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746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7746A KR20230137746A KR1020220035582A KR20220035582A KR20230137746A KR 20230137746 A KR20230137746 A KR 20230137746A KR 1020220035582 A KR1020220035582 A KR 1020220035582A KR 20220035582 A KR20220035582 A KR 20220035582A KR 20230137746 A KR20230137746 A KR 20230137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main body
- vacuum cleaner
- button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08 dry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발명으로, 분리 가능한 핸들 내부에 배터리를 배치하고, 본체와 핸들 사이에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결합 가이드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손가락 가이드를 구비하고, 핸들이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여, 구조 단순화를 도모하고, 제조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키며, 본체와 핸들의 결합이 견고한 동시에 분리가 용이하고, 본체와 핸들 사이에 이격이 방지되며, 핸들의 그립감이 향상되고, 청소 효율이 향상될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능하며, 배터리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며 건식 청소를 수행한다.
이외에 습식 청소는 물걸레로 먼지를 닦아내 청소하는 방식이며, 고온의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여 살균 및 청소를 하는 방식도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통상의 청소기는 본체, 청소 노즐, 및 청소 노즐과 본체를 연결하는 고무 호스나 파이프를 포함하며, 본체는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청소 노즐은 본체가 발생시킨 흡입력으로 청소면을 청소한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본체와 전력원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으며,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는 휴대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청소를 수행한다.
과거에는 가정용 청소기로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본체가 전력원과 유선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어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내부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는 배터리가 배치될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자 경험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는, 배터리의 교체를 위해 배터리 커버 등의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탈부착이 불편하고, 재료비가 상승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청소기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는, 분리 가능한 배터리와 본체 사이에 이격이 발생될 경우, 배터리가 내부에서 흔들려 사용자 경험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는, 충분한 청소 성능을 확보하려면 사용자가 노즐을 청소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별도의 힘을 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핸디형 청소기 또는 스틱 청소기의 배터리가 배치되는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배터리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체와 배터리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체와 배터리 사이의 이격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핸들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핸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청소기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 및 먼지통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핸들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결합부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핸들 인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핸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핸들 인입구를 통해 상기 핸들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결합부는, 내벽에 함몰 형성된 버튼 걸림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부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 버튼 및 상기 핸들 버튼과 상기 인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버튼을 상기 버튼 걸림 홈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핸들 버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버튼 걸림 홈에 인입시키는 버튼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버튼의 일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버튼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핸들 버튼이 상기 버튼 걸림 홈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 결합부는, 전력을 공급받는 본체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 전원 단자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는 핸들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전원 단자와 상기 핸들 전원 단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전원 단자는, 상기 핸들 결합부의 내면에서 상기 전원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의 맞은편에 전원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원 홈 내부에는 전원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핸들 전원 단자는, 상기 전원 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전원 단자는 상기 전원 홈에 인입되어 상기 핸들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탄성 부재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하우징의 반경은, 상기 인입부의 반경이, 나머지 부분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입부의 반경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 하우징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반경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핸들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걸림턱은, 상기 핸들 인입구의 단부에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된 손가락 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가이드는, 상기 핸들 인입구를 향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 결합부는, 내벽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 인입구는,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핸들은,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면은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핸들 내부에 배터리가 배치되고, 별도의 커버 구조 없이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바,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는, 본체와 배터리 일체형 핸들의 결합 구조가 구비되어, 본체와 배터리 일체형 핸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는, 본체와 배터리 일체형 핸들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 등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되는바, 본체와 배터리 일체형 핸들 사이의 이격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는, 손가락 가이드가 구비되어, 그립감이 향상되고, 배터리일체형핸들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배터리 일체형 핸들이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아도 청소면과 노즐이 밀착되어 청소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 및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의 핸들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와 핸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 및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 및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의 핸들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와 핸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 및 핸들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청소기(1)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고, 휴대할 수 있는 청소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일 수 있고, 건식 및/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1)의 모든 구성 요소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1)가 청소를 수행할 때 청소면이 있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체(100)를 기준으로 연장관(300) 및 노즐(400)이 배치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부를 수 있다.
연장관(300)을 기준으로, 노즐(400)이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전방의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부를 수 있다.
전방을 바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할 수 있다.
핸들(200)을 기준으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핸들(200)이 본체(100)의 핸들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전방의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부를 수 있다.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서 분리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후방의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부를 수 있다.
핸들(200)을 기준으로, 본체 노즐(400)이 배치된 방향을 하방으로,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부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본체(100) 및 핸들(200)의 측면도이다.
청소기(1)는 본체(100), 핸들(200), 연장관(300) 및 노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먼지통(미도시), 먼지분리부(미도시), 흡입 모터(미도시), 필터(미도시) 등의 구성 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에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이 수납될 수 있다.
먼지통은 먼지를 저장하는 구성 요소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와 연통되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필터는 유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 요소다.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본체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핸들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에는 핸들(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의 구체적인 구성과 핸들(200)과의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들과 함께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00)의 핸들 결합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200)은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는 구성 요소로,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기둥의 단면은 타원, 직사각형 등 손에 쥐기 적당한 크기의 어떠한 형상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200)을 조작함으로써 청소기(1)의 주행 방향, 청소면과의 마찰을 조절할 수 있다.
핸들(200)에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 요소다. 조작부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에는 작동버튼 및 정지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200)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핸들(200) 내부의 공간을 배터리 수용부(240)라 부를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240)에는 배터리(25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본체(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 요소다. 본체(100)는,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흡입 모터, 노즐(400) 등 청소기(1)의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핸들(2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들과 함께 더욱 상세히 살핀다.
본체(100)는 연장관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 결합부(130)는 연장관(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300)은 노즐(400)이 흡입한 공기를 본체(100)로 안내하는 구성 요소다. 연장관(300)은 본체(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연장관(300)을 통해 노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0)는 흡입 모터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300)을 통해 노즐(4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연장관(300)과 노즐(40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연장관(300)은 일단이 노즐(400)과 연통되고, 타단이 본체(100)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관(300)의 후단은 본체(100)에 연결되고, 연장관(300)의 전단은 노즐(400)에 연결된다.
연장관(30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링축이 형성된다. 롤링축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이며, 노즐(400)은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운동을 할 수 있다.
노즐(400)은 청소 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체(100)는 내부에 흡입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노즐(4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즐(400)은 연장관(300)의 전단과 연결되고, 연장관(300)의 후단은 본체(100)에 연결되어, 노즐(400)은 연장관(300)을 통해 본체(10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과 달리, 노즐(400)은 연장관(300)을 통하지 않고 본체(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의 의미는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400)에서 본체(100)까지 이어지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노즐(400)을 통하여 본체(100)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400)은, 본체(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0)가 노즐(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노즐(400)의 하면에는 흡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본체(100)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여 건식 청소를 수행하는 구성 요소다.
노즐(400)에는 청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 부재는 노즐(400)에 배치되어 청소면과 마찰을 통해 청소를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청소 부재는 브러시, 물걸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부재가 물걸레를 포함할 경우, 청소기(1)는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노즐(400)의 하방에는 하나 이상의 주행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주행 바퀴는 청소면에서 구름 이동하여 노즐(400)이 청소면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통상의 바퀴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본체(100)의 핸들 결합부(120)의 단면도이다.
본체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핸들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들 결합부(120)에는 본체(100)의 반대편에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핸들 인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핸들 결합부(120)는 본체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핸들 결합부(120)가 본체(100)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도 10 참조).
핸들 결합부(120)가 본체 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 인입구(121)가 개방된 방향은, 본체 하우징(110)의 외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핸들 인입구(121)가 개방된 방향은, 노즐(400)의 하면이 청소면에 닿았을 때를 기준으로,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일 수 있다.
이때, 본체 하우징(110)의 외주면 및/또는 청소면과 핸들 인입구(121)가 개방된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로, 핸들(200)은 본체(100)에서 상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핸들(200)은,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통상의 청소기(1)는 사용자의 키보다 길지 않은 것이 보통이므로, 핸들(200)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사용자의 상반신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핸들(200)을 더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핸들(200)이 수평하게 배치된다면, 사용자가 핸들(200)을 파지하여 청소기를 조작할 때 청소기에 수평방향 힘만을 가하게 되고, 노즐(400)이 청소면과 충분히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와 같이 핸들(200)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사용자가 핸들(200)을 파지하여 청소기(1)를 조작할 때 청소기에 대각선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 힘은 수평방향 성분과 수직박향 성분을 모두 포함하게 되므로, 청소기(1)를 주행시킴과 동시에 청소기(1), 특히 노즐(400)을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소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핸들(200)은 사용자가 특별히 하방을 향하여 힘을 가하지 않아도, 청소기를 주행시킴과 동시에 노즐(400)을 청소면에 더욱 밀착시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들 결합부(120)의 내부는 핸들 인입구(121)를 통해 외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는, 핸들(200)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는 인입된 핸들(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는 버튼 걸림 홈(12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버튼 걸림 홈(122)은, 핸들 결합부(120)의 내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튼 걸림 홈(122)은 후술할 핸들(200)에 배치되는 핸들 버튼(221)이 인입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버튼 걸림 홈(122)은 핸들 결합부(120)에 핸들(200)이 결합된 때, 핸들 버튼(221)의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는 본체 전원 단자(123)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전원 단자(123)는, 핸들 결합부(120) 내부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전원 단자(123)는, 후술할 핸들(200)에 배치되는 핸들 전원 단자(23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 전원 단자(23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핸들 전원 단자(232)는, 핸들(200)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240)에 배치된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250)에 저장된 전력을 본체 전원 단자(123)를 통해 본체(100)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체 전원 단자(123)는 핸들 결합부(120)에 핸들(200)이 결합된 때, 전원 홈(231)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전원 홈(231), 핸들 전원 단자(232)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과 함께 살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의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240)에 배터리(25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의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240)에 배터리(250)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의 본체와 핸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핸들(200)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핸들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핸들 하우징(210)의 일부분은 본체(100)의 핸들 결합부(120)에 형성된 핸들 인입구(121)를 통해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이때, 핸들 하우징(210)에서 핸들 결합부(120)에 인입되는 부분을 인입부(211)라 부를 수 있다.
인입부(211)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핸들(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가이드(211a)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및 도 7 참조).
핸들 결합부(120)의 내벽에는, 결합 가이드(211a)에 대응대는 위치에 가이드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핸들(200)의 인입부(211)가 핸들 결합부(120)에 인입되면, 결합 가이드(211a)는, 가이드 홈에 맞물릴 수 있다.
결합 가이드(211a) 및 가이드 홈의 구조는, 핸들(200)이 정확한 방향으로 핸들 결합부(120)에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핸들(200)과 본체(100) 사이의 이격을 최소화시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 가이드(211a) 및 가이드 홈의 구조는, 본체(100)에 핸들(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200)이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 가이드(211a)의 단면은 직사각형, 삼각형 등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핸들 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핸들 걸림턱(2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 하우징(2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핸들 인입구(121)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 정확한 깊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 요소다.
구체적으로,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 필요 이상으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반대로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200)이 필요 이하로 인입된 경우 핸들 걸림턱(212)과 핸들 인입구(121)가 맞닿지 않고 이격이 발생되므로, 청소기(1) 사용자가 이를 쉽게 발견하고, 핸들(200)을 제대로 결합하여 문제를 시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 걸림턱(212)의 구조는, 본체(100)에 핸들(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200)이 전방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핸들 걸림턱(212)은, 핸들 하우징(210)에서 인입부(211)와 나머지 부분의 경계선 역할이 될 수 있다. 즉, 핸들 하우징(210)에서 핸들 걸림턱(212)의 전방 부분이 인입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핸들 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손가락 가이드(2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 하우징(2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판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 결합부(120)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 걸림턱(21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 하우징(210)에서 인입부(211)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배치된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가락 가이드(213)는, 핸들 인입구(121) 및/또는 인입부(211)를 향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손가락 가이드(213)는,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고, 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사용자가 핸들(200)을 파지하고, 청소기(1)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하여 그립감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손가락 가이드(213)는, 사용자가 핸들(2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핸들(2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한 다음, 손가락 가이드(213)에 손가락을 파지하고, 후방으로 가압하여 핸들(20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체(100)와 핸들(200)의 결합 및 분리에 관한 구조, 방법, 조작은 이하에서 상술한다.
핸들(200)은, 인입부(211)의 외면에 배치된 버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20)는 핸들 버튼(221), 버튼 탄성 부재(222) 및 핸들 버튼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220)는, 인입부(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220)는, 인입부(211)가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 인입되면, 버튼 걸림 홈(122)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입부(211)의 외면에는 소정 크기의 벽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핸들 버튼 홈(223)은 인입부(21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벽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핸들 버튼 홈(223)은 핸들 버튼(221) 및 버튼 탄성 부재(222)가 배치되는 공간이다.
핸들 버튼(221)은 핸들 버튼 홈(223)에 인입될 수 있다.
핸들 버튼(221)이 핸들 버튼 홈(223)에 인입되면, 인입부(21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 버튼(221)은 인입부(211)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핸들 버튼(221)은 판상 부재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핸들 버튼(221)에 형성된 돌출부는, 제1 돌출부(221a) 및 제2 돌출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21a) 및 제2 돌출부(221b)는, 인입부(211)의 반경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1a)는 제2 돌출부(221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탄성 부재(222)는 핸들 버튼(221)과 함께 핸들 버튼 홈(223)에 인입될수 있다. 버튼 탄성 부재(222)는 핸들 버튼(221)과 인입부(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탄성 부재(222)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버튼 탄성 부재(222)는 탄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로서, 통상의 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버튼 탄성 부재(2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버튼 탄성 부재(222)는 핸들 버튼(221)에 인입부(211)의 반경 바깥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인입부(211)가 본체(100)의 핸들 결합부(120) 내부로 인입되면, 제1 돌출부(221a)는 버튼 걸림 홈(122)에 인입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1a)는, 버튼 걸림 홈(122)에 걸림으로써,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 요소이다.
버튼 탄성 부재(222)는 핸들 버튼(221)을 버튼 걸림 홈(122)을 향하여 가압시켜 제1 돌출부(221a)를 버튼 걸림 홈(122)에 인입시킬 수 있다.
제2 돌출부(221b)는 제1 돌출부(221a)와 달리, 인입부(211)가 핸들 결합부(120) 내부로 인입되어도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 요소이다.
사용자는 제2 돌출부(221b)를 인입부(211)의 반경 안쪽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돌출부(221a)를 버튼 걸림 홈(12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돌출부(221a)가 버튼 걸리 홈(122)에서 분리되면 핸들(200)을 핸들 결합부(120)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1a)는, 제2 돌출부(221b)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버튼 탄성 부재(222)의 가압으로 인하여 버튼 걸림 홈(122)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은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할때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핸들(2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핸들(200)에는, 전원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230)는 핸들 하우징(2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230)는, 인입부(21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230)에는 전원 홈(23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홈(231)의 내부에는 핸들 전원 단자(232) 및 전원 탄성 부재(233)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 전원 단자(232)는, 전원부(230) 내부에서 전원 홈(231)을 향하여 돌출형성될수 있다. 핸들 전원 단자(232)는,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핸들 결합부(120) 내부의 본체 전원 단자(123)가 전원 홈(231)에 인입되고, 핸들 전원 단자(232)에 접촉될 수 있다.
본체 전원 단자(123)가 핸들 전원 단자(232)에 접촉되면, 본체 전원 단자(123)와 핸들 전원 단자(232) 사이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배터리(25)에 저장된 전력이 본체(10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원 탄성 부재(233)는, 탄성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는 부재로서 핸들 전원 단자(232)를 감싸며 전원 홈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탄성 부재(233)는 외력이 없으면 핸들 전원 단자(232)의 전방에서 전원 홈(131)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본체 전원 단자(123)가 전원 홈(231)에 인입되면 전원 탄성 부재(233)에 외력이 가해지고, 전원 탄성 부재(233)는 벌어지고, 핸들 전원 단자(232)의 전방에서 전원 홈(131)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 전원 단자(123)에 의하여 외력을 받아 개방된 전원 탄성 부재(233)는 본체 전원 단자(123)가 핸들 전원 단자(232)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체 전원 단자(123)는, 전원 홈(231)에 인입된 후, 전원 탄성 부재(233)를 지나 핸들 전원 단자(232)에 접촉될 수 있다.
전원 탄성 부재(233)는, 본체 전원 단자(23)가 핸들 전원 단자(232)에 접촉되면, 본체 전원 단자(123)의 외면을 가압하여 본체 전원 단자(123)가 전원 홈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탄성 부재(233)가 본체 전원 단자(123)에 가하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핸들(200)에 수평방향 외력이 가해지면, 핸들(200)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탄성 부재(233)는, 사용자의 의도 없이 핸들(200)이 핸들 결합부(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는, 전술한 버튼부(220)의 구성에 의해 핸들(200)의 분리가 차단됨은 물론, 전원 탄성 부재(233)또한 핸들(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보조하여, 핸들(200)과 본체(10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핸들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 수용부(240)가 형성된다.
배터리 수용부(240)는 배터리(250)가 수용될 공간을 제공하며, 배터리(25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배터리 수용부(240)는, 수용된 배터리(250)가 핸들 전원 단자(2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250)는 배터리 수용부(240) 내부에 배치된다. 배터리(250)는 배터리 수용부(24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배터리(250)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핸들 하우징(210)의 외면은 완전히 폐쇄되고, 배터리 수용부(240) 및 배터리(25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250)는 핸들(2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은 배터리(250)가 내부에서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핸들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의 배터리(250)가 방전될 경우, 배터리(250)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핸들(200)을 교체함으로써 배터리(250)를 교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는 핸들(200) 내부 공간에 배터리(250)를 배치하므로, 배터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 및 구조 단순화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의 구조에 따르면, 별도의 배터리 커버, 힌지, 커버 고정 부재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되지 않았음에도 배터리(25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청소기에 비하여 배터리 커버, 힌지, 커버 고정 부재 등의 재료비,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경량화 및 구조 단순화에 유리하며, 배터리 교체에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핸들(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핸들 하우징(210)의 반경은, 인입부(211)의 반경이 나머지 부분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입부(211)의 반경은, 핸들 하우징(210)의 나머지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입부(211)의 반경은, 전원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반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211)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230)의 반경 또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입부(211) 및/또는 전원부(230)의 외주면은 소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의 소정 각도는 15도 안팎의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211) 및 전원부(230)는 핸들 결합부(120) 내부에 인입되는 구성이다. 위 테이퍼 구조로 인해, 인입부(211) 및 전원부(230)는 핸들 결합부(120)에 더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인입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의 본체(100) 및 핸들(200)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청소기(1)의 핸들(200)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소기(1)의 본체(100)는, 길이 방향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고, 핸들 결합부(120)는 본체(100)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연장관 결합부(130)는 하방에 구비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1)의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100)와 달리, 길이 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본체(100)는 핸들 결합부(120)가 후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연장관 결합부(130)또한 후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핸들 결합부(120)가 후측방에 배치되더라도, 핸들 인입구(121)는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 방향으로,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핸들(200)은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관 결합부(130)가 후측방에 배치되더라도, 연장관(300)과 결합되는 부분이 90도 꺾임으로써, 연장관(300)이 하방에서 연결될 수 있다.
그 외 본체(100)와 핸들(200)의 결합 구조, 결합 방식, 그에 따른 효과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살핀 바와 같이, 청소기(1) 설계 방식이 변경되어도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설계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청소기
100: 본체
110: 본체 하우징 120: 핸들 결합부
121: 핸들 인입구 122: 버튼 걸림 홈
123: 본체 전원 단자 130: 연장관 결합부
210: 핸들 하우징 211: 인입부
212: 핸들 걸림 턱 213: 손가락 가이드
220: 버튼부 221: 핸들 버튼
222: 버튼 탄성 부재 223: 핸들 버튼 홈
230: 전원부 231: 전원 홈
232: 핸들 전원 단자 233: 전원 탄성 부재
240: 배터리 수용부 250: 배터리
200: 핸들 300: 연장관
400: 노즐
110: 본체 하우징 120: 핸들 결합부
121: 핸들 인입구 122: 버튼 걸림 홈
123: 본체 전원 단자 130: 연장관 결합부
210: 핸들 하우징 211: 인입부
212: 핸들 걸림 턱 213: 손가락 가이드
220: 버튼부 221: 핸들 버튼
222: 버튼 탄성 부재 223: 핸들 버튼 홈
230: 전원부 231: 전원 홈
232: 핸들 전원 단자 233: 전원 탄성 부재
240: 배터리 수용부 250: 배터리
200: 핸들 300: 연장관
400: 노즐
Claims (14)
- 흡입 모터 및 먼지통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핸들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핸들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결합부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핸들 인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핸들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은,
상기 핸들 인입구를 통해 상기 핸들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입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결합부는,
내벽에 함몰 형성된 버튼 걸림 홈;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인입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부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핸들 버튼; 및
상기 핸들 버튼과 상기 인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버튼을 상기 버튼 걸림 홈을 향해 가압하여, 상기 핸들 버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버튼 걸림 홈에 인입시키는 버튼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버튼의 일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버튼 탄성 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핸들 버튼이 상기 버튼 걸림 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결합부는,
전력을 공급받는 본체 전원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 전원 단자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하는 핸들 전원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전원 단자와 상기 핸들 전원 단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원 단자는,
상기 핸들 결합부의 내면에서 상기 전원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의 맞은편에 전원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원 홈 내부에는 전원 탄성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핸들 전원 단자는,
상기 전원 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전원 단자는 상기 전원 홈에 인입되어 상기 핸들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탄성 부재는, 상기 본체 전원 단자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의 반경은,
상기 인입부의 반경이, 나머지 부분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반경은,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반경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핸들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걸림턱은,
상기 핸들 인입구의 단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은,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된 손가락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이드는,
상기 핸들 인입구를 향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결합부는,
내벽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홈;
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부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인입구는,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핸들은,
청소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면은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핸들 하우징의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582A KR102689900B1 (ko) | 2022-03-22 | 2022-03-22 | 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582A KR102689900B1 (ko) | 2022-03-22 | 2022-03-22 | 청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7746A true KR20230137746A (ko) | 2023-10-05 |
KR102689900B1 KR102689900B1 (ko) | 2024-07-31 |
Family
ID=8829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582A KR102689900B1 (ko) | 2022-03-22 | 2022-03-22 |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990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3775A (ko) * | 2016-08-25 | 2018-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US20180353029A1 (en) * | 2017-06-12 | 2018-12-13 | Cody C. Tolchard | Handheld cordless dust removal appliance |
KR102237771B1 (ko) * | 2020-11-18 | 2021-04-07 | 배성구 |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
-
2022
- 2022-03-22 KR KR1020220035582A patent/KR102689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3775A (ko) * | 2016-08-25 | 2018-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US20180353029A1 (en) * | 2017-06-12 | 2018-12-13 | Cody C. Tolchard | Handheld cordless dust removal appliance |
KR102237771B1 (ko) * | 2020-11-18 | 2021-04-07 | 배성구 |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용 범용컨트롤러장치 및 이를 포함한 모터 구동형 가전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9900B1 (ko) | 2024-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26947A1 (en) | Vacuum cleaner with an integrated handheld vacuum cleaner unit | |
US20080104793A1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CN106923745B (zh) | 多功能表面清洁系统 | |
KR20110132196A (ko) |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 |
US20160088987A1 (en) | Vacuum cleaner | |
KR20120103956A (ko) |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 | |
KR20080096191A (ko) | 캐니스터/스틱 겸용 진공청소기 | |
EP4298975A1 (en) | Cleaner | |
KR20220081703A (ko) | 청소기 스테이션 | |
KR20220122474A (ko) | 청소기 | |
KR102689900B1 (ko) | 청소기 | |
EP4298976A1 (en) | Cleaner | |
US20240215780A1 (en) | Cleaner | |
WO2020262600A1 (ja) | 電気掃除機 | |
KR102694203B1 (ko) | 청소기 | |
KR102672231B1 (ko) | 청소기 | |
KR100941426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100933190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CN219289336U (zh) | 真空清洁器及其簸箕附件 | |
KR100762326B1 (ko) |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 |
KR20230127687A (ko) | 청소기 | |
KR20170129019A (ko) | 진공 청소기 | |
KR20230101706A (ko) |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 |
JP6133179B2 (ja) | 電気掃除機 | |
KR100762325B1 (ko) | 핸디청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