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24A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0024A KR20230110024A KR1020220006028A KR20220006028A KR20230110024A KR 20230110024 A KR20230110024 A KR 20230110024A KR 1020220006028 A KR1020220006028 A KR 1020220006028A KR 20220006028 A KR20220006028 A KR 20220006028A KR 20230110024 A KR20230110024 A KR 20230110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econdary battery
- separator
- adhesive
- polymer electroly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1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10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5822 acrylic bind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GOXQRTZXKQZDDN-UHFFFAOYSA-N 2-Ethylhex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 GOXQRTZXKQZDD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VQNEPGJFQJSBK-UHFFFAOYSA-N M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OC(=O)C(C)=C VVQNEPGJFQJSB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485 poly(butyl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OZAIFHULBGXAKX-UHFFFAOYSA-N 2-(2-cyanopropan-2-yldiazenyl)-2-meth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MIGHNLMNHATMP-UHFFFAOYSA-N 2-hydr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OC(=O)C=C OMIGHNLMNHAT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20213 PB(Mg3Nb2/3)O3-PbTi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0210 Pb(Mg3Nb2/3)O3—PbTi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5676 cyclic carbo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706 AlOO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XJGSNRAQWDDJT-UHFFFAOYSA-N 1-acetyl-5-bromo-2h-indol-3-one Chemical compound BrC1=CC=C2N(C(=O)C)CC(=O)C2=C1 KXJGSNRAQWDD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VTLBBWTUPQRAY-UHFFFAOYSA-N 2-(2-cyanobutan-2-yldiazenyl)-2-methylbut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N)N=NC(C)(CC)C#N AVTLBBWTUPQR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MLYCEVDHLAQEL-UHFFFAOYSA-N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 XMLYCEVDHLAQ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CKPLVGWGCWOMD-YYEYMFTQSA-N 3-[[(2r,3r,4s,5r,6r)-6-[(2s,3s,4r,5r)-3,4-bis(2-cyanoethoxy)-2,5-bis(2-cyanoethoxymethyl)oxolan-2-yl]oxy-3,4,5-tris(2-cyanoethoxy)oxan-2-yl]methoxy]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O[C@H]1[C@H](OCCC#N)[C@@H](COCCC#N)O[C@@]1(COCCC#N)O[C@@H]1[C@H](OCCC#N)[C@@H](OCCC#N)[C@H](OCCC#N)[C@@H](COCCC#N)O1 XCKPLVGWGCWOMD-YYEYMFTQSA-N 0.000 description 2
- YEJRWHAVMIAJKC-UHFFFAOYSA-N 4-Buty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O1 YEJRWHAVMIAJ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25 Cd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645 L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4689 LiM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367 Sr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HCLAFWTIXFWPH-UHFFFAOYSA-N [O-2].[O-2].[O-2].[O-2].[O-2].[V+5].[V+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V+5].[V+5] XHCLAFWTIXFW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60 carbonate bas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QMIGQNCOMNODD-UHFFFAOYSA-N diace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O)OOC(C)=O ZQMIGQNCOMNO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UPKGFBOKBGHFZ-UHFFFAOYSA-N di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CC VUPKGFBOKBGH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KRCODPIKNYEAC-UHFFFAOYSA-N ethyl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OC(=O)CC FKRCODPIKNYE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KBJDEGZZJWPJA-UHFFFAOYSA-N ethyl 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H2]COC(=O)OCCC QKBJDEGZZJWP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BFHTYHTHYHCDJ-UHFFFAOYSA-N gamma-caprolactone Chemical compound CCC1CCC(=O)O1 JBFHTYHTHYHCD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AEKPEKOJKCEMS-UHFFFAOYSA-N gamma-valerolactone Chemical compound CC1CCC(=O)O1 GAEKPEKOJKCE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JNBYAVZURUTKZ-UHFFFAOYSA-N hafnium(iv) oxide Chemical compound O=[Hf]=O CJNBYAVZURUT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KKQAVHGECIBFRQ-UHFFFAOYSA-N methyl prop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OC(=O)OC KKQAVHGECIBF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19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935 vana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VQMJJQUGGVLEP-UHFFFAOYSA-N (2-methylpropan-2-yl)oxy 2-ethylhexa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OOOC(C)(C)C FVQMJJQUGGVL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XUFTKZYJYGMGO-CMCWBKRRSA-N (2s,3s,4r,5r)-5-[6-amino-2-[2-[4-[3-(2-aminoethylamino)-3-oxopropyl]phenyl]ethylamino]purin-9-yl]-n-ethyl-3,4-dihydroxyoxola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NCC)O[C@H]1N1C2=NC(NCCC=3C=CC(CCC(=O)NCCN)=CC=3)=NC(N)=C2N=C1 UXUFTKZYJYGMGO-CMCWBKRRSA-N 0.000 description 1
- ZZXUZKXVROWEIF-UHFFFAOYSA-N 1,2-but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C1COC(=O)O1 ZZXUZKXVROWE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AYTZRYEBVHVLE-UHFFFAOYSA-N 1,3-dioxol-2-one Chemical compound O=C1OC=CO1 VAYTZRYEBVHV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GJCFVYMIJLQJO-UHFFFAOYSA-N 1-dodecylperoxydo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OCCCCCCCCCCCC LGJCFVYMIJLQ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56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JKGAPPUXSSCFI-UHFFFAOYSA-N 2-Hydroxy-4'-(2-hydroxyethoxy)-2-methylpropiophenon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O)C=C1 GJKGAPPUXSS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YGWHHGCAGTUCH-UHFFFAOYSA-N 2-[(2-cyano-4-methylpentan-2-yl)diazenyl]-2,4-dimethylpent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C)(C#N)N=NC(C)(C#N)CC(C)C WYGWHHGCAGTU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HFFVFAKEGKNAQ-UHFFFAOYSA-N 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4-ylphenyl)butan-1-one Chemical compound C=1C=C(N2CCOCC2)C=CC=1C(=O)C(CC)(N(C)C)CC1=CC=CC=C1 UHFFVFAKEGK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31 2-cyan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N 0.000 description 1
- LWRBVKNFOYUCNP-UHFFFAOYSA-N 2-methyl-1-(4-methylsulfanylphenyl)-2-morpholin-4-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1=CC(SC)=CC=C1C(=O)C(C)(C)N1CCOCC1 LWRBVKNFOYUC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LWQPQKVKCQWGG-UHFFFAOYSA-N 3-propyloxiran-2-one Chemical compound CCCC1OC1=O HLWQPQKVKCQW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WLOKSXSAUHTJO-UHFFFAOYSA-N 4,5-dimethyl-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CC1OC(=O)OC1C LWLOKSXSAUH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UWCXHZPFTZSF-UHFFFAOYSA-N 4-ethyl-5-methyl-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CCC1OC(=O)OC1C LSUWCXHZPFTZ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UXJVUDWWLIGRU-UHFFFAOYSA-N 4-propyl-1,3-dioxolan-2-one Chemical compound CCCC1COC(=O)O1 AUXJVUDWWLIG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42 Benzoyl pe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MPJBNCRMGITSC-UHFFFAOYSA-N Benzoylperox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OC(=O)C1=CC=CC=C1 OMPJBNCRMGIT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MTAFVWTTFSTOG-UHFFFAOYSA-N Butylate Chemical compound CCSC(=O)N(CC(C)C)CC(C)C BMTAFVWTTFST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LKOAJGHVUCDIV-UHFFFAOYSA-N FC1=CC=C(N2C=CC=C2)C(F)=C1[Ti]C(C=1F)=C(F)C=CC=1N1C=CC=C1 Chemical compound FC1=CC=C(N2C=CC=C2)C(F)=C1[Ti]C(C=1F)=C(F)C=CC=1N1C=CC=C1 ILKOAJGHVUCD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119 Li 3 P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860 Li3.25Ge0.25P0.75S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43 Li3PO4-Li2S-SiS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35 Li3PO4-Li2S—SiS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10 Li3PO4—Li2S-SiS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797 Li3PO4—Li2S—SiS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38 LiAl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90 LiA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116 LiAlTi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015 LiAs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372 LiC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684 Li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716 Li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513 LiSb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JUFJBKOKNCXHH-UHFFFAOYSA-N Methyl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C RJUFJBKOKNCXH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246 Ni0.8Co0.1Mn0.1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KGYHFFYERNDHK-UHFFFAOYSA-K P(=O)([O-])([O-])[O-].[Ti+4].[Li+] Chemical compound P(=O)([O-])([O-])[O-].[Ti+4].[Li+] MKGYHFFYERNDHK-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PPVYRCKAOVCGRJ-UHFFFAOYSA-K P(=S)([O-])([O-])[O-].[Ge+2].[Li+] Chemical class P(=S)([O-])([O-])[O-].[Ge+2].[Li+] PPVYRCKAOVCGRJ-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65 Polyparaphe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N Propionic acid Chemical clas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8 Pullu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3 Pullul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6 S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0346 SiS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8 S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group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DDVNKWVBSLTMB-UHFFFAOYSA-N [Cu]=O.[Li] Chemical compound [Cu]=O.[Li] QDDVNKWVBSLT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LTFLELMPUMVEH-UHFFFAOYSA-N [Li+].[O--].[O--].[O--].[V+5] Chemical compound [Li+].[O--].[O--].[O--].[V+5] RLTFLELMPUMV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LARSDUHONHPRF-UHFFFAOYSA-N [Li].[Mn] Chemical compound [Li].[Mn] KLARSDUHONHP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CYFKSBFREPBC-UHFFFAOYSA-N [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oryl]-(2,4,6-trimeth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O)P(=O)(C=1C=CC=CC=1)C(=O)C1=C(C)C=C(C)C=C1C GUCYFKSBFREP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2 acet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0 alkaline earth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ompound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VJYOKLQNGVTIS-UHFFFAOYSA-K aluminum;lithium;titanium(4+);phosphate Chemical compound [Li+].[Al+3].[Ti+4].[O-]P([O-])([O-])=O CVJYOKLQNGVTIS-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81 amorphous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64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00 benzoyl pe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90 bipheny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MQDJYUACMFCOFT-UHFFFAOYSA-N bis[2-(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O)C=2C(=CC=CC=2)C2(O)CCCCC2)C=1C1(O)CCCCC1 MQDJYUACMFCO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1 channe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4 coal tar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QHLDYVWEZKEOX-UHFFFAOYSA-N cumene hydroperoxide Chemical compound OOC(C)(C)C1=CC=CC=C1 YQHLDYVWEZKE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1 de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SXWFXONGKSEMY-UHFFFAOYSA-N di-tert-butyl peroxide Chemical compound CC(C)(C)OOC(C)(C)C LSXWFXONGKSE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JLLQSBAHIKGKF-UHFFFAOYSA-N dipotassium dioxido(oxo)titanium Chemical compound [K+].[K+].[O-][Ti]([O-])=O NJLLQSBAHIKG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99 eth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NBVXSUQYWXRMNV-UHFFFAOYSA-N 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 NBVXSUQYWXRM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7 graphitized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5 hard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0 interca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7 interca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65 intermetall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QPQWNKOIGAROB-UHFFFAOYSA-N 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N-]=C=O IQPQWNKOIGAR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3 ketje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3 lamp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11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64 lithium aluminum titanium phosphates (LAT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25 lithium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ASZBAVUIZZLOB-UHFFFAOYSA-N lithium iron(2+) oxygen(2-) Chemical group [O-2].[Fe+2].[Li+] CASZBAVUIZZL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59 lithium lanthanum titanates (L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102 lithium manganese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XMICRJPVUPSN-UHFFFAOYSA-N lithium manganese(2+) oxygen(2-) Chemical class [O-2].[Mn+2].[Li+] QEXMICRJPVUP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6 lith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86 lithium vana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CFSQHQYDZIPRL-UHFFFAOYSA-N lithium;bis(1,1,2,2,2-pentafluoroethylsulfonyl)azanide Chemical compound [Li+].FC(F)(F)C(F)(F)S(=O)(=O)[N-]S(=O)(=O)C(F)(F)C(F)(F)F ACFSQHQYDZIP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FZPBUKRYWOWDV-UHFFFAOYSA-N lithium;oxido(oxo)cobalt Chemical compound [Li+].[O-][Co]=O BFZPBUKRYWOW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ROAXDSNYPAOBJ-UHFFFAOYSA-N lithium;oxido(oxo)nickel Chemical compound [Li+].[O-][Ni]=O VROAXDSNYPAOB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RIIGZKXFBNRAU-UHFFFAOYSA-N lithium;oxonickel Chemical compound [Li].[Ni]=O URIIGZKXFBNR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group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1 mesocarbon micro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02 mesophase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M methacrylate group Chemical group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HXLHGIAMFFBU-UHFFFAOYSA-N methyl phenylglyoxalate Chemical class COC(=O)C(=O)C1=CC=CC=C1 YLHXLHGIAMFFB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7219 methyl propi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KYONYBAUNKHLG-UHFFFAOYSA-N n-Prop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OC(C)=O YKYONYBAUNKH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KTNLYAAZKKMTQ-UHFFFAOYSA-N n-[bis(dimethylamino)phosphinimyl]-n-meth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N(C)P(=N)(N(C)C)N(C)C GKTNLYAAZKKM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60 nitril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01 petroleum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24 phenylace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79 phenylace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UOUZKKEUPVFJK-UHFFFAOYSA-N ph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1 point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69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0 polyacrylonitril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44 polymale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1 polyvinylid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59 poros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0181 prop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3 pullul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6 pyrolytic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3 silicon-carbon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4 soft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DDUHVRJJAFRAU-YZNNVMRBSA-N tert-butyl-[(1r,3s,5z)-3-[tert-butyl(dimethyl)silyl]oxy-5-(2-diphenylphosphorylethylidene)-4-methylidenecyclohexyl]oxy-d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1[C@@H](O[Si](C)(C)C(C)(C)C)C[C@H](O[Si](C)(C)C(C)(C)C)C(=C)\C1=C/CP(=O)(C=1C=CC=CC=1)C1=CC=CC=C1 MDDUHVRJJAFRAU-YZNNVMRB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4 thermal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3 tin-carbon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TWQULNDIKKJZPH-UHFFFAOYSA-K trilithium;phosphate Chemical compound [Li+].[Li+].[Li+].[O-]P([O-])([O-])=O TWQULNDIKKJZPH-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9 ultra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APBSGBWRJIAAV-UHFFFAOYSA-N ε-Cap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O1 PAPBSGBWRJI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전극 및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막은 일반적으로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전극과 분리막의 용이한 접착을 위해 다량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바인더의 과량 사용으로 인해 저항이 증가되고, 분리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분리막에 포함되는 세라믹 코팅층 내의 바인더 함량을 낮출 경우,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접착력 저하로 인해 셀의 강성이 저하되고, 전극의 정렬이 틀어지는 등 품질 저하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차전지의 저항 저감과 셀 강성이 동시에 향상된 이차전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차전지의 저항이 저감됨과 동시에, 셀 강성 및 기계적 내구성이 동시에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과제는 이차전지의 저항이 저감됨과 동시에, 셀 강성 및 기계적 내구성이 동시에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를 상기 전지 케이스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케이스에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극과 상기 전극들 사이에 각각 개재된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에 포함되는 세라믹 코팅층이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에 포함되는 세라믹 코팅층은 바인더를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바인더 과량에 따른 저항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저항 저감에 수반되는 이차전지의 셀 강성 저하를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이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위 구성들의 조합에 따라 이차전지의 저항 저감과 셀 강성 및 기계적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극과 상기 전극들 사이에 각각 개재된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분리막에 포함되는 세라믹 코팅층이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에 포함되는 세라믹 코팅층은 바인더를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바인더 과량에 따른 저항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저항 저감에 수반되는 이차전지의 셀 강성 저하를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이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는 위 구성들의 조합에 따라 이차전지의 저항 저감과 셀 강성 및 기계적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 흔적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막 또는 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표면 사진이다.
도 13은 비교예 1의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표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접착제 도포 흔적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막 또는 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표면 사진이다.
도 13은 비교예 1의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의 표면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입경(D50)은 입자의 입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체적 누적량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D50)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회절법은 일반적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영역에서부터 수 mm 정도의 입경의 측정이 가능하며, 고 재현성 및 고 분해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차전지>
본 발명은 이차전지, 구체적으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분리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100); 겔 폴리머 전해질(200); 및 상기 전극 조립체(100)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30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복수의 전극(110, 120) 및 복수의 분리막(13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110, 120)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130)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110, 120)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130)은 다공성 기재(1310) 및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극 조립체(100)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전극 조립체를 간략히 나타내며, 도 2에 전극 조립체(100)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전극 조립체(100)는 수직 방향(P)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극(110, 12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110, 120)은 2 이상의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 방향”이란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수직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전극의 적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적층 방향의 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전극(110, 120)은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교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전극(110, 120)은 복수의 분리막(130)을 각각을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양극이고, 제2 전극(120)은 음극일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110)은 음극이고, 제2 전극(120)은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1개 이상, 구체적으로 2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상기 활물질 슬러리가 집전체 양면에 도포, 건조 및 압연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활물질 슬러리는 입상의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이 용매에 첨가된 상태에 교반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에는 당분야의 양극 또는 음극에 사용되는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전체는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및 알루미늄-카드뮴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110, 120)이 양극인 경우 전극(110, 120)에 사용되는 집전체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110, 120)이 음극인 경우 전극(110, 120)에 사용되는 집전체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메쉬,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폴리머층 및 상기 폴리머층의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층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및 알루미늄-카드뮴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110, 120)이 음극일 경우, 이에 포함되는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면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음극 활물질의 예로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비정질탄소 등의 탄소질 재료; Si, Al, Sn, Pb, Zn, Bi, In, Mg, Ga, Cd, Si합금, Sn합금 또는 Al합금 등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금속질 화합물; SiOβ(0 < β < 2), SnO2,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과 같이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또는 Si-C 복합체 또는 Sn-C 복합체과 같이 상기 금속질 화합물과 탄소질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활물질로서 금속 리튬 박막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탄소재료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 (soft carbon) 및 경화탄소 (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무정형, 판상, 인편상,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 키시흑연 (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 (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 (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 (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또,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110, 120)이 양극일 경우, 이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활물질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양극 활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LiFe3O4 등의 리튬 철 산화물; 화학식 Li1+c1Mn2-c1O4 (0≤c1≤0.33),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c2Mc2O2 (여기서, M은 Co, Mn, Al, Cu, Fe, Mg, B 및 G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0.01≤c2≤0.3를 만족한다)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c3Mc3O2 (여기서, M은 Co, Ni, Fe, Cr, Zn 및 T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0.01≤c3≤0.1를 만족한다) 또는 Li2Mn3MO8 (여기서, M은 Fe, Co, Ni, Cu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은 Li-metal 양극일 수도 있다.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고분자,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카르복실 메틴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플루란(pullula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및 분자량 10,000 g/mol 이하의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파네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탄소 나노 튜브 등의 도전성 튜브; 플루오로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에 포함되는 증점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3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분리막(130) 각각은 상기 전극(110, 120)들 사이에 개재된 것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막(130)은 다공성 기재(131)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132a, 132b)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131)로는 통상 이차전지의 분리막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해 저저항이면서 전해질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부직포,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일 수도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부직포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131)에 존재하는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기재(131)는 평균 기공 직경이 0.01㎛ 내지 1㎛, 구체적으로 20nm 내지 60nm인 기공을 10부피% 내지 90부피%, 구체적으로 30부피% 내지 60부피%의 기공도로 포함하는 다공성 기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다공성 기재(131)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온 물질이 양극 및 음극 사이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기공 직경, 기공도는 집속이온빔(FIB)을 이용한 분석, 가스 흡착법 또는 수은 압입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분리막으로서의 적절한 기계적 강도 및 이온 물질의 이동 용이성을 고려할 때, 구체적으로 1㎛ 내지 100㎛, 구체적으로 2㎛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은 상기 다공성 기재(131)의 양면에 배치된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는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상기 무기물 입자 및 상기 바인더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다공성 기재의 고온에서의 열 수축, 이에 따른 양극 및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에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물 입자는 다공성 기재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하고, 열 수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일종의 스페이서(spacer) 역할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로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V 내지 5V)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 즉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않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xAlyTiz(PO4)3, 0<x<2, 0<y<1, 0<z<3), 14Li2O-9Al2O3-38TiO2-39P2O5와 같은 (LiAlTiP)xOy계 유리(glass)(0<x<4, 0<y<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x<2, 0<y<3); Li3.25Ge0.25P0.75S4 등과 같은 리튬게르마늄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x<4, 0<y<1, 0<z<1, 0<w<5); Li3N 등과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LixNy, 0<x<4, 0<y<2); Li3PO4-Li2S-SiS2 등과 같은 SiS2계 유리(LixSiySz, 0<x<3, 0<y<2, 0<z<4); LiI-Li2S-P2S5 등과 같은 P2S5계 유리(LixPySz, 0<x<3, 0<y<3, 0<z<7); Al2O3; AlOOH; BaTiO3; BaSO4; MgO; CaO; CeO2; NiO; SiO2; SnO2; SrTiO3; TiO2; Y2O3; ZnO; ZrO2;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 PB(Mg3Nb2/3)O3-PbTiO3 (PMN-PT); 하프니아(HfO2);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물 입자는 Al2O3; AlOOH; BaTiO3; BaSO4; MgO; CaO; CeO2; NiO; SiO2; SnO2; SrTiO3; TiO2; Y2O3; ZnO; ZrO2;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 PB(Mg3Nb2/3)O3-PbTiO3 (PMN-PT); 하프니아(HfO2);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Al2O3; AlOOH; BaTiO3; BaSO4;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0.1㎛ 내지 1㎛, 구체적으로 0.2㎛ 내지 0.7㎛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에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된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함량은 후술하는 바인더의 함량과의 관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다공성 기재의 열 수축에 의한 열적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바인더 과량에 따른 저항 증가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에 93중량% 내지 9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무기물 입자들의 결착, 분리막과 전극의 결착을 위해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에 0중량% 초과 8중량% 미만으로 포함된다. 상기 바인더가 8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바인더가 지나치게 세라믹 코팅층에 포함되어 이차전지의 저항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가 상술한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력 저하에 따른 이차전지의 셀 강성 저하의 우려가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분리막과 겔 폴리머 전해질을 조합 사용하는 바 이차전지의 저항 개선과 함께 셀 강성 및 기계적 내구성의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상기 세라믹 코팅층에 2중량% 내지 7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있을 때 무기물 입자들의 결착력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이차전지의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는 분자 내에 불소기(-F), 아크릴레이트기(CH2=CHCOO-), 메타크릴레이트기(CH2=C(CH3)COO-), 비닐아세테이트기(-CH2=CHOCO-) 또는 니트릴기(-C≡N), 등의 소수성 작용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수성 바인더이거나; 또는 하이드록실기(-OH), 카르복실기(-COOH), 무수말레인산기(-COOOC-), 술폰산기(-SO3H)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와 같은 극성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친수성 바인더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acet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등일 수 있다. 또, 상기 친수성 바인더는 시아노에틸플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sucrose),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무수말레인산(polymaleic anhydride)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는 세라믹 코팅층 제조 시 상기 무기물 입자와의 분산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세라믹 코팅층이 상층에 바인더, 하층에 무기물 입자로 층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층 분리는 결과적으로 음극, 양극에서의 이온 이동을 방해하고 저항 증가를 초래하므로, 상기 바인더로서 아크릴계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저항 저감 효과를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의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polyethylhexyl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92:8 이상 100:0 미만, 구체적으로 93:7 내지 98: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의 두께는 0.1㎛ 내지 10㎛, 구체적으로 0.5㎛ 내지 5㎛,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은 바인더를 전술한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므로, 얇은 두께의 분리막 구현이 가능하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낮은 저항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에 형성된 하나의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132a, 132b)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를 용매 중에 분산시킨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다공성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딥(Dip) 코팅, 다이(Die) 코팅, 롤(Roll) 코팅, 콤마(Comma) 코팅, 그라비아(Gravure) 코팅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라비아(Gravure) 코팅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후 건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 가역 건조 또는 열풍 건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30)의 두께는 1㎛ 내지 20㎛, 구체적으로 5㎛ 내지 14㎛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믹 코팅층 내의 바인더 함량을 감소시킨 바 얇은 두께의 분리막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낮은 저항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된 복수의 전극 탭(400,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극 탭(400, 50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전극(110, 12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과 각각 연결되고, 전지 케이스(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2개의 전극 탭(400, 500)이 전극 조립체(100)에 대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극 조립체(10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 탭(400, 500)은 양극 탭 및 음극 탭일 수 있으며,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겔 폴리머 전해질(200)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은 후술하는 전지 케이스(300)에 주입 또는 수납된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은 전극 조립체(100)에 함침, 경화되어, 전극 조립체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은 흐름성이 없고, 겔화된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차전지의 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전술한 분리막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저항이 저감되고 셀 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구현이 가능하다. 반면 전술한 분리막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셀 강성이 지나치게 저하되므로 셀 처짐, 분리막 밀림 등에 의한 공정성 저하, 제품 불량 발생의 우려가 있고, 안전성이 저하되어 이차전지의 폭발 가능성이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은 리튬 염, 중합 개시제 및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이 경화되면,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이 가교(crosslink)되고 경화되어 겔(gel) 형태로 굳어진 전해질(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폴러머 전해질(200)은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의 경화물 및 리튬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이차 전지에 리튬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이차 전지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ClO4, LiAsF6, LiBF4, LiSbF6, LiAl04, LiAlCl4, LiCF3SO3, LiC4F9SO3, LiN(C2F5SO3)2, LiN(C2F5SO2)2, LiN(CF3SO2)2. LiCl, LiI, 또는 LiB(C2O4)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1M 내지 5.0M, 바람직하게는 0.1M 내지 3.0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전해질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질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올리고머 화합물을 중합시켜 3차원 구조로 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중합 방식에 따라서, 광 중합 개시제 또는 열 중합 개시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중합 개시제는 대표적인 예로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HMPP),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파논, 옥시-페닐아세틱 애씨드 2-[2-옥소-2 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 옥시-페닐-아세틱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 알파-디메톡시-알파-페닐아세토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몰포리닐)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몰포리닐)-1-프로파논,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에타 5-2,4-시클로펜타디엔-1-일), 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4-이소부틸페닐-4'-메틸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메틸 벤조일포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중합 개시제는 그 대표적인 예로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및 2,2'-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2,2'-Azobisdimethyl-Valer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이차 전지 내에서 30℃ 내지 100℃의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상온(5℃ 내지 30℃)에서 UV와 같은 광(light)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가교 결합을 형성하여 올리고머가 중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합 개시제는 올리고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5 중량부 내지 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 중량부 내지 0.7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일 경우, 전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반응 중합 개시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로 중합 개시제가 사용되는 경우, 전해질 조성물의 겔화(gelation)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폴리에테르계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폴리실록산계 올리고머, 포스파젠계 올리고머, 폴리에틸렌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에폭시계 올리고머, 불소계 올리고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스테르 설파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불화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구체적으로 불소계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계 올리고머 및 폴리실록산계 올리고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계 올리고머는 구체적으로 불소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올리고머는 이에 포함되는 불소계 작용기가 양극 활물질 분해에 기인하는 산소 라디칼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난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올리고머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알릴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틸 에테르)-(2,2,2-트리플루오로 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2-비닐-1,3-디옥소란) 코폴리머,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올리고머는 양극과 친화적이고, 유기 전해액과 유사한 구조이며, 이온 전도도 또는 이온 해리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올리고머는 1,000g/mol 내지 50,000g/mol, 구체적으로 4,500g/mol 내지 30,000g/mol, 보다 구체적으로 10,000g/mol 내지 25,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계 올리고머는 전해액 부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HF 등)의 스캐빈저(scavenger)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 저장 특성 개선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g/mol 내지 50,000g/mol, 구체적으로 4,500g/mol 내지 3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1중량% 내지 20중량%, 구체적으로 3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일 때 이차전지의 셀 강성 향상 효과가 우수하게 발휘되면서, 겔 폴리머 전해질의 이온 전도성,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우수한 수준으로 발휘될 수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리튬 염, 중합 개시제 및 올리고머 화합물과 함께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리튬 염, 중합 개시제 및 올리고머 화합물의 용해 또는 분산 목적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이차 전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에테르, 에스테르(Acetate류, Propionate류),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보네이트, 니트릴(아세토니트릴, SN 등)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카보네이트계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 중 환형 카보네이트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 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액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에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가지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중 에스테르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α-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화합물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는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0.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0)
상기 전지 케이스(300)은 전극 조립체(100) 및 겔 폴리머 전해질(200)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조된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치 전지 케이스일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0)가 알루미늄 파우치 전지 케이스일 경우, 전지 케이스(300)은 예를 들면 내부에서부터 폴리프로필렌층(PP층), 알루미늄층,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PET층) 순서로 적층된 파우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0)는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인 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0)는 커버(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의 수납,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 및 겔화 후, 상기 커버로 상기 전지 케이스(300)를 실링하여 밀봉된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있어서, 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전극(110, 120), 또는 분리막(13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상기 전극(110, 120)과 상기 분리막(13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극(110, 120)과 상기 분리막(130)이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고,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200)과 상기 전극 조립체(100)가 상기 전지 케이스(300)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접착제는 제거되어 상기 전극(110, 120) 및 상기 분리막(13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 도포 흔적(140)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이차전지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전극(110, 120)과 분리막(130)의 위해 접착을 도입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 중 전극과 분리막을 적층, 조립, 스택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이들의 정렬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130)은 바인더 함량이 감소된 것으로 이차전지 제조 시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력이 충분치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여 전극과 분리막을 용이하게 접착시키고, 전극 조립체 제조 과정에서 분리막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의 효율, 품질 향상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전극과 분리막을 접착시킴에 따른 전극 조립체 제조에 사용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 내에 수용된 후, 겔 폴리머 전해질이 수용됨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겔 폴리머 전해질 형성을 위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내의 용매에 의해 상기 접착제는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분리막의 바인더 증량 없이도 전극과 분리막을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바인더 증량에 따른 분리막 두께 증가를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트(dot) 형태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의 전지 케이스로의 수용, 또는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전지 케이스로의 주입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전극(110, 120) 및 상기 분리막(13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 도포 흔적(140)이 남아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전지 케이스 내로 주입되면, 상기 접착제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내의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면서 접착제 도포 흔적을 남길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 면적은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이 접하는 면의 면적에 대하여 0% 초과 1% 이하,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따를 때,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충분한 접착력으로 접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착제가 과도하게 도포되어 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잔존하여 저항 증가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라, 전술한 접착제의 용해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접착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접착제 도포 흔적(140)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 도포 흔적(140)은 전극(110, 120)과 분리막(130)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0)의 하부와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 흔적(140)과 제1 전극(110)의 상부와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 흔적(140)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수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접착제 도포 흔적(140)이 배치되어 있는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극(120)과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 도포 흔적(1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 흔적이 전극(110, 120)과 분리막(130) 사이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경우, 접착제 도포 공정이 단순화되어 공정 시간 및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 흔적(140)은 접착제 도포 및 제거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110, 120) 및 분리막(130)이 서로 접한 면 사이에 존재하여, 상기 전극(110, 120) 및 상기 분리막(13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경우, 제조 공정에서 분리막, 전극들의 적층 시 전극과 분리막들 간의 정렬 위치가 뒤틀리는 등으로 품질 불량, 공정 효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 도포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술한 전극 및/또는 분리막의 밀림 현상이 현저한 수준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품질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 접착제 도포 흔적의 배치는 바인더가 저함량으로 포함되는 본 발명 분리막의 접착력 보완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접착제 도포 흔적(141, 142)이 전극(110, 120) 및 분리막(130) 사이마다 배치되어 있으면서, 서로 인접한 층에 배치된 접착제 도포 흔적(141, 142)은 서로 교차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이차전지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0)의 하부와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 도포 흔적(141)과 제1 전극(110)의 상부와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제 도포 흔적(142)은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제 도포 흔적(141)과 제2 접착제 도포 흔적(142)은 위치가 서로 교차되어 있을 뿐, 이들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극(120)과 분리막(130)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 도포 흔적(141, 14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 흔적의 교차 배치의 경우, 접착제의 도포로 인한 셀의 두께 증가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접착제가 보다 원활하게 용해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전극 조립체를 상기 전지 케이스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케이스에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케이스에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의 실링 후, 당분야에 공지된 활성화, 디개싱(degassing), 재실링 공정 등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 전극, 분리막, 전지 케이스,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서로 접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제1 전극(110)의 일면 및 제1 분리막(130a)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140a)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140a)를 통해 제1 전극(110) 및 제1 분리막(130a)을 접착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전극(110)의 타면 및 제2 분리막(130b)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140a)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140a)를 통해 제1 전극(110)과 상기 제2 분리막(130b)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2 분리막(130b)의 타면 및 상기 제2 전극(120)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140a)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140a)를 통해 제2 분리막(130b) 및 제2 전극(120)을 접착시키는 단계.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 분리막(130a)의 일면에 접착제(140a)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노즐(600)에 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후 상기 접착제(140a)가 도포된 제1 분리막(130a)의 일면에 제1 전극(110)을 배치시켜 접착시킨다. 상기 도 7 및 도 8은 상기 접착제(140a)가 제1 분리막(130a)에 도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전극(110)의 일면에 미리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제1 분리막(130a)과 접착될 수도 있고, 제1 전극(110)의 일면 및 제1 분리막(130a)의 일면 모두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제1 전극(110)과 제1 분리막(130a)이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단계 (a)).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110)의 타면에 접착제(140a)를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110)의 타면은 상기 제1 전극(110)과 상기 제1 분리막(130a)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접착제(140a)가 상기 제1 전극(110)의 타면에 도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110)에 접착될 제2 분리막(130b)에 미리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상기 제1 전극(110) 및 제2 분리막(130b) 모두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제1 전극(110)과 제2 분리막(130b)이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후 상기 제1 전극(110)의 타면에 제2 분리막(130b)를 배치시켜 접착시킨다(단계 (b)).
도 11을 참조하면, 이후, 상기 제2 분리막(130b)의 타면(상기 제2 분리막(130b)의 상기 제1 전극(110)과 상기 제2 분리막(130b)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접착제(140a)를 도포한 후, 제2 전극(120)을 배치시켜 접착시킨다(단계 (c)).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단계 (a) 내지 (c)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의 순차적 적층 구조를 기본 단위체로 하여, 상기 기본 단위체를 1 이상, 구체적으로 2 이상 적층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본 단위체들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
종래 전극, 분리막들의 적층 공정에서 정렬 위치가 뒤틀리거나 어긋나는 등 공정 상 불량 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전극, 분리막의 적층 시 접착제가 도포되므로 전극 및 분리막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전극 및 분리막의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므로, 공정 상의 효율 및 품질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트(dot) 형태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 주입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전술한 리튬 염, 중합 개시제, 및 올리고머 화합물과 함께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의 전지 케이스로의 수용, 또는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전지 케이스로의 주입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 도포 흔적이 남아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전지 케이스 내로 주입되면, 상기 접착제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내의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면서 접착제 도포 흔적을 남길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용해 또는 제거는 상기 이차전지 제조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활성화, 디개싱 공정에서의 가압에서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활성화는 초기 이차전지에서 충전 과정을 통해 전극 조립체의 극판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막(SEI layer, Surface Electrolyte Interface layer)를 형성하고, 전하를 띠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이를 통해 이차전지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정일 수 있고, 예를 들면 45℃ 이상, 구체적으로 50℃ 내지 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개싱 공정은 상기 활성화 공정 등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디개싱 공정에서 지그 등에 의해 이차전지를 가압하는 공정이 수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이러한 온도 증가, 가압 등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용해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라, 전술한 접착제의 용해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0,000g/mol 내지 14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 측정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자량의 측정은 분자연쇄 말단에 있는 관능기를 정량 분석하여 분자량을 구하는 말단기 정량법, 삼투압, 증기압 강하, 비점 상승, 응고점 강하와 같은 물성을 이용한 총괄성 이용법(분리막 삼투법, 증기압 삼투압법 등), 빛의 산란을 이용한 광산란법, 고분자 용액을 원심분리한 후 침강 속도 또는 농도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분자량을 측정하는 초원심법, 고분자 용액의 점도를 이용한 점도법,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을 이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1. 분리막의 제조
무기물 입자로서 Al2O3(평균 입경(D50): 0.5㎛) 및 아크릴계 바인더를 96:4의 중량비로 용매인 물에 첨가시켜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로서 JSR 사의 제품명 TRD 202A과 APEC 사의 제품명 AP-0821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다공성 기재(두께: 9㎛, 평균 기공 직경: 0.05㎛, 기공도: 45부피%)의 양면에 상기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세라믹 코팅층(하나의 층의 두께: 1.5㎛)을 형성하여 분리막(두께: 12㎛ = 1.5㎛+9㎛+1.5㎛)을 제조하였다.
2. 전극 조립체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복수 개 준비하고, 복수 개의 양극 및 음극을 준비하였다.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 상에 접착제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트 형태의 패턴으로 도포하였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 면적(5.8875mm2)은 분리막과 양극이 접하는 면의 면적(24,889mm2)에 대하여 0.002366%였다. 상기 접착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로 유래된 반복단위를 40:30:3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였다.
이후, 상기 양극을 상기 분리막의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배치시켜 접착시켰다.
이후, 상기 양극의 상기 양극과 상기 분리막이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노즐로 접착제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트 형태의 패턴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다른 분리막을 상기 양극 상에 배치시켜 접착시켰다.
이후, 상기 다른 분리막에 노즐로 접착제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트 형태의 패턴으로 도포하고, 상기 음극을 배치시켜 접착시켰다.
상기 공정을 수회 반복하여, 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본 단위체가 18개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양극의 경우, 양극 활물질로서 Li[Ni0.8Co0.1Mn0.1]O2, 바인더로서 PVdF, 도전재로서 카본블랙을 97.5:1.5:1.0의 중량비로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고, 양극 집전체로서 알루미늄 집전체의 양면에 상기 양극 슬러리를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양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음극의 경우, 음극 활물질로서 흑연, 바인더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도전재로서 카본블랙 및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95.5:2.5:1.0:1.0의 중량비로 용매인 물에 첨가하여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고, 음극 집전체로서 구리 집전체의 양면에 상기 음극 슬러리를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3.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은 올리고머로서 폴리카보네이트(중량평균분자량 Mw: 20,000), 리튬염으로서 LiPF6 및 중합 개시제로서 AIBN(Azobisisobutyronitrile)를 용매에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용매는 에틸 카보네이트(EC)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를 3:7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리튬염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1.0M의 농도로 포함되었고, 상기 올리고머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5중량%로 포함되었고,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올리고머 100중량부에 대해 0.6중량부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포함되었다.
4. 이차전지의 제조
전지 케이스로서 알루미늄 소재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준비하였고, 전지 케이스의 수용 공간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였다.
이후,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전지 케이스 내에 주입하였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주입 후 진공 실링하였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주입에 따라, 상기 전극 조립체에 존재하는 접착제가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는 제거되어 상기 분리막 및 전극에 접착제 도포 흔적이 남아있었다.
이후,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주입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경화하였다. 상기 경화는 60℃의 온도로 5시간 동안 열 처리하여 수행되었다.
이후, 전지 케이스를 냉각, 밀봉 및 디개싱(degassing)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는 0.8cm였다.
비교예 1
1. 분리막의 제조
무기물 입자로서 Al2O3(평균 입경(D50): 0.5㎛) 및 바인더로서 PVdF를 70:30의 중량비로 용매인 아세톤에 첨가시켜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다공성 기재(두께: 9㎛, 평균 기공 직경: 0.05㎛, 기공도: 부피%)의 양면에 상기 세라믹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킴에 의해 세라믹 코팅층(하나의 층의 두께: 3㎛)을 형성하여 분리막(두께: 15㎛ = 3㎛+9㎛+3㎛)을 제조하였다.
2. 전극 조립체의 제조
실시예 1과 달리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것, 상기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3. 액체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
용매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EC)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를 30:70의 부피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용매에 리튬 염 LiPF6을 1.0M의 농도로 첨가하여 액체 전해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 이차전지의 제조
전지 케이스로서 알루미늄 소재인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를 준비하였고, 전지 케이스의 수용 공간에 상기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였다.
이후, 상기에서 제조된 액체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고, 진공 실링하였다.
전지 케이스를 냉각, 밀봉 및 디개싱(degassing)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는 0.8cm였다.
비교예 2
1. 분리막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2. 전극 조립체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3.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4. 이차전지의 제조
상기에서 준비된 분리막, 전극 조립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는 0.8cm였다.
비교예 3
1. 분리막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2. 전극 조립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3. 액체 전해질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액체 전해질 조성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4. 이차전지의 제조
상기에서 준비된 분리막, 전극 조립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는 0.8cm였다.
실험예
1. 분리막 표면의 접착제 도포 흔적 관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이차전지에서 전극과 분리막이 접했던 면에 해당하는 분리막을 절단하고, 그 표면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의 이차전지에서 분리된 분리막의 표면 사진을 도 12에 나타내고, 비교예 1의 이차전지에서 분리된 분리막의 표면 사진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분리막 표면 사진에는 접착제 도포 흔적이 관찰되었다.
한편,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전극 조립체 제조에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비교예 1의 분리막 표면 사진에서는 접착제 도포 흔적이 관찰되지 않았다.
2. 저항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에 있어서, SOC 50%에서 2.5C rate로 10초간 방전하였을 때 측정되는 전압 변화량(ΔV)을 이용해 계산된 저항 값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수명 성능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이차전지를 45℃에서 아래 조건으로 100 사이클 충전 및 방전하여, 100 사이클에서의 용량 유지율을 평가하였다.
※ 충전 및 방전 조건
충전: CC/CV 모드; 0.33C; 4.2V, 1/20C cut-off
방전: CC 모드; 0.33C; 2.5V cut-off
상기 실험 조건으로 100번째 사이클에 대한 방전 용량을 첫 번째 사이클에 대한 방전 용량으로 나눈 값을 용량 유지율로 정의하였다.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4. 셀 강성 측정
3-point bending 법에 따라서 각 이차 전지의 중심부에 아래 방향으로 10mm/분의 속도로 힘을 가하여 2mm 변위를 주었을 때의 응력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Pre-load는 30gf를 적용하였고, 실험은 상온에서 수행되었고, 응력 값은 만능 시험기(UTM)로 측정되었다.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5. 못 관통 실험
3.0 mm 의 지름을 갖는 금속 재질의 못을 만충전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800 mm / 분 의 속도로, 낙하시킨 뒤, 이차 전지의 표면에 thermos-couple를 부착하여 발화 여부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총 3회 수행되었으며, 발화되지 않을 경우 Pass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실험예 3 | 실험예 4 | 실험예 5 | |
저항(mΩ) | 100사이클 용량유지율(%) | 셀 강성 | 못 관통 평가(Pass/Total) | |
실시예 1 | 2.24 | 98.7 | 4.45 | 3/3 |
비교예 1 | 2.20 | 98.1 | 3.70 | 1/3 |
비교예 2 | 2.35 | 95.8 | 6.81 | 3/3 |
비교예 3 | 2.10 | 99.1 | 3.1 | 0/3 |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이차전지는 저항 저감, 수명 향상, 셀 강성 증가 및 안전성 향상 효과가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은 저항은 실시예 1과 동등 수준이나, 셀 강성이 저하되고 안전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수명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셀 강성은 우수하지만, 바인더가 다량 사용된 분리막과 겔 폴리머 전해질이 함께 사용됨에 따라 저항이 실시예 1 대비 증가하며, 수명 성능이 매우 저하되고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저항은 실시예 1에 비해 다소 낮지만, 셀 강성이 매우 저하되며, 특히 못 관통 실험 시 모두 발화되므로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이차전지
100: 전극 조립체
U: 기본 단위체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130: 분리막
130a: 제1 분리막
130b: 제2 분리막
131: 다공성 기재
132a, 132b: 세라믹 코팅층
140, 141, 142: 접착제 도포 흔적
140a: 도포된 접착제
200: 겔 폴리머 전해질
300: 전지 케이스
310: 커버
400, 500: 전극 탭
600: 노즐
100: 전극 조립체
U: 기본 단위체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130: 분리막
130a: 제1 분리막
130b: 제2 분리막
131: 다공성 기재
132a, 132b: 세라믹 코팅층
140, 141, 142: 접착제 도포 흔적
140a: 도포된 접착제
200: 겔 폴리머 전해질
300: 전지 케이스
310: 커버
400, 500: 전극 탭
600: 노즐
Claims (19)
- 전극 조립체;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3중량% 내지 98중량%의 무기물 입자 및 2중량% 내지 7중량%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10㎛인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두께는 1㎛ 내지 20㎛인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리튬 염, 중합 개시제 및 올리고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의 경화물인 이차전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1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이차전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 화합물은 불소계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계 올리고머 및 폴리실록산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고,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과 상기 전극 조립체가 상기 전지 케이스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접착제가 제거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 도포 흔적이 존재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도포되는 이차전지.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도포 면적은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이 접하는 면의 면적에 대하여 0% 초과 1% 이하인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교대로 적층되는 이차전지.
- 전극 조립체를 상기 전지 케이스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케이스에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지 케이스를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복수의 전극 및 복수의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분리막 각각은 상기 적층된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92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의 무기물 입자 및 0중량% 초과 8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및 상기 분리막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서로 접착되어 제조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 형태로 도포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 주입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제거된 후,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 도포 흔적이 존재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6028A KR20230110024A (ko) | 2022-01-14 | 2022-01-14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EP23740522.0A EP4435923A1 (en) | 2022-01-14 | 2023-01-13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PCT/KR2023/000699 WO2023136679A1 (ko) | 2022-01-14 | 2023-01-13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N202380015312.7A CN118414737A (zh) | 2022-01-14 | 2023-01-13 | 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6028A KR20230110024A (ko) | 2022-01-14 | 2022-01-14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0024A true KR20230110024A (ko) | 2023-07-21 |
Family
ID=8727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6028A KR20230110024A (ko) | 2022-01-14 | 2022-01-14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435923A1 (ko) |
KR (1) | KR20230110024A (ko) |
CN (1) | CN118414737A (ko) |
WO (1) | WO202313667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1370B1 (ko) * | 2012-04-02 | 2018-09-21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셀 |
CN106797048B (zh) * | 2014-10-02 | 2019-05-21 | 株式会社Lg化学 | 凝胶聚合物电解质和包括该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
JP6678389B2 (ja) * | 2014-12-26 | 2020-04-08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 二次電池用バインダ、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二次電池 |
JP6570926B2 (ja) * | 2015-09-03 | 2019-09-04 |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
KR102338540B1 (ko) * | 2018-04-10 | 2021-12-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2
- 2022-01-14 KR KR1020220006028A patent/KR2023011002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3
- 2023-01-13 CN CN202380015312.7A patent/CN118414737A/zh active Pending
- 2023-01-13 WO PCT/KR2023/000699 patent/WO202313667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1-13 EP EP23740522.0A patent/EP443592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35923A1 (en) | 2024-09-25 |
CN118414737A (zh) | 2024-07-30 |
WO2023136679A1 (ko) | 2023-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8127B1 (ko) |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737223B1 (ko) |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US11658339B2 (en) |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CN115398735B (zh) | 用于电化学装置的复合隔板和制造其的方法 | |
CN111386624A (zh) |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由该组合物制备的凝胶聚合物电解质和包括该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 |
KR20190064257A (ko) |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2255536B1 (ko) |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2685092B1 (ko) | 이차전지 | |
EP4435923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EP4443592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20230110026A (ko)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30110028A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JP7134544B2 (ja) | ゲルポリマー電解質用組成物、これから製造されるゲルポリマー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KR20150029090A (ko) | 접착력이 향상된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30110027A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KR20230109978A (ko) | 이차전지 | |
KR20220155024A (ko) | 세퍼레이터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세퍼레이터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 |
KR20230109979A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KR20230110025A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KR102406744B1 (ko) |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US20240014511A1 (en) | Separator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same | |
KR20190064282A (ko) |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2024501710A (ja) | ゲルポリマー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ゲルポリマー電解質二次電池 | |
KR20240059818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 전지 | |
KR20240026748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