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14217A -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 Google Patents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17A
KR20240014217A KR1020220091691A KR20220091691A KR20240014217A KR 20240014217 A KR20240014217 A KR 20240014217A KR 1020220091691 A KR1020220091691 A KR 1020220091691A KR 20220091691 A KR20220091691 A KR 20220091691A KR 20240014217 A KR20240014217 A KR 2024001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lywheel
rotation
uni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고성규
김민석
주종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17A/ko
Priority to PCT/KR2023/007963 priority patent/WO2024025140A1/en
Publication of KR2024001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5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with fly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핸들부 위에 설치하여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 위치가 핸들부에서 벗어남 없이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원터치 방식의 양방향 조작을 통해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증감하여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동 자전거의 주행 중에도 자세의 흐트러짐 없이 회전 저항 레벨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운동 자전거의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SWITCH ASSEMBLY FOR REGULATING ROTARY LOAD AND FITNESS BIKE INCLUDING SWITCH ASSEMBLY FOR REGULATING ROTARY LOAD}
본 발명은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플라이휠에 적용 가능한 회전 저항 레벨을 특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 자전거는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실내 운동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헬스 자전거는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해 바퀴가 회전되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헬스 자전거는 스피닝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피닝 자전거와, 일반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바퀴를 돌리는 실내 자전거로 구분할 수 있다.
스피닝 자전거는 페달을 밟고 운동을 하는 특성상 논 프리휠(Non-Freewheel) 구조를 적용하며, 실내 자전거는 프리휠(Freewheel) 구조를 적용한다.
스피닝 자전거에 적용되는 논 프리휠(Non-Freewheel) 구조는, 페달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모두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어 바퀴가 회전된다.
또한 실내 자전거에 적용되는 프리휠(Freewheel) 구조는, 페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바퀴로 동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페달을 정지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국제특허공개번호 WO2017/136366(2017.08.10)에는 플라이휠의 회전에 자기적 저항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강도있게 페달링할 수 있는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회전저항장치는 통상 운동 자전거의 플라이휠과 함께 사용된다. 회전저항장치는 플라이휠에 인가되는 저항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인 조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회전시켜 고정암과 가동암을 포함하는 저항체인 스테이터가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암은 프레임부 및 플라이휠에 대해 일반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동암은 플라이휠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동작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는 조정 로드에 의해 가동암과 결합되며, 핸들부 아래의 프레임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측면에서 필요에 따라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를 파지하고 있던 손 위치를 회전저항조정스위치인 노브(nob)가 위치한 무릎 정도의 높이로 이동하여 노브를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부로부터 거리가 있는 노브를 향해 손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운동 자전거 주행 중에 회전저항조정스위치의 조작이 어렵고, 라이딩 자세가 불안정해지며, 운동 자전거에서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특허공개번호 WO2017/136366(2017.08.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부 위에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설치하여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저항조정스위치의 원터치 방식의 양방향 조작을 통해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증감하여 조정할 수 있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부의 상부 핸들과 하부 핸들의 회전저항스위치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용접 포인트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많이 받는 핸들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인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는, 핸들부 위에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설치하여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라이딩 운동 중에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저항 레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양방향 조작을 통해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증감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의 상부 핸들과 하부 핸들의 회전저항스위치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용접 포인트를 형성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핸들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핸들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와 동심을 이루며, 스위치 본체와 함께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회전 코어부와, 스위치 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회전 코어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커버부 및 고정 커버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회전 코어부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하는 택트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일 수 있다.
스위치 본체는, 핸들 파이프의 중공 내에 삽입되는 레버 조립체에 의해 핸들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코어부는, 레버 조립체의 축결합부에 고정되는 원형 단면의 회동축부 및 회동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스위치 본체에 지지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회전 코어부의 회동축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는, 택트 스위치부의 누름 동작을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절하는 신호로 인지하고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증감시키는 저항체를 구동시키는 EMS 제어부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S 제어부는,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증감 여부에 따라 저항체인 스테이터의 자력 세기를 조절하여 플라이휠에 회전 저항과 관련된 저항값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각각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가 구비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와 동심을 이루며, 스위치 본체와 함께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회전 코어부와, 스위치 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회전 코어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커버부와, 고정 커버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회전 코어부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하는 택트 스위치부 및 회전 코어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회전 코어부의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가 구비된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를 제공한다.
핸들 파이프는, 역'U'자 형상의 상부 핸들과, 각각 'ㄴ'자 형상의 하부 핸들의 조합에 의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레버는 스위치 본체의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가 핸들 파이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에 의하면, 핸들부 위에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설치하여,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 위치가 핸들부에서 벗어남 없이 라이딩 운동 중에 회전 저항 레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저항스위치의 원터치 방식의 양방향 조작을 통해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증감하여 조정함으로써,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부의 상부 핸들과 하부 핸들의 회전저항스위치와의 결합부위에 복수의 용접 포인트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많이 받는 회전저항스위치가 위치한 핸들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 본체의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가 핸들 파이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 레버 아래의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조작부를 양방향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부에 결합되는 스위치 레버의 체결수단이 최대한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동 자전거의 외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운동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 자전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핸들부의 상부 핸들의 용접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핸들부의 하부 핸들의 용접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에 설치된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운동 자전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 운동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 자전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1)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핸들부(143)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동 자전거(1)는 프레임부(120), 스페이서부(125), 스템(140), 시트 하우징부(126), 시트 포스트(150), 스템 록킹부(145) 및 포스트 록킹부(154)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20)의 하측에는 프레임부(12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13)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13)는 프레임부(120)의 하측에 연결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3)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를 지지한다. 이러한 프레임부(120)는 운동 자전거(1)의 하중 분포,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케이싱(110)이 설치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브레이크 장치(미도시), 회전저항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케이싱(110)은 전방과 후방측이 라운드지고 좌우방향 양측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좌우방향 양측에는 원형의 디스크홀부(111)가 형성된다.
디스크홀부(111)에는 회전 디스크(131)가 설치된다. 회전 디스크(131)는 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싱(110)과 회전 디스크(131)는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등을 외부와 차폐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 및 동물 등의 접근을 차단하여 부상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등의 부품에 외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은 운동 자전거(1)의 외관을 형성한다.
구동축부(133)의 양측에는 회전 디스크(131)의 중심부가 연결된다. 각 회전 디스크(131)의 둘레부에는 페달(130)이 각각 연결된다. 일측 회전 디스크(131)의 페달(130)과 타측 회전 디스크(131)의 페달(130)은 구동축부(133)의 외측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페달(130)을 밟으면 회전 디스크(131)가 구동축부(133)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구동축부(133)는 구동휠(미도시)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사용자가 페달(130)을 밟게 되면 회전 디스크(131)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디스크(13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디스크(131)가 디스크홀부(111)를 차폐시키므로, 페달(130)을 밟아 회전 디스크(131)를 회전시키더라도 사용자나 유아 등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131)가 구동축부(133)와 구동휠(미도시) 등을 차폐하여 운동 자전거(1)의 내부 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동물 등 신체의 일부가 케이싱(1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전방측에는 스페이서부(125)가 상측으로 연장된다. 스페이서부(125)는 프레임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스페이서부(125)는 스템(140)(stem)이 결합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스템(140)은 스페이서부(125)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템 포스트(141)를 포함한다. 스템(14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부(144)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4)는 운동 자전거(1)의 속도, 회전 저항 등과 같은 운동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템(140)은 스페이서부(125)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탬(123)의 상측에는 핸들부(143)가 연결된다.
스페이서부(125)의 상측은 하측보다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스템(140)의 높이가 높게 조절될수록 핸들부(143)가 전방측으로 멀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핸들부(14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핸들부(143)의 높이와 전후방향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시트 하우징부(126)가 설치된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케이싱(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케이싱(110)의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구동축부(133)과 회전축부(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시트 하우징부(126)는 다각 파이프 또는 원형 파이프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의 내부에는 시트 포스트(150)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포스트(150)의 상단부는 그 하단부보다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시트 포스트(15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153)가 설치된다. 시트 포스트(150)는 시트 하우징부(126)의 내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포스트(150)의 단면은 시트 하우징부(126)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포스트(150)와 시트 하우징부(126)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시트 포스트(15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시트(153)가 핸들부(143)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시트 포스트(150)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시트(153)와 핸들부(143)의 높이와 전후방향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플라이휠(170)은 회전축부(160)에 축결합된다. 플라이휠(170)의 회전 중심에는 회전축부(160)가 결합되고,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은 원웨이 베어링(미도시)(oneway bearing)을 매개로 연결된다. 원웨이 베어링은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은 클러치 기어모듈(미도시)에 의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클러치 기어모듈 역시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자전거(1)에서는 플라이휠(170)이 구동축부(133)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배치되거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휠(1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프레임부(120)와 케이싱(110)의 형태가 변경된다. 또한,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의 위치도 변경된다.
또한, 플라이휠(170)은 프리휠 모드(freewheel mode)와 논프리휠 모드(non-freewheel mode)로 회전된다.
프리휠 모드는 회전축부(1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플라이휠(170)이 원웨이 베어링의 구속력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부(16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플라이휠(170)이 회전되지 않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프리휠 모드에서는 회전축부(160)의 역방향 회전시 회전축부(160)가 플라이휠(170)에서 공회전된다.
논프리휠 모드는 회전축부(1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든 경우에 플라이휠(170)이 회전되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논프리휠 모드에서는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이 클러치 기어모듈에 의해 서로 록킹(locking)되어 함께 회전된다.
스테이터(180)는 플라이휠(170)에 자력을 가하여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을 조절하도록 프레임부(120)에 설치된다. 스테이터(180)는 철심(181)에 코일(182)이 감긴 전자석이다. 코일(18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테이터(180)에서 자력이 발생된다. 스테이터(180)의 코일(18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이 증가될수록 페달(130)을 밟는 답력, 즉 회전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이 감소될수록 페달(130)의 밟는 답력, 즉 회전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 조절에 의해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페달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핸들부의 상부 핸들의 용접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핸들부의 하부 핸들의 용접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핸들부(143)는 핸들 그립(미도시)과 핸들 파이프(400)로 구성된다. 핸들 파이프(400)는 역'U'자 형상의 상부 핸들(401)과, 각각 'ㄴ'자 형상의 하부 핸들(402)의 조합에 의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 파이프(400)의 상부 핸들(401)과 하부 핸들(402)의 곡선 부분은 일정한 R값으로 라운드되어 있다. 하부 핸들(402)에 용접에 의해 융착 고정된 고정 브라켓(403)은 운동 자전거(1)의 스템(140)에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핸들(401)과 하부 핸들(402)의 연결 부분에는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회전저항조정스위치가 설치된다.
회전저항조정스위치는 핸들 파이프(400)를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 레버(200)를 포함한다. 회전저항조정스위치는 사용자의 손 위치가 핸들부(143)에서 벗어남 없이 핸들부(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200)는 레버 조립체(300)와 함께 핸들 파이프(400)의 상부 핸들(401) 양측 단부에서 둘레면을 따라 용접에 의해 융착 고정되고, 하부 핸들(402)에 레버 조립체(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핸들(40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홀(402a)을 따라 용접에 의해 융착 고정된다. 이때, 스위치 레버(200)는 핸들 파이프(400)의 용접을 고려하여 상부 핸들(401)의 곡선 부분의 하부에 일정한 길이(대략 8mm)만큼 용접 부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부(143)의 상부 핸들(401)과 하부 핸들(402)의 스위치 레버(200)와의 결합 부위에 복수의 용접 포인트를 형성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스위치 레버(200)가 위치한 핸들부(143)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200)는 후술하는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가 핸들 파이프(400)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위치 레버(200) 아래의 핸들부(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엄지 손가락으로 양방향, 즉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손쉽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핸들부(143)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스위치 레버(200)는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 중 어느 하나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201)이 체결공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수단(201)은 최대한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 중 하방으로 연장된 어느 하나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동 자전거(1)의 외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에 설치된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스위치 레버(200)는 핸들 파이프(400)의 중공 내에 설치되는 레버 조립체(3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위치 본체(210)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300)는 핸들 파이프(400)의 중공 내에 삽입되어 스위치 레버(20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로서, 스위치 레버(200)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전장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조립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조립체(300)는, 핸들 파이프(400)의 중공 내에 삽입되는 조립 본체(310)를 포함한다.
레버 조립체(300)의 조립 본체(310)는, 스위치 레버(200)의 스위치 본체(210)가 삽입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부(311)와, 스위치 본체(210)가 삽입홈부(311)를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 코어부(220)에 축결합되는 축결합부(312)를 포함한다.
조립 본체(310)는 핸들 파이프(400)의 중공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313)를 포함한다. 조립 본체(310)의 삽입홈부(311)에는 스위치 레버(200)의 스위치 본체(210)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유격 없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조립 본체(310)는 삽입홈부(311)의 하부 중심에 탄성부재(250)가 장착되는 장착홈부(314)를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레버(200)는 스위치 본체(210), 회전 코어부(220), 고정 커버부(230) 및 택트 스위치부(240)를 포함한다.
스위치 본체(210)는 레버 조립체(300)의 삽입홈부(311)에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위치 본체(210)는 레버 조립체(300)의 축결합부(3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된다. 스위치 본체(210)는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 대략 90°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엄지 손가락이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다.
회전 코어부(220)는 레버 조립체(300)의 축결합부(312)에 의해 고정되는 원형 단면 형상의 회동축부(221)와, 회동축부(221)로부터 연장되어 스위치 본체(210)에 지지되는 가압부(222)를 포함한다.
회동축부(221)는 축결합부(312)에 의해 레버 조립체(300)의 조립 본체(310)에 축 결합되며, 스위치 본체(210)의 중심에 형성되어 스위치 본체(210)와 동심을 이루며, 탄성부재(250)가 연결되어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탄성부재(250)는 비틀림 탄성력을 작용하여 비틀리기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회전 코어부(220)의 회동축부(221)에 삽입되는 코일형의 탄성부(미도시)와, 탄성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고정 커버부(2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코어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지지부(미도시) 및 탄성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레버 조립체(300)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50)는 일측의 제1 지지부가 스위치 본체(210)를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타측의 제2 지지부가 레버 조립체(30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2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탄성부재(250)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토션 스프링으로 한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위치 레버(200)와 레버 조립체(300)의 연결 관계 및 작동 관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복원 스프링 등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압부(222)는 스위치 본체(210)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213)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축부(221)와 가압부(222)를 포함하는 회전 코어부(220)는 스위치 본체(210)와 함께 회동축부(22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스위치 본체(210)와 회전 코어부(220) 사이에는 원호 형상의 고정 커버부(230)가 설치된다. 고정 커버부(230)는 스위치 본체(21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면과, 회전 코어부(220)의 회동축부(221)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면이 긴밀하게 맞닿아 양호한 회전을 보장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커버부(230)의 양단면에는 택트 스위치부(240)가 설치된다. 택트 스위치부(240)는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가 회전하면서 누름 동작을 통해 스위칭된다. 여기서, 누름 동작이라 함은 가압부(222)가 회전하면서 택트 스위치부(240)를 지속적으로 누르지 않고 한번 누르는 원터치(one touch) 동작만으로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를 조작하여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가 택트 스위치부(240)를 누르게 될 경우, 회전 코어부(220)와 연결된 탄성부재(250)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여 회전 코어부(220)와 스위치 본체(210)가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동작에 의해 원터치 동작이 실행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부(240)는 스위치 본체(21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A부, B부)이 반경 방향으로 최소의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 커버부(230)의 외측면은 스위치 본체(210)의 내측면에 대해 택트 스위치부(240)의 지지면(A부, B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의 유격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에 의해 택트 스위치부(240)가 누름 동작이 발생할 경우, 택트 스위치부(240)의 클릭감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택트 스위치부(240)의 지지면이 위치하는 A부 및 B부 위치의 120° 구간에, 고정 커버부(230)의 외측면이 스위치 본체(21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최소의 유격을 가지는 C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부(240)가 스위치 본체(21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최소의 유격을 가지는 지지면을 가질 경우, C부는 A부 및 B부와 함께, 스위치 본체(210)의 내측면에 대해 고정 커버부(230)의 외측면의 지지력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본체(210)에 대해 고정 커버부(230)의 외측면의 지지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택트 스위치부(240)의 클릭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회전저항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20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의 동작 전 상태에서는,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가 택트 스위치부(240)에 스위칭되지 않는 정상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테이터(180)의 회전 저항 레벨을 특정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 중 어느 하나를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동시키는 스위치 조작상태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 본체(210)는 회전 코어부(220)를 매개로 축결합부(312)에 의해 레버 조립체(300)에 결합되어 있어, 어느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S10).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스위치 본체(210)의 제2 조작부(2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될 경우,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가 회동축부(221)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 코어부(220)의 가압부(222)는 고정 커버부(230)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부(240)를 누르게 된다(S20). 이때, 택트 스위치부(240)의 누름 동작 시, 회전 코어부(220)의 회동축부(221)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50)는 스위치 본체(210)를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레버 조립체(300)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2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택트 스위치부(240)의 누름 동작에 의해 메인 제어부(500)는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절하는 신호로 인지하고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저항체인 스테이터(180)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EMS 제어부(600)로 회전 저항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S30).
EMS 제어부(600)는 택트 스위치부(240) 중 어느 택트 스위치부(240)에서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지 감지하여 스위치 본체(21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한다. 즉,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신호인지 아니면 감소시키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21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은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신호이고, 반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20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은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EMS 제어부(600)는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따라 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를 조절하여 플라이휠(170)에 회전 저항과 관련된 저항값을 부여한다(S40).
한편, 핸들부(143) 양측에 위치한 스위치 레버(200)는 크기가 서로 다른 회전 저항에 대한 저항값을 각각 설정하여 사용자가 임의대로 회전 저항에 대한 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핸들부(143)의 일측에 위치한 스위치 레버(200)는 1 단위로 회전 저항에 대한 저항값을 제어하게 되고, 핸들부(143)의 타측에 위치한 스위치 레버(200)는 10 단위로 회전 저항에 대한 저항값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1 단위로 회전 저항에 대한 저항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10 단위로 회전 저항에 대한 저항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S50).
이어서, 택트 스위치부(240)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게 될 경우, 회전 코어부(220)의 회동축부(221)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50)는 스위치 본체(2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부(143) 위에 회전저항조정스위치를 설치하여,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 위치가 핸들부(143)에서 벗어남 없이 라이딩 운동 중에 회전 저항 레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저항조정스위치의 원터치 방식의 양방향 조작을 통해 회전 저항 레벨을 증감하여 조정함으로써, 플라이휠(170)의 회전 저항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143)의 상부 핸들(401)과 하부 핸들(402)의 회전저항스위치와의 결합 부위에 복수의 용접 포인트를 형성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회전저항스위치가 위치하는 핸들부(143)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본체(210)의 제1 조작부(211) 및 제2 조작부(212)가 핸들 파이프(400)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 레버(200) 아래의 핸들부(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조작부(211,212)를 양방향으로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143)에 결합되는 스위치 레버(200)의 체결수단이 최대한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동 자전거(1)의 외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운동 자전거 110: 케이싱
111: 디스크홀부 113: 베이스부
120: 프레임부 125: 스페이서부
126: 시트 하우징부 126a: 걸림홈부
130: 페달 131: 회전 디스크
133: 구동축부 140: 스템
141: 스템 포스트 143: 핸들부
144: 디스플레이부 150: 시트 포스트
160: 회전축부 170: 플라이휠
180: 스테이터 181: 철심
182: 코일 200 : 스위치 레버
210 : 스위치 본체 211 : 제1 조작부
212 : 제2 조작부 213 : 요홈부
220 : 회전 코어부 221 : 회동축부
222 : 가압부 230 : 고정 커버부
240 : 택트 스위치부 250 : 탄성부재
300 : 레버 조립체 310 : 조립 본체
311 : 삽입홈부 312 : 축결합부
313 : 결합부 314 : 장착홈부
400 : 핸들 파이프 401 : 상부 핸들
402 : 하부 핸들 402a : 슬릿홀
403 : 고정 브라켓 500 : 메인 제어부
600 : EMS 제어부

Claims (15)

  1. 핸들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스위치 본체와 함께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회전 코어부;
    상기 스위치 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 코어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커버부; 및
    상기 고정 커버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코어부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하는 택트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중공 내에 삽입되는 레버 조립체에 의해 상기 핸들 파이프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각각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를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조립체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중공 내에 삽입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가 삽입되는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가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코어부에 축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조립 본체를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코어부는, 상기 레버 조립체의 상기 축결합부에 고정되는 원형 단면의 회동축부; 및
    상기 회동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위치 본체에 지지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코어부의 상기 회동축부의 하단에는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가 연결된,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누름 동작을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절하는 신호로 인지하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증감시키는 저항체를 제어하는 EMS 제어부로 회전 저항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MS 제어부는,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증감 여부에 따라 상기 저항체의 자력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라이휠에 회전 저항과 관련된 저항값을 부여하는,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스테이터로 이루어진,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10. 핸들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각각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가 구비된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스위치 본체와 함께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회전 코어부;
    상기 스위치 본체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 코어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커버부;
    상기 고정 커버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코어부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하는 택트 스위치부; 및
    상기 회전 코어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코어부의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가 구비된, 운동 자전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파이프는, 역'U'자 형상의 상부 핸들과, 각각 'ㄴ'자 형상의 하부 핸들의 조합에 의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운동 자전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상기 제1 조작부 및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핸들 파이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된, 운동 자전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 스위치부의 누름 동작을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 레벨을 조절하는 신호로 인지하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을 증감시키는 저항체를 제어하는 EMS 제어부로 회전 저항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MS 제어부는,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레벨의 증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저항에 대한 증감 여부에 따라 상기 저항체의 자력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라이휠에 회전 저항과 관련된 저항값을 부여하는, 운동 자전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스테이터로 이루어진, 운동 자전거.
KR1020220091691A 2022-07-25 2022-07-25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KR20240014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91A KR20240014217A (ko) 2022-07-25 2022-07-25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PCT/KR2023/007963 WO2024025140A1 (en) 2022-07-25 2023-06-09 Switch assembly for regulating rotary load and fitness bik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91A KR20240014217A (ko) 2022-07-25 2022-07-25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17A true KR20240014217A (ko) 2024-02-01

Family

ID=8970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91A KR20240014217A (ko) 2022-07-25 2022-07-25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17A (ko)
WO (1) WO20240251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6366A1 (en) 2016-02-01 2017-08-10 Mad Dogg Athletics, Inc. Adjustable resistance and/or braking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1710B (zh) * 2010-07-09 2013-03-13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编码开关
US11141619B2 (en) * 2018-11-13 2021-10-12 Chi Hua Fitness Co., Ltd. Spinner bike with adjustable magnetic resistance
CN113694466B (zh) * 2021-08-27 2022-06-10 浙江力玄运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摆动的健身车
CN216169680U (zh) * 2021-09-30 2022-04-05 厦门群鑫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曲柄踏板类健身车刹车系统
CN216755308U (zh) * 2022-01-20 2022-06-17 青岛迈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体控制结构以及健身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6366A1 (en) 2016-02-01 2017-08-10 Mad Dogg Athletics, Inc. Adjustable resistance and/or braking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140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635B2 (en) Exercise bicycle with magnetic flywheel brake
US8409060B2 (en) Exercise bike for rehabilitation
TWI299998B (ko)
US9839807B2 (en) Exercise machine with multi-function wheel brake actuator and over center locking mechanism
US5980431A (en) Multi-cycle
US20040102292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US6569063B2 (en) Magnets adjusting device for bike exercisers
US20230321481A1 (en) Freewheel adjustable wheel and exercise bicycle including same
US9919182B2 (en) Exercise machine with multi-function wheel brake actuator and over center locking mechanism
KR101702547B1 (ko) 다목적 자전거 운동기구
US20070243975A1 (en) Convertible cycle exerciser
TW201002385A (en) Exercise apparatus and manual resistance control device thereof
KR100247230B1 (ko) 헬스용 기구의 구동장치
KR20240014217A (ko)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 및 회전저항조정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동 자전거
CN113633527A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US5816818A (en) Training device for riding a unicycle
CN111437569B (zh) 用于健身器材的双向传动机构
CN211273368U (zh) 一种磁阻调节装置及采用该装置的健身设备
KR200431280Y1 (ko)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JP3139553U (ja) 運動用固定式自転車
JP3236268U (ja) ハンドル装置及びフィットネスバイク
EP0101221A1 (en) A gymnastic bicycle
KR101782780B1 (ko) 전기 자전거의 스탠드
KR200266853Y1 (ko) 조합형 스케이트보드 스쿠터/운동기구
CN221905610U (zh) 用于健身器材的阻力轮的阻力调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