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3278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782A
KR20240032782A KR1020240028325A KR20240028325A KR20240032782A KR 20240032782 A KR20240032782 A KR 20240032782A KR 1020240028325 A KR1020240028325 A KR 1020240028325A KR 20240028325 A KR20240028325 A KR 20240028325A KR 20240032782 A KR20240032782 A KR 2024003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assembly
refrigerator
transparent
transpar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이익규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782A/ko
Publication of KR2024003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는,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측면부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 개구를 포함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플레이트, 아웃 플레이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도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 데코, 아웃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 데코, 플레이트 개구에 결합되어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패널 어셈블리, 투명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이 결합되는 라이너 개구를 포함하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아웃 플레이트, 어퍼 캡 데코, 로어 캡 데코, 투명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라이너가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공간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된 단열재를 포함하고, 투명패널 어셈블리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프론트 패널에서 이격 배치되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리어 패널,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밀폐된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스페이서의 외부면에 도포된 실런트, 및 실런트와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투명하게 하거나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 상에 결로 발생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 투시를 위해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의 비 단열 구역을 가열하여 표면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히터의 배치가 용이하여 조립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히터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패널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아우터 스페이서에 히터가 장착되어 패널의 결로 발생 영역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 개구를 포함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플레이트;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 데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 데코; 상기 플레이트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패널 어셈블리;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이 결합되는 라이너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 어퍼 캡 데코, 로어 캡 데코, 투명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라이너가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공간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된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서 이격 배치되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밀폐된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외부면에 도포된 실런트; 및 상기 실런트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테이프와 같은 부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리어 패널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과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는, 상기 발포액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포액이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리어 패널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에 결로가 형성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의 둘레에는 불투명한 색상으로 인쇄된 베젤이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에는 상기 베젤로 둘러싸인 투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는 절곡되어 연장된 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라이너 개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된 냉장실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로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에는 라이팅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도어에는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가 설치되어져,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부재의 점등 시, 상기 냉장실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 및 상기 도어 스위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라이팅 부재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폐된 제2 공간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도광판,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의 투시가 가능함과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에는 상향으로 함몰된 홈부와, 상기 서브 도어를 상기 메인 도어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개방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서브 도어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에는 록킹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개방장치와 상기 록킹 유닛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와 상기 록킹 유닛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개구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투시부의 선택적인 투명 불투명 전환에 의해서 고내를 선택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소비전력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아우터 스페이서 상에 히터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히터의 발열시 금속 소재의 아우터 스페이서를 통해 패널의 둘레를 가열하게 되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프론트 패널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히터가 프론트 패널에 접하게 되는 경우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결로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배치 위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단열 공간과, 도어 둘레의 단열재 사이의 비 단열 구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발열로 인해 비 단열 구간이 가열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가시화 영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히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가시화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시화 영역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된 히터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 둘레에 히터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간단한 작업을 통해 히터의 배치가 가능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히터의 장착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조립 작업성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의 장착을 위해서 별도의 구성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이미 배치되어 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상기 도어 내부의 구조를 보다 간결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히터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기밀성 확보는 물론, 상기 실런트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양측단에 실런트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상하단에 실런트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포트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18-18'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로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이 결합된 절결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절결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5의 23-23' 절결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5의 24-24'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27은 도 35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29은 도 28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도 4에서 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 운전은 물론, 투시부(21)의 선택적인 투시와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2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21)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3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개구부(41)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03)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가시화 영역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는 반드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전체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지만,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우측의 도어(20)와 같이 하나의 도어로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도어(20)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냉장고의 형태 및 도어의 형태에 관계 없이 도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모든 타입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개방장치(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기준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댐핑장치(도 6에서 5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50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과 측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케이스 도어(4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6),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에 장착되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512)와,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을 상기 투시부(21)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서포트 프레임(7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부(512)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상기 측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1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513)의 단부 또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상단과 하단 또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과 하단 또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어퍼 캡데코(54) 및 로어 캡데코(55)의 결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라이팅 부재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부재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물론 저장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내를 밝힐 수 있는 다른 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위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에서 충분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서브 도어(50)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591)와 상기 조작부재(591)에서 연장되는 로드(592)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5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592)가 상기 로킹부재(593)를 움직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은 개구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의 공간과 연통되는 된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데코 커버(543)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43)에는 피시비 장착부(543a)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및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될 수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폐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공간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상부에 의해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전방의 공간에 단열재(531a)가 배치되고 후방의 공간에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공간의 구조는 아래 도 29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62)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되지 않은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단지 화면의 출력이 되지 않는 차이가 있을 뿐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동일한 외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구조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등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프레임(70)이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이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70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개구(70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65)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리어 패널(65)이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및 프레임 개구(701)를 차례로 지나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부가 서로 밀착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단부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는 서로 밀착되어 사이의 틈새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라인의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전면 외관이 연속적이고 일체감을 가지는 것과 같이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소정의 빛이 투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둘레의 결합 구조를 차폐하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내부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는 검은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젤(611)의 내측 영역이 상기 투시부(21)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중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 베젤(611)의 영역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와 서포트 프레임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들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패널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될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적어도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추가의 패널 및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와 패널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에 단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의 지지를 위한 제 1 스페이서(6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소재(예컨대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고내의 라이트 또는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라이트의 온 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필름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둘레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프론트 돌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방에서 삽입 장착되는 구조적 특성상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리어 패널(65) 및 아우터 스페이서(67)보다 상하좌우측 방향 모두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프레임 개구(70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를 비롯한 상기 리어 패널(65) 등은 상기 프레임 개구(70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아우터 스페이서(67)는 별도의 결합구조 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78)에 의해 체결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결합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조작에도 안정적인 고정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검정색과 같은 불투명한 색상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제 1 스페이서(63)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70) 등의 구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젤(611)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외측단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스페이서(63) 까지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정의하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제 1 스페이서(63) 그리고 서포트 프레임(70)을 커버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터치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1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센서(612)는 인쇄 방식이 아닌 필름 접착 방식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단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6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케이블(601) 상에 인쇄회로가 인쇄되어 터치 피시비(603)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 구비되는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필름과 같은 수지재의 베이스에 배선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시트와 같이 두께가 얇고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플렉시블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필름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시 그 단부가 상기 터치 피시비(603)의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다수회 절곡되며, 상기 터치 케이블(601)의 단부가 상기 터치 피시비(603)상의 커넥터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 공간의 벽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공간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한 케이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모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고 폭이 넓은 상기 서브 도어(50)상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 배치되는 피시비들(602,603,604)과의 간편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는 소스 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연결되어 어셈블리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 또한 일부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의 폭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보드(621)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제 1 스페이서(6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수직한 상태로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서 상기 티콘(T-CON)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면으로 배치하게 될 경우,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특성상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가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둘레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제 1 스페이서(6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하 2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한쌍의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하고 플랫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실런트(608)를 관통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상방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도록 벤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서 티콘 보드(602)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양단은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6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깊이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64)을 대신하여 별도의 글래스 또는 단열 유리가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의 둘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어 패널 돌출부(6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돌출부(651)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단열을 위해서 로이 글래스(Low-ε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고내의 냉기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는 상기 도광판(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에 접착되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에는 단열 글래스(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글래스(69)에 의해서 상기 도광판(64)과 리어 패널의 사이에는 복층의 단열층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열 글래스(69)가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이 고정되는 구조 또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들(63,66,67)은 모두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웃하는 패널(61,65) 또는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봉과 같은 형태 또는 내부에 흡습재를 수용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에는 단열 패널(69)과 도광판(64)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단열 패널(69)과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에 구비되는 판상의 부재로 단독 또는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중간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중간 패널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상기 중간 패널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 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스페이서(66)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를 결정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스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접하게 되며, 상기 리어 패널(65)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후방의 공간을 밝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납 공간을 가시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스페이서(66)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단열을 위해 아르곤과 같은 단열성 기체를 주입하여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제 2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이 상기 제 2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외측 부분의 둘레를 형성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 공간 즉,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내측 공간은 완전히 기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둘레에 도포되는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는 한층 더 기밀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기밀되는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간격 유지를 위한 제 1 스페이서(63) 및 제 2 스페이서(66)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추가의 단열 패널(69)이 더 구비되거나 복층의 유리 구조가 더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들 구성은 모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체적인 외관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형성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의 사이만 실링하는 것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를 완전히 기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에 도광판(64)을 비롯한 판상의 구조물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도 최 외곽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만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에 접착시키게 되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기밀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구조는 상기 도광판(64)을 포함하는 다수의 패널에 의한 복층의 구조에서도 최소의 실링 지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 되거나 또는 투습에 의한 내부의 결로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부를 진공시키거나 단열을 위한 가스를 주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내부의 다층 구조 전체에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단열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배치하여 고내의 투시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최소의 실링 지점으로 복층의 패널 구조에서 단열 구조의 완성이 가능하게 되어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 및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같이 플렉시블 하고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어 패널(65) 배면에 접착된 상태로 벤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리어 돌출부(651)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둘레에는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하는 것으로,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일명 치오콜이라 함)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단열재(531)를 성형하기 위해 주입되는 발포액과 직접 접할 수 있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다른 실런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는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각 구성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봉하여 수분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시 발포액이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내부의 터치 센서(612), 디스플레이 패널(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는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이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케이블(601,605,606)의 외측면을 막아서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되는 공간으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673)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가 형성하는 사이의 공간에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 및 상기 히터 장착부(673)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소스 보드(621)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된 후 상기 티콘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에서 상기 소스 보드(6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사이를 통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에는 케이블 연결부(60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605a)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소스 보드(6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605a)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아우터 스페이서(67)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671)의 틈새 및 상기 실런트(608)의 사이를 통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기밀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통과하도록 하여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67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671)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서 발생되는 열이 충분히 상기 프론트 패널(61)로 전달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착부재(671)에 의해 접착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프론트 패널(61)과 직접 접하여 열전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런트가 도포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시 절곡되어 상기 티콘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티콘 보드(602)에 연결되도록 연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면으로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실런트(608)의 사이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히터 장착부(67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장착된 상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532)를 장착 또는 장착된 상기 히터(532)를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양측단에 실런트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상하단에 실런트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면과 상하면의 둘레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608)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도포되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런트(608)는 균일한 표면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조립시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또는 이웃하는 다른 구성과의 간섭에 의해 오조립 되거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 간격이 먼 경우 상기 실런트(608)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작업이 쉽지 않게 되며,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국부적인 구간에서 요철을 가지는 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면에는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스페이서 돌출부(672) 및 히터 장착부(673)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균일한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의 위치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따라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가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런트(608)의 도포 후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의 외측면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의 노출된 외측면에는 다수의 체결홀(67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672a)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되는 결합부재(78)가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672a)은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를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605)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리어 패널(65)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외측면에는 히터 홈(67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73a)은 상기 히터 장착부(673)를 따라 형성되며, 히터(532)가 외측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73a)은 상기 히터(532)가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재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홈(673a)은 상기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노출된 상태의 상기 히터 홈(673a)에 상기 히터(532)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61)보다는 리어 패널(65)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히터(532)를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도어(50) 내부의 다른 구성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히터(532)가 히터 홈(673a)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 장착부(673)에 상기 히터(5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532)가 발열하게 되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 또한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가 발열하는 것과 같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 자체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접하는 것과 비교할 때 보다 더 넓은 면적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가 접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보다 넓은 가열 면적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결로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접하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상기 투시부(21) 외측과 가장 가까운 영역으로 상기 히터(532)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가열 가능한 가장 내측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베젤(611) 영역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따라서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베젤(611)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배치되는 위치는 사실상 비 단열 영역이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를 기준으로 내측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이 위치되고, 상기 도어(50)의 둘레는 상기 단열재(531)에 의해 단열되는 반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서 상기 단열재(531)의 위치까지는 단열을 위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비 단열 영역(R)과 인접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는 결로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비 단열 영역(R)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 거리가 가까운 영역으로 단열이 비교적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위치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상기 비 단열 영역(R)에 해당하여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위치되고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히터(532)가 장착되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 자체의 발열에 의해 비 단열 영역(R)을 가열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532)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2)는 상기 히터 홈(673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둘레 4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532)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 중 좌우 양측면과 하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상부는 다수의 피시비(602,603,604)들의 동작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 중 상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히터(532)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히터 장착부(673)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는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 동일한 높이의 실런트(608)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런트(608)가 균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실런트(608)를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히터 장착부(67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674)에 채워 넣은 후 별도의 지그 또는 스크래퍼(S)를 이용하여 상기 실런트(608)의 레벨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실런트(608)를 채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래면에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의 하단은 높이가 동일한 상기 리어 패널(65)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돌출된 단부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의 다른 일측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측과 접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리어 패널(65)과 히터 장착부(673) 스페이서 돌출부(672)및 프론트 패널(61) 사이의 각 공간에는 실런트(608)가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 히터 장착부(673) 및 상기 리어 패널(65)의 높이만큼 채워지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 또는 스크래퍼(S)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따라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균일한 높이의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실런트(608)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또는 이웃하는 다른 구성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면과 상하면 둘레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 전체에 상기 실런트(608)를 도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둘레 상하좌우가 모두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런트(608)가 균일한 높이로 도포된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단부 즉 상기 히터 홈(673a)과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의 단부가 노출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의 장착 및 상기 결합부재(78)의 체결을 통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간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포트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프레임 개구(7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71)과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프레임(72)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의 양단의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 그리고 로어 프레임(72)의 결합에 의해서 사각 틀 형상의 서포트 프레임(7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다수의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각 구성의 성형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71)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되, 사기 서브 도어(50) 상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프레임(71)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까지 연장되는 프레임 베리어(7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베리어(71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이 전후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베리어(711)의 좌우측 양단에 사이드 베리어(7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방은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후방의 공간에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수용될 수 있는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수용되는 공간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데코 개구(542)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의 공간에는 단열재(531a)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72)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하부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좌우 양측을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의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은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 및 사이드 프레임(73)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적인 구조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어퍼 프레임(71) 및 로어 프레임(7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어퍼 프레임(71) 및 로어 프레임(72)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71) 및 로어 프레임(72)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결합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어퍼 프레임(71) 및 로어 프레임(72) 사이의 결합 구조의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4개의 부분으로 분리 성형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다수개의 구성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프론트 패널(61)의 지지를 위한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 및 사이드 프레임(73)에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이드 프레임(73) 상에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지지부(74)와 플레이트 수용홈(75), 패널 지지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가장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가장 외측의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며,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692)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접하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에는 다수의 요철(7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742)의 접촉 면적을 늘려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을 구성하는 어퍼 프레임(71)과 로어 프레임(72) 및 사이드 프레임(73)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를 따라 절곡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가 상기 어퍼 프레임(71)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측 단부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 사이에 틈새가 없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는 가이드 리브(7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향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와 가까운 지점에서 점점 더 돌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751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751a)를 따라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751a)의 단부에는 수직부(751b)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751b)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부(75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751a)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수직부(751b)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를 가압하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단부와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일측과 걸림 구속되는 구속돌기(752)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장착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가 정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구속구(514b)이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보다 더 내측 부분에는 패널 지지부(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76)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 보다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 지지부(76)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높이 차이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단차 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단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가 단차지지 않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6)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71)을 제외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상기 로어 프레임(72)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지지부(76)의 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부재(78)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적어도 상기 결합부재(78)가 체결되는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보다는 더 높게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프레임 결합부(77)가 상기 히터 장착부(673)를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노출되는 상기 히터 홈(673a)에 상기 히터(532)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A부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7의 18-18'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로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어퍼 프레임(71)의 양단과 로어 프레임(72)의 양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양단과 결합되는 구조로, 그 결합 구조는 동일하며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중 도 16의 A부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하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7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하단에는 프레임 결합 돌기(73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로어 프레임(72)의 상단에는 프레임 결합 홈(7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양측과 상기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히터 수용홈(761)의 단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 홈(721)은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로어 프레임(72) 상의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과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히터 수용홈(76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의 일측에는 프레임 걸림 돌기(73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함 홀(721)의 일측에는 상기 프레임 걸림 돌기(731a)가 삽입될 수 있는 프레임 걸림 홈(7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걸림 돌기(731a)는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와 프레임 결합 홈(721)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걸림 돌기(731a)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로어 프레임(72)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와 프레임 결합 홈(721)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과 상기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히터 수용홈(761)을 따라서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거나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결합 돌기(731)와 상기 프레임 결합 홈(721)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비틀림 모멘트나 국부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상기 로어 프레임(72)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하게 되는 단부의 파팅 라인(L1,L2,L3)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73)과 로어 프레임(72)의 플레이트 지지부(74)가 접하는 위치의 파팅 라인(L1)과,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접하는 위치의 파팅 라인(L2)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6) 및 타단부(77)가 접하는 위치의 파팅 라인(L3)은 각각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거나 단차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단열재(531)가 형성되기 위해서 발포액이 주입될 때 상기 파팅 라인(L1,L2,L3)을 따라서 발포액이 스며들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주입된 발포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파팅 라인(L1)을 따라 유동 하더라도 어긋나게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 및 상기 패널 지지부(76)의 파팅 라인(L2,L3)으로 유입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측으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의 하단에는 상기 보강 리브(7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771)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77) 상에는 상기 결합부재(78)과 관통되는 결합 홀(7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아웃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이 결합된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서포트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아웃 플레이트(51)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중앙의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3)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좌우 양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는 상기 수직부(527a)와 경사부(527b)를 포함하는 가이드 리브(7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경사부(527b)를 따라 이동되면서 삽입되며, 상기 수직부(527a)에 의해 내측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751)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을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리브(751)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를 내측에서 다소 가압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탈거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외측단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에서의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사이의 간격 또는 틈새가 사실상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경계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경계가 완전히 밀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의 전체적인 외관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상에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일측에는 가이드 삽입부(5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는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가 관통되는 삽입 안내홀(7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안내홀(753)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가 상기 삽입 안내홀(75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정렬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정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 내측에 형성된 구속돌기(752)가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 상에 형성된 구속구(514b)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75)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돌기(752)와 구속구(514b)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는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와 상기 구속구(514b)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 상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삽입부(514a)와 구속구(514b)는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14)의 전체에 걸쳐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상에 고정 장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폭이 좁은 상기 리어 패널(65)이 먼저 삽입되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은 상기 패널 지지부(76)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부재(78)가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체결홀(672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78)에 의해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와 상기 패널 지지부(76)의 접착 구조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충격시에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문제가 발생되어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손쉽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분해시 상기 프론트 패널(61) 둘레의 베젤(611)에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베젤(6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고가의 손상되지 않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조치 후 재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23은 도 5의 23-23' 절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5의 24-24'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결합부재(78)에 의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 및 가스켓(503)이 장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홈(673a)에 상기 히터(532)를 장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532)를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 장착하게 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또는 리어 패널(65)에는 차폐부재(7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79)는 테이프와 같은 부착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79)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또는 상기 리어 패널(65)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충전되는 발포액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폐부재(79)에 의한 상기 발포액의 유입 차단으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 즉, 상기 실런트(608)의 외측면을 따라 안내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또는 히터(532)에 상기 발포액이 묻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와 상기 실런트(6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발포액이 주입되더라도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히터(532)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히터(532)에 발포액이 뭍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교체 또는 서비스를 위한 분리 작업시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이 손상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조립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531)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531)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을 채우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 공간을 단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의 사이에는 단열 패널(69)이 구비되거나 밀폐된 단열층이 형성되어 단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체면에 걸쳐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단열재(531)는 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장착 후에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5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의 B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도 35의 C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9은 도 28의 D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도 28의 E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2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개방장치(59)의 로킹부재(593)가 래치 홀(4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상태는 별도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이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터치 조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면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전체 영역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함께 점등되는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상방과 하방에서 빛이 조사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좌우측방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투시부(21)는 상하 및 좌우 전체 방향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 영역을 최대 밝기로 밝힐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근접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나 전방의 영역까지 밝힐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는 고내 공간을 밝히는 조명 역할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백라이트의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고내 공간 즉,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이 상기 투시부(21)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켜지게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가시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온오프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게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도 29에서와 같이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은 특정 위치 또는 터치 횟수 또는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냉장고의 상태 표시 및 조작을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영상 출력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출력, 수납된 식품의 정보 등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함께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점등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빛을 난반사 및 확산시켜 전방의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사용자는 선명하게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동작 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동작은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티콘 보드(602) 또는 도킹 피시비(604)와 같은 피시비들(602,603,604)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상단을 형성하는 베리어(711)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711)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 공간에는 단열재(531a)가 채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상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운전에 의해 고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냉각 유지되는 경우 단열이 취약한 비 단열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결로 방지를 위해서 상기 히터(532)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2)는 상기 온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설정된 시간 동안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532)가 온되어 발열하게 되면, 상기 히터(532)가 장착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를 따라서 상기 히터(532)의 열이 전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접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가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는 상기 히터(532)와 비교할 때 그 면적이 넓으며,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비교적 넓은 부분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6과 도 27 그리고 도 29와 도 30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터(532)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상하 좌우 측면에 모두 배치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 둘레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접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 가장자리는 전체적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비 단열 영역(R)에 대응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가장자리는 가열에 의해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접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일측은 상기 베젤(611)의 영역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히터(532)는 물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히터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가 상기 프론트 패널과 접하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히터 장착부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도면의 구성과 동일할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의 둘레 외형은 절곡된 금속소재의 아웃 플레이트(5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50)의 전면과 측면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56)가 결합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50)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531)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6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69)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및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는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외측에는 아우터 스페이서(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에는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결합부재(7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를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기밀시키기 위한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전단 즉,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에는 히터 장착부(67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5)에는 상기 히터(532)가 삽입되는 히터 홈(67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75a)에 장착되는 상기 히터(53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거나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전단에는 접착부재(67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전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61)에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에 접착부재(671)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히터 홈(675a) 및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단부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직접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 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히터(532)에 의한 직접 가열과 함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의한 가열 면적의 확장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50)의 상기 단열재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단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를 형성하는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지지부(76)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 지지부(76)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두께만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은 동일 높이에 위치되며,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단부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외측단은 서로 접하게 되며,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사이의 틈새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76)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지지부(76)의 단부에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를 지나는 위치까지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를 관통하는 결합부재(78)가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에 체결되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 상에 별다른 접착제와 같은 구성이 없이 접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분리 및 서비스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전반부에 히터 장착부가 형성되고 후반부에 스페이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 및 서포트 프레임의 구성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531)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69)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및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는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외측에는 아우터 스페이서(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에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와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73)와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스페이서 돌출부(672) 및 히터 장착부(673)의 사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에 형성된 히터 홈(673a)에 상기 히터(53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히터 장착부(673)와 리어 패널(65)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결합부재(7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50)에 고정 장착되기 전에 상기 히터(532)가 상기 히터 장착부(67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532)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 결합부재(78)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5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 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의 상기 단열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R)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상기 패널 지지부(76)에서 수직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를 관통하는 상기 결합부재(78)는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72)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상에 상기 히터의 장착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의 결합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페널(6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69)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과 단열 패널(69) 및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는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외측에는 아우터 스페이서(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에는 상기 돌출부(6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76)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676)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676)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676)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의 프레임 결합부(77)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를 관통하는 결합부재(78)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676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676a)의 측방에는 상기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홈(676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676)의 외측단에는 상기 체결홀(676a)과 상기 히터 홈(676b)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676)를 통해 상기 서포트 프레임(70)과의 결합 및 상기 히터(532)의 장착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상기 히터 홈(676b)은 상기 체결홀(676a) 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78)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532)가 상기 히터 홈(676b)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 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50)의 상기 단열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R)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에 상기 히터 장착부 만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50)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531)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69)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리어 패널(65)과 단열 패널(69) 및 도광판(64)의 사이에는 한쌍의 제 2 스페이서(66)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사이는 제 1 스페이서(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외측에는 아우터 스페이서(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63)와 제 2 스페이서(66)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공 또는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외측에는 상기 히터 장착부(6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장착부(673)와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장착부(673)의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홈(67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73a)은 상기 히터(532)의 수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의 대략 중앙 또는 중앙보다 다소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를 상기 도어(50)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에 상기 히터(532)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32)의 장착시 상기 도어(50)의 내부 구성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히터(532)가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50)의 상기 단열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R)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에 제 3 스페이서와 제 4 스페이서가 구비되고, 히터 장착부와 스페이서 돌출부가 상기 제 3 스페이서와 제4 스페이서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는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50)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531)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64)이 생략되고,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도광판(64) 및 단열 패널(69)은 중간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중간패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도광판(64)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도광판(64) 그리고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제 3 스페이서(663)와 제 4 스페이서(6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663)와 제 4 스페이서(661)는 상기 도광판(64)의 전면 및 배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각각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은 각각 상기 제 3 스페이서(663)와 제 4 스페이서(66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663)와 제 4 스페이서(661)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도광판(64) 및 리어 패널(65)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3 스페이서(663)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가시화를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663)의 외측에는 상기 히터 장착부(6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64)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도광판(64)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64)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실런트(608)가 도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터 장착부(664)의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홈(66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64a)은 상기 히터(532)의 수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 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50)의 상기 단열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R)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4 스페이서(661)는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4 스페이서(661)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리어 패널(65)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스페이서(661)의 외측에는 스페이서 돌출부(6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2)의 외측면에는 체결홀(662a)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78)가 상기 체결홀(662a)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5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돌출부(662)는 상기 리어 패널(65) 및 상기 히터 장착부(664)와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히터 장착부(664) 및 스페이서 돌출부(662)의 사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 전체에는 실런트(608)가 균일한 높이로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한층 더 기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밀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되거나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2)가 형성되는 위치 또는 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에는 결합부재(78)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50) 내측에서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는 투명 플레이트가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의 사이에 도광판 및 제 5 스페이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 5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및 도광판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부에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구비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외측의 상기 도어(50) 둘레에는 상기 단열재(531)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빛의 선택적인 투과를 위한 금속 증착층 또는 필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는 고내의 램프가 점등에 따라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후방에는 상기 도광판(6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64)이 생략되고, 단열 패널(69)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단열 패널(69) 및 도광판(64)은 중간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중간패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 도광판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제 5 스페이서(6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 스페이서(666)는 양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스페이서(666)의 내측면에는 패널 홈(6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홈(667)의 내측에는 상기 도광판(64)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5 스페이서(666)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도광판(64) 및 리어 패널(65)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패널 홈(667)은 상기 프론트 패널(6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가시화를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 스페이서(666)의 외측에는 스페이서 돌출부(6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는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까운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히터 장착부(669)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는 상기 리어 패널(65) 및 상기 히터 장착부(669)와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의 외측면에는 체결홀(668a)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을 관통하는 결합부재(78)가 상기 체결홀(668a)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도어(5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5 스페이서(666)의 외측에는 상기 히터 장착부(66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69)는 리어 패널(65)과 가까운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히터 장착부(669)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69)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대응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실런트(608)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의 단부와 함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부(669)의 외측면에는 상기 히터(532)가 장착되는 히터 홈(66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홈(669a)은 상기 히터(532)의 수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의 발열시 상기 히터(532)의 열은 금속 소재의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는 상기 히터(532)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로 전달된 열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상기 히터(532)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단열 공간과 상기 도어(50)의 상기 단열재(531) 사이에 형성되는 비 단열 영역(R)의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와 히터 장착부(669)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히터 장착부(669) 및 스페이서 돌출부(668)의 사이에는 상기 실런트(608)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둘레면 전체에는 실런트(608)가 균일한 높이로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실런트(608)에 의해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한층 더 기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밀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의 내부는 진공 상태가 되거나 단열 가스가 주입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7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74)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76)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스페이서(67)와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74)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스페이서 돌출부(668)가 형성되는 위치 또는 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장착부(669)를 가리지 않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에는 결합부재(78)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가 상기 도어 내측에서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장착부(668)에 상기 프레임 결합부(77)와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78)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히터 장착부(669)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32)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내지 제 10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들의 도어가 다양한 구조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의 실시 예들은 도어의 위치와 크기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전술한 실시 예들의 도어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20,30,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예컨데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각각 한쌍의 도어(20,30,5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2)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20,5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도어(50,50)는 상기 제 1 저장공간(12)의 좌측을 차폐하는 도어(20)와 상기 제 1 저장공간(12)의 우측을 차폐하는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는 내부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시부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50) 및/또는 제 1 저장공간(12)에는 라이팅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온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오프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불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40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30,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이 좌우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예컨데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각각 하나의 도어(30,5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도어(30,5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도어(30,50)는 좌측의 상기 제 2 저장공간(13)을 차폐하는 도어(30)와 우측의 상기 제 1 저장공간(12)을 차폐하는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는 내부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시부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50) 및/또는 제 1 저장공간(12)에는 라이팅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온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오프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불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한쌍의 도어(30,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예컨데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2)과 제 2 저장공간(13)은 각각 하나의 도어(30,5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도어(30,5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도어(30,50)는 상기 제 1 저장공간(12)을 차폐하는 도어(50)와 상기 제 2 저장공간(13)을 차폐하는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는 내부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한 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시부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6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50) 및/또는 제 1 저장공간(12)에는 라이팅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온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부재의 오프시 상기 투명 패널 어셈블리(60)는 불투명하게 되어 고내 공간의 투시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관계없이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 개구를 포함하는 금속소재의 아웃 플레이트;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 데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 데코;
    상기 플레이트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패널 어셈블리;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이 결합되는 라이너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 어퍼 캡 데코, 로어 캡 데코, 투명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라이너가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공간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된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서 이격 배치되어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밀폐된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외부면에 도포된 실런트; 및
    상기 실런트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테이프와 같은 부착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리어 패널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과 상기 리어 패널의 전면 및 상기 스페이서의 외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상기 발포액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포액이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리어 패널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에 결로가 형성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의 둘레에는 불투명한 색상으로 인쇄된 베젤이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에는 상기 베젤로 둘러싸인 투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절곡되어 연장된 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라이너 개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된 냉장실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로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에는 라이팅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고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도어에는 상기 투명패널 어셈블리가 설치되어져,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부재의 점등 시, 상기 냉장실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 및
    상기 도어 스위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라이팅 부재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제2 공간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도광판,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의 투시가 가능함과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하부에는 상향으로 함몰된 홈부와,
    상기 서브 도어를 상기 메인 도어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개방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는,
    상기 서브 도어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에는 록킹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개방장치와 상기 록킹 유닛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와 상기 록킹 유닛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개구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40028325A 2017-12-06 2024-02-27 냉장고 KR20240032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8325A KR20240032782A (ko) 2017-12-06 2024-02-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0A KR102445197B1 (ko) 2017-12-06 2017-12-06 냉장고
KR1020220114963A KR102650463B1 (ko) 2017-12-06 2022-09-13 냉장고
KR1020240028325A KR20240032782A (ko) 2017-12-06 2024-02-2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963A Division KR102650463B1 (ko) 2017-12-06 2022-09-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782A true KR20240032782A (ko) 2024-03-12

Family

ID=668466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50A KR102445197B1 (ko) 2017-03-24 2017-12-06 냉장고
KR1020220114963A KR102650463B1 (ko) 2017-12-06 2022-09-13 냉장고
KR1020240028325A KR20240032782A (ko) 2017-12-06 2024-02-2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50A KR102445197B1 (ko) 2017-03-24 2017-12-06 냉장고
KR1020220114963A KR102650463B1 (ko) 2017-12-06 2022-09-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45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27B1 (ko) * 2020-09-24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40093210A (ko) * 2022-12-15 2024-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781B2 (ja) * 1990-06-20 1999-05-17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体
JPH04240378A (ja) * 1991-01-22 1992-08-2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扉体
KR101132505B1 (ko) * 2004-12-28 2012-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결로방지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JP6243799B2 (ja) 2014-06-05 2017-12-06 福島工業株式会社 冷蔵庫
WO2017010849A1 (ko) * 2015-07-15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가전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564B1 (ko) *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04358B1 (ko) * 2016-01-12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42A (ko) 2019-06-14
KR102445197B1 (ko) 2022-09-20
KR20220128602A (ko) 2022-09-21
KR102650463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2981B (zh) 冰箱
US11846464B2 (en) Refrigerator
KR102597671B1 (ko) 냉장고
KR102273092B1 (ko) 냉장고
KR20230010045A (ko) 가전기기
KR102525036B1 (ko) 냉장고
KR20230061304A (ko) 냉장고
KR20230156894A (ko) 냉장고
KR20240032782A (ko) 냉장고
KR20180067382A (ko) 냉장고
EP3896372B1 (en) Refrigerator
KR20240053567A (ko) 냉장고
EP3896373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