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84523A -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523A
KR20240084523A KR1020240069478A KR20240069478A KR20240084523A KR 20240084523 A KR20240084523 A KR 20240084523A KR 1020240069478 A KR1020240069478 A KR 1020240069478A KR 20240069478 A KR20240069478 A KR 20240069478A KR 20240084523 A KR20240084523 A KR 2024008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uid
filter assembly
strain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6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24006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523A/ko
Publication of KR2024008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필터 조립체 및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트레이너{Strainer}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화학 플랜트 등의 각종 설비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 도중에는 유체 중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가 설치된다. 스트레이너에는 유체를 여과하고 이물을 포착하기 위한 필터 구조체가 이용되나,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의 이물의 포착량이 증가하면 유체의 유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필터를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스트레이너의 사용시, 주기적으로 마모되거나 손상된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을 교체하거나 여과망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예컨대, 여과망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너와 배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스트레이너를 배관으로부터 제거한 후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을 분리하는데, 너트 또는 볼트에 의해 배관과 스트레이너가 결합되어 별도의 연장없이는 여과망의 교체가 어렵고, 교체과정과 재조립과정이 번거로운 측면이 있다.
또한, 분리와 재조립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유격이 발생하여, 여과망의 장착 및 이탈시 마찰에 의해 손상되어 손상된 부위로부터 부식이 발생하기도 하고, 유격으로 인한 유체 유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체 압력 및 유량 손실없이, 여과망의 여과효율을 높이면서, 여과망의 분리 또는 교체 없이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배관 내에 설치되어,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필터 조립체 및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여과망 및 상기 제1 여과망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여과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제1 여과망과 메쉬 크기와 상기 제2 여과망의 메쉬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 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중앙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되, 나선형을 가지는 날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필터 조립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조립체의 단부와 연결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의 유체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압력 센서가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되,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트레이너는 장기간 사용 중에도 스트레이너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되지 않고, 유체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트레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트레이너의 필터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10)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트레이너(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트레이너(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10)는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 라인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배관 라인은 유체의 종류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이너(10)는 오일이나 물, 가스 및 스팀(steam)과 같은 유체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각종 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10)는 하우징(100), 필터 조립체(200), 그리고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블레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0)는 유체가 이동하는 제1 배관(P1) 및 제2 배관(P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이너(10)는 제1 배관(P1)에서 제2 배관(P2)을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 배관(P1)에서 제2 배관(P2)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세히, 유체는 제1 배관(P1)에서 제2 배관(P2)으로 이동하며, 스트레이너(10)는 제1 배관(P1)에서 제2 배관(P2)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스트레이너(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단(110)과,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입구단(110)과 출구단(120)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우징(100)이 3개의 개구를 가지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되는 배관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입구단(110)에 제1 배관(P1)이 연결되고, 출구단(120)에 제2 배관(P2)이 연결되며, 삽입단(130)에 필터 조립체(200)가 설치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입구단(110)은 제1 배관(P1)과 연결될 수 있다. 입구단(110)은 제1 개구(111), 제1 플랜지(112), 제1 플랜지 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11)는 제1 배관(P1)과 이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개구(111)는 제1 배관(P1)과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제1 배관(P1)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12)는 제1 개구(1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배관(P1)과 고정되기 위한 제1 플랜지 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출구단(120)은 제2 배관(P2)과 연결될 수 있다. 출구단(120)은 제2 개구(121), 제2 플랜지(122), 제2 플랜지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121)는 제2 배관(P2)과 이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개구(121)는 제2 배관(P2)과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제2 배관(P2)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22)는 제2 개구(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2 배관(P2)과 고정되기 위한 제2 플랜지 홀(123)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단(130)은 필터 조립체(200)가 장착되며, 입구단(110)과 출구단(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단(130)은 제3 개구(131), 제3 플랜지(132) 및 개폐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131)는 필터 조립체(200)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개구로 형성되며, 제3 플랜지(132)는 제3 개구(13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33)는 삽입단(130)의 제3 개구(131)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33)는 제3 플랜지(132)와 접촉가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 내부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간단하게 개폐부재(133)를 삽입단(130)에서 분리하여 오염물 또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개폐부재(133)는 삽입단(130)의 외측을 커버하여, 삽입단(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조립체(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재(133)는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단(13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부재(133)는 삽입단(130)과 나사 결합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2와 같이, 개폐부재(133)의 외주면과 삽입단(130)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개폐부재(133)는 삽입단(130)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폐부재(133)는 볼트, 너트, 나사, 못, 리벳 등과 같이 고정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삽입단(1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트레이너(10)의 필터 조립체(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200)는 삽입단(13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는 필터 부재(210), 제1 커넥터(221), 제2 커넥터(222)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물질이 출구단(120)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원기둥 형태의 여과망을 가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부재(210)는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고, 스크류 블레이드(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필터 부재(2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이동하고, 이물질은 필터 부재(210)의 내부 공간에 트랩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메쉬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메쉬에 걸러지고 필터링된 유체는 출구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코팅처리된 철 등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망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는 단층의 여과망을 가지거나, 2개 이상의 여과망을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필터 부재(210)는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을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여과망(211)은 스크류 블레이드(3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여과망(212)은 제1 여과망(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은 이중으로 배치되므로, 불순물이 필터 조립체(2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여과망(211)은 필터 부재(21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체는 제1 여과망(211)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므로, 이물질이 제1 여과망(211)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 여과망(211)의 내부 공간에 잔류될 수 있다.
제2 여과망(212)은 필터 부재(210)의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여과망(212)에에 의해서, 제1 여과망(211)에 1차적으로 필터링된 유체가 2차 필터링 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가 필터 조립체(2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200)는 메쉬 크기가 다른 필터 부재(210)를 가질 수 있다.
제1 여과망(211A)과 제2 여과망(212A)은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여과망(211A)은 제2 여과망(212A)보다 메쉬 크기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여과망(211)은 상대적으로 굵기가 작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여과망(212)은 상대적으로 굵기가 큰 와이어를 이용하여 큰 크기의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여과망(211)은 메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필터 조립체(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여과망(212)은 굵기가 큰 와이어를 이용하므로, 필터 부재(210)가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속이 빠른 유체가 필터 조립체(200)로 유입되더라도, 제2 여과망(212)의 강성에 의해서 필터 부재(210)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22)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와 연결되어, 스크류 블레이드(300)가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가 판상 형상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회전축이 일정한 위치를 가질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판상 형상의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커넥터(221)는 필터 조립체(200)의 일단에 배치되며, 제2 커넥터(222)는 필터 조립체(2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는 필터 부재(2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커넥터(222)는 필터 부재(2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22)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21) 및 제2 커넥터(222)에 구비되는 관통홀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스트레이너(10)의 용량이나 한계 유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커넥터(221)는 제1 베이스(221a), 제1a 관통홀(221b), 제1b 관통홀(2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221a)는 필터 부재(21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제1a 관통홀(221b)은 제1 베이스(221a)에 중앙에 배치되며,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1b 관통홀(221c)은 제1a 관통홀(221b)의 주위로 배치되며, 유체가 필터 부재(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커넥터(222)는 제2 베이스(222a), 제2a 관통홀(222b), 제2b 관통홀(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222a)는 필터 부재(210)의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제2a 관통홀(222b)은 제2 베이스(222a)에 중앙에 배치되며,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b 관통홀(222c)은 제2a 관통홀(222b)의 주위로 배치되며, 유체가 필터 부재(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는 제3 개구(131)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는 제3 개구(13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d1)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는 제1 커넥터(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221)와 필터 부재(210)는 하우징(100)의 내벽에서 돌출된 격벽(114)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샤프트(310) 및 샤프트(3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날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필터 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필터 조립체(2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샤프트(310)는 일단이 제1 커넥터(221)의 제1a 관통홀(221b)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 커넥터(222)의 중앙의 제2a 관통홀(222b)에 삽입될 수 있다.
날개(320)는 샤프트(310)의 외측에 배치되되,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날개(320)는 유동하는 유체에 선회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기 설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날개(320)가 샤프트(3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날개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날개는 샤프트의 일부 구간에만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310)의 일단은 제1 커넥터(221)의 제1a 관통홀(221b)에 삽입되며, 타단은 제2 커넥터(222)의 제2a 관통홀(222b)에 삽입되며, 샤프트(310)는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에 회전 가능하다.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제1 커넥터(221)와 제2 커넥터(2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가 필터 조립체(200)로 유입되면, 유체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가 스트레이너(10)로 유입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유체는 제1 배관(P1)에서 하우징(100)의 입구단(110)으로 이동한다. 유체는 입구단(110)에서 필터 조립체(200)의 이동하는 제1 흐름(F1)을 가질 수 있다. 제1 흐름(F1)을 따라 이동한 유체는 필터 부재(2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며,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날개(3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날개(3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력을 가질 수 있다. 날개(320)는 나선형을 가지므로, 날개(3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는 제1 흐름(F1)에서 선회력을 가지는 제2 흐름(F2)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유체에 이동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유체가 날개(3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날개(320)의 표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유체의 에너지가 날개(320)로 전달되며, 날개(320)는 샤프트(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필터 조립체(200)로 유체는 제1 흐름(F1)에서 선회력을 가지는 제2 흐름(F2)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날개(320)를 가력하여 에너지가 전달되고, 스크류 블레이드(300)는 전달받은 에너지를 구동원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회전은 제2 흐름(F2)의 선회력을 더 증폭할 수 있다.
유체는 제2 흐름(F2)을 가지어 필터 부재(21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필터 부재(210)에 필터링되어, 출구단(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강한 선회력을 가지는 유체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필터 부재(210)의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제4 흐름(F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유체의 제2 흐름(F2)에 의해서, 필터 부재(210)는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을 수 있다. 유체는 필터 조립체(200) 내부에서 강한 선회력을 가지므로, 필터 부재(21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상세히, 선회하는 제2 흐름(F2)에 의해서 유체는 제1 여과망(211)의 내주면에 이물질이 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흐름(F1)으로 유입된 유체는 날개(320)와 필터 부재(210) 사이의 틈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날개(320)와 필터 부재(21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제3 흐름(F3)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흐름(F3)은 제2 흐름(F2)과 병합되므로, 제3 흐름(F3)은 선회력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320)와 필터 부재(210)의 사이 공간이 좁으므로, 제3 흐름(F3)은 유속 및 유압이 증가할 수 있다. 고속 및 고압의 유체는 필터 부재(210)의 내주면과 부딪칠 수 있다.
필터 부재(210)를 통과한 유체는 제4 흐름(F4)을 가지어 출구단(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에 의해서 선회력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유체는 상기 선회력에 의해서 신속하게 필터 조립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여과망을 가지는 필터 부재(210)는 여과망 사이에 이물질이 퇴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10)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생성되고,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회전에 의해서 강화되는 선회력에 의해서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320)와 제1 여과망(211) 사이로 고압 및 고속의 유체가 이동하므로, 유체가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10)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선회력을 가지므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체는 필터 조립체(20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10)는 장기간 스트레이너(10)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로 유입된 유체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날개(3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회력을 가지게되며,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회전에 의해서 선회력이 증폭될 수 있다. 강한 선회력을 가지는 유체는 제1 여과망(2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조립체(200)로 유입된 유체는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날개(320)와 제1 여과망(211) 사이의 틈으로 이동하고, 고압 및 고속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선회력을 가지는 유체와 혼합되어 강한 선회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1 여과망(2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 조립체(200)에 여과되는 침전물은 한 곳에 침적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동하여 필터 부재(210)의 메쉬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221)를 통과한 고체성 이물질은 제1 여과망(211)과 제2 여과망(212)을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 조립체(200) 내부에서 스크류 블레이드(300)의 유동에 따라 부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부피가 큰 고체형 이물질은 필터 조립체(200) 내부에서 날개(320)의 이동 궤적을 따라 잔류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제1 여과망(211)을 통과한 이물질은 제2 여과망(212)을 통하여 여과되며, 오염물이 제2 배관(P2)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필터 조립체(200)만 별도로 분리하여 필터 부재(210)를 세척하거나 세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10A)는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10)와 비교하면, 스트레이너(10A)는 삽입단(130)에 설치되는 압력 조절 수단이 더 구비된 바,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트레이너(10A)는 체크밸브(141), 압력 센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0A)는 삽입단(130)에 배치되며, 삽입단(130)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체크밸브(1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10A)는 삽입단(130)에 배치되며, 삽입단(130) 내부의 압력을 확인는 압력 센서(142)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2)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개폐부재(133)를 개방시켜서,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0A)는 필터 조립체(200)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세히, 스트레이너(10)는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체크밸브(141)에 의하여 내부 이물질을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141)가 동작하는 기준은 압력 센서(142)가 감지하는 정보일 수 있다. 체크밸브(141)는 압력 센서(142)가 감지하는 정보에 따라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체크밸브(141)는 압력 센서(142)가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개방되되, 필터 조립체(200)의 내부 유체를 하우징(100A)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예로, 스트레이너(10A)에 구비되는 밸브 요소로 릴리프 밸브 유닛(Relief Valve unit)이 구비될 수 있다. 릴리프 밸브 유닛(미도시)은 필터 조립체(200)의 입구 쪽의 압력이 상승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이 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개폐부재(133)가 열리고 압력이 일정한 값으로 낮아지면서 다시 개폐부재(133)가 닫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릴리프 밸브 유닛(미도시)은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예컨대 밸브 스프링을 구비하여,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부재(133)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예로, 스트레이너(10A)에는 릴리프 밸브 유닛(미도시)과 체크밸브(141)는 일체형 또는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릴리프 밸브 유닛은 체크밸브(141)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체의 역류 방지 및 배관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전 밸브로서 비상시 이외에는 열리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예로, 스트레이너(10A)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배관 유로의 개폐 또는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수동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관 내의 압력 수치를 확인하여 수시로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일정 주기가 경과된 이후에 개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 스트레이너(10A)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압력 센서(142)의 압력 변화 및 체크밸브(141)의 개도량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 저장소(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이너(10A)는 장기간 높은 사용 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유지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너(10A)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배관 내부에 이동하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배관 내에 부유하지 않도록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10A)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내에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 스트레이너
100 : 하우징
110 : 입구단
120 : 출구단
130 : 삽입단
200 : 필터 조립체
300 : 스크류 블레이드

Claims (3)

  1.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단과, 상기 입구단과 나란하며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단과,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삽입단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 사이의 상기 삽입단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필터 조립체;
    상기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블레이드; 및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삽입단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배치되되, 나선형을 가지는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a 관통홀과, 상기 제1a 관통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b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a 관통홀과, 상기 제2a 관통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b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여과망; 및
    상기 제1 여과망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여과망;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는
    상기 제1 여과망의 메쉬 크기와 상기 제2 여과망의 메쉬 크기가 다른, 스트레이너.
KR1020240069478A 2022-07-20 2024-05-28 스트레이너 KR20240084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69478A KR20240084523A (ko) 2022-07-20 2024-05-28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632A KR20240012116A (ko) 2022-07-20 2022-07-20 스트레이너
KR1020240069478A KR20240084523A (ko) 2022-07-20 2024-05-28 스트레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632A Division KR20240012116A (ko) 2022-07-20 2022-07-20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523A true KR20240084523A (ko) 2024-06-13

Family

ID=897169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632A KR20240012116A (ko) 2022-07-20 2022-07-20 스트레이너
KR1020240069478A KR20240084523A (ko) 2022-07-20 2024-05-28 스트레이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632A KR20240012116A (ko) 2022-07-20 2022-07-20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1211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116A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891A (en) Self-cleaning strainer
US9631641B2 (en) Pump system and its controlling method for cleaning strainer
US20040074827A1 (en) Filter device
US11083985B2 (en) Vapor relief strainer with cleaner
KR20050004769A (ko) 유동액체로부터 입자 및 유기체의 분리 및 여과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2340341B1 (ko) 무동력 세척 기능을 구비하는 스트레이너
JP2010523329A (ja) 逆洗可能なストレーナ装置
KR102248549B1 (ko)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CN213479204U (zh) 具有实时检测的过滤防堵阀门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KR20240084523A (ko) 스트레이너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AU2011100695A4 (en) Self Cleaning Strainer
RU2337745C2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CN210302656U (zh) 多联过滤装置
KR20190109149A (ko) 유체 여과장치
WO2021167469A1 (en) Filter systems and methods
RU2377045C1 (ru) Фильтр-грязевик инерционный щелевой
ZA200610872B (en) Ball trap with safety-release gate
CN2925583Y (zh) 旋风式自清扫过滤器
EP3852898B1 (en) A filter
KR102721054B1 (ko) 압력식 여과 역세 필터장치
KR102633774B1 (ko) 이물질 청소형 스트레이너
CA2992479A1 (en) Vapor relief strainer with cleaner
CN114470926A (zh) 一种可在线排污的y型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