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125A - 청소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청소기 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0125A KR20240030125A KR1020220108751A KR20220108751A KR20240030125A KR 20240030125 A KR20240030125 A KR 20240030125A KR 1020220108751 A KR1020220108751 A KR 1020220108751A KR 20220108751 A KR20220108751 A KR 20220108751A KR 20240030125 A KR20240030125 A KR 202400301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case
- cleaner
- spray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8—Refurbishing floor engaging tools, e.g. cleaning of beating brush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 청소기 도크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 및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물통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한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을 포함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한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분사 케이스를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물걸레에 붙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물걸레를 자동으로 살균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로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가 있다. 로봇 청소기의 경우, 청소를 끝마친 뒤 충전을 위해 도킹 스테이션에 안착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최근에는 단순히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정도를 넘어서, 물걸레를 장착하여 오물 흡입과 바닥면 물걸레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대중화 되고 있다.
물걸레가 장착된 로봇 청소기의 경우,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물걸레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지만, 청소가 끝난 후 사용자가 물걸레에 묻은 이물질을 별도로 제거해 주거나, 물걸레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살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례에 따르면, 청소과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청소기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청소기의 물걸레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청소기의 물걸레를 자동으로 살균/세척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물걸레를 살균/세척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 상기 청소기 도크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 및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물통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을 포함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분사 케이스를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단에 장착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동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상기 개구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통과 상기 스팀 발생기는 제1 파이프 라인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 라인 상에는 상기 물통에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 발생기와 상기 분사 케이스를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제2 파이프 라인을 통해 상기 분사 케이스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유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팀 유입홀과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분사 케이스를 관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 라인은 복수의 돌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관은 상기 복수의 스팀 유입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함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스팀의 분사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스팀 분사홀의 상측에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V형상의 스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돌출 커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로봇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로봇의 일단에 마련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 상기 흡입장치와 연통되어 상기 음압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 덕트 및 상기 먼지 덕트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상기 흡입장치와 상기 먼지 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먼지 봉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물통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하는 청소기 세척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세척부는, 상기 분사 케이스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단에 장착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동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상기 개구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함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스팀의 분사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스팀 분사홀의 상측에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V 형상의 스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돌출 커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세척부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분사 케이스가 이동함에 따라 분사 케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브러시가 물걸레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분사 케이스에 마련된 복수의 스팀 분사홀에서 스팀이 분사되어 물걸레를 자동으로 살균/세척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분사 케이스가 좌우 이동함에 따라 고온의 증기를 물걸레의 전면에 일정하게 분사할 수 있어, 물걸레를 살균/세척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청소기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전면 하우징, 측면 하우징 및 배면 하우징을 제거한 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도크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를 제거한 뒤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일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돌출 커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스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청소기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전면 하우징, 측면 하우징 및 배면 하우징을 제거한 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도크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를 제거한 뒤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일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돌출 커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스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 시계방향은 제1 방향,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통용될 수 있으나, 이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청소기 스테이션(1)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되, 하단부가 요입된 형상일 수 있다. 요입된 하단부로 청소기(2)가 수용될 수 있다. 청소기(2)의 하단에는 물걸레(4)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측면 하우징(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배면 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하우징(11)은 본체(10)의 전면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측면 하우징(13)은 전면 하우징(11)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 하우징(13)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 하우징(13)은 전면 하우징(11)보다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4)은 측면 하우징(13)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4)은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4)은 전면 하우징(11)보다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청소기(2)가 안착되는 청소기 도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바닥에 안착되는 수평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는 수평부(21) 상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청소기 스테이션(1)에 도킹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수평부(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부(21)에서 전면 하우징(11)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직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의 수직부(22)는 본체(10)의 요입된 부분에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의 수직부(22)는 본체(10)의 측면 하우징(13)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에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21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부(22)의 일면에는 물통(210)이 설치될 수 있다. 물통(2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기 도크(20)의 수평부(21)의 상면에는 개구(23)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23)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23)는 청소기(2)의 하부면(3)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23)는 청소기(2)가 청소기 도크(20)에 안착된 경우 물걸레(4)가 마련되는 부분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21)의 내부에는 분사 케이스(200)가 마련될 수 있다. 수평부(21)에 마련되는 개구(23)의 내부에는 분사 케이스(200)가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의 수평부(21)의 내부에는 오수통(240)이 마련될 수 있다. 수평부(21)의 내부에 마련되는 분사 케이스(200)와 오수통(240)은 개구(23)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와 오수통(24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전면 하우징, 측면 하우징 및 배면 하우징을 제거한 뒤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좌측면도이다. 도 7는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청소기 스테이션(1)은 이물질 제거부(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A)는 음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A)는 흡입장치(100)와 연통되어 음압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 덕트(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A)는 먼지 덕트(120)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흡입장치(100)와 먼지 덕트(120)사이에 마련되는 먼지 봉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물질 제거부(A)가 갖는 상기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오수통(240)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음압을 발생시켜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대략 원형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입장치(100)는 공기 흡입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에서 발생한 음압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장치(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공기 배출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에서 발생한 음압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장치(100)를 거쳐 최종적으로 공기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의 상측에는 먼지 봉투(11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봉투(110)는 하측에 기류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와 먼지 봉투(110)는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먼지 봉투(110)의 기류 배출구(112)와 흡입장치(100)의 공기 흡입구(101)는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는 먼지 봉투(110)에 수용될 수 있다. 기류 배출구(112)에는 필터(미도시)가 마련되어, 흡입되는 먼지는 흡입장치(100) 내부로 인입되지 않되, 흡입되는 공기만이 흡입장치(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먼지 봉투(110)는 상부에 먼지 유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유입구(111)를 통해, 흡입장치(1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들은 먼지 봉투(1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먼지 봉투(110)의 측면에는 먼지 덕트(12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덕트(120)는 중공의 관의 형태일 수 있다. 먼지 덕트(12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의 형태일 수 있다.
먼지 덕트(120)는 하단에 먼지 흡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흡입구(121)를 통해 먼지는 먼지 덕트(120) 내부로 흡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먼지 덕트(120)는 상단에 먼지 분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분출구(122)를 통해 먼지는 먼지 봉투(1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먼지 덕트(120)의 먼지 분출구(122)와 먼지 봉투(110)의 먼지 유입구(111)는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덕트(120) 하단에 마련되는 먼지 흡입구(121)는 오수통(240)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수통(240)에 수용되는 이물질은 먼지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헤파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파필터(130)는 먼지 봉투(110)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헤파필터(130)는 먼지 봉투(110)의 공기 배출구(102)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입장치(100) 내부에 인입된 공기는 헤파필터(1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 배출구(112)에 마련된 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러지지 못한 미세한 먼지는 헤파필터(130)에서 걸러져 최종적으로 깨끗한 공기만이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청소기 세척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세척부(B)는 청소기(2)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세척부(B)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21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세척부(B)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물통(210)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220) 및 스팀 발생기(220)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청소기 세척부(B)가 갖는 상기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소기 도크(20)는 내부에 분사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분사 케이스(200)를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스팀 발생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20)는 청소기 도크(20)의 수직부(22)의 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물통(210)은 수직부(22)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고, 스팀 발생기(220)는 수직부(22)의 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20)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물통(210)과 연통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도크에서 수평부와 수직부를 제거한 뒤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청소기 도크의 배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분사 케이스(200)의 일면에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은 수평부(21)의 개구(23)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은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20)에서 발생한 스팀은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 케이스(200)는 개구(23) 내에 마련되어 청소기(2)의 하부면(3)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는 일면에 함몰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면(203)은 개구(23)와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함몰면(203)은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은 함몰면(203)에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는 일면에 복수의 브러시(20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201)는 분사 케이스(200)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201)는 개구(23)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201)는 함몰면(20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시(201)는 청소기(2)의 하부면(3)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사 케이스(200)가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청소기(2)의 하부면(3)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브러시(201)는 청소기(2)의 하부면(3)에 장착된 물걸레(4)와 접촉하여 물걸레(4)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는 타면에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은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과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은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과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스팀분사 홀(204)과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은 분사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제1 파이프 라인(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라인(221)의 일단은 물통(210)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라인(221)의 타단은 스팀 발생기(22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210)에 수용되는 세척수는 제1 파이프 라인(221)을 통해 스팀 발생기(2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라인(221) 상에는 펌프(223)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223)는 물통(210)에 수용된 세척수가 스팀 발생기(2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20)로 이동한 세척수는 기화되어 스팀이 될 수 있다.
청소기 도크(20)는 제2 파이프 라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이프 라인(222)의 일단은 스팀 발생기(2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라인(222)의 타단은 분사 케이스(200)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파이프 라인(222)의 타단은 분사 케이스(20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기(220)와 분사 케이스(200)는 제2 파이프 라인(222)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세척수가 스팀 발생기(220)에서 기화되어 스팀이 되는 경우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 발생기(220) 측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스팀은 별도의 외부동력 없이 제2 파이프 라인(222)을 통해 분사 케이스(2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파이프 라인(222)의 타단은 복수의 돌출관(2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관(202)은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과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기(220)에서 발생한 스팀은 복수의 돌출관(202)에서 분사되어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로 인입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에 인입된 스팀은 복수의 스팀 유입홀(205)과 연통된 복수의 스팀 분사홀(204)을 통과하여 청소기(2)의 하부면(3)에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은 청소기(2)의 하부면(3)에 장착된 물걸레(4)에 분사될 수 있다.
이동장치(230)는 분사 케이스(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바(2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231)는 분사 케이스(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바(231)는 분사 케이스(20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장치(230)는 분사 케이스(200)를 이동시키는 이동로봇(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로봇(232)은 분사 케이스(200)를 이동시키도록 분사 케이스(2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로봇(232)은 분사 케이스(200)의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장치(230)는 모터(2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3)는 이동로봇(232)을 구동시키도록 이동로봇(232)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233)가 구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전력은 이동로봇(232)을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233)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233)일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의 하단에는 오수통(240)이 마련될 수 있다. 물걸레(4)에 분사된 스팀은 물걸레(4)를 살균시키고 응결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낙하할 수 있다. 낙하된 오수의 경우, 오수통(240)에 수용될 수 있다.
오수통(240)은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오수통(240)은 청소기 도크(2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쉽게 오수통(240)에 담긴 오수를 비우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일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모터(233)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동로봇(232)은 제1 나사선(232a)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동로봇(232)은 모터(233)와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로봇(232)은 도킹부(234)를 통해 모터(233)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로봇(232)에 포함되는 제1 나사선(232a)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는 제2 나사선(2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선(232b)은 이동로봇(232)의 제1 나사선(232a)과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선(232a)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분사 케이스(200)의 이동방향이 바뀔 수 있다.
모터(233)의 회전방향에 따라 분사 케이스(200)가 좌우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개구(23) 전면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23)와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물걸레(4)의 전면에 고온의 스팀을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어, 물걸레(4)를 살균/세척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가 이동함에 따라 청소기(2)의 물걸레(4)를 살균/세척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분사 케이스(200)는 모터(233)의 구동에 따른 이동장치(230)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브러시(201)는 청소기(2)의 물걸레(4)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의 물걸레(4)에 붙은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다. 물걸레(4)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오수통(2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분사 케이스(200)의 스팀 분사홀(204)은 스팀을 분사하지 않는 상황일 수 있다.
이물질이 오수통(240)에 수용된 경우, 흡입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음압을 생성하여 오수통(240)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먼지 덕트(120)의 먼지 흡입구(121) 측에 흡입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오수통(240)에 수용되어 있는 이물질은 먼지 흡입구(121)의 흡입력에 의해 오수통(240)에서 먼지 흡입구(121)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물걸레(4)에서의 이물질이 제거된 뒤, 분사 케이스(200)의 스팀 분사홀(204)에서는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스팀이 분사되는 경우에도 분사 케이스(20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00)가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구(23)와 대향하는 물걸레(4)의 모든 면적에는 고온의 스팀이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고온의 스팀에 의해 물걸레(4)는 살균/세척될 수 있다.
고온의 스팀이 물걸레(4)를 살균/세척하는 경우, 물걸레(4)에 분사된 스팀은 응결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낙하할 수 있다. 스팀이 응결되어 낙하하는 경우, 오수통(240)에 수용될 수 있다. 오수통(240)에 수용된 응결된 스팀은 오수통(240)을 착탈하여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돌출 커버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분사 케이스(300)는 스팀 분사홀(304)의 상측에 마련되는 돌출 커버(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커버(302)는 청소기 하부면(3)을 향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 커버(302)는 분사 케이스(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 커버 (302)에는 복수의 스팀 토출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토출구(303)는 돌출 커버(302)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분사홀(304)에서 분사된 스팀은 돌출 커버(302)와 접촉할 수 있다. 돌출 커버(302)와 접촉한 스팀은 돌출 커버(302)의 측부에 마련된 복수의 스팀 토출구(303)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어 청소기의 하부면(3), 즉 물걸레(4)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물걸레(4)와 비스듬히 접촉할 수 있게 되어 더 넓은 면적의 물걸레(4)를 살균/세척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케이스가 스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분사 케이스(400)는 스팀 분사홀(404)의 상측에 마련되는 스팀 가이드(40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가이드(402)는 분사된 스팀의 분사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V형상일 수 있다. 스팀 가이드(402)는 분사 케이스(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팀 가이드(402)는 복수의 스팀 토출구(40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팀 토출구(403)는 스팀 가이드(402)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분사홀(404)에서 분사된 스팀은 스팀 가이드(402)의 V형상에 의해 진행방향이 좌우로 퍼지는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 방향이 바뀐 스팀은 복수의 스팀 토출구(40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물걸레(4)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이 물걸레(4)와 비스듬히 접촉할 수 있게 되어 더 넓은 면적의 물걸레(4)를 살균/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청소기 스테이션
2: 청소기
3: 하부면
4: 물걸레
10: 본체
11: 전면 하우징
12: 상면 하우징
13: 측면 하우징
14: 배면 하우징
20: 청소기 도크
21: 수평부
22: 수직부
23: 개구
100: 흡입장치
101: 공기 흡입구
102: 공기 배출구
110: 먼지 봉투
111: 먼지 유입구
112: 기류 배출구
120: 먼지 덕트
121: 먼지 흡입구
122: 먼지 분출구
130: 헤파필터
200: 분사 케이스
201: 브러시
202: 돌출관
203: 함몰면
204: 스팀 분사홀
205: 스팀 유입홀
210: 물통
220: 스팀 발생기
221: 제1 파이프 라인
222: 제2 파이프 라인
223: 펌프
230: 이동장치
231: 가이드 바
232: 이동로봇
232a: 제1 나사선
232b: 제2 나사선
233: 모터
234: 도킹부
240: 오수통
300: 분사 케이스
301: 브러시
302: 돌출 커버
303: 스팀 토출구
304: 스팀 분사홀
305: 개구
400: 분사 케이스
401: 브러시
402: 스팀 가이드
403: 스팀 토출구
404: 스팀 분사홀
405: 개구
A: 이물질 제거부
B: 청소기 세척부
2: 청소기
3: 하부면
4: 물걸레
10: 본체
11: 전면 하우징
12: 상면 하우징
13: 측면 하우징
14: 배면 하우징
20: 청소기 도크
21: 수평부
22: 수직부
23: 개구
100: 흡입장치
101: 공기 흡입구
102: 공기 배출구
110: 먼지 봉투
111: 먼지 유입구
112: 기류 배출구
120: 먼지 덕트
121: 먼지 흡입구
122: 먼지 분출구
130: 헤파필터
200: 분사 케이스
201: 브러시
202: 돌출관
203: 함몰면
204: 스팀 분사홀
205: 스팀 유입홀
210: 물통
220: 스팀 발생기
221: 제1 파이프 라인
222: 제2 파이프 라인
223: 펌프
230: 이동장치
231: 가이드 바
232: 이동로봇
232a: 제1 나사선
232b: 제2 나사선
233: 모터
234: 도킹부
240: 오수통
300: 분사 케이스
301: 브러시
302: 돌출 커버
303: 스팀 토출구
304: 스팀 분사홀
305: 개구
400: 분사 케이스
401: 브러시
402: 스팀 가이드
403: 스팀 토출구
404: 스팀 분사홀
405: 개구
A: 이물질 제거부
B: 청소기 세척부
Claims (20)
- 청소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
상기 청소기 도크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물통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을 포함하는 분사 케이스; 및
상기 분사 케이스를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단에 장착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분사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동로봇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상기 개구 내에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과 상기 스팀 발생기는 제1 파이프 라인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라인 상에는 상기 물통에 수용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 발생기와 상기 분사 케이스를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제2 파이프 라인을 통해 상기 분사 케이스로 이동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유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팀 유입홀과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분사 케이스를 관통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라인은 복수의 돌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관은 상기 복수의 스팀 유입홀과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함몰면에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스팀의 분사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스팀 분사홀의 상측에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V형상의 스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에서 분사된 증기는 상기 돌출 커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로봇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로봇의 일단에 마련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통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음압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 상기 흡입장치와 연통되어 상기 음압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먼지 덕트 및 상기 먼지 덕트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상기 흡입장치와 상기 먼지 덕트 사이에 마련되는 먼지 봉투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청소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도크, 세척수를 수용하는 물통,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상기 물통과 연통되는 스팀 발생기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하는 청소기 세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세척부는,
상기 분사 케이스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스팀 분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단에 장착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분사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단에 장착되는 이동로봇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도크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과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도록 상기 개구 내에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함몰면에 마련되며,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스팀의 분사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스팀 분사홀의 상측에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V 형상의 스팀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팀 분사홀은 상기 돌출 커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세척부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오수를 수용하는 오수통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청소기의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751A KR20240030125A (ko) | 2022-08-29 | 2022-08-29 | 청소기 스테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751A KR20240030125A (ko) | 2022-08-29 | 2022-08-29 | 청소기 스테이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0125A true KR20240030125A (ko) | 2024-03-07 |
Family
ID=9027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8751A KR20240030125A (ko) | 2022-08-29 | 2022-08-29 | 청소기 스테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30125A (ko) |
-
2022
- 2022-08-29 KR KR1020220108751A patent/KR20240030125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89630C2 (ru) | Пылесос | |
CN100381090C (zh) | 复合式清洁器 | |
US20120096671A1 (en) | Floor cleaning apparatus employing a combined sweeper and vaccum assembly | |
CN106455892B (zh) | 用于抽吸式清洁机的空气管 | |
JP3568837B2 (ja) | 床面洗浄清掃機 | |
JP5374631B1 (ja) | 湿式吸引アタッチメント | |
KR20020079164A (ko) | 세척수 순환식 진공청소기 | |
KR100565262B1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 |
KR100619787B1 (ko) | 습식 청소 기능을 구비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 |
KR100619754B1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 |
JP2024052956A (ja) | 清掃装置 | |
KR20060037185A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 |
JP2005080973A (ja) | クリーナ | |
JP2008036269A (ja) | 吸引式清掃装置 | |
CN107072459A (zh) | 具有用于捕集残留废物的集成水捕集器的表面维护车辆 | |
KR20050019270A (ko) |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 |
KR20240030125A (ko) | 청소기 스테이션 | |
KR100697080B1 (ko) | 습,건식 겸용 업라이트 청소기 | |
CN216823274U (zh) |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 |
CN218515671U (zh) | 簸箕附件和具有该簸箕附件的真空清洁器 | |
KR100595551B1 (ko) | 복합 청소기 | |
KR100842371B1 (ko) | 청소기용 습식 흡입장치 | |
KR100595576B1 (ko) |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 |
KR100539759B1 (ko) | 복합 청소기 | |
KR100677257B1 (ko) |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