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085A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3085A KR20230063085A KR1020210147950A KR20210147950A KR20230063085A KR 20230063085 A KR20230063085 A KR 20230063085A KR 1020210147950 A KR1020210147950 A KR 1020210147950A KR 20210147950 A KR20210147950 A KR 20210147950A KR 20230063085 A KR20230063085 A KR 20230063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molecule
- probe
- detecting
- promoter
- targ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01—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타겟 분자가 단백질 또는 세포인 경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분할 T7 프로모터의 다양한 비율에서의 분할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은 중첩 길이의 최적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3-방향 접합 구조에 bulge 구조를 넣었을 때의 T7 프로모터의 안정성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반응조건의 최적화를 위한 버퍼의 조성 중 DTT와 MgCl2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스페르미딘과 단일 가닥 DNA 결합 단백질(SSB)의 최적의 농도를 찾기 위해 측정한 형광강도 결과이다.
도 8은 T7 RNA 중합효소 농도별, 반응시간, 반응온도, 냉각 방법에 따른 형광강도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최적화된 버퍼를 이용한 경우 3-방향 접합 구조와 선형 구조의 T7 프로모터의 전사효율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10은 3-방향 접합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겔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STAR의 각 요소가 없는 형광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12는 선형 RNA 와 구분하여 원형 RNA(circular RNA)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STAR 반응을 수행하기 이전에 등온 핵산 증폭 반응을 수행하는 경우 검출 강도가 증가됨이 나타난 결과이다.
도 14는 SARS-CoV-2 N 유전자의 각 유전자 좌위의 검출 감도에 관한 것으로, 도 14A는 SARS-CoV-2 N 유전자의 일부와 타겟 RNA의 유전자좌(1-5)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14B는 N 유전자의 다른 유전자좌(L1-L5)에 대한 5개 세트의 DNA 프로브를 사용한 STAR의 검출 감도를 보여주는 히트맵, 도 14C는 L2 및 L4에서 STAR의 검출 한계로, STAR 프로브 세트는 각 유전자좌에 대해 100nM이다.
도 15는 감도를 개선하기 위한 두 세트의 STAR 프로브 조합을 나타낸다. 도 15A는 SARS-CoV-2 N 유전자와 다른 인간 코로나바이러스의 두 가지 다른 유전자좌의 개략도로, SARS-CoV-2와 다른 다른 바이러스 RNA 서열의 뉴클레오타이드는 회색으로 흐릿하다. 도 15B는 N 유전자 RNA로 설정된 STAR 프로브의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이미지로, L2 및 L4 프로브 세트의 농도는 각각 500nM이고(a 및 b), L2 및 L4 프로브가 동시에 존재할 때 각 프로브 세트의 농도는 250nM(c)이다. 도 15C는 L2 프로브 세트(100nM), L4 프로브 세트(100nM), L2 및 L4 프로브 세트(50nM+50nM) 모두의 존재 하에서 측정된 형광 신호를 나타내며, 타겟 N 유전자 RNA의 농도는 1nM이다. 도 15D는 L2 및 L4에서 STAR 프로브 세트 조합 사용의 검출 한계로, STAR 프로브 세트의 농도는 각각의 다른 유전자좌에서 50nM이다. 도 15E는 2개의 STAR 프로브 세트(L2 및 L4) 사용 시 STAR 분석의 검출 특이성을 나타낸 것으로, SARS-CoV-2 N 유전자 RNA의 농도는 1nM이었고 나머지는 100nM이었으며, STAR 프로브 세트(L2 및 L4)의 농도는 각각 50nM이었다.
도 16은 SARS-CoV-2 D614G 돌연변이 검출을 위한 STAR의 적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는 SARS-CoV-2의 S 유전자에서 D614G 돌연변이에 대한 STAR 분석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돌연변이 부위는 노란색으로, 야생형 타겟에서 위양성 신호를 피하기 위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불일치 시퀀스를 추가했다. 도 16B는 N4 위치에서 다른 핵염기(A, T, G 및 C)를 사용하여 STAR 후에 얻은 말라카이트 그린(MG)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도 16C는 D614G 돌연변이에 대한 STAR의 검출 한계로, 타겟 RNA의 농도는 1 nM에서 100 fM 범위이다. 도 16D는 상이한 몰비(0%, 0.1%, 1%, 10%, 50% 및 100%)를 갖는 돌연변이/야생 타겟의 혼합물에서 D614G 돌연변이의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다중 검출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7A는 SARS-CoV-2 N 유전자 및 D614G 돌연변이의 동시 검출을 위한 one-pot 다중 STAR의 개략도이다. 도 17B는 망고 압타머 및 MG 압타머에 각각 결합하는 TO1-비오틴 및 MG의 정규화된 형광 방출 스펙트럼이다. 도 17C는 N 유전자 및 D614G 돌연변이의 원팟, 다중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히트맵으로, 타겟 RNA의 농도는 10nM이다. 도 17D는 다른 농도에서 N 유전자 및 D614G 돌연변이의 one-pot 다중 검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병원체 검출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8A는 STAR를 사용한 병원체 검출의 개략도로, 병원체 검출을 위해 STAR 프로브는 병원체의 16s rRNA 영역에 대해 설계되었으며, (i) 하나는 추출된 total RNA를 이용한 STAR이고 (ii) 다른 하나는 열분해를 통해 얻은 cell lysate를 이용한 direct STAR이다. 도 18B는 STAR를 사용한 박테리아 16S rRNA의 검출. 100pg/μL에서 100fg/μL 범위의 총 RNA 농도를 테스트했다. 도 18C는 다른 병원체의 검출을 위한 직접 STAR의 결과를 보여주는 히트맵으로, 각 병원체의 농도는 103 cells/μL이다.
DNA Probe | Sequence (5'→3') | 서열번호 |
Split promoter template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TTA AAA ATC CCG GCC AGA TTT TGC CAA TCA CCC TAT AGT GAG TCG TAT TA GTTAGA TTT TGC CAA TCA | 1 |
Split promoter 1-0 | TTGGCAAAATCTAAC | 2 |
Split promoter 2-20 | TAATACGACTCACTATAGGG | 3 |
Split promoter 1-1 | TTGGCAAAATCTAACT | 4 |
Split promoter 2-19 | AATACGACTCACTATAGGG | 5 |
Split promoter 1-2 | TTGGCAAAATCTAACTA | 6 |
Split promoter 2-18 | ATACGACTCACTATAGGG | 7 |
Split promoter 1-3 | TTGGCAAAATCTAACTAA | 8 |
Split promoter 2-17 | TACGACTCACTATAGGG | 9 |
Split promoter 1-4 | TTGGCAAAATCTAACTAAT | 10 |
Split promoter 2-16 | ACGACTCACTATAGGG | 11 |
Split promoter 1-5 | TTGGCAAAATCTAACTAATA | 12 |
Split promoter 2-15 | CGACTCACTATAGGG | 13 |
N gene of SARS-CoV-2 | ||
Split T7-16 (ST-16)-Universal | ACGACTCACTATAGGG | 14 |
Overlap 0-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GCCAGCCATTCTAG | 15 |
Overlap 0-ST-4 | CAGCATCACCGCCATTAAT | 16 |
Overlap 1-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GCCAGCCATTCTAG | 17 |
Overlap 1-ST-4 | CAGCATCACCGCCATATAAT | 18 |
Overlap 2-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GCCAGCCATTCTAG | 19 |
Overlap 2-ST-4 | CAGCATCACCGCCATAATAAT | 20 |
Overlap 3-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GCCAGCCATTCTAG | 21 |
Overlap 3-ST-4 | CAGCATCACCGCCATAAATAAT | 22 |
Overlap 4-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TGCCAGCCATTCTAG | 23 |
Overlap 4-ST-4 | CAGCATCACCGCCATAAAATAAT | 24 |
Bulge 1-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GCCAGCCATTCTAG | 25 |
Bulge 1-ST-4 | CAGCATCACCGCCATTAATAAT | 26 |
Bulge 2-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TGCCAGCCATTCTAG | 27 |
Bulge 2-ST-4 | CAGCATCACCGCCATTTAATAAT | 28 |
Bulge 3-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TTGCCAGCCATTCTAG | 29 |
Bulge 3-ST-4 | CAGCATCACCGCCATTTTAATAAT | 30 |
Bulge 4-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TTTGCCAGCCATTCTAG | 31 |
Bulge 4-ST-4 | CAGCATCACCGCCATTTTTAATAAT | 32 |
Bulge 5-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TTTTTGCCAGCCATTCTAG | 33 |
Bulge 5-ST-4 | CAGCATCACCGCCATTTTTTAATAAT | 34 |
Locus 1-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ATGAGGAACGAGAAG | 35 |
Locus 1-ST-4 | TGTTGCGACTACGTGAATAAT | 36 |
Locus 2-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GCCAGCCATTCTAG | 37 |
Locus 2-ST-4 | CAGCATCACCGCCATAATAAT | 38 |
Locus 3-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GCT TTA GTG GCA GTA | 39 |
Locus 3-ST-4 | TGT GTT ACA TTG TATTAAT | 40 |
Locus 4-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TGTTACATTGTATGC | 41 |
Locus 4-ST-4 | TCTGCCGAAAGCTTGAATAAT | 42 |
Locus 5-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AGTTCCTGGTCCCCA | 43 |
Locus 5-ST-4 | GTTCCTTGTCTGATTAATAAT | 44 |
S gene (D614G Mutation) of SARS-CoV-2 | ||
Signal template-G | GGATCCATTCGTTACCTGGCTCTCGCCAGTCGGGATCC CCCTATAGTGAGTCGTATTATTAGTT G ACACCCTGAT | 45 |
Signal template-A | GGATCCATTCGTTACCTGGCTCTCGCCAGTCGGGATCC CCCTATAGTGAGTCGTATTATTAGTT A ACACCCTGAT | 46 |
Signal template-T | GGATCCATTCGTTACCTGGCTCTCGCCAGTCGGGATCC CCCTATAGTGAGTCGTATTATTAGTT T ACACCCTGAT | 47 |
Signal template-C | GGATCCATTCGTTACCTGGCTCTCGCCAGTCGGGATCC CCCTATAGTGAGTCGTATTATTAGTT C ACACCCTGAT | 48 |
D614G Mutation ST-4 | CAGGGACTTCTGTGCAATAAT | 49 |
16S rRNA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 ||
E. coli L1-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CGGGTAACGTCAATG | 50 |
E. coli L1-ST-4 | CCGGTGCTTCTTCTGAATAAT | 51 |
E. coli L2-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CCACGCTTTCGCACC | 52 |
E. coli L2-ST-4 | AATCCTGTTTGCTCCAATAAT | 53 |
S. aureus L1-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CGCTTTCGCACATCA | 54 |
S. aureus L1-ST-4 | CCTGTTTGATCCCCAAATAAT | 55 |
S. aureus L2-ST | GTACGACAACTACCCCATACCAAACCTTCCTTCGTAC CCCTATAGTGAGTCGTATTATTGGACTTAACCCAACA | 56 |
S. aureus L2-ST-4 | GTTGCGCTCGTTGCGAATAAT | 57 |
DNA Probe | Sequence (5'→3') | 서열번호 |
SARS-CoV-2 N gene_IVT-FP | TAATACGACTCACTATAGGGGCAGTCAAGCCTCTTCTCGT | 58 |
SARS-CoV-2 N gene_IVT-RP | AACATTGGCCGCAAATTGCA | 59 |
SARS-CoV-1_IVT-FP | TAATACGACTCACTATAGGGGCAGTCAAGCCTCTTCTCGC | 60 |
SARS-CoV-1_IVT-RP | GGTGTGACTTCCATGCCAAT | 61 |
MERS-CoV_IVT-FP | TAATACGACTCACTATAGGGATAGTCAATCATCTTCAAGA | 62 |
MERS-CoV_IVT-RP | TTCTGATGGGTAAGTTTAAA | 63 |
HCoV-229E-FP | TAATACGACTCACTATAGGGGTGCTCCTTCCCGGTCTCAG | 64 |
HCoV-229E-RP | CTTCCAAAGTTGTGGTCAAG | 65 |
HCoV-NL63-FP | TAATACGACTCACTATAGGGGCTCTAATAACTCATCTCGT | 66 |
HCoV-NL63-RP | TCCCCCATATTGTGATTAAA | 67 |
HCoV-OC43-FP | TAATACGACTCACTATAGGGCTGCTCCTAATTCCAGATCT | 68 |
HCoV-OC43-RP | AACTCTAATCTTGATCCAAA | 69 |
HCoV-HKU1-FP | TAATACGACTCACTATAGGGCTGCTTCTAATAGTCGACCA | 70 |
HCoV-HKU1-RP | AAGTCTAATTTAGAACCAAA | 71 |
SARS-CoV-2 S gene (G614)_IVT-FP | TAATACGACTCACTATAGGGTCTAACCAGGTTGCTGTTCTTTATCAGG G TGTTAACTGCACAGAAGTCCC | 72 |
SARS-CoV-2 S gene (G614)_IVT-RP | GGAGTAAGTTGATCTGCATGAATAGCAACAGGGACTTCTGTGCAGTTAAC | 73 |
SARS-CoV-2 S gene (D614)_IVT-FP | TAATACGACTCACTATAGGGTCTAACCAGGTTGCTGTTCTTTATCAGG A TGTTAACTGCACAGAAGTCCC | 74 |
SARS-CoV-2 S gene (D614)_IVT-RP | GGAGTAAGTTGATCTGCATGAATAGCAACAGGGACTTCTGTGCAGTTAAC | 75 |
Name | Sequence (5'→3') | SSize (bp) | ㅅ서열번호 |
SARS-CoV-2 N gene |
GCAGUCAAGCCUCUUCUCGUUCCUCAUCACGUAGUCGCAACAGUUCAAGAAAUUCAACUCCAGGCAGCAGUAGGGGAACUUCUCCUGCUAGAAUGGCUGGCAAUGGCGGUGAUGCUGCUCUUGCUUUGCUGCUGCUUGACAGAUUGAACCAGCUUGAGAGCAAAAUGUCUGGUAAAGGCCAACAACAACAAGGCCAAACUGUCACUAAGAAAUCUGCUGCUGAGGCUUCUAAGAAGCCUCGGCAAAAACGUACUGCCACUAAAGCAUACAAUGUAACACAAGCUUUCGGCAGACGUGGUCCAGAACAAACCCAAGGAAAUUUUGGGGACCAGGAACUAAUCAGACAAGGAACUGAUUACAAACAUUGGCCGCAAAUUGCA | 380 | 76 |
SARS-CoV-1 |
GCAGUCAAGCCUCUUCUCGCUCCUCAUCACGUAGUCGCGGUAAUUCAAGAAAUUCAACUCCUGGCAGCAGUAGGGGAAAUUCUCCUGCUCGAAUGGCUAGCGGAGGUGGUGAAACUGCCCUCGCGCUAUUGCUGCUAGACAGAUUGAACCAGCUUGAGAGCAAAGUUUCUGGUAAAGGCCAACAACAACAAGGCCAAACUGUCACUAAGAAAUCUGCUGCUGAGGCAUCUAAAAAGCCUCGCCAAAAACGUACUGCCACAAAACAGUACAACGUCACUCAAGCAUUUGGGAGACGUGGUCCAGAACAAACCCAAGGAAAUUUCGGGGACCAAGACCUAAUCAGACAAGGAACUGAUUACAAACAUUGGCCGCAAAUUGCACAAUUUGCUCCAAGUGCCUCUGCAUUCUUUGGAAUGUCACGCAUUGGCAUGGAAGUCACACC | 442 | 77 |
MERS-CoV | AUAGUCAAUCAUCUUCAAGAGCCUCUAGCUUAAGCAGAAACUCUUCCAGAUCUAGUUCACAAGGUUCAAGAUCAGGAAACUCUACCCGCGGCACUUCUCCAGGUCCAUCUGGAAUCGGAGCAGUAGGAGGUGAUCUACUUUACCUUGAUCUUCUGAACAGACUACAAGCCCUUGAGUCUGGCAAAGUAAAGCAAUCGCAGCCAAAAGUAAUCACUAAGAAAGAUGCUGCUGCUGCUAAAAAUAAGAUGCGCCACAAGCGCACUUCCACCAAAAGUUUCAACAUGGUGCAAGCUUUUGGUCUUCGCGGACCAGGAGACCUCCAGGGAAACUUUGGUGAUCUUCAAUUGAAUAAACUCGGCACUGAGGACCCACGUUGGCCCCAAAUUGCUGAGCUUGCUCCUACAGCCAGUGCUUUUAUGGGUAUGUCGCAAUUUAAACUUACCCAUCAGAA | 451 | 78 |
HCoV-229E | GUGCUCCUUCCCGGUCUCAGUCGAGGUCGCAGAGUCGCGGUCGUGGUGAAUCCAAACCUCAAUCUCGGAAUCCUUCAAGUGACAGAAACCAUAACAGUCAGGAUGACAUCAUGAAGGCAGUUGCUGCGGCUCUUAAAUCUUUAGGUUUUGACAAGCCUCAGGAAAAAGAUAAAAAGUCAGCGAAAACGGGUACUCCUAAGCCUUCUCGUAAUCAGAGUCCUGCUUCUUCUCAAACUUCUGCCAAGAGUCUUGCUCGUUCUCAGAGUUCUGAAACAAAAGAACAAAAGCAUGAAAUGCAAAAGCCACGGUGGAAAAGACAGCCUAAUGAUGAUGUGACAUCUAAUGUCACACAAUGUUUUGGCCCCAGAGACCUUGACCACAACUUUGGAAG | 391 | 79 |
HCoV-NL63 | GCUCUAAUAACUCAUCUCGUGCUAGCAGUCGUUCUUCAACUCGUAACAACUCACGAGACUCUUCUCGUAGCACUUCAAGACAACAGUCUCGCACUCGUUCUGAUUCUAACCAGUCUUCUUCAGAUCUUGUUGCUGCUGUUACUUUGGCUUUAAAGAACUUAGGUUUUGAUAACCAGUCGAAGUCACCUAGUUCUUCUGGUACUUCCACUCCUAAGAAACCUAAUAAGCCUCUUUCUCAACCCAGGGCUGAUAAGCCUUCUCAGUUGAAGAAACCUCGUUGGAAGCGUGUUCCUACCAGAGAGGAAAAUGUUAUUCAGUGCUUUGGUCCUCGUGAUUUUAAUCACAAUAUGGGGGA | 355 | 80 |
HCoV-OC43 | CUGCUCCUAAUUCCAGAUCUACUUCGCGCACAUCCAGCAGAGCCUCUAGUGCAGGAUCGCGUAGUAGAGCCAAUUCUGGCAAUAGAACCCCUACCUCUGGUGUAACACCUGACAUGGCUGAUCAAAUUGCUAGUCUUGUUCUGGCAAAACUUGGCAAGGAUGCCACUAAACCUCAGCAAGUAACUAAGCAUACUGCCAAAGAAGUCAGACAGAAAAUUUUGAAUAAGCCCCGCCAGAAGAGGAGCCCCAAUAAACAAUGCACUGUUCAGCAGUGUUUUGGUAAGAGAGGCCCUAAUCAGAAUUUUGGUGGUGGAGAAAUGUUAAAACUUGGAACUAGUGACCCACAGUUCCCCAUUCUUGCAGAACUCGCACCCACAGCUGGUGCGUUUUUCUUUGGAUCAAGAUUAGAGUU | 412 | 81 |
HCoV-HKU1 | CUGCUUCUAAUAGUCGACCAGGUUCACGUUCUCAAUCACGUGGACCCAAUAAUCGUUCAUUAAGUAGAAGUAAUUCUAAUUUUAGACAUUCAGAUUCUAUAGUAAAACCUGAUAUGGCUGAUGAGAUCGCUAAUCUUGUUUUAGCCAAGCUUGGUAAAGAUUCUAAACCUCAGCAAGUCACUAAGCAAAAUGCCAAGGAAAUCAGGCAUAAAAUUUUAACAAAACCUCGCCAAAAGCGAACUCCUAAUAAACAUUGUAAUGUUCAACAGUGUUUUGGUAAAAGAGGACCUUCUCAAAAUUUUGGUAAUGCUGAAAUGUUAAAGCUUGGUACUAAUGAUCCUCAGUUUCCUAUUCUUGCAGAAUUAGCUCCUACACCAGGUGCUUUUUUCUUUGGUUCUAAAUUAGACUU | 409 | 82 |
SARS-CoV-2 S gene (G614) | UCUAACCAGGUUGCUGUUCUUUAUCAGGGUGUUAACUGCACAGAAGUCCCUGUUGCUAUUCAUGCAGAUCAACUUACUCC | 80 | 83 |
SARS-CoV-2 S gene (D614) | UCUAACCAGGUUGCUGUUCUUUAUCAGGAUGUUAACUGCACAGAAGUCCCUGUUGCUAUUCAUGCAGAUCAACUUACUCC | 80 | 84 |
E. coli 16S rRNA | AGACUCCUACGGGAGGCAGCAGUGGGGAAUAUUGCACAAUGGGCGCAAGCCUGAUGCAGCCAUGCNGCGUGUAUGAAGAAGGCCUUCGGGUUGUAAAGUACUUUCAGCGGGGAGGAAGGGAGUAAAGUUAAUACCUUUGCUCAUUGACGUUACCCGCAGAAGAAGCACCGGCUAACUCCGUGCCAGCAGCCGCGGUAAUACGGAGGGUGCAAGCGUUAAUCGGAAUUACUGGGCGUAAAGCGCACGCAGGCGGUUUGUUAAGUCAGAUGUGAAAUCCCCGGGCUCAACCUGGGAACUGCAUCUGAUACUGGCAAGCUUGAGUCUCGUAGAGGGGGGUAGAAUUCCAGGUGUAGCGGUGAAAUGCGUAGAGAUCUGGAGGAAUACCGGUGGCGAAGGCGGCCCCCUGGACGAAGACUGACGCUCAGGUGCGAAAGCGUGGGGAGCAAACAGGAUUAGAUACCCUGGUAGUCCACGCCGUAAACGAUGUCGACUUGGAGGUUGUGCCCUUGAGGCGUGGCUUCCGGANNUAACGCGUUAAGUCGACCGCCUGGGGAGUACGGCCGCAAGGUUAAAACUCAAAUGAAUUGACGGGGGCCGCACAAGCGGUGGA | 610 (327-936) |
85 |
S. aureus 16S rRNA | CAGAAGAGGAAAGUGGAAUUCCAUGUGUAGCGGUGAAAUGCGCAGAGAUAUGGAGGAACACCAGUGGCGAAGGCGACUUUCUGGUCUGUAACUGACGCUGAUGUGCGAAAGCGUGGGGAUCAAACAGGAUUAGAUACCCUGGUAGUCCACGCCGUAAACGAUGAGUGCUAAGUGUUAGGGGGUUUCCCGCCCCUUAGUGCUGCAGCUAACGCAUUAAGCACUCCGCCUGGGGAGUACGACCGCAAGGUUGAAACUCAAAGGAAUUGACGGGGACCCGCACAAGCGGUGGAGCAUGUGGUUUAAUUCGAAGCAACGCGAAGAACCUUACCAAAUCUUGACAUCCUUUGACAACUCUAGAGAUAGAGCCUUCCCCUUCGGGGGACAAAGUGACAGGUGGUGCAUGGUUGUCGUCAGCUCGUGUCGUGAGAUGUUGGGUUAAGUCCCGCAACGAGCGCAACCCUUAAGCUUAGUUGCCAUCAUUAAGUUGGGCACUCUAAGUUGACUGCCGGUGACAAACCGGAGGA | 524 (666-1188) |
86 |
Claims (23)
-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반응(isothermal one-pot reaction) 프로브 세트로서,
상기 제1프로브는 하기 일반식 I 및 II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프로모터 프로브(promoter probe, PP)이고,
[일반식 I]
5'-X-Y-Z-3'
[일반식 II]
3'-Ya-5'
상기 일반식 I에서,
X는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표지(label) 또는 다수의 표지를 포함하는 상호작용적 표지 시스템을 갖는 압타머 서열 부위이고;
Y는 T7 프로모터에 상보적인 서열이며;
Z는 타겟 분자에 결합 또는 연결되는 부위이며;
X 및 Y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며;
상기 일반식 II에서,
Ya는 T7 프로모터의 일부 서열이고; Ya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며;
상기 제2프로브는 하기 일반식 (III)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프로모터 프로브(promoter probe,PP)이고,
[일반식 III]
3'-Yb-Z'-5'
상기 일반식 (III)에서,
Yb는 존재하지 않거나, T7 프로모터의 일부 서열이고,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며;
Z’은 타겟 분자에 결합 또는 연결되는 부위이며;
상기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는 타겟 분자와 결합 또는 연결된 후 중합효소에 의해 전사가 개시되어 시그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분자는 핵산, 단백질, 세포 및 A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분자가 핵산인 경우, Z 및 Z'은 검출하고자 하는 핵산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핵산 서열이고,
상기 타겟 분자가 단백질인 경우, Z 및 Z'은 상기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압타머이고,
상기 타겟 분자가 세포인 경우, Z 및 Z'은 세포 외 단백질, 세포의 인지질, 균의 펩티도글라이칸 및 LP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압타머이고,
상기 타겟 분자가 ATP인 경우, Z 및 Z'은 ATP에 결합할 수 있는 split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a 및 Yb는 T7 프로모터의 일부 서열이며,
상기 Ya 및 Yb는 상기 Ya 및 상기 Yb 순서로 연속적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T7 프로모터를 이루고,
Ya : Yb 분할 비율은 20:0 내지 15: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Ya : Yb 분할 비율은 16: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화학적 표지, 효소 표지, 방사능 표지, 형광 표지, 발광 표지, 화학발광 표지 및 금속 표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의 상기 일반식 I은, Y와 Z 사이에 중첩서열 W를 추가로 포함한 일반식 I'로 변형될 수 있고;
[일반식 I']
5'-X-Y-W-Z-3'
상기 제2프로브의 상기 일반식 III은, Yb와 Z' 사이에 중첩서열 W'를 추가로 포함한 일반식 III'으로 변형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III']
3'-Yb-W'-Z'-5'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7항에 있어서,
중첩서열 W 및 W'의 길이는 1bp 또는 2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 단일 반응은, 15℃ 내지 50℃ 범위의 일정한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세트는 선형 RNA(linear RNA)와 구분하여 원형 RNA(circular RNA)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효소는 박테리오파지 T7 RNA 중합 효소, 박테리오파지 T3 중합 효소, 박테리오파지 RNA 중합 효소, 박테리오파지 ΦII 중합 효소, 살모넬라 박테리오파지 sp6 중합 효소, 슈도모나스 박테리오파지 gh-1 중합효소, 대장균(E. coli) RNA 중합효소 홀로효소(holoenzyme), 대장균(E. coli) RNA 중합효소 코어 효소, 인간 RNA 중합효소 I, 인간 RNA 중합효소 II, 인간 RNA 중합효소 III, 인간 미토콘드리아 RNA 중합효소 및 이의 변이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 단일 반응은 Tris-HCl, MgCl2, DTT, 스페르미딘, rNTPs, RNase 억제제 및 SSB(Single-Stranded DNA Binding Protein)가 포함된 단일 반응 용액으로 일원화되어 동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 제1항의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를 포함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종 이상의 타겟 분자를 검출하기 위한 2종 이상의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조성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종 이상의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는 각각 서로 상이한 상호작용적 표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2종 이상의 프로브 세트 각각은 각각 서로 상이한 타겟 분자에 결합하여; 이로 인해 서로 상이한 타겟 분자의 다중 검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조성물.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 단일 반응은, 15℃내지 50℃범위의 일정한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조성물.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타겟 분자 검출용 조성물, 중합효소 및 등온 단일 반응 용액을 포함하는, 타겟 분자 검출용 키트.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타겟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이전에, 등온 핵산 증폭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겟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핵산증폭 반응은 RPA(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타겟 분자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현장용 분자 진단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진단 방법은 병원성 미생물 검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분자 진단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 대장균(E. coli),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Influenza A viru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V),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HPIV), 뎅기열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황열병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플라스모디움, 거대세 포바이러스(CMV), 미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로타바이러스,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hMPV), 크리민 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virus), 에볼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헤니파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라사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리프트 밸리 열 바이러스, 수족구병 바이러스, 살모넬라(Salmonella sp.), 쉬켈라(Shigella sp.), 엔테로박테리아세(Enterobacteriaceae sp.),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모락셀라(Moraxella sp.), 헬리코박터(Helicobacter sp.) 및 스테노트로 포모나스(Stenotrophomonas s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용 분자 진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950A KR102679112B1 (ko) | 2021-11-01 | 2021-11-01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PCT/KR2022/016927 WO2023075569A1 (ko) | 2021-11-01 | 2022-11-01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950A KR102679112B1 (ko) | 2021-11-01 | 2021-11-01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085A true KR20230063085A (ko) | 2023-05-09 |
KR102679112B1 KR102679112B1 (ko) | 2024-06-26 |
KR102679112B9 KR102679112B9 (ko) | 2025-02-10 |
Family
ID=8640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7950A Active KR102679112B1 (ko) | 2021-11-01 | 2021-11-01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91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777271A (zh) * | 2024-05-27 | 2024-10-15 | 中国农业大学 | 一种适配体和硫醇共调控的变构比率型荧光传感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7806A2 (en) * | 1998-01-27 | 1999-07-29 | Cytocell Limited | Modified nucleic acid probes and uses thereof |
WO1999037805A1 (en) * | 1998-01-27 | 1999-07-29 | Cytocell Limited | Method for detection of nucleic acid target sequences involving in vitro transcription from an rna promoter |
KR20140029825A (ko) * | 2012-08-30 | 2014-03-11 | 한국과학기술원 | 표적물질의 결합에 의한 압타머 구조 변화 특성을 이용한 등온 핵산 증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초고감도 생체물질 검출방법 |
KR20190123567A (ko) * | 2018-04-24 | 2019-11-01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형광염기유사체를 포함하는 분할 g-쿼드로플렉스를 이용한 표적 dna 검출방법 |
KR102289357B1 (ko) * | 2020-02-14 | 2021-08-1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로커 핵산분자를 이용한 g-쿼드러플렉스 구조 기반-표적 핵산의 검출 방법 |
-
2021
- 2021-11-01 KR KR1020210147950A patent/KR1026791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7806A2 (en) * | 1998-01-27 | 1999-07-29 | Cytocell Limited | Modified nucleic acid probes and uses thereof |
WO1999037805A1 (en) * | 1998-01-27 | 1999-07-29 | Cytocell Limited | Method for detection of nucleic acid target sequences involving in vitro transcription from an rna promoter |
KR20140029825A (ko) * | 2012-08-30 | 2014-03-11 | 한국과학기술원 | 표적물질의 결합에 의한 압타머 구조 변화 특성을 이용한 등온 핵산 증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초고감도 생체물질 검출방법 |
KR20190123567A (ko) * | 2018-04-24 | 2019-11-01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형광염기유사체를 포함하는 분할 g-쿼드로플렉스를 이용한 표적 dna 검출방법 |
KR102289357B1 (ko) * | 2020-02-14 | 2021-08-1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로커 핵산분자를 이용한 g-쿼드러플렉스 구조 기반-표적 핵산의 검출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777271A (zh) * | 2024-05-27 | 2024-10-15 | 中国农业大学 | 一种适配体和硫醇共调控的变构比率型荧光传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9112B1 (ko) | 2024-06-26 |
KR102679112B9 (ko) | 2025-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270071B2 (en) | Methods of detecting an analyte | |
US20210198727A1 (en) | Method of detecting an analyte | |
EP2920320B1 (en) | Rca reporter probes and their use in detecting nucleic acid molecules | |
JP3109810B2 (ja) | 単一プライマーを用いる核酸の増幅 | |
WO2020099640A1 (en) | Method for detection of rna | |
JP7477183B2 (ja) | 新規な等温単一反応用プローブセット及びその用途 | |
KR101041106B1 (ko) | 핵산과 단백질의 신규한 실시간 탐지방법 | |
CN110088297A (zh) | 锁式探针检测方法 | |
JP3909010B2 (ja) | 高度ダイナミックレンジを有する定量的多重pcr | |
KR101857603B1 (ko) | 회전환 증폭을 이용한 miRNA의 형광 검출 방법 | |
KR102679112B1 (ko)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
KR102672338B1 (ko) | 분할된 t7 프로모터를 이용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 검출 및/또는 이의 돌연변이 검출용 등온 단일 반응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
US20230031670A1 (en) | Method and kit for detection of polynucleotide | |
JP2023518217A (ja) | 標的核酸を検出するためのループプライマー及びループ・デ・ループ方法 | |
KR20240119976A (ko) | CRISPR/Cas12a를 이용한 다중 분석용 조성물, 키트 및 검출 방법 | |
Zeng et al. | 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for Multiplex | |
KR20230087291A (ko) | SARS-CoV-2 변이 검출을 위한 등온 단일 반응용 프로브 세트 및 이의 용도 | |
KR20230088272A (ko) | 단일가닥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이 검출 방법 | |
WO2024062116A1 (en) | Padlock blocking oligonucleotide | |
KR20230087343A (ko) | 단일가닥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이 검출 방법 | |
KR20240119977A (ko) | CRISPR/Cas12a를 이용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출용 조성물, 키트 및 검출 방법 | |
EP4355902A2 (en) | Crispr cascade | |
JP2024506277A (ja) | 脱塩基核酸を有する配列変換及びシグナル増幅dna、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検出方法 | |
JP2007503805A (ja) | 酵素活性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 | |
JP2004242585A (ja) | Rna断片を用いたオリゴヌクレオチドによる自己集合体の形成方法、自己集合体及び遺伝子の検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