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099965A -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 Google Patents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65A
KR20230099965A KR1020210189436A KR20210189436A KR20230099965A KR 20230099965 A KR20230099965 A KR 20230099965A KR 1020210189436 A KR1020210189436 A KR 1020210189436A KR 20210189436 A KR20210189436 A KR 20210189436A KR 20230099965 A KR20230099965 A KR 2023009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vacuum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189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18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용기를 감압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제1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제1 커버의 내측벽을 감압하며 제1 커버를 고정시킨 뒤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음커버가 구비된 진공 블렌더{Vacuum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본 발명은 방음커버가 구비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빠르게 꺼낼 수 있으며, 개폐 작동 간에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으로, 커버의 폐쇄 시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거나 음식물 가공 작동 시 과부하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작동이 음식물 가공 작동과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상 안전뿐만 아니라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공(예를 들어 블렌딩 및 크러싱)하기 위한 전자 기기로서, 작동되는 동안에 블렌더 몸체 내에 배치되는 모터로부터 몸체 상측에 장착된 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공 부재(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가공 부재를 회전시켜 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블렌더에는, 다양한 소음 발생원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로부터 가공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에서, 그리고, 용기 내에서 음식물이 가공 부재 및 용기 내벽과 부딪힘으로써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은 사용자가 주변 사람과 대화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크고, 주위에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차단될 필요가 있다.
종래 식품 가공기 또는 블렌더용 소음차단 커버는 식품 및 음료 제조 산업에서 사용되는 블렌더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인 블렌더용 소음차단 커버는 식품 가공시 발생되는 소음을 가능한 절감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이러한 소음차단 커버는, 산만함을 줄이고 고객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레스토랑이나 카페, 칵테일 라운지와 같은 상업적환경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블렌더를 레스토랑이나 카페와 같은 상업적 환경에서 사용 시, 사용자가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하고, 식품가공 작업을 진행해야 했는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다수의 수동조작을 필요로 함으로써, 시간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블렌더는, 가정 또는 소음이 심한 상업 시설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소리로 확인하기 어렵거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되며, 개폐 작동 간에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으로, 커버의 폐쇄 시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거나 음식물 가공 작동 시 과부하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작동이 음식물 가공 작동과 연계됨으로써 가정 및 상업 시설에서 사용자의 사용 상 안전뿐만 아니라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용기를 감압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제1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제1 커버의 내측벽을 감압하며 제1 커버를 고정시킨 뒤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안전하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제1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와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개방상태"는 제1 커버가 함몰부에 안착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회전 반경만큼 제1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폐쇄상태"는 제1 커버의 하면이 본체부의 상부 및/또는 제2 커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회전 반경만큼 제1 커버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개방작동"은 제1 커버가 상기 개방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는 것을, "폐쇄작동"은 제1 커버가 상기 폐쇄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개폐작동"은 상기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이하, '블렌더', 1)는, 본체부(100), 본체구동부(110), 용기(200), 방음커버(300), 회동부(400) 및 제어부(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외측면에 조작부(1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는 음성신호 감지장치나 단말기 앱과의 통신부 등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음성이나 단말기 앱을 통해서도 용기(200) 내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본체구동부(11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며, 용기(200)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구동부(110)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구동부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200)는 본체부(100)에 안착될 수 있다. 용기(200)는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고,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용기(200)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10)은 후술하는 진공구동부(600)를 이용하여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용기(200)는 내부에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후술하는 본체구동부(110)와 연결되어 용기(200) 내부에서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본체구동부(110)의 본체구동모터의 동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방음커버(300)는 제1 커버(310), 제2 커버(320)를 포함한다. 제2 커버(320)는 본체부(100)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310)는 제2 커버(320)의 상단에 결합된다.
제1 커버(310)는 폐쇄상태에서 용기(200)를 전부 둘러싸도록 제2 커버(320)와 본체부(100) 사이에서 정의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은 탈착식, 접철식, 회동식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회동식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으로 회동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커버(310)의 일측에는 커버손잡이(301)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커버(310)의 양측 일부분에는 회동부(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홈(312)이 형성된다. 회동홈(312)에는 후술할 회동부(400)가 결합되고, 회동부(400)는 제1 커버(31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회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커버(310)는 회동부(400)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한편,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에서 제2 커버(320) 및 제1 커버(310)가 용기(200)를 전부 둘러싸게 되어 용기(200) 내부 공간에서 가공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커버(320)는 용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본체부(100)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320)는 용기(2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후방 및 측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320)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320)는 외측면에 함몰부(311)를 포함하여,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부(311)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커버(310)의 회동 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회동부(400)는,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인 작동 형태는 도 5 내지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제어부(500)는 조작부(10), 본체구동부(110), 회동부(400),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와 연동될 수 있다. 도 4를 포함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 등이 제어부(5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0)에 의하지 않고, 작동될 수도 있다.
진공구동부(600)는 진공모터(610), 진공흡입부(620), 진공흡입관(630),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 및 역류방지부재(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진공구동부(600)는 용기(200)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변환시키거나, 진공상태가 해제되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
진공모터(610)는 용기(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용기(200)에 감압력을 제공하는 모터이다.
진공흡입부(620)는 제1 커버(3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용기(200)에 결합되는 뚜껑(210)의 상측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진공흡입부(620)는 뚜껑(210)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220)을 이용하여 용기(200)의 내부를 감압한다.
진공흡입관(630)은 진공모터(610)의 감압력이 진공흡입부(620)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관이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는 진공흡입부(620)의 감압력을 유지 또는 제거시키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역류방지부재는 용기(200)로부터 진공흡입부(620)에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진공모터(610)에 흡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역류방지부재는 진공흡입관(630) 내에 위치하며, 진공흡입관(630)의 유로를 복잡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퀵스위치(70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원터치버튼,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음성인식장치, 및 용기(200)가 본체부(100)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인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퀵스위치(700)는 후술할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퀵스위치(700)는 본체부(100)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시킨 후 곧바로 퀵스위치(700)를 터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퀵스위치(700)는 용기(200)가 안착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 퀵스위치(700)가 작동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퀵스위치(700)는 커버손잡이(301)에 설치되거나, 본체부(100) 외측면, 예를 들어, 조작부(10)에 설치되거나, 제1 회동체(411) 또는 제2 회동체(41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퀵스위치(700) 전술한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커버(310), 본체부(100), 제2 커버(320) 등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구동부(900)는 고정흡입모터(910), 고정흡입부(920), 고정흡입관(930)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고정흡입모터(910)는 제1 커버(310)가 본체부(100)의 고정흡입부(920)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이다.
고정흡입부(920)는 고정흡입모터(910)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제1 커버(31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킨다.
고정흡입관(930)은 고정흡입모터(910)의 흡입력이 고정흡입부(920)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관이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고정흡입부(920)의 흡착력을 유지 또는 제거시키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여기서,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평상시에 개방된 노말 오픈 타입의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고정흡입부(920)에 흡착되어 결합된 경우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본체부(1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폐쇄될 수 있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폐쇄되면, 제1 커버(310)는 고정흡입부(9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에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다시 개방되고, 이에 고정흡입부(920)의 흡착력은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부(5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부(500)가 회동부(400) 및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제1 커버(3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작동을 제1 작동으로 정의한다. 한편, 제어부(500)가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완료 시 제1 커버(310)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제2 작동으로 정의한다.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의 작동과 회동부(400)의 작동을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본체구동부(110), 회동부(400),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을 모두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회동부(400) 및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에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완료 시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2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회동부(400)를 작동시킬 수도 있고,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회동부(400)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회동부(400)를 작동시킨 후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작동 시 제어부(500)에 의한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 순서는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전술한 조작부(10)를 조작,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신호를 보내거나, 전자단말기에 의한 통신 신호를 보내거나, 후술하는 용기인식장치에 의해 용기(200)의 안착 여부가 감지되거나, 용기(200)를 본체 상에 안착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회동하여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된 후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 즉,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식재료를 분쇄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 전 제1 작동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커버(310)의 폐쇄작동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을 위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는 중에 사용자의 손 등이 제1 커버(310)와 본체부(100) 사이에 끼게 되는 등 제1 커버(310)의 회동이 0.1초 내지 1분, 일 예로, 1초 내지 5초 사이로 정지되거나 0.1초 내지 1분, 일 예로, 1초 내지 5초 사이에 폐쇄상태로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는 중에 회동부(400) 회동모터(440)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될 수 없는 상황에서 후술하는 회동모터(440)의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중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제2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분쇄시간 동안 본체구동부(110)가 작동하는 것, 요리레시피 설정에 따른 작동이 완료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동일하다. 예를 들어, 작동 오류는 제1 작동 중 본체구동부(110)의 과부하가 감지되거나, 용기(200)가 본체구동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10)에 일회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고 식재료가 분쇄되는 작동이 진행되고, 이후 미리 설정된 분쇄시간이 지나면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정지되고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하는 과정이 연계되어 진행됨으로써, 사용자는 소음이 심한 가정 또는 상업 시설에서도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안전하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식재료의 가공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가공 작동을 중단하고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을 포함하여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작동은,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고,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가 된 후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작동은,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전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완료되고,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는, 미리 설정된 진공 조건으로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된 이후의 상태를 지칭하며,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작동은,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전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완료된 후,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상태의 용기(200) 내부에서 식재료의 분쇄가 진행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조작부(10)에 일회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전술한 제1 작동 및 제2 작동이 연계되어 진행되어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회동부(4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회동부(400)는, 제1 회동체(411), 제2 회동체(412), 토크보조부재(420), 센서부(430), 회동모터(440), 모터기어박스(450), 구동전달부재(460) 및 기어박스(4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전술한 제1 커버(310)의 회동홈(312) 결합되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제1 커버(310)에 고정되며,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커버(310)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후술하는 구동전달부재(460)와 이격된 제1 회동체(411) 및 구동전달부재(460)와 연결된 제2 회동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회동부(400) 내에서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공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격은 회동부(400) 내에서 회동모터(440)의 회동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예로, 제2 회동체(412)와 구동전달부재(460) 사이에 기어박스(470)가 배치되는 경우,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구동전달부재(460)로 제공되고, 이어서 기어박스(470)로 제공된 후 제2 회동체(412)로 제공되기 때문에, 구동전달부재(460)와 제2 회동체(412)는 연결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되어 제2 회동체(412)의 회전에 따라 제1 커버(310)가 회동하고, 제1 커버(310)를 중심을 기준으로 제2 회동체(412)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제1 회동체(411)가 제1 커버(310)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토크보조부재(420)는 제1 커버(310)의 개폐 작동에 소요되는 힘을 보조할 수 있다. 블렌더(1)는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정 이상의 자중을 갖는 제1 커버(310)가 적용될 수 있는데, 토크보조부재(420)가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1 커버(310)를 개폐하거나, 회동모터(440)의 더 적은 동력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430)는,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30)는 PCB(433)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회동체(411, 412)의 회전 반경에 따라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431) 및 제2 센서(432)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430)는 제1 센서(431), 제2 센서(432) 및 그 사이에서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의 회전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유동체(434)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체(434)가 제1 센서(431)의 위치로 이동, 즉,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1 센서(431)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1 커버(310)의 하면이 본체부(100)와 접하여 제2 커버(320)와 본체부(100) 사이에서 정의된 공간을 폐쇄하는 폐쇄상태인 것으로 인지하고, 유동체(434)가 제2 센서(432)의 위치로 이동, 즉,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2 센서를 누르는 경우 제1 커버(31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회동모터(440)는 제2 회동체(41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직접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될 수 있고, 또는 모터기어박스(450)를 통해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어된 후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모터(440)는 본체부(10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재(460)는 제2 회동체(412) 및 모터기어박스(450) 사이에 배치되며,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제2 회동체(41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구동전달부재(460)를 제어하여 회동모터(440) 동력의 제2 회동체(412)로의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전달부재(460)는 전자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일 예로, 전자력을 활용한 전자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클러치는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을 해제하기 위해 접하거나 이격되는 부분인 연결부(461)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61)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이격된 구조를 갖는 부재 또는 공간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클러치는 평상시 연결부(461)가 이격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체(412)가 회동모터(440)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제1 커버(31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전자클러치는 통전 시 연결부(461)가 연결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체(412)가 회동모터(440)와 연결되어 회동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430)는 제1 회동체(4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모터(440)가 구동되어 동력이 제2 회동체(412)로 제공되지만 제2 회동체(412)의 손상 등으로 제1 커버(310)가 회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커버(310)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회동부(400)는, 모터기어박스(450) 및 기어박스(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기어박스(450)는 회동모터(440)에 연결되어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되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박스(470)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회동모터(440)가 배치된 축과 다른 축에 배치되는 제2 회동체(4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축은 비교대상 축과 평행한 것과 평행하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블렌더(1)는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부(400)가 제2 커버(320) 및 제1 커버(310)에 의해 폐쇄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데, 회동모터(440)가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는 경우 회동부(400)와 용기(200)의 간섭이 발생하거나 컴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렌더(1)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회동모터(440)와 다른 축에 배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470)가 적용되어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컴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블렌더(1)는 본체구동부(110) 및 회동부(400)의 작동이 연계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 후 조작부(10)에 조작신호를 일회만 입력하면 전술한 제1 작동, 제2 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조작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신호를 보내거나, 전자단말기에 의한 통신 신호를 보내거나, 후술하는 용기인식장치에 의해 용기(200)의 안착 여부가 감지되거나, 용기를 본체 상에 안착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고,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을 개시하는 제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기 전 제1 작동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커버(310)의 폐쇄작동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제1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렌더(1)가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를 제어하는 진공구동부(60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작동과 제2 작동에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작동은,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 및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동은,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제1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 및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1)는 센서부(430)에 의하여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지 또는 개방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내측벽이 고정흡입부(920)와 밀접하게 접촉하면, 센서부(430)는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고정흡입모터(910)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고정흡입부(920)를 일정시간 동안 감압함으로써, 제1 커버(310)를 고정흡입부(920)에 흡착 및 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센서부(430)와 연계하여 흡입구동부(9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흡입구동부(9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전환되기 시작된 후 2 초가 경과하면, 흡입구동부(900)가 작동할 수도 있다.
한편, 흡입구동부(900)가 제1 커버(310)를 흡착 및 고정시키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작동하여 고정흡입부(920)의 감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커버(310)의 흡착 및 고정이 완료되거나, 또는 흡입구동부(900)가 작동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500)는 진공구동부(600)가 용기(200)내부를 감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진공구동부(6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시간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진공구동부(6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이 개시된 후 1 초 후에 진공구동부(600)가 작동할 수도 있다.
진공구동부(600)에 의하여 용기(200)의 감압이 완료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가 닫히게 되어 용기(200) 내부의 감압 또는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용기(200) 내부의 감압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가 용기(200) 내부의 재료를 가공하도록 제어한다.
가공작동이 완료되거나, 본체구동부(110)의 구동이 정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가 열리며 용기(20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이에 용기(200)의 감압상태가 해제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열리며 고정흡입부(92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후, 제어부(500)는 회동부(400)가 제1 커버(3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회동부(4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공작동이 완료되거나,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정지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650, 940)가 개방됨과 동시에 회동부(4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1 커버(310)가 개방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에 의하여 회동부(400)를 제어하면 제1 커버(310)의 개방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나, 가공작동 완료됨과 동시에 제1 커버(310)가 개방되도록 설계하면, 사용자가 더욱 신속하게 가공대상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카페와 같이 신속한 가공이 요구되는 경우에 제1 커버(31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 사용자는 개방된 제1 커버(310)를 확인하고 즉시 가공대상물을 이용함으로써, 음료를 제작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0: 조작부 100: 본체부
110: 본체구동부 200: 용기
210: 뚜껑 220: 연통홀
300: 방음커버 301: 커버손잡이
310: 제1 커버 311: 함몰부
312: 회동홈 320: 제2 커버
400: 회동부 411: 제1 회동체
412: 제2 회동체 420: 토크보조부재
430: 센서부 431: 제1 센서
432: 제2 센서 433: PCB
434: 유동체 440: 회동모터
450: 모터기어박스 460: 구동전달부재
461: 연결부 470: 기어박스
500: 제어부 600: 진공구동부
610: 진공모터 620: 진공흡입부
630: 진공흡입관 650: 제1 솔레노이드 밸브
700: 퀵스위치 900: 흡입구동부
910: 고정흡입모터 920: 고정흡입부
930: 고정흡입관 940: 제2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18)

  1.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감압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벽을 감압하며 상기 제1 커버를 고정시킨 뒤 상기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커버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커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커버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커버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로 회동시 상기 유동체가 상측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 센서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커버의 폐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커버가 개방상태로 회동시 상기 유동체가 하측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 센서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커버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용기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흡입부가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상기 진공흡입부에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진공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진공흡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조절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테두리에 커버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킹은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결합되는 고정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흡입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일 때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흡입부가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을 흡착하도록 상기 고정흡입부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고정흡입모터 및 상기 고정흡입모터의 흡입력을 상기 고정흡입부에 전달하는 고정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흡입부의 흡착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노말 오픈 타입의 밸브이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고정흡입부에 흡착된 경우에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류를 공급하여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5.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를 감압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가공작동이 완료된 경우 상기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1 커버의 폐쇄작동을 개방작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1 커버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조절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공작동이 완료된 경우에 개방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감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결합되는 고정흡입부; 및
    상기 고정흡입부의 흡착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공작동이 완료된 경우에 개방되며, 상기 고정흡입부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감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

KR1020210189436A 2021-12-28 2021-12-28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KR10255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ko) 2021-12-28 2021-12-28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ko) 2021-12-28 2021-12-28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65A true KR20230099965A (ko) 2023-07-05
KR102554189B1 KR102554189B1 (ko) 2023-07-12

Family

ID=8715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ko) 2021-12-28 2021-12-28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1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295B1 (en) * 1999-09-03 2002-07-09 Smc Kabushiki Kaisha Vacuum-generating unit
KR20050015538A (ko) * 2003-08-06 2005-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방 감지구조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295B1 (en) * 1999-09-03 2002-07-09 Smc Kabushiki Kaisha Vacuum-generating unit
KR20050015538A (ko) * 2003-08-06 2005-02-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방 감지구조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189B1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155B1 (ko) 식품 처리 장치 및 방법
CN203736056U (zh) 烹调机
MX2015001879A (es) Aparato de cocina de accionamiento electrico.
KR102554189B1 (ko)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U2024213178A1 (en) Food processor and/or cooker
EP4233652A1 (en) Blend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over
KR102566572B1 (ko) 식품 가공기
AU2021365462B2 (en) Blend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over
KR102396544B1 (ko) 진공 블렌더
CN100525691C (zh) 家用烹调加工电器
EP3964108A1 (en) A small kitchen appliance having a hidden actuation means
JP2023094190A (ja) 加熱調理器
CN106955035A (zh) 旋转烹调装置
CN116602543A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170001180U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요리 기기
JP2003049464A (ja) 排水栓装置
WO2018068731A1 (zh) 烹饪器具
TW200924685A (en) Electric food processor (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