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65182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182A
KR20230165182A KR1020230166485A KR20230166485A KR20230165182A KR 20230165182 A KR20230165182 A KR 20230165182A KR 1020230166485 A KR1020230166485 A KR 1020230166485A KR 20230166485 A KR20230166485 A KR 20230166485A KR 20230165182 A KR20230165182 A KR 2023016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rib
handle
manip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6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필재
황만태
황정배
성은지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6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182A/en
Publication of KR2023016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18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a suction motor which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air containing dust, a suction unit which suctions air containing dust by the suction force, a dust separation unit which separates the dust from the suctioned air, a dust container which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dust container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dust container; a handle unit including a handle and a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manipulation unit to be manipulated to rotate the dust container cover. The manipulation unit includes a manipulation rib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handle, 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a manipulation force applied to the manipulation rib to the dust contain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suctioning or wiping away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se vacuum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and automatic vacuum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on their own.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manual cleaners can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type cleaners, hand-held cleaners, stick-type cleaners,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917호(공개일 2011.09.29.)에는 핸드헬드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핸드헬드 청소기는,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을 가지는 원심 분리기를 포함하고, 원심 분리기는 벽을 가지는 집진기를 가지는 제1 사이클론과, 집진기를 폐쇄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A handheld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6917 (published on September 29, 2011). The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one or more cyclones, the centrifugal separator including a first cyclone having a dust collector having a wall, and a base that closes the dust collector.

상기 베이스는 고정쇠에 의해서 폐쇄 위치로 유지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고정쇠가 동작되어 집진기를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집진기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base is maintained in the closed position by a lock, and the lock is operated by an actuator to open the dust collector without separating the dust collector from the vacuum cleaner.

상기 집진기 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덮개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의 상측에는 제2 사이클론이 위치된다. 상기 제1 사이클론에서 일차적으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2 사이클론으로 유동된다.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ositioned within the dust collector. And, a second cyclon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The air initially separated from dust in the first cyclone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cyclone.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을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에 끼거나 복수의 관통구멍을 막게 되므로, 복수의 관통구멍의 청소가 필요하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eign substances become stuck in or block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so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그런데, 상기 집진기가 개방되어 집진기를 비울 수 있더라도 상기 집진기 내에 덮개 위치되고, 덮개와 집진기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덮개의 복수의 관통구멍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However, even if the dust collector can be opened and empti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lea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over because the cover is plac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the space between the cover and the dust collector is narrow.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통이 본체에서 분리되어 필터 부재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dust bi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filter member can be easily clean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먼지통을 개방시키거나 먼지통을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open the dust bin or separate the dust bin from the main body using a single operating unit.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을 개폐하는 먼지통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핸들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 바디를 구비하는 핸들부; 및 상기 먼지통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 suction part that suctions air that contains dust by the suction force, and a dust separation device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sucked air. a main body including a part, a dust bin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air in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a dust bin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bin;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handle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o rotate the dust bin cover.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되는 조작 리브와, 상기 조작 리브의 조작력을 상기 먼지통 커버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may include an manipulation rib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and the handl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anipulation force of the manipulation rib to the dust bin cover.

상기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 바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상기 핸들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상측부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향하여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an upper part of the first extension part toward the suction motor.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연결 바디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first extension.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의 하측에 배치되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housing disposed below the handle and accommodating a battery.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housing and the second extension.

상기 먼지 분리부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싸이클론부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cyclone unit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sucked air, and a second cyclone unit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based on the axis of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미 조작 위치인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작 리브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조작 리브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rib from the first position, which is an unmanipulated position, the manipulation rib can be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흡입 모터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흡입 모터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With the operating rib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uction motor. With the operating rib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uction motor.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먼지 출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먼지 출구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With the operating rib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ust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With the operating rib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ing rib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ust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를 둘러싸며, 복수의 공기를 구비하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cyclone uni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상기 청소기는, 상기 조작 리브가 조작된 후, 상기 조작 리브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조작 리브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manipulation rib so that the manipulation rib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after the manipulation rib is manipulated.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 바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먼지통이 본체와 분리되어 필터 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터 부재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dust bin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filter membe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filter member.

또한, 조작부를 이용하여 먼지통 개폐 및 먼지통 분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by allowing the dust bin to be opened, closed, and separated using the control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흡입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먼지통과 조작부 및 가동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조작부가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조작부와 가동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
도 7은 먼지통의 개방을 위하여 조작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먼지통 커버가 회전되어 먼지통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먼지통의 분리를 위하여 조작부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먼지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bin operation unit and movable membe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unit and the movable member when the operating unit is located in a neutral posi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unit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open the dust bi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cover is rotated and the dust bin is opened.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unit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separate the dust bin.
11 is a view showing the dust bi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길이 방향 축(A2)을 가질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5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The suction unit 5 can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main body 2. The suction part 5 may have a longitudinal axis A2.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handle portion 3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ion 5 in the main body 2. That is, the main body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rt 5 and the handle part 3.

상기 본체(2)는,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12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10.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member.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are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each have upper and lower openings. That is, each of the bodies 10 and 12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상기 흡입부(5)는 상기 제 1 바디(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에 연결되는 흡입부(5)가 상기 청소기(1)의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바디의 높이(10)는 상기 제 2 바디(12)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The height 10 of the first body is the height of the second body 12 so that the suction part 5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based on the height of the vacuum cleaner 1. It can be formed higher.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yclone unit 1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ic flow.

이때, 상기 제 1 바디(10)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0 may include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flows spirally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xis A1 of the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130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At this tim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부가 제1싸이클론부(110)이고,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부가 상기 먼지통(120)이며,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와 상기 먼지통(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ust bin 120 that stores dust separated from each of the cyclone units 110 and 13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10 is the first cyclone unit 110,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10 is the dust bin 120, and the first cyclone unit 110 and the The dust bin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본체(2)는 상기 먼지통(120)의 하측을 개폐하는 먼지통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먼지통(120)을 개폐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ust bin cover 16 that opens and closes the lower side of the dust bin 120. The dust bin cover 16 can open and close the dust bin 120 by rotating.

상기 먼지통 커버(16)는 힌지(162)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120)은 상기 힌지(162)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126)는 상기 먼지통(120)에서 상기 흡입부(5)와 가까운 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ust bin cover 16 may include a hinge 162, and the dust bin 120 may include a hinge coupling portion 126 to which the hinge 162 is coupled. The hinge coupling part 126 may be provided on a side of the dust bin 120 close to the suction part 5.

상기 힌지(162)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을 기준으로 후술하는 배터리 하우징(6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inge 162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ttery housing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axis A1 of the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먼지통 커버(16)는 상기 먼지통(120)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 후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bin cover 16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hook 164 for fixing it to the dust bin 120 .

상기 고정 후크(164)는 상기 먼지통 커버(16)에서 상기 힌지(16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후크(164)는 상기 먼지통 커버(16)에 대해서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후크(164)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후크(164)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회전될 수 있다. The fixing hook 164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162 in the dust bin cover 16. The fixing hook 164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with respect to the dust bin cover 16. The fixing hook 164 may be located between the axis A1 of the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and the battery housing 60. Accordingly, in order to open the dust bin 120, the dust bin cover 16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hook 164 moves away from the battery housing 60.

상기 먼지통(120)에는 상기 고정 후크(164)가 걸리기 위한 고정 리브(128)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ust bin 12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rib 128 for holding the fixing hook 164.

이때, 상기 먼지통(120)에는 상기 고정 후크(164)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부(127)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127)에 상기 고정 리브(128)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a depression 127 for positioning a part of the fixing hook 164 is formed in the dust bin 120, and the fixing rib 128 is provided in the depression 127.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within the first body 10 .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되는 필터 부재(140)와, 상기 필터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는 먼지 저장 가이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140 located within the first body 10 and a dust storage guide 150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필터 부재(140)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14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econd cyclone unit 130 within the first body 10, and filters the air separated from dust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into the second cyclone unit. You can be guided to the cyclone unit (130).

상기 필터 부재(14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 부재(140)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홀(1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140 may filter air flowing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o this end, the filter memb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holes 142 for air to pass through.

상기 필터 부재(140)는 상기 제 1 바디(10)와 결합을 위한 결합 리브(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결합 리브(144)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브 수용부(101)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140 includes a coupling rib 144 for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10, and the first body 10 has a rib receiving portion 101 in which the coupling rib 144 is accommodated. may include. As an example, the rib receiving part 10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yclone part 110.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5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guide 150 may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50)는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guide 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bin cover 16 when the dust bin cover 16 is closed.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50)는,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The dust storage guide 150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first body 10 into a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is stored, and a second cyclone unit.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where dust separated from the clone unit 130 is stored.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50)가 형성하는 공간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이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50)와 상기 먼지통(120) 사이 공간이 제 1 먼지 저장부(121)이다. The space formed by the dust storage guide 150 is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123, and the space between the dust storage guide 150 and the dust bin 120 is the first dust storage part 121.

상기 먼지통 커버(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The dust bin cover 16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together.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20 to generate suction force, and a battery (not shown) to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body 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above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10.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0 may communicate with the air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handle unit 3 may include a handle 30 for a user to hold, and a battery housing 60 disposed below the handle 30. The handle 30 may be located behind the suction motor 20.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When defining the direction, in the vacuum cleaner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5 is located relative to the suction motor 20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30 is located is rear.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not shown)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0. Accordingly, the suction motor 20 and the battery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heights may also be differe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30, the heavy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and the heavy battery is located below the handle 30. Therefore, the weigh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vacuum cleaner 1. When the user cleans while holding the handle 30, strain on the user's wrist can be prevented. That is, heavy component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acuum cleaner 1, but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shifting to one side.

상기 배터리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Since the battery is located below the handle 30 and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there is no structure above the handle 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0 forms a partial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1.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holding and using the handle 30, a component of the vacuum cleaner 1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arm.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andle 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31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held by the user,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310 toward the suction motor 20. It may include unit 3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써, 그립부라고도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is a part that the user can grasp (a part that the user's palm can contact),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grip part.

상기 핸들(30)은 조작 버튼(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 버튼(326)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326)를 통하여 흡입 모터(2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 버튼(326)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모터(20)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버튼(326)를 통하여, 상기 흡입 모터(20)가 온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handle 30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326. 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326 may b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A control command for the suction motor 20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326. As an example, the operation button 326 can be used to input on and off commands for the suction motor 20. Additionally,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326 when the suction motor 20 is turned on.

한편,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1)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chanism 50 having an air outlet 51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a por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body 12. Accordingly,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2,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2.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andle 30. Accordingly, the filter mechanism 50 protrudes upward from the main body 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mechanism 50 while holding the filter mechanism 50.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1)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The air outlet 5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echanism 50 when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upward from the main body 2.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1)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1,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5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oward the user.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2)에서 상기 먼지통(120)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not only allow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ust bin cover 16, but may also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80 operated by the user to separate the dust bin 120 from the main body 2. there is.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핸들부(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80)는 일 예로 상기 핸들부(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3.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3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조작부(80)가 상기 핸들부(3)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70)가 상기 핸들부(3)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80)를 커버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manipulation unit 80 is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3, a cover member 7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unit 3 to cover the manipulation unit 80.

일 예로 상기 조작부(80)를 제 1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회전되어 상기 먼지통(1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unit 80 is op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dust bin cover 16 may be rotated to open the dust bin 120.

반면, 상기 조작부(80)를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12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조작부(8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조작부(8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unit 80 is oper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dust bin 120 is moved from the main body 2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cover 16 closes the dust bin 120. It can be in a separable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upward.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8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manipulation unit 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먼지통과 조작부 및 가동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조작부가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조작부와 가동 부재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들부의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bin, operation unit, and movable member,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operation unit is located in a neutral posi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unit and the movable member,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조작부(80)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작부(80)에 의해서 움직이는 가동 부재(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movable member 830 that moves by the manipulation unit 80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조작부(8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 플레이트(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의 일 지점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리브(8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n manipulation plate 8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anipulation rib 812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may be provided at one point of the manipulation plate 810.

상기 핸들부(3)는 외형을 형성하는 핸들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 바디(300)에는 상기 조작 리브(812)가 관통하는 슬롯(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핸들(30)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을 연결하는 연결 바디(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302)는 상기 본체(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롯(330)은 상기 연결 바디(32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3 may include a handle body 30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slot 330 through which the manipulation rib 812 passes may be formed in the handle body 300. The handle body 300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302 that connects the handle 30 and the battery housing 60. The connection body 30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The slot 330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dy 320.

상기 조작 리브(812)는 상기 슬롯(330)을 관통하여 상기 핸들(30)의 제 1 연장부(3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rib 812 may extend through the slot 330 toward the first extension 310 of the handle 30.

상기 조작 리브(812)는 상기 제2연장부(320) 보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싸이클론 유동의 축(A1)과 상기 제1연장부(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operating rib 81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attery housing 60 tha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axis A1 of the first cyclone flow and the first extension 310.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2)은 상기 제1연장부(31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A1)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art 5 may pass through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unit 5 based on the axis of the cyclonic flow A1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조작부(80)의 제 1 방향 이동 시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고정 후크(164)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813)와, 상기 조작부(80)의 제 2 방향 이동 시 상기 가동 부재(830)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조작부(812)는 상기 먼지통 커버(16)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813)는 상기 조작 리브(812)의 조작력을 상기 먼지통 커버(16)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라고 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80 includes a first contact part 813 that contacts the fixing hook 164 of the dust bin cover 16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contact part 813 that contacts the fixing hook 164 of the dust bin cover 16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814 that contacts the movable member 830 when moving. In this embodiment, the manipulation unit 81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ust bin cover 16. The first contact portion 813 can be said to be a transmission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rib 812 to the dust bin cover 16.

상기 제 2 접촉부(814)는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부(814)는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에서 상기 핸들부(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8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nipulation plate 810. The second contact portion 814 may extend from the manipulation plate 810 toward the handle portion 3.

상기 제 1 접촉부(813)는 상기 제 2 접촉부(81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접촉부(813)와 상기 제 2 접촉부(814)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81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814.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ntact portion 81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814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고정 후크(16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접촉부(813)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8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접촉부(813)가 상기 고정 후크(164)와 접촉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hook 164 of the dust bin cover 16 may be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813. Accordingly,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art 813 may contact the fixing hook 164.

상기 가동 부재(830)는, 상기 제 2 접촉부(814)의 상측에 위치되는 접촉 바디(832)와, 상기 접촉 바디(832)의 양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걸림부(833, 8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member 830 may include a contact body 83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814, and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body 832. You can.

상기 복수의 걸림부(833, 834) 각각은 상기 접촉 바디(832)의 양측에서 상기 먼지통(12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arts 833 and 834 may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body 832 toward the dust bin 120.

그리고,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833, 8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nd, the manipulation plate 8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cking parts 833 and 834.

상기 먼지통(120)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833, 834) 각각이 걸리기 위한 복수의 걸림 리브(12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걸림부(833, 834)는 상기 각 걸림 리브(129)의 하측에서 상기 각 걸림 리브(129)에 걸릴 수 있다. The dust bin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ribs 129 for engaging each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parts 833 and 834. At this time,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may be caught by each of the locking ribs 129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ribs 129 .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 부재(830)와 상기 걸림 리브(129)를 상기 먼지통(12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을 제한시키기 위한 제한 기구라 이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ember 830 and the engaging rib 129 may be referred to as a limit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dust bin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따라서, 상기 각 걸림부(833, 834)가 상기 각 걸림 리브(129)의 하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120)의 하방 이동은 제한된다. Accordingl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ust bin 120 is restricted while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each locking rib 129.

상기 가동 부재(830)는 상기 각 걸림부(833, 83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8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835)는 상기 각 걸림부(833, 83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movable member 830 may further include a shaft 835 to enable rotation of each of the locking parts 833 and 834. The shaft 835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상기 샤프트(835)는 상기 핸들부(3)에 구비되는 샤프트 결합부(3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shaft 835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338 provided in the handle portion 3.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835)는 상기 접촉 바디(832) 보다 상기 먼지통(120)에 가깝게 위치된다. 즉, 상기 샤프트(835)와 상기 접촉 바디(832)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120)과 상기 접촉 바디(832) 사이에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가 위치된다. Based on FIG. 4 , the shaft 835 is located closer to the dust bin 120 than the contact body 832. That is, the shaft 835 and the contact body 83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nipulation plate 810 is located between the dust bin 120 and the contact body 832.

따라서, 상기 조작부(80)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접촉부(814)가 상기 접촉 바디(832)를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 부재(830)는 샤프트(835)를 포함하므로, 상기 샤프트(835)에 의해서 상기 접촉 바디(832)의 제 2 방향 이동력은 상기 가동 부재(830)의 회전력으로 변경된다. Accordingly,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part 814 moves the contact body 832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movable member 830 includes a shaft 835, the second direction moving force of the contact body 832 is changed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vable member 830 by the shaft 835.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830)는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833, 834)가 상기 걸림 리브(129)에서 이격되어 상기 걸림부(833, 834)와 상기 걸림 리브(129)의 걸림은 해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830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FIG. 5, and the engaging parts 833 and 834 are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ribs 129 and The locking rib 129 may be releas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동 부재(830)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일 예로 상기 가동 부재(830)가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가동 부재(830)로 제공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movable member 830 may receiv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the movable member 830 with an elastic force that causes the movable member 830 to rotate clockwise with respect to FIG. 5 .

이러한 탄성 부재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833, 834)가 상기 걸림 리브(129)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lastic member,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can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locking rib 129.

상기 탄성 부재는 일 예로 상기 샤프트(835)와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이거나 상기 걸림부(833, 834)의 상측에서 상기 걸림부(833, 834)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거나 상기 걸림부(833, 834)의 하측에서 상기 걸림부(833, 834)를 하측으로 당기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부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elastic member is,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connected to the shaft 835,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that presses the locking parts 833 and 834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arts 833 and 834, or the locking part 833. , 834) may be a coil spring that pulls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downw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type of elastic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조작부(80)를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1)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상기 조작부(8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o allow the operation unit 8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ration unit 80 is operated. When the elastic member is a coil spring, elastic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manipulation unit 8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A1 of the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일례로,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조작부(80)가 중립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for positioning the manipulation unit 80 in a neutral position.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부(80)가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탄성 부재(860)와, 상기 조작부(8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탄성 부재(86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860 for allowing the manipulation unit 80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member 861 for allowing the manipulation unit 80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 may include.

상기 두 개의 탄성 부재(860, 861)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탄성 부재(860, 861)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조작부(80)가 중립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two elastic members 860 and 861 are formed with the same structure. Accordingly, the manipulation unit 80 can be positioned in a neutral position as long as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manipulation unit 80 by the two elastic members 860 and 861.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860)의 상면이 접촉되는 제 1 상측 지지부(816)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861)의 하면이 접촉되는 제 2 하측 지지부(81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ng plate 810 includes a first upper support portion 816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860, and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817 tha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861. It can be provided.

상기 제 1 상측 지지부(816)와 상기 제 2 하측 지지부(817)는 상기 조작 플레이트(8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pport part 816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art 81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perating plate 810 not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각 지지부(816, 817)에는 상기 각 탄성 부재(860, 86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818)가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support parts 816 and 817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818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s 860 and 861 from separation.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86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하측 지지부(332)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861)의 상면이 접촉되는 제 2 상측 지지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00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art 332 that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860, and a second upper support part 334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861. More may be included.

상기 제 1 하측 지지부(332) 및 상기 제 2 상측 지지부(334)는 상기 핸들 바디에서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332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art 33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handle body.

상기 핸들 바디(300)는 상기 조작부(80)와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 후크(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336)는 상기 조작부(8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andle body 3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hooks 336 for coupling with the manipulation unit 80. The plurality of coupling hooks 336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manipulation unit 80.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336)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후크 결합부(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8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ok coupling portions 820 to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hooks 336 are coupled.

상기 복수의 후크 결합부(820)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후크 결합부(820) 각각은 상기 결합 후크(336)가 관통하는 후크 슬롯(8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ok coupling portions 8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ok coupling portions 820 may include a hook slot 821 through which the coupling hook 336 passes.

상기 후크 슬롯(82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후크(336)가 상기 후크 슬롯(821)을 관통하여 상기 후크 결합부(8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e hook slot 821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while the coupling hook 336 penetrates the hook slot 821 and is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820, the manipulation unit 80 can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한편,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커버 부재(70)와 결합을 위한 커버 결합 돌기(1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커버 결합 돌기(102)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 수용부(7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body 10 further includes a cover coupling protrusion 102 for coupling with the cover member 70, and the cover member 70 has a protrusion for receiving the cover coupling protrusion 102. It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portion 708.

또한,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핸들 바디(30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 보스(7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7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oss 706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handle body 300 passes.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핸들 바디(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부재(830)의 각 걸림부(833, 834)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7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70 may include an opening 704 through which each of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of the movable member 830 passes through when coupled to the handle body 300.

또한, 상기 커버 부재(70)는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고정 후크(164)가 위치되기 위한 수용 공간(7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702)에 상기 고정 후크(804)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8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접촉부(813)가 상기 고정 후크(164)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the cover member 70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702 in which the fixing hook 164 of the dust bin cover 16 is positioned. When the fixing hook 804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702, the first contact part 813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hook 164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downward.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80)의 조작에 의한 먼지통의 개폐 및 먼지통의 분리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bin and separating the dust bin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unit 8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먼지통의 개방을 위하여 조작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먼지통 커버가 회전되어 먼지통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open the dust bin, and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cover is rotated to open the dust bi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의 슬롯(330)을 관통한 상기 조작부(80)의 조작 리브(812)를 제 1 방향, 일 예로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조작부(8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8, when the manipulation rib 812 of the manipulation unit 80 penetrating the slot 330 of the handle unit 3 is press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downward, the manipulation unit 80 ) can move downward.

상기 조작부(8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860)는 수축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861)는 인장된다.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downward, the first elastic member 860 is contracted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861 is tensioned.

그리고, 상기 조작부(8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접촉부(813)가 상기 고정 후크(164)의 상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후크(164)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먼지통 커버(16)의 고정 후크(164)가 상기 먼지통(1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후크(164)와 상기 고정 리브(128)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상기 힌지(162)를 회전 중심으로 도 8과 같이 회전되어 상기 먼지통(120)이 개방된다. Then,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downward, the first contact part 813 presses the fixing hook 164 whi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hook 164, thereby causing the dust bin cover 16 The fixing hook 164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ust bin 120. Then, the locking of the fixing hook 164 and the fixing rib 128 is released, and the dust bin cover 16 rotates around the hinge 162 as shown in FIG. 8 to open the dust bin 120. do.

이때, 상기 제 2 접촉부(814)는 상기 가동 부재(830)의 접촉 바디(832)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조작부(8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조작부(80)의 조작력이 상기 가동 부재(83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동 부재(830)의 걸림부(833, 834)가 상기 걸림 리브(129)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contact part 814 is located below the contact body 832 of the movable member 83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anipulation unit 80 downward, the operating force of the manipulation unit 80 is used to move the operation unit 80. It is not passed on as an absence (830). Accordingly, the locking portions 833 and 834 of the movable member 830 remain hooked on the locking rib 129.

한편, 사용자가 상기 조작 리브(812)를 조작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8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각 탄성 부재(860, 861)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중립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to manipulate the manipulation rib 812, the manipulation unit 80 rise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860. At this time, the manipulation unit 80 stops at a neutral position where the elastic forces of each elastic member 860 and 861 are balanced.

도 9 및 도 10은 먼지통의 분리를 위하여 조작부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먼지통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s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separate the dust bin, and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도 1 내지 도 6,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3)의 슬롯(330)을 관통한 상기 조작부(80)의 조작 리브(812)를 제 2 방향, 일 예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조작부(8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1 to 6 and 9 to 11, the manipulation rib 812 of the manipulation unit 80 penetrating the slot 330 of the handle unit 3 is moved in a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When raised, the manipulation unit 80 can move upward.

상기 조작부(8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860)는 인장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861)는 수축된다.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upward, the first elastic member 860 is tensioned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861 is contracted.

그리고, 상기 조작부(8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이동하면, 상기 제 2 접촉부(814)가 상기 가동 부재(830)의 접촉 바디(832)의 하측에서 상기 접촉 바디(832)를 들어올린다. And, when the manipulation unit 80 moves upward, the second contact part 814 lifts the contact body 832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body 832 of the movable member 830.

그러면, 상기 가동 부재(830)는 상기 샤프트(835)를 중심으로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833, 834)가 상기 걸림 리브(129)에서 이격되어 상기 걸림부(833, 834)와 상기 걸림 리브(129)의 걸림은 해제될 수 있다. Then, the movable member 8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shaft 835, so that the locking parts 833 and 834 ar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ribs 129, 834) and the locking rib 129 can be released.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먼지통(120)을 하방으로 당기면서 상기 먼지통(120)이 상기 핸들부(3)와 멀어지도록 상기 먼지통(120)을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In this state, the user pulls the dust bin 120 downward and rotates the dust bin 120 clockwise in the drawing so that the dust bin 120 moves away from the handle portion 3.

그러면, 상기 제 1 바디(10)의 커버 결합 돌기(102)가 상기 커버 부재(70)의 돌기 수용부(708)에서 빠지고, 상기 결합 리브(144)가 상기 리브 수용부(101)에서 빠져, 상기 먼지통(12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n, the cover engaging protrusion 102 of the first body 10 falls out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708 of the cover member 70, and the engaging rib 144 falls out of the rib receiving portion 101, The dust bin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이때, 상기 흡입부(5)가 상기 제 1 바디(10)에 연결된 상태 및 상기 먼지통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10)가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while the suction unit 5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 and the dust bin cover 16 closes the dust bin 120. It can be.

상기 먼지통(12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둘러싸는 상기 필터 부재(1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부재(140)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When the dust bin 1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e filter member 140 surrounding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llowing the user to easily use the filter member 140. It can be clean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먼지통 개폐 및 먼지통 분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so that the dust bin can be opened, closed, and separated using a single operating panel.

1: 청소기 2: 본체
3: 핸들부 5: 흡입부
80: 조작부 120: 먼지통
810: 조작 플레이트 812: 조작 리브
813: 제 1 접촉부 814: 제 2 접촉부
830: 가동 부재 832: 접촉 바디
833, 834: 걸림부 835: 샤프트
1: Vacuum cleaner 2: Main body
3: handle part 5: suction part
80: Control panel 120: Dust bin
810: operating plate 812: operating rib
813: first contact portion 814: second contact portion
830: Movable member 832: Contact body
833, 834: Hook 835: Shaft

Claims (12)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을 개폐하는 먼지통 커버를 구비하는 본체;
핸들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 바디를 구비하는 핸들부; 및
상기 먼지통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위치되는 조작 리브와,
상기 조작 리브의 조작력을 상기 먼지통 커버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A suction mo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in air containing dust, a suction part that suctions air containing dust by the suction force, a dust separator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sucked air, and the dust separator. a main body including a dust bin that stores dust separated from the air and a dust bin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dust bin;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handle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o rotate the dust bin cover,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n operating rib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handle,
A cleaner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rib to the dust bin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 바디 사이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cleaner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is loca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상측부에서 상기 흡입 모터를 향하여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연결 바디와 상기 제1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an upper part of the first extension part in a second direction toward the suction motor,
The operating rib is a cleaner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and the first exten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의 하측에 배치되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과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handle unit further includes a battery housing disposed below the handle and accommodating a battery,
The operating rib is a vacuum cleaner located between the battery housing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부는,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싸이클론부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separation unit,
A first cyclone unit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sucked air,
It includes a second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The suction motor is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based on the axis of cyclonic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제 5 항에 있어서,
미 조작 위치인 제 1 위치에서 상기 조작 리브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조작 리브는 제 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흡입 모터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5,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rib from the first position, which is an unoperated position, the manipulation rib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operating rib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ction motor when the operating rib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흡입 모터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6,
A cleaner wherein the operating rib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ction motor when the operating rib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먼지 출구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6,
A cleaner in which the operating rib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ust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when the operating rib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리브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리브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먼지 출구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8,
A cleaner wherein, when the operating rib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ing rib is located higher than the dust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싸이클론부를 둘러싸며, 복수의 공기를 구비하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5,
A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cyclone unit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리브가 조작된 후, 상기 조작 리브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조작 리브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manipulation rib so that the manipulation rib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after the manipulation rib is manipulat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 바디 사이에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elastic member is a vacuum cleaner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KR1020230166485A 2016-08-25 2023-11-27 Cleaner Pending KR202301651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485A KR20230165182A (en) 2016-08-25 2023-11-27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11A KR102615594B1 (en) 2016-08-25 2016-08-25 Cleaner
KR1020230166485A KR20230165182A (en) 2016-08-25 2023-11-27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1A Division KR102615594B1 (en) 2016-08-25 2016-08-25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182A true KR20230165182A (en) 2023-12-05

Family

ID=616889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1A Active KR102615594B1 (en) 2016-08-25 2016-08-25 Cleaner
KR1020230166485A Pending KR20230165182A (en) 2016-08-25 2023-11-27 Clea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311A Active KR102615594B1 (en) 2016-08-25 2016-08-25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55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45B1 (en) * 2018-08-30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CN112603194A (en) * 2020-12-28 2021-04-06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Cleaning device and assembly thereof
KR102372499B1 (en) * 2021-02-05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035B (en) * 2012-11-20 2015-03-11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KR20160034041A (en) * 2014-09-19 2016-03-29 최상훈 Handy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594B1 (en) 2023-12-20
KR20180023272A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29B1 (en) Cleaner
KR102717461B1 (en) Cleaner
KR20230165182A (en) Cleaner
EP4082416B1 (en) Cleaner
KR20210061466A (en)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KR20140004203A (en)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and a vacuum cleaner
AU2022201216B2 (en) Cleaner
US10575692B2 (en) Vacuum cleaner
KR102613508B1 (en) Cleaner
KR102138214B1 (en) Cleaner
KR102323173B1 (en) Cleaner
KR102226555B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82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08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