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34759A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759A
KR20230134759A KR1020220031930A KR20220031930A KR20230134759A KR 20230134759 A KR20230134759 A KR 20230134759A KR 1020220031930 A KR1020220031930 A KR 1020220031930A KR 20220031930 A KR20220031930 A KR 20220031930A KR 20230134759 A KR20230134759 A KR 2023013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etergent
detergent box
gui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영
고봉진
김영현
김준호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759A/ko
Priority to PCT/KR2022/019694 priority patent/WO2023177042A1/ko
Priority to EP22932409.0A priority patent/EP4403687A1/en
Priority to CN202280073931.7A priority patent/CN118284727A/zh
Priority to US18/094,651 priority patent/US20230295860A1/en
Publication of KR2023013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제공급장치의 세제 부족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 세제함 하우징에 연결되어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세제함과 세제함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래치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회전조 내부에 투입된 의류와 세제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기와, 건조 대상물이 수용된 회전조를 회전시켜 회전 내의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에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터브 내부에 세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세제공급장치는 세제함과, 세제함과 도킹됨에 따라 세제함 내의 세제를 터브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는 세제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세제가 공급되어 편리하나, 세제의 부족 시 세제 부족 알림을 보지 못한 소비자가 세제를 보충하지 않아 세제가 부족한 상태로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행정 종료 후, 세제공급장치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통풍이 되지 않아 내부에 곰팡이 등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제공급장치의 세제 부족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제공급장치의 내부 통풍이 원활하여 오염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상기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래치장치; 및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세제 부족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세제함 내의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 부족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폐쇄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세제함에 배치되는 제1래치부재와,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래치부재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제2래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래치부재는, 상기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락킹되거나 언락킹되도록 락킹홀이 형성되는 제1래치바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래치바디는, 상기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락킹홀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유닛과,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유닛은 래치유닛 케이스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내부에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래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래치바디와, 상기 제2래치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래치바디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치바디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래치바디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된다.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제2래치바디의 진퇴 이동 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레일홈의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가이드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세제펌프; 상기 세제함에 배치되고, 락킹홀이 형성되는 제1래치부재;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래치부재의 상기 락킹홀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제2래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세제 부족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세제함 내의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 부족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폐쇄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래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래치유닛 케이스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내부에서 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래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래치바디와, 상기 제2래치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래치바디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치바디의 진퇴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래치바디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탁 행정 이후 또는 세제공급장치의 세제 부족 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세제공급장치의 내부 통풍이 원활하여 오염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래치장치가 장착된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제2래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9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 은 도 2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 하우징에서 세제함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세제함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래치장치가 장착된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론트-로딩 방식의 세탁기(1)를 기준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세제는 세탁용 세제뿐 아니라 건조기용 린스, 탈취제, 살균제 또는 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30)와, 터브(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40)과,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면판(11a)과, 후면판(11a)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양 측면판(11b,11c)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e)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d)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개방된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2)은 제1패널(12a)과, 제1패널(12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패널(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12a)은 드럼(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패널(12a)은 제2패널(12b)의 아래 배치될 수 있다. 제1패널(12a)에는 드럼(4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1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12a)의 개구(12c)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12a)의 개구(12c)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프레임(21)과 도어 글라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2)는 본체(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패널(12b)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패널(12b)은 제1패널(12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패널(12b)은 탑 커버(11e)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패널(12b)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a)와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b)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3)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3a)는 회전 가능한 조그 다이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3)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3a)를 통해 다양한 세탁 관련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한다.
제어부(50)는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미도시)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세탁기(1)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61,62)를 통해 세탁기(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61,6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구동장치(15)는 터브(30)의 후방에서 드럼(40)을 정역 회전시켜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마련된다.
구동장치(15)는 드럼(4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15)는 구동모터(15a)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구동축(15b)에 전달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터(15a)는 고정된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로 구성되어 전기력을 기계력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모터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드럼(40)은 터브(3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4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30)는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30)는 본체(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전면패널(12)의 개구(12c)와 터브(30)는 다이어프램(1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18)은 전면패널(12)과 터브(30)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30)의 상측에는 급수장치(14)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장치(14)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4a)와, 급수밸브(14a)에 연결되는 급수관(14b)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4)는 터브(30)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30)의 하부에는 터브(3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16a), 배수밸브(미도시), 배수펌프(16b) 등을 포함하는 배수장치(16)가 설치될 수 있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터브 내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제1세제공급장치(100a)와 제2세제공급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터브(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본체(1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전면패널(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전면패널(12)의 제2패널(12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전면패널(12)의 상부에서 본체(1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세제가 터브(30) 내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급수장치(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급수장치(14)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터브(30) 내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터브(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급수과정에서 터브(3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고체 세탁세제 및/또는 유연제 등을 터브(30) 내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다만 세제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장치(14)를 통해 세탁기(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1세제공급장치(100a)를 통해 터브(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0a)는 공급관(17)을 통해 터브(3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장치(14)의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세제공급장치(100a)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되며,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터브(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터브(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본체(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전면패널(12)의 하부에서 본체(1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세제가 터브(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는 액체 세탁세제 및/또는 유연제 등을 터브(30)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다만 세제의 종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세제공급장치(100b)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래치장치가 장착된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제공급장치(100b, 이하, '세제공급장치'라 함)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내측 전방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내부에 세탁세제 및 린스 및/또는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내부에 세탁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세제함(111)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내부에 린스 및/또는 유연제 등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2세제함(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박스(101a)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세제함(111)과 제1세제함(111)은 상면이 개구된 세제함 박스(101a)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는 내부에 제1세제함(111)과 제2세제함(112)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세제함(111)과 제2세제함(112)은 세제함 박스(101a)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1세제함(111)과 제2세제함(112)은 세제함 박스(101a)에 나란하게 수용되며, 본체(10)로부터 함께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세제함(111)과 제2세제함(112)은 세제함 박스(101a)에 수용되어 본체(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함은 각각의 세제함이 세제함 박스에 수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및 세제함 박스는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세제함(110) 또는 세제함 박스(101a)에는 세제함(110) 내의 세제 및/또는 유연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61)는 제1세제함(111)과 제2세제함(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61)는 세제함 박스(101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본체(10)의 전면패널(12)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세제함(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세제함(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세제함(110)이 수용된 세제함 박스(101a)가 장착될 수 있도록 세제함 박스(10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내부에 세제함 박스(101a)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수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개구된 전면을 통해 세제함 박스(101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개구된 전면을 통해 세제함 박스(101a)가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과 세제함 박스(101a)는 가이드 리브(13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30)는 세제함 박스(101a)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 리브(131)와,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 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1)와 제2가이드 리브(13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1)는 세제함 박스(101a)의 저면(101d)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132)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내측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1)는 제2가이드 리브(132)에 결합되어 세제함 박스(101a)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세제함(110)이 삽입 및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제함 박스(101a)는 세탁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세제함박스 전면(101a)과 세제함박스 전면(101a)에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세제함박스 후면(101b)과, 세제함박스 전면(101a)과 세제함박스 후면(101b)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제함박스 측면(101c), 그리고 세제함 박스(101)의 개방된 상면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세제함박스 저면(10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리브(131)는 세제함박스 저면(101d)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전면이 개구되어 세제함(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세제함 박스(10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수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121)는 세제함 박스(101a)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121)는 세제함 하우징(120)을 형성하는 상면(120d), 하면(120b), 후면(120a) 그리고 양 측면(120c)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의 상면(120d), 하면(120b), 후면(120a) 그리고 양 측면(120c)에 의해 내부에 세제함 수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리브(132)는 하면(120b)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세탁기(1)의 전방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전면패널(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제1패널(12a)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제1패널(12a)에 형성된 세제함 설치구(19)에 장착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은 세제함 설치구(19)에 삽입되어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함 하우징은 전면패널에 별도로 마련되어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하우징은 전면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세제함(110) 또는 세제함 하우징(120)에는 세제함(110)의 오픈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6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센서(62)는 세제함 박스(101a) 또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센서(62)는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세제함(110)이 개방(오픈) 또는 폐쇄(클로즈) 상태인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센서(62)는 본체(10) 또는 전면패널(12)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도 이다.
또한,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함 수용부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하우징은 양측면과 하면 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순환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터브(30)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펌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 내부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세제함(110) 외부에 배치되는 펌프(140)에 의해 펌핑되어 드럼(4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펌프(140)는 세제함(110)과 도킹됨에 따라 세제함(110)에서 세제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140)는 세탁기(1)의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펌프(140)는 세제함(110)이 도킹될 수 있도록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다. 펌프(140)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후면(120a)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140)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수용된 세제함(110)과 연결되어 세제함(110)으로부터 세제 및 유연제를 흡입할 수 있다.
펌프(140)는 세제함(11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40)는 제1세제함(111)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부(141a)와, 제2세제함(112)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연결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이 수용되는 세제함 박스(101a)에는 펌프(140)에 대응되는 펌프 연결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 연결부(141)는 제1연결부(141a)에 연결되는 제1펌프 연결부(141)와, 제2연결부(141b)에 연결되는 제2펌프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가 세제함 하우징(120)에 안착 시, 세제함(110)의 펌프 연결부(141)는 펌프(140)의 연결부(14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박스(101a)에 수용된 상태로 세제함 하우징(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롤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15)는 세제함 박스(101a)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15)는 세제함박스 저면(101d)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15)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세제함(110)이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이동 시 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은 래치장치(2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 사이를 락킹 및/또는 언락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을 오픈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 내의 세제 부족 시 세제함(110)이 오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제1센서(61)에 의해 세제 및/또는 유연제의 잔량 부족을 감지하면 제어부(50)에 의해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 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제2센서(62)에 의해 세제함(110)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의해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 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에 배치되는 제1래치부재(210)와, 세제함 하우징(120)에 배치되는 제2래치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1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 박스(10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박스 후면(101b)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박스 후면(101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제1래치부재(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박스(101a)에는 제1래치부재(210)가 설치되기 위한 제1래치부재 설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 설치부(113)는 세제함박스 후면(101b)에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제1래치부재(210)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에는 제2래치부재(220)를 설치하기 위한 제2래치부재 설치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부(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제2래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도 9 에 도시된 래치장치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110)은 세탁기(1)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 사이를 연결하는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언락킹하여 오픈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는 제1래치부재(210)와 제2래치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 박스(101a)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박스 후면(101b)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제2래치부재(220)의 적어도 일부와 락킹되거나 언락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는 제2래치부재(220)의 적어도 일부와 락킹되거나 언락킹되도록 락킹홀(211)이 형성되는 제1래치바디(211)와, 제1래치바디(211)에 마련되고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가압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바디(211)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락킹홀(211)은 제1래치바디(21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13)는 제1래치바디(211)의 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213)는 후술하는 제2래치부재(220)의 제2래치바디(231)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래치바디는 사각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래치바디 및/또는 락킹홀은 제2래치바디의 래치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제1래치부재(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제1래치부재(210)의 락킹홀(211)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래치(233)를 포함하는 래치유닛(230)과, 래치(233)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래치유닛 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유닛(230)은 래치유닛 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유닛(230)은 래치유닛 케이스(221) 내부에서 진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래치바디(231)와, 제2래치바디(23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래치바디(231)와 래치유닛 케이스(221)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38)와, 제2래치바디(231)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23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유닛 케이스(221)는 래치유닛(230)이 세제함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유닛 케이스(221)는 내부에 래치유닛(2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래치유닛 수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유닛 수용부(222)는 래치유닛(230)의 적어도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치유닛 케이스(221)에는 제2래치부재(220)를 세제함 하우징(1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21b)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래치유닛 케이스(221) 내부에서 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래치유닛 수용부(222)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가이드(23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35)의 일단은 제2래치바디(231)의 레일홈(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래치유닛 케이스(2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래치유닛 케이스(221)의 내부에 탄성부재(238)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에 의해 제2래치바디(231)는 래치유닛 수용부(222)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에는 래치(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233a)결합될 수 있다. 래치(233)는 힌지(233a)에 의해 제2래치바디(231)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233)는 제2래치바디(231)의 하부에 힌지(233a) 결합될 수 있다. 래치(233)는 제2래치바디(231)의 전바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래치(233)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래치부재(210)의 락킹홀(211)을 락킹 또는 언락킹할 수 있다. 래치(233)는 제1래치부재(210)의 락킹홀(211)을 잡거나 놓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233)는 제2래치바디(231)를 수용하는 래치유닛 케이스(221)에 마련된 래치 가이드(2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래치 가이드(235)는 래치유닛 케이스(22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치 가이드(235)는 제2래치바디(231)가 전 방향으로 이동 시 래치(233)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래치(233)의 하부를 지지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래치 가이드(235)는 제2래치바디(231)가 후 방향으로 이동 시 래치(233)가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래치(23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제2래치바디(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래치(233)는 제2래치바디(231)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탄성부재(238)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는 제1래치부재(210)에 의해 가압되어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에는 가이드(23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232)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홈(232)은 제2래치바디(231)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232)에는 가이드(235)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235)는 제2래치바디(231)의 레일홈(232)에 연결되는 제1단부(235a)와, 제1단부와 연결되며 래치유닛 케이스(221)에 연결되는 제2단부(235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는 레일홈(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235)의 제2단부(235b)는 래치유닛 케이스(221)에 고정되되 제1단부(235a)가 레일홈(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는 가이드(235)가 제2래치바디(231)의 레일홈(2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235)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플레이트(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37)는 가이드(235)의 상측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237)는 일측은 래치유닛 케이스(221)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235)의 상측을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235)는 제2래치바디(231)의 전후 이동에 따라 레일홈(232)의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235)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250)은 모터(251)와, 모터(251)의 회전축(251a)에 연결되는 제1기어(252a,252b)와, 제1기어(252a252b)에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253)가 형성되는 푸셔(254)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254)는 제1기어(252a,252b)에 맞물리며 모터(251) 및 회전축(251a)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가이드(235)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셔(254)는 대략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푸셔(254)는 모터(251)의 회전축(251a)에 연결된 제1기어(252a,252b)에 연결되도록 제2기어(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253)는 푸셔(254)의 저면중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기어(253)는 푸셔(254)의 저면 일측에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253)에 의해 모터(251)가 회전하면 회전축(251a)에 연결된 제1기어(252a,252b)가 회전하고, 제1기어(252a,252b)에 맞물린 제2기어(253)는 직선 이동 할 수 있다. 제2기어(253)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푸셔(254)에는 가이드(235)를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면(255)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면(255)은 푸셔(254)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면(255)은 푸셔(254)의 제2기어(253)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푸셔(254)는 가이드(235)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셔(254)의 가압면(255)은 가이드(235)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푸셔(254)의 직선이동에 의해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가 레일홈(23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는 제2래치바디(231)의 레일홈(23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의 레일홈(232)은 제1경로(232a)와 제2경로(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경로(232a)와 제2경로(232b)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이 래치장치(200)에 의해 닫힘 상태일 때, 세제함(110)에 배치된 제1래치부재(210)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2래치부재(220)와 락킹된 상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래치바디(211)의 락킹홀(211)은 제2래치바디(231)의 래치(233)에 의해 락킹된 상태로 마련된다. 제2래치바디(231)는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가 레일홈(232)의 제1홈(236a)에 위치되고,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는 제1위치(P1)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시키도록 제어부(50)가 래치장치(200)를 제어하면, 제2래치부재(220)의 모터(251)가 동작하게 된다.
모터(251)의 회전축(251a)이 회전하면, 회전축(251a)에 연결된 제1기어(252a,252b)가 회전하고, 제1기어(252a,252b)에 맞물린 제2기어(253)가 이동하여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를 이동시킨다. 제2래치바디(231)는 탄성부재(238)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며,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는 제1경로(232a)를 통해 제2홈(236b)으로 위치한다. 가이드(235)의 제1단부(235a)는 제2위치(P2)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래치(233)는 하측으로 회전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1래치부재(210)의 락킹홀(211)과 래치(233)는 언락킹되게 된다.
제1래치부재(210)의 락킹홀(211)과 래치(233)의 연결이 해제되면 세제함(110)은 세탁기(1)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되게 된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박스(101a)에 수용되어 세제함 하우징(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세제함 하우징(120)의 하면(120b) 그리고 양 측면(120c)에는 세제함(11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3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30)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하면(120b)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리브(131)와, 세제함 하우징(120)의 양 측면(120c)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1가이드 리브(131)와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1가이드 리브(131)와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는 각도(θ)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1가이드 리브(131)와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의 경사에 의해 세제함(110)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과 사이에서 래치장치(200)가 해제되면, 세제함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1가이드 리브(131)와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의 경사와 세제함(110) 자체의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세제함 하우징(120)으로부터 오픈될 수 있다.
세제함(110)에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1가이드리브(131) 및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리브(13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132)는 세제함(110)의 세제함박스 저면(101d)에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의 사이에는 세제함(1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3)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133a)와, 제1스토퍼(133a)에 대응되도록 세제함(110)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133a)는 세제함 하우징(120)의 제1가이드측면리브(131a)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스토퍼(133b)는 제1스토퍼(133a)에 대응되도록 세제함박스 후면(101b)과 세제함박스 측면(101c) 사이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의 스토퍼는 세제함 하우징의 제1가이드측면리브와 세제함박스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토퍼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 은 도 2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세제함 하우징에서 세제함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세제공급장치에서 세제함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 는 도 14 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래치장치가 장착된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 는 도 15 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세제함(110)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세탁기(1)에서 세제공급장치 자동 오픈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3)을 통해 세제공급장치 자동 오픈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세제공급장치 자동 오픈 모드를 수신하면, 세제함(110)에 환기 기능이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세제함(110)과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된 제2센서(62)를 통해 세제함(11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세제함(110)이 세제함 하우징(120)에 닫힌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세제함(110)이 폐쇄된 것을 제2센서(62)를 통해 감지하면 세제함(110)이 오픈 되도록 세제공급장치(100)의 세제함(110)이 오픈되도록 래치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 자동 오픈 모드는 제어 신호에 따라 래치장치(200A)를 제어하여 세제공급장치(100)의 세제함(110)을 세제함 하우징(120)에서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공급장치(100)의 자동 오픈 모드는 세제함(110)이 세탁기(1)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세제함(110)의 오픈 상태를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세제 보충의 필요성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내부 통풍이 원활하여 곰팡이 생성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제공급장치 자동 오픈 모드의 오프 상태에서도 세제공급장치(100)의 래치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동으로 세탁기(1)의 세제함(110)을 오픈 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하우징(120)과 래치장치(200A)를 통해 락킹 또는 언락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세제함(110)의 오픈 시킬 수 있다. 래치장치(200A)는 제1래치부재(210A)와 제2래치부재(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부재(210A)는 제2래치부재(220A)의 적어도 일부와 락킹되거나 언락킹되도록 락킹홀(212A)이 형성되는 제1래치바디(211A)와, 제1래치바디(211A)에 마련되고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가압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A)는 세제함 하우징(1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A)는 제1래치부재(21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A)는 제1래치부재(210A)의 락킹홀(213A)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2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부재(220A)는 래치유닛 케이스(221A) 내부에서 진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래치바디(231A)와, 제2래치바디(231A)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래치바디(231A)와 래치유닛 케이스(221A)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38A)와, 제2래치바디(231A)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23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바디(231A)에는 가이드(235A)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232A)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홈(232A)에는 가이드(235A)가 결합될 수 있다.
래치장치(200A)의 제1래치부재(210A) 및 제2래치부재(220A)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와 동일하다.
세제함(110)이 닫힘 상태일 때, 제2래치부재(220A)의 락킹홀(213A)은 래치(233A)에 의해 락킹된 상태이다. 이때, 제2래치부재(220A)의 탄성부재(238A)는 압축된 상태로, 가이드(235A)의 제1단부(235a)는 제2래치바디(231A)의 레일홈(232A)의 제1홈(236a)에 위치한다. 가이드(235A)는 제2래치바디(231A)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세제함(110)을 밀면, 제1래치부재(210A)가 제2래치바디(231A)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순간 탄성부재(238A)가 더 압축되면서 가이드(235A)의 제1단부(235a)는 레일홈(232A)의 제2홈(236b)으로 이동한다. 가이드(235A)의 제1단부(235a)가 레일홈(232A)의 제2홈(236b)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238A)의 압축이 풀리면서 제2래치바디(231A)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래치(233A)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제1래치부재(210A)의 락킹홀(213A)과의 락킹이 해제된다. 제1래치부재(210A)와 제2래치부재(220A)의 락킹이 해제되면 세제함(110)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오픈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세탁기 10 : 본체
20 : 도어 61: 제1센서
62 : 제2센서 100 : 세제공급장치
110 : 세제함 101 : 세제함 박스
111 : 제1세제함 112 : 제2세제함
120 : 세제함 하우징 130 : 가이드 리브
140 : 펌프 200 : 래치장치
210 : 제1래치부재 220 : 제2래치부재

Claims (20)

  1.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펌프;
    상기 세제함과 상기 세제함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래치장치; 및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세제 부족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 내의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 부족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폐쇄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래치장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세제함에 배치되는 제1래치부재와,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래치부재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제2래치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부재는,
    상기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락킹되거나 언락킹되도록 락킹홀이 형성되는 제1래치바디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바디는,
    상기 제2래치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락킹홀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유닛과,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유닛은,
    래치유닛 케이스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내부에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래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래치바디와,
    상기 제2래치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래치바디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치바디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바디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제2래치바디의 진퇴 이동 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레일홈의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맞물리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가이드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함;
    상기 세제함을 수용하는 세제함 하우징;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세제함에 저장된 세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세제펌프;
    상기 세제함에 배치되고, 락킹홀이 형성되는 제1래치부재;
    상기 세제함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래치부재의 상기 락킹홀을 락킹하거나 언락킹하도록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제2래치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세제 부족 시,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 내의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가 세제 또는 유연제의 잔량 부족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 종료 시, 상기 세제함이 폐쇄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세제함이 오픈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부재는,
    상기 래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래치유닛 케이스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내부에서 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래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래치바디와,
    상기 래치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래치바디와 상기 래치유닛 케이스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치바디의 진퇴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바디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31930A 2022-03-15 2022-03-15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34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930A KR20230134759A (ko) 2022-03-15 2022-03-15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9694 WO2023177042A1 (ko) 2022-03-15 2022-12-06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EP22932409.0A EP4403687A1 (en) 2022-03-15 2022-12-06 Detergent supply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same
CN202280073931.7A CN118284727A (zh) 2022-03-15 2022-12-06 洗涤剂供应设备和具有该洗涤剂供应设备的衣物处理装置
US18/094,651 US20230295860A1 (en) 2022-03-15 2023-01-09 Detergent supply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930A KR20230134759A (ko) 2022-03-15 2022-03-15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59A true KR20230134759A (ko) 2023-09-22

Family

ID=8802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930A KR20230134759A (ko) 2022-03-15 2022-03-15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95860A1 (ko)
EP (1) EP4403687A1 (ko)
KR (1) KR20230134759A (ko)
CN (1) CN118284727A (ko)
WO (1) WO20231770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04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습기 제거 방법
KR101202753B1 (ko) * 2005-03-29 2012-11-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EP3018248B1 (en) * 2013-07-03 2021-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supply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EP3137707B1 (en) * 2014-05-01 2018-08-22 Illinois Tool Works Inc. Low closure force motorized latch
CN210886648U (zh) * 2019-07-05 2020-06-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投放器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5860A1 (en) 2023-09-21
EP4403687A1 (en) 2024-07-24
WO2023177042A1 (ko) 2023-09-21
CN118284727A (zh) 202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309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230243084A1 (en) Washing machine
EP3239386B1 (en) Washing machine
CN112921590B (zh) 洗衣机
KR101653314B1 (ko) 의류처리장치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EP1634987A1 (en) Washing machine
US10246811B2 (en) Washing machine
US11634852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090101680A (ko) 의류처리장치
CN102127853A (zh) 洗衣机
KR20170068293A (ko) 세탁기
CN111065307B (zh) 洗碗机和家用电器
US20230228026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20230134759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100066909A (ko) 세탁기
KR102645898B1 (ko) 의류처리장치
US12091800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75176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
KR102725979B1 (ko) 의류처리장치
US11639575B2 (en) Washing machine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11795604B2 (en) Additive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20240376656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40121101A (ko)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