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88A - Folding last-mile mobility - Google Patents
Folding last-mile mo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4688A KR20240054688A KR1020220134941A KR20220134941A KR20240054688A KR 20240054688 A KR20240054688 A KR 20240054688A KR 1020220134941 A KR1020220134941 A KR 1020220134941A KR 20220134941 A KR20220134941 A KR 20220134941A KR 20240054688 A KR20240054688 A KR 20240054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footrest
- handle
- mobility
-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00)는 연결체(110), 전측발판(120), 후측발판(130) 및 힌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발판(120)과 후측발판(130) 사이에는 힌지(140)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에 의해 후측발판은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140)는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는 힌지연결부(141)에 의해 회동되되, 상기 힌지연결부(141)은 일측 핀과 타측 핀을 구비한다.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unit 100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 slide unit 200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wheel, and a handle unit 3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 the footrest portion 100 consists of a connector 110, a front footrest 120, a rear footrest 130, and a hinge 140, and a hinge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footrest 120 and the rear footrest 130. 140) is installed, and the rear footrest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ootrest by the hinge, and the hinge 140 includes one side hinge body (140F) and the other hinge body (140R), and the one side hinge The body 140F and the other hinge body 140R are rotated by a hinge connection part 141, and the hinge connection part 141 has one pin and the other p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부의 힌지에 'ㄱ'자 형태의 슬라이딩 홀을 형성하여 발판부를 전측발판과 후측발판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ldable last-mile mob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last-mile mobility in which the front and rear footrests of the footrest can be folded by forming an 'ㄱ'-shaped sliding hole in the hinge of the footrest.
최근 친환경 운동의 확산으로 개인 이동수단이 주목받고 있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eco-friendly movements, personal transportatio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는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 전동형 이동수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목적지까지 남은 1마일을 이동할 수 있는 최후의 이동수단을 의미한다. 버스나 전철 등 대중교통수단이 가기 힘든 단거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 현대인에게는 그 필요성이 더해지고 있다.Last mile mobility is a term referring to personal electric transportation such as electric bicycles and electric kickboards, and refers to the last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travel the remaining mile to the destination. The need for modern people is increasing because they can quickly and easily travel short distance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by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or trains.
또한, 출퇴근길 불특정 다수와의 밀접 접촉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대중교통보다는 야외에서 혼자 탈수 있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선호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trend of people preferring last-mile mobility, which allows them to ride alone outdoors, rather than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nevitably involves close contac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n their way to and from work.
자동차 회사에서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이동 서비스의 연결고리로 보고 있으며, 라스트마일 모빌리티가 활성화될 경우 교통혼잡 완화, 연료 소비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저감,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대기오염 감소, 이동시간 절약 등 다양한 사회적 편익 증대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중교통과 연결성이 나쁜 지역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대체 교통수단으로 주목하고 있다.Automobile companies view last-mile mobility as a link between mobility services, and when last-mile mobility is activated, it will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reduce fuel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reduce ultrafine dust, fine dust, and air pollution, and save travel time. It is expected to increase various social benefits,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alternative transport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 areas with poor connectivity to public transportation.
종래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는 부피가 크고 자동차에 탑재하기 어려워 실용성이 많이 부족하였다. 자동차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작고 가볍게 제조하여야 한다.Previously, last mile mobility was bulky and difficult to mount on a car, so it lacked practicality. In order to increase connectivity with automobiles, they must be manufactured small and light.
본 발명은 휴대시 또는 운반시에 사용자가 손쉽게 접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last mile mobility that can be easily folded and transported by users when carrying or transporting.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00)는 연결체(110), 전측발판(120), 후측발판(130) 및 힌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발판(120)과 후측발판(130) 사이에는 힌지(140)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에 의해 후측발판은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140)는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는 힌지연결부(141)에 의해 회동되되, 상기 힌지연결부(141)은 일측 핀과 타측 핀을 구비한다.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은 'ㄱ'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140FH)을 구비하고, 상기 타측 힌지몸체(140R)는 회동 홀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연결부(141)의 일측 핀은 슬라이딩 홀(140FH)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의 타측 핀은 회동 홀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one side hinge body (140F) has an 'L' shaped sliding hole (140FH), the other hinge body (140R) has a pivot hole, and one side pin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141) has a sliding hole. It is coupled to the hole 140FH, and the other pin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on hole.
또한, 상기 핸들부(300)는 핸들부 몸체(310)와, 상기 핸들부 몸체(310)의 좌우측에 구비되고 핸들부 몸체로부터 타측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320)와, 상기 핸들부 몸체(310)로부터 손잡이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링(33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핸들부, 슬라이드부, 발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부, 슬라이드부, 발판부는 모두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접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고 이동시 휴대가 편리하다.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handle part, a slide part, and a footrest part, and the handle part, the slide part, and the footrest part all have a folding structure. By adopting a folding structure, it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and is convenient to carry when mo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후측발판을 회전시켜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를 접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able last mile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res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rotating the rear footrest and folding it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ootres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method of folding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repres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able last mile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는 앞바퀴 및 뒷바퀴를 구비하는 발판부(100)와,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수직하여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300)를 포함한다.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모빌리티는 발판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바퀴의 회전력을 공급받는다.The mobility is equipped with a battery on the footrest,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wheels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res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100)는 연결체(110), 전측발판(120), 후측발판(130) 및 힌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측발판(120)과 후측발판(130) 사이에는 힌지(140)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에 의해 후측발판은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체(110)는 일측에 통공을 가지며 하향 라운드 형상을 갖는 바디(111)와, 상기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앞바퀴(112)와, 상기 통공에 설치되고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113)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고 바디와 힌지결합되는 결합구(114)를 포함한다.The
상기 바디(111)는 일측에 통공을 갖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하향으로 라운드 경사진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11)의 라운드부 상측은 후측발판을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었을 때 후측발판의 뒷바퀴가 안착되는 공간영역을 제공한다.The
상기 앞바퀴(112)는 바디의 평면부에 형성된 통공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통공에는 지지대(113)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앞바퀴가 설치된다.The
상기 지지대(113)와 통공은 쓰러스터 베어링(미도시)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부(200)를 결합하기 위한 접철구(113a)가 구비된다. 상기 접철구에 의해 슬라이드부는 발판부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다.Th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1)의 타측에는 결합구(114)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14)는 바디(111)와 전측발판(120)을 힌지결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되돌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10)의 후측에는 전측발판(120), 힌지(140), 후측발판(13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a
상기 전측발판(120)과 후측발판(130)은 운전자의 발을 지지한다. 상기 전측발판(120)은 운행시 충격흡수를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삼차원 격자 구조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측발판(130)의 내부에는 배터리 보관대(131)가 장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대에 장착된 배터리는 뒷바퀴(13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힌지(140)는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는 힌지연결부(141)에 의해 회동연결된다. 상기 힌지연결부(141)은 각각 좌우측 일측 핀 및 타측 핀을 갖는다. 상기 일측 핀은 일측 힌지몸체의 슬라이딩 홀(140FH)에 끼워지며, 타측 핀은 타측 힌지몸체에 구비된 회동 홀(140R)에 끼워진다. The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에는 결속버튼(142)이 결합된다. 또 일측 힌지몸체의 좌우측에는 'ㄱ'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140FH)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 홀(140FH)은 수평홀과 수직홀로 이루어진다. A
한편, 상기 타측 힌지몸체(140R)에는 결속핀(143)이 결합된다. Meanwhile, a
상기 결속버튼(142)은 버튼프레임(142a)과, 상기 버튼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푸시버튼(142b)과, 상기 버튼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는 스토퍼홀(142c)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버튼은 스프링에 의해 스토퍼홀을 구속한다.The
도 4(b)를 참조하면, 결속핀(143)의 전측 단부에는 결속핀 홈(143p)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핀 홈(143p)은 결속버튼의 스토퍼홀(142c)에 체결된다. 상기 결속버튼의 스토퍼홀(142c)에 체결된 결속핀(143)은 푸시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스토퍼홀(142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가 서로 결속되어 있다.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를 분리하기 위하여, 일측 힌지몸체(140F)의 하부에 구비된 푸시버튼(142b)을 상측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도 5(b)에서, 타측 힌지몸체(140R)는 일측 힌지몸체(140F)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힌지연결부(141)의 일측 핀은 슬라이딩 홀(140FH)의 수평 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Referring to Figure 5(a), one side of the hinge body (140F) and the other side of the hinge body (140R) are bound to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one side hinge body (140F) from the other side hinge body (140R), the push button (142b)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one side hinge body (140F) is pressed upward. Accordingly, in FIG. 5(b), the
이어서, 도 5(c) 및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141)의 일측 핀의 중심으로 하여, 타측 힌지몸체(140R)를 회전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S. 5(c) and 5(d), the
이어서, 도 5(e)에서, 타측 힌지몸체(140R)를 하측으로 누른다. 이때, 힌지연결부(141)의 일측 핀은 슬라이딩 홀(140FH)의 수직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Next, in FIG. 5(e), the
이와 같은 힌지(140)의 동작으로 후측발판(130)을 전측발판(120)의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 도 6은 후측발판을 회전시켜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는 것을 보여준다.Through this operation of the
한편, 상기 연결체(110)의 바디(111)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후측발판을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었을 때 상기 라운드부의 상측은 후측발판의 뒷바퀴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라운드부의 상측은 후측발판의 뒷바퀴가 안착되는 뒷바퀴 안착공간영역을 제공한다. 도 6(a)의 도면부호 A는 뒤바퀴의 안착공간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Meanwhile, a round part is formed o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200)는 접이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부(200)는 하측 슬라이드부(210)와, 중앙 슬라이드부(220)와, 상측 슬라이드부(230)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중앙 슬라이드부(220)는 하측 슬라이드부(21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상측 슬라이드부(230)는 중앙 슬라이드부(22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도 7(a)는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The
상기 상측 슬라이드부와 중앙 슬라이드부는 잠금핀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중앙 슬라이드부와 하측 슬라이드부는 잠금핀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핀은 일회 누름동작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다른 누름동작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The upper slide part and the central slide part can be fixed using a locking pin. Also, the central slide part and the lower slide part can be fixed using a locking pin. The locking pin can b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by a single pressing operation, and the locked state can be released by another pressing operation.
도면을 참조하면, 하측 슬라이드부(210)의 타측 하부에는 개방부(210V)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부(210V)는 슬라이드부(20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접었을 때, 뒷바퀴(132)의 상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부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a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핸들부(300)는 핸들부 몸체(310)와, 상기 핸들부 몸체(310)의 좌우측에 구비되고 핸들부 몸체로부터 타측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320)와, 상기 손잡이에 끼워지고 핸들부 몸체(310)로부터 손잡이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링(330)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8(a)는 손잡이를 펼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손잡이를 접기 위하여, 좌우측 고정링(330)을 핸들부 몸체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손잡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링(330)이 손잡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gure 8(a) shows the handle in an unfolded state. To fold the handle, the left and right fixing rings 330 are moved outward from the handle body. At this tim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handle, which can prevent the
이어서, 손잡이(320)를 핸들부 몸체(310)의 타측으로 직각으로 접는다. 도 8(b)는 손잡이(320)를 핸들부 몸체(310)로부터 완전이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Next,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를 접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9 shows a method of folding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가 모빌리티를 접어서 보관하려면,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측 손잡이를 내측으로 접은 후, 슬라이드부(200)을 접는다. 이어서, 후측발판(120)을 전측발판(130)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접는다. If the driver wants to fold and store the mobility, as shown in FIG. 9(a), fold the left and right handles inward and then fold the
마지막으로, 도 9(b)에서, 상기 접혀진 슬라이드부(20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후측발판(130)의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도 9(c)는 완전히 접은 상태의 모빌리티를 나타낸 것이다.Finally, in Figure 9(b), the folded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는 핸들부, 슬라이드부, 발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부, 슬라이드부, 발판부는 모두 접이 구조를 갖는다. 접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작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하고 이동시 휴대가 편리하다.The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handle part, a slide part, and a footrest part, and the handle part, the slide part, and the footrest part all have a folding structure. By adopting a folding structure, it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and is convenient to carry when moving.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발판부
110 : 연결체
111 : 바디
112 : 앞바퀴
113 : 지지대
114 : 결합구
120 : 전측발판
130 : 후측발판
131 : 배터리보관대
132 : 뒷바퀴
140 : 힌지
140F : 일측 힌지몸체
140FH : 슬라이딩 홀
140R : 타측 힌지몸체
141 : 힌지연결부
142 : 결속버튼
200 : 슬라이드부
210 : 하측 슬라이드부
220 : 중앙 슬라이드부
230 : 상측 슬라이드부
300 : 핸들부
310 : 핸들부 몸체
320 : 손잡이
330 : 고정링100: Footrest part
110: connector
111: body
112: front wheel
113: support
114: Coupler
120: front footrest
130: rear footrest
131: Battery storage stand
132: rear wheel
140: hinge
140F: One side hinge body
140FH: sliding hole
140R: Hinge body on the other side
141: Hinge connection part
142: binding button
200: slide part
210: lower slide part
220: central slide part
230: upper slide part
300: handle part
310: handle body
320: handle
330: fixing ring
Claims (3)
상기 발판부(100)는 연결체(110), 전측발판(120), 후측발판(130) 및 힌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발판(120)과 후측발판(130) 사이에는 힌지(140)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에 의해 후측발판은 전측발판의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140)는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와 타측 힌지몸체(140R)는 힌지연결부(141)에 의해 회동되되, 상기 힌지연결부(141)은 일측 핀과 타측 핀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It includes a footrest portion 100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 slide portion 200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wheel, and a handle portion 3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ortion,
The footrest portion 100 consists of a connector 110, a front footrest 120, a rear footrest 130, and a hinge 140, and a hinge 14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footrest 120 and the rear footrest 130. ) is installed, and the rear footrest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ootrest by the hinge,
The hinge 140 includes one side hinge body 140F and the other hinge body 140R, and the one side hinge body 140F and the other hinge body 140R are rotated by a hinge connection portion 141, and the hinge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41 is configured to have a pin on one side and a pin on the other side.
상기 일측 힌지몸체(140F)은 'ㄱ'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140FH)을 구비하고, 상기 타측 힌지몸체(140R)는 회동 홀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연결부(141)의 일측 핀은 슬라이딩 홀(140FH)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의 타측 핀은 회동 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In claim 1,
The one side hinge body (140F) has an 'ㄱ' shaped sliding hole (140FH), and the other side hinge body (140R) has a pivot hole,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one pin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141 is coupled to the sliding hole 140FH, and the other pin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on hole.
상기 핸들부(300)는 핸들부 몸체(310)와, 상기 핸들부 몸체(310)의 좌우측에 구비되고 핸들부 몸체로부터 타측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320)와, 상기 핸들부 몸체(310)로부터 손잡이의 회동을 방지하는 고정링(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In claim 1,
The handle unit 300 includes a handle unit body 310, a handle 32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unit body 310 and installed to rotate from the handle unit body to the other side, and the handle unit body 310.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xing ring 330 that prevents rotation of the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941A KR20240054688A (en) | 2022-10-19 | 2022-10-19 | Folding last-mile mo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941A KR20240054688A (en) | 2022-10-19 | 2022-10-19 | Folding last-mile mob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4688A true KR20240054688A (en) | 2024-04-26 |
Family
ID=908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4941A Pending KR20240054688A (en) | 2022-10-19 | 2022-10-19 | Folding last-mile mo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4688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995A (en) | 2016-12-16 | 2018-01-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
KR20180134643A (en) | 2017-06-09 | 2018-12-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riving mode changeable small mobility |
KR20190003880A (en) | 2017-06-30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ink apparatus and foldable kickboard using the same |
KR20210015535A (en) | 2019-08-02 | 2021-0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ock absorber structure and mobility device incuding the same |
-
2022
- 2022-10-19 KR KR1020220134941A patent/KR2024005468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995A (en) | 2016-12-16 | 2018-01-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
KR20180134643A (en) | 2017-06-09 | 2018-12-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riving mode changeable small mobility |
KR20190003880A (en) | 2017-06-30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ink apparatus and foldable kickboard using the same |
KR20210015535A (en) | 2019-08-02 | 2021-0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ock absorber structure and mobility device inc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22763B2 (en) | Power folding scooter | |
US9873476B2 (en) | Foldable electric vehicle | |
US10654541B2 (en) | Convertible scooter | |
US9469366B2 (en) | Draw-bar box type portable folding electro-tricycle with folding chair function | |
US9694868B2 (en) | Foldable electric vehicle | |
US20180015978A1 (en) | Convertible Scooter and Handcart | |
EP3590809B1 (en) | Steering unit for folding bicycle | |
TWI635015B (en) | A foldable vehicle | |
ES2857708T3 (en) | Folding electric scooter | |
US11827300B1 (en) | Butterfly folding seat mechanism for personal transport device | |
CN112158287B (en) | An electric scooter | |
WO2023130604A1 (en) | Folding electric scooter | |
WO2017008411A1 (en) | Folding mechanism and foldable vehicle | |
KR20240054688A (en) | Folding last-mile mobility | |
CN108622284B (en) | One-key folding transportation scooter | |
WO2019033015A1 (en) | Compactible scooter | |
US20200247499A1 (en) | Foldable Vehicle | |
CN102951234A (en) | Suitcase-style folding bicycle | |
KR102575758B1 (en) | Folding last-mile mobility | |
CN106741452B (en) | Folding electric scooter | |
JP3091685U (en) | Folding bicycle | |
CN207595164U (en) | Fold multiwheel vehicle | |
CN210149483U (en) | Scooter | |
CN216231826U (en) | Safety seat convertible into push chair | |
CN107539408B (en) | Foldable transportation me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