 회전시키는 댐퍼 모터(74)와, 상기 댐퍼모터(74)를 덮어서 상기 댐퍼 하우징(71)에 결합되는 모터 케이스(75)를 포함한다.17 to 19, the
상세히, 상기 댐퍼 하우징(71)은 로어 하우징(72)과 어퍼 하우징(73)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하우징(72)과 어퍼 하우징(73)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댐퍼 하우징(71)은, 상기 댐퍼 유닛(76)을 수용하는 댐퍼 수용부(711)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연결 포트(712)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다른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연결 포트(713), 및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더 다른 측면에 형성되는 제 3 연결 포트(71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횡단면은 원형을 이루고, 종단면은 타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연결 포트(713)와 상기 제 3 연결 포트(71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 포트(712)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상기 제 2 연결 포트(713)와 제 3 연결 포트(714)의 중심을 지나는 선은 직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 포트(712)와 제 2 연결 포트(713)가 이루는 각 및 제 1 연결 포트(712)와 제 3 연결 포트(714)가 이루는 각은 90도일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포트(712)에는 상기 환풍 덕트(93)의 출구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 포트(713)에는 상기 공동 배기 덕트(94)의 입구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 3 연결 포트(714)에는 상기 배기 덕트(92)의 출구단이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end of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환풍기(80)가 작동하면, 상기 환풍 덕트(93)를 통하여 욕실(H) 내부의 습공기가 상기 댐퍼 수용부(7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수용부(711) 내부로 유입된 습공기는, 상기 댐퍼 유닛(76)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공동 배기 덕트(94) 및 배기 덕트(92) 중 어느 한 쪽으로 흐르거나 양 쪽으로 나뉘어 흐른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한편, 상기 댐퍼 수용부(711)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댐퍼 유닛(76)은, 상기 댐퍼 모터(74)의 모터축(741)에 연결되는 회전축(761)과, 상기 회전축(761)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단(763) 및 제 2 연장단(764)과, 상기 제 1 연장단(76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댐퍼(765)와, 상기 제 2 연장단(764)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댐퍼(766)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상기 모터축(741)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761)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모터축홈(762)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연장단(763)과 상기 제 2 연장단(764)이 이루는 각은 90도일 수 있다. The angle formed by the
상기 제 1 및 제 2 댐퍼(765,766) 각각은,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면을 형성하고, 상기 라운드지는 면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 포트(712~ 714))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한다. Each of the first and
상기 제 1 및 제 2 댐퍼(765,766)의 라운드지는 면의 곡률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내주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설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댐퍼(765,766)의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면 전체가 항상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765,766)가 상기 연결 포트(712 ~ 714)의 개구부를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다. The curvature of the rounded surface of the first and
상기 회전축(761)의 상단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내부 상면에 닿고, 상기 회전축(761)의 하단은 상기 댐퍼 수용부(711)의 내부 하면에 닿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도 20은 댐퍼 유닛의 회전량에 따라 연결 포트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는 멀티 댐퍼의 횡단면도이다.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damper show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onnection port depending 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damper unit.
도 20의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본 상태(default state)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댐퍼(765,766)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포트(712,713)를 각각 차폐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환풍기(80)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욕실 내부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92)로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환기 장치(10)가 작동하지 않거나, 급속 냉방 모드만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환기 장치(10)의 배기팬 모듈(20)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20, in the default state, the first and
도 20의 (b)는, 상기 댐퍼 유닛(76)이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각도(θ1) 만큼 회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제 1 각도(θ1)는 90도이다. Figure 20(b) shows the
상기 댐퍼 유닛(76)이 기본 상태에서 90도 회전하면, 상기 제 1 연결 포트(712)와 제 3 연결 포트(714)가 개방되고, 제 2 연결 포트(713)는 폐쇄된다. W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환풍기(80)가 작동하면, 욕실에서 배출되는 습공기는 전부 상기 배기 덕트(92)로 안내되어, 상기 환기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10)의 운전 모드에 따라서, 상기 환기 장치(10)로 유입된 욕실 공기는 전열 소자(40)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거나,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또는, 상기 환기 장치(10)가 급속 냉방 모드로 운전 중이면, 상기 배기 덕트(92)로 안내된 습공기는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한 뒤에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When the
도 20의 (c)는, 상기 댐퍼 유닛(76)이 기본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제 2 각도(θ2)만큼 회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제 2 각도(θ2)는 135도이다. Figure 20(c) shows the
상기 댐퍼 유닛(76)이 기본 상태에서 135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연결 포트(712 ~ 714)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상기 환풍 덕트(93)를 통하여 배출되는 욕실(H)의 습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92)와 상기 공동 배기 덕트(94)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상기 배기 덕트(92)로 흐르는 습공기는 도면 (b)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내로 재공급된다.When the
상기 공동 배기 덕트(94)로 흐르는 습공기는 상기 공동 배기관(95)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Humid air flowing into the common exhaust duct 94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도 20의 (d)는 상기 댐퍼 유닛(76)이 기본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 3 각도(θ3)만큼 회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제 3 각도(θ)는 180도이다.Figure 20(d) shows the
상기 댐퍼 유닛(76)이 기본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면, 상기 제 1 연결 포트(712) 및 제 2 연결 포트(713)가 개방되고, 상기 제 3 연결 포트(714)는 폐쇄된다. 그 결과, 상기 환풍 덕트(93)를 통하여 배출되는 욕실의 습공기는 상기 공동 배기 덕트(94)를 따라 상기 공동 배기관(95)으로 안내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When the
상기 댐퍼 유닛(76)의 위치는, 상기 센서 유닛(63)에 의하여 재실자가 감지되는지 여부와, 상기 환기 장치(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상기 배기 덕트(92)와 공동 배기 덕트(94) 중 어느 일측으로 또는 양 측으로 나뉘어 흐르도록 제어된다. 그 결과, 욕실 내부 공기의 제습, 냉방, 및 난방 기능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Claims (11)
상기 외기 토출구에서 연장되는 급기 덕트;
상기 내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 내부로 안내하는 배기 덕트;
상기 급기 덕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욕실의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급기 덕트를 따라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욕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디퓨저; 및
상기 디퓨저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욕실 내부에 있는 재실자를 감지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A ventilation device in which an external air inlet and an internal air outlet are formed on one side, an external air outlet and an internal air inlet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therein;
an air supply duct extending from the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vent inlet and guiding air inside the bathroom into the ventilation device;
a diffuser connected to an end of the air supply duct and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to allow air supplied along the air supply duct to be supplied into the bathroom; and
A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diffuser to detect occupants inside the bathroom.
상기 센서 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A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provided to be lifted up and down.
상기 디퓨저는,
상기 욕실의 천장을 관통하는 디퓨저 케이스;
상기 디퓨저 케이스의 하단에 정의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디퓨저 디스크; 및
상기 디퓨저 디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디퓨저 디스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diffuser,
A diffuser case penetrating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 diffuser disk that opens and closes an outlet defined at the bottom of the diffuser case; and
It includes an elevating module that moves the diffuser dis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mounted on the diffuser disk.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 디스크의 상면에 결합되는 무빙 케이스;
상기 무빙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모터 서포터;
상기 무빙 케이스의 상단을 덮는 승강 커버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diffuser,
A moving cas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ffuser disk;
a motor supporter mounted on the top of the moving case;
A ventil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cover covering the top of the moving case.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무빙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 서포터에 고정되는 승강 모터;
상기 승강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며, 상기 승강 커버와 상기 모터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승강 커버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승강 스크류;
상기 승강 스크류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승강 너트;
상기 승강 너트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디퓨저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암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4,
The lifting module is,
a lifting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moving case and fixed to the motor supporter;
a rotating plate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lifting motor and interposed between the lifting cover and the motor supporter;
a lifting screw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through the lifting cover;
A lifting nut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screw;
A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fixing arm that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nut and is fixed to the diffuser case.
상기 승강 모듈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승강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5,
The lifting module is,
A ventil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lifting cover.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재실자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상기 인체 감지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 디스크에는 상기 센서 케이스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sensor unit i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occupant,
Includes a sensor case accommodating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ensor mounting hole on which the sensor case is mounted is formed in the diffuser disk.
상기 디퓨저 케이스는,
일단이 상기 급기 덕트에 연결되는 하강부와,
상기 하강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디퓨저의 토출구는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diffuser case i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It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diffusion portion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tom,
A ventilation system,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diffuser increases downward due to the shape of the diffusion portion.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전열 소자를 수용하는 메인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와 상기 내기 배출구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기 유입구와 상기 외기 토출구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ventilation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main case accommodating the heating element,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inside air outle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case,
A ventilation system, wherein the internal air inlet and the external air outlet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내기 유입구와 상기 내기 배출구를 연결하되, 상기 전열 소자를 우회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9,
A bypass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main case,
The bypass flow path connects the inlet and outlet of the inlet, and extends to bypass the heating element.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외기 토출구에 장착되는 흡입팬 모듈;
상기 내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배기팬 모듈; 및
상기 전열 소자와 상기 외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0,
The ventilation device is,
a suction fan module mounted on the outdoor air outlet;
An exhaust fan module mounted on the exhaust outlet; and
A ventil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evaporator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 and the outdoor air out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8452A KR20240084051A (en) | 2022-12-06 | 2022-12-06 | Venti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68452A KR20240084051A (en) | 2022-12-06 | 2022-12-06 | Ventil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84051A true KR20240084051A (en) | 2024-06-13 |
Family
ID=9148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68452A KR20240084051A (en) | 2022-12-06 | 2022-12-06 | Venti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84051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6354A (en) | 2020-12-31 | 2022-07-07 | 허진영 | Apparatus for ventilating air of bathroom |
-
2022
- 2022-12-06 KR KR1020220168452A patent/KR20240084051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6354A (en) | 2020-12-31 | 2022-07-07 | 허진영 | Apparatus for ventilating air of bathroo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199511A1 (en) | Ventilating system | |
WO2012037890A1 (en) | Rangehood or air-conditioning rangehood | |
DK168547B1 (en) | Fluid heat exchanger for air-conditioning | |
WO2014009688A2 (en) | A passive ventilation and/or humidity control unit | |
KR20080080830A (en) |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 ventilating system for bottom standing type | |
CN108006837B (en) | Cabinet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JPH0634153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CN108006834B (en) | Cabinet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CN108087985B (en) | Cabinet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KR20240084051A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240084603A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2506254B1 (en) | Dehumidifier With Air Cleaning and Ventilating Function | |
CN106949586B (en) | Anhydrous humid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KR20210035684A (en) | Small-Type Air Conditioner Mounted in Bathroom | |
KR20020018341A (en) | An air conditioner | |
KR102691442B1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070107403A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KR102091061B1 (en) | ventilator comprising plural rotary heat exchangers | |
JPH06109302A (en) |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fan | |
KR20180070373A (en) | Ventilation device for interior having air purification and humidification function | |
KR20240010935A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240060011A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240010936A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240011292A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20070051220A (en) |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