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10585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855A
KR20230105855A KR1020220001405A KR20220001405A KR20230105855A KR 20230105855 A KR20230105855 A KR 20230105855A KR 1020220001405 A KR1020220001405 A KR 1020220001405A KR 20220001405 A KR20220001405 A KR 20220001405A KR 20230105855 A KR20230105855 A KR 2023010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unit
output unit
output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원
신효상
최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855A/ko
Priority to CN202380016403.2A priority patent/CN118510954A/zh
Priority to PCT/KR2023/000195 priority patent/WO2023132644A1/ko
Priority to EP23737392.3A priority patent/EP4455387A1/en
Publication of KR2023010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 위치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설정되는 코스선택화면을 상기 외부장치에 마련되는 타출력부와 동시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함)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코스 또는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코스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처리코스에서 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터브가 구비될 수 있고, 터브의 내부에 상기 드럼이 설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의류를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은 캐비닛의 상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하며, 프론트 로딩 방식은 캐비닛의 전면을 통해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4029호를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와 타 의류처리장치가 각각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서로 별개의 의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는 타 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처리코스의 정보 또는 상태 등을 수신하여 이에 적합한 의류의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별개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별개의 의류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별개의 의류처리장치는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어느 하나의 처리장치 위에 타 처리장치가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타 처리장치의 조작부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에 지나치게 높게 위치되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복수의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는 데에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조작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타 의류처리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타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면서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의류의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처리코스의 제공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의 타 처리장치에 해당하는 외부장치와의 정보 교환을 통한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어링모드에서 제어부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통해 외부장치의 제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는 외부장치에 구비되는 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에는 페어링 제어모드에 해당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표시가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의 타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차이점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제어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코스를 수행한다.
입력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입력된다. 출력부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 위치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설정되는 코스선택화면을 상기 외부장치에 마련되는 타출력부와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제어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타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표시가 제외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화면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설정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타출력부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화면에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되며, 상기 출력부가 상기 옵션설정화면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으로 복귀되면, 상기 타출력부의 상기 코스선택화면에 표시되는 설정값은 상기 출력부의 상기 옵션설정화면에서 결정된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변경 불가능한 옵션은 비활성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의 시작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시작표시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시작표시는 상기 출력부에 현재 출력된 화면상에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타출력부가 상기 외부처리코스의 진행정도를 표시하는 코스진행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외부장치가 작동중임을 표시하는 작동알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알림화면은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일시정지 안내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알림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일시정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타출력부와 함께 상기 외부장치의 일시정지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이 허용되는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 수행을 위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슬립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타제어부에게 웨이크업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에는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처리코스가 수행된 이후, 상기 복수의 외부처리코스 중 상기 처리코스에 대한 추천 외부처리코스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타출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상기 처리코스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코스에 해당하고,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외부처리코스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타 의류처리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를 통해 타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면서 사용자에게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의류처리장치가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의류의 처리를 위한 효율적인 처리코스의 제공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가 생략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통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외부장치가 병렬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외부장치가 직렬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하는 코스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하는 옵션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옵션을 화면에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옵션을 옵션설정부에 표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하는 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처리코스와 외부장치의 외부처리코스간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할 드럼(3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정의된다.
캐비닛(10)은 다각기둥 또는 원형기둥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캐비닛(10)은 복수의 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복수의 패널이 일체로 성형되어 절곡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캐비닛(10)이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패널은 전면패널(11), 후면패널, 상면패널(12), 하면패널(13) 및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에는 의류가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18)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는 캐비닛(10)의 일면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캐비닛(10)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입구가 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는 캐비닛(10)의 전면패널(11) 또는 상면패널(1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개구(18)가 전면패널(11)에 형성되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취하거나 상면패널(12)에 형성되어 탑 로딩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에는 의류개구(18)가 캐비닛(10)의 전면패널(11)에 형성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의류개구(18)의 개폐를 위한 의류도어(19)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19)는 의류개구(18)의 개폐가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도어(19)가 캐비닛(10)에 힌지결합되어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의류도어(19)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의류개구(18)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의류도어(19)는 힌지를 중심으로 캐비닛(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됨으로써 의류개구(18)를 개방시킬 수 있고, 힌지를 중심으로 캐비닛(10)에 밀착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의류개구(18)를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상기 의류도어(19)의 잠금 상태를 위한 도어잠금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장금부는 의류도어(19)가 의류개구(18)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의류도어(19)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상기 도어잠금부(17)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잠금부(17)의 작동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의류도어(19)의 폐쇄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잠금부(17)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폐쇄상태의 의류도어(19)가 개방상태로 변하지 않도록 상기 의류도어(19)를 잠금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어잠금부(17)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의류도어(19)는 자동적으로 의류개구(18)를 개방시키도록 회전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개방상태로 자유롭게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조작부(100)가 구비될 수 있고, 조작부(100)는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전면패널(11)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조작부(100)의 위치, 형상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1), 예컨대 제어부(90)간의 신호 또는 정보의 교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조작부(1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에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제공급부(40), 드럼(30) 및 터브(20) 등이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터브(20)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의류의 세탁코스, 헹굼코스 등 의류의 처리를 위해 다량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세탁코스 등과 같이 세탁수를 활용하는 의류의 처리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캐비닛(10)의 내부에 터브(20)가 구비되고 터브(20)의 내부에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1)가 상기 세탁코스 등과 달리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코스 등 세탁수의 사용이 불필요한 처리코스만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상기 터브(20)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가 존재하지 않고 드럼(30)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드럼(30)은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8)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양한 처리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터브(20)와 드럼(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제공급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는 의류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코스 등에서 세탁효과를 발생 및 증진시키기 위한 세제를 드럼(30) 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의 단말기(95)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95)란 의류처리장치(1)와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폰, 컴퓨터 등이 상기 단말기(95)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통해 단말기(95)와 통신이 이루어지며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95) 등과의 통신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부(110) 및 제어부(9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입력부(110) 및/또는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는 함께 위치되거나 서로 구분되도록 분리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는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0)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가 함께 배치되어 하나의 컨트롤패널로서 마련된 조작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134)를 둘러싸는 형태의 화면둘레부(132)와, 상기 화면둘레부(132)상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134)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사용자에게 청각신호, 예컨대 각종 알림음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다양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조작되는 버튼류, 사용자의 손 등에 접촉되어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류,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 등을 전달받는 마이크류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튼이란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되는 물리식 버튼과, 사용자의 손 등이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식 버튼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버튼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입력부(110)는 전원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면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 전력과 연결되되 일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대기상태 또는 슬립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전원버튼(111)이 조작되면 상기 나머지 구성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의류의 처리코스 수행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전원인가상태 또는 웨이크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상태 및 전원인가상태와 무관하게 상시 외부전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대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대기부는 상기 슬립상태에서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면 제어부(90) 등 타 구성으로 전원 인가를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버튼(11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버튼(113)은 상기 출력부(130)의 화면둘레부(132)에 구비되거나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버튼(113)은 디스플레이(134)의 터치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버튼(113)은 상기 디스플레이(134)에서 출력되는 화면 정보에 기초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34)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특정 영역 또는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버튼(113)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이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버튼은 화면둘레부(132)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버튼은 상기 화면둘레부(132) 등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조그 타입으로 대체되거나 디스플레이(134)의 터치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동버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34)에 출력되는 화면상에서 복수의 목록 중 선택될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수행버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행버튼(112)을 일시정지버튼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의 제어 등을 통해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처리코스의 수행 또는 일시정지를 위해 상기 수행버튼(112)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페어링제어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의 타 장치, 예컨대 외부장치(2)와 통신이 허용되어 상호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페어링모드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페어링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2)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페어링제어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페어링제어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입력부(110)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페어링된 외부장치(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캐비닛(10)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장치(2)와 통신이 허용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의 페어링제어버튼(114)을 입력하면, 제어부(90)는 입력부(110)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로 직접 명령을 송신하는 페어링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 또한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에 의해 페어링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입력부(110)는 옵션설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조작하여 복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코스가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처리코스는 의류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탁코스, 의류를 헹구기 위한 헹굼코스, 원심력 등 물리적인 방식으로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코스, 물의 증발과 같은 상변화를 통해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각각 조절 가능한 복수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옵션은 각각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옵션의 설정값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조작하여 설정값의 변경이 허용되는 옵션들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옵션들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초기 설정값을 가지도록 설정되고, 사용자는 옵션설정부(115)를 통해 특정 옵션의 설정값을 상기 초기 설정값으로부터 다른 옵션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옵션설정부(115)는 각 옵션의 변경을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선택된 처리코스에서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옵션에 대해서는 조작이 허용되고, 사용자가 변경 불가능한 옵션에 대해서는 신호 발생이 금지되도록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현재 선택된 처리코스에 대해서 사용자 변경이 가능한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이를 반영하되, 사용자 변경이 불가능한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해당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앞서 언급된 복수의 버튼 외에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20)와 세제공급부(4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의류의 세탁코스 등을 수행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및 세제공급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브(20)의 일면에는 캐비닛(10)의 의류개구(18)를 마주보는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의류개구(18)를 마주보는 터브(20)의 전면에는 터브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8)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22)를 통해 터브(2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은 구동부(3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5)는 터브(20)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드럼(30)은 후면과 연결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35)는 상기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거나 벨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터브개구(22)를 향하는 일면에 드럼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30)의 내부는 드럼개구(32), 터브개구(22) 및 의류개구(1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의류개구(18)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의류개구(18),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를 지나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의류개구(18), 터브개구(22) 및 드럼개구(32)는 드럼(3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이 수용되는 터브(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30)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터브(20) 내부의 물이 드럼(30) 내부로도 유입되어 의류에 물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캐비닛(10)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수원, 예컨대 도시의 수도원 등과 연결되어 캐비닛(1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60)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10)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은 급수관(62)을 따라 유동되어 터브(20)의 내부로 직접 제공되거나 세제공급부(40)로 제공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는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제를 터브(20) 또는 드럼(3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62)이 세제공급부(40)에 연결되는 경우, 세제공급부(40)는 급수관(62)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세탁코스 등에서 터브(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부(70)를 제어하여 배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배수부(70)는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동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고, 배수관에서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배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관에서 물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력을 소비하는 다양한 구성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다양한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기능적으로 외부 또는 타 구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 및 정보 처리를 위한 연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각 구성별로 구비되는 서브제어부(90)와, 상기 서브제어부(90)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브제어부(90)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제어부(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기능별 또는 구성별로 구분되는 제어부(90)의 세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공간적 및 기능적으로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부 구성의 적어도 일부가 공간상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20) 및 세제공급부(40)가 제거되고 의류의 건조코스가 수행 가능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터브(20)가 생략된 형태에서 드럼(30)은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35)는 캐비닛(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드럼(30) 자체 또는 드럼(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30) 내부의 의류에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50)는 하면패널(13)상에 위치되어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드럼(30) 외부에 구비되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고, 드럼(30) 내부를 경유한 공기가 다시 유입되는 방식의 가열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열부(50)는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유로(5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이 증발되어 발생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존재하고,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유로(51)로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의 내부에서 드럼개구(32)를 통해 드럼(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유로(51)로 유입되어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50)는 제습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52)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접촉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공기중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습부(52)를 지나면서 수증기가 크게 감소되도록 제습될 수 있다.
가열부(50)는 승온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승온부(53)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직접 접촉되거나 열적으로 접촉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습부(52)와 승온부(53)를 경유하면서 고온 건조해질 수 있다.
가열부(50)는 제습부(52) 및 승온부(53)를 형성하는 유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확산밸브 및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습부(52)는 팽창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승온부(53)는 응축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0)가 상기 유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습부(52) 및 승온부(53)는 다양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가열부(50)는 공기팬(5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팬(54)은 공기유로(51)와 연통된 공간, 예컨대 공기유로(51)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팬(54)의 작동으로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51)를 유동하며 폐순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0)는 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유로(5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드럼(3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드럼(30)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도 4의 가열부(50)는 건조코스를 수행하기 위한 가열부(50)의 일례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 의류에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부(50)의 방식이나 종류가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가열부(50)는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드럼(30) 내부로 제공하고 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부(50)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지 않으며 드럼(30) 내부에서 공기를 가열하고 제습하는 정체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와 도 4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되어 도시되었을 뿐, 각 구성을 서로 병존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급수부(60), 터브(20), 세제공급부(40) 등을 포함함과 동시에, 의류의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가열부(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환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와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외부에 배치된 외부장치(2)와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와 통신을 통해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 또는 타통신부와 정보를 교환하며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외부장치(2)와 연결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2)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장치(2)는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90)와 별개로 외부장치(2)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의 제어를 위한 타제어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는 타제어부(3)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상황이나 의류의 처리상태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되는 타출력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외부장치(2)는 의류의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장치(2)가 모두 의류의 세탁코스 또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와 외부장치(2)가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2)의 타통신부와 블루투스 방식 등으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 또는 통신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 및 외부장치(2)와 별개로 구비되어 통신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통신매체(96)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통신매체(96)는 와이파이신호를 발생시키며, 제어부(90)는 상기 와이파이신호에 기초하여 외부통신매체(96)와 정보를 교환하며, 외부장치(2)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90)와 구분되는 타제어부(3)는 상기 외부통신매체(96)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제어부(90)에서 송신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90)가 직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및 신호발생수단으로서 외부통신매체(96)를 이용하는 경우에서, 제어부(90)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는 정보 또는 제어부(90)가 전달받은 정보의 수집 경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가 직접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경우라도, 제어부(90)는 직접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버(97)로 신호를 전달하여 타제어부(3)가 상기 서버(9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90)가 외부통신매체(96)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부(90)로부터 외부통신매체(96)로 전달되는 정보가 직접 외부장치(2)로 전달될 수도 있고, 외부통신매체(96)로 전달되는 정보가 상기 서버(97)로 전달된 이후,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가 상기 서버(97)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제어부(90)와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는 송신자 및 수신자의 관계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사용자의 단말기(95)와도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단말기(95)를 통해 현재 작동상태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95)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단말기(95)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원격제어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90)와 단말기(95)간의 통신 또는 정보 교환 방식은 전술한 제어부(90)와 타제어부(3)간의 통신 또는 정보 교환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단말기(95)와 직접 정보를 주고받거나, 외부통신매체(96) 및/또는 서버(97)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2)와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페어링모드가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2)와 직렬적으로 설치되어 페어링모드가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장치(2)와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을 통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와 유사하게 의류의 처리를 위한 외부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유사하게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드럼(5)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장치(2)의 각종 전기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타제어부(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상기 외부장치(2)의 작동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타출력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복수의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외부장치(2) 또한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복수의 외부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는 세탁코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처리코스는 건조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외부처리코스가 반드시 상기 복수의 처리코스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외부장치(2)와 정보적으로 연동되는 페어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링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상기 외부장치(2)는 통신의 안정성 담보 및 제품의 사용상 권고되는 설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의류처리장치(1) 및 상기 외부장치(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된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통신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설계적인 권장 배치 사항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외부장치(2)와의 페어링모드가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상기 외부장치(2)간의 배치조건 충족 여부는 감지기 등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는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 및 상기 특정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기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외부장치(2)에는 상기 신호발생기 및 상기 신호감지기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신호감자기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배치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제어부(90)가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상기 외부장치(2)와의 배치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장치(2)간 배치조건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배치 관계 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는 페어링모드에서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와 통신이 허용되어 각 장치의 작동 상태 또는 의류의 처리과정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여 작동과정에 반영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사용하면서 외부장치(2)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외부장치(2)에서 수행되는 처리과정을 반영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될 처리코스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페어링 제어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130)는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 드럼(30), 제어부(90), 입력부(11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는 전술한 처리코스를 통해 필요한 처리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전술한 구동부(35), 세제공급부(40), 가열부(50) 등을 제어하면서 의류의 세탁코스, 건조코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전술한 페어링제어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캐비닛(10) 외부에 위치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외부장치(2)를 제어하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설정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상기 외부장치(2)에 마련되는 타출력부(4)와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페어링 제어모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외부장치(2)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거리가 멀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위에 적층되어 조작이 어려운 외부장치(2)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외부장치(2)의 작동을 위한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13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코스가 아닌 상기 외부장치(2)에서 수행되는 외부처리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입력부(110)의 조작을 통해 외부처리코스를 효과적으로 선택 및 진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의류처리장치(1)의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나타내며, 도 8(d), 도 8(e) 및 도 8(f)는 외부장치(2)에 구비되는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나타낸다.
또한, 출력부(130)에 도 8(a)의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타출력부(4)에 출력되는 화면이 도 8(d)에 해당하고, 출력부(130)에 도 8(b)의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타출력부(4)에 출력되는 화면이 도 8(e)에 해당하며, 출력부(130)에 도 8(c)의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타출력부(4)에 출력되는 화면이 도 8(f)에 해당할 수 있다.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타출력부(4)와 동시에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 선택 및 설정을 위한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통해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 선택 및 설정을 진행하면서 외부장치(2)의 타출력부(4)를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외부장치(2)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출력부(130)에서 페어링 제어모드에 따른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하면서도 상기 타출력부(4)에서도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 출력됨으로써, 외부장치(2)가 페어링 제어모드에 있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고 외부장치(2)의 코스선택과정을 타출력부(4)를 통해서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상기 외부장치(2)가 서로 구획된 공간상에 위치되거나,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의 각 화면을 사용자가 동시에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보고 편리하게 외부처리코스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고, 나아가 출력부(130)의 화면 확인이 어렵더라도 타출력부(4)의 화면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통해 제어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제어표시(M10)를 포함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은 페어링 제어표시(M1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은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의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페어링 제어표시(M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은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페어링 제어모드에 따른 특정 표시 또는 특정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8(a)는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나타내고, 도 8(d)는 출력부(130)에서 도 8(a)에 동일한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타출력부(4)로부터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나타낸다.
즉,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타출력부(4)는 상기 페어링 제어표시(M10)가 제외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a)와 같이 출력부(130)의 코스선택화면(P200)은 후술할 페어링 시작표시(M3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8(b)와 같이 상기 페어링 시작표시(M30)가 사라진 코스선택화면(P200)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들은 모두 복수의 외부처리코스 중 현재 선택 대상이 되는 외부처리코스의 코스명과 해당 외부처리코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의 코스선택화면(P200)들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상기 간략한 설명이 사라지며 해당 외부처리코스에 대한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도 8(b)와 같이 어느 하나의 외부처리코스가 표시된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하고자 하는 외부처리코스를 변경하는 경우, 도 8(c)와 같이 다른 외부처리코스를 표시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에서 도 8(b)와 같은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는 도 8(e)와 같이 출력부(130)의 코스선택화면(P200)과 동일한 코스명을 표시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의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외부처리코스가 도 8(b)에서 도 8(c)와 같이 변경되는 경우, 타출력부(4) 또한 도 8(e)에서 도 8(f)와 같이 출력부(130)와 동일하게 변경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에서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원하는 외부처리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선택과정에서, 출력부(130)와 타출력부(4)는 외부처리코스에 대해 서로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130)의 코스선택화면(P200)은 타출력부(4)와 달리 페어링 제어표시(M10)를 포함할 수 있고, 타출력부(4)는 상기 페어링 제어표시(M10)가 제외한 상태의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에 페어링 제어표시(M10)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아닌 외부장치(2)를 페어링 제어하는 것임을 편리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부장치(2)의 코스선택화면(P200)에는 페어링 제어표시(M10)가 생략됨으로써, 직접 외부장치(2)가 제어되는 것과 동일하게 인식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페어링 제어모드에 대한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페어링 제어표시(M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페어링 제어표시(M1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코스선택화면(P200)의 일부에 배치되고 페어링 제어모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장치(2)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에 의해 페어링 제어모드가 수행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출력부(130)가 코스선택화면(P200)으로부터 전환되는 옵션설정화면(P250)을 출력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출력부(130)의 화면 변화에 대응되는 타출력부(4)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9(d), 도 9(e) 및 도 9(f)는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출력부(130)에 도 9(a)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9(d)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고, 출력부(130)에 도 9(b)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9(e)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부(130)에 도 9(c)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9(f)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상기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설정화면(P250)을 출력하고, 상기 타출력부(4)는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을 유지할 수 있다.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코스선택화면(P200)에 표시되는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코스선택화면(P200) 등에서 입력부(110)의 옵션설정부(115) 등을 조작함으로써 외부처리코스에 대한 각 옵션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9(a)와 같이 복수의 외부처리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 대상으로 표시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은 각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 표시영역(M2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는 모두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도 9(a) 및 도 9(d)와 같이 옵션 표시영역(M20)을 포함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입력부(110)나 단말기(95)를 통해 옵션의 설정값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도 9(b)와 같이 해당 외부처리코스에 대한 옵션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설정화면(P250)을 출력할 수 있다.
옵션설정화면(P250)에는 해당 외부처리코스에서 조절 대상이 되는 옵션명과 해당 옵션에 대해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옵션값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설정화면(P25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옵션의 설정값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의 화면이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옵션설정화면(P250)으로 전환되는 경우, 타출력부(4)의 화면은 도 9(d) 및 도 9(e)와 같이 동일한 코스선택화면(P200)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출력부(130)를 통해 현재 조절되는 옵션 및 그 옵션값을 편리하게 확인하면서, 외부장치(2)의 타출력부(4)에 출력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통해 현재 옵션의 설정값이 조절되는 대상인 외부처리코스가 무엇이며 현재의 설정값은 무엇인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에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되며, 상기 출력부(130)가 상기 옵션설정화면(P250)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으로 복귀되면, 상기 타출력부(4)의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에 표시되는 설정값은 상기 출력부(130)의 상기 옵션설정화면(P250)에서 결정된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 완료되면, 도 9(b) 및 도 9(c)와 같이 출력부(130)는 옵션설정화면(P250)에서 다시 코스선택화면(P2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옵션설정화면(P250)을 통해 결정되는 옵션의 설정값이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의 옵션 표시영역(M2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의 화면이 코스선택화면(P200)에서 옵션설정화면(P250)으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타출력부(4)는 도 9(e)와 같이 여전히 코스선택화면(P200)을 유지할 수 있고, 출력부(130)의 화면이 옵션설정화면(P250)에서 다시 코스선택화면(P200)으로 복귀하는 경우, 타출력부(4)는 도 9(e) 및 도 9(f)와 같이 코스선택화면(P200)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옵션설정화면(P250)을 통해 옵션의 설정값을 복수의 옵션값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한 경우, 타출력부(4)의 코스선택화면(P200)에 표시되는 옵션 표시영역(M20)은 도 9(f)와 같이 출력부(130) 및 입력부(110)를 통해 변경된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의 타출력부(4)는 사용자에 의해 옵션이 설정되는 과정에서 선택 대상이 되는 외부처리코스를 표시하는 코스선택화면(P200)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옵션의 설정값이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어느 하나의 외부처리코스에 대한 복수의 옵션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는 활성화된 옵션 및 비활성화된 옵션이 서로 다르게 표시된 옵션설정부(115)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단말기(95)를 통해 변경 불가능한 옵션은 비활성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코스 및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외부장치(2)에 해당할 수도 있다) 각각에 대해 복수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옵션조절화면이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만,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외부처리코스들은 각각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조절이 불가능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외부장치(2)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인 경우, 외부처리코스로서 건조코스는 건조정도 옵션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입력부(110)는 건조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버튼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처리코스 중 일부는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된 옵션 설정값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이유에서 외부처리코스에 대해 사용자가 변경 불가한 옵션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90)는 해당 옵션에 대해 비활성화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a)에는 복수의 옵션 중 하나로서 '절약모드' 옵션에 대해 설정 가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b)에는 상기 '절약모드' 옵션이 설정 불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90)는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옵션설정화면(P250)에 표시되는 복수의 옵션 중 설정 가능한 옵션과 설정 불가한 옵션을 글자의 밝기 차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차이로 표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글자의 밝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출력부(130)의 표현을 통해 활성화된 옵션과 비활성화된 옵션을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의 옵션설정부(115)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옵션설정부(115)는 복수의 옵션 각각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제1옵션, 제2옵션 및 제3옵션이 표시되어 있으며, 그 중 제1옵션 및 제2옵션이 소등되고 제3옵션이 점등되어 제1옵션 및 제2옵션이 비활성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상기 조작부(100)를 제어하여 현재 선택된 외부처리코스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값을 변경할 수 없는 제1옵션 및 제2옵션을 소등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변경 불가한 옵션을 표시하고, 해당 옵션에 대한 조절버튼을 비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력부(130), 입력부(110) 및 단말기(95) 등에서 사용자가 변경 불가한 옵션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옵션설정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2)에 대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의 시작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시작표시(M3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의 페어링제어버튼(114) 또는 단말기(95)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90)는 외부장치(2)를 제어하기 위한 페어링 제어모드에 진입하게 되고, 페어링 제어모드의 시작과 함께 화면상에 페어링 시작표시(M30)가 출력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어링 시작표시(M30)는 상기 출력부(130)에 현재 출력된 화면상에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8(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페어링 제어모드의 시작을 알리는 문구를 포함하는 페어링 시작표시(M30)가 코스선택화면(P200)상에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출력부(130)는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상기 페어링 시작표시(M30)가 일정시간 표시된 이후 사라지도록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페어링 시작표시(M30)는 기존의 화면, 예컨대 코스선택화면(P200)을 이용한 코스선택과정에서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팝업 형태로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된 이후 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코스진행과정 중 의류처리장치(1)의 출력부(130) 및 외부장치(2)의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12(d), 도 12(e) 및 도 12(f)는 타출력부(4)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다.
출력부(130)에 도 12(a)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12(d)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고, 출력부(130)에 도 12(b)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12(e)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부(130)에 도 12(c)의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타출력부(4)에는 도 12(f)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타출력부(4)가 상기 외부처리코스의 진행정도를 표시하는 코스진행화면(P300)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외부장치(2)가 작동중임을 표시하는 작동알림화면(P31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와 같이 페어링 제어모드에 따라 출력부(130)에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되는 경우, 외부장치(2)의 타출력부(4)는 도 12(d)와 같이 출력부(130)와 함께 코스선택화면(P20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에 코스선택화면(P200)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0)의 수행버튼(112) 또는 단말기(95) 등을 통해 상기 코스선택화면(P200) 표시된 외부처리코스의 수행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타출력부(4)는 도 12(e)와 같이 외부처리코스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코스진행화면(P300)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출력부(130)에서 상기 코스진행화면(P300) 대신 도 12(b)와 같이 의류 처리를 위해 외부장치(2)가 작동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작동알림화면(P31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작동알림화면(P310)에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통해 작동중인 외부장치(2)가 표시되며, 이를 통해 현재 출력부(130) 및 입력부(110)를 통해 외부처리코스가 설정되고 수행되는 주체가 상기 외부장치(2)임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페어링 제어모드 수행을 통해 외부장치(2)에서 외부처리코스가 진행되는 경우, 타출력부(4)는 직접 코스진행화면(P300)을 출력하고 출력부(130)는 작동알림화면(P310)을 출력함으로써, 제어 주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이고 작동 주체는 상기 외부장치(2)임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어 주체가 외부장치(2)이고 작동 주체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인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알림화면(P310)은 상기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2)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일시정지 안내표시(M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처리코스가 진행된 상황에서는 외부장치(2)와 마찬가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입력부(110) 또한 특정 버튼을 제외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무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현재 진행중이 외부처리코스의 정지가 요구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 등에서 일시정지버튼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시정지버튼은 전술한 수행버튼(112)과 동일한 버튼일 수 있고, 다만 일시정지버튼과 수행버튼(112)이 서로 구분되어 별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작동알림화면(P310)에 외부장치(2)의 코스진행과정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는 일시정지 안내표시(M40)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작동알림화면(P3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일시정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타출력부(4)와 함께 상기 외부장치(2)의 일시정지화면(P32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장치(2)의 코스진행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입력부(110)를 통해 외부처리코스를 일시정지 시키는 경우, 타출력부(4)는 도 12(e) 및 도 12(f)와 같이 코스진행화면(P300)에서 일시정지화면(P3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30)는 도 12(b) 및 도 12(c)와 같이 전술한 작동알림화면(P310)에서 일시정지화면(P3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장치(2)에서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코스진행과정에서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가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코스진행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시정지가 요청되면 다시 출력부(130) 및 타출력부(4)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시정지화면(P320)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전술한 코스선택화면(P200)과 같이 현재 페어링 제어모드가 수행되어 제어대상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아니라 상기 외부장치(2)임을 알리는 페어링 제어표시(M10)를 상기 일시정지화면(P320)에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외부장치(2)와 통신이 허용되는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95)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 수행을 위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링 제어모드는 상호 페어링된 장치간에서 허용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90)는 페어링 모드가 허용된 외부장치(2)에 대해 입력부(110)의 페어링제어버튼(114) 등이 입력되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외부장치(2)의 슬립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10) 또는 상기 단말기(95)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타제어부(3)에게 웨이크업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복수의 기능 및/또는 하위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기능 및/또는 하위 구성에는 전원대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대기부는 상기 입력부(110)의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는 전원인가상태가 아니라도 외부로부터 상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전원버튼(111)이 입력되면 상기 전원대기부에 의해 상기 전원대기부 외의 각종 전력소비장치로 전원인가를 허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원대기부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대기상태 또는 슬립상태로부터, 전원의 인가가 요청되면 전원대기부의 제어에 따라 타 구성으로의 전력 공급이 수행되는 전원인가상태 또는 웨이크업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외부장치(2)가 상기 대기상태로 대기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에 페어링 제어모드의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에게 전원인가상태 또는 웨이크업상태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타제어부(3)는 사용자가 외부장치(2)의 전원버튼(111)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전원인가상태 또는 웨이크업상태로 전환되어 외부처리코스의 설정 및 진행을 준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처리코스가 수행된 이후, 상기 복수의 외부처리코스 중 상기 처리코스에 대한 추천 외부처리코스가 상기 출력부(130) 또는 상기 타출력부(4) 또는 상기 단말기(9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코스와 상기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가 관련되어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되는 기능을 코스 페어링 기능으로 정의한다.
상기 코스 페어링 기능은 상호 페어링상태에 있는 장치간에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외부장치(2)와 이미 페어링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코스가 수행되면 외부장치(2)의 타제어부(3)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외부처리코스를 제안할 수 있고, 외부장치(2)의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90)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처리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코스 페어링 기능은 전술한 페어링 제어모드의 수행이 없더라도 가능하고, 제어부(90)의 처리코스 제안은 출력부(130), 타출력부(4) 또는 단말기(95)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에는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에 의해 이루어지는 코스 페어링 기능에서 처리코스와 외부처리코스간의 제안 관계의 일례가 표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는 의류처리장치(1) 또는 외부장치(2) 중 어느 하나에서 선행하여 수행되는 선행코스에 대해, 의류처리장치(1) 또는 외부장치(2) 중 나머지 하나에서 연계하여 수행되는 후행코스를 추천할 수 있다.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는 선행코스의 특징과 관련된 후행코스를 추천할 수 있고, 이러한 선행코스와 후행코스간의 관계가 도 13과 같이 미리 맵핑되어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선행코스로서 AI기능이 접목되는 '인공지능코스'가 수행되면,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는 후행코스로서 AI기능이 접목되는 '인공지능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선행코스로서 이불 세탁에 특화된 이불코스가 수행되면 후행코스 또한 이불 처리에 특화된 이불코스가 제안될 수 있으며, 선행코스로서 시간 단축에 특화된 '급속코스'가 수행되면 수행코스 또한 '급속코스'가 제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행코스로서 의류의 살균 효과를 포함하는 '삶음코스'가 수행되면 후행코스로서 살균 효과를 가지는 '살균코스'가 제안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90) 및 타제어부(3)는 선행코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 및 특징을 가지는 후행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선행코스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지는 후행코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후행코스가 사용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어부(90)는 또는 타제어부(3)를 통해 사용자에게 코스 페어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장치(2)간 정보 교환이 허용되는 페어링모드의 유리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술한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90)의 상기 처리코스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코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장치(2)의 상기 외부처리코스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처리코스가 의류의 세탁과 관련된 처리코스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장치(2)에서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외부처리코스는 의류의 건조와 관련된 외부처리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선행코스로서 세탁코스가 수행된 이후, 제어부(90) 또는 타제어부(3)는 외부장치(2)의 후행코스로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서 수행된 세탁코스와 연계되는 최적 건조코스를 후행코스로서 제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류 처리에 대한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코스를 수행하고 외부장치(2)가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상기 외부장치(2)의 세탁코스 수행 이후 상기 코스 페어링 기능을 통해 제어부(90)가 최적 건조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2 : 외부장치
3 : 타제어부 4 : 타출력부
10 : 캐비닛 11 : 전면패널
12 : 상면패널 13 : 하면패널
14 : 베이스부 17 : 도어잠금부
18 : 의류개구 19 : 의류도어
20 : 터브 22 : 터브개구
30 : 드럼 32 : 드럼개구
35 : 구동부 40 : 세제공급부
50 : 가열부 51 : 공기유로
52 : 제습부 53 : 승온부
54 : 공기팬 60 : 급수부
62 : 급수관 70 : 배수부
90 : 제어부 95 : 단말기
96 : 외부통신매체 97 : 서버
100 : 조작부 110 : 입력부
111 : 전원버튼 112 : 수행버튼
113 : 디스플레이버튼 114 : 페어링제어버튼
115 : 옵션설정부 130 : 출력부
132 : 화면둘레부 134 : 디스플레이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 위치되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처리코스가 수행되는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설정되는 코스선택화면을 상기 외부장치에 마련되는 타출력부와 동시에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제어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표시가 제외되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옵션의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설정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타출력부는 상기 코스선택화면을 유지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에는 상기 옵션의 설정값이 표시되며,
    상기 출력부가 상기 옵션설정화면에서 상기 코스선택화면으로 복귀되면, 상기 타출력부의 상기 코스선택화면에 표시되는 설정값은 상기 출력부의 상기 옵션설정화면에서 결정된 값으로 변경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변경 불가능한 옵션은 비활성상태로 표시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의 시작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페어링 시작표시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시작표시는 상기 출력부에 현재 출력된 화면상에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에서 상기 타출력부가 상기 외부처리코스의 진행정도를 표시하는 코스진행화면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외부장치가 작동중임을 표시하는 작동알림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알림화면은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일시정지 안내표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알림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일시정지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타출력부와 함께 상기 외부장치의 일시정지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이 허용되는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 수행을 위한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슬립상태에서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페어링 제어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타제어부에게 웨이크업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페어링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에는 상기 외부처리코스가 복수개로 설정되고,
    상기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처리코스가 수행된 이후, 상기 복수의 외부처리코스 중 상기 처리코스에 대한 추천 외부처리코스가 상기 출력부 또는 상기 타출력부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안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처리코스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코스에 해당하고,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외부처리코스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코스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01405A 2022-01-05 2022-01-05 의류처리장치 KR2023010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405A KR20230105855A (ko) 2022-01-05 2022-01-05 의류처리장치
CN202380016403.2A CN118510954A (zh) 2022-01-05 2023-01-05 衣物处理设备
PCT/KR2023/000195 WO2023132644A1 (ko) 2022-01-05 2023-01-05 의류처리장치
EP23737392.3A EP4455387A1 (en) 2022-01-05 2023-01-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405A KR20230105855A (ko) 2022-01-05 2022-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55A true KR20230105855A (ko) 2023-07-12

Family

ID=8707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405A KR20230105855A (ko) 2022-01-05 2022-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455387A1 (ko)
KR (1) KR20230105855A (ko)
CN (1) CN118510954A (ko)
WO (1) WO20231326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KR20060086090A (ko) * 2005-01-26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통신이 가능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2915B1 (ko) * 2018-03-09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14029A (ko) 2018-07-31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의 페어링을 설정하는 온라인 시스템
KR102236743B1 (ko) * 2020-01-03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2611481U (zh) * 2020-05-28 2021-02-26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644A1 (ko) 2023-07-13
CN118510954A (zh) 2024-08-16
EP4455387A1 (en) 202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5458B2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71944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41169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34869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222997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52395A (ja) 洗濯乾燥機
KR100531333B1 (ko) 세탁기
KR20230105855A (ko) 의류처리장치
CN116888319A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CN116867939A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150025082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20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6460308B2 (ja) 洗濯乾燥機
KR102583513B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43878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719449B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44648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aundry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058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058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92666A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9037896A (ja) 洗濯乾燥機
US2024030160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2021012189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7664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