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688A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6688A KR20240016688A KR1020220094747A KR20220094747A KR20240016688A KR 20240016688 A KR20240016688 A KR 20240016688A KR 1020220094747 A KR1020220094747 A KR 1020220094747A KR 20220094747 A KR20220094747 A KR 20220094747A KR 20240016688 A KR20240016688 A KR 202400166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content
- external device
- control unit
- movable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hosphor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75 halogen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 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TV의 경우 집 안에 거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TV에 대한 실시 예가 다양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2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3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 2 컨텐트 그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제 1 모드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편집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상단 케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4개 다리는 상기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 기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움직이면서 특정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위치에서 복수 개의 컨텐트를 순차적으로 볼 수 있으며, 녹음된 소리에 기초하여 새로운 그룹 컨텐트로 저장하여 추후 그때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 모듈(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TV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서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 G, 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TV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210)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납된 형태이다. 이때, 하우징(210)은 상단 케이스(210a) 및 하단 케이스(210b)를 포함하며, 상단 케이스(210a)와 하단 케이스(210b)가 열고 닫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210a)에 오디오 출력부(160)가 포함될 수 있고, 하단 케이스(210b)에는 제어부(180)인 메인 보드, 파워보드, 전원 공급부(190), 배터리, 인터페이스부(170), 센싱부(120) 및 입력부(130, 로컬키를 포함)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NFC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조도 센서,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DC-DC 보드, 센서 및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낮은 전압 차등 신호) 변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4개의 다리(220a, 220b, 220c, 220d)는 하단 케이스(210b)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다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활용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구조로,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 닫을 경우, 가방과 같이 들 수 있는 구조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상에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닫힌 하우징을 들 수 있도록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좌우 측면에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0)는 가죽 또는 플라스틱 등 사용자가 손에 들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00)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들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를 바닥에 놓고 상단 케이스를 오픈하여,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하단 케이스 측면에 수납 공간(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 공간(310)에는 도 2에서 상술한 다양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납 공간(310)은 터치 펜(touch-pen) 또는 무선 이어폰(wireless earphone)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다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4개의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다리는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이격되게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다리를 부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활용 예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단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 내지 (d)는 상단 케이스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 4의 (b)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하여 컨텐트를 감상/시청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에 출력된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컨텐트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d)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도 4의 (c) 및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를 발판으로 하여 세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가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오픈되면, 일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수납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터치하는 신호, 센싱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단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c)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가로로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 및 도 5의 (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 및 도 5의 (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단 케이스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의 (a)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세로로 거치되어 있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상단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지 부재(500)는 하단 케이스에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을 세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접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모터의 제어를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고, 뒷 단에 오디오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 부재(500)는 도 5의 (b)와 동일한 지지 부재(500)를 사용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거치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500)에 포함된 힌지(510)가 더 많이 접힌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하단 케이스에 가로로 거치되거나 세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센싱부 또는 입력부를 통한 감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가로로 또는 세로로 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6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NFC 태깅, QR 코드 링크, 핀 코드 입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한 뒤, 수신된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가 연결되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610, 620)와의 파일 송수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대 속도 250Mbps로 일반적인 와이파이 속도를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속도를 지원한다. 즉, 블루투스 대비 최대 22배 빠른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의 연결은 NFC 태깅, QR 코드 링크 및 핀 코드 입력 등을 통하여 수행하고 컨텐트 송수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서 파워-온 됨에 따라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1 거리 이내에서 위치하며, NFC 태깅, QR 코드 링크, 핀 코드 입력 등의 인증이 수행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디바이스(610, 620)에 대하여 컨텐트 송수신 방법에 대하여 자동 공유 또는 수동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610)로부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에게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제 2 외부 디바이스(620)로부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연결된 디바이스(610, 620)에 기초하여 컨텐트 분류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컨텐트는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컨텐트를 다시 외부 디바이스(610, 620)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전송한 컨텐트를 다시 공유 받는 것은 무용한 일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610)가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만을 제 1 외부 디바이스(610)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게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2 컨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컨텐트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의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트를 제 2 외부 디바이스(620)에게 공유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10, 620)를 2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져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2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720)에 연결된 상태를 전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 및 제 2 외부 디바이스(7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로부터 수신한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한 뒤, 제 2 외부 디바이스(720)로부터 수신한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시간 간격으로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의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외부 디바이스(710)에서 촬영한 제 1 컨텐트(710a)는 가로로 촬영된 이미지이고, 제 2 외부 디바이스(720)에서 촬영한 제 2 컨텐트(720a)는 세로로 촬영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할 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가로로 전환하여 제 1 컨텐트(710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때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세로로 전환하여 제 2 컨텐트(720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고정된 현재 위치가 한강공원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 중 장소 키워드가 한강공원으로 되어 있는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710, 720)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제 1 시간을 기준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현재 시간이 오후 7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컨텐트 중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에 사이에 촬영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마이크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텐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주위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주변 사용자들의 음성을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텐트를 출력할 때, “저거 좀 봐”, “저 사진 봐” 등의 제 1 컨텐트를 지목하는 발화를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고, 제 1 컨텐트를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를 제 1 위치에서의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와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트를 대표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고, 제 1 컨텐트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컨텐트 또는 제 1 컨텐트와 동일한 시간에서 촬영된 컨텐트를 제 1 컨텐트와 함께 제 1 컨텐트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제 1 컨텐트 그룹 또는 제 2 컨텐트 그룹 등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제 1 컨텐트 그룹 또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앨범화 하여 USB로 저장할 수 있도록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은 여행이 끝나고 난 후 추억 여행 기능과 같이 일주일 전 어디를 여행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들, 한달 전 어디를 여행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들, 일년 전 어디를 여행 했을 때의 컨텐트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단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도 9의 (a)의 왼쪽 도면)되거나 하단 케이스에 수납(도 9의 (a)의 오른쪽 도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거치되는 실시 예를 제 1 모드로 지칭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는 실시 예를 제 2 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수납되더라도 화면이 꺼지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50)로서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모드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기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직접 잡고 하단 케이스 방향으로 누르는 물리적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로컬 키 또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입력 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2 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9의 (b)와 같이 컨텐트의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편집 모드는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트에 다양한 기능을 통해 컨텐트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컨텐트를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에 세워져 있는 경우보다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경우가 사용자가 컨텐트를 편집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하단 케이스 안에 누워있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출력 중인 컨텐트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텐트의 편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위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 포함된 GPS 모듈 등을 이용하여 파악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S10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태깅, QR 코드 링크 및 핀 코드 입력 등의 방식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단계(S10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 고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시간(예를 들어, 1시간) 이상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S104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시간 이후 위치가 변동된 경우, 단계(S10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0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이미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컨텐트를 송수신하는 것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S105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한 컨텐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기준, 시간 기준 또는 공간 기준으로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06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제 1 위치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제 1 위치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컨텐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생성된 컨텐트 그룹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트 그룹 이외에 개별 컨텐트에 대하여도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도 10과 같이 단계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방송수신부
111: 튜너부
112: 복조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 장치
110: 방송수신부
111: 튜너부
112: 복조부
120: 센싱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오디오 출력부
170: 인터페이스부
171: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17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73: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 장치
Claims (18)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컨텐트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2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2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제 3 외부 디바이스에 새로운 컨텐트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을 요청하고,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됨에 따라, 상기 제 3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새로운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시간 및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중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대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대표 이미지 및 상기 대표 이미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포함하는 제 1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 및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포함하는 제 2 컨텐트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제 2 컨텐트 그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제 1 모드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는 제 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제 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편집 모드를 제공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에 메모 기능, 그리기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상단 케이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3 항에 있어서,
탈부착이 가능한 4개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4개 다리는 상기 하단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파워-온(power-on)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 1 외부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중 제 1 컨텐트를 전송하되,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컨텐트를 제외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는 상기 제 1 외부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에게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ko) | 2022-07-29 | 2022-07-29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ko) | 2022-07-29 | 2022-07-29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6688A true KR20240016688A (ko) | 2024-02-06 |
Family
ID=8985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4747A KR20240016688A (ko) | 2022-07-29 | 2022-07-29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16688A (ko) |
-
2022
- 2022-07-29 KR KR1020220094747A patent/KR202400166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325868A2 (en) |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40016688A (ko) |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
US11756464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5998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722280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70531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US11682329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62316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 |
JP7574388B1 (ja) | 移動可能なテレビ(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移動可能なテレビ(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 |
KR2023011833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18903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0921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25308A (ko) |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240020501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
KR20240024855A (ko) |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 |
CN118803329A (zh) | 便携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 |
KR2024000921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13775A (ko) |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23829A (ko) |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3003903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JP2024156594A (ja) | 移動可能なテレビ(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移動可能なテレビ(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 |
KR20240044444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30146902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11347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24008768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