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81637A -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 Google Patents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1637A
KR20240081637A KR1020220164560A KR20220164560A KR20240081637A KR 20240081637 A KR20240081637 A KR 20240081637A KR 1020220164560 A KR1020220164560 A KR 1020220164560A KR 20220164560 A KR20220164560 A KR 20220164560A KR 20240081637 A KR20240081637 A KR 2024008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policy information
policy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태균
Original Assignee
홍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태균 filed Critical 홍태균
Priority to KR102022016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1637A/en
Publication of KR2024008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163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는 단계;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접속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are disclosed.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performed in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policy informa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key keywords by analyzing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Blocking each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main keywords;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main keywords and entering search terms to connected users; And a step of searching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earch word among the block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Description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본 발명은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formation provi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최근 각 부처, 지역, 기관마다 예산과 정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지역별 미디어가 쇠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결혼, 육아, 교육, 취/창업, 임대주택, 대출 등의 정책 홍보처 또한 축소되고 있다.Recently, budgets and policies have been increasing for each ministry, region, and agency, but not only are regional media in decline, but policy promotion agencies for marriage, child care, education, employment/start-up, rental housing, and loans are also shrinking.

한편, 정보기술의 혁신에 따라 각국의 정부 및 공공 기관들에서도 정책, 시책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디지털화하고, 중앙/지방 자치단체와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혹은 공공데이터 포털 등에서 웹페이지나, API, 문서파일 등을 통해 정책 정보를 사용자(국민, 기관이나 조직 구성원, 전문가 등)에게 공개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innov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n each country are digitizing a lot of information on policies and measures, and web pages and APIs are available on websites or public data portals operated by central/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 Policy information is disclosed to users (citizens, members of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experts, etc.) through document files, etc.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문서를 얻고자 할 때 관련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문서를 열람하거나 다양한 검색 엔진을 통해 문서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 정보가 각 부처, 지역, 기관별로 나누어져 공개되어 있어 새로운 정책에 대해 모르는 사용자가 다수이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또한 불편함이 많은 실정이다.When users want to obtain a document they want, they can access the document by accessing a related website or access the document through various search engines. However, since policy information is divided and made public by each ministry, region, and agency, many users do not know about the new policy, and users also face many inconveniences in searching for the information they want.

또한, 어떠한 정책들이 존재하는지를 모르는 경우 검색을 위한 적정한 검색어를 선택하는데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양질의 검색을 위해서는 검색어의 선택이 중요한데,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에는 단순히 많이 사용된 검색어와 같은 인기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인기 검색어와는 별개로 각 정책들과 관계된 실제 핵심이 되는 검색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Additionally, if you do not know what policies exist, you will have difficulty selecting appropriate search terms for your search. Selection of search words is important for quality search, and it is desirable to provide guidelines, but in the past, it simply recommended popular search words such as frequently used search words. There is a need to provide user convenience that allows users to select the actual key search terms related to each policy, independent of popular search ter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8757 공공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 및 분류하여 사용자 맞춤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398757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s that collect and classify public big data information and provide 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지자체 등에서 진행하는 각종 정책정보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책을 보다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collects various policy information carried out by each local government, etc. to enable an integrated search, and provides search convenience so that users can more easily search for desired polic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향, 위치 등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that provides user-tailored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clination, location, etc.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접속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performed in a server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policy informa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by analyzing the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Blocking each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the main keyword and entering a search word to the connected user;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is provided, which includes the step of searching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search term among blocked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key keyword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and providing the policy information to the user. .

여기서,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들과 각 정책에 달린 댓글을 활용하여 상기 주요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main keywords can be created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recipients of supply, size of funds, and application period, but using search term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comments on each policy.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 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mber of main keywords to be provid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can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user's access method.

또한,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주요 키워드들 간의 조합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를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a plurality of the main keywords can be selected, and the main keywords can be arranged and displayed using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as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words.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키워드들, 입력된 검색어 및 입력정보의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성향을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사용자 성향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우선하여 검색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preferences corresponding to the key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the entered search words, and the input pattern of the input information are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d using learning data, and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preferences is given priority. It can be provided as search results.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접속 위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접속위치에 상응하는 정책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를 상기 주요 키워드로서 우선하여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information on the user's access location can be acquired, and keywords commonly used in policies corresponding to the access location can be given priority as the main keyword and display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또한,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정책신청을 위한 기본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청 가능한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Additionally,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applic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connected user, and key keywords to be provid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can be selected based on policies that can be applied for using the bas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책 관련 정보에 따른 정책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생성부; 상기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는 정보관리부;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여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olicy-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keyword generator that analyzes the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blocks each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a user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 search interface screen where the connected user can display and select the main keywords and enter a search word;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that searches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search word among the blocked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es the policy information to the user. A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is provided. do.

여기서, 상기 키워드생성부는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들과 각 정책에 달린 댓글을 활용하여 상기 주요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keyword generation unit is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supply target, fund size, and application period, and generates the main keywords using search term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comments on each policy. can do.

또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주요 키워드들 간의 조합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를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unit,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allows selection of a plurality of the main keywords, and can display the main keywords by arranging them using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as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words.

또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키워드들, 입력된 검색어 및 입력정보의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는 인공지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성향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우선하여 검색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analyzes user tendencies corresponding to key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input search words, and input patterns of input information through learning using learning data,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rresponds to the user tendencies. Policy information can be given priority and provided as search result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지자체 등에서 진행하는 각종 정책정보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어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책의 검색 편의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olicy information carried out by each local government can be collected and searched comprehensively, and search terms can be selected more easily, providing convenience in searching for the policy desir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성향, 위치 등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책정보를 보다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clination, location, etc., convenienc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search for desired policy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책 정보의 검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a policy information service with search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service process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search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search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search process for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by analyzing user tendenc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threshold value and second threshold valu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e-designated as threshold value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or partially the same, but may cause confusion when expressed with the same word threshold. Since there is room,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will be used toge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maint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also be included in separate embodiments.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related reference numbers will be assigned to identical or related element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Figure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a policy information service with search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부(10), 저장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되, 제어부(30)는 그 기능에 따라 정보수집부, 키워드생성부, 정보관리부, 유저인터페이스부 및 정보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rvice device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 a storage unit 20, and a control unit 30. Depending on its function,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keyword creation department,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user interface depart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통신부(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수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 is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since the communication means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저장부(20)에는 수집된 정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한 정책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30)가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일례에 따르면 상술한 정책정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되어 별도의 장치에서 관리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0 stores policy information constructed using the collected policy-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 unit 30 to function is stored.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above-described policy information may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database and managed in a separate device.

제어부(30)의 정보수집부(31)는 크롤링(crawling)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정부 부처, 지자체, 복지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탐색하여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 of the control unit 30 collects policy-related information by searching websites operated by government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welfare organizations, etc. using crawling technology.

키워드생성부(32)는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한다. 일례에 따르면,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들과 각 정책에 달린 댓글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공급과 관련된 정책이 임계개수(예를 들어, 10개 등) 존재한다면 [신혼부부] 또는 [신혼부부 주택공급]이라는 키워드를 주요키워드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자면, 일주일 내로 신청 기간이 마감되는 정책들의 비율이 임계비율(예를 들어, 30%) 이상이라면 [신청마감임박]이라는 키워드를 주요키워드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The keyword generator 32 analyzes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According to one example, it is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recipients of supply, size of funds, and application period, but key keywords can be created by using search term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comments on each policy. . For example, if there is a critical number of policies related to housing supply for newlyweds (for example, 10, etc.), the keywords [newlyweds] or [housing supply for newlyweds] can be created as main keywords. To give another example, if the proportion of policies whose application period closes within a week is more than a critical ratio (for example, 30%), the keyword [application deadline imminent] can be created as the main keyword.

그리고 여기에 더해, 기존 사용자들의 검색 이력과 정책에 대한 댓글을 참조하여,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정책을 위주로 하여 주요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댓글을 참조할 때, 일례에 따르면 문장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긍정적 반응에 대한 댓글과 부정적 반응의 댓글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부정적 견해와 긍정적 견해가 동시에 있다는 것은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그곳에서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서 활용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referring to existing users' search history and comments on policies, key keywords can be created focusing on policies that people are interested in. When referring to comments, according to one example, sentence analysis technology can be used to use keywords commonly used in comments for positive responses and comments for negative responses as main keywords. Having negative and positive views at the same time can mean that people are highly interested, so keywords commonly used there are used as main keywords.

즉, 수시로 변하는 정책들에 대해 현재 수집된 정책들의 상황을 분석하여 적합한 주요 키워드를 생성함으로써, 검색 시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it analyzes the status of currently collected policies for frequently changing policies and generates appropriate key keywords so that they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during searches.

정보관리부(33)는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신혼부부]라는 주요 키워드를 생성했다면, 신혼부부와 관련된 정책들을 탐색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처리함으로써, 차후 검색어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할 때 블록단위로 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 manages each policy information in blocks corresponding to major keywords. For example, if you create a main keyword called [newlywed couple], you can search for policies related to newlyweds and process them as one block, so that when providing a search service based on search terms in the future, search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block units.

유저인터페이스부(34)는 접속된 사용자에게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웹(web)을 이용한 웹페이지(webpage) 또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뷰페이지(viewpage)로서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여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도 3 내지 도 4 참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34 is intended to provide a search interface for searching to connected users, for example, a webpage using the web or a viewpage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 the search interface screen can be provided. As a search interface screen, a search interface screen is provided where major keywords can be displayed and selected and search words can be entered (see FIGS. 3 and 4). The search interface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정보제공부(35)는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5 searches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search word among the block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이하,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과정과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process and search interface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service process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for entering search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earch interface screen.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는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정보를 구축한다(S210). 예를 들어, 다양한 경로로 수집된 각 정책 관련 정보에 대해, 텍스트 분석, 이미지 분석 등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하고, 중복되는 정책의 경우 하나의 정책정보로서 병합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정책이라 판단되는데 일부 내용이 서로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책을 제공하는 기관에서 발주한 정책 관련 정보를 탐색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복되는 정보를 최소화하고, 부정확한 정보를 배제하는 등의 정보 가공 절차를 진행하여 정책정보를 구축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ervice device collects policy-related information and constructs policy information (S210). For example, for each policy-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contents can be confirmed through text analysis, image analysis, etc., and in case of overlapping policies, they can be merged and processed as one policy information. In addition, if it is judged to be the same policy, but some of the contents are different, you can proceed with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accurate information by search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ordered by the organization providing the policy. In this way, policy information is constructed by carrying out information processing procedures such as minimizing redundant information and excluding inaccurate information.

구축된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한다(S220).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여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 이력과 각 정책에 달린 사용자 의견(댓글 등)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established policy inform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a plurality of key keywords are generated (S220). As mentioned above, major keywords are created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recipients of supply, amount of funds, and application period, but the history of search word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user opinions (comments, etc.) on each policy are used. ) can be used to create main keywords.

생성된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도록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여 관리한다(S230).Each policy information is managed in blocks to correspond to the generated main keywords (S230).

이렇게 구축 및 블록화된 정책정보를 기반으로,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240).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constructed and blocked in this way, a search interface screen is provided where key keywords are selected and search words are entered through the connected user terminal (S24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요 키워드(30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마우스포인트(310, 사용자 단말이 PC인 경우) 등을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키워드 선택 없이도 입력할 수 있는 통합검색창을 표시하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되는 서브검색창(400)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main keyword 300 is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the main keyword using the mouse pointer (310, if the user terminal is a PC), etc., and the user can enter a search term. do. According to one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n integrated search window is displayed that can be entered without selecting the main keyword, and also, as shown in FIG. 4, a search is performed using the sub-search window 400 that is displayed when the main keyword is selected.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를 모두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일부만을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접속 방식을 참조하여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 구글 등과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접속주소를 검색하여 접속한 경우와 직접 URL을 입력하여 접속한 경우 서로 다른 개수로 주요 키워드를 노출한다. 예를 들어, 직접 URL을 입력한 경우라면 접속 이력이 존재하거나 검색 경험이 많은 사용자라 유추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포털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비해 보다 많은 개수의 주요 키워드를 노출한다. 또한, 접속방식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종류(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인지 또는 PC인지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의 주요 키워드를 노출한다. Here, all of the generated main keywords can be displayed, but only some of them can be displayed on the search interface screen. For example, the number of main keywords to be provided as a search interface screen can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user's access method. For example, when accessing by searching the access address on a portal site such as Naver, Google, etc., and when accessing by entering the URL directly, the main keywords are exposed in different numbers. For example, if a URL is entered direct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user has a history of access or has extensive search experience, so in this case, a greater number of key keywords are exposed compared to users who accessed through a portal site. Additionally, as a connection method, different numbers of key keywords are exposed depending on the type of user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PC, etc.).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접속 위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접속위치에 상응하는 정책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서 우선하여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접속 IP주소를 이용하여 지역정보를 취득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취득된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정책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정책들과 연계된 주요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우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가 서울이면, 서울시 또는 주변 지역에서 진행하는 정책들을 검색하여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확인한다.According to one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acquired, and keywords commonly used in policies corresponding to the access location can be prioritized as main keywords and displayed as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example, local information can be acquired using the access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r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receiving GP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Policie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are searched, and if there are major keywords associated with the searched policies, these are given priority and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oul, search for policies implemented in Seoul or surrounding areas and check related key keywords.

다른 일례에 따르면,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정책신청을 위한 거주지, 연령, 성별, 관심사 등의 기본정보를 취득하고,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청 가능한 정책을 기반으로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를 선택한다. 신청 불가한 정책을 제공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으므로,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판단되는 정책들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를 우선하여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기본정보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basic information such as residence, age, gender, interests, etc. for policy application is acquired from the connected user, and key keywords to be provided as a search interface screen are selected based on applicable policies using the basic information. . Since it may be meaningless to provide policies that cannot be applied for, key keywords corresponding to policies that are judged to be applicable based on basic information are selected and displayed first. Basic information may be managed as membership information for the user.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주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 방식으로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And, according to one example, it is possible to select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as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can be selected by dragging with a mouse.

그리고, 주요 키워드들의 화면 배치 방식으로서, 일례에 따르면 단일 키워드로 검색되는 검색건수가 많은 주요 키워드를 우선하여 배치하되, 주요 키워드들 간의 조합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를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배치하여 표시한다. And, as a method of arranging the main keywords on the screen,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main keywords with the most searches for a single keyword are placed first, but the main keywords are arranged and displayed using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as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words. do.

예를 들어 [복지]와 [창업]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가 100개이고, [복지]와 [의료]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가 20개라면, 개수가 더 많은 [창업]을 [의료]에 비해 [복지]와 더 가까이 이웃하게 배치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 서로 함께 선택될 확률이 높은 주요 키워드들을 이웃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함께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for [Welfare] and [Startup] is 100, and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for [Welfare] and [Medical] is 20, then [Startup], which has the larger number, is searched for [Medical]. Compared to this, it is placed closer to [welfare]. According to these rules, key keywords that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selected together are placed next to each other,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select them together.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주요 키워드들이 표시되는 영역 근처에 검색창을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선택 후 곧바로 검색어를 쉽게 입력하도록 한다.And, as shown in the figure, a search box is created and displayed near the area where the selected main keywords are displayed, making it easy to enter the search term immediately after selec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입력(주요 키워드 선택 및 검색어 입력 등)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접속된 사용자단말로 제공한다(S250). 예를 들어, [복지]와 [창업]이 선택되고 [자금신청]이라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복지 및 창업과 관련된 정책들 중 자금신청과 관련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input (selection of main keywords, input of search words, etc.) entered using the search interface screen is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connected user terminal (S250). For example, when [welfare] and [startup] are selected and the search term [fund application] is entered, information related to fund application from policies related to welfare and start-up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책 정보의 검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search process for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by analyzing user tendenc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키워드들, 입력된 검색어 및 입력정보의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성향을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한다(S510).The user's tendencies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the entered search term, and the input pattern of the input information are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d using learning data (S510).

예를 들어, 인공지능은 배치된 주요 키워드들 중 선택하는 방식(예를 들어, 가장 먼저 표시되는 것을 선택하는 타입, 가장 밑에 것을 선택하는 타입, 하나만을 선택하는 타입, 복수개를 선택하는 타입 등), 입력된 검색어의 유형(단어의 개수, 단어의 유형, 어휘력 등을 분석)과, 검색어를 입력하는 타이핑 시간, 드래그 사용 또는 각각의 터치 등의 입력패턴 등에 따른 사용자 성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각 성향들이 주로 관심을 갖는 정책들이 무엇인지를 미리 학습함으로써, 사용자 성향을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artificial intelligence selects among the main keywords placed (e.g., a type that selects the one that appears first, a type that selects the bottom one, a type that selects just one type, a type that selects multiple keywords, etc.) , Analyze user tenden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search word entered (analyzing the number of words, type of word, vocabulary power, etc.), typing time for entering the search term, and input patterns such as use of drag or each touch. Additionally, user tendencies can be used by learning in advance what policies each tendency is primarily interested in.

따라서, 분석된 사용자 성향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우선하여 표시한다(S520, S530).Therefore,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user tendency is searched and displayed with priority (S520, S530).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정책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 성향을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용자 성향을 바로 적용하여 다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S540).The user preference can be modified by us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policy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earch results, and the modified user preference is immediately applied to provide the next search service (S54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provided to perform the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with search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또한, 상술한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decipher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de that can be rea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10 : 통신부
20 : 저장부
30 : 제어부
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0: storage unit
30: control unit

Claims (11)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는 단계;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접속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the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performed on the server device,
Collecting policy-related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policy informa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by analyzing the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Blocking each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Providing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selecting the main keyword and entering a search word to the connected user; and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compris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search term among blocked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key keyword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and providing the policy information to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들과 각 정책에 달린 댓글을 활용하여 상기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1,
It is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recipients of supply, size of funds, and application period, but has search convenience by generating the above-mentioned key keywords by utilizing search term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comments on each policy.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접속 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의 개수를 결정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1,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with search convenience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main keywords to be provid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by referring to the user's connection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주요 키워드들 간의 조합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를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1,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wherein a plurality of the main keywords can be select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and the main keywords are arranged and displayed using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as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words.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키워드들, 입력된 검색어 및 입력정보의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성향을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상기 사용자 성향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우선하여 검색결과로서 제공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4,
The user preferences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the entered search terms, and the input pattern of the input information are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ed using learning data, and the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preferences is given priority in order to obtain search results. A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접속 위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접속위치에 상응하는 정책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를 상기 주요 키워드로서 우선하여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표시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4,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with search convenience, wherein information on the user's access location is acquired, and keywords commonly used in policies corresponding to the access location are prioritized as the main keywords and displayed on the search interface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정책신청을 위한 기본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청 가능한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제공할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In claim 1,
A polic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with search convenience, which acquires basic information for policy application from a connected user and selects key keywords to be provided a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based on policies that can be applied for using the basic information.
정책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책 관련 정보에 따른 정책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정책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복수개의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생성부;
상기 주요 키워드에 상응하여 각 정책정보를 블록화하는 정보관리부;
접속된 사용자에게 상기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여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입력에 상응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된 블록화된 정책정보들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an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o collect policy-related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olicy-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keyword generator that analyzes the policy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main keywords;
a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blocks each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a user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 search interface screen where the connected user can display and select the main keywords and enter a search word; and
A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searches for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search term among blocked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key keywords corresponding to user input and provides the policy information to the us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생성부는 관련정책의 개수, 공급대상자, 자금규모, 신청기간을 포함하는 기준항목을 기반으로 하되, 기존 사용자들이 입력했던 검색어들과 각 정책에 달린 댓글을 활용하여 상기 주요 키워드를 생성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In claim 8,
The keyword generation unit is based on standard items including the number of related policies, recipients of supply, amount of funds, and application period, and generates the main keywords using search terms entered by existing users and comments on each policy. A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policy information with search convenien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화면으로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주요 키워드들 간의 조합으로 검색되는 정책의 개수를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배치하여 표시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In claim 8,
The user interface unit is the search interface screen, which allows selection of a plurality of the main keywords, and arranges and displays the main keywords using the number of policies searched as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words, a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
청구항 8에 있어서,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키워드들, 입력된 검색어 및 입력정보의 입력패턴에 상응하는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는 인공지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성향에 상응하는 정책정보를 우선하여 검색결과로서 제공하는, 검색 편의성을 갖는 정책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In claim 8,
It further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unit that analyzes user tendencies corresponding to key keywords selected by the user, input search terms, and input patterns of input information through learning using learning data,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provides polic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s a search result, and provides a policy information service device with search convenience.
KR1020220164560A 2022-11-30 2022-11-30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KR202400816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560A KR20240081637A (en) 2022-11-30 2022-11-30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560A KR20240081637A (en) 2022-11-30 2022-11-30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1637A true KR20240081637A (en) 2024-06-10

Family

ID=9148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560A KR20240081637A (en) 2022-11-30 2022-11-30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163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57B1 (en) 2021-08-18 2022-05-16 홍태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s to provide 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public big data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57B1 (en) 2021-08-18 2022-05-16 홍태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latform services to provide 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public big data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682B2 (en) Enhanced online user-interaction tracking and document rendition
US8005832B2 (en) Search document generation and use to provide recommendations
US11222310B2 (en) Automatic tagging for online job listings
US9165060B2 (en) Content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KR1020642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Social Network Service Content
US11281737B2 (en) Unbiasing search results
US11416907B2 (en) Unbiased search and user feedback analytics
Lewoniewski Measures for quality assessment of articles and infoboxes in multilingual Wikipedia
KR20180009408A (en) Placeness Extraction and Inference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Ontology
Haris et al. Mining graphs from travel blogs: a review in the context of tour planning
Kehl et 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futures studies
KR20200133976A (en) Contents C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10504145B2 (en) Automated classification of network-accessible content based on events
KR102111658B1 (en) Social marketing method for providing business support service
KR20240081637A (en) Poli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having search convenience
JP202009153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60056255A (en) Data convergence analyz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hending user's opinion-propensity in social media
CN113961811A (en) Conversational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vent map
KR2010001867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log portal
Lin et al. Realtime event summarization from tweets with inconsistency detection
Giannopoulos et al. Learning to classify spatiotextual entities in maps
Haris et al. Framework of blog data based multi-criteria weighted points of interest graph for trip planning
Bhalla Sentiment Analysis on Tweets
Regitz et al. UGC-Based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Pre and Post COVID-19: The Case of Lake Constance
Gkioka et al. Data analytics methods to measure service quality: A systematic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