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143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2143A KR20240052143A KR1020220131524A KR20220131524A KR20240052143A KR 20240052143 A KR20240052143 A KR 20240052143A KR 1020220131524 A KR1020220131524 A KR 1020220131524A KR 20220131524 A KR20220131524 A KR 20220131524A KR 20240052143 A KR20240052143 A KR 20240052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water supply
- tray
- sensor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물이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며, 냉기의 통로인 개구를 구비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트레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에서 감지되는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에서 상기 개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tray that forms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phase into ice by cold air, and has an opening that is a passage for cold air;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a water supply valve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tra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nd insulation surrounding the sensor. Includes absence.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an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keeping the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You can.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Typically, an ice maker for making ice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he ice maker collec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and then cools the water to create ic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may be stored in an ice bin.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Ice stored in the ice bin is discharged through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or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access the ice bin, and take out the ice from the ice bin.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개시된다. An ice mak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0918, a prior document.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The ice maker of the prior literature has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upper cells arranged, an upper tray including a pair of link guide part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and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lower cells arranged, and the upper tray a lower tray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to allow the lower tray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A pair of links connected to the guide part; and an upper ejecting pin assembly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links while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link guide portion,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nks.
선행문헌의 경우, 반구 형태의 상부 셀 및 반구 형태의 하부 셀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나, 급수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지 못하므로, 급수량에 따라서 얼음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prior literature, spherical ice can be generated by a hemispherical upper cell and a hemispherical lower cell, but since the technology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mount is not disclosed, the shape of the ice is constant depending on the water supply amount. There is a downside to not doing it.
본 실시 예에는, 목표 급수량 만큼 정밀하게 급수하여 제빙셀과 동일한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a refrigerator is provided that can produce ice of the same shape as the ice-making cell by supplying water precisely as much a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정밀 급수를 위하여 물을 복수 회 분할하여 제빙셀로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n ice-making cell in multiple splits for precise water supply.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분할 급수 횟수를 제한하여 급수 횟수가 제한 횟수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number of divided water supplies is limited to prevent the number of water supplies from increasing beyond the limit.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히터의 열을 제빙셀로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lying heat from a heater to an ice-making cell even while the second tray is moved to the moving position.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히터의 열을 제빙셀로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lying heat from a heater to an ice-making cell even while the second tray is moved to the moving position.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물이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며, 냉기의 통로인 개구를 구비하는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트레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may form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changes phase into ice by cold air, and may include a first tray having an opening that is a passage for cold air. The refrigerator forms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that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센싱 유닛에서 감지되는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에서 상기 개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tra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sensor.
상기 센서는 상기 제빙셀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water or ice in the ice-making cell.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센서가 관통하기 위한 센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may include a sensor hole through which the sensor passes.
상기 센서 홀의 하단은 상기 개구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bottom of the sensor hole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opening.
상기 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싱 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ay include a sensing ba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센싱 바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센싱 바가 상기 센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tray may include a senso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ensing bar is coupled. The sensing bar that penetrates the sensor coupl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ensor hole.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센싱 바 및 상기 센서 결합부를 둘러쌀 수 있다. The insulation member may surround the sensing bar and the sensor coupling portion.
상기 센싱 바의 상단은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top of the sensing bar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first tray.
상기 냉장고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을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pusher that penetrates the opening and presses ice generated in the ice-making cell.
상기 센싱 바의 상단은 상기 푸셔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bar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usher.
상기 센싱 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푸셔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bar may overlap the pus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센싱 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insulation member may be located between the pusher and the sensing bar.
상기 단열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센싱 바를 기준으로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의 수평 방향 두께는 상기 단열 부재의 다른 일부의 수평 방향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Another part of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rt of the insula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bar. The horizontal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thinner than the horizontal thickness of another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센싱 바의 상측을 수용하는 제 1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 1 단열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센싱 바가 관통하는 제 2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insulation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bar. The insulation member is located below the first insulation unit and may include a second insulation unit through which the sensing bar penetrates.
상기 센서는, 상기 센싱 바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장부는 상기 제 1 단열부와 제 2 단열부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될 수 있다. Th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nsing bar. The sensor extension part may be accommodat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insulation part and the second insulation part.
상기 제 1 단열부와 상기 제 2 단열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센싱 바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may include a guide groove that guides the wire connected to the sensing bar.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단열 부재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heat insulating member.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nd the cover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tray case.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과 상기 급수부는 복수의 제빙셀의 배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that guides water to the ice-making cell. There may be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The sens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상기 제빙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의 연장선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센싱 유닛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guide for guiding cold air toward the ice-making cell. The extension of the cold air guide may pass through one or mor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의 급수를 위하여, 상기 제빙셀로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equal to a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cel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second tray to the ice-making position after completing the supply of wate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water supply amou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cell has reached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빙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cell reach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controller can start ice-making. If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making cell does not reach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been reached has reached the standard number.
상기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빙실을 시작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been reached reaches the standard number, the control unit may start the ice making room.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상기 제 2 트레이를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작은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been reached does not reach the standard number,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tray back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n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by a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smaller than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You ca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된 후,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작은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tray is moved back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by a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when additional water supply conditions are satisfi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초기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로 낮아지면 상기 제빙셀로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equal to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cell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falls below the initi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상기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초기 급수 시작 온도와 동일하거나 큰 추가 급수 시작 온도에 도달한 경우일 수 있다.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condition is satisfie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may reach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iti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상기 냉장고는 이빙 과정에서 작동하는 이빙용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heater that operates during the moving process.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o enable movement of the second tr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온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turn on the moving heater after ice production in the ice-making cell is comple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용 히터가 온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I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unit are satisfied after the moving heater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second tray to the moving position to remove ice from the ice making c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용 히터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turn off the moving heater when the termination condition of the moving heater is satisfied.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door.
상기 제빙기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may include a tray forming an ice-making cell. The ice maker may include a sensing unit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cell.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sensor.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valve that regulates water supply to the ice-making cell.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목표 급수량 만큼 정밀하게 급수하여 제빙셀과 동일한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ce of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ice-making cell can be generated by supplying water precisely as much a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분할 급수 횟수를 제한하여 급수 횟수가 제한 횟수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이 방지하여 제빙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limiting the number of split water suppli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umber of water supplies from increasing beyond the limit, thus preventing a delay in ice making.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센서가 단열 부재 내에 수용되므로 냉기가 센서로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sensor is accommodated in the insulation member, cold air can be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sensor.
본 실시 예는,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히터의 열을 제빙셀로 공급할 수 있어 이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heat from the heater can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even while the second tray is moved to the moving position, so mov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평면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서포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제 2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제 2 트레이의 사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의 제 2 서포터의 사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제 2 푸셔의 사시도.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센싱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제 1 트레이에 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도 8의 20-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1은 도 8의 20-2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2는 본 실시 예의 단열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
도 2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6은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제 2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in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8 is a plan view of a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top.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is a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ppor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12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13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of this embodiment.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upporter in this embodiment.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ush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this embodiment.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coupled to a first tray.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2 of Figure 8.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1 of Figure 8.
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insulation member of this embodiment.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of this embodiment.
Figure 2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ice in the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is completed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2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ray is moved to the ice-making 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The storage compartment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19).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For example, Figure 2 show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a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frigerating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irst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first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2 exemplarily shows that the refrigerator 1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but unlike this, it is revealed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or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put it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ide-by-side type or top-mount type refrigerat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include a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The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If the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Cold generated in a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Cold generated in the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has a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The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The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orm of ice produced by the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spherical shape” means not only a spherical shape but also a shape similar to a spherical shape geometrically.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When the structures and/or moving methods of the ice makers are different, the shape of the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Due to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first and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The width of the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The first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heat transfer between the refrigerating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when the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Meanwhile, a filt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103 of the first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in Figure 3.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The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ice production in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vertical length of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An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An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1)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A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도 7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8 is a top view of the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top, 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하거나,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2 트레이(550)를 포함하거나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550) 및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assembly may include a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에는 급수부(5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46)는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부(546)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A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물이 콜드(일례로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50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빙셀(50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상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하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에 의해서 복수의 제빙셀(501)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개의 제빙셀(501)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A plurality of ice-making
상기 제빙셀(50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면, 상기 제빙셀(50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례로 상기 제빙셀(501)은 구 형태 또는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셀(501)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water is cooled by cold air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제 1 서포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case may include the
상기 제 1 서포터(5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의 분리를 위한 제 1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후술할 구동부(58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푸셔(5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푸셔(540)는 푸셔 링크(54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푸셔 링크(548)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셔 링크(548)가 움직이면 상기 제 1 푸셔(540)도 상기 제 1 서포터(530)에 의해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제 2 트레이 커버(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제 2 서포터(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tray case may include a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제 2 서포터(57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상기 제 2 서포터(570)로 제공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5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푸셔(540)가 이동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부(580)는,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는 만빙 감지 레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도 회전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만빙 감지 레버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는 회전되면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may have an overall 'ㄷ' shape. The full ice detection lever may detect ice stored in the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캠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캠의 회전 과정에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자석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출력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 중 어느 하나는 High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low 신호일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 및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550)(또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트레이(550) 및 상기 캠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캠에 구비되는 자석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할 급수 위치, 제빙 위치 및 이빙 위치가 구분 및 판단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2 푸셔(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90)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푸셔(590)는, 상기 제빙셀(501)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센싱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제빙셀(501)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501)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제빙셀(501)의 내부 온도라 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제 1 트레이 커버(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는 개구(5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일부는 상기 개구(523)를 관통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는, 상기 개구(523)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히터 케이스(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케이스(521b)는 후술할 이빙용 히터(503)를 수용할 수 있다. The
상기 히터 케이스(521b)에 수용된 상기 이빙용 히터(503)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이빙용 히터(503)는 적어도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01)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로 공급된 열은 상기 제빙셀(501)로 전달될 수 있다. The moving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냉기를 상기 개구(523) 측으로 안내하는 냉기 가이드(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일부가 개구(523)를 관통하므로, 상기 냉기 가이드(524)에 의해서 가이드된 냉기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서포터(530)와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 보스(5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525)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525)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서포터(5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와 상기 제 1 서포터(530) 사이에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보스(525) 및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서포터(53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상기 센싱 유닛(400)은 복수의 체결 보스(525) 중 일부의 체결 보스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센싱 유닛(400)을 상기 체결 보스에 결합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급수부(546)가 결합되는 결합부(5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8)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8)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결합부(528)는 고정돌기(52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28a)는 상기 결합부(528)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급수부(546)는 상기 결합부(528)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하여 연장된 연장부(54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46a)는 상기 급수부(546)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연장부(546a)는 상기 고정돌기(528a)가 관통하는 고정홀(546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연장부(546a)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54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8)는 상기 체결홀(546c)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528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과 상기 급수부(546)는 제빙셀(501) 들의 배열 방향(일 례로 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이 냉기의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냉기 가이드(524)의 연장선(A1)과 상기 제 1 푸셔(540) 사이에 상기 센싱 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냉기가 유동하는 관점에서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급수부(546)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cold air flowing,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급수부(546)와 상기 냉기 가이드(5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냉기 가이드(524)의 연장선(A1)은 상기 급수부(546)와 냉기 가이드(524)를 통과할 수 있다. The extension line A1 of the
상기 냉기 가이드(524)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멀게 위치한 제빙셀(501)(최외곽 제빙셀) 측으로 유동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멀게 위치한 제빙셀(501) 측에 상기 급수부(546)가 위치되면, 상기 급수부(546)에 의해서 냉기가 최외곽 제빙셀 측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빙셀(501)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The cold air guided by the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2 푸셔(590)가 고정되는 푸셔 고정벽(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 고정벽(526)은 경사질 수 있다. The
상기 푸셔 고정벽(526)에는 상기 제 2 푸셔(590)의 설치를 위한 푸셔 안착홈(527)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는 상기 제 2 푸셔(590)가 하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기 위한 걸림 돌기(527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푸셔 고정벽(526)에는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안착된 제 2 푸셔(59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527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7b)는 상기 푸셔 고정벽(526)에서 상기 푸셔 안착홈(527)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7b)는 푸셔 안착홈(527)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 돌기(527b)는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안착된 상기 제 2 푸셔(590)와 접촉되거나 상기 제 2 푸셔(590)를 가압할 수 있다. The
상기 브라켓(520)은 제 2 공간(124)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빙실 온도센서(도 24의 1005참조)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부(5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529)는 일례로 상기 둘레부(5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529)는 상기 둘레부(522)에서 상기 개구(523)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제빙실 온도센서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상기 센서 장착부(52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546)와 상기 센싱 유닛(400) 사이 공간을 바라볼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uppor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는 상부 플레이트(53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상기 상부 플레이트(531)에는 플레이트 개구(531a)(또는 관통공)가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상부 플레이트(501)에서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리어(532)가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배리어(53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벽(5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벽(536)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푸셔(54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5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537)의 일부는 상기 연장벽(53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537)의 다른 일부는 상기 연장벽(536)의 하측에 위치되는 배리어(53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537)에는 상기 제 1 푸셔(5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가이드 슬롯(537)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브라켓(520)과 체결되기 위한 위한 복수의 체결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538)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3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체결부(538)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3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38)는 상기 브라켓(520)의 체결 보스(525)와 정렬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트레이(530)에 구비되는 돌기(후술함)가 수용되는 돌기 슬롯(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슬롯(533)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53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개폐되거나 또는 상기 냉장고(1)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의 물이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 사이 갭을 통해 외부로 넘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벽(5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물넘침 방지벽(539)은 일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5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ater
상기 제 1 트레이(510)가 상기 제 1 서포터(530)와 결합되면, 상기 물넘침 방지벽(539)은,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될 수 있다. When the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ure 12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빙셀(501)의 일부인 제 1 셀(511a)을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빙셀(50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벽(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일례로 복수의 제 1 셀(511a)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셀(511a)은 일례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개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514)는 상기 제 1 셀(511a)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개구(514)는, 냉기가 상기 제 1 셀(511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514)는 얼음 생성을 위한 물이 상기 제 1 셀(511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514)는 상기 제 1 푸셔(54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푸셔(540)의 일부가 상기 개구(514)를 통과하여 상기 제빙셀(50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빙셀(501)과 연통되는 보조 저장실(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실(515)은 일례로, 상기 제빙셀(501)에서 넘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실(515)에는 급수된 물이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팽창되는 얼음이 위치될 수 있다. 즉, 팽창되는 얼음이 상기 개구(514)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저장실(515)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실(515)은 저장실 벽(515a)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벽(515a)은 상기 개구(514)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벽(515a)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복수의 제 1 셀(511a) 중 일부의 제 1 셀(511a)에 대응되는 저장실 벽(515a)은 물 유입을 위한 유입 개구(5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개구(519)에 상기 급수부(546)의 출구가 정렬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저장실 벽(515a)을 통과한 후에 상기 개구(514)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벽(515a)은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개구(514)를 상기 제 1 푸셔(540)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514) 주변이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개폐 과정 또는 상기 냉장고(1)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의 물이 상기 개구(514)를 통해 상기 저장실 벽(515a)의 외측으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저장실 벽(515a)의 상단부에는 차단벽(515b)이 구비될 수 있다. To prevent water in the ice-making
상기 차단벽(515b)이 물 넘침을 제한하면서도 상기 제 1 푸셔(540)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벽(515b)의 중앙부에는 관통홀(515c)이 구비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차단벽(515b)에는, 상기 관통홀(515c)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515d)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515d)은 일정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blocking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 1 트레이 벽(5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 벽(5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 벽(517)은 상기 제 1 연장 벽(517)의 상측 단부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 벽(517)에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홀(517a)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제 1 연장벽(517)에는 돌기(517b, 517c)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벽(517)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517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517)의 하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51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센싱 유닛(400)의 일부가 관통하는 센서 홀(5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511b)은 상기 제 1 트레이 벽(51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센서 결합부(5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511c)는 상기 제 1 트레이 벽(511c)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의 센싱 바(412)는 상기 센서 결합부(511c)를 관통한 후에 상기 센서 홀(511b)에 수용될 수 있다. The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제 2 트레이 커버의 사시도이다.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cover of this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 2 트레이 커버(560)는, 하부 플레이트(5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의 하면에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56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에 고정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일부는 상기 개구(562)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36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의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는 하부 플레이트(561)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56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라운드 벽(56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는, 체결 보스(5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56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보스(567)의 하측에서 체결 보스(567)에 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5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568)에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는 제빙셀(501)에서 넘친 물을 저장하는 물 수용 챔버를 정의하는 챔버 벽(5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벽(569)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561)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제 2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ray in this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빙셀(501)의 다른 일부인 제 2 셀(551a)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2 셀(551a)을 정의하는 제 2 트레이 벽(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일례로 복수의 제 2 셀(551a)을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셀(551a)은 일례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5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셀(551a)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벽(551)이 상기 복수의 제 2 셀(551a)을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2 트레이 벽(551)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배리어(5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557)는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벽(5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트레이 벽(551)의 상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배리어(557)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둘러쌀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벽(557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557b)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와의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홀(557a)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연장벽(557b)에는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557d)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도 16은 본 실시 예의 제 2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upporter in this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서포터(570)는 제 2 트레이(550)의 하부가 안착되는 서포터 바디(57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the
상기 서포터 바디(571)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57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서포터 바디(571)는 이빙 과정에서 제 2 푸셔(59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572)(또는 관통공)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개구(572)로 제 2 트레이(550)의 하측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572)에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제 2 서포터(570)는 히터 결합부(57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576c)는 상기 서포터 바디(571)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접촉되는 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576c)의 일부는 상기 하부 개구(57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576c)에는 투명빙 히터(도 20의 505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서포터 바디(571)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57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577b)은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 2 체결홀(557a)과 정렬될 수 있다. One or
상기 제 2 서포터(550)는 둘레벽(5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575)의 일면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연장부(5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연장부(573)는 관통공(5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574)에는 구동부(580)의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제 2 푸셔의 사시도이다.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usher of this embodiment.
도 10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푸셔(590)는 상기 브라켓(5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90)는 플레이트(5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591)는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7 , the
상기 제 2 푸셔(590)는 상기 플레이트(591)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푸싱 바(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바(592)는 상기 제빙셀(501)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푸싱 바(592)는 상기 제 2 서포터(570)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푸싱 바(592)는 접촉된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가압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푸셔(590)는 상기 플레이트(591)의 타면에 형성되는 돌기 가이드 홈(5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가이드홈(593)은 상기 플레이트(59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가이드홈(593)은 상기 플레이트(591)가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527a)를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돌기 가이드홈(593)의 하측에는 경사면(59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93a)은 상기 플레이트(591)의 하단(593b)과 이격될 수 있다. An
상기 플레이트(591)가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527a)는 상기 경사홈(593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591)가 상기 푸셔 안착홈(527)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걸림 돌기(527a)는 상기 경사홈(593a)을 지나 상기 플레이트(591)의 하단(593b)에 걸릴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센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 1 트레이에 센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8의 20-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8의 20-2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this embodiment,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is coupled to the first tray,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2 of FIG. 8, and FIG. 21 is a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s 20-21 in 8.
도 22는 본 실시 예의 단열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실시 예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of this embodiment, and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of this embodiment.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유닛(400)은, 트레이 온도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를 "센서"로 간략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18 to 23, the
상기 센서(41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결합되어 상기 제빙셀(501)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410)는, 센싱 바(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바(412)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410)는 센서 연장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장부(414)는 상기 센싱 바(4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센싱 바(412)와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 연장부(414)는 상기 센싱 바(412)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바(4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장부(414)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바(412)는 상기 센서 홀(511b)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511b)에 수용된 상기 센싱 바(412)의 단부는 상기 제 1 셀(511a)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바(412)의 단부는 상기 제 1 셀(511a)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로 급수된 물은 상기 센싱 바(412)와 접촉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바(412)의 상단은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바(412)의 상단은 상기 저장실 벽(515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top of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단열 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450)는 상기 센서(410)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400)에 의해서 냉기가 상기 센서(41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상기 단열 부재(450)는 제 1 단열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센서(4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센싱 바(412)의 상측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상기 단열 부재(450)는 제 2 단열부(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부(455)는 상기 센서(410)의 다른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바(412)의 일부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바(412)에서 상기 센서 연장부(414)의 상측 부분은 상기 제 1 단열부(451)에 수용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센싱 바(412)가 수용되는 수용홈(4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452)은 상기 제 1 단열부(451)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센서 연장부(414)는 상기 제 1 단열부(451)와 상기 제 2 단열부(455)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센서 연장부(414)가 수용되는 함몰부(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53)는 상기 제 1 단열부(451)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장부(414)가 상기 함몰부(453)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센서(4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단열부(451)와 상기 제 2 단열부(455)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센싱 바(412)에 연결된 와이어(416)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단열부(451)와 상기 제 2 단열부(455) 각각이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상기 제 1 단열부(451)는 상기 센싱 바(412)에 연결된 와이어(416)를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홈(4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가이드 홈(454)은 상기 제 1 단열부(451)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454)은 상기 수용홈(45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가이드 홈(454)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45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454)은 상기 함몰부(45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연장부(414)가 상기 함몰부(45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416)는 상기 센서 연장부(414)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홈(454)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센싱 바(412)에서 상기 센서 연장부(414)의 하측 부분 중 일부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바(412)의 하측 부분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단열부(455)를 관통한 후에 상기 센서 홀(511b)에 삽입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센서 연장부(414)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에 안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단열부(455)는 상기 센싱 바(412)가 관통하는 관통홀(4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56)은 상기 제 2 단열부(455)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 연장부(414)가 안착되는 안착홈(457)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착홈(457)은 생략 가능하다. A
상기 제 2 단열부(455)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454)에 의해서 안내된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홈(4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45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단열부(455)는 접촉부(4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59)는 상기 센서 결합부(511c)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59)는 상기 센서 결합부(511c)를 둘러쌀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520)의 제 1 트레이 커버(52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차단벽(515b)에 안착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은 커버 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단열 부재(45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제 1 단열부(451)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제 2 단열부(455)에서 상기 접촉부(45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단열 부재(450)의 수용을 위한 공간(432)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4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브라켓(520)의 체결 보스(525)에 안착되는 결합 바디(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433)는 상기 커버 바디(43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결합 바디(433)가 상기 커버 바디(43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433)에는 결합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와이어(416)가 통과하는 와이어 홀(4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C1)은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개구(514)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511b)은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511b)의 최저점은 상기 개구(51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vertical center line C1 of the
상기 센서 홀(511b)을 관통한 센서(410)의 단부(410a)는 상기 개구(514)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푸셔(540)는 연장 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연장 바디(5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푸싱 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빙 과정에서 상기 푸싱 바(544)는 상기 개구(514)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501)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The
상기 센싱 유닛(4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유닛(400)은 상기 제 1 푸셔(540)를 바라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바(412)가 상기 푸싱 바(544)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센싱 바(412)의 상단은 상기 제 1 푸셔(540)의 하단 보다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싱 바(412)의 상단은 상기 푸싱 바(544)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단열 부재(450)의 일부는 상기 제 1 푸셔(540)와 상기 센싱 바(4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45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센싱 바(412)를 기준으로 상기 단열 부재(450)의 일부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단열 부재(450)의 일부의 수평 방향 두께는 상기 단열 부재(450)의 다른 일부이 수평 방향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The horizontal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상기 커버 부재(430)의 일부는 상기 개구(514)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430)는 상기 푸싱 바(54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빙 과정에서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센싱 유닛(400)과 간섭되는 것이방지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센서(410)의 일부는 상기 이빙용 히터(503)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상기 센싱 바(412)는 상기 저장실 벽(515a)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450)의 일부는 상기 저장실 벽(515a)과 상기 센싱 바(4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도 2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2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2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2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ice in the second ice mak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26은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은 제 2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has been completed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ray has been moved to the ice making position.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1020)(또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일례로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4 to 28 ,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supply means 1020 (or cooling unit) for supplying cold air.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supply cold air to the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일례로 냉매를 압축하기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출력(또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mpressor to compress the refrigerant. The temperature of cold air supplied to the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증발기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출력(또는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달라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include a fan for blowing air to the evaporator. The amount of cold air supplied to the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include a refrigerant valve that adjusts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ycle.
상기 냉매밸브에 의한 개도 조절에 의해서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ycle is varied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valve, and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상기 압축기, 팬 및 냉매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ompressor, fan, and refrigerant valve.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냉장고는, 상기 급수부(546)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 센서(10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급수량을 제어하는 급수 밸브(1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유량 센서(1002)는 자석이 장착된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 과정에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 센서가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거나 상기 홀 센서와 상기 자석이 정렬되면 상기 홀 센서에서 제1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가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자석이 상기 홀 센서와 소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홀 센서에서 제2신호가 출력된다. The
상기 제1신호(펄스)는 반복적으로 출력되므로, 상기 제1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급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신호의 펄스의 개수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first signal (pulse) is output repeatedly, the water supply amount can be confirm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he first signal. Hereinafter, comparison of the number of pulses of the first signal with the reference number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1000)는 카운트되는 제1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이빙용 히터(503), 상기 투명빙 히터(505), 상기 구동부(580), 냉기공급수단(1020), 급수 밸브(1004)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빙실 온도 센서(10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making
상기 제어부(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장착되는 센서(트레이 온도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빙셀(501)에 목표 급수량 만큼의 물이 급수되면, 상기 센서(410)는 물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로 공급된 물의 온도는 영상의 온도이며 상온이거나 상온 보다 다소 낮은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영상의 온도인 기준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When the targ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반면, 상기 제빙셀(501)에 목표 급수량 보다 적은 양의 물이 급수되면,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부족 급수량만큼의 영역에는 냉기가 위치된다. 냉기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므로, 냉기와 접촉한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상기 기준 온도 보다 낮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less wat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빙셀(501)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빙셀(501)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부(1000)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상승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creating ice in the second ice maker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킨다(S1). To produce ice in the
본 명세서에서, 도 27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도 26의 이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정 방향 이동(또는 정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반면, 도 26의 급수 위치에서 도 27의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역 방향 이동(또는 역 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in FIG. 26 to the ice making position in FIG. 27 may be referred to as reverse movement (or reverse rotation).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 이동은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를 정지시킨다.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With the
후술할 것이나, 제빙 완료 후에는 이빙을 위하여 이빙용 히터(503) 및/또는 투명빙 히터(505)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이빙용 히터 및/또는 투명빙 히터(505)의 열이 상기 제빙셀(501)로 제공된다. 상기 제빙셀(501)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영상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게 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the moving
만약, 이빙이 완료된 직후에 바로 급수를 시작하게 되면, 상기 제빙셀(501)로 목표 급수량 만큼의 물이 급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히터의 열의 영향에 의해서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급수 시작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If water supply is started immediately after ice-making is completed, even though the target amount o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ice-making
이 경우, 목표 급수량 보다 적은 양의 물이 급수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되면, 얼음이 완전하게 얼지 않은 상태에서 제빙 완료가 판단될 수 있고, 얼음이 투명해지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if ice making starts with less wat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completion of ice making may be determined while the ice is not completely frozen, and the ice will not become transparent.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빙이 완료된 직후에 바로 급수를 시작하지 않고, 냉기에 의해서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낮아지도록 대기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water supply is not started immediately after moving is completed, but the water supply is waited for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초기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로 낮아지면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초기 급수 시작 온도는 상기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초기 급수 시작 온도는 영하의 온도일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초기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제 1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가 수행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제어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tep S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은 목표 급수량 보다 작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water supply amount is small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상기 유량 센서의 하우징 내에서 임펠러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임펠러와 하우징 내주면에 간격이 존재하여야 한다. In order for the impeller to rotate within the housing of the flow sensor, there must be a gap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면, 물의 일부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서 유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간격으로 바이패스 되어 유동하게 된다. When the impeller rotates, part of the water flows by the impeller, and the other part flows by bypassing the gap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수압이 기준 수압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간격으로 유동되는 물의 양이 적으므로, 상기 임펠러의 회전 과정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목표 급수량에 대응하는 기준 개수에 도달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오프시키더라도,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When the water pressur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water pressur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 the gap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is small, so the number of pulses output during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reaches the standar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supply valve Even if is turned off,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is almost the same a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그런데, 수압이 기준 수압 보다 낮으면, 상기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 간격으로 유동되는 물의 양이 증가된다. However, when the water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pressur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increases.
이 경우, 상기 임펠러의 회전 과정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목표 급수량에 대응하는 기준 개수에 도달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오프시키게 되면,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 보다 많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number of pulses output during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reaches the standar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supply valve is turned off,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becomes great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 보다 많으면, 물이 제 1 트레이(510)의 개구(514) 보다 높은 위치까지 차게 되므로, 제빙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보조 저장실에 생성되거나 보조 저장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is great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water fills up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수압이 낮은 지역에 냉장고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 보다 낮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considering that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n area with low water pressure, the first reference water supply amount can be set to be lower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이 경우, 수압이 낮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가 이루어져도 실제의 급수량이 상기 목표 급수량과 동일하거나 적을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water is supplied as much as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in a low water pressure state,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may be the same as or less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한편,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는 필터를 교체하거나, 냉장고 구매 후 작동 초기에는 상기 유로에 물이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고, 공기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replacing a filter provided in the water flow path or initially operating the refrigerator after purchasing it, the flow path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with water and may contain air.
유로 상에 물과 공기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 1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를 수행하여도, 실제 급수량은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작을 수 있다. 만약, 이 상태에서 바로 제빙이 시작되면, 얼음이 완전하게 얼지 않은 상태에서 제빙 완료가 판단될 수 있고, 얼음이 투명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both water and air are included in the flow path, even if water is supplied as much as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If ice making begins immediately in this state, completion of ice making may be determined while the ice is not completely frozen, and the ice may not become transparent.
상기 제어부(1000)는, 급수를 위하여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온시키고, 상기 유량 센서(1002)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제 1 기준 급수량에 대응하는 제 1 기준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오프시킨다. The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된 이후에, 물 퍼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S4). After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is supplied, the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580)를 제어한다(S5).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 이동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를 정지시킬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ice making position of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제어부(1000)는, 제빙셀(501)의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 일례로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상승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the
단계 S6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 상승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빙을 시작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반면, 단계 S6에서 판단 결과,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추가 급수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 that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does not reach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추가 급수 수행 전에 상기 제어부(1000)는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미도달한 횟수가 기준 횟수(또는 제한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 Before additional water supply is performed, the
상기 급수 밸브(1004)의 고장이나 단수 등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추가 급수를 여러번 진행한 이후에도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미도달할 수 있다. If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a failure of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미도달한 횟수(누적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추가 급수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제빙을 시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이 지연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imes (accumulated number of times)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has not reached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reached the standard number, the
또는, 단계 S7은 추가 급수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step S7 may be replaced with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additional water supplies has reached the reference number.
반면,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미도달한 횟수(누적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추가 급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580)를 제어할 수 있다(S8).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times (accumulated number of times)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has not reached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reached the standard number,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 The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추가 급수 시작 온도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급수 시작 온도는 상기 초기 급수 시작 온도와 동일하거나 높은 온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상기 추가 급수 시작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상기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추가 급수가 수행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제어할 수 있다(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al water supply condition is satisfied, the
상기 제 2 기준 급수량은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적다. The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상기 제어부(1000)는, 급수를 위하여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온시키고, 상기 유량 센서(1002)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제 2 기준 급수량에 대응하는 제 2 기준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오프시킨다. The
상기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된 이후에, 일정 시간 대기 후(S4),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580)를 제어한다(S5). 상기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된 이후, 단계 S4 내지 S6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추가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7 내지 S10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is supplied, after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4),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빙셀(501)의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 After the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1차 급수 이후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 급수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1차 급수 단계를 기본 급수 단계로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은 기본 급수 단계와, 1회 이상의 추가 급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fter the first water supply, additional water supply can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making cell reach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may be considered the basic water supply step. The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ic watering step and one or more additional watering steps.
상기 제빙셀(501)의 실제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S11). When the actual water supply amount to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도달하고 급수 완료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When the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냉기가 상기 제빙셀(501)로 공급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급수가 완료되어 제빙이 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ice making starts, the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 The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이 상기 제빙셀(501)로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505)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n condition of the
상기 투명빙 히터(505)가 온되는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열이 상기 제빙셀(501)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빙셀(501)에서의 얼음의 생성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When the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음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제 2 제빙기(5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generation speed is adjusted so that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inside the ice-making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설정된 특정 시점으로 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투명빙 히터(505)가 온 되기 이전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시점은 제빙을 위해 냉기공급수단(1020)이 냉력을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할 시점, 급수 공급이 완료된 시점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는,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505)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일례로 상기 제빙셀(501)의 최 상측(연통홀 측)에서 물이 얼기 시작한 것임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 이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n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for determining that water has begun to freeze at the uppermost side (communication hole side) of the ice-making
상기 투명빙 히터(505)가 온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열이 상기 제빙셀(501) 내로 전달된다. When the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명빙 히터(505)가 상기 제 2 트레이(550)로 열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501)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A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이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제빙셀(501)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액체 상태의 물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ice is generated from the top within the ice-making
물의 밀도는 얼음의 밀도 보다 크므로,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물 또는 기포가 대류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빙 히터(505) 측으로 기포가 이동할 수 있다. Since the density of water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ice, water or air bubbles can convect within the ice-making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501)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빙셀(501)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ce-making
예를 들어, 상기 제빙셀(501)이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다. 반면, 상기 제빙셀(501)이 구형이나 역삼각형, 초승달 모양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는 다르다. For example, when the ice-making
만약, 냉기공급수단(1020)의 냉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가열량이 동일하면, 상기 제빙셀(501)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다르므로,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is constant, if the heating amount of the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반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큰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리다. For example,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small, the rate of ice formation is fast, whereas when the mass per unit height of water is large, the rate of ice creation is slow.
결국,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어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경우, 기포가 얼음에서 물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이 기포를 포함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Ultimately, the speed at which ice is created per unit height of water becomes inconsistent, so the transparency of ice may vary for each unit height. In particular, when the speed of ice formation is high, air bubbles cannot move from the ice to the water, so the ice may contain air bubbles and have low transparency.
즉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의 편차가 작을수록 생성된 얼음의 단위 높이 당 투명도의 편차도 작아지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deviation in the speed at which ice is generated per unit height of water, the smaller the deviation in transparency per unit height of the generated ice becomes.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빙셀(501)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의 냉력 및/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가열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의 냉력의 가변은, 상기 압축기의 출력 가변, 팬의 출력 가변 및 상기 냉매밸브의 개도가 가변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variable cooling power of the cold air supply means 1020 may include one or more of variable output of the compressor, variable output of the fan, and variable open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valv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가열량의 가변은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 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듀티를 가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varying the heating amount of the
이때,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듀티는,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온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거나,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505)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오프 시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uty of the
한편,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투명빙 히터(505)를 오프시킬 수 있다(S16).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 the
일 예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투명빙 히터(505)를 오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이때,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센서(410)와 각 제빙셀(501) 간의 거리가 다르므로, 모든 제빙셀(501)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 또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이빙을 시작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이빙용 히터(503) 및 투명빙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킨다(S17).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상기 이빙용 히터(503)와 상기 투명빙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이 온되면, 히터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제 2 트레이(550) 중 하나 이상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one or more of the moving
상기 히터(503, 505)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접촉면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접촉면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heat from the
상기 이빙용 히터(503)와 상기 투명빙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구동부(580)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 When at least one of the moving
일례로 상기 이빙용 히터(503)와 상기 투명빙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이 설정 시간 작동되거나,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구동부 작동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구동부(580)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For example, when one or more of the moving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580)를 작동시킨다(S19). Then,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로부터 이격된다. When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이동력이 상기 제 1 푸셔(5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푸셔(54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개구(514)를 관통하게 되어 상기 제빙셀(501) 내의 얼음을 가압한다. The moving force of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푸싱 바(592)와 접촉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싱 바(592)가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변형되고, 상기 푸싱 바(592)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어부(1000)는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The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0)는 구동부(580)가 작동한 시간이 기준 시간에 도달하거나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종료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온된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S21).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종료 기준 온도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termination condition of the heater is satisfied,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8). Afte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급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Then, the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도 26의 급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를 정지시킨다. When the
Claims (22)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트레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2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상기 제빙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에서 감지되는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제 1 트레이에서 상기 개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둘러싸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A first tray that forms part of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water undergoes a phase change into ice by cold air, and has an opening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cold air;
a second tray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and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a water supply valve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cel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tra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 refrigerator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surrounding the sensor.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센서가 관통하기 위한 센서 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ay includes a sensor hole through which the sensor passes.
상기 센서 홀의 하단은 상기 개구 보다 낮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
A refrigerator in which the bottom of the sensor hole is located lower than the opening.
상기 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싱 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s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nsing b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센싱 바가 결합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센싱 바가 상기 센서 홀에 삽입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tray includes a senso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ensing bar is coupled,
A refrigerator in which the sensing bar penetrating the sensor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nsor hole.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센싱 바 및 상기 센서 결합부를 둘러싸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insulation member surrounds the sensing bar and the sensor coupling portion.
상기 센싱 바의 상단은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A refrigerator in which the top of the sensing bar is locat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first tray.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을 가압하는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바의 상단은 상기 푸셔의 하단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usher that presses the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cell through the opening,
A refrigerator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bar is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usher.
상기 센싱 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푸셔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A refrigerato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bar overlaps the pus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는 상기 푸셔와 상기 센싱 바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A refrigerator in which a portion of the insulation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pusher and the sensing bar.
상기 단열 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센싱 바를 기준으로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상기 단열 부재의 일부의 수평 방향 두께는 상기 단열 부재의 다른 일부의 수평 방향 두께 보다 얇은 냉장고. According to clause 9,
Another part of the insulating memb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rt of the insula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ensing bar,
A refrigerator in which a horizontal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is thinner than a horizontal thickness of another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센싱 바의 상측을 수용하는 제 1 단열부와,
상기 제 1 단열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센싱 바가 관통하는 제 2 단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The insulation member includes a first insulation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bar,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 insulating part located below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rough which the sensing bar penetrates.
상기 센서는, 상기 센싱 바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연장부는 상기 제 1 단열부와 제 2 단열부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sensor further includes a sensor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nsing bar,
The sensor extension part is accommodat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insulation part and the second insulation part.
상기 제 1 단열부와 상기 제 2 단열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센싱 바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A refrigera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ulation part and the second insulation part includes a guide groove that guides a wire connected to the sensing bar.
상기 단열 부재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insulation member.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결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5,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and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tray case.
상기 제빙셀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셀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센싱 유닛과 상기 급수부는 복수의 제빙셀의 배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that guides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are provided,
A refrigerator in which the sens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냉기를 상기 제빙셀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 가이드의 연장선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센싱 유닛을 통과하는 냉장고.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cold air guide for guiding cold air to the ice-making cell,
An extension of the cold air guide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의 급수를 위하여, 상기 제빙셀로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이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며,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빙을 시작하고, 상기 제빙셀의 급수량이 목표 급수량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빙실을 시작하고 상기 목표 급수량 미도달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상기 제 2 트레이를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작은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as much as a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cell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After completing the supply of water as much as the first reference water supply amount, move the second tray to the ice-making posi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making cell has reached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If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making cell reach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control unit starts ice making. If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making cell does not reach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been reached has reached the standard number,
If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been reached reaches the standard number, the control unit starts the ice making room. If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has not reached the standard number,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tray back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nd then moves the first tray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A refrigerator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by a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that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된 후,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 1 기준 급수량 보다 작은 제 2 기준 급수량 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water by a second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smaller than the first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second tray is moved back to the water supply posi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초기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로 낮아지면 상기 제빙셀로 제 1 기준 급수량만큼 급수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추가 급수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초기 급수 시작 온도와 동일하거나 큰 추가 급수 시작 온도에 도달한 경우인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supply valve to supply a first reference amount of water to the ice-making cell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falls below the initi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of the second tray,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condition is satisfied,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reaches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itial water supply start temperature.
이빙 과정에서 작동하는 이빙용 히터와,
상기 제 1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제 2 트레이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온시키고,
상기 이빙용 히터가 온된 후에 상기 구동부의 작동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이빙용 히터의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오프시키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9,
A moving heater that operates during the moving process,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to enable movement of the second tray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y,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moving heater after ice production in the ice making cell is completed,
I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unit are satisfied after the moving heater is turned on, operat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second tray to the moving position to remove ice from the ice making cell,
A refrigerator that turns off the moving heater when the moving heater's termination condition is satisfi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524A KR20240052143A (en) | 2022-10-13 | 2022-10-13 | Refrigerator |
PCT/KR2023/013406 WO2024080561A1 (en) | 2022-10-13 | 2023-09-07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1524A KR20240052143A (en) | 2022-10-13 | 2022-10-13 |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2143A true KR20240052143A (en) | 2024-04-23 |
Family
ID=9088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1524A KR20240052143A (en) | 2022-10-13 | 2022-10-13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2143A (en) |
-
2022
- 2022-10-13 KR KR1020220131524A patent/KR20240052143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31250A (en) | Refrigerator | |
EP3534094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90032898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EP3441701B1 (en) | Refrigerator | |
US20240210086A1 (en) | Refrigerator | |
KR20240052143A (en) | Refrigerator | |
KR102455189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AU2023204204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240052146A (en) | Refrigerator | |
US12013165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220053322A (en) | Refrigerator and ice maker | |
EP3862709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2601533B1 (en) | Refrigerator | |
EP4235067A1 (en) | Refrigerator and ice maker | |
KR20240051624A (en) | Refrigerator | |
KR20210005798A (en) | Refrigerator | |
KR20230021246A (en) | Refrigerator and ice maker | |
KR20240052144A (en) | Refrigerator | |
KR20240051644A (en) | Refrigerator | |
US12117225B2 (en) | Refrigerator | |
US20240183598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20190032899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240051632A (en) | Refrigerator | |
US20220349638A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US20210341205A1 (en) | Refriger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