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73948A -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3948A
KR20240073948A KR1020247014655A KR20247014655A KR20240073948A KR 20240073948 A KR20240073948 A KR 20240073948A KR 1020247014655 A KR1020247014655 A KR 1020247014655A KR 20247014655 A KR20247014655 A KR 20247014655A KR 20240073948 A KR20240073948 A KR 2024007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holding
vessel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84672B1 (ko
Inventor
고헤이 요코우치
나오토 와타나베
료스케 다지마
Original Assignee
테크매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매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크매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7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46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B25J15/0038Cylindrical gripp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하여 조리 공정 라인에 대해 조리 용기를 안정된 취급을 실현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 본체(C1)와,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출되어 용기 본체(C1)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가지는 조리 용기(C)의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사이에 끼워 넣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130)와, 조리 용기(C)를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를 구비하고,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부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음 가능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다.

Description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의 유지 자세를 변위시키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예를 들면, 음식점에서의 종업원 부족 등의 배경으로부터, 조리의 공정을 자동화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있고, 이 조리 공정의 일부를 자동화한 각종의 조리 장치나 이들 장치를 통합하여 자동화한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면 공급 장치, 데침기, 세척기, 가열 조리 장치, 조리 용기 대기부, 식재료 공급 장치, 및 디싱 장치 등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상호간에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하고, 이 파지한 조리 용기의 파지 자세를 변위 가능하게 조정하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조리 용기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래서, 이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는 조리 용기 유지 장치는, 조리 용기의 외주에 마련한 단면 L자형의 플랜지부의 일부를 파지하는 한쌍의 가동식의 파지 클로우와, 이 한쌍의 파지 클로우로 조리 용기를 파지 및 해방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조리 용기를 파지한 상태로 조리 용기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하는 위치·자세 조정부로 구성되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면 공급 장치, 데침기 등의 복수의 반송 위치로 자주(自走)하여 조리 용기를 반송하고, 각 반송 위치에서 다양한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를 승강시키거나 혹은, 조리 용기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하여,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WO2020/166723호 공보(특히, 단락 [0090], 실시 형태 2, 도 4~도 6을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조리 용기 유지 장치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조리 용기(600)의 플랜지부(610)를 상하 한쌍의 파지 클로우(510, 520)로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片支持) 파지하기 위해서, 상하 한쌍의 파지 클로우(510, 520)와 조리 용기(600)의 플랜지부(610)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틈새(G)를 마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조리 용기(600)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 이동시켜 식재료 공급 장치로부터 가열 조리 장치로 이동할 때나 조리 용기(600)의 개구부를 상하 반전시켜 세척기에서 세척할 때에, 조리 용기(600)가 앞서 설명한 상하 방향의 틈새(G)에 의해 덜거덕거림을 생기게 하여 불안정한 파지 자세가 될 뿐만 아니라, 파지부 영역의 마모, 파손이나 소음의 하나의 요인이 되고, 게다가, 조리 용기(600)가 상하 한쌍의 파지 클로우(510, 520)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다른 고안이 필요하고,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스피드업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하여 조리 공정 라인에서 조리 용기를 안정된 취급을 실현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은,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출(延出)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環狀) 둘레벽 부분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유지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으로서,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사이에 끼워 넣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와,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상기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와, 상기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부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이,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嵌着)홈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과 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이,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동심원이 되는 원호 모양 홈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타방이,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와,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의 하방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는 밀어넣음 조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유지용 구동부가, 상기 밀어넣음 조각에 연결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증폭하는 토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청구항 5 중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상기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상기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송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로서, 상기 이송 유닛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출되어 용기 본체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 둘레벽 부분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를 유지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으로서,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사이에 끼워 넣어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와,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유지된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를 편지지 유지할 때에,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조작하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가,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이 환상 둘레벽 부분과 상하 방향 및 용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용기 외주면과에 맞닿아 조리 용기의 자중에 의한 편하중을 분담하여 맡고, 종래와 같은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만으로 조리 용기의 전체 자중을 집중적으로 편지지 파지하고 있던 파지 부재와 비교하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용기 외주면으로 조리 용기를 보다 확실히 위치 결정 유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척 공정에 있어서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편지지 상태의 축심을 중심으로 용기 저부를 상향이 되도록 반전시킬 때에 조리 용기의 변위에 수반하여 생기기 쉬운 상하 자세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여, 조리 용기가 안정된 변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리 용기의 상하 반전 동작, 선회 동작, 승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효율이 좋은 조리 용기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와, 이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유지된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유지용 구동부와 용기 변위용 구동부의 동력원을 각각 소형화하여 별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공간 절약화를 달성하고, 조리 용기를 변위시키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홈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과 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이 용기 유지부 중 일방의 용기 감착홈 내에 끼워 넣어짐과 아울러, 용기 유지부 중 일방과 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 맞닿음 부재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밀어 붙여지면, 예를 들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이 용기 감착홈 내를 형성하는 한쌍의 홈벽면 모두에 기대어 2개소에서 비스듬하게 맞닿게 됨과 아울러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이 외주면 맞닿음 부재에 맞닿는, 소위, 3점 지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로 조리 용기를 유지할 때에,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용기 외주면이 확실히 위치 결정되어 걸려진 편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조리 용기를 장착할 때에,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이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과의 사이에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가 되는 분만큼 용기 장착에 필요로 하는 틈새가 확보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이 용기 감착홈 내로 끼워 넣기 쉬워져, 조리 용기에 대해서 간편한 장착 조작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동심원이 되는 원호 모양 홈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도록 변위시킬 때에,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이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에 대해서 면접촉 상태가 되어 선회에 의한 원심력이 생겨도 양자의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도록 변위시킬 때에 용기 유지부에서의 조리 용기의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회 속도가 증대해도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면서, 조리시의 선회 변위에 필요로 하는 작업 속도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타방이,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와,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의 하방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는 밀어넣음 조각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조리 용기를 장착할 때에, 밀어넣음 조각이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 내로 끼워 넣어진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 내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시키지 않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어짐과 아울러,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원활하게 닿아 밀려지기 때문에,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조리 용기를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 내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시키지 않도록 조리 용기를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유지용 구동부가, 밀어넣음 조각에 연결된 토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가동측이 되는 하측의 용기 유지부에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증폭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원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동력을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한 큰 유지력으로 증폭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의 사이즈를 작게 억제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이송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로서, 이송 유닛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용기 외주면과에 맞닿아 조리 용기의 자중에 의한 편하중을 분담하여 편지지 유지하여, 예를 들면, 세척 공정에서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편지지 상태의 축심을 중심으로 용기 저부를 상향이 되도록 반전시키거나, 가열 조리 공정에서 식재료 공급 장치로부터 가열 조리 장치로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 제어하는 이송 유닛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배치된 각종의 조리 위치로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을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함과 아울러, 조리 용기의 상하 반전 동작, 선회 동작, 승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게다가, 예를 들면, 면 공급 장치, 데침기, 세척기, 가열 조리 장치, 조리 용기 대기부, 식재료 공급 장치, 및 디싱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조리 공정 라인에서 신속하고 또한 안정된 조리 용기의 취급, 소위, 사용하기 편리한 조리 용기의 조작을 실현하여, 조리 효율이 좋은 레이아웃 설계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이용하는 조리 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개요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용기 유지부와 조리 용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V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5a에서의 VIA-VIA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5a에서의 VIB-VIB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이용한 토글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b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이용한 토글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탑재한 파스타 요리 자동 공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a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조리 용기를 장착할 때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b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조리 용기를 유지할 때의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는 종래의 조리 용기 유지 장치에 의한 조리 용기의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들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은,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출되어 용기 본체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 둘레벽 부분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를 유지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으로서,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사이에 넣어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와,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유지된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하여 조리 공정 라인에서 조리 용기를 안정된 취급을 실현함과 아울러, 조리 용기의 상하 반전 동작, 선회 동작, 승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조리 효율이 좋은 조리 용기의 조작을 실현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떤 것이라도 괜찮다.
또,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는, 앞서 설명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들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이송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이송 유닛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마련되고, 조리 용기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의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함과 아울러, 조리 용기의 상하 반전 동작, 선회 동작, 승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게다가, 예를 들면, 면 공급 장치, 데침기, 세척기, 가열 조리 장치, 조리 용기 대기부, 식재료 공급 장치, 및 디싱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조리 공정 라인에서 신속하고 또한 안정된 조리 용기의 취급, 소위, 사용하기 편리한 조리 용기의 조작을 실현하고, 조리 효율이 좋은 레이아웃 설계를 달성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떤 것이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 태양에 대해서는, 반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으로 조리 용기를 복수의 반송 위치로 반송할 수 있으면, 요리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각종의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어도 괜찮다.
즉,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는,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어도 괜찮고, 볶음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어도 괜찮고, 냉동의 식재료 뿐만이 아니라 냉장, 상온 등의 식재료를 이용한 요리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 예를 들면, 냉장 보존된 컷 야채를 혼합한 샐러드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샐러드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어도 괜찮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구체적인 사용 태양에 대해서는, 고정 위치에서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승강, 회전 혹은 선회하여 변위시켜도 괜찮고, 조리 공정의 일부를 자동화하는 장치로서 조리 공정 라인과 별도로 단독으로 이용해도 어떤 지장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서의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대해서는, 하측의 용기 유지부만 둘레벽 맞닿음 부분 및 외주면 맞닿음 부분을 구비하여도 괜찮고, 상측의 용기 유지부만 둘레벽 맞닿음 부분 및 외주면 맞닿음 부분을 구비하여도 괜찮으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각각에 둘레벽 맞닿음 부분 및 외주면 맞닿음 부분을 구비하여도 괜찮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이용되는 조리 용기의 구체적인 용기 형태에 대해서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연출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 둘레벽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괜찮다.
예를 들면, 환상 둘레벽 부분을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각각 연출되어 플랜지부와 환상 둘레벽 부분을 합친 단면을 T자형 모양으로 해도 괜찮고, 조리 용기의 경량화를 고려하면, 환상 둘레벽 부분을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연출되어 플랜지부와 환상 둘레벽 부분을 합친 단면을 L자형 모양으로 해도 괜찮다.
또한, 용기 본체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원통 모양의 용기 외주면과 이 용기 외주면의 외주 부위에 플랜지부를 매개로 하여 환상 둘레벽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면, 용기 본체의 용기 저부가 역원뿔대 모양이라도 원통 냄비 모양이라도 어떤 지장도 없다.
또, 이러한 조리 용기는, 조리 용기의 둘레 방향의 어떤 방향이라도 자유롭게 편지지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 및 환상 둘레벽 부분을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리 용기의 경량화와 빠른 건조를 고려하면, 플랜지부 또는 환상 둘레벽 부분 중 일방을 용기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하고, 타방을 용기 외주면을 따라서 분산하여 마련해도 괜찮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용기 유지부의 위치 관계를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한쌍의 용기 유지부의 위치 관계는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지하는 조리 용기의 자세에 의해서 수시로 변화한다. 예를 들면, 조리 용기의 상부 개구를 하방을 향하도록 조리 용기를 상하 반전하면, 상측의 용기 유지부가 하측이 되고, 하측의 용기 유지부가 상측이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은 마찬가지의 것으로 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대해서, 도 1~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에 이용하는 조리 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개요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용기 유지부와 조리 용기의 확대도이며, 도 4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a는 도 4에 나타내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의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V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a는 도 5a에서의 VIA-VIA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며, 도 6b는 도 5a에서의 VIB-VIB 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용기 유지부의 확대도이고, 도 7a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이용한 토글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며, 도 7b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에 이용한 토글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의 개요>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는, 예를 들면, 고객의 주문에 따라 자동적으로 파스타를 조리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된다.
이와 같이,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는,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조리 용기(C)와,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여 승강, 회전, 혹은 선회 등의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과,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각종의 반송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200)과,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 및 이송 유닛(200)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30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파스타 요리에 이용하는 각 장치에 대응한 반송 위치에 조리 용기(C)를 반송하면, 각 반송 위치에서 조리 용기(C)를 이용한 가열 조리, 디싱 처리 혹은 세척 처리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서, 파스타 요리의 일련의 조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 탑재되어 냉동 면괴(麵塊)의 냉동 보관 및 자동 공급을 행하는 냉동면 공급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서 공급된 냉동 면괴가, 면수취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수취되고, 이 면수취 장치에 의해서 데침기(도시 생략)을 통해서 데쳐진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속재료 공급 장치(D4)로부터 파스타의 속재료가 투입되어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일시적으로 재치되어 있는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여 면수취 위치(P2)로 반송한다.
그리고, 면수취 위치(P2)에서 데쳐진 면이 면수취 장치에 의해서 조리 용기(C) 내로 투입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가열 조리 장치(D5)가 배치된 가열 조리 위치(P3), 디싱 장치(도시 생략)가 배치된 디싱 위치(P4), 세척 장치(D7)가 배치된 세척 위치(P5)로 차례로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파스타 요리에 관련한 각 장치에 대응한 반송 위치로 조리 용기(C)를 반송하고, 각 반송 위치에서 가열 조리 장치(D5)에 의한 가열 조리, 디싱 장치에 의한 디싱 처리 혹은 세척 장치(D7)에 의한 세척 처리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서, 파스타 요리의 일련의 조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각 반송 위치로 반송된 조리 용기(C)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해서 조리 동작에 따라서 상하 승강에 의한 상하 방향의 다른 높이 위치, 회전에 의한 기울어진 자세 혹은 상하 반전 자세, 혹은 선회에 의한 수평면 상의 다른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세척 위치로 반송한 후, 다시 조리 용기(C)를 속재료 공급 위치(P1)로 반송하는 것에 의해서, 파스타 요리의 앞서 설명한 일련의 조리가 반복하여 행하여진다.
<조리 용기(C)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이용하는 스테인레스제의 조리 용기(C)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C1)와, 용기 본체(C1)의 용기 외주면(C1c)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C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출됨과 아울러 용기 본체(C1)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 둘레벽 부분(C3, C4)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환상 둘레벽 부분 중, 상방의 부분을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 하방의 부분을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이라고 한다.
여기서, 조리 용기(C)의 소재에 대해서는, 가열 조리, 세척 등의 취급상, 스테인레스제가 바람직하지만, 스테인레스강 이외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 이 조리 용기(C)의 용기 본체(C1)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모양 몸통부(C1a)와, 저면을 향하여 내경을 점차 축경(縮徑)하여 원통 모양 몸통부(C1a)의 하방으로 연속한 역원뿔대 모양 저부(C1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리 용기(C)는, 플랜지부(C2)와 환상 둘레벽 부분(C3, C4)을 합친 단면이 횡방향으로 T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조리 용기(C)의 플랜지부(C2)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C2a)이 분산하여 형성되어, 용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세척 장치에 의해서 세척될 때, 세척수의 물방울이 관통공(C2a)을 통하여 배출되어 플랜지부(C2)에 잔류하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C2)는, 용기 외주면(C1c)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마련되어도 괜찮고,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돌출 마련되어도 괜찮다.
즉, 플랜지부(C2)의 관통공(C2a)은, 예를 들면, 물방울의 배수 성능을 고려하여, 형상, 치수, 수, 혹은 경사 각도 등을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환상 둘레벽 부분(C3, C4)은, 용기 본체(C1)의 용기 외주면(C1c)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도 3a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조리 용기(C)의 환상 둘레벽 부분(C3, C4) 및 용기 외주면(C1c)의 일부에 맞닿아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를 작동시키는 유지용 구동부(130)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C)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는,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측의 용기 유지부(110)(이하, 「상부 용기 유지부」라고 함)가 유지 및 유지 해방 동작의 고정측이 되고, 하측의 용기 유지부(120)(이하, 「하부 용기 유지부」라고 함)가 유지 및 유지 해방 동작의 가동측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용기 유지부(110)는,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맞닿게 되는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과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게 되는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상부 부위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홈벽면(112a)을 이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맞닿게 하도록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상부 유지 본체(111)에 마련한 용기 감착홈(11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으로서 형성된 용기 감착홈(112)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과 마주보는 측에 이 내주면(C3a)과 곡률 반경이 동일한 원호 모양을 이루는 원호 모양 홈벽면(112c)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감착홈(112)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지름 방향 양면에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홈벽면(112a, 112b) 및 이들 저면을 구성하는 홈벽면(112c)을 가지고 있다.
이 한쌍의 홈벽면(112a, 112b) 중 일방의 홈벽면(112a)이,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된 상태에서,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지름 내방측의 원호 모양의 내주면(C3a)에 대향 배치되는 원호 모양 홈벽면(112d) 및 용기 감착홈(112)의 입구에 마련되어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홈 안쪽의 끼워 넣기 완료 위치로 유도하는 홈내 유도면(112e)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용기 감착홈(112)의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은, 용기 감착홈(112)의 일방의 홈벽면(112a)의 안쪽 영역을 형성하고, 이 용기 감착홈(112)에 끼워 넣기가 완료된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이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내 유도면(112e)은, 용기 감착홈(112)의 입구의 홈 폭을 최대로 하도록 입구로부터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이 형성된 홈의 안쪽 위치까지의 구간에서 경사져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이 형성된 홈벽면(112a)과 마주보는 홈벽면(112b)은, 도 6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감착홈(112)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대해서 헐거운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는 롤러이고, 상부 유지 본체(111)의 상부로부터 조리 용기(C)와 마주보는 측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밀어넣음 조각(122)과,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게 되는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밀어넣음 조각(122)은, 하부 용기 유지부(120)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하부 유지 본체(121)에 마련되고,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의 내주면(C4a)에 대향 배치되는 원호 모양 벽면(122a)을 가지고 있다.
또,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의 단면(端面)과 마주보는 유지면(122b)과 밀어넣음 조각(122)의 원호 모양 벽면(122a)에서 대략 L자 모양의 면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 용기 유지부(120)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은, 하부 유지 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롤러이고, 하부 유지 본체(121)의 하부로부터 조리 용기(C)와 마주보는 측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지용 구동부(130)는, 토글 기구(131)와 구동원이 되는 회전 모터(132)를 가지고 있다.
이 토글 기구(131)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4절 회전 링키지를 이용하고 있고, 4개의 회전 대우(對偶)(131a, 131b, 131c, 131d)와 4개의 링크(131e, 131f, 131g, 131h)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토글 기구(131)는, 하나의 링크(131e)에 대해서 회전 모터(132)로부터의 동력이 기어(G)를 통해서 전달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131h)가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연결되어 회전 모터(132)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토글 기구(131)에 의해서 회전 모터(132)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토글 기구(131)의 하나의 회전 대우(131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 유지 위치 및 용기 유지 해방 위치 사이를 원호 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가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 및 유지용 구동부(130)는, 유지부 지지체(140)에 지지되고, 이 유지부 지지체(140)가 팔모양부(150)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에 의해,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C)가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는,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구동원이 되는 승강용 회전 모터(161a)를 포함하고 유지부 지지체(140)를 승강 이동시키는 예를 들면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용 구동 기구(161)와, 구동원이 되는 회전 모터(162a)를 포함하고 유지부 지지체(140)를 수평 방향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용 구동 기구(162)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유지된 조리 용기(C)를 수평면 상의 다른 위치로 선회시키는 선회용 구동 기구(16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전용 구동 기구(162)는, 팔모양부(150)를 매개로 하여 유지부 지지체(14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유지부 지지체(140)에 연결된 회전용 구동 기구(162)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용 구동 기구(161)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 지지체(140)는, 승강용 구동 기구(161)에 의해서 회전용 구동 기구(162)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되고, 하강 완료 위치 및 상승 완료 위치 혹은 그 사이의 높이 위치에서 회전용 구동 기구(16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선회용 구동 기구(163)는, 구동원이 되는 선회용 회전 모터(163a)를 포함하고 유지부 지지체(140)를 수평면 상에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용 구동 기구(163)는, 회전용 구동 기구(162)가 연결된 승강용 구동 기구(161)를 저부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선회용 회전 모터(163a)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서 유지부 지지체(140)를 상하 방향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승강용 구동 기구(161), 회전용 구동 기구(162) 및 선회용 구동 기구(163)는, 유닛 본체(170) 내에 탑재되고, 이 유닛 본체(170)이 이송 유닛(200)의 후술의 슬라이더(22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도 3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를 유지 및 유지 해방 동작하기 위한 가동축, 유지부 지지체(140)를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가동축, 유지부 지지체(140)를 승강하기 위한 가동축, 및 유지부 지지체(140)를 선회하기 위한 가동축 합계 4개의 가동축을 가지고 있다.
<이송 유닛(2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이송 유닛(200)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조리 용기의 복수의 반송 위치(P1~P5)(도 1 참조)로 이송하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마련된 이송 가이드 프레임(210)과, 이송 가이드 프레임(210) 상을 이송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220)와, 이송 가이드 프레임(210)의 내부에 이송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마련되어 슬라이더(220)를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30)과, 슬라이더(220)를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구동부(24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이송 가이드 프레임(210)은, 예를 들면, 베이스(B) 상에 마련되고, 내부에는 이송 유닛(200)의 각 부, 즉 가이드 레일(230) 및 슬라이더 구동부(240)가 탑재되어 있다.
슬라이더(220)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재치하는 유닛 재치대(221)와, 가이드 레일(230)의 측부에 이송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돌조 부분에 맞물려 가이드 레일(2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분(22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구동부(240)는, 구동원이 되는 회전 모터(241)와, 회전 모터(241)에 접속된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에 대해서 이송 방향으로 이간하여 마련된 종동 기어(도시 생략)와의 사이에 걸쳐 놓여진 구동 벨트(242)와, 구동 벨트(242)와 슬라이더(220)를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243)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송 유닛(200)은, 슬라이더 구동부(240)의 회전 모터(241)가 구동되고, 구동 벨트(242)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연결 브래킷(243)을 매개로 하여 구동 벨트(242)에 연결된 슬라이더(220)가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220)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더(220)에 재치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파스타 요리에 관련한 각 장치에 대응한 이송 위치로 이송된다.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가 탑재된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다음으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가 탑재된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파스타 요리 자동 공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은,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어 장치(CD)를 가지고, 이 제어 장치(CD)가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제어 장치(CD)는, 예를 들면, 주문 입력 장치(D1), 냉동면 공급 장치(D2), 면수취 장치(D3), 속재료 공급 장치(D4), 가열 조리 장치(D5), 디싱 장치(D6) 및 세척 장치(D7)의 각 제어 유닛(도시 생략)에 제어선을 매개로 하여 접속된다.
또, 제어 장치(CD)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300)에 접속되고, 제어 유닛(300)이 제어 장치(CD)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근거하여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 및 이송 유닛(200)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파스타 요리 자동 제공 시스템에서의 조리 용기(C)를 이용한 파스타 요리의 일련의 조리를 자동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300)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 및 이송 유닛(200) 각각의 구동원에 대해서 드라이버를 매개로 하여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300)은, 유지용 구동부(130)의 구동원인 회전 모터(262), 용기 변위용 구동부의 구동원인 승강용 회전 모터(161a), 회전 모터(162a), 및 선회용 회전 모터(163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앞서 설명한 제어 유닛(300)은, 이송 유닛(200)의 슬라이더 구동부(240)의 회전 모터(241)에 접속되어 있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서>
먼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편지지 유지된 조리 용기(C)의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이송 유닛(200)에 의해서 속재료 공급 위치(P1), 면수취 위치(P2), 가열 조리 위치(P3), 디싱 위치(P4), 세척 위치(P5)로 조리 용기(C)를 반송한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해서 각 위치로 반송된 조리 용기(C)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해서 각 장치에 의한 조리에 따른 위치, 혹은 자세로 변위된다.
예를 들면, 속재료 공급 위치(P1)(도 1 참조)에서는, 속재료 공급 장치(D4)로부터 조리 용기(C) 내로 파스타의 속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조리 용기(C)를 재치한다.
여기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유지부 지지체(140)를 하강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리 용기(C)가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된다.
이 유지부 지지체(140)의 하강 동작시, 조리 용기(C)는 용기 외주면(C1c)의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대해서 떼어 놓거나 가깝게 하거나 하도록 움직이려고 하는데,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에 맞닿고,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덜거덕거림이 억제된다.
또, 유지부 지지체(140)가 하강 위치로 이동 완료한 상태에서, 조리 용기(C)가, 자중에 의해서 용기 외주면(C1c)의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대해서 떼어 놓도록 기울어지려고 하는데,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 및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에 의해서 이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특히, 조리 용기(C)가 용기 외주면(C1c)을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가깝게 하도록 기울어지려고 하는 것을 하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막고 있다.
또한, 유지부 지지체(140)의 상승 동작 시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조리 용기(C)의 덜거덕거림 및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 예를 들면, 세척 위치(P5)(도 1 참조)에서는, 상하 반전하여 개구를 하방을 향하게 한 조리 용기(C)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조리 용기(C)를 세척하기 위해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유지부 지지체(140)를 수평 방향의 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상하 반전시킨다.
이 유지부 지지체(140)의 회전 동작 시, 조리 용기(C)는, 용기 외주면(C1c)의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대해서 떼어 놓거나 가깝게 하거나 하도록 움직이려고 하는데,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에 맞닿고,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덜거덕거림이 억제된다.
또, 유지부 지지체(140)가 반전 완료된 상태에서, 조리 용기(C)가 자중에 의해서 용기 외주면(C1c)의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가깝게 하도록 기울어지려고 하는데, 둘레벽 맞닿음 부분(112) 및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에 의해서 이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특히, 조리 용기(C)가, 용기 외주면(C1c)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가깝게 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막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속재료 공급 위치(P1)(도 1 참조)에서의, 유지부 지지체(140)의 선회 동작 시, 조리 용기(C)가 선회 방향으로 흔들려 움직이려고 해도,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이 용기 감착홈(112)의 원호 모양 홈벽면(112c)에 맞닿기 때문에, 조리 용기(C)에 생기기 쉬운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막고 있다.
이러한 조리 용기(C)의 기울어짐 및 덜거덕거림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이송 유닛(200)에 의해서 속재료 공급 위치(P1), 면수취 위치(P2), 가열 조리 위치(P3), 디싱 위치(P4), 및 세척 위치(P5)의 각 반송 위치에 이송될 때에도 마찬가지로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동작 및 유지 해방 동작에 대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9a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하는 동작 설명도이고, 도 9b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유지할 때의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예를 들면, 속재료 공급 위치(P1)에서, 속재료 공급 장치(D4)로부터 조리 용기(C) 내에 파스타의 속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조리 용기(C)를 유지 해방하여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한다. 
그 후,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속재료 공급 장치(D4)에 의해서 내부에 속재료가 공급된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여 면수취 위치(P2)로 이송한다.
즉, 속재료 공급 위치(P1)에서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및 유지 해방 동작이 행하여진다.
먼저,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된 조리 용기(C)를 유지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를 유지 해방 상태, 즉 열린 상태로 하여,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조리 용기(C)의 위치 결정 동작을 행한다.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위치 결정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선회용 구동 기구(163)에 의해서, 유지부 지지체(140)를 상하 방향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마련된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을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된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게 하고, 조리 용기(C)를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유지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위치 결정 동작에 의해서, 조리 용기(C)가 속재료 공급 장치(D4)에 어긋나 재치되어 있었을 경우,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에 의해서 밀려서 움직이게 되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 및 용기 외주면(C1c)의 전체 둘레에 걸치는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어느 부분에 맞닿아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리 용기(C)가 둘레 방향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유지할 때,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해서 조리 용기(C)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조리 용기(C)를 유지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된 위치에서,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이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았을 때에는, 유지부 지지체(140)는,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높이 위치에 있다(도 9b의 (A) 참조). 이와 같이 위치 결정된 후, 유지부 지지체(140)를 하강 이동시키고,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마련된 용기 감착홈(112) 내에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는다(도 9b의 (B), 도 9b의 (C) 참조).
이 때, 조리 용기(C)에 다소의 치수의 편차가 있었다고 해도, 혹은 조리 용기(C)에 다소의 기울어짐이 있었다고 해도,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의 홈내 유도면(112e)에 의해서 홈의 입구로부터 홈의 안쪽의 끼워 넣기 완료 위치로 유도된다(도 9b의 (B) 참조).
또,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112b)의 하방으로 연속하여 연출된 면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부딪히게 되는 면으로서 기능된다.
또,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대해서 헐거운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에 용이하게 끼워 넣어진다.
이렇게 하여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에 끼워 넣어지면(도 9b의 (C) 참조),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지름 방향 양면이 용기 감착홈(112)의 한쌍의 홈벽면(112a, 112b)에 각각 대향 배치된다.
특히,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은, 용기 감착홈(112)의 원호 모양 홈벽면(112c)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은 롤러이기 때문에, 유지부 지지체(140)는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부딪히게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러를 회전시켜 브드럽게 하강 이동된다.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부(C3)가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에 끼워 넣어진 후,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하부 용기 유지부(120)를 용기 유지 해방 위치로부터 용기 유지 위치를 향하여 회동 개시한다(도 9b의 (D) 참조).
여기서,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대해서 롤러인 하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을 부드럽게 맞닿게 하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을 깎으면서 회동하는 것을 막고 있다.
마지막으로,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유지 위치까지 회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동작이 완료된다(도 9b의 (E) 참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동작이 완료되면,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하부 용기 유지부(120)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에 의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밀려,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 즉 원호 모양 홈벽면(112d)에 맞닿고,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 및 하부 용기 유지부(120) 각각에 마련된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에 맞닿는다.
또한, 용기 감착홈(112)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대해서 헐거운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상하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이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조리 용기(C)에 기울어짐이 있었을 경우에도, 이 기울어짐이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서,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용기 감착홈(112)과의 거리 및 용기 감착홈(112) 내에서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기울어짐이 조정되기 때문에, 외주면(C3b)과 홈벽면(112b)과의 사이에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이 원호 모양 홈벽면(112d)에 닿아 밀려진다. 또,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의 내주면(C4a)이 원호 모양 벽면(122a)에 닿에 밀려진다.
또,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는, 토글 기구(131)의 하나의 회전 대우(131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호 모양의 이동 궤적을 따라서 회동할 때에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의 하방 부위에 걸리는 원인이 되는 벽이 밀어넣음 조각(122)에 대향하는 측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조리 용기(C)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회동된다.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동작이 완료되면, 하부 용기 유지부(120)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에 의해서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하방측으로부터 밀리고,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의 원호 모양 홈벽면(112d)에 맞닿으며,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 및 하부 용기 유지부(120) 각각에 마련된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에 맞닿는다.
또한, 용기 감착홈(112)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에 대해서 헐거운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상하 한쌍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이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용기 감착홈(112)과의 거리 및 용기 감착홈(112) 내에서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기울어짐이 조정되고,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상부 부위가 용기 감착홈(112)의 여유를 허용하여 홈벽면에 맞닿는다.
여기서, W1는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의 단부로부터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112a)까지의 거리이고, W2는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의 단부로부터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112b)까지의 거리이다. 또, Wc1는 용기 외주면(C1c)으로부터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까지의 거리이고, Wc2는 용기 외주면(C1c)으로부터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치수 관계를
W1≤Wc1<Wc2≤W2   (식 1)
으로 조정한다. 도 5에서는, Wc2<W2로 하고, 외주면(C3b)과 홈벽면(112b)과의 사이에 적절한 여유를 마련하고 있다. 이 여유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플랜지부(C2) 및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판 두께가 1.2mm인 것에 대해서, 외주면(C3b)과 홈벽면(112b)과의 사이의 여유는 1.3~2.4mm로 설정하고 있다.
또,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상방 부위의 내주면(C3a)과 마주보는 측에 내주면(C1c)과 곡률 반경이 동일한 원호 모양 홈벽면(112d)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리 용기(C)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면,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을 원호 모양 홈벽면(112d)에 면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조리 용기(C)의 치수 정밀도에 편차가 있었다고 해도, 적어도 2개소에서의 점접촉 내지 선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치수 정밀도에 의하지 않고 조리 용기(C)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속재료 공급 위치(P1)에서 조리 용기(C)를 유지 해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유지 해방하는 동작으로서는, 앞서 설명한 유지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즉, 이송 유닛(200)에 의해서 속재료 공급 위치(P1)로 이송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 가능한 높이 위치까지 하강된다.
여기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조리 용기(C)를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 가능한 높이 위치까지 유지부 지지체(140)를 하강시킨다(도 9 B(E) 참조).
그 후,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하부 용기 유지부(120)를 용기 유지 위치로부터 용기 유지 해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킨다(도 9 B(D) 참조).
여기서,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대해서 하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을 맞닿게 하면서 용기 유지 해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을 깎으면서 회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에 대해서도 상측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과 마찬가지로 롤러이기 때문에, 외주면 맞닿음 부분(123)을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회전시키면서 매끄럽게 부딪히게 할 수 있다.
또, 하부 용기 유지부(120)는 회동할 때에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의 하부 부위에 걸리는 원인이 되는 벽이 밀어넣음 조각(122)과 대향하는 측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110, 120)에 의한 조리 용기(C)의 유지 해방 동작을 조리 용기(C)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용기 유지 해방 위치까지 회동하면(도 9b의 (C) 참조), 조리 용기(C)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없어져, 조리 용기(C)가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도 9 B(B) 참조), 속재료 공급 위치(P1)에 재치된다(도 9b의 (A)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가 발휘하는 효과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실시 형태의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발휘하는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은,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C1)와, 이 용기 본체(C1)의 용기 외주면(C1c)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C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출되어 용기 본체(C1)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횡T자 모양 단면을 나타내는 환상 둘레벽 부분(C3, C4)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C)를 그 둘레 방향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기 위해서, 조리 용기(C)의 환상 둘레벽 부분(C3, C4)을 사이에 끼워 넣어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는 상하 한쌍의 상부 용기 유지부(110), 하부 용기 유지부(120)와, 이들 상부 용기 유지부(110),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1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C)를 편지지 유지할 때에, 유지용 구동부(130)에 의해서 조작하는 상하 한쌍의 상부 용기 유지부(110),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이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상하 방향 및 용기 지름 방향으로 떨어진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아 조리 용기(C)의 자중에 의한 편하중을 분담하여 맡고, 종래와 같은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만으로 조리 용기의 전체 자중을 집중적으로 편지지 파지하고 있던 파지 부재와 비교하면, 조리 용기(C)의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용기 외주면(C1c)으로 조리 용기(C)를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 유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척 공정에서 조리 용기(C)의 상하 자세를 편지지 상태의 축심을 중심으로 용기 저부를 상향이 되도록 반전시킬 때에 조리 용기(C)의 변위에 수반하여 생기기 쉬운 상하 자세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여, 조리 용기(C)가 안정된 변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유지용 구동부(130)에 의해서 유지된 조리 용기(C)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유지용 구동부(130)와 용기 변위용 구동부(160)의 동력원을 각각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의 공간 절약화를 달성하고, 조리 용기(C)를 변위시키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2) 상부 용기 유지부(110)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홈(112)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 내에 끼워 넣어져 하부 용기 유지부(120)의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밀어 붙여지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 내를 형성하는 한쌍의 홈벽면(112a, 112b) 모두에 기대어 2개소에서 비스듬하게 맞닿게 됨과 아울러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이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에 맞닿는, 소위, 3점 지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하 한쌍의 상부 용기 유지부(110)와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의해 조리 용기(C)를 유지할 때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용기 외주면(C1c)이 확실히 위치 결정되어 걸려진 편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부 용기 유지부(110)가,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홈(1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장착할 때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과의 사이에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가 되는 분만큼 용기 장착에 필요로 하는 틈새가 확보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 내에 끼워 넣기 쉬워져, 조리 용기(C)에 대해서 간편한 장착 조작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동심원이 되는 원호 모양 홈벽면(112d)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C)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도록 변위시킬 때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에 대해서 면접촉 상태가 되어 선회에 의한 원심력이 생겨도 양자의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조리 동작에 따라서 조리 용기(C)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하도록 변위시킬 때에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서의 조리 용기(C)의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회 속도가 증대해도 조리 용기(C)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면서, 조리시의 선회 변위에 필요로 하는 작업 속도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3)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와, 조리 용기(C)의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는 밀어넣음 조각(1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조리 용기(C)를 장착할 때에, 밀어넣음 조각(122)이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 내에 끼워 넣어진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 내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시키지 않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어짐과 아울러,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가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에 원활하게 닿아 밀려지기 때문에,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이, 조리 용기(C)를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용기 감착홈(112) 내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시키지 않도록 조리 용기(C)를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4) 유지용 구동부(130)가, 밀어넣음 조각(122)에 연결된 토글 기구(131)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가동측이 되는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증폭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원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동력을 상하 한쌍의 상부 용기 유지부(110)와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의한 큰 유지력으로 증폭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의 사이즈를 작게 억제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가 발휘하는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는, 앞서 설명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과, 이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200)과,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과 이송 유닛(200)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300)을 구비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1)로서, 이송 유닛(200)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이,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과 용기 외주면(C1c)에 맞닿아 조리 용기(C)의 자중에 의한 편하중을 분담하여 편지지 유지하여, 예를 들면, 세척 공정에서 조리 용기(C)의 상하 자세를 편지지 상태의 축심을 중심으로 용기 저부를 상향이 되도록 반전시키거나 식재료 공급 장치에서 조리 용기(C)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고, 제어 유닛(300)에 의해 구동 제어하는 이송 유닛(200)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배치된 각종의 조리 위치로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을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조리 용기(C)의 상하 자세를 반전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C)의 덜거덕거림이나 조리 용기(C)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킬 때에 생기기 쉬운 조리 용기(C)의 선회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해소함과 아울러, 조리 용기(C)의 상하 반전 동작, 선회 동작, 승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하고, 게다가, 예를 들면, 면 공급 장치, 데침기, 세척기, 가열 조리 장치, 조리 용기 대기부, 식재료 공급 장치, 및 디싱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조리 공정 라인에 대해 신속하고 또한 안정된 조리 용기(C)의 취급, 소위, 사용하기 편리한 조리 용기(C)의 처리를 실현하고, 조리 효율이 좋은 레이아웃 설계를 달성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설명했지만,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들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의 실시 형태인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이들 실시 형태의 일부를 생략, 추가, 변경하는 것이나, 실시 형태의 각 태양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벽 맞닿음 부분으로서의 용기 감착홈이 상부 용기 유지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용기 감착홈이 하부 용기 유지부에 마련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상부 용기 유지부에는 용기 감착홈을 마련해도 되지만, 파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부 용기 유지부에는 용기 감착홈을 마련하지 않아도 괜찮다.
또,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면 맞닿음 부분으로서의 롤러가 상부 용기 유지부 및 하부 용기 유지부 모두에 마련되어 있지만, 롤러가 상부 용기 유지부 및 하부 용기 유지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되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조리 용기를 상하 반전시키지 않는 경우, 조리 용기가 용기 외주면의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로부터 떨어지도록 기울어지기 쉽고, 상부 영역을 상부 용기 유지부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어지 어렵게 되기 때문에, 하부 용기 유지부에만 롤러를 마련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외주면 맞닿음 부분은, 롤러 이외에도, 상부 유지 본체 혹은 하부 유지 본체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상부 유지 본체의 일부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외주면 맞닿음 부분을 구성해도 괜찮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내주면(C3a)을 원호 모양 홈벽면(112d)에 면접촉시키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은 내주면(C3a)과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의 곡률이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만 성립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주면(C3a)의 곡률이,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의 곡률보다도 큰 경우에는, 양자는 1개소에서의 선접촉의 상태가 된다. 또, 예를 들면 내주면(C3a)의 곡률이, 원호 모양 홈벽면(112d)의 곡률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양자는 2개소에서의 선접촉의 상태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 모양 홈벽면(112b)과 원호 모양 홈벽면(112d)과의 사이의 용기 감착홈(112)의 폭 치수에 대해서는, 깊이 방향의 어디에서라도 동일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 감착홈(112)의 폭 치수를, 깊은 곳일수록(원호 모양 홈벽면(112c)에 가까워질수록) 좁게 할 수 있다. 이 때, 용기 감착홈(112)의 깊은 곳에서의 폭 치수를 극단적으로 좁게 한 경우에는, 용기 감착홈(112)의 깊은 곳에서는 식 1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의 선단부분에 있어서,
W1=Wc1<Wc2=W2   (식 2)
로 되고, 또한 깊은 부분에서는,
Wc1≤W1<W2≤Wc2   (식 3)
로 되는 경우도 있다.
또, 이 면접촉 이외의 태양에 의한 유지의 경우, 환상 둘레벽 부분을 원호 모양 홈벽면의 홈벽면의 어느 부분에서 맞닿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용기 감착홈은, 대향하는 홈벽면을 홈 내방을 향한 간격을 좁게 형성하고, 홈 내에 끼워 넣어진 환상 둘레벽 부분의 선단부가 대향하는 홈벽면에 2점에서 맞닿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112a, 112b, 112c)의 어느 부분에 2개소에서, 점접촉 내지 선접촉에 의해 맞닿게 되도록 조정하여 두면, 상하 한쌍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 중 어느 일방과 함께 조리 용기(C)를 3개소에서의 유지, 즉 3점 지지에 의해 안정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a에서는, 상하 한쌍의 외주면 맞닿음 부분(113, 123)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2점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 용기(C)의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이 용기 감착홈(112)의 홈벽면(112a, 112b, 112c)에 적어도 1점에서 맞닿게 할 수 있으면, 조리 용기(C)를 3점에서 안정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C2)의 선단에는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 및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이 마련되고, 환상 둘레벽 부분은 플랜지부(C2)와 합쳐 단면 T자 모양의 환상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상 둘레벽 부분의 환상이란, 연속적인 환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단속적인 환상 형상이라도 괜찮다. 즉, 환상 둘레벽 부분에 구멍, 절결, 공극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 및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 뿐만이 아니라, 플랜지부(C2)에도, 관통공(C2a), 절결, 공극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환상 둘레벽 부분은, 단면 T자 모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단면 L자 모양(상향 L자 모양, 하향 L자 모양), 단면 십자 모양 등이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단면 하향 L자 모양의 경우에 대해서, 도 2의 환상 둘레벽 부분으로부터, 상방 환상 둘레벽 부분(C3)을 생략하고, 플랜지부(C2) 및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된다. 이러한 단면 하향 L자 모양의 환상 둘레벽 부분인 경우, 예를 들면, 하부 용기 유지부(120)에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을 감합 유지하기 위한 용기 감착홈을 마련하고, 하부 용기 유지부(120)가 이 용기 감착홈에 의해 하방 환상 둘레벽 부분(C4)을 유지하고, 조리 용기(C)의 용기 외주면(C1c)을 하방의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에 의해 유지하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C)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플랜지부(C2)의 상방을 유지하는 상부 용기 유지부(110)를 마련하고, 플랜지부(C2)의 상면을, 상부 용기 유지부(110)의 하면에 의해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방 하방의 외주면 맞닿음 부재(123), 하부 용기 유지부(120) 및 상부 용기 유지부(110)에 의해서 조리 용기(C)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조리 용기(C)의 자세 제어시에도 조리 용기 유지 유닛(100)에 의해 조리 용기(C)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에 맞닿게 되는 둘레벽 맞닿음 부분이 용기 감착홈인 것을 예시했지만, 외주면 맞닿음 부분과 합쳐서 조리 용기에 대해서 3점에서 맞닿게 할 수 있으면, 홈 이외에도 하부 용기 유지부에 마련한 용기 규제벽이라도 전혀 상관없다.
1 :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100 : 조리 용기 유지 유닛
110 : 용기 유지부(상부 용기 유지부)
111 : 상부 유지 본체
112 : 용기 감착홈(둘레벽 맞닿음 부분)
112a, 112b, 112c : 홈벽면 112d : 원호 모양 홈벽면
112e : 홈내 유도면 120 : 용기 유지부(하부 용기 유지부)
121 : 하부 유지 본체 122 : 밀어넣음 조각
122a : 원호 모양 벽면 122b : 유지면
113, 123 : 외주면 맞닿음 부분 130 : 유지용 구동부
131 : 토글 기구 131a~131d : 회전 대우
131e~131h : 링크 132 : 회전 모터(구동원)
140 : 유지부 지지체 150 : 팔모양부
160 : 용기 변위용 구동부 161 : 승강용 구동 기구
161a : 승강용 회전 모터(구동원) 162 : 회전용 구동 기구
162a : 회전 모터(구동원) 163 : 선회용 구동 기구
163a : 선회용 회전 모터(구동원) 170 : 유닛 본체
200 : 이송 유닛 210 : 이송 가이드 프레임
220 : 슬라이더 221 : 유닛 재치대
222 : 레일 연결 부분 230 : 가이드 레일
240 : 슬라이더 구동부 241 : 회전 모터
242 : 구동 벨트 243 : 연결 브래킷
300 : 제어 유닛 C : 조리 용기
C1 : 용기 본체 C1c : 용기 외주면
C2 : 플랜지부 C2a : 관통공
C3, C4 : 환상 둘레벽 부분 C3a, C4a : 내주면
C3b, C4b : 외주면

Claims (6)

  1. 식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받아 들이는 원통 모양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용기 외주면에 둘러 마련된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적어도 일방으로 연출(延出)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동심원 모양을 이루는 환상(環狀) 둘레벽 부분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유지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으로서,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사이에 끼워 넣는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와,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에 의해서 상기 조리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편지지 유지하는 유지용 구동부와, 상기 유지용 구동부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조리 용기를 조리 동작에 따라서 변위시키는 용기 변위용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일부가,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이,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을 헐거운 끼워 맞춤 상태로 끼워 넣는 용기 감착홈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일방과 타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유지부의 용기 감착홈이,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과 동심원이 되는 원호 모양 홈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 한쌍의 용기 유지부 중 타방이,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 외주면에 맞닿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주면 맞닿음 부재와, 상기 조리 용기의 환상 둘레벽 부분의 하방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넣는 밀어넣음 조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지용 구동부가, 상기 밀어넣음 조각에 연결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증폭하는 토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유지 유닛.
  6. 청구항 1~청구항 5 중 하나의 항에 기재된 조리 용기 유지 유닛과, 상기 조리 용기 유지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상기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송 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로서,
    상기 이송 유닛이 조리 공정 라인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KR1020247014655A 2021-10-08 2022-09-15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Active KR102784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6455A JP7580771B2 (ja) 2021-10-08 2021-10-08 調理容器保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調理容器自動搬送装置
JPJP-P-2021-166455 2021-10-08
PCT/JP2022/034536 WO2023058426A1 (ja) 2021-10-08 2022-09-15 調理容器保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調理容器自動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3948A true KR20240073948A (ko) 2024-05-27
KR102784672B1 KR102784672B1 (ko) 2025-03-21

Family

ID=8580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655A Active KR102784672B1 (ko) 2021-10-08 2022-09-15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311533B2 (ko)
JP (1) JP7580771B2 (ko)
KR (1) KR102784672B1 (ko)
CN (1) CN118139568A (ko)
WO (1) WO202305842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772A (ja) * 1992-11-30 1994-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ロボット用把手
JP2005504259A (ja) * 2001-09-29 2005-02-10 暁林 張 料理法の全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による自動料理システム
US20120006826A1 (en) * 2010-07-07 2012-01-12 Bedias Creek Llc. Cookware system for increased safety
KR20120096135A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해피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WO2020166723A2 (ja) 2019-02-14 2020-08-20 TechMagic株式会社 料理自動提供システム、飲食店、飲食店用自動システム、料理自動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194A (en) * 1983-09-09 1985-03-19 Bishop Charles D Automatic food fry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S6360588U (ko) * 1986-10-06 1988-04-22
JPS6467500A (en) * 1987-09-07 1989-03-14 Toshiba Corp Coupling device for vacuum environment
US5147068A (en) * 1991-01-16 1992-09-15 Wright Food Systems, Inc. Automated food vending system
JPH0733590U (ja) * 1993-12-08 1995-06-20 安川設備技研株式会社 ロボットのつかみ装置
JP3317800B2 (ja) * 1994-11-28 2002-08-26 宇宙開発事業団 マニピュレータの把持装置
JPH10235588A (ja) * 1997-02-27 1998-09-08 Daifuku Co Ltd 物品把持装置
JP5064566B2 (ja) 2008-09-10 2012-10-31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板状物品のハンドリング方法
JP5489874B2 (ja) 2010-06-17 2014-05-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把持装置
SG11201406283YA (en) * 2012-04-24 2014-11-27 Nestec Sa A capsule holder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JP5846057B2 (ja) * 2012-06-29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把持装置による把持方法
US20150139766A1 (en) * 2013-06-26 2015-05-21 Willow Garage, Inc. Robotic b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154762B2 (en) * 2015-05-07 2018-12-18 Spyce Food Co. Automated meal production system and apparatus
JP7519662B2 (ja) 2016-11-04 2024-07-22 イノノヴォ エルエルシー 自動化した食品調理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9090352A1 (en) 2017-11-06 2019-05-09 Adam Coh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ood preparation
KR102118843B1 (ko) * 2020-02-28 2020-06-03 박노섭 커피음료 제조용 로봇 그리퍼
US11717115B2 (en) * 2020-07-28 2023-08-08 Zhengxu He Multi-stage cooking
US20220031123A1 (en) * 2020-07-28 2022-02-03 Zhengxu He Microwave cooking systems
US20240076179A1 (en) * 2021-04-14 2024-03-07 Soykan DIRIK Automated fountain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250011153A1 (en) * 2021-04-14 2025-01-09 Soykan DIRIK Automated fountain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220369854A1 (en) * 2021-05-18 2022-11-24 7-Eleven, Inc. Coffee machine configured to monitor multiple beverage orders at various positions throughout the coffee machine
US12167811B2 (en) * 2021-05-18 2024-12-17 7-Eleven, Inc. Coffee machine with robotic arms and a lift traveling between platform levels
JP7580779B2 (ja) * 2021-12-27 2024-11-12 TechMagic株式会社 調理容器用装着向き調整台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調理設備
US11969878B2 (en) * 2022-06-16 2024-04-30 Chefee Robotics Inc. Robotic food prepa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0772A (ja) * 1992-11-30 1994-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ロボット用把手
JP2005504259A (ja) * 2001-09-29 2005-02-10 暁林 張 料理法の全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による自動料理システム
US20120006826A1 (en) * 2010-07-07 2012-01-12 Bedias Creek Llc. Cookware system for increased safety
KR20120096135A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해피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WO2020166723A2 (ja) 2019-02-14 2020-08-20 TechMagic株式会社 料理自動提供システム、飲食店、飲食店用自動システム、料理自動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311533B2 (en) 2025-05-27
JP7580771B2 (ja) 2024-11-12
KR102784672B1 (ko) 2025-03-21
CN118139568A (zh) 2024-06-04
WO2023058426A1 (ja) 2023-04-13
US20240246244A1 (en) 2024-07-25
JP2023056941A (ja)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0412B (zh) 可直角转向输送基板的基板输送装置
CN102240156B (zh) 一种免升降锅具运动方法及装置和烹饪设备
KR102075001B1 (ko) 순환형 자동 조리장치
US20060248857A1 (en) Improved capsule filling machine
KR20240073948A (ko) 조리 용기 유지 유닛 및 이것을 탑재한 조리 용기 자동 반송 장치
KR102542301B1 (ko) 교반 조리 장치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JP7580779B2 (ja) 調理容器用装着向き調整台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調理設備
US7644710B2 (en) Grill
KR100660172B1 (ko) 버섯재배용 탈병장치
KR101801284B1 (ko) 승강 기능을 구비하는 상차림용 테이블
JPH10248698A (ja) 飲食物搬送用のコンベア装置
KR101757865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2571943B1 (ko) 볶음장치
KR102704597B1 (ko) 튀김기용 기계식 튀김바스켓 리프팅장치
KR200391178Y1 (ko) 육가공장치
KR102664826B1 (ko) 상판 회전형 가스버너
CN210643657U (zh) 烹调设备
CN113911699B (zh) 加工设备
CN221453184U (zh) 一种用于防火玻璃的新型注胶装置
CN114012439B (zh) 一种建筑屋面钢结构焊接施工装置
CN210418241U (zh) 一种锅具翻转装置
US6044617A (en) Dough packing machine with tiltable spoons
JPH074688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KR200162326Y1 (ko) 냉장고의 하부프레임 조립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