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29640A - 스크류 타입 벤트 - Google Patents

스크류 타입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640A
KR20230129640A KR1020220026478A KR20220026478A KR20230129640A KR 20230129640 A KR20230129640 A KR 20230129640A KR 1020220026478 A KR1020220026478 A KR 1020220026478A KR 20220026478 A KR20220026478 A KR 20220026478A KR 20230129640 A KR20230129640 A KR 2023012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rane
type vent
seating protrusion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22002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640A/ko
Priority to PCT/KR2023/002315 priority patent/WO2023167451A1/ko
Publication of KR2023012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4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ith means preventing penetration of rain water or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 타입 벤트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디(100)와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배치되는 멤브레인(200)과 상기 멤브레인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200)은 상기 바디(100) 및 상기 고정부재(300)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된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을 바디 및 고정부재와 열융착으로 방식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므로, 얇은 멤브레인을 바디에 정위치에 안착시키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이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캡 타입 벤트{Vent of cap type}
본 발명은 캡 타입 벤트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전자기기 함체에 설치되어 수분과 오염 입자의 침투를 방지하고 통기성을 높이는 캡 타입 벤트에 관한 것이다.
LED 조명을 비롯하여 전자, 통신, 자동차, 보안 장비 등 전자기기는 장수명화를 위해 외부 케이스인 함체에 내장되며, 함체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통풍구멍이 형성된다.
그런데, 통풍구멍은 함체 내의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원활한 통풍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은 있으나, 통풍구멍을 통해 수분과 오염 입자가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전조등이나 LED 가로등은 수분과 오염 입자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LED 광원을 투명창이 밀폐하는 구조가 되는데, 이 경우 LED 광원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내 외부 온도차가 커지게 되므로 투명창에 습기가 차거나 결로현상이 발생하여 조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함체 또는 LED 광원을 밀폐하는 투명창에 통풍구멍을 형성하고, 통풍구멍에 벤트(Vent)를 설치하여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통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벤트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고 이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벤트 바디에 끼움방식 또는 압입방식으로 고정되므로 필터가 얇은 경우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725165호(2017.04.0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전자기기 함체 또는 LED 광원을 밀폐하는 투명창에 설치되어 수분과 오염 입자의 침투를 방지하고 통기성을 높이는 캡 타입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로 멤브레인을 적용하여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고 통기성은 극대화하며, 멤브레인의 고정이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캡 타입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 타입 벤트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돌기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멤브레인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멤브레인은 안착돌기 및 고정부재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안착돌기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안착돌기는 내경이 바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관통공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멤브레인은 평판 형상이고, 안착돌기의 외경에 대응한다.
고정부재는 멤브레인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안착돌기의 측면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디는 상면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지지리브와 안착돌기의 사이는 요입된 요입홈을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바디는 하측의 몸체부와 몸체부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상측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오링이 결합된다.
몸체부는 스크류 형상 또는 스냅핏 형상일 수 있다.
바디는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지지리브는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해 바디에 결합하는 캡부재의 저면 결합홈에 삽입된다.
캡부재의 저면 결합홈에 삽입된 바디의 지지리브는 캡부재의 저면과 고주파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된다.
지지리브의 상면에는 고주파 타켓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켓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에 캡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재의 저면과 멤브레인 및 바디의 상면은 지지리브에 의해 이격된다.
지지리브와 지지리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바디의 상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지리브와 지지리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바디의 상면은 내측에 비해 외측의 폭이 넓다.
캡부재는 다각형 형상이고, 지지리브는 캡부재의 다각형 형상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멤브레인은 ePTE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을 바디의 안착돌기에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고정부재를 안착시킨 다음,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고주파를 조사하여 멤브레인을 안착돌기 및 고정부재와 고주파 열융착으로 고정하므로, 두께가 얇은 멤브레인을 바디에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돌기를 통해 멤브레인을 바디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재가 멤브레인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안착되어 멤브레인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열융착시 접합 대상을 정렬하기 용이하여 고주파 열융착 작업이 보다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재와 바디의 고주파 열융착 과정에서 타겟돌기를 적용하여 고주파 열융착이 정확한 위치에서 수행되게 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함체에 설치할 경우, 수분과 오염 입자의 침투를 막고 통기성은 극대화해 함체 내부에 유해 기체가 축적되거나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열이 함체 내부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함체가 변형되거나 함체 내부의 전자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바디의 안착돌기에 멤브레인과 고정부재가 배치되고 열융착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의 관통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멤브레인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의 상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의 측면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두께가 얇은 함체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에 고정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 멤브레인(200), 고정부재(300), 캡부재(400) 및 오링(500)을 포함한다.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의 상면에 멤브레인(200)과 고정부재(300)가 배치되고 그 상부에 캡부재(400)가 배치되고 고정된 형태로 된다. 바디(100)의 상면과 캡부재(400)의 저면은 후술할 지지리브(150)에 의해 이격된다. 바디(100)의 상면과 캡부재(400)의 이격된 부분은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및 출구를 형성한다.
바디(100)는 하측의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상측의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형상으로 되어 함체 등에 형성한 통기구멍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몸체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플랜지부(120)는 몸체부(110)가 함체 등에 형성한 통기구멍에 나사 결합되면 함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몸체부(110)가 통기구멍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1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몸체부(110)와 플랜지부(120)를 관통하여 관통공(130)이 형성되며, 관통공(130)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제1 통로가 된다. 플랜지부(120)의 상면과 캡부재(400)의 이격된 부분은 제2 통로가 된다.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경계는 멤브레인(200)이 형성한다.
바디(100)의 상면에 멤브레인(200)이 안착되는 안착돌기(140)가 형성된다. 안착돌기(140)는 멤브레인(2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돌기(14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관통공(130)의 중심과 일치하며, 내경이 바디(1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관통공(130)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안착돌기(140)는 관통공(130)이 노출되는 바디(100)의 상면과 멤브레인(200)의 사이를 이격시켜 상대적으로 넓은 멤브레인 면적으로 공기가 통과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멤브레인(200)은 관통공(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통로와 제2 통로의 경계를 형성한다. 멤브레인(200)은 평판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멤브레인(200)은 안착돌기(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가 안착돌기(140)에 안착되어 관통공(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멤브레인(200)은 제1 통로에서 제2 통로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제1 통로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멤브레인(200)은 ePTE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ePTEE 소재는 초박형으로 두께가 0.25mm에 불과해 캡 타입 벤트(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소형 전자 함체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멤브레인(200)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고체 입자 및 물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동시에 공기는 쉽게 통과시킨다.
실시예에서 멤브레인(200)은 1장이 안착돌기(140)에 안착된다. 그러나 설계조건에 따라 1장 이상의 멤브레인을 안착돌기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고정부재(300)는 멤브레인(200)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고정부재(300)는 멤브레인(200)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멤브레인(200)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한다. 즉, 고정부재(300)는 멤브레인(200)의 가장자리를 잡아주어 멤브레인(200)이 안착된 위치를 고정한다.
멤브레인(200)은 바디(100)의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재(300)와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200)은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재(300)와 고주파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고정된다. 멤브레인(200)을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재(300)와 물리적 결합하지 않고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면 멤브레인(200)의 변형이나 찢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밀봉성도 높아진다.
만약, 멤브레인(200)을 안착돌기(140)에 안착시키고 고정부재(300)를 안착돌기(140)에 끼움 결합하거나 압입식으로 결합하여 멤브레인(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고정부재(300)를 안착돌기(140)에 끼움 결합하는 과정이나 멤브레인(200)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멤브레인(200)이 찢어지거나 위치 정렬이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멤브레인(200)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찢어지면 멤브레인(200)이 수분이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200)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멤브레인(200)의 위치 정렬만 한 상태에서, 고주파를 이용한 열융착으로 멤브레인(200)을 안착돌기(14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고주파는 열융착 위치, 넓이 및 깊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200)과 안착돌기(140) 및 멤브레인(200)과 고정부재(300)의 사이에 틈이 없이 연속된 열융착 부분을 형성하여 결합부분의 밀봉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착돌기(140)는 고주파 타켓을 정확한 위치에 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접합이 가능하게 한다.
멤브레인(200)이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재(300)와 열융착으로 고정되므로 멤브레인(200)이 안착돌기(140)에 안착되는 위치 정렬이 중요하며, 멤브레인(200)의 위치 정렬을 고정부재(300)가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00)는 멤브레인(200)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안착돌기(140)의 측면과 접촉하는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즉, 고정부재(30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돌기(140)에 안착된 멤브레인(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고주파 열융착 과정에서 멤브레인(200)과 고정부재(300)가 위치 정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고정부재(300)는 멤브레인(200)과 안착돌기(140) 및 멤브레인(200)과 고정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열융착 접합되게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열융착 과정에서 멤브레인 손상이나 결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에서 멤브레인(200)과 열융착 되는 부분은 고정부(310)가 된다. 고정부(3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이는 캡 타입 벤트(10)를 함체(1) 등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멤브레인(200)이 고정부(310)의 내측으로 위치되게 하여 수분이 멤브레인(200)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디(100)는 안착돌기(140)를 포함하여 플라스틱 사출물(예,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300)도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과 멤브레인 재질은 열융착으로 안정적인 접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바디의 안착돌기에 멤브레인과 고정부재가 배치되고 열융착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부재(300)가 멤브레인(200)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면,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는 멤브레인(200)의 상면에 배치되고 지지부(320)는 안착돌기(140)의 측면으로 배치되어 후술할 지지리브(150)에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구조가 된다.
고주파 열융착은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의 원주를 따라 고주파를 조사하여 진행되며, 깊이를 제어한 1차 또는 2차 고주파 열융착을 통해 멤브레인(200)과 안착돌기(140) 및 멤브레인(200)과 고정부재(300)의 열융착이 수행될 수 있다.
바디(100)의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150)가 상부로 돌출된다. 지지리브(150)는 바디(100)와 캡부재(400)의 결합 및 바디(100)와 캡부재(400)의 이격을 위해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지지리브(150)는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캡부재(400)는 멤브레인(200)을 보호하기 위해 바디(100)에 결합한다. 캡부재(400)는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와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캡부재(400)는 지지리브(150)와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바디(100)의 지지리브(150)에 대응하는 결합홈(410)을 구비한다. 또한 캡부재(400)는 저면 테두리 부분이 하부로 더 돌출된 구조로 된다.
바디(100)의 지지리브(150)에 캡부재(400)의 저면이 안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바디(100)의 지지리브(150)와 캡부재(400)의 저면이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150)가 돌출되고, 지지리브(150)는 멤브레인(200)을 보호하기 위해 바디(100)에 결합하는 캡부재(400)의 저면 결합홈(410)에 삽입된다. 캡부재(400)의 저면 결합홈에 삽입된 바디(100)의 지지리브(150)가 캡부재(400)의 저면과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캡부재(400)의 저면 결합홈(410)에 삽입된 바디(100)의 지지리브(150)가 캡부재(400)의 저면과 고주파 열융착으로 고정된다.
지지리브(150)의 상면에는 고주파 타켓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켓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주파 열융착시 돌기가 있는 경우 고주파 타켓이 용이하고 원하는 위치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열융착을 수행하기 용이하다.
바디(100)의 지지리브(150)에 캡부재(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캡부재(400)의 저면은 멤브레인(200) 및 바디(100)의 상면과 이격된다. 바디(100)와 캡부재(400)의 이격된 부분은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및 출구를 형성한다. 즉, 캡 타입 벤트(10)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 공기가 측면을 통해 배출하는 구조이다.
캡부재(400)는 다각형 형상이고, 지지리브(150)는 캡부재(400)의 다각형 형상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410)은 캡부재(400)의 다각형 형상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는 캡부재(400)를 바디(100)에 결합할 때 꼭지점 위치만 맞춰 결합하면 지지리브(150)가 결합홈(410)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시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리브(150)와 지지리브(150)의 사이에 해당하는 바디(100)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경사면(160)을 형성한다. 경사면(160)은 내측에 비해 외측의 폭이 넓다. 즉, 캡 타입 벤트(10)에서 출구는 내부에 외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된다. 이는 캡 타입 벤트(10)가 설치된 함체의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고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의 안착돌기(140)에 멤브레인(200)을 안착시키고, 멤브레인(200)의 가장자리에 고정부재(300)를 안착시킨 다음,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의 원주를 따라 고주파를 조사하여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와 멤브레인(200) 및 멤브레인(200)과 안착돌기(140)가 열융착으로 고정되게 한다. 안착돌기(140)는 고주파 타켓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고주파 열융착시 돌기가 있는 경우 고주파 타켓이 용이하고 원하는 위치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열융착을 수행하기 용이하다. 다음으로, 바디(100)의 지지리브(150)에 캡부재(400)를 안착시켜 지지리브(150)가 캡부재(400)의 저면 결합홈(410)에 삽입되게 한다. 다음으로, 캡부재(400)의 상면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지지리브(150)와 결합홈(410)에 해당하는 캡부재(400)의 저면이 열융착으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캡 타입 벤트(10)가 제조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의 몸체부(110)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형상이고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와 캡부재(400)가 스크류의 머리부를 형성하는 볼트로 형성된다. 상기의 캡 타입 벤트(10)는 몸체부(110)와 플랜지부(120)를 관통하여 관통공(130)이 형성되고, 플랜지부(120)와 캡부재(400)가 지지리브(150)로 이격되어 있으며 지지리브(150)와 지지리브(150)의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 관통공(130)을 관통한 공기가 지지리브(150)와 지지리브(150)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150)와 지지리브(150)의 사이는 외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 형상이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되므로 캡 타입 벤트(10)가 설치된 함체의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캡 타입 벤트(10)는 멤브레인(200)이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와 고주파 열융착으로 고정되므로, 멤브레인(200)이 관통공(130)이 형성하는 제1 통로(a)와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와 캡부재(400)가 형성하는 제2 통로(b)의 경계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200)과 안착돌기(140) 및 고정부(310)를 열융착한 열융착부(p)는 고정부(310)의 원주를 따라 라인형상으로 형성하므로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기밀성이 유지되어 수분이나 이물질이 제1 통로(a)로 유입될 수 없다. 더욱이,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멤브레인(200)의 측면과 안착돌기(140)의 측면을 감싸고 지지리브(150)와 안착돌기(140)의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되므로 멤브레인(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기밀성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실시예에서, 지지리브(150)와 안착돌기(140)의 사이는 요입된 요입홈(170)을 형성하여 고정부재(300)의 지지부(320)가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와 캡부재(400)가 이격되어 측방향으로 출구를 형성하며, 출구는 내측 간격(m)에 비해서 외측 간격(n)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화살표와 같이 내부의 공기가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을 통해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디(100)의 플랜지부(120)와 캡부재(40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통로(b)의 간격은 출구 내측 간격(m)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통로(a)가 되는 관통공(130)은 몸체부(110)에서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플랜지부(120)에서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의 관통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멤브레인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바디(100)의 저면에서 본 관통공(130)의 크기에 비해 바디(100)의 상면에서 본 멤브레인(20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가 멤브레인(200)을 통해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150)와 지지리브(150)의 사이 간격이 내측에 비해 외측이 상대적으로 넓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커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기 때문에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을 통해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캡 타입 벤트(10)는 바디(100)가 안착돌기(140)와 지지리브(150)를 갖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부재(400)는 저면에 결합홈(41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200)은 필터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재질 일 예로, ePTE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멤브레인(200)은 안착돌기(14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300)는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의 단부에서 하부로 직교하게 연장된 지지부(320)를 갖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지지부(320)의 내경이 멤브레인(200)의 외경에 대응되어 지지부(320)의 내경이 멤브레인(200)의 외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다. 오링(500)은 탄성이 있는 재질, 일 예로 실리콘 재질과 고무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되어 바디(100)의 몸체부(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착돌기(140)를 통해 멤브레인(200)을 바디(100)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고정부재(300)가 멤브레인(200)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안착되어 멤브레인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접합 대상을 정렬하기 용이하여 고주파 열융착 작업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고주파 열융착 과정에서 타겟돌기를 적용하여 고주파 열융착이 정확한 위치에서 수행되게 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디(100)의 플랜지부(120)가 출구 폭을 넓힌 형상으로 되므로 내부의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의 상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의 측면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캡 타입 벤트(10)는 함체(1)에 형성한 통기구멍(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체(1)의 통기구멍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통기구멍(3)에는 캡 타입 벤트(10)의 오링(500)이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캡 타입 벤트(10)가 함체(1)에 형성한 통기구멍(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오링(500)은 통기구멍(3)의 경사부에 밀착되어 통기구멍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고, 바디(100)의 플랜지부(120)는 함체(1)의 통기구멍(3)의 외주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함체(1) 내부의 공기는 캡 타입 벤트(10)의 관통공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다음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는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다음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관통공으로 유입되고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가 캡 타입 벤트(10)를 통해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될 때, 수분이나 이물질은 멤브레인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함체(1)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고 공기순환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타입 벤트(10)가 함체(1)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캡 타입 벤트(10)의 관통공을 통해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고, 캡 타입 벤트(10)의 측방향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멤브레인과 관통공을 통과하여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캡 타입 벤트(10)의 출구가 상하부를 향하더라도 멤브레인이 고정부재(300)에 의해 내측으로 위치된 구조가 되어 수분이 멤브레인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두께가 얇은 함체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10)는 몸체부(110)가 함체(1')의 통기구멍(3')에 삽입된 후 통기구멍(3')을 관통한 몸체부(110)의 나사산에 너트부재(20)를 체결하여 함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오링(500)은 함체(1')의 통기구멍(3')의 외주면과 플랜지부(120)의 저면 사이에서 압축되어 통기구멍(3')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를 함체에 고정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캡 타입 벤트(10')는 몸체부(110')가 스냅핏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10')가 스냅핏 형상인 경우, 캡 타입 벤트(10')를 함체(1')의 통기구멍(3')에 끼움 결합하여 쉽게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전자기기 함체(1)의 통기구멍에 설치되어 함체(1)의 내부의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으며,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을 통해 함체(1)의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함체(1)의 내부의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은 함체(1)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얇은 멤브레인을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높이 16mm, 몸체부의 높이 10mm, 캡부재 및 플랜지부의 외경 17mm, 몸체부의 외경 10mm 정도로 초소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 공간이 협소한 소형 함체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함체의 내외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함체에 추가 부품을 추가로 설치하여 전자기기의 성능을 배가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캡 타입 벤트 100: 바디
110: 몸체부 120: 플랜지부
130: 관통공 140: 안착돌기
150: 지지리브 151: 타켓돌기
160: 경사면 170: 요입홈
200: 멤브레인 300: 고정부재
310: 고정부 320: 지지부
400: 캡부재 410: 결합홈
500: 오링

Claims (18)

  1.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돌기; 및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돌기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을 포함하는 캡 타입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 타입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안착돌기 및 상기 고정부재와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된 캡 타입 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는 링 형상인 캡 타입 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돌기는 내경이 상기 바디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관통공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캡 타입 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평판 형상이고,
    상기 안착돌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캡 타입 벤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돌기의 측면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캡 타입 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면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안착돌기의 사이는 요입된 요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부가 삽입되는 캡 타입 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측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상측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오링이 결합되는 캡 타입 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스크류 형상 또는 스냅핏 형상인 캡 타입 벤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바디에 결합하는 캡부재의 저면 결합홈에 삽입되는 캡 타입 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저면 결합홈에 삽입된 상기 바디의 지지리브는 상기 캡부재의 저면과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된 캡 타입 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상면에는 고주파 타켓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켓돌기가 형성된 캡 타입 벤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상기 캡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의 저면과 상기 멤브레인 및 상기 바디의 상면은 상기 지지리브에 의해 이격되는 캡 타입 벤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의 상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캡 타입 벤트.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의 상면은 내측에 비해 외측의 폭이 넓은 캡 타입 벤트.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캡부재의 다각형 형상 꼭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캡 타입 벤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ePTEE 소재로 제조된 캡 타입 벤트.
KR1020220026478A 2022-03-02 2022-03-02 스크류 타입 벤트 KR2023012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478A KR20230129640A (ko) 2022-03-02 2022-03-02 스크류 타입 벤트
PCT/KR2023/002315 WO2023167451A1 (ko) 2022-03-02 2023-02-17 스크류 타입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478A KR20230129640A (ko) 2022-03-02 2022-03-02 스크류 타입 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640A true KR20230129640A (ko) 2023-09-11

Family

ID=878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478A KR20230129640A (ko) 2022-03-02 2022-03-02 스크류 타입 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9640A (ko)
WO (1) WO2023167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1967B (zh) * 2023-11-13 2024-03-15 江苏晶典智能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防结露功能的照明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65B1 (ko) 2017-01-19 2017-04-11 (주)휴리트 환기볼트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87904U (zh) * 2009-07-28 2010-05-26 通用电气公司 呼吸器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KR101208121B1 (ko) * 2011-10-27 2012-12-05 조일조명공업 주식회사 방진방수 기능 및 통풍기능이 있는 통풍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KR102006573B1 (ko) * 2018-05-24 2019-08-0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결로방지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미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65B1 (ko) 2017-01-19 2017-04-11 (주)휴리트 환기볼트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51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CN103171405B (zh) 电加热装置
KR101440668B1 (ko) 통기 부재
KR20230129640A (ko) 스크류 타입 벤트
US10024510B2 (en) Flexi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process and assembly
JP2016534934A (ja) 注入された密閉剤を備えるキャップ部材
JP4015657B2 (ja) 互いに相対して位置するシール面間に配置されるシール装置
CN102792531A (zh) 多件式壳体的壳体基础元件以及用于装配壳体的方法
JP2007009905A (ja) 内燃機関シリンダヘッド用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CN104203530A (zh) 复合成型体和用于制造该复合成型体的方法
JP5179480B2 (ja) 閉鎖ユニット用の通気性閉鎖要素
US10595423B2 (en) Electronics housing for electronics in a motor vehicle
US10267658B2 (en) Encoder
JP5508044B2 (ja) 通気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
US11732854B2 (en) Trough-shaped lamp housing
CN113906663A (zh) 电力转换装置
JP2004100949A (ja) 壁特に車体の開口部のための挿入部品
KR101411115B1 (ko) 벤트 필터
KR20130031049A (ko) 벤트 필터
KR101769604B1 (ko) 멤브레인 고정 구조가 개선된 브러시리스 모터
KR101943449B1 (ko) 카메라 모듈
US9781850B1 (en) Press-fit contact window cover retention
CN110770503A (zh) 用于ip66 led室外模块的低成本、紧凑、侧引入电缆密封件
KR200426809Y1 (ko) 와이어 하네스의 밀봉장치
KR200496383Y1 (ko) 구동 시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