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777A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4777A KR20230174777A KR1020220075397A KR20220075397A KR20230174777A KR 20230174777 A KR20230174777 A KR 20230174777A KR 1020220075397 A KR1020220075397 A KR 1020220075397A KR 20220075397 A KR20220075397 A KR 20220075397A KR 20230174777 A KR20230174777 A KR 202301747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ngunjatang
- weight
- parts
- composition
-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8—Pinell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육군자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을 투여함에 따라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경도 인지장애 등을 포함하는 뇌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의약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사회환경이 급변하고 다변화되어감에 따라 많은 정보를 받아들여 신속하게 적응하는 두뇌활동을 해야하며, 특히 수험생들은 치열한 입시경쟁때문에 장시간의 학습 및 기억 활동을 하게 된다. 중년기 이후에는 중추신경의 기능저하로 인한 기억력 감퇴, 건망증, 불안감 증대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노인층에서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에 의해 기억력이 저하되고, 그 정도가 심해지면 사회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요구되고 있는 질환이다.
기억력 개선 또는 기억력 저하 예방 방법 중 뇌조직과 관련된 것으로는, 수술적 치료, 약물치료 또는 기능성 물질 복용 등을 들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치매와 같은 기억력이 저하되는 질병은 발병된 이후에 치료하기보다는 예방 위주로 기억력 개선 및 기억력 저하에 효과 있는 약물 혹은 기능성 물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섭취 가능한 천연 유래 물질을 이용하여 기억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육군자탕은 백출(白朮), 인삼(人蔘), 백복령(白茯岺), 감초(甘草), 진피(陳皮), 반하(半夏), 생강(生薑), 대조(大棗)로 구성되어 있고, 송대(宋代)의 진자명(陳自明)이 저술한 교주부인양방(校注婦人良方)에 최초로 수록된 처방이다. 현대에서는 만성위염(慢性胃炎), 위하수(胃下垂), 위무력(胃無力)과 같은 소화기 질환에 효과적이다.
기억력 증진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2065503호에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2292호에 '기억력 증강 효과가 있는 생약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육군자탕이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을 투여하여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육군자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을 투여함에 따라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마우스 유래 해마 신경세포에 육군자탕과 이를 구성하는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의 단독 추출물 및 육군자탕을 각각 처리한 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2는 마우스 유래 해마 신경세포에서 육군자탕과 이를 구성하는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글루타메이트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100㎍/㎖)을 함께 처리한 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며, * 및 **는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을 구성하는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의 단독 추출물(각각 100㎍/㎖)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3은 글루타메이트(GLU) 및 육군자탕(YGT)을 함께 처리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세포사멸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 및 ***는 글루타메이트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 50㎍/㎖ 또는 100㎍/㎖ 처리군의 세포사멸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01이다.
도 4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처리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육군자탕 투여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동물실험의 모식도이다. NORT는 신물질탐색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이고, PAT는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이다.
도 5는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YGT) 투여에 따른 기억력 지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Con은 정상군이고, SCO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이며, SCO+YGT는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의 기억력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 대비 스코콜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SCO+YGT)의 기억력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6은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YGT) 투여에 따른 머무름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Con은 정상군이고, SCO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이며, SCO+YGT는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의 머무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 대비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SCO+YGT)의 머무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2는 마우스 유래 해마 신경세포에서 육군자탕과 이를 구성하는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글루타메이트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100㎍/㎖)을 함께 처리한 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며, * 및 **는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을 구성하는 인삼, 반하, 백출, 복령,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의 단독 추출물(각각 100㎍/㎖)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3은 글루타메이트(GLU) 및 육군자탕(YGT)을 함께 처리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글루타메이트 처리군(-)의 세포사멸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 및 ***는 글루타메이트 처리군(-) 대비 글루타메이트 및 육군자탕 50㎍/㎖ 또는 100㎍/㎖ 처리군의 세포사멸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01이다.
도 4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처리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육군자탕 투여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동물실험의 모식도이다. NORT는 신물질탐색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이고, PAT는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이다.
도 5는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YGT) 투여에 따른 기억력 지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Con은 정상군이고, SCO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이며, SCO+YGT는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의 기억력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 대비 스코콜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SCO+YGT)의 기억력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6은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YGT) 투여에 따른 머무름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Con은 정상군이고, SCO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이며, SCO+YGT는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이다. ###는 정상군(Con) 대비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의 머무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고, *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대조군(SCO) 대비 스코포라민 및 육군자탕을 처리한 군(SCO+YGT)의 머무름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육군자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육군자탕은 0.6~2.2 중량부의 인삼, 0.6~2.2 중량부의 백출, 0.6~2.2 중량부의 복령, 0.6~2.2 중량부의 반하, 0.6~2.2 중량부의 진피, 0.2~0.8 중량부의 감초, 0.3~1.0 중량부의 생강 및 0.3~1.0 중량부의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육군자탕은 0.8~1.6 중량부의 인삼, 0.8~1.6 중량부의 백출, 0.8~1.6 중량부의 복령, 0.8~1.6 중량부의 반하, 0.8~1.6 중량부의 진피, 0.3~0.7 중량부의 감초, 0.5~0.8 중량부의 생강 및 0.5~0.8 중량부의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육군자탕은 1.33 중량부의 인삼, 1.33 중량부의 백출, 1.33 중량부의 복령, 1.33 중량부의 반하, 1.33 중량부의 진피, 0.5 중량부의 감초, 0.67 중량부의 생강 및 0.67 중량부의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총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육군자탕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육군자탕은 인삼 1.33g, 백출 1.33g, 복령 1.33g, 반하 1.33g, 진피 1.33g, 감초 0.5g, 생강 0.67g, 대추 0.67g으로 이루어진 복합한약재 추출물로 (주)한국신약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단독 추출물의 준비]
상기 육군자탕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 백출, 복령, 반하, 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는 옴니허브(동우당)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단독 추출물은 물 1L에 시료 100g를 넣고 열수 추출한 뒤,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신경세포 보호 효과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를 분리하여 만든 마우스해마신경세포주인 HT22 cell line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HT22 신경세포를 플레이트에 분주한 뒤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시료(인삼, 백출, 복령, 반하, 진피, 감소, 생강 및 대추의 단독 추출물, 육군자탕) 100㎍/㎖를 전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와 신경세포 손상을 유도하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함께 처리하여 24시간 뒤, CCK-8 실험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고, 세포사멸은 AnnexinV/PI 염색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육군자탕과 이를 구성하는 인삼, 백출, 복령, 반하, 진피, 감소,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글루타메이트로 유도된 세포독성은 육군자탕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육군자탕은 이를 구성하는 인삼, 백출, 복령, 반하, 진피, 감소, 생강 및 대추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대비하여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증가하였다(도 2).
또한, 글루타메이트 처리로 인해 증가된 신경세포사멸은 육군자탕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3).
실시예 2. 인지기능 개선 효과
스코폴라민을 주입하여 구축된 인지저하 동물모델에서 육군자탕(YGT)의 투여에 따른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물질탐색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및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50mg/kg의 육군자탕을 7일간 경구투여한 뒤, 스코폴라민과 육군자탕을 함께 7일간 투여하였다. 정상군(Con)은 물과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대조군(SCO)은 물과 스코폴라민을 투여하였다(도 4).
신물질 탐색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Con)에 비해 대조군(SCO)이 기억력 지수(Discrimination index)가 감소하였으나, 육군자탕 처리군(SCO+YGT)에서는 대조군(SCO)에 비해 기억력 지수가 개선되었다.
또한, 수동회피실험에서도 마찬가지로 머무름 시간(Latency)이 감소되는 대조군(SCO)에 비해 육군자탕(SCO+YGT) 처리군에서 머무름 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Claims (8)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군자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 진피, 반하, 생강 및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군자탕은 0.6~2.2 중량부의 인삼, 0.6~2.2 중량부의 백출, 0.6~2.2 중량부의 복령, 0.6~2.2 중량부의 반하, 0.6~2.2 중량부의 진피, 0.2~0.8 중량부의 감초, 0.3~1.0 중량부의 생강 및 0.3~1.0 중량부의 대추의 혼합물을 물에 넣고 끓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경도 인지장애 또는 치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군자탕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5397A KR20230174777A (ko) | 2022-06-21 | 2022-06-21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CT/KR2023/007407 WO2023249280A1 (ko) | 2022-06-21 | 2023-05-31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US18/989,473 US20250121020A1 (en) | 2022-06-21 | 2024-12-20 | 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gnitive disorder comprising yukgunjatang as effective compon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5397A KR20230174777A (ko) | 2022-06-21 | 2022-06-21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4777A true KR20230174777A (ko) | 2023-12-29 |
Family
ID=8933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5397A Pending KR20230174777A (ko) | 2022-06-21 | 2022-06-21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121020A1 (ko) |
KR (1) | KR20230174777A (ko) |
WO (1) | WO202324928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46467A1 (en) * | 2001-02-08 | 2002-10-10 | Jung Kyu Yong | Herb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
KR20050021026A (ko) * | 2001-06-15 | 2005-03-07 |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계의 이상으로부터발생하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100525474B1 (ko) * | 2003-10-07 | 2005-11-02 | 롯데제과주식회사 |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
KR102467285B1 (ko) * | 2020-06-01 | 2022-11-16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우황청심환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2022
- 2022-06-21 KR KR1020220075397A patent/KR20230174777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5-31 WO PCT/KR2023/007407 patent/WO20232492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
- 2024-12-20 US US18/989,473 patent/US20250121020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50121020A1 (en) | 2025-04-17 |
WO2023249280A1 (ko) | 2023-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1692B1 (ko) |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1549746B1 (ko) | 생강의 용매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위장장애 및 위장관 운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EP3895721A1 (en) |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 |
KR20110005144A (ko) |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인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 | |
KR20150113434A (ko) |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509061B1 (ko) |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EP3235502B1 (en) |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 |
KR102128511B1 (ko) | 홍삼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32483B1 (ko) |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80013B1 (ko) |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230174777A (ko) |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66460A (ko) | 람부탄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KR20230087210A (ko) | 한삼덩굴 잎 추출물, 고욤나무 잎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47068B1 (ko) | 보혈안신탕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128510B1 (ko) |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711959B1 (ko) | 송악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
KR102681562B1 (ko) | 노루오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89527A (ko) |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
KR102813946B1 (ko) | 곽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력 손상 개선용 조성물 | |
KR102669262B1 (ko) |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656187B1 (ko) |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2649776B1 (ko) | 백출 및 수영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307726B1 (ko) |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14886A (ko) |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40072591A (ko) | 나문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