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31282A -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 Google Patents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282A
KR20230131282A KR1020237028757A KR20237028757A KR20230131282A KR 20230131282 A KR20230131282 A KR 20230131282A KR 1020237028757 A KR1020237028757 A KR 1020237028757A KR 20237028757 A KR20237028757 A KR 20237028757A KR 20230131282 A KR20230131282 A KR 2023013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able
stayed
flange tube
ins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마
지에 위
칭 후앙
Original Assignee
장쑤 쉐마 일렉트릭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206367.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878787A/zh
Application filed by 장쑤 쉐마 일렉트릭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장쑤 쉐마 일렉트릭 캄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을 제공하고, 상기 합성 크로스암은 1개의 지지 애자와 3개의 사장 애자를 포함하고, 지지 애자 및 사장 애자는 일단이 모두 송전탑의 탑 몸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함께 연결되어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합성 크로스암의 단부를 형성하고, 3개의 사장 애자는 지지 애자를 둘러싸면서 이격되어 배열되고, 그중 2개의 사장 애자의 축선은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축선이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2개의 사장 애자를 제1 사장 애자로 정의하고, 나머지 사장 애자를 제2 사장 애자로 정의하며, 2개의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90°이고, 제2 사장 애자와 지지 애자 사이의 각도는 25° 내지 45°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합성 크로스암은 안정성이 강하다.

Description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본 출원은 송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에 관한 것이다.
합성재료는 경량, 고강도, 내식성, 가공 용이성, 설계성(designability) 및 우수한 절연특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송전탑 구조물 건설에 이상적인 재료 중 하나이며, 합성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탑은 가벼운 탑 무게, 작은 탑 머리(tower head) 치수, 가벼운 구조, 용이한 가공 성형, 저렴한 운송 및 조립 비용, 내식성, 고온내성 및 저온내성, 높은 강도, 낮은 도난 가능성 및 낮은 선로 유지보수 비용 등의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현재 합성재료로 이루어진 탑의 성능이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의 합성 크로스암은 일반적으로 지지 애자, 사장(cable-stayed, 斜張) 애자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단일 포스트 구조, 단일 포스트-단일 풀링 구조, 이중 포스트-단일 풀링 구조 등 여러가지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합성 크로스암은 안정성이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합성 크로스암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합성 크로스암으로서, 상기 합성 크로스암은 1개의 지지 애자와 3개의 사장(cable-stayed, 斜張) 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애자 및 상기 사장 애자는 일단이 모두 송전탑의 탑 몸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함께 연결되어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상기 합성 크로스암의 단부를 형성하고, 3개의 상기 사장 애자는 상기 지지 애자를 둘러싸면서 이격되어 배열되고, 그중 2개의 상기 사장 애자의 축선은 상기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축선이 상기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2개의 상기 사장 애자를 제1 사장 애자로 정의하고, 나머지 상기 사장 애자를 제2 사장 애자로 정의하며, 2개의 상기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90°이고, 상기 제2 사장 애자와 상기 지지 애자 사이의 각도는 25° 내지 45°이다.
상기 합성 크로스암은 하나의 지지 애자와 3개의 사장 애자가 함께 연결되어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단부을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과 탑 몸체 사이는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합성 크로스암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 2개의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각도를 45° 내지 90°의 범위로 배치함으로써, 지지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1 균압환과 단부 금구를 배치하는 것, 및 2개의 제1 사장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2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또한 제2 사장 애자와 지지 애자 사이의 각도를 25° 내지 45° 범위로 배치함으로써, 지지 애자의 고압단에 제1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 및 제2 사장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3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성 크로스암은 상기 탑 몸체와 상기 제1 사장 애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사장 연결금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장 연결금구는 상기 제1 사장 애자와 상기 탑 몸체의 연결을 실현하도록, 상기 제1 사장 애자에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금구; 및 일단이 상기 제1 서브 연결금구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몸체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금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장 연결금구를 배치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어 다양한 적용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연결금구에는 호형(arc-shaped)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금구는 택일적으로 하나의 상기 제1 장착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장착부를 배치함으로써 제1 사장 연결금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 크로스암은, 상기 탑 몸체와 상기 제2 사장 애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사장 연결금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장 연결금구는 길이가 고정된 것이다.
상기 제2 사장 연결금구는 탑 몸체와 제2 사장 애자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애자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외주(外周)를 피복하는 갓(shed); 및 상기 지지 애자를 상기 탑 몸체에 장착하도록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지지 연결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연결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단부 플랜지 튜브; 상기 절연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단부 플랜지 튜브의 단부를 덮는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 및 제1 장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착판의 단부는 상기 단부 플랜지 튜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의 판면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제1 장착판은 상기 탑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애자의 장착을 실현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 애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 플랜지 튜브의 단부를 덮는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수증기 등에 의한 지지 애자의 부식을 방지하여 지지 애자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판의 개수는 2개이고, 2개의 상기 제1 장착판은 모두 상기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장착판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함으로써 지지 애자와 탑 몸체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는 중실(solid core)형 절연체이거나, 또는 0.1~0.15 Mpa의 절대압력 값을 갖는 절연 가스가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중공(hollow)형 절연체이다.
상기와 같이 절연체는 중공(hollow)형 절연체로서 0.1~0.15 Mpa의 절대압력 값을 갖는 절연 가스가 내부에 밀봉되어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지지 애자의 일상적인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갓은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동일한 갓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갓몸체는 상기 절연체의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된다.
상기와 같이 갓몸체를 절연체의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갓의 자체 세정에 유리하고, 지지 애자가 오염, 결로 섬락, 결빙 섬락 등에 내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애자와 상기 사장 애자의 타단은 단부 금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부 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애자의 단부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제1 플랜지 튜브;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일단을 덮는 덮개판; 상기 제1 플랜지 튜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판과 연결되며, 상기 송전선을 가설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장착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단부 금구에서 제1 플랜지 튜브의 일단을 덮는 덮개판을 배치함으로써,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와이어 장착판이 손상되어 와이어 장착판을 교체하는 경우, 덮개판은 제1 플랜지 튜브 내부의 지지 애자가 외부 수증기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 애자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금구는 상기 사장 애자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플랜지 튜브의 외주에 배치된 연결판을 이용하여 사장 애자를 연결함으로써, 제1 플랜지 튜브를 이용하여 직접 사장 애자를 연결하는 경우의 제1 플랜지 튜브 파손(예를 들어 제1 플랜지 튜브에 타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플랜지 튜브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된 제2 플랜지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동축(同軸)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를 배치함으로써, 압착 공정으로 단부 금구를 지지 애자의 외주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높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플랜지 튜브와 제2 플랜지 튜브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운송에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 플랜지 튜브 또는 제2 플랜지 튜브가 파손될 경우, 적시에 교체할 수 있어 단부 금구 전체의 폐기를 피할수 있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송전탑으로서, 상기 송전탑은 탑 몸체 및 상기 탑 몸체와 연결되는 상기 합성 크로스암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로서, 본 출원에 따른 합성 크로스암은 하나의 지지 애자와 3개의 사장 애자가 함께 연결되어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단부을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과 탑 몸체 사이는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합성 크로스암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다른 한편, 2개의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각도를 45° 내지 90°의 범위로 배치함으로써, 지지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1 균압환과 단부 금구를 배치하는 것, 및 2개의 제1 사장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2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또한 제2 사장 애자와 지지 애자 사이의 각도를 25° 내지 45° 범위로 배치함으로써, 지지 애자의 고압단에 제1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 및 제2 사장 애자의 고압단(탑 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3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탑 몸체와 지지 애자를 연결하는 지지 연결금구에서, 지지 애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 플랜지 튜브의 단부를 덮는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외부 수증기 등에 의한 지지 애자의 부식을 방지하여 지지 애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사장 연결금구에서 제2 서브 연결금구를 제1 서브 연결금구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사장 연결금구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적용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당업자는 창의적인 작업없이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송전탑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지지 애자와 단부 금구가 연결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단부 금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단부 금구의 다른 시야각에 따른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적용환경에 따른 와이어 장착판과 와이어 클램프가 연결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요크판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D-D선에 따른 단부 금구의 단면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E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적용환경에 따른 도 10의 F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적용환경에 따른 도 10의 F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H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I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G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부 금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단부 금구의 분해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송전탑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J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K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단부 금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단부 금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고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작업 없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송전탑(1000)은 탑 몸체(1100)와 탑 몸체(1100)에 연결된 합성 크로스암(1200)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크로스암(1200)은 지지 애자(1210)와 사장(cable-stayed, 斜張) 애자(1220)를 포함한다.
탑 몸체(1100)는 격자형 철탑, 강관 기둥 또는 합성재료 기둥 탑과 같은 일반적인 구조일 수 있으며, 본 구현예에서 탑 몸체(1100)는 격자형 철탑이고, 첨부된 도면은 일부 구조만 도시하였다.
지지 애자(1210)의 일단과 사장 애자(1220)의 일단은 모두 탑 몸체(1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단부 금구(1230)에 의해 연결되며, 본 구현예에서 지지 애자(1210)의 수는 1개이고, 사장 애자(1220)의 수는 적어도 2개,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이며, 적어도 2개의 사장 애자(1220)는 지지 애자(1210)를 둘러싸면서 이격되어 배열되고, 그중 2개의 사장 애자의 축선은 지지 애자(1210)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사장 애자(1220)는 모두 단부 금구(1230)를 통해 지지 애자(1210)에 연결되고, 동시에 그중 2개의 사장 애자의 축선은 지지 애자(1210)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1200)과 탑 몸체(1100)는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여 합성 크로스암(1200)의 안정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사장 애자(1220)의 개수는 3개이고, 그중 축선이 지지 애자(1210)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2개의 사장 애자(1220)를 제1 사장 애자(1221)로 정의하고, 나머지 사장 애자(1220)를 제2 사장 애자(1222)로 정의하며, 여기서, 제2 사장 애자(1222)에서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까지 각각 떨어진 거리는 동일하고,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90°, 예를 들어, 45°, 60° 또는 90°이며, 제2 사장 애자(1222)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각도는 25° 내지 45°, 예를 들어 25°, 30°, 35° 또는 45° 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 사이의 각도가 클수록 합성 크로스암(1200)이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는 커지지만, 이에 따라 합성 크로스암(1200)의 길이 및 탑 몸체(1100)의 폭도 증가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의 끼인각 범위를 45° 내지 90°로 제어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1200)의 강도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합성 크로스암(1200)의 길이 및 탑 몸체(1100)의 폭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사장 애자(1222)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끼인각 범위를 20° 내지 45°로 제어하는 것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 몸체(1100)에는 3세트의 합성 크로스암(미도시)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3세트의 합성 크로스암의 길이는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며, 즉, 송전탑(1000)의 수직 방향에서, 지지 애자의 길이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애자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 세트의 합성 크로스암의 두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끼인각은 작아진다.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 사이의 끼인각을 α, 지지 애자(1210)의 길이를 L, 수평 방향으로 지지 애자(1210)에 수직인 탑 몸체(1100)의 폭을 D, 수평 방향으로 지지 애자(1210)에 평행한 탑 몸체(1100)의 폭을 n,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가 각각 탑 몸체(1100)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점에서 탑 몸체(1100)까지 떨어진 거리를 모두 m이라 가정하면, 삼각함수공식으로부터 이하의 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220kV 송전탑(1000)을 예로 들면, L의 범위는 2000mm~4000mm이고, D의 범위는 2000mm~3000mm이며, m은 일반적으로 1000mm로 설정되고, n도 일반적으로 1000mm로 설정되며, 따라서 α의 최소값은 47.9°, α의 최대값은 90°임을 계산할 수 있으며, m, n은 모두 크기를 조정할 수 있기에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의 끼인각 범위는 45° 내지 90°로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장 애자(1222)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끼인각을 β라고 가정하고, 동시에 지지 애자(1210)와 탑 몸체(1100)의 연결점에서 제2 사장 애자(1222)와 탑 몸체(1100)의 연결점까지 떨어진 거리를 H라고 가정하면, 삼각함수공식으로부터 이하의 식을 도출할 수 있다:
220kV 송전탑(1000)을 예로 들면, H는 일반적으로 2000mm로 설정되고, 이로부터 β의 최소값은 26.6°, β의 최대값은 45°임을 계산할 수 있으며, H의 크기는 다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지지 애자(1210)와 인접한 사장 애자(1220) 사이의 끼인각 범위는 25° 내지 45° 사이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 사이의 각도를 45° 내지 90° 범위로 설정하면, 지지 애자(1210)의 고압단(탑 몸체(1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1 균압환(미도시)과 단부 금구(1230)를 배치하는 것, 및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의 고압단(탑 몸체(1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2 균압환(12201)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마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지지 애자(1210) 상의 제1 균압환과 제1 사장 애자(1221) 상의 제2 균압환(12201) 간의 간섭, 두 제1 사장 애자(1221) 상의 제2 균압환(12201) 간의 간섭, 및 지지 애자(1210) 상의 제1 균압환, 제1 사장 애자(1221) 상의 제2 균압환(12201) 및 단부 금구(1230) 간의 간섭이 없도록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장 애자(1222)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각도를 25° 내지 45° 범위로 설정하면, 지지 애자(1210)의 고압단에 제1 균압환을 배치하는 것, 및 제2 사장 애자(1222)의 고압단(탑 몸체(1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일단)에 제3 균압환(12202)을 배치하는 것에 유리한 조건을 마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지지 애자(1210)에 배치된 제1 균압환과 제2 사장 애자(1222)에 배치된 제3 균압환(12202)이 비정렬 장착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지지 애자(1210)와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는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고, 동시에 제2 사장 애자(1222)는 지지 애자(1210)의 상방에 위치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사장 애자(1222)의 개수가 하나를 초과하는 경우, 지지 애자(1210)의 상방과 하방에는 모두 제2 사장 애자(1222)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송전선에 각 방향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제2 사장 애자(1222)가 지지 애자(1210)의 상방에 위치할 때, 제2 사장 애자(1222)는 당기고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송전탑(10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지 애자(1210)의 단부가 송전선 설치에 의해 아래로 휘어져 지지 애자(1210)의 장기 사용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애자(1210)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도 1은 수평 배치로 도시됨),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합성 크로스암(1200)이 힘을 균일하게 받도록 확보하기 위해,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각도는 동일하며, 즉 이때 제2 사장 애자(1222)의 축선과 지지 애자(1210)의 축선은 동일한 수직 평면에 있다.
물론 다른 구현예에서, 2개의 제1 사장 애자(1221)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각도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른 2개의 합성 크로스암의 구조는 모두 합성 크로스암(1200)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지지 애자(1210)는 절연체(1211) 및 절연체(1211) 외주(外周)를 피복하는 갓(shed)(12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절연체(1211)는 중실(solid core)형 절연체 또는 중공(hollow)형 절연체일 수 있는데, 여기서, 절연체(1211)가 중실형 절연체일 경우,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권취 성형, 인발 성형 또는 권취 인발 성형한 중실형 바일 수 있고, 절연체(1211)가 중공형 절연체일 경우,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로 인발 권취 성형한 중공형 인발 튜브일 수 있으며, 또한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로 권취 경화 성형 또는 인발 성형한 유리강 튜브일 수도 있고, 또한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 아라미드 섬유로 권취 경화 성형한 아라미드 섬유 튜브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절연체(1211)는 원기둥형(첨부된 도면은 원기둥형으로 도시됨), 원추형, 또는 다른 형상(예를 들어, 드럼형)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절연체(1211)가 원추형인 경우, 선단부(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일단)는 단부 금구(1230)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탑 몸체(1100)에 연결되므로, 지지 애자(1210)는 보다 큰 송전선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일 적용환경에서, 절연체(1211)가 중공형 절연체인 경우, 절연체(1211) 내에는 절연 가스가 밀봉되어 있고, 절연 가스의 절대 압력 값의 범위는 0.1 내지 0.15 MPa(예를 들어, 0.1 Mpa, 0.12 Mpa 또는 0.15 Mpa)이다.
구체적으로, 중공형 절연체 내에 밀봉된 가스는 건조처리된 고순도 질소, 공기 또는 육불화황 등과 같은 가스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절연 가스의 절대 압력 값을 0.1~0.15 Mpa로 설정하면, 절연 가스가 중공형 절연체에서 쉽게 누출되지 않아 지지 애자(1210)의 일상적인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지역과 해발고도에 따른 상이한 압력 요구사항을 충족하여 중공형 절연체가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될 때 내부 가스가 비-음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중공형 절연체가 마이크로워터 제어에 있어 보다 큰 마진을 갖고 마이크로워터 제어의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적용환경에서, 절연체(1211)가 중공형 절연체인 경우,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 또는 폴리우레탄, 액상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고체 재료가 밀봉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갓(1212)은 고온 가황 실리콘 고무, 액상 실리콘 고무 또는 상온 가황 실리콘 고무 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적용환경에서, 갓(1212)은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동일한 갓몸체를 포함하고, 즉 모든 갓몸체들이 모두 동일하고, 또한 갓몸체는 절연체(1211)의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며, 즉 갓몸체에서 서로 등진 두 표면은 경사 방향이 상반되고 경사 각도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갓몸체를 절연체(1211)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갓몸체의 서로 등진 두 표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종래 기술에 비해 빗물이 갓(1212)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지지 애자(1210)의 수평 배치로 인하여, 갓몸체의 등지게 배치된 두 표면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면, 빗물은 절연체(1211)와 갓몸체 사이의 끼인각 내에 축적되기 쉽다), 갓(1212) 표면에 수막(water film)이 형성되지 않으며 갓(1212)의 자체 세정에 유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갓몸체의 등지게 배치된 양측이 동일한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하여, 지지 애자(1210)가 오염, 결로 섬락, 결빙 섬락에 내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보다 경제적인 특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2개의 인접한 갓몸체 사이에 난류가 형성되거나 오염물이 축적되어 교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인접한 갓몸체 사이의 간격은 40mm보다 크고 60mm 이하로 하며, 예를 들어 45mm, 50mm 또는 60mm이다. 물론, 인접한 두 갓몸체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갓몸체의 분포 밀도를 높여 조류(鳥類)가 외피에 머물기 불편하도록 하여 조류 사고의 발생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최소 연면거리를 확보하는 요건 하에서, 절연체(12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갓몸체의 높이는 80㎜ 이하로 설정하며, 일반적으로 50㎜ 내지 80㎜로 설정하고, 예를 들어 50㎜, 60㎜ 또는 70㎜ 등으로 설정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갓(1212)은 다른 구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갓몸체의 크기가 다르거나, 또는 서로 등지게 배치된 갓몸체의 두 표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요컨대, 본 출원은 갓몸체(1212)의 특정 구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단부 금구(1230)는 제1 플랜지 튜브(1231), 덮개판(1232) 및 와이어 장착판(1233)을 포함한다.
제1 플랜지 튜브(1231)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 애자(1210)의 단부에 슬리빙되어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지지 애자(1210)의 절연체(1211)의 단부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며; 덮개판(1232)은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일단을 덮고; 와이어 장착판(1233)은 제1 플랜지 튜브(1231)로부터 떨어져 있는 덮개판(1232)의 일측에 배치되어 덮개판(1232)과 연결되며, 송전선을 가설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와이어 장착판(1233)이 손상되어 와이어 장착판(1233)을 교체하는 경우, 덮개판(1232)이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일단을 덮고 있으므로, 제1 플랜지 튜브(1231) 내부의 지지 애자(1210)가 외부의 수증기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 애자(1210)의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와이어 장착판(1233)의 일단은 제1 플랜지 튜브(1231)로부터 떨어져 있는 덮개판(1232)의 일측 판면에 맞닿아 있으며, 와이어 장착판(1233)의 측면과 덮개판(1232) 사이에는 또한 보강부재(1234)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부재(1234)의 배치는 와이어 장착판(1233)과 덮개판(1232) 사이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와이어 장착판(1233)과 덮개판(1232) 사이의 연결 강도 부족으로 인한 파단을 방지한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234)는 판 부재이고, 덮개판(1232), 와이어 장착판(1233) 및 보강부재(1234) 중 임의 2개는 모두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단부 금구(1230)가 수증기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 금구(1230)의 표면은 용융아연도금 처리되는 동시에, 단부 금구(1230)의 내부 재료는 주조 알루미늄, 주철 또는 합금강 등과 같은 재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 금구(1230)의 각 부분들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와이어 장착판(1233)에는 송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는 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클램프를 장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송전선의 가설을 실현한다. 여기서,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는 1개, 2개, 4개 또는 더 많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는 동일 송전선을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클램프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와이어 클램프가 손상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송전선을 안전하게 현가할 수 있도록 확보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는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이고,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가 배치되지 않은 와이어 장착판(1233)의 측면은 보강부재(1234)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배치는 보강부재(1234)가 와이어 장착판(1233) 상의 와이어 클램프 장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용환경에서,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는 1개이고, 와이어 장착판(1233)에는 시공 리프팅을 위한 시공홀(12332)이 더 배치된다. 물론 다른 적용환경에서,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는 1개보다 많을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장착판(1233)이 하나의 와이어를 가설하도록 구성될 경우, 와이어 장착판(1233)에는 U자형 걸고리(123301)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U자형 걸고리(123301)는 양 단부가 와이어 장착판(1233)과 연결되는 동시에, U자형 걸고리(123301)는 와이어를 현가하기 위한 와이어 클램프(123302)와 연결된다.
와이어 장착판(1233)이 2개의 와이어를 가설하도록 구성될 경우, 와이어 장착판(1233)에는 동일하게 U자형 걸고리(123301)가 연결되지만, 하나의 와이어인 경우와는 달리, 이때 U자형 걸고리(123301)는 중간 요크판(middle yoke plate)과 연결되며, 상기 중간 요크판은 와이어를 현가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 클램프(123302)와 각각 연결된다. 일 적용환경에서, 중간 요크판의 단면은 대략 이등변삼각형이고, 2개의 와이어 클램프(123302)는 각각 중간 요크판의 2개의 밑각에 연결되며, U자형 걸고리(123301)는 중간 요크판의 꼭지각에 연결된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크로스암(1200)은 와이어 장착판(1233)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요크판(1235)을 더 포함하고, 요크판(1235)에는 송전선을 가설하도록 구성된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가 배치되며, 여기서,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의 개수는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장착판(1233)은 면적 제한으로 인해 그 안에 배치할 수 있는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어, 특정 적용환경에 따른 와이어 장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데, 요크판(1235)의 배치는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개수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다양한 적용환경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요크판(1235)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금구(미도시)를 통해 와이어 장착판(1233)에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적용환경의 수요에 따라 요크판(1235)과 와이어 장착판(1233) 사이의 상대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와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는 구조가 동일하고, 예를 들어, 모두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물론,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와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의 구조는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는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이고,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는 와이어 장착용 걸림홈이며, 요컨대 본 출원은 제1 와이어 장착부(12331) 및 제2 와이어 장착부(12351)의 특정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도 6 및 도 7을 결합하여, 본 구현예에서, 단부 금구(1230)는 사장 애자(12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판(1236)을 더 포함하며, 연결판(1236)은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제1 플랜지 튜브(123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판(1236)은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외주에 배치된 연결판(1236)을 이용하여 사장 애자(1220)를 연결하면, 제1 플랜지 튜브(1231)를 이용하여 직접 사장 애자(1220)를 연결하는 경우의 제1 플랜지 튜브(1231) 파손(예를 들어 제1 플랜지 튜브(1231)에 타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연결판(1236)의 개수는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1236)이 하나인 경우, 모든 사장 애자(122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1236)은 제1 플랜지 튜브(1231)를 둘러싸면서 연장되어 반-포위 구조 또는 전체-포위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연결판(1236)의 개수가 적어도 2개인 경우, 적어도 2개의 연결판(1236)은 각각 상이한 사장 애자(12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즉 이때 연결판(1236)의 개수는 사장 애자(12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연결판(1236)은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7 및 도 10을 결합하여, 본 구현예에서,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내벽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복수의 접착홈(12311)과, 복수의 접착홈(12311)을 연통시키는 연통홈(12312)이 배치되어 있으며, 접착홈(12311) 및 연통홈(12312) 내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제1 플랜지 튜브(1231)와 절연체(1211)를 고정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생산 과정에서, 수평형 접착 공정 또는 수직형 접착 공정을 이용하여 단부 금구(1230)와 절연체(1211)를 함께 연결하고, 즉, 생산 과정에서, 먼저 주입공을 통해 접착제를 제1 플랜지 튜브(1231)와 절연체(1211) 사이에 주입한 다음, 일정 시간의 고온 경화에 의해 단부 금구(1230)와 절연체(1211)를 고정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홈(12312)은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연통홈(12312)의 배치에 의해 제1 플랜지 튜브(1231)와 절연체(1211) 사이에 주입된 접착제가 인접한 접착홈(12311)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 주입 속도를 향상시키고, 기포가 잔류될 리스크를 감소시키며, 단부 금구(1230)와 절연체(1211)의 결합을 보다 단단하게 하여, 접착성이 더 우수한 접착제로 교체하지 않고도 합성 크로스암(1200)의 비틀림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홈(12312)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어 2개, 4개, 6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연통홈(12312)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연통홈(12312)은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 여기서, 하나의 연통홈(12312)은 인접한 2개의 접착홈(12311)만 연통시킬 수도 있고, 또는 인접한 3개, 4개 또는 전부 접착홈(12311)을 연통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연통홈(12312)의 바닥면은 평면이거나 곡면이다. 구체적으로, 단부 금구(1230)에 대한 연통홈(1230)의 반경 방향 깊이와 폭이 일정할 경우, 바닥면이 평면인 연통홈(12312)은 바닥면이 곡면인 연통홈(12312)에 비해 가공이 복잡하고 가공 비용이 높지만 비틀림 강도가 더 높고, 이는 평면 홈 내의 접착제와 제1 플랜지 튜브(1231) 내벽 사이의 접촉 면적이 더 넓기 때문이며, 즉, 바닥면이 곡면인 연통홈(12312)은 바닥면이 평면인 연통홈(12312)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고 가공 비용이 저렴하지만 비틀림 강도는 약간 낮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축 방향에서, 복수의 접착홈(12311)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접착홈(12311)의 폭은 인접한 두 접착홈(12311) 사이의 간격의 폭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접착홈(12311)의 폭을 인접한 두 접착홈(12311) 사이의 간격의 폭보다 작게 배치하면, 절연체(1211) 상의 접착 매칭 홈(미도시, 절연체(1211) 상의 접착 매칭홈은 제1 플랜지 튜브(1231) 상의 접착홈(12311)과 동일한 규격이며 대향하여 배치됨)의 폭도 인접한 두 접착 매칭홈 사이의 간격의 폭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치는 절연체(1211) 상의 접착 매칭홈의 폭이 인접한 두 접착 매칭홈 사이의 간격의 폭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지지 애자(1210)의 전단 저항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홈(12311)의 폭은 12mm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절연체(1211) 자체의 축 방향 전단 강도는 비교적 낮고, 파괴될 때 가장 먼저 손상되는 부분은 제1 플랜지 튜브(1231) 내에 상입되되 접착제로 접착되지 않은 부위이고, 즉 절연체(1211) 상에서 인접한 2개의 접착 매칭홈 사이에 위치한 부위이다.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자체 축 방향을 따른 폭이 일정할 때, 접착홈(12311)의 폭이 감소되면 인접한 2개의 접착홈(12311)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며, 즉 절연체(1211) 상의 인접한 2개의 접착 매칭홈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따라서 전단 파괴에 대한 강도가 증가하므로, 궁극적으로 동일 규격의 지지 애자(1210)의 전단 저항이 향상되고, 그러나 접착홈(12311)의 폭이 너무 작으면 가공시간 및 가공비용이 증가되므로, 접착홈(12311)의 폭은 12㎜ 이하, 예를 들어 12㎜, 10㎜ 또는 8㎜ 등으로 설정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12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시간 및 가공비용이 모두 합리적인 범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접착홈(12311)의 바닥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체(1211)의 외경에 대한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내벽과 절연체(1211)가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의 비율(즉, 접착 비율)의 범위는 0.8 내지 1.2이고, 예를 들어, 0.8, 1.0 또는 1.2이다. 구체적으로, 접착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합성 크로스암(1200)의 강도는 비교적 선명하게 감소하는데, 예를 들어, 접착 비율이 0.8에서 0.75로 감소하면, 합성 크로스암(1200)의 강도는 20% 감소하고, 접착 비율이 1.2에서 1.4로 증가하면, 합성 크로스암(1200)의 강도는 약간 증가하지만 비용이 크게 증가하므로, 접착 비율을 0.8 내지 1.2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1200)은 저비용과 고강도의 장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예에서, 접착홈(12311) 및 연통홈(12312)은 다른 크기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5, 도 7, 도 10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절연체(1211)를 향하는 덮개판(1232)의 판면에는 절연체(1211)의 단부면과 대향하는 제1 밀봉홈(12321)이 배치되고, 제1 밀봉홈(12321) 내에는 제1 밀봉부재(미도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밀봉부재는 제1 밀봉홈(12321) 내에 배치되고, 외부 수증기 또는 접착제가 절연체(121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연체(1211) 내의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수증기 또는 접착제가 덮개판(123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연체(1211)와 단부 금구(1230) 사이의 밀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2를 계속 참조하면, 제1 플랜지 튜브(1231)의 내벽에는 덮개판(1232)에 인접한 제2 밀봉홈(12313)이 더 배치되고, 제2 밀봉홈(12313)과 복수의 접착홈(12311)은 덮개판(12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제2 밀봉 홈(12313) 내에는 제2 밀봉부재(미도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밀봉부재는 제1 밀봉부재와 다른 역할로 사용되며, 제2 밀봉부재는 접착 공정 중 접착제가 제1 밀봉홈(12321)에 유입되어 일으킨 제1 밀봉부재 부식으로 인한 제1 밀봉부재의 기능 상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밀봉홈(12321) 및/또는 제2 밀봉홈(12313)의 폭은 절연체(12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거나(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점차 작아진다(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절연체(12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 밀봉홈(12321)은 가공이 용이하지만, 내부의 제1 밀봉부재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기 쉽고, 이때 제1 밀봉홈(12321)에 대한 제1 밀봉부재의 상대적인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밀봉부재는 수지 또는 실리콘을 통해 제1 밀봉홈(12321)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절연체(12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 밀봉홈(12321)에 비해, 절연체(12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폭이 점차 작아지는 제1 밀봉홈(12321)은 가공 과정이 더 복잡하지만 제1 밀봉부재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봉홈(12321) 및/또는 제2 밀봉홈(12313)의 폭은 절연체(12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감소할 수 있고(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곡선형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합성 크로스암(1200)은 탑 몸체(1100)와 사장 애자(12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사장 연결금구(1240)를 더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 탑 몸체(1100)와 제1 사장 애자(1221)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반면, 탑 몸체(1100)와 제2 사장 애자(1222)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의 길이는 고정된 것이며,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 몸체(1100)와 제1 사장 애자(1221)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를 제1 사장 연결금구(1241)로 정의하고, 탑 몸체(1100)와 제2 사장 애자(1222)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를 제2 사장 연결금구(1242)로 정의한다.
제1 사장 연결금구(1241)는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 및 제2 서브 연결금구(1241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는 제1 사장 애자(1221)와 연결되고, 제2 서브 연결금구(12411)의 일단은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서브 연결금구(12411)의 타단은 탑 몸체(1100)와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사장 애자(1221)와 탑 몸체(1100) 사이의 연결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 연결금구(12412)의 일단을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치하면, 합성 크로스암(1200)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환경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에는 호형(arc-shaped)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장착부(124111)가 배치되고, 제2 서브 연결금구(12412)는 택일적으로 하나의 제1 장착부(12411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장착부(124111)는 호형으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 탑 몸체(1100)와 제1 사장 애자(1221) 사이의 거리 및 상대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는 부채꼴의 납작형 금구이고, 제2 서브 연결금구(12412)는 걸림홈형 금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복수의 제1 장착부(124111)는 제1 사장 애자(12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서브 연결금구(12412)가 제1 사장 애자(1221)와 연결되고, 제1 서브 연결금구(12411)가 탑 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구현예에서, 탑 몸체(1100)와 제1 사장 애자(1221)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 탑 몸체(1100)와 제2 사장 애자(1222)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1240)는 길이가 모두 조정 가능한 것이거나, 길이가 모두 조정 불가인 것이고, 즉, 탑 몸체(1100)와 제1 사장 애자(1221)를 연결하는 금구는 제1 사장 연결금구(1241)일 수도 있고, 제2 사장 연결금구(1242)일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탑 몸체(1100)와 제2 사장 애자(1222)를 연결하는 금구는 제1 사장 연결금구(1241)일 수도 있고, 제2 사장 연결금구(1242)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도 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서, 지지 애자(1210)는 탑 몸체(1100)와 지지 애자(1210)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 연결금구(1250)를 더 포함하고, 지지 연결금구(1250)는 단부 플랜지 튜브(1251),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1252) 및 제1 장착판(1253)을 포함한다.
단부 플랜지 튜브(1251)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탑 몸체(1100)와 연결되는 지지 애자(1210)의 단부에 슬리빙되어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절연체(1211)의 일단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며;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1252)는 절연체(1211)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 플랜지 튜브(1251)의 단부를 덮고, 외부 수증기 등에 의한 절연체(1211)의 단부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절연체(121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장착판(1253)의 단부는 단부 플랜지 튜브(1251)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1252)의 판면에 맞닿아 있으며, 제1 장착판(1253)에는 제2 장착부(12531)가 배치되어 제1 장착판(1253)이 탑 몸체(110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지 애자(1210)와 탑 몸체(1100)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고, 일 적용환경에서, 제2 장착부(12531)는 관통공이고, 이때 볼트 등의 파스너로 관통공을 통과시킴으로써 제1 장착판(1253)을 탑 몸체(1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판(1253)은 직선형 판이며, 탑 몸체(1100)와 지지 애자(1210) 사이의 연결 견고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1 장착판(1253)의 개수는 2개이고, 2개의 제1 장착판(1253)은 서로 평행되게 배치되며, 물론 다른 적용환경에서는 제1 장착판(1253)의 개수가 1개, 3개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장착판(1253)은 모두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1252)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물론, 다른 적용환경에서, 제1 장착판(1253)은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1252)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연결금구(1250)가 다양한 적용환경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 연결금구(1250)는 제2 장착판(1254)을 더 포함하고, 제2 장착판(1254)은 제1 장착판(125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장착판(1253)과 탑 몸체(11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다양한 수요에 따라 제1 장착판(1253)이 탑 몸체(1100)에 직접 연결되도록 배치하거나, 제1 장착판(1253)이 제2 장착판(1254)을 통해 탑 몸체(1100)와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판(1254)과 탑 몸체(110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제2 장착판(1254)과 탑 몸체(1100) 사이의 연결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제2 장착판(1254)은 절곡형 판이며, 그 일단이 탑 몸체(1100)의 크로스빔에 부착되고, 타단이 제1 장착판(1253)에 부착된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15 및 도 16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장착판(1253)의 개수는 제2 장착판(1254)의 개수와 동일하며, 하나의 제2 장착판(1254)에 하나의 제1 장착판(1253)이 장착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구현예와 달리, 본 구현예의 합성 크로스암(2200)에서, 단부 금구(2230)는 제2 플랜지 튜브(22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동축(同軸)으로 배치되면서 덮개판(223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의 타단에 연결되고, 여기서,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외주면이 매끄러우므로, 외주면이 매끄러운 상기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압착 공정에 의해 지지 애자(2210)의 외주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가 연결되므로, 압착 공정을 통해 제2 플랜지 튜브(2237)가 지지 애자(2210)의 외주에 고정된 후에 제1 플랜지 튜브(2231)도 지지 애자(2210)의 외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즉 압착 공정을 이용하여 단부 금구(2230)를 지지 애자(2210)의 외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현예는 접착 공정을 사용하여 단부 금구(1230)를 지지 애자(1210)에 장착하고, 접착 공정은 압착 공정에 비해 공정 시간이 길고 성형 효율이 낮으며 대량의 성형 툴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성형 후 지지 애자(1210)의 굽힘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이 떨어지며, 즉 본 구현예에서는 압착 공정을 사용하여 단부 금구(2230)를 지지 애자(2210)에 장착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며(성형 툴의 사용 감소), 지지 애자(2210)의 굽힘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이 강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운송 과정에서 단부 금구(2230)를 분리할 수 있어 운송에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 플랜지 튜브(2231) 또는 제2 플랜지 튜브(2237)가 파손될 경우, 적시에 교체할 수 있어, 단부 금구(2230) 전체의 폐기를 방지할수 있다.
또한, 운송 과정에서 제2 플랜지 튜브(2237)만 지지 애자(2210)에 고정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 제1 플랜지 튜브(2311)를 제2 플랜지 (2237)에 연결하여, 운송 과정에서의 지지 애자(2210)의 포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단부 금구(2230)는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 및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를 더 포함한다.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는 덮개판(223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의 타단에 배치되면서 제1 플랜지 튜브(2231)의 외주에 슬리빙되어 배치되고,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는 제2 플랜지 튜브(2237)의 일단에 배치되면서 제2 플랜지 튜브(2237)의 외주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며, 여기서,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와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 사이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실현하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배치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 및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에는 각각 매칭되는 잠금 홀(22381)이 배치되어 있고, 잠금 홀(22381)을 통과하는 잠금 부재(예컨대, 볼트)를 통해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와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를 연결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 및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에는 또한 매칭되는 걸림연결 구조체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 및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는 걸림연결의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즉, 본 출원은 제1 플랜지 플레이트(2238) 및 제2 플랜지 플레이트(2239)의 탈착 가능한 연결의 실현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른 구현예에서, 단부 금구(2230)는 제1 플랜지 튜브(2231) 및 제2 플랜지 튜브(2237)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3 플랜지 튜브, 제4 플랜지 튜브 또는 더 많은 플랜지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이때 단부 금구(2230)의 플랜지 튜브의 수는 2개보다 많으며, 단부 금구(2230)의 복수의 플랜지 튜브는 동축으로 배치되면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예를 들어 제4 플랜지 튜브, 제3 플랜지 튜브, 제2 플랜지 튜브(2237) 및 제1 플랜지 튜브(2231)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거나, 제2 플랜지 튜브(2237), 제4 플랜지 튜브, 제3 플랜지 튜브 및 제1 플랜지 튜브(2231)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제2 플랜지 튜브(2237)가 매끄러운 외주면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3 플랜지 튜브, 제4 플랜지 튜브 또는 다른 플랜지 튜브도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플랜지 튜브일 수 있으며, 또는 사장 애자(2220)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 플랜지 튜브, 제4 플랜지 튜브 또는 기타 플랜지 튜브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부 금구(2230)가 제3 플랜지 튜브, 제4 플랜지 튜브 또는 더 많은 플랜지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두 플랜지 튜브는 제1 플랜지 튜브(2231)와 제2 플랜지 튜브(2237) 사이의 연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접한 두 플랜지 튜브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접한 두 플랜지 튜브는 각자의 단부에 슬리빙 배치된 플랜지 플레이트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두 플랜지 플레이트에는 각각 대응되는 잠금 홀(22381)이 배치되어 잠금 홀(22381)을 통과하는 잠금 부재를 사용하여 두 인접한 플랜지 플레이트를 연결시킨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송전탑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구조를 부분적으로 제시하는 도면이며, 상기 구현예와 달리, 본 구현예의 탑 몸체(3100)는 탑 기둥(tower pole)(3110)을 포함하고, 합성 크로스암(3200)의 지지 애자(3210)와 사장 애자(3220)의 단부는 모두 탑 기둥(3110)에 연결된다.
여기서, 탑 기둥(3110)은 강관 기둥일 수 있고, 또는 합성재료, 철, 합금 등과 같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중실(solid core)형 기둥 또는 중공(hollow)형 기둥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합성 크로스암(3200)을 탑 기둥(3110)에 장착하기 위해, 도 23을 참조하면, 송전탑(3000)은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를 더 포함한다.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사장 애자(3220)에 연결되지 않은 지지 애자(3210)의 일단과 지지 애자(3210)에 연결되지 않은 사장 애자(3220)의 일단을 탑 기둥(3110)에 연결함으로써, 합성 크로스암(3200)을 탑 몸체(3100), 구체적으로는 탑 기둥(3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 및 탑 몸체 플랜지 플레이트(3330)를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 사장 애자(3220)의 개수는 3개이고, 그중 축선이 지지 애자(3210)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2개의 사장 애자(3220)를 제1 사장 애자(3221)로 정의하고, 나머지 사장 애자(3220)를 제2 사장 애자(3222)로 정의하며, 여기서, 제2 사장 애자(3222)에서 2개의 제1 사장 애자(3221)까지 각각 떨어진 거리는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 기둥(3110)과 제1 사장 애자(3221)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3240)를 제1 사장 연결금구(3241)로 정의하고, 탑 기둥(3110)과 제2 사장 애자(3222)를 연결하는 사장 연결금구(3240)를 제2 사장 연결금구(3242)로 정의한다.
연결 봉(3310)의 개수는 2개이고, 2개의 연결 봉(3310)은 각각 2개의 제1 사장 애자(3221)를 탑 기둥(3110)에 연결하며, 즉 제1 사장 애자(3221)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사장 연결금구(3241)는 연결 봉(3310)에 연결되고,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의 일단은 탑 기둥(3110)과 연결되고, 탑 몸체 플랜지 플레이트(3330)는 탑 기둥(31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의 일단을 덮는 동시에 지지 애자(3210)에 연결된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 봉(3310) 각각은 탑 기둥(3110)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2개의 연결 봉(3310)은 탑 기둥(3110)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있다.
물론, 다른 적용환경에서, 2개의 연결 봉(3310)은 탑 기둥(3110)에 수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탑 기둥(3110)에 대한 2개의 연결 봉(3310)의 높이가 다를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설정은 합성 크로스암(3200)의 구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적용환경에서, 2개의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는 모두 용접에 의해 탑 기둥(3110)에 고정되고, 물론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현예와 달리,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의 탑 몸체 플랜지 플레이트(3330)와 지지 연결금구(3250)의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3252)는 맞대어짐으로써 지지 애자(3210)의 장착이 실현된다.
계속하여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보강 링(3340) 및 보강 리브(reinforcing rib)(3350)를 더 포함한다.
보강 링(3340)은 탑 기둥(3110)의 외주에 슬리빙되어 배치되고, 보강 리브(3350)의 양단은 각각 보강 링(3340) 및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에 연결되며, 보강 리브(3350)의 측벽은 탑 기둥(3110)과 밀착됨으로써,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와 탑 기둥(31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간접적으로 증가시켜,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와 탑 기둥(3110)의 연결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링(3340)의 개수는 1개일 수 있고, 2개일 수도 있으며, 보강 링(3340)의 개수가 2개인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강 링(3340)은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의 대향하는 양측에 배치되고,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는 2개의 보강 리브(3350)를 통해 각각 2개의 보강 링(3340)에 동시에 연결된다.
도 22 및 도 23을 계속 참조하면,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보강판(3360)을 더 포함하고, 보강판(3360)의 양단은 각각 연결 봉(3310) 및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에 연결되고, 보강판(3360)의 일 측벽은 탑 기둥(3110)에 밀착됨으로써, 탑 기둥(3110)에 대한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의 접촉 면적을 간접적으로 증가시켜,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가 탑 기둥(3110)에 연결되는 강도를 보장한다.
또한, 연결 봉(3310)과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의 연결 강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연결 봉(3310)도 보강 리브(3350)를 통해 보강 링(334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보강 링(3340)과 연결 봉(3310)을 연결하는 보강 리브(3350)는 보강 링(3340)과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3350)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판(3360), 보강 링(3340)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으며, 전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도 21 및 도 24 참조).
한편, 보강 링(3340), 보강 리브(3350) 및 보강판(3360)은 모두 용접 등의 방식으로 2개의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에 고정 연결되어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를 형성할 수 있고, 물론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22를 참조하면, 크로스암 연결금구(3300)는 연결 러그(3370)를 더 포함하고, 연결 러그(3370)는 탑 기둥(3110)에 고정되며, 연결 러그(3370)는 연결 봉(3310), 탑 몸체 플랜지 튜브(3320)가 탑 기둥(3110)에 고정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2 사장 애자(3222)의 단부에 연결된 사장 연결금구(3240)(제2 사장 연결금구(3242))는 연결 러그(3370)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제2 사장 연결금구(3242)는 U형 고리를 통해 연결 러그(3370)와 연결되고, 연결 러그(3370)는 박판으로 구성되며, 연결 러그(3370)에는 연결공이 배치되고, U형 고리는 파스너에 의해 제2 사장 연결금구(3242)와 잠김(locking) 연결된 후 관통식 파스너에 의해 연결 러그(3370) 상의 연결공과도 잠김 연결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사장 연결금구(3242)는 연결 봉(3310)을 통해 탑 기둥(3110)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22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몸체(3100)에 연결되지 않은 지지 애자(3210)와 사장 애자(3220)의 타단은 단부 금구(3230)에 의해 연결되고, 단부 금구(3230)는 플랜지 튜브(3231), 덮개판(3232) 및 연결판을 포함하며, 플랜지 튜브(3231)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 애자(3210)의 단부에 슬리빙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지지 애자(3210)의 절연체(미도시)의 단부에 슬리빙되도록 구성되며; 덮개판(3232)은 다각형 판재로서, 덮개판(3232)은 플랜지 튜브(3231) 내부의 지지 애자(3210)가 외부 수증기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플랜지 튜브(3231)의 일단을 덮고 있으므로, 지지 애자(3210)의 수명을 보장하고; 연결판은 플랜지 튜브(3231)의 외주에 배치되어 플랜지 튜브(3231)와 연결되며, 사장 애자(32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단부 금구(3230)가 수증기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 금구(3230)의 표면은 용융아연도금 처리되는 동시에, 단부 금구(3230)의 내부 재료는 주조 알루미늄, 주철 또는 합금강 등과 같은 재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 금구(3230)의 각 부분들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5를 계속 참조하면, 덮개판(3232)에는 송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와이어 장착부(32321)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장착부(32321)는 송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클램프를 장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송전선의 가설을 실현한다. 여기서, 와이어 장착부(32321)의 개수는 1개, 2개, 4개 또는 더 많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와이어 장착부(32321)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와이어 장착부(32321)는 동일 송전선을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클램프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와이어 클램프가 손상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송전선을 안전하게 현가할 수 있도록 확보할 수 있다.
일 적용환경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장착부(32321)는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32321)이고, 플랜지 튜브(3231)로부터 떨어져 있는 덮개판(3232)의 양측에 2개의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32321)이 배치되고, 2개의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32321) 각각에는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해 와이어 클램프가 장착된다.
다른 적용환경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금구(4230)는 단부 금구(323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덮개판(4232) 상의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42321)의 개수가 1개로 설정되고,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42321)이 덮개판(4232)의 중하부에 위치하고, 와이어 장착용 관통공(42321)에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해 와이어 클램프가 장착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여기서, 계속하여 도 25를 참조하면, 단부 금구(3230)에는 균압환(3233)이 더 배치되는데, 균압환(3233)은 대향하여 배치된 두 세트의 환형 부재(32331)와 연결 부재(32332)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32332)는 환형 부재(32331)와 단부 금구(3230)를 고정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환형 부재(32331)는 호형의 금속관 부재이고, 연결 부재(32332)는 복수의 금속판 부재이며, 연결 부재(32332)의 일단은 용접 또는 체결 등에 의해 환형 부재(32331)의 내측과 연결되고, 연결 부재(32332)의 타단은 용접 또는 체결 등에 의해 단부 금구(3230)와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덮개판(3232)과 고정 연결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부재(32331)는 단부 금구(3230)의 외주에서 균압환(3233)을 형성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단부 금구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부 금구(5000)는 전술한 구현예에 따른 단부 금구(123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구현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합성 크로스암을 더 제공하고, 상기 합성 크로스암(6000)은 전술한 구현예에 따른 합성 크로스암(1200)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구현예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내용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동등한 구조 또는 동등한 프로세스의 변환이거나, 다른 관련 기술분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합성 크로스암으로서,
    1개의 지지 애자와 3개의 사장 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애자 및 상기 사장 애자는 일단이 모두 송전탑의 탑 몸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함께 연결되어 송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상기 합성 크로스암의 단부를 형성하고,
    3개의 상기 사장 애자는 상기 지지 애자를 둘러싸면서 이격되어 배열되고, 그중 2개의 상기 사장 애자의 축선은 상기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며,
    축선이 상기 지지 애자의 축선과 동일한 평면에 있는 2개의 상기 사장 애자를 제1 사장 애자로 정의하고, 나머지 상기 사장 애자를 제2 사장 애자로 정의하며, 2개의 상기 제1 사장 애자 사이의 각도는 45° 내지 90°이고, 상기 제2 사장 애자와 상기 지지 애자 사이의 각도는 25°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몸체와 상기 제1 사장 애자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사장 연결금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장 연결금구는 상기 제1 사장 애자와 상기 탑 몸체의 연결을 실현하도록, 상기 제1 사장 애자에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금구; 및 일단이 상기 제1 서브 연결금구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 몸체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연결금구에는 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연결금구는 택일적으로 하나의 상기 제1 장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몸체와 상기 제2 사장 애자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된 길이를 갖는 제2 사장 연결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애자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외주를 피복하는 갓; 및
    상기 지지 애자를 상기 탑 몸체에 장착하도록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지지 연결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연결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의 일단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단부 플랜지 튜브;
    상기 절연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단부 플랜지 튜브의 단부를 덮는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 및
    제1 장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착판의 단부는 상기 단부 플랜지 튜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의 판면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제1 장착판은 상기 탑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 애자의 장착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판의 개수는 2개이고, 2개의 상기 제1 장착판은 모두 상기 단부 플랜지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중실형 절연체이거나, 또는 0.1~0.15 Mpa의 절대압력 값을 갖는 절연 가스가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중공형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갓은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동일한 갓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갓몸체는 상기 절연체의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애자와 상기 사장 애자의 상기 타단은 단부 금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부 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애자의 단부에 슬리빙되어 배치되는 제1 플랜지 튜브;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일단을 덮는 덮개판; 및
    상기 제1 플랜지 튜브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덮개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판과 연결되며, 상기 송전선을 가설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장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금구는,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연결되며, 상기 사장 애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금구는 축 방향을 따라 중공 구조로 형성된 제2 플랜지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동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튜브와 상기 제2 플랜지 튜브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크로스암.
  13. 탑 몸체, 및 상기 탑 몸체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합성 크로스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KR1020237028757A 2021-02-24 2021-10-12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KR20230131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206367.9A CN112878787A (zh) 2021-02-24 2021-02-24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202110206367.9 2021-02-24
PCT/CN2021/123301 WO2022179114A1 (zh) 2021-02-24 2021-10-12 复合横担以及输电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282A true KR20230131282A (ko) 2023-09-12

Family

ID=83148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757A KR20230131282A (ko) 2021-02-24 2021-10-12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2104395B2 (ko)
EP (1) EP4071324A4 (ko)
JP (1) JP7573757B2 (ko)
KR (1) KR20230131282A (ko)
AU (1) AU2021429765B2 (ko)
BR (1) BR112022000375A2 (ko)
CA (1) CA3145346A1 (ko)
CO (1) CO2022012757A2 (ko)
IL (1) IL304671A (ko)
MX (1) MX2023005432A (ko)
PE (1) PE20231282A1 (ko)
ZA (1) ZA202307395B (ko)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4400A (en) * 1963-10-28 1966-08-02 Ohio Brass Co Suppressors for transmission line conductors
US4314434A (en) * 1977-07-07 1982-02-09 Meisberger Raymond F Utility line support structure
JPH0537611U (ja) 1991-10-25 1993-05-21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調節装置
JPH07308016A (ja) 1994-05-13 1995-11-21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電気絶縁支持材
GB0914678D0 (en) 2009-08-21 2009-09-30 Univ Manchester Support towers, insulating cross-arms and insulating members for high voltage power networks
WO2011029311A1 (zh) * 2009-09-08 2011-03-17 国网电力科学研究院 一种复合材料杆塔外侧竖直接地引下方法及其杆塔
CN202899719U (zh) 2012-10-25 2013-04-24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电网输电线用复合杆塔及其复合横担结构
CN103452370B (zh) 2012-10-25 2015-12-16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电网输电线用复合杆塔及其复合横担结构
CN103291114B (zh) 2013-05-09 2015-11-11 国家电网公司 一种混杂纤维复合材料横担
CN104196303B (zh) * 2014-09-01 2019-01-08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输电塔
CN205046909U (zh) 2015-09-09 2016-02-24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横担及包含该复合横担的输电塔
CN205617888U (zh) 2016-05-05 2016-10-05 国家电网公司 一种输电线杆塔及其导线横担结构
CA3032316C (en) * 2016-07-26 2021-03-16 Jiangsu Shemar Electric Co., Ltd. Cross arm and angle tower and tension tower comprising the same
CN106049968A (zh) 2016-07-26 2016-10-26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横担及输电塔
CN106448952B (zh) 2016-10-12 2017-08-11 国核电力规划设计研究院 Y型耐张绝缘子串及耐张塔
CN106894670A (zh) 2016-12-29 2017-06-27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复合横担及复合杆塔
CN106930594A (zh) 2017-03-21 2017-07-07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绝缘横担及电力塔
CN107762247A (zh) 2017-09-27 2018-03-0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建设分公司 一种适合于高海拔地区输电塔复合材料导线横担的纵向钢支架
JP7308016B2 (ja) 2018-03-14 2023-07-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ごみ質推定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ごみ貯蔵設備
CN209293540U (zh) 2018-11-07 2019-08-23 中国能源建设集团浙江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110kV同塔双回路格构式复合横担输电塔
CO2019003947A1 (es) 2019-04-17 2019-05-21 Blanco Luis Armando Lozano Estructura de torre modular para línea de vida
CN211229726U (zh) 2019-05-22 2020-08-1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大理供电局 一种连接组件、复合横担以及门型杆塔
CN212535268U (zh) 2020-06-02 2021-02-12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输电线路直线塔
US11551835B2 (en) * 2020-08-07 2023-01-10 Lindsey Manufacturing Company Transmission line assembly and compact insulator and hardware assembly for a transmission line assembly
CN212478729U (zh) 2020-08-28 2021-02-05 温州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两相复合横担直线塔
CN112282480A (zh) 2020-11-27 2021-01-29 上海神马电力工程有限公司 输电塔
CN112878787A (zh) 2021-02-24 2021-06-01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112878788A (zh) 2021-02-24 2021-06-01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复合横担以及输电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1324A1 (en) 2022-10-12
US12104395B2 (en) 2024-10-01
BR112022000375A2 (pt) 2022-09-27
US20230358068A1 (en) 2023-11-09
JP2024507100A (ja) 2024-02-16
JP7573757B2 (ja) 2024-10-25
CA3145346A1 (en) 2022-08-24
IL304671A (en) 2023-09-01
AU2021429765B2 (en) 2024-08-01
EP4071324A4 (en) 2023-08-02
AU2021429765A1 (en) 2023-03-09
MX2023005432A (es) 2023-05-23
PE20231282A1 (es) 2023-08-22
ZA202307395B (en) 2024-06-26
CO2022012757A2 (es)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79103A1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US11283254B2 (en) Cross arm and angle tower and tension tower comprising the same
WO2022179114A1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112878786A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KR20230131282A (ko)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CN214410885U (zh) 端部金具以及复合横担
CN214410881U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
CN214410880U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
CN214410882U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
CN215369032U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KR20230130126A (ko) 합성 크로스암 및 송전탑
WO2022048454A1 (zh) 一种绝缘横担及其制备方法以及输电杆
CN112878785A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215369031U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112885544A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
US3899630A (en) High voltage insulator assembly fitted with pivotal mounting means for said insulator
CN214410884U (zh) 端部金具以及复合横担
CN215369034U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215369033U (zh) 复合横担以及输电塔
CN221442257U (zh) 一种复合横担
CN218522387U (zh) 一种复合横担及输电杆
CN112885543A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
CN218541749U (zh) 一种复合横担及输电杆
CN219176003U (zh) 一种复合横担及输电杆
CN112885545A (zh) 支柱绝缘子以及复合横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