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849A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2849A KR20230172849A KR1020220073530A KR20220073530A KR20230172849A KR 20230172849 A KR20230172849 A KR 20230172849A KR 1020220073530 A KR1020220073530 A KR 1020220073530A KR 20220073530 A KR20220073530 A KR 20220073530A KR 20230172849 A KR20230172849 A KR 20230172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er
- panel
- protrusion
- sealing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8 necessary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방측에 제2전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제공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커버패널; 및 상기 커버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패널과 결합되는 전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모듈은, 패널 형태의 전면을 가지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an embodimen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first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drum accommodating clothing therein; a second process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having a second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drum accommodating clothes therein;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ont panel and the second front panel and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over panel including a front portion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an electrical module coupled to the cover panel at the rear of the cover panel, wherein the electrical module includes: a supporter having a front panel-shaped front; and a flat panel display located in front of the supporter and supported by the supporter. and a circuit board located behind the support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panel displa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시키는 등, 상기 세탁물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puts laundry, such as clothes and bedding, into a drum and performs necessary treatments on the laundry, such as removing contamination on the laundry or drying it.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Whe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equipped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laundr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can perform processes such as washing, rinsing, dehydration, and dry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cabinet that forms the exterior, a tub accommodated inside the cabinet, a drum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tub into which laundry is placed,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supplies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drum. When the drum is rotated by a motor whil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dirt on the laundry can be removed by friction between the drum and the washing water.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한 공기를 세탁물에 제공하여 상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및 세탁물에 제공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게 하는 가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고 세탁물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When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to dry laundr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an remove moisture from the laundry by providing dry air to the laundr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cabine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 heating means for heating or drying air provided to the laundry. By supplying dry air to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moisture present in the laundry is evaporated and removed by the dry air, there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laundry.
공개문헌 KR 10-2008-0021921 A1(선행문헌1)에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되어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측에 제1처리장치가 마련되고, 하측에 제2처리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각각의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문헌1에 개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서로 구별되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각각의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처리장치 상태를 각각 확인해야 하고, 복수의 처리장치를 각각 조작해야 하며, 상기 복수의 처리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작동시키기도 불리할 수 있다.Publication document KR 10-2008-0021921 A1 (Prior Document 1) show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rocessing devices stacked together.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a first processing device provided at the upper side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provided at the lower side. Additionally,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have respective operating units and display units is disclosed. However,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disclosed in
공개문헌 KR 10-2021-0112087 A1(선행문헌2)에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되어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단일의 컨트롤패널으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를 각각 조작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선행문헌2는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사이에 컨트롤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한다. 다만, 컨트롤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효과적인 결합 관계를 제시하지는 않는다.Public document KR 10-2021-0112087 A1 (prior document 2) show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rocessing devices stacked together. A structure for operating a first processing device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using a single control panel is disclosed. Prior Document 2 presents a structure for combining a control panel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However, it does not present an effective combination of each component that makes up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들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when combining each component forming a control panel.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을 제공하며, 평판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트롤패널을 구성함으로써, 단순 명료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panel including a flat display, and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implement a simple and clear user interface (UI) design by configuring the control panel using the flat display.
본 발명은 습기에 취약한 평판디스플레이를 습기에 항시 노출되는 환경이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protect a flat display,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from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s constantly exposed to moisture.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밀봉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forming a control panel can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sealing properties.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커버패널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can reduce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cover panel when constructing a control panel including a flat displa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her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방측에 제2전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제공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커버패널; 및 상기 커버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패널과 결합되는 전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모듈은, 패널 형태의 전면을 가지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an embodimen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es: a first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drum accommodating clothing therein; a second process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having a second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drum accommodating clothes therein;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ont panel and the second front panel and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over panel including a front portion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an electrical module coupled to the cover panel at the rear of the cover panel, wherein the electrical module includes: a supporter having a front panel-shaped front; and a flat panel display located in front of the supporter and supported by the supporter. and a circuit board located behind the support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panel display.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display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lat display is positioned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안착부보다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1씰러가 위치되는 제1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first sealing portion in which a first sealer is positioned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surrounding an area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씰러가 삽입되는 제1실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formed as a first sea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ealer is inserte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발광부재 및 터치센서가 한쌍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touch buttons provided as a pair of light emitting members and touch sensor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커버하며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밀봉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cover located behind the circuit board, covering the circuit board, and coupled to the support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2씰러가 위치되는 제2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봉커버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2씰러와 마주하는 부분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실링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econd sea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supporter to surround an outer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disposed and a second sealer is positioned, and the sealing cover includes a front portion and the first sealing portion in front of the front portion. 2. It may include a sea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long a portion facing the seal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는 홈 형상의 제2실링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실링돌출부는 상기 제2실링홈에 삽입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sealing part may be provided as a groove-shaped second sealing groove, and the seal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ealing groov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의 상기 전면부에는 배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은 상기 배선홀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근하고, 상기 배선홀에는 상기 배선홀을 밀봉하기 위한 배선홀밀봉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wir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sealing cover, a cable transmitt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pproaches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wiring hole, and the wiring hole is sealed in the wiring hole. A wiring hole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do thi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배선홀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배선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cover may include a wiring hole protrusion that protrudes rearwar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wiring ho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보다 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cover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small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안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안착부보다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1씰러를 위치 고정시키는 제1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의 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2씰러를 위치 고정시키는 제2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홈 중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제2실링홈의 상부 및 하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display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lat display is located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and a first sealing groove surrounding an area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ealer. A second sealing groov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supporter, surrounding the outer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placed and fixing the second sealer in position. A sealing groove may b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ealing groove may be formed in portions fac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전면을 이루는 서포터전면부;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아래측에 형성되는 서포터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하면부에서 상기 제2실링홈과 상기 제1실링홈의 사이에는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사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er includes: a front portion of the supporter forming the front; A supporter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er front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er formed below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er, wherein a groove open in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groove and the first sealing groove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er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er. You can.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전면을 이루는 서포터전면부;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아래측에 형성되는 서포터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하면부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커버결합부가 형성되고, 기 밀봉커버에서 상기 밀봉커버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서포터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er includes: a front portion of the supporter forming the front; A supporter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er front portion; and a supporter lower surfac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supporter front part, wherein one or more sealing cover coupling parts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on the supporter upper surface part and the supporter lower surface part, and the sealing cover coupling part in the existing sealing cover is formed. Supporter coupl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결합부는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커버결합부는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pporter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and the sealing cover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receiving hole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sion.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에서 상기 나사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기 나사결합부와 상기 결합보스는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cover further includes screw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coupling boss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coupling portion in the supporter, and the original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boss are screws. Can be combined by absen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패널걸림돌기를 포함헐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cover may include one or more cover panel locking protrusions that protrude in one or more directions of upward and downwar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와 면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와 밀착되어 상기 밀봉커버를 후방에서 구속하는 제1구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t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is formed to face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at the rear of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to form the sealing cover. It may include a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that restrains from the rea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구속돌기의 주변에는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슬릿은 전방이 폐쇄되고 상기 제1구속돌기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lit may be formed around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and the slit may be closed at the front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구속돌기; 및 상기 커버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구속하는 제2구속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includes: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and a second constrain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and is located rearward of the supporter, and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supporter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support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 중 다른 하나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구속하는 제3구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and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A third restrain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hat is located rearward of the supporter and restricts the position of the support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커버패널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패널은 상기 커버패널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장모듈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패널결합부와 상기 전장모듈결합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cover further includes a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either an upper or lower portion, and the cover panel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module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and the electric modul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결합부는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전장모듈결합부는 돌기수용홀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수용홀에 수용되는 결합에 의해 상기 전장모듈이 상기 커버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electric module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receiving hole, so that the electric module is coupled to the cover panel by the coupling in which the protrusion is received in the protrusion receiving hole. You can.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는 스피커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안착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밀봉커버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speak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er, and the speak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aling cov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컨트롤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들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bining each component forming a control panel,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평판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컨트롤패널을 얻을 수 있으며, 평판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트롤패널을 구성함으로써, 단순 명료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anel including a flat panel display can be obtained, and a simple and clear user interface (UI) design can be implemented by configuring the control panel using the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습기에 취약한 평판디스플레이를 습기에 항시 노출되는 환경이 유지되는 의류처리장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panel display vulnerable to moisture can be protected from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s constantly exposed to mois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컨트롤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밀봉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forming the control panel can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sealing properti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평판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커버패널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control panel including a flat displ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quality degradation of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cover panel.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커버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전면패널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의 내측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D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의 내측에서 윗쪽으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4은 도 12의 F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전면패널결합부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서포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서포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밀봉커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II-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과 커버패널이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4의 III-I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G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이 제1전면패널 및 제2전면패널과 결합된 상태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을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anel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of an electrical modul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4.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front panel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9.
Figure 11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ure 9.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ure 12.
Figure 1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F of Figure 12.
Figure 15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front panel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line II of Figure 17.
Figure 1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cov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2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line II-II of FIG. 20.
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ed portion viewed from the rear to illustrate the coupling of the electrical module and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ure 24.
Figure 2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G of Figure 23.
Figure 25 is a view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combined with the first front panel and the second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insid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of the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10), 제2처리장치(20) 및 컨트롤패널(200)을 포함한다. Figure 1 shows a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각 구성에 대한 전방방향(+X), 후방방향(-X), 제1측방향(+Y), 제2측방향(-Y) 및 상방방향(+Z), 하방방향(-Z)의 정의는 모두 동일한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10)의 전후방향(+X, -X)은 제2처리장치(20), 컨트롤패널(200)등의 전후방향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고, 측방향(+Y, -Y) 및 상하방향(+Z, -Z) 또한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direction (+ All definitions of (-Z) can be defined in the same terms. For exampl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 -Y) and up and down directions (+Z, -Z) can also be defined similarly.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및/또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가 세탁기이고 제2처리장치(20)가 건조기일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가 모두 세탁기이거나 건조기일 수 있고, 제1처리장치(10)가 건조기이고 제2처리장치(20)가 세탁기일 수도 있으며, 기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The
실시 예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는 제1처리장치(10)는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2) 및 터브(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 내부의 제1드럼(12)은 터브(1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1처리장치(10)는 제2처리장치(20)를 지지한다. 제2처리장치(20)는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2) 및 터브(14)가 구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제1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2)에는 제1드럼(12)과 연통되는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는 제1캐비닛도어(1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처리장치(10)의 제1드럼(12)은 전후방향(+X, -Y)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진다.The
제1처리장치(10)는 일측방향(+Y)에 제1좌측면패널(11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타측방향(-Y)에는 제1우측면패널(116, 도2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후방측에는 제1후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는 제1상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하측에 제1하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The
제1전면패널(112), 제1측면패널(115), 제1후면패널(미도시), 제1상면패널(119) 및 제1하면패널(미도시)은 서로 조합되어 제1캐비닛(110)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내부에 제1드럼(12)과 같이 제1처리장치(10)를 구성하는 내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제1처리장치(10)는 의류개구를 통해 처리가 요구되는 의류 등이 제1캐비닛(110) 내부로 투입되어 제1드럼(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제1처리장치(10)에 의한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제1전면패널(112)에는 세제개구가 형성되고, 세제개구에는 세제저장유닛(16)이 삽입되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1처리장치(10)는 지면상에 배치되며, 세제저장유닛(16)의 인입 및 인출이 편리하도록,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 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 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컨트롤패널(20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유닛(16)은 사용자에 의해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캐비닛(110)으로부터 세제저장유닛(16)을 분리하고, 세제저장유닛(16)에 세제를 저장시킨 이후, 세제저장유닛(16)을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A detergent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제1전면패널(112)은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유닛(18)이 삽입되는 필터개구가 형성되고, 필터개구에는 필터유닛(18)이 삽입되어 제공된다. 필터유닛(18)은 제1전면패널(112)의 하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필터개구를 통해 제1캐비닛(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터브(14)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세탁과정이 수행된 이후 터브(14)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18)의 역할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대상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유닛(18)은 세탁과정 진행 전에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사용자는 필터개구를 통해 필터유닛(18)을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인출된 필터유닛(18)은 세척 후 재사용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세제저장유닛(16)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더 길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비교적 짧은 세제저장유닛(16)이 인입되는 세제개구를 제1전면패널(112)의 상부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비교적 긴 필터유닛(18)이 인입되는 필터개구는 제1전면패널(112)의 하부측에 배치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제1전면패널(112)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The user can insert or withdraw the
나아가, 제1캐비닛(110) 내부에서 터브(14)와 연결되는 세탁수 배출유로는 세탁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1캐비닛(110) 내에서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유닛(18)은 제1캐비닛(110)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세탁수 배출유로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ed to the
제1처리장치(10)에는 제1장치제어부(19)가 제공될 수 있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처리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장치제어부(19)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장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장치제어부(19)는 컨트롤패널(200)으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에서 확인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장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처리장치(10)의 상태를 컨트롤패널(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제2처리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비닛(120)은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2전면패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22)에는 제2드럼(22)과 연통되는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는 제2캐비닛도어(2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제2처리장치(20)는 일측방향(+Y)에 제2좌측면패널(1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타측방향(-Y)에는 제2우측면패널(126, 도2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후방측에는 제2후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상측에는 제2상면패널(127)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하측에는 베이스(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제2전면패널(122), 제2측면패널(125), 제2후면패널(미도시), 제2상면패널(127) 및 베이스(500)는 서로 조합되어 제2캐비닛(120)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2캐비닛(120)은 내부에 제2드럼(22)과 같이 제2처리장치(20)를 구성하는 내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제2처리장치(20)의 의류개구를 통해 처리가 요구되는 의류 등이 제2캐비닛(120) 내부로 투입되어 제2드럼(2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드럼(22)에 수용된 의류는 제2처리장치(20)에 의한 세탁, 건조 등의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Clothes that require processing can be introduced into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처리장치(20)는 의류개구가 제2캐비닛도어(27)와 함께 제2전면패널(122)상에 마련된다. 제2처리장치(20)에 수용된 제2드럼(22)은 전후방향(X)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진다.In the
제2처리장치(20)는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처리장치(10)의 하부는 제2처리장치(2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상방은 제2처리장치(2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10)의 제1상면패널(미도시)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2처리장치(20)의 베이스(50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제2처리장치(20)에는 제2장치제어부(29)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처리장치(2)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캐비닛(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장치제어부(29)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장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장치제어부(29)는 컨트롤패널(200)으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에서 확인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장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처리장치(20)의 상태를 컨트롤패널(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컨트롤패널(200)은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 사이에 배치된다. 컨트롤패널(200)은 대략 사용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높이인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에 편리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컨트롤패널(2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와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컨트롤패널(200)은 제1장치제어부(19) 및/또는 제2처리장치(20)와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패널(2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제1처리장치(10) 및/또는 제2처리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2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의류처리장치(1)의 후방에는 후방브라켓(300)이 제공된다. 후방브라켓(3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와 결합된다. 후방브라켓(300)은 제1처리장치(1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동시에 제2처리장치(2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후방브라켓(300)에는 운반자를 위한 핸들이 형성된다. 운반자는 후방브라켓(300)에 형성된 핸들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를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다.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컨트롤패널(2000)은 커버패널(2100)을 포함한다. 커버패널(2100)의 후방에는 전장모듈(3000, 도 3 참조)이 위치된다. 커버패널(2100)은 전면부(2110), 상면부(2120), 하면부(2130, 도 9 참조), 제1측면부(2142), 제2측면부(2144)를 포함한다. 전면부(2110)는 커버패널(2100)의 외관을 이룬다. 상면부(2120)는 전면부(2110)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하면부(2130)는 전면부(2110)의 하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측면부(2142)는 전면부(2110)의 제1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측면부(2144)는 전면부(2110)의 제2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패널(2000)은 커버패널(2100)과 전장모듈(3000)을 포함한다. 전장모듈(3000)은 커버패널(2100)의 후방에서 커버패널(2100)과 결합된다. 전장모듈(3000)은 서포터(2200), 밀봉커버(2300), 평판디스플레이(2400), 회로기판(2500)을 포함한다.The
서포터(2200)는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서포터(2200)는 패널 형태의 전면을 가진다. 서포터(2200)는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 및 하면부(2130)와 결합된다.The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서포터(2200)의 전면에 위치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서포터(2200)에 의해 지지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커버패널(2100)과 서포터(2200)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얇은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LCD, PDP, AMLCD, PMLCD, OLED, LED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밀봉커버(2300)는 서포터(22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서포터(2200)와 결합된다. 밀봉커버(2300)는 회로기판(2500)을 커버한다. 밀봉커버(2300)는 회로기판(2500)의 후방에 위치된다. 밀봉커버(2300)와 서포터(2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2390, 도 21 참조)에는 회로기판(2500)이 위치된다. The sealing
회로기판(2500)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0) 중 일부 기판은 커버패널(210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0)은 후술할 스피커를 위한 회로기판, 평판디스플레이(2400) 및 입력버튼으로 제공되는 터치버튼(2511)을 위한 회로기판(2510), 통신모듈을 위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위한 회로기판은 평판디스플레이(2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2400)에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U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위한 회로기판은 밀봉커버(230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위한 회로기판(2510)에는 터치버튼(2511)이 제공된다. 터치버튼(2511)은 발광부재 및 터치센서가 한쌍으로 제공된다. 발광부재는 대응되는 터치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한다. 예컨대, 터치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발광부재가 광을 방출하도록 한다. 발광소자는 LED소자로 제공될 수 있다. 서포터(2200)는 발광소자에서 확산되는 빛을 특정 위치로 집중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서포터(2200)에는 센서홀(2216)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센서홀(2116)은 터치버튼(2511)이 제공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센서홀(2116)은 홀의 둘레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확장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차단벽은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이 터치버튼(2511)의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서포터(2200)의 뒤에 회로기판(2510)을 위치시킴으로써, 터치버튼(2511)의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커버패널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를 설명하여 커버패널(2100)을 설명한다.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anel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에는 타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요소들이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면부(2120)의 중앙에는 전장모듈결합부(2121)가 형성된다.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전장모듈(3000)과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면부(2120)에는 복수개의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가 형성된다.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는 커버패널(2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는 커버패널(2100)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Elements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n the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장모듈결합부(2121)를 설명한다.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of an electrical modul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electric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전장모듈(3000)과 커버패널(2100)을 결합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밀봉커버(2300)와 결합된다.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커버패널결합돌기(2321, 도 20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전장모듈결합부(2121)에는 돌기수용홀(2121a)이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돌기수용홀(2121a)은 전장모듈결합부(2121)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수용홀(2121a)은 밀봉커버(2300)에 형성된 커버패널결합돌기(2321, 도 20 참조)을 수용한다. The electrical
실시 예에 있어서, 돌기수용홀(2121a)의 주변에는 슬릿(2121c)이 형성된다. 본 설명에서 사용하는 슬릿이라는 용어는 폭이 좁게 형성된 개구를 의미한다. 슬릿(2121c)은 후방이 폐쇄되고, 돌기수용홀(2121a)의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돌기수용홀(2121a)과 슬릿(2121c)은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돌기수용홀(2121a)은 슬릿(2121c)에 의해 상면부(2120)의 다른 부분보다 높은 탄성을 갖게 되는 탄성면(2121b)에 형성된다. 슬릿(2121c)은 상면부(2120)의 후방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a
슬릿(2121c)의 주변에는 슬릿(2121c)의 외측을 따라 보강돌출부(2121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돌기수용홀(2121a)의 주변에는 돌기수용홀(2121a)의 외측을 따라 보강돌출부(2121d)가 더 형성될 수 있다.A reinforcing
도 7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전면패널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를 설명한다.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는 제2처리장치(20)의 제2전면패널(122)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는 커버패널(2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는 결합돌기(2123a)를 포함한다. 결합돌기(2123a)는 제2전면패널(122)의 하부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2123a)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23a)는 후방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123a)의 전방 높이는 후방 높이보다 높다. 결합돌기(2123a)의 전방 및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릿(2123c)이 형성된다. 슬릿(2123c)에 의해 상면부(2120)의 다른 부분보다 높은 탄성을 갖게되는 탄성면(2123b)이 형성된다. 결합돌기(2123a)는 탄성면(2123b) 위에 형성된다. 결합돌기(2123a)의 외곽은 돌출되고, 내측은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결합돌기(2123a)에는 함몰부(2123f)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23a)는 브릿지(2123d)를 통해 슬릿(2123c)을 가로질러 상면부(2120)와 연결될 수 있다. 슬릿(2123c)의 주변에는 슬릿(2123c)의 외측을 따라 보강돌출부(2123e)가 더 형성될 수 있다.Figure 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4.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front panel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on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의 내측에서 아래쪽으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커버패널(2100)의 하면부(2130)의 상면을 살핀다.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look at the upper surface of the
커버패널(2100)의 하면부(2130)에는 제1구속부(2131)와 제2구속부(2133)가 형성된다. 제1구속부(2131)는 하면부(2130)에서 상방(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구속부(2131)는 제2구속부(2133)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구속부(2131)는 커버패널(2100)의 중앙에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속부(2133)는 하면부(2130)에서 상방(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구속부(2133)는 제1구속부(2131)보다 바깥쪽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구속부(2133)는 커버패널(2100)의 중앙에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1구속부(2131)를 설명한다. Figure 1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9. The
제1구속부(2131)는 전장모듈(3000)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구속부(2131)는 제1구속돌기(2131a)를 포함한다. 제1구속돌기(2131a)는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 및/또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속돌기(2131a)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방향(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구속돌기(2131a)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 도 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구속돌기(2131a)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제1구속돌기(2131a)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와 밀착되어 밀봉커버(2300)를 후방에서 구속한다.The
제1구속돌기(2131a)의 주변에는 슬릿(2131c)이 형성된다. 슬릿(2131c)은 제1구속돌기(2131a)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슬릿(2131c)의 후방 부분 너비는 제1구속돌기(2131a)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된다. 슬릿(2131c)은 상면부(2120)의 전방에서 시작되어 후방으로 이어져 제1구속돌기(2131a)의 후방을 지나 다시 상면부(2120)의 전방으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된다. 슬릿(2131c)의 전방측은 폐쇄될 수 있다. 슬릿(2131c)에 의해 탄성면(2131b)이 정의될 수 있다. 제1구속돌기(2131a)는 탄성면(2131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구속돌기(2131a)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구속돌기(2131a)의 높이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높다. A slit (2131c) is formed around the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2131a). The
제1구속부(2131)에는 개구(2131d)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31d)는 제1구속돌기(2131a)의 전방에서 상면부(2120)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길이와, 제1구속돌기(2131a)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개구(2131d)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가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패널걸림돌기(2337)는 개구(2131d)에 수용될 수 있다. An
도 11은 도 9의 D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2구속부(2133)를 설명한다.Figure 11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ure 9. The
제2구속부(2133)는 전장모듈(3000)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구속부(2133)는 제2구속돌기(2133a)를 포함한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 및/또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구속돌기(2133a)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방향(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서포터(2200)의 후방을 지지하고, 서포터(2200)의 위치를 구속한다. 서포터(2200)에서 제2구속돌기(2133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결합홈(2232, 도 17 참조)이 형성된다. 제2구속돌기(2133a)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홈(2232)도 복수개의 제2구속돌기(2133a)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결합홈(22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폭은 제2구속돌기(2133a)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차를 포함하는 실질적 동일성의 개념이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제1결합홈(2232)에 끼워져 서포터(2200)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서포터(22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The
제2구속돌기(2133a)의 주변에는 슬릿(2133c)이 형성된다. 슬릿(2133c) 제2구속돌기(2133a)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슬릿(2133c)의 후방 부분 너비는 제2구속돌기(2133a)의 너비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33c)은 상면부(2120)의 전방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되어 후방으로 이어져 제2구속돌기(2133a)의 후방을 지나 다시 상면부(2120)의 전방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형성된다. 제2구속돌기(2133a)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구속돌기(2133a)의 높이는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높다. A slit (2133c) is formed around the second restraining protrusion (2133a). The slit (2133c)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constraining protrusion (2133a).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of the
제2구속부(2133)에는 개구(2133d)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33d)는 제2구속돌기(2133a)의 전방에서 슬릿(2133c)이 연장되는 길이와, 제2구속돌기(2133a)와 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다. An
제2구속부(2133)와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상면부(2120) 및 하면부(2130) 중 동일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구속부(2133)와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상면부(2120)에 형성된다.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의 내측에서 윗쪽으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에는 제3구속부(2125)가 형성된다. 제3구속부(2125)는 상면부(2120)에서 하방(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2100)의 하면부(2130)에는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가 형성된다.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는 커버패널(2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는 커버패널(2100)의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A
도 13은 도 12의 E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Figure 1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ure 12.
제3구속부(2125)는 전장모듈(3000)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3구속부(2125)는 제3구속돌기(2125a)를 포함한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 및/또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3구속돌기(2125a)는 하면부(2130)에서 내측방향(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서포터(2200)의 후방을 지지하고, 서포터(2200)의 위치를 구속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3구속돌기(2125a)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상일 수 있다. 서포터(2200)에서 제3구속돌기(2125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결합홈(2222, 도 17 참조)이 형성된다. 제3구속돌기(2125a)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홈(2222)도 복수개의 제3구속돌기(2125a)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결합홈(2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폭은 제3구속돌기(2125a)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차를 포함하는 실질적 동일성의 개념이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제2결합홈(2222)에 끼워져 서포터(2200)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서포터(22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다.The
도 14은 도 12의 F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전면패널결합부의 저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를 설명한다.Figure 1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F of Figure 12. Figure 15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front panel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ont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는 제1처리장치(10)의 제1전면패널(112)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는 커버패널(2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는 결합돌기(2135a)를 포함한다. 결합돌기(2135a)는 제1전면패널(112)의 상부에 형성된 홈 또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2135a)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135a)의 후방 높이는 전방 높이보다 높다. 결합돌기(2135a)의 전방 및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릿(2135c)이 형성된다. 슬릿(2135c)에 의해 하면부(2130)의 다른 부분보다 높은 탄성을 갖게되는 탄성면(2135b)이 형성된다. 결합돌기(2135a)는 탄성면(2135b) 위에 형성된다. 결합돌기(2135a)의 외곽은 돌출되고, 내측은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결합돌기(2135a)에는 함몰부(2135f)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35c)의 주변에는 슬릿(2135c)의 외측을 따라 보강돌출부(2135e)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ront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서포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서포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2200)를 설명한다.Figure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 of Figure 17. With reference to FIGS. 16, 17, and 18, a
서포터(2200)는 서포터전면부(2210), 서포터상면부(2220), 서포터하면부(2230)를 포함한다. 서포터상면부(2220)는 서포터전면부(2210)의 상측에 형성된다. 서포터상면부(2220)는 서포터전면부(221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하면부(2230)는 서포터전면부(22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서포터하면부(2230)는 서포터전면부(221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서포터상면부(2220) 및 서포터하면부(2230)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밀봉커버결합부(2221, 2231)을 포함한다. 밀봉커버결합부(2221, 2231)은 서포터상면부(2220) 및 서포터하면부(223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컨트롤패널(2000)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설계에 따라 낮게 설정하면서도, 전장모듈(3000)의 높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이는 회로기판의 면적 확보, 평판디스플레이(2400)의 면적확보 등에 유리하다. 실시 예에 있어서 서포터상면부(2220)에는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가 형성된다. 서포터상면부(2230)에는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가 형성된다.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는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는 3개가 형성된다. 복수의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는 밀봉커버(2300)에 형성된 제1서포터결합부(2323, 도 19 참조)와 결합된다.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는 밀봉커버(2300)에 형성된 제2서포터결합부(2333, 도 19 참조)와 결합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밀봉커버결합부(2221, 2231)에는 각각 수용홀이 형성된다. 서포터결합부(2323, 2333)는 돌기로 형성된다. 서포터결합부(2323, 2333)을 이루는 돌기가 밀봉커버결합부(2221, 2231)의 수용홀에 수용되어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er
밀봉커버결합부(2221)에는 수용홀이 형성된다. 밀봉커버결합부(2221)의 수용홀은 밀봉커버(2300)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한다. A receiving hole is formed in the sealing
서포터전면부(2210)에는 디스플레이안착부(2211)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안착부(2211)에는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위치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디스플레이안착부(2211)에 안착된다. 디스플레이안착부(2211)는 서포터전면부(2210)에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안착부(2211)가 형성하는 함몰 높이는 평판디스플레이(24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안착부(2211)에는 평판디스플레이(2400)와 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는 케이블관통홀(2211a)이 형성된다. 케이블관통홀(2211a)은 디스플레이안착부(221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A
서포터전면부(2210) 중 디스플레이안착부(2211)보다 바깥 영역에는 제1실링홈(2219)이 형성된다. 제1실링홈(2219)은 제1씰러(2820, 도 24 참조)가 위치되는 제1실링부로 기능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실링홈(2219)은 제1씰러(2820)를 위치 고정 시킨다. 제1실링홈(2219)에는 제1씰러(2820)가 삽입된다. A
서포터전면부(2210)에는 스피커안착부(2212)가 형성된다. 스피커안착부(2212)에는 스피커모듈이 배치된다. 스피커안착부(2212)에는 스피커의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피커홀(2212a)이 형성된다. 스피커안착부(2212)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밀봉커버(2300)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안착부(2212)는 제1실링홈(2219)이 형성된 영역보다 바깥쪽의 영역에 형성된다.A
서포터전면부(2210)에는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가 형성된다.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에는 무선통신모듈이 배치된다.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에는 무선 통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통신홀(2213a)을 형성한다. 무선통신은 Wi-Fi, 블루투스 등의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는 제1실링홈(2219)이 형성된 영역보다 바깥쪽의 영역에 형성된다.A wireless communication
서포터전면부(2210)에는 터치필름(2119, 도 24 참조)이 회로기판이 위치한 서포터(2200)의 후방으로 통과하기 터치필름관통홀(2214)이 형성될 수 있다.A touch film through
서포터(2200)에는 제1실링홈(2219)이 형성된다. 제1실링홈(2219)은 서포터(2200)의 서포터전면부(2210)의 전방에 형성된다. 제1실링홈(2219)에는 제1씰러(2820)가 삽입된다. 제1실링홈(2219)은 디스플레이안착부(2211)보다 바깥쪽 영역에 디스플레이안착부(221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실링홈(2219)의 상부 및 하부는 서포터전면부(2210)를 사이에 놓고 제2실링홈(2218)의 상부 및 하부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1씰러(2820)는 고무, 불소, 실리콘 등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A
서포터(2200)에는 제2실링홈(2218)이 형성된다. 제2실링홈(2218)은 서포터(2200)의 후방에 형성된다. 제2실링홈(2218)에는 제2씰러(2810)가 삽입된다. 제2실링홈(2218)은 제2씰러(2810)가 위치되는 제2실링부로 기능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실링홈(2218)은 제2씰러(2810)를 위치 고정시킨다. 제2실링홈(2218)은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위한 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1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영역은 후술하는 제1공간(2390, 도 21 참조)을 정의하는 전면방향 둘레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실링홈(2218)은 밀봉커버(230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실링돌출부(2320, 도 19)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실링홈(2218)에는 실링돌출부(232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씰러(2810)가 제2실링홈(2218)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봉커버(2300)가 서포터(2200)에 결합된다.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의 결합에 의해 실링돌출부(2320)와 제2씰러(2810)는 서로 밀착된다. 서포터(2200)와의 결합을 위해 밀봉커버(2300)의 실링돌출부(2320)는 제2실링홈(2218)으로 삽입되고, 이때, 제2씰러(2810)는 가압되어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인 제1공간(2390, 도 21 참조)을 실링한다. 제2씰러(2810)는 고무, 불소, 실리콘 등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A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의 사이에는 사이홈(2225, 2235)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홈(2225, 2235)은 상부사이홈(2225)과 하부사이홈(2235)을 포함한다. 상부사이홈(2225)은 서포터상면부(2220)에 형성된다. 상부사이홈(2225)은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이 마주하는 부분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서포터상면부(2220)에서 외측 방향은 상부 방향이다. 하부사이홈(2235)은 서포터하면부(2230)에 형성된다. 하부사이홈(2235)은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이 마주하는 부분의 사이에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서포터하면부(2230)에서 외측 방향은 하부 방향이다.Betwee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실링홈(2218)의 깊이 설정은 제한적이다. 제2실링홈(2218)의 깊이가 깊어지면, 실링돌출부(2320)을 길이를 길게 해야 제2씰러(281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다. 그러나 실링돌출부(2320)의 길이가 길어지면, 돌기를 이용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때문에, 제2실링홈(2218)의 깊이 설정은 제한적이다. 제2실링홈(2218)을 이루는 깊이에 따른 저면을 후방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밀봉커버(2300)의 실링돌출부(23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2실링홈(2218)의 깊이를 줄여 실링돌출부(2320)의 돌출 길이를 줄여, 돌기와 홈을 이용한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제2씰러(2810)를 충분히 가압하여 밀봉성능을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홈(2225, 2235)을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setting of the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의 일부 구간은 서로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마주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2실링홈(2218)의과 제1실링홈(2219)의 사이가 이루는 거리는 다른 부분보다 멀게 형성될 수 있다. 부품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 적절한 두께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구성된다면, 두꺼운 부분은 사출 이후 냉각되는 동안 휘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이홈(2225, 2235)이 형성됨으로써,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면서도, 서포터(2200)의 각 부분별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some sections of the
제2실링홈(2218)과 제1실링홈(2219)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씰러(2810)와 제1씰러(2820)의 직경은 동일한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씰러(2810)와 제1씰러(2820)는 동일한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서, 제2씰러(2810)와 제1씰러(2820)를 서로 호환할 수 있음에 따라, 제조 작업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widths of the
서포터(2200)의 후방에는 결합보스(221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2215)는 밀봉커버(2300)의 나사결합부(2330, 도 19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결합보스(2215)는 제2실링홈(2218)보다 바깥 영역에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밀봉커버(2300)의 나사결합부(2330)는 실링돌출부(2320)의 좌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보스(2215)는 나사결합부(2330)와 나사부재(900, 도 20 참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보스(2215)와 나사결합부(2330)이 체결부재(900)에 의헤 결합됨으로써,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보다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강하게 결합되면 제2씰러(2810)에 의한 수밀성 및/또는 기밀성이 높아질 수 있다. A
서포터하면부(2230)에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홈(2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2232)은 서포터하면부(2230)의 후방 단부에 형성에 형성된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결합홈(2232)은 2개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하면부(2230)의 양 단부 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2232)은 제2구속부(2133)와 결합된다. 제2구속부(2133)의 제2구속돌기(2133a)는 제1결합홈(2232)에 끼워진다.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홈(223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홈(2232)의 너비와 이에 대응하는 제2구속돌기(2133a)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될수 있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제1결합홈(2232)의 후방에 위치되어 서포터(2200)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2구속돌기(2133a)는 제1결합홈(2232)에 끼워져 서포터(2200)의 좌우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2구속돌기(2133a)가 제1결합홈(2232)에 끼워짐으로써, 커버패널(2100)에 대한 서포터(220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서포터(2200)의 위치가 구속됨으로써, 전장모듈(300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One or more
서포터상면부(2220)에는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2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2222)은 서포터상면부(222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결합홈(2222)은 2개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상면부(2220)의 양 단부 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2222)은 제3구속부(2125)와 결합된다. 제3구속부(2125)의 제3구속돌기(2125a)는 제2결합홈(2222)에 끼워진다.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2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2222)의 너비와 이에 대응하는 제3구속돌기(2125a)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될수 있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제2결합홈(2222)의 후방에 위치되어 서포터(2200)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3구속돌기(2125a)는 제2결합홈(2222)에 끼워져 서포터(2200)의 좌우방향 이동을 구속한다. 제3구속돌기(2125a)이 제2결합홈(2222)에 끼워짐으로써, 커버패널(2100)에 대한 서포터(220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서포터(2200)의 위치가 구속됨으로써, 전장모듈(300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One or more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구속부(2133)가 하면부(2130)에 형성되면, 제3구속부(2125)는 상면부(2120)에 형성되고, 제2구속부(2133)가 상면부에 형성되면, 제3구속부(2125)는 하면부(2130)에 형성된다. 제2구속부(2133) 및 제3구속부(2125)을 통해 상하방향에서 서포터(2200)의 위치를 구속하여 커버패널(2100)과 전장모듈(3000)을 결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도 1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을 구성하는 밀봉커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밀봉커버(2300)를 설명한다. Figure 1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cover constituting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ferring to FIG. 19, a sealing
밀봉커버(2300)는 밀봉커버전면부(2310)와 실링돌출부(2320)을 포함한다.The sealing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밀봉커버(2300)의 전면을 이룬다. 실시 예에 있어서,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서포터전면부(2210)보다 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안착부(2212)과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스피커안착부(2212)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서 서포터(2200)와 결합된다.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과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한다. 밀봉커버전면부(2310)는 무선통신모듈안착부(2213)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서 서포터(2200)와 결합된다. The sealing
실링돌출부(2320)는 밀봉커버전면부(2310)의 둘레를 따라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실링돌출부(2320)는 제2실링홈(2218)에 삽입된다. 실링돌출부(2320)는 제2실링홈(221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링돌출부(2320)에 대하여 밀봉커버전면부(2310)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실링홈(2218)에 대응되는 형상이면, 밀봉커버전면부(23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The sealing
실링돌출부(2320)에서 상면 부분에는 제1서포터결합부(2323)가 형성된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는 서포터(2200)의 밀봉커버결합부(2221)와 결합된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의 돌기는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의 수용홀에 수용된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과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의 결합에 의해,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와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의 결합은 밀봉커버(2300)가 제2씰러(281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A first
실링돌출부(2320)에서 하면 부분에는 제2서포터결합부(2333)이 형성된다. 제1서포터결합부(2323)는 서포터(2200)의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와 결합된다. 제2서포터결합부(2333)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서포터결합부(2333)의 돌기는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의 수용홀에 수용된다. 제2서포터결합부(2333)과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의 결합에 의해,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서포터결합부(2333)와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의 결합은 밀봉커버(2300)가 제1씰러(282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A second
상부에서는 제1서포터결합부(2323)와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이 서로 결합되고, 하부에서는 제2서포터결합부(2333)와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이 서로 결합됨으로서,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가 서로 상하방향에서 고정될 수 있다. At the upper part, the first
실시 예에 있어서, 서포터결합부(2323, 2333)와 밀봉커버결합부(2221, 2231)의 결합만으로는,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의 결합 안정성이 낮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크류 결합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실링돌출부(2320)에는 좌측 및 우측에는 나사결합부(2330)가 형성된다. 나사결합부(2330)는 실링돌출부(232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나사결합부(2330)는 실링돌출부(2320)에서 돌출 형성된 돌기와 돌기에 형성된 나사관통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2200)의 후방에서 나사결합부(233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보스(2215)가 형성된다. 나사결합부(2330)는 결합보스(2215)와 나사부재(9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나사결합부(2330)는 좌측에 2개소, 우측에 2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측에 복수개의 나사결합부(233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나사결합부(233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나사결합부(2330)과 결합보스(2215)의 나사결합을 통해,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나사부재(90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부(2330)를 결합보스(2215)에 토크를 가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합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나사결합부(2330)가 밀봉커버(23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므로, 실링돌출부(2320)의 좌측(2320a) 및 우측(2320b)에서도 제2씰러(2810)가 충분히 가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upling stability of the
밀봉커버(2300)는 커버패널결합부(232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결합부(2321)는 전장모듈(3000)과 커버패널(2100)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커버패널결합부(2321)은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결합부(2321)은 커버패널결합돌기(2321)로 제공된다. The sealing
커버패널결합돌기(2321)는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결합돌기(2321)눈 밀봉커버(2300)의 상부 중앙에서 돌출 형성된다. 전장모듈결합부(2121)의 돌기수용홀(2121a)은 커버패널결합돌기(2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커버패널결합돌기(2321)가 돌기수용홀(2121a)에 삽입 및 수용되는 결합에 의해 커버패널(2100)에 대한 전장모듈(3000)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커버패널결합돌기(2321)가 돌기수용홀(2121a)에 삽입 및 수용되는 결합에 의해 전장모듈(3000)이 커버패널(2100)과 결합된다.The cover panel coupling protrusion (2321) is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either the top or the bottom. In an embodiment, the cover
밀봉커버(2300)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걸림돌기(2337)는 전장모듈(3000)을 커버패널(2100)의 전면부(2110) 방향으로 밀어서 구속하기 구성이다. 커버패널걸림돌기(2337)는 커버패널(2100)의 제1구속부(2131)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된다. 제1구속부(2131)의 제1구속돌기(2131a)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의 후방에 위치되고, 탄성을 이용하여 커버패널걸림돌기(2337)을 가압한다. 제1구속돌기(2131a)의 탄성은 슬릿(2131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걸림돌기(2337)는 제1구속부(2131)의 개구(2131d)에 삽입되고, 제1구속돌기(2131a)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The sealing
밀봉커버전면부(2310)에는 배선홀(2312)이 형성된다. 배선홀(2312)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이 회로기판(2500) 및/또는 평평판디스플레이(2400)에 접근할 수 있다. 배선홀(2312)의 둘레에는 배선홀돌출부(2313)이 형성된다. 배선홀돌출부(2313)은 배선홀(2312)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배선홀돌출부(2313)에는 배선홀밀봉부재(2314)가 제공된다. 배선홀밀봉부재(2314)은 배선홀돌출부(2313)에 끼워져 제공될 수 있다. 배선홀밀봉부재(2314)은 배선홀(2312)을 밀봉한다. 배선홀돌출부(2313)를 통해 배선홀밀봉부재(2314)가 수밀성 및/또는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잇는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배선홀밀봉부재(2314)는 케이블(미도시)이 통과하고 남는 공간을 밀봉한다. A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II-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3000)을 이루는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Figure 2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line II-II of FIG. 20.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components forming the
서포터상면부(2220)의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는 밀봉커버(2300)의 제1서포터결합부(2323, 도 19)와 결합된다. 서포터상면부(2220)의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는 밀봉커버(2300)의 제2서포터결합부(2333, 도 19 참조)와 결합된다. 제1밀봉커버결합부(2221)과 제2밀봉커버결합부(2231)는 각각 서포터상면부(2220) 및 서포터하면부(223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전장모듈(30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밀봉커버(2300)의 나사결합부(2330)는 서포터(2200)의 결합보스(2215, 도 17 참조)와 결합된다. 나사결합부(2430)와 결합보스(2215)는 나사부재(900)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나사부재(90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부(2330)를 결합보스(2215)에 토크를 가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합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나사결합부(2330)가 밀봉커버(23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므로, 실링돌출부(2320)의 좌측(2320a) 및 우측(2320b)에서도 제2씰러(2810)가 충분히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은 체결력이 높음에 따라, 서포터(2200)와 밀봉커버(23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e
실링돌출부(2320)는 제2실링홈(2218)에 삽입된 제2씰러(2810)와 접촉하여 제2씰러(2810)를 가압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실링돌출부(2320)는 제2실링홈(2218)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돌출부(2320)가 제2씰러(2810)를 가압함으로써, 제1공간(2390)은 외부 공간과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제공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실링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실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1공간(2390)은 외부 공간과 차단되어 평판디스플레이(2400) 및 이를 위한 회로기판(2500)을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The sealing
커버패널결합부(2321)의 상단은 서포터(2200)의 외곽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패널걸림돌기(2337)의 하단은 서포터(2200)의 외곽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op of the cover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과 커버패널이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4의 III-III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장모듈(3000)과 커버패널(2100)의 결합을 설명한다.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ed portion viewed from the rear to illustrate the coupling of the electrical module and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ure 24. 22 and 23, the combination of the
커버패널(2100)의 제1구속부(2131)는 커버패널걸림돌기(2337, 도 20 참조)를 후방에서 가압하여 구속한다. 커버패널(2100)의 제2구속부(2133)는 서포터하면부(2230)의 제1결합홈(2232, 도 17 참조)와 결합된다. 커버패널(2100)의 제3구속부(2125)는 서포터상면부(2220)의 제1결합홈(2232, 도 17 참조)와 결합된다. 커버패널(2100)의 전장모듈결합부(2121)는 커버패널결합돌기(2321, 도 20 참조)와 결합된다.The
서포터(2200)의 전방에는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위치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의 전방에는 터치필름(2119)이 제공된다. 터치필름(2119)은 커버패널(2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터치필름(2119)은 회로기판(2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필름(2119)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A
커버패널(2100)의 후방에는 전장모듈(3000)이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2100)의 전면부(2110), 상면부(2120), 하면부(2130), 제1측면부(2142) 및 제2측면부(2144)이 형성하는 공간에 전장모듈(3000)이 수용될 수 있다.The
커버패널(2100)과 서포터(2200)의 결합에 의해 제1씰러(2820)가 커버패널(2100)과 밀착된다. 제1씰러(2820)와 커버패널(2100)의 밀착에 의해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안착되는 공간이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서포터(2200)와 커버패널(2100)이 강하게 결합되면 제1씰러(2820)에 의한 수밀성 및/또는 기밀성이 높아질 수 있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실링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실링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1씰러(2820)에 의해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외부 공간과 차단되어 습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The
도 24는 도 23의 G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Figure 2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part G of Figure 23. With reference to FIG. 24, a sea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2씰러(2810)는 제2실링홈(2218)에 삽입되어, 실링돌출부(2320)의 가압에 의해 밀봉 성능을 발휘한다. 제1씰러(2820)는 제1실링홈(2219)에 삽입되어 전면부(2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전장모듈(3000)이 커버패널(2100)에 결합되는 가압력에 의해 밀봉 성능을 발휘한다.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이 제1전면패널 및 제2전면패널과 결합된 상태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커버패널(2100)과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의 결합을 설명한다.Figure 25 is a view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anel combined with the first front panel and the second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5, the combination of the
실시 예에 있어서 ,컨트롤패널(2000)은 커버패널(2100)을 통해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의 결합된다.In an embodiment, the
커버패널(2100)의 하면부(2130)는 제1처리장치(10)의 제1전면패널(112)의 상단벤딩부(112a)와 결합된다. 하면부(2130)의 제1전면패널결합부(2135)가 상단벤딩부(112a)의 결합홀에 삽입됨으로써, 커버패널(2100)와 제1전면패널(112)이 결합될 수 있다.The
커버패널(2100)의 상면부(2120)는 제2처리장치(20)의 제2전면패널(122)의 하단벤딩부(122a)와 결합된다. 상면부(2120)의 제2전면패널결합부(2123)가 하단벤딩부(122a)의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커버패널(2100)와 제2전면패널(122)이 결합될 수 있다.The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을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패널을 추가 설명한다.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inside. A cov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패널(2000)은 평판디스플레이(2400)를 포함한다.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제공되는 영역의 전면부(211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커버패널(2100)을 투과하여 제공되는 화면의 품질이 양호하지 못하다. 예컨대, 각종 제조상의 이유로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제공되는 영역에 미세한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경우, 커버패널(2100)을 투과하여 제공되는 화면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패널(2100)은 유니폼존(2115)을 포함한다. 유니폼존(2115)의 내부는 돌출부분이 없는 면으로 형성된다. 유니폼존(2115)을 이루는 평면은 균일한 면을 이룬다다. 유니폼존(2115)은 적어도 평판디스플레이(2400)의 화면이 점유하는 영역보다 크다. 평판디스플레이(2400)는 유니폼존(2115)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된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평판디스플레이(2400)가 투영되는 부분(2117)이 유니폼존(2115)의 내부에 위치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실시 예에 있어서, 유니폼존(2115)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유니폼존(2115)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돌기들은, 정면(전면 또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유니폼존(2115)과 중첩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구속돌기(2131a)는 유니폼존(2115)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된다. 제1구속돌기(2131a)이 돌출된 높이(h1)는 유니폼존(2115)의 저면에서 전면부(2110) 저면까지의 거리(d1)보다 짧다. 이로서, 유니폼존(2115)과 제1구속돌기(2131a)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In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This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Claims (25)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방측에 제2전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제공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상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커버패널; 및
상기 커버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패널과 결합되는 전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모듈은,
패널 형태의 전면을 가지는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디스플레이; 및
상기 서포터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 first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a first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drum containing clothes therein;
a second processing device dispos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having a second front panel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drum accommodating clothes therein;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ont panel and the second front panel and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The control panel is,
A cover panel including a front part forming an exterior, an upper surface part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rt, and a lower surface part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rt; and
It includes an electrical module coupled to the cover panel at the rear of the cover panel,
The electrical module is,
A supporter with a panel-shaped front; and
a flat panel display located in front of the supporter and supported by the supporter; and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oard located behind the support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display.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안착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display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lat display is positioned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안착부보다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1씰러가 위치되는 제1실링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2,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first sealing par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surrounds an area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art, and in which the first sealer is positioned.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씰러가 삽입되는 제1실링홈으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sealing part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ormed of a first sea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ealer is inserted.
상기 서포터는,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와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ers ar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상기 회로기판에는,
발광부재 및 터치센서가 한쌍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버튼이 제공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On the circuit board,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one or more touch buttons provided as a pair of light emitting members and touch sensors.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회로기판을 커버하며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밀봉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clothing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cover located behind the circuit board, covering the circuit board, and coupled to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의 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2씰러가 위치되는 제2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봉커버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2씰러와 마주하는 부분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실링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On the back of the supporter,
A second sealing portion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placed and a second sealer is positioned,
The sealing cover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front portion and a sealing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along a portion facing the second sealer at the front of the front portion.
상기 제2실링부는 홈 형상의 제2실링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실링돌출부는 상기 제2실링홈에 삽입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8,
The second sea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second sealing groov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ea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ling groove.
상기 밀봉커버의 상기 전면부에는 배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은 상기 배선홀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근하고,
상기 배선홀에는 상기 배선홀을 밀봉하기 위한 배선홀밀봉부재가 제공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8,
A wir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sealing cover,
A cable transmitting power to the circuit board accesses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wiring hol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wiring hole seal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wiring hole to seal the wiring hole.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배선홀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배선홀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0,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ealing cover includes a wiring hole protrusion that protrudes rear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iring hole.
상기 밀봉커버는 상기 서포터의 전면보다 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ealing cover is formed to have an area small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의 전면에는,
상기 평판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디스플레이안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안착부보다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1씰러를 위치 고정시키는 제1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의 후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된 바깥영역을 감싸며 제2씰러를 위치 고정시키는 제2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홈 중 상부 및 하부는 상기 제2실링홈의 상부 및 하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On the front of the supporter,
A display mounting portion where the flat panel display is located; and
A first sealing groove is formed to surround an area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and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sealer,
On the back of the supporter,
A second sealing groove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area where the circuit board is placed and fixes the second sealer in posi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ealing groove are formed in portions fac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ealing groove.
상기 서포터는:
전면을 이루는 서포터전면부;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아래측에 형성되는 서포터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하면부에서 상기 제2실링홈과 상기 제1실링홈의 사이에는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사이홈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3,
Said supporters are:
Supporter front part forming the front;
A supporter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er front portion; and
It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er formed below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a gap opening in an outward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groove and the first seal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er.
상기 서포터는:
전면을 이루는 서포터전면부;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전면부의 아래측에 형성되는 서포터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상면부 및 상기 서포터하면부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커버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봉커버에서 상기 밀봉커버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서포터결합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Said supporters are:
Supporter front part forming the front;
A supporter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er front portion; and
It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er formed below the front portion of the supporter,
One or more sealing cover coupling parts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supporter coupling part is formed in the sealing cov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ling cover coupling part.
상기 서포터결합부는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커버결합부는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홀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5,
The support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sealing cov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hole capable of receiving the protrusion.
상기 밀봉커버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에서 상기 나사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와 상기 결합보스는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The sealing cover further includes screw joint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coupling boss is formed in the support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coupling par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screw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boss are coupled by a screw member.
상기 밀봉커버는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버패널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The sealing cover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cover panel locking protrusions that protrude in one or more directions of upward and downward.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의 후방에서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와 면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패널걸림돌기와 밀착되어 상기 밀봉커버를 후방에서 구속하는 제1구속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8,
It protrudes inwar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is formed to face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at the rear of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anel engaging protrusion to restrain the sealing cover from the rear.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상기 제1구속돌기의 주변에는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슬릿은 전방이 폐쇄되고 상기 제1구속돌기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9,
A slit is formed around the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it is closed at the front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또는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구속돌기; 및
상기 커버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구속하는 제2구속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9,
Eith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The first restraining protrusion; and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nstrain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inward of the cover panel and is positioned rearward of the supporter, and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supporter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supporter.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패널의 상기 상면부 및 상기 하면부 중 다른 하나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서포터의 위치를 구속하는 제3구속돌기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19,
The first constrain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A third restrai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panel, which protrudes inward and is located rearward of the supporter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supporter.
상기 밀봉커버는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커버패널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패널은 상기 커버패널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장모듈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패널결합부와 상기 전장모듈결합부는 서로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In clause 7,
The sealing cover further includes a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either the upper or lower portion,
The cover panel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module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and the electrical module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커버패널결합부는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전장모듈결합부는 돌기수용홀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수용홀에 수용되는 결합에 의해 상기 전장모듈이 상기 커버패널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According to clause 23,
The cover panel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electrical module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receiving hole, and the electrical module is coupled to the cover panel by coupling the protrusion to be received in the protrusion receiving hole.
상기 서포터에는 스피커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안착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밀봉커버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In clause 7,
A speak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pport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peak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sealing cov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530A KR20230172849A (en) | 2022-06-16 | 2022-06-16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PCT/KR2023/008260 WO2023244024A1 (en) | 2022-06-16 | 2023-06-15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AU2023293228A AU2023293228A1 (en) | 2022-06-16 | 2023-06-15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530A KR20230172849A (en) | 2022-06-16 | 2022-06-16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2849A true KR20230172849A (en) | 2023-12-26 |
Family
ID=8919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3530A KR20230172849A (en) | 2022-06-16 | 2022-06-16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72849A (en) |
AU (1) | AU2023293228A1 (en) |
WO (1) | WO2023244024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8015A (en) * | 2003-12-11 | 2005-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othes dryer |
KR100664488B1 (en) * | 2005-02-03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KR101880082B1 (en) * | 2012-03-27 | 2018-07-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KR101708355B1 (en) * | 2015-11-02 | 2017-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550659B1 (en) * | 2020-03-04 | 2023-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2022
- 2022-06-16 KR KR1020220073530A patent/KR2023017284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6-15 AU AU2023293228A patent/AU2023293228A1/en active Pending
- 2023-06-15 WO PCT/KR2023/008260 patent/WO2023244024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44024A1 (en) | 2023-12-21 |
AU2023293228A1 (en) | 2024-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69288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EP3561172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 |
KR102627713B1 (en) | Washing Machine | |
CN108532235B (en) | Door body assembly,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electrical equipment | |
KR20240011857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1501453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20110013007A (en) | Cloth treating apparatus with a door assembly | |
JP2009095531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20230078969A (en) | Washing machine | |
KR20180096284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090024008A (en) | Button for control panel assembly and clothes hand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60039186A (en) | Door of washing machine | |
KR20230172849A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KR20230172850A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KR20230172851A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KR20210105682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CN107916544B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20180001024A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130027304A (en) | Control panel assembly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18518996A (en) |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 |
US11459693B2 (en) | Sensor modul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2204611B1 (en) | A control panel assembly and a laundry apparutus incluing the same | |
CN113308843A (en) | Stacked clothes treating device | |
KR20150044802A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KR102386710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