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964A -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 Google Patents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2964A KR20230062964A KR1020210147690A KR20210147690A KR20230062964A KR 20230062964 A KR20230062964 A KR 20230062964A KR 1020210147690 A KR1020210147690 A KR 1020210147690A KR 20210147690 A KR20210147690 A KR 20210147690A KR 20230062964 A KR20230062964 A KR 202300629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type absorbent
- frame
- fixing
- adhesive band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2439 hemosta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6 medic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5 poly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06—Wound bandages emergency bandages, e.g. for first 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57—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detachable absorbent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필터형 탈지면 및 접착이 가능한 자착성 붕대를 이용하여 고정부 일측에 필터형 탈지면 상단을 내삽하여 고정하고, 고정부 상측으로 자착성 붕대를 구비하여 고정부를 포함한 필터형 탈지면을 자착성 붕대를 통해 환부에 필터형 탈지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여 빠른 지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 self-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type absorbent cotton sold on the market and an adhesive self-adhesive bandage on one side of a fixing part at the top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 person who interpolates and fixes, and provides a fast hemostatic effect by providing an adhesive bandage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and fixing the filter-type cotton including the fix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through the self-adhesive bandage It relates to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필터형 탈지면 및 접착이 가능한 자착성 붕대를 이용하여 환부에 필터형 탈지면을 고정시켜 빠른 지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 self-adhering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nd more particularly, by fixing the filter-type absorbent to an affected area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filter-type absorbent and an adhesive bandage capable of being adhered to. It relates to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capable of obtaining a rapid hemostatic effect.
일반적으로 바늘이나 카테터로 환자의 신체, 즉 혈관을 관통하는 시술을 수행하거나, 신체상 환부에 다량의 피가 분출되어 지혈이 어려운 경우 단순 반창고가 아닌 필터형 탈지면을 신체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필요가 존재한다.In general, when a needle or catheter is used to penetrate a patient's body, that is, a blood vessel, or when a large amount of blood is spurted out on the affected part of the body and it is difficult to stop bleeding, it is necessary to attach and fix a filter-type absorbent cotton to the body, not a simple band-aid. do.
더 나아가 단순히 필터형 탈지면을 환부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이 아닌 필터형 탈지면으로 환부를 압박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혈 효과가 필요할 필요가 존재한다.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effective hemostatic effect by pressing the affected area with a filter-type absorbent rather than simply fixing the filter-type absorb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특히, 단순 패드 형상의 얇은 필터형 탈지면이 아닌 다량의 피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고, 압박을 통한 지혈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할 필요가 존재한다.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use a filter-type absorbent having a thickness capable of quickly absorbing a large amount of blood and obtaining a hemostatic effect through compression, rather than a simple pad-shaped thin filter-type absorbent.
그러나 이와 같이 두께감을 가지는 필터형 탈지면은 환자가 직접 손으로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임의로 압박지혈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팔이 아닌 다리나 무릎 등 환자가 직접 손으로 압박지혈을 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However, filter-type absorbent cotton having such a thickness is not only not hygienic because the patient directly presses and fixes it with his or her hands, and since the patient arbitrarily performs pressure hemostasis, hemostasis is not effective, and the patient's leg or knee, not the arm,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pressure hemostasis by han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부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825호에 "압박 지혈용 패드가 부착된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that can be directly fixed to the affected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2825 discloses a "band attached with a pad for pressure hemostasis".
상기 선행기술은 밴드 커버본체의 일측 중앙에 지혈을 수행하는 의료용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부가 형성되고, 패드부 상부에 덮는 패드부 보호대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 패드부 보호대가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밴드 커버본체를 신체에 부착시킴으로써 패드부가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ior art, a pad part made of medical foam for performing hemostasis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and cover body, and a pad part protector is inclu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d part, so that the pad part protector is selectively remov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use the band. By attaching the cover body to the body, the pad part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밴드 커버본체 일측 중앙에 일정 두께를 가지며 돌출형성된 패드부로 인해 패드부 보호대와 패드부간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휴대 및 보관시 먼지나 이물질이 패드부 측면측으로 유입될 수 있고, 특히 신체 고정을 위해 커버본체 일측은 점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 먼지나 이물질 등이 커버본체에 부착되어 위생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in the prior ar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pad part protector and the pad part due to the protruding pad part having a certain thickness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and cover body, so that dust or foreign matter can flow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pad part during carrying and storage. Since one side of the cover body has adhesiveness for fixing th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hygienically because external dust or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cover body.
또한, 환부가 크거나 활동이 많은 신체부위일 경우 단순 부착형태로 고정시키는 경우 움직이는 과정에서 밴드가 신체에서 떨어질 우려가 존재한다.In addition, if the affected part is a large or active body par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and may fall off the body during movement when the band is fixed in a simple attachment form.
특히,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종래의 다양한 크기의 필터형 탈지면이나 접착기능을 가지는 자착성 붕대를 활용하기도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conventional filter-type absorbent cotton of various sizes or self-adhering bandages having an adhesive fun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필터형 탈지면 및 접착이 가능한 자착성 붕대를 이용하여 고정부 일측에 필터형 탈지면 상단을 내삽하여 고정하고, 고정부 상측으로 자착성 붕대를 구비하여 고정부를 포함한 필터형 탈지면을 자착성 붕대를 통해 환부에 필터형 탈지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여 빠른 지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interpolatin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nd an adhesive bandage capable of adhesion, and fixing the self-adhesi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 self-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that can provide a quick hemostatic effect by fixing the filter-type absorbent, including a fixing part, with a bandage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through an adherent bandage.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고정부와 결합되는 필터형 탈지면 및 자착성 붕대가 고정부와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고, 특히 원통 형상의 필터형 탈지면이 고정부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지속적인 압박지혈 효과를 환부에 제공할 수 있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type cotton and self-adhesive bandage combined with the fixing part can be firmly coupled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and in particular, the cylindrical filter-type cotton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nd fixed in position, so that the continuous compression hemostatic effect Its object is to provide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n adherent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cotton capable of providing the affected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고정되고 하단이 환부에 밀착되어 지혈하는 필터형 탈지면; 및 상기 고정부 상면에 고정되며 신체에 감겨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필터형 탈지면을 환부에 밀착고정시키는 자착성 붕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개방된 하면으로 상기 필터형 탈지면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 형상보다 큰 형상을 갖는 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착성 붕대의 일단은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며, 타단은 연장되어 신체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필터형 탈지면을 환부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unit; Filter-type absorbent cotton with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to be coupled and fixed, and a lower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to stop bleeding; and a self-adhering bandage tha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wound around the body to tightly fix the fixing part and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to the affected area, wherein the fixing part has a hexahedron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extends to the open lower surface. a fixing frame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is inserted; and a supporting fram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shape larger than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wherein one end of the self-adhering bandage is tight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and coupled to the body. , The fixing part and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또한, 고정프레임은, 개방된 하면과 내부가 연통되며, 상기 필터형 탈지면 상단이 삽입되는 내삽홈; 및 상기 내삽홈 내측 정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형성된 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 하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정도가 증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형 탈지면이 상기 내삽홈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필터형 탈지면의 정면과 후면에 삽입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fram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 lower surface, and an interpolation groove into which the top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is inserted; And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sert groove and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formed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whose degree of protrusion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is formed, and the filter type absorbent surface is formed.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itting protrusions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이때, 내삽홈의 내측 상면은 양측으로 갈수록 굴곡된 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형 탈지면은 상기 내삽홈으로 삽입시 상단이 상기 굴곡면과 밀착되어 상기 굴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terpolation groove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that is curved toward both sides, and when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is inserted into the interpolation groove, the upp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and is deform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curved surface to be fixed. It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rame.
또한, 거치프레임의 상면에는 정면측 및 후면측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거치프레임의 정면 및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고, 상기 자착성 붕대는 상기 걸림턱간의 이격된 내측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frame, locking jaws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dges, respectively, are formed, the locking jaws extend along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holding frame, and the self-adhesive bandage is formed on the locking jaw. It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d inner side of the liver.
이때, 거치프레임은 양측단으로 연장된 경사날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측으로 굴곡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 상면을 따라 밀착고정되는 상기 자착성 붕대는 신체측으로 굴곡된 상기 경사날개를 따라 신체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ing frame is formed with inclined wings extending to both ends, each bent toward the fixing frame, and the self-adhering bandage that is tightly fix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rame adheres to the body along the inclined wings bent toward the body. can be combined
또한, 거치프레임의 상면 양측단에는 각각 관통돌기;가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관통돌기는 원뿔형상으로 돌출되되,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프레임의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착성 붕대가 상기 거치프레임 상에 거치시 상기 관통돌기는 상기 자착성 붕대를 관통하여 상기 자착성 붕대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rough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respectively, protruding upward, and the through protrusions protrude in a conical shape,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edge of the side end of the mounting frame. When the self-adhesive bandage is placed on the supporting frame, the penetrating protrusion penetrates the self-adhesive bandage and the self-adhesive bandage is fixed to the supporting fr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필터형 탈지면 및 접착이 가능한 자착성 붕대를 이용하여 고정부 일측에 필터형 탈지면 상단을 내삽하여 고정하고, 고정부 상측으로 자착성 붕대를 구비하여 고정부를 포함한 필터형 탈지면을 자착성 붕대를 통해 환부에 필터형 탈지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하여 빠른 지혈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rpolates and fixes the upper end of the filter-type cotton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nd an adhesive bandage that can be adhered, and provides an adhesive bandag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to fix the fixing unit.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quick hemostatic effect by fixing the filter-type cotton including the filter-type cotton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through the self-adhesive bandage.
또한, 고정부와 결합되는 필터형 탈지면 및 자착성 붕대가 고정부와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고, 특히 원통 형상의 필터형 탈지면이 고정부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지속적인 압박지혈 효과를 환부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the filter-type cotton and self-adhesive bandage combined with the fixing part can be firmly coupled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and in particular, the cylindrical filter-type cotton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nd fixed in position, so that the continuous compression hemostatic effect It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to the affected area.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2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사용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필터형 탈지면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필터형 탈지면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1 is a first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econd use state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n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unit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2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1 is a first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is shown in a second state of use diagram, and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the self-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부(100), 필터형 탈지면(200) 및 자착성 붕대(300)로 구성되나, 고정부(100)가 고정프레임(110) 및 거치프레임(120) 외에 덮개프레임(130)을 추가하여 이루어지므로 공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1 to 4,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mostatic fixation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composed of the fixing
본 발명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필터형 탈지면(200) 및 자착성 붕대(300)를 이용하여 환부에 필터형 탈지면(200)을 압박고정시켜 빠른 지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1)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 밴드 구조체(1)는 고정부(100), 필터형 탈지면(200) 및 자착성 붕대(3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cotton that can obtain a quick hemostatic effect by pressurizing and fixing the filter-
고정부(100)는 하단에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이 끼움결합되어 환부와 고정부(100) 사이에 필터형 탈지면(200)이 위치하여 환부의 압박지혈을 수행할 수 있고, 고정부(100)의 상단에는 자착성 붕대(300)를 구비하여 필터형 탈지면(200)이 아닌 고정부(100) 상단과 환자 신체를 감싸 필터형 탈지면(200)을 포함한 고정부(100)가 환부측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이러한 고정부(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자착성 붕대(300)에 의해 신체측으로 밀착되더라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내수성을 가져 외부 이물질이나 혈액이 고정부(100) 외측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위생적으로 다수번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fix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100)는 고정프레임(110), 거치프레임(120) 및 덮개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고정프레임(110)은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고, 거치프레임(120)은 고정프레임(110) 상단에 패널 형상을 가지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상면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fixing
덮개프레임(130)은 상기 거치프레임(120)의 크기에 대응되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거치프레임(120)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프레임(120)의 타측과 끼움 탈착된다.The
즉, 덮개프레임(130)은 일측이 거치프레임(120)의 일측과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거치프레임(120)의 타측에 끼워져 부착되었다가 끼움이 해제되어 부착해제된다.That is, the
이를 위해, 덮개프레임(130)은 타측에 돌출 형성된 끼툼 탈착 돌기(131)를 구비하고, 거치프레임(120)은 타측에 덮개프레임(130)의 끼움 탈착 돌기(131)가 끼움 탈착되는 끼움 탈착 홈이 관통 형성된다.To this end, the
한편, 덮개프레임(130)은 거치프레임(120)과 대면하는 하부면에 거치 프레임(120)을 향해 돌출 형성된 테이프 고정 돌기(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테이프 고정 돌기(132)는 덮개프레임(130)이 거치프레임(120)에 끼워지면, 거치프레임(120) 상부에 배치된 자착성 붕대(300)를 가압할 수 있다.When the
이에 따라, 덮개프레임(130)이 거치프레임(120)에 끼움이 해제된 상태에서, 거치프레임(120) 상부에 자착성 붕대(300)가 배치되어 감겨지고, 상부에 자착성 붕대(300)가 배치된 거치프레임(120)의 상부를 덮으면서 덮개프레임(130)과 거치프레임(120) 각각의 타측이 끼움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120) 상부에 배치된 자착성 붕대(300)가 외력에 의해 거치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lf-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사용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plan perspective view,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를 더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고정프레임(110)과, 고정프레임(110) 상단에 패널 형상을 가지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상면보다 크게 형성된 거치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5 to 7, the fixing
먼저, 고정프레임(110)은 도 6b와 같이 하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삽홈(111)이 하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내삽홈(111)의 내측 상면에는 원통 형상을 갖는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이 굴곡에 맞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삽홈(111) 내측 상면에는 단면이 호 형상으로 상측이 굴곡되어 함몰형성된 굴곡면(111a)이 형성된다.First,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따라서, 필터형 탈지면(200)의 상단 굴곡이 굴곡면(111a) 내측에 형성된 굴곡(R1)에 맞춰 밀착된 상태로 내삽홈(1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터형 탈지면(200)이 고정프레임(110) 내측에서 공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curve of the filter-type
이때, 굴곡면(111a) 내측에 형성된 굴곡(R1)은 필터형 탈지면(2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굴곡에 비해 굴곡된 각도(R1)가 작게 형성되고, 내삽홈(1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굴곡면(111a)과 밀착되는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필터형 탈지면(200)을 통해 내삽홈(111) 내부 공간에 맞게 필터형 탈지면(200)이 변형되어 압축된 상태로 고정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도 7 참조).At this time, the curve R1 formed inside the
또한, 고정프레임(110)의 내측 중 정면과 후면측에 형성되어 원통 형상의 필터형 탈지면(200)의 정면과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돌기(112)가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In addition, fixing
고정돌기(112)는 내삽홈(111) 내측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형성된 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또한 고정돌기(112)는 형성된 면의 하단부터 상단, 즉 굴곡면(111a)과 맞닿게 정면과 후면의 각각 높이에 따라 연장형성된다.The fixing
따라서, 이러한 고정프레임(110) 내부로 원통 형상의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이 삽입될 때 필터형 탈지면(200)의 외주면에 해당되는 상면은 굴곡면(111a) 내측으로 밀착되고, 고정돌기(112)는 필터형 탈지면(200)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필터형 탈지면(200)이 고정프레임(110)의 내삽홈(111)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top of the cylindrical filter-type
즉, 굴곡면(111a)에 밀착된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으로 인해 필터형 탈지면(200)이 내삽홈(111) 내측에서 공회전하거나 측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면과 후면은 고정돌기(112)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형 탈지면(200)이 안정적으로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top of the filter-type
고정돌기(112) 중 내삽홈(111)의 내측 정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는 내측 후면방향으로 수직돌출되고, 내삽홈(111)의 내측 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는 내측 정면방향으로 수직돌출된다. 이러한 고정돌기(112)는 필터형 탈지면(200)이 내삽홈(111)으로 삽입될 때 필터형 탈지면(200)의 정면과 후면은 각각 밀착된 고정돌기(112)의 형상과 동일하게 함몰되어 필터형 탈지면(200) 정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돌기(112)가 끼워져 밀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fixing
또한, 고정돌기(112)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증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112a)이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면(112a)을 따라 내삽홈(111)으로 필터형 탈지면(200)이 용이하게 상측으로 삽입 및 고정프레임(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상술된 고정프레임(110)은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되되, 내삽홈(111)의 전후방향 내측 너비가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원통형상의 필터형 탈지면(2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도 5 및 3과 같이 필터형 탈지면(200)의 외주면이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압박되도록 필터형 탈지면(200)과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또한, 고정프레임(110) 상면에는 얇은 판 형상을 가지며 고정프레임(110) 상면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거치프레임(1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mounting
거치프레임(120)은 고정프레임(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자착성 붕대(300)가 접착연결되어 신체를 포함한 고정부(100) 및 필터형 탈지면(200)이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mounting
이러한 거치프레임(120)은 상면 가장자리 중 전후측의 각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자착성 붕대(3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121)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mounting
걸림턱(121)은 거치프레임(120) 전후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측방향으로 수직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21)간의 내측 공간, 즉 걸림턱(121)간의 이격된 공간으로는 자착성 붕대(300)가 부착되어 고정부(100)와 신체를 연결시키도록 한다.The locking
즉, 거치프레임(120)의 양측으로는 걸림턱(121)이 형성되지 않아 거치프레임(120) 상면에 자착성 붕대(300) 말단이나 중앙이 접착되어 고정되고, 거치프레임(120) 상에 접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자착성 붕대(300)의 연장된 부분으로 신체를 둘러싸며 연장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별도의 턱이 형성되지 않고, 전후측에는 각각 걸림턱(121)이 돌출형성되어 자착성 붕대(300)가 거치프레임(120) 상면 중앙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자착성 붕대(3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착성 붕대(300)와 고정부(100)간의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hooking
또한, 거치프레임(120)의 양측에는 하측에 위치한 고정프레임(110)측으로 기울어지게 굴곡된 형상으로 각각 연장된 경사날개(12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8a 내지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8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is shown in a front view, and FIG.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조하면, 거치프레임(120)의 양측은 고정프레임(110)이 양측 방향으로 연장돌출된 경사날개(12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날개(122)는 거치프레임(120)에 포함되어 상측에 자착성 붕대(300)가 구비될 수 있고, 경사날개(122)가 형성된 전후측에도 마찬가지로 걸림턱(121)이 각각 상면에 수직돌출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A, both sides of the mounting
이러한 경사날개(122)가 형성된 거치프레임(120)은 도 8c와 같이 하면 중앙에 고정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정면에서는 일정한 굴곡을 가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따라서, 도 9와 같이 필터형 탈지면(200)이 하단 중앙에 위치한 고정프레임(110)과 결합되면, 양측으로 연장되되 하측방향으로 굴곡형성된 거치프레임(120) 상에 자착성 붕대(300)를 겹쳐 고정부(100) 및 필터형 탈지면(200)을 환부측으로 압박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when the filter-type
이때 자착성 붕대(300)가 거치프레임(120)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거치프레임(120)상에 고정되되, 거치프레임(120)의 굴곡(R2)에 따라 하측, 즉 신체측으로 굴곡된 거치프레임(120)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자착성 붕대(300)가 보다 신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경사날개(122)가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self-adhering
또한, 걸림턱(121)은 거치프레임(120)의 상면, 즉 경사날개(122)가 연장 형성된 측까지 연장되되 양단은 경사날개(122)의 연장된 말단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연장형성되어 거치프레임(120) 상면의 한 쌍의 걸림턱(121) 내측을 따라 용이하게 자착성 붕대(300)가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필터형 탈지면(200)은 얇게 테이프형상으로 감겨져 롤과 같은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필터형 탈지면(2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에 상단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하측의 외주면이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되, 인력과 자착성 붕대(300)를 통해 압착되면서 필터형 탈지면(200)의 단면(정면 및 배면)이 원형에서 양측으로 늘어난 타원 형상을 가지며 환부의 범위에 맞게 압축연장될 수 있다.The filter-type
자착성 붕대(300)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310)이 형성된 종래의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 다중층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합성 고무 기반으로 제작된 부직포 재질의 의료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self-
이러한 자착성 붕대(300)는 일면에 형성된 접착면(310)이 거치프레임(120) 상면과 밀착되어 고정부(100) 및 필터형 탈지면(200)을 환부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고, 자착성 붕대(300)를 통한 신체에 감는 정도, 감는 강도 등을 통해 압박고정시킬 수 있다.The
상술된 필터형 탈지면(200)은 고정프레임(110) 내 굴곡면(111a) 내측면과 밀착되어 변형될 수 있어 고정프레임(110)의 내삽홈(1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데 보다 필터형 탈지면(200)과 고정부(10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터형 탈지면(200)에는 끼움홈(210)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110)의 굴곡면(111a) 내측에는 상기 끼움홈(2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11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12 및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filter-typ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평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필터형 탈지면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필터형 탈지면의 다른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art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을 참조하면, 고정프레임(110)의 내삽홈(111) 내부에 형성된 굴곡면(111a) 내측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끼움돌기(11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pair of
이러한 끼움돌기(113)는 고정프레임(110)의 전후방향 너비에 대응되거나 상기 전후방향 너비보다 작게 연장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말단은 반구 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필터형 탈지면(200) 상단에 형성된 끼움홈(210)에 용이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se
이때, 끼움돌기(113)의 돌출길이는 고정프레임(110)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끼움돌기(113) 말단이 고정프레임(110)의 개방된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또한, 고정프레임(110)으로 삽입되는 필터형 탈지면(200) 상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13)와 동일한 위치 및 돌출형상으로 하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 끼움홈(210)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type
따라서, 도 13과 같이 필터형 탈지면(200)이 내삽홈(111) 내측으로 삽입되면 필터형 탈지면(200) 상면이 굴곡면(111a)과 밀착됨과 동시에 끼움홈(210) 내측으로 끼움돌기(113)가 삽입되어 보다 고정프레임(110)과 필터형 탈지면(20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lter-type
또한, 끼움돌기(113)를 통해 필터형 탈지면(200)을 보다 환부측으로 밀착고정시켜 압박을 통한 지혈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ter-type
상술된 구조를 갖는 고정 밴드 구조체(1)를 통해 환부의 위치나 압박고정력의 필요에 따라 고정부(100) 및 필터형 탈지면(200)과 연결된 자착성 붕대(300)를 통해 원하는 신체에 원하는 강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Through the fixed
또한, 필터형 탈지면(200)으로 흡수된 혈액의 양을 외부에서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필터형 탈지면(200)의 교체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고, 사용을 마친 고정 밴드 구조체(1)는 필터형 탈지면(200) 및 자착성 붕대(300)만을 제거하여 다른 환자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의료 폐기물을 발생시켜 다수번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고정 밴드 구조체(1)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blood absorbed into the filter-typ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거치프레임(120) 중 걸림턱(121)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에는 각각 측단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된 관통돌기(도면에 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관통돌기는 거치프레임(120) 내 걸림턱(121)간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상기 거치프레임(120)상에 부착되는 자착성 붕대(300)를 관통하는 것으로, 자착성 붕대(300)가 거치프레임(120) 상에 부착연장시 거치프레임(120) 또는 경사날개(122)의 돌출된 상측단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통상적으로 부직포로 이루어진 자착성 붕대(300)가 관통돌기의 상측으로 거치되어 관통돌기가 자착성 붕대(300)를 관통하여 자착성 붕대(300)가 거치프레임(120)상에 거치됨과 동시에 관통돌기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penetrating projection penetrates the self-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고정 밴드 구조체
100: 고정부
110: 고정프레임
111: 내삽홈
111a: 굴곡면
112: 고정돌기
112a: 경사면
113: 끼움돌기
120: 거치프레임
121: 걸림턱
122: 경사날개
200: 필터형 탈지면
210: 끼움홈
300: 자착성 붕대
310: 접착면1: fixed band structure
100: fixing part 110: fixing frame
111: insert
112: fixed
113: fitting protrusion 120: mounting frame
121: locking jaw 122: inclined wing
200: filter type cotton wool 210: fitting groove
300: self-adhesive bandage 310: adhesive surface
Claims (7)
상기 고정부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개방된 하면으로 상기 필터형 탈지면 상단이 삽입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 형상보다 큰 형상을 갖는 거치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착성 붕대의 일단은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며, 타단은 연장되어 신체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필터형 탈지면을 환부측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fixing part; Filter-type absorbent cotton with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to be coupled and fixed, and a lower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area to stop bleeding; and a self-adhesive bandag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wound around the body to tightly fix the fixing part and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to the affected area.
The fixing part,
a fixing frame having a hexahedron shape with an open lower surface and inserting an upper end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into the open lower surface; and
A mounting fram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having a shape larger than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One end of the self-adhesive bandage is tight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frame, the other end is extended and coupled to the body, and the fixing part and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상기 고정부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거치프레임의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거치프레임의 타측과 끼움 탈착되는 덮개프레임;으로 더 구성되고,
상기 덮개프레임은
타측에 돌출 형성된 끼움 탈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프레임은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끼움 탈착 돌기가 끼움 탈착되는 끼움 탈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t is further composed of a cover frame formed in a panel shape, one s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being fitted and detac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The cover frame
Equipped with a fitting and detachab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The mounting frame is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 self-adhering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tting and detaching hole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and into which the fitting and detaching protrusion is fitted and detached.
상기 고정프레임은,
개방된 하면과 내부가 연통되며, 상기 필터형 탈지면 상단이 삽입되는 내삽홈; 및
상기 내삽홈 내측 정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형성된 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 하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정도가 증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형 탈지면이 상기 내삽홈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필터형 탈지면의 정면과 후면에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frame,
An internal communication with the open lower surface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op of the filter-type absorbent cotton is inserted; and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and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formed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fitting protrusi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reasing degree of protrusion toward the upper side is formed.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n adhesive bandage and a filter-type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lter-type absorben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fitting protrusion adheres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type absorbent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상기 내삽홈의 내측 상면은 양측으로 갈수록 굴곡된 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형 탈지면은 상기 내삽홈으로 삽입시 상단이 상기 굴곡면과 밀착되어 상기 굴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is curved toward both sides; a curved surface is formed,
When the filter-type absorben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e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and is deform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curved surface and coupled and fixed to the fixing frame. fixed structure.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는 정면측 및 후면측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거치프레임의 정면 및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고,
상기 자착성 붕대는 상기 걸림턱간의 이격된 내측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Locking jaws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are formed,
The locking jaw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mounting frame,
The self-adhesive bandage is a hemostatic fixing structure using a self-adhesive bandage and filter-type absorbent co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paced between the locking jaws.
상기 거치프레임은 양측단으로 연장된 경사날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측으로 굴곡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 상면을 따라 밀착고정되는 상기 자착성 붕대는 신체측으로 굴곡된 상기 경사날개를 따라 신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5,
The mounting frame is formed with inclined wings extending to both ends, respectively, and is bent toward the fixed frame,
The self-adhesive bandage tightly fix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is coupled to the body along the inclined wings bent toward the body.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 양측단에는 각각 관통돌기;가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관통돌기는 원뿔형상으로 돌출되되,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프레임의 측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착성 붕대가 상기 거치프레임 상에 거치시 상기 관통돌기는 상기 자착성 붕대를 관통하여 상기 자착성 붕대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성 붕대 및 필터형 탈지면을 이용하는 지혈성 고정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through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The through protrusions protrude in a conical shape,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side end of the mounting frame,
When the adhesive bandage is placed on the supporting frame, the penetrating projection penetrates the adhesive bandage so that the adhesive bandage is fixed to the supporting frame. stru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690A KR102595653B1 (en) | 2021-11-01 | 2021-11-01 |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7690A KR102595653B1 (en) | 2021-11-01 | 2021-11-01 |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2964A true KR20230062964A (en) | 2023-05-09 |
KR102595653B1 KR102595653B1 (en) | 2023-10-30 |
Family
ID=8640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7690A Active KR102595653B1 (en) | 2021-11-01 | 2021-11-01 |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5653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40990A (en) * | 1994-11-21 | 1996-06-04 | Nichiban Co Ltd | Hemostatic tool |
KR200442399Y1 (en) * | 2008-08-07 | 2008-11-10 |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 tourniquet |
KR20130002825U (en) | 2011-11-02 | 2013-05-10 |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 Band with pad for pressing and stopping of bleedinging |
KR200473635Y1 (en) | 2012-11-30 | 2014-07-15 |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 Styptic band |
KR101536686B1 (en) * | 2014-12-10 | 2015-07-15 | 주식회사 리앤메딕스 | Styptic band |
KR20160088262A (en) * | 2016-07-04 | 2016-07-25 | 임은혜 | Stanching device having pressur-function for ensuring blood vessel |
-
2021
- 2021-11-01 KR KR1020210147690A patent/KR1025956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40990A (en) * | 1994-11-21 | 1996-06-04 | Nichiban Co Ltd | Hemostatic tool |
KR200442399Y1 (en) * | 2008-08-07 | 2008-11-10 |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 tourniquet |
KR20130002825U (en) | 2011-11-02 | 2013-05-10 |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 Band with pad for pressing and stopping of bleedinging |
KR200473635Y1 (en) | 2012-11-30 | 2014-07-15 |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 Styptic band |
KR101536686B1 (en) * | 2014-12-10 | 2015-07-15 | 주식회사 리앤메딕스 | Styptic band |
KR20160088262A (en) * | 2016-07-04 | 2016-07-25 | 임은혜 | Stanching device having pressur-function for ensuring blood vess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5653B1 (en) | 2023-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55509B2 (en) | Hemostatic equipment | |
US8708991B2 (en) | Tourniquet with disposable absorbent element | |
KR200473635Y1 (en) | Styptic band | |
KR200470009Y1 (en) | Band with pad for pressing and stopping of bleedinging | |
KR101874025B1 (en) | Medical band for fixing needle connector | |
JP3186252U (en) | Hemostatic tape | |
JP2013248007A (en) | Mask attaching tool and mask | |
KR20230062964A (en) | Hemostatic fixation structure using adhesive bandage and cotton wool for filter | |
CN205041475U (en) | Little wound haemostat of body surface | |
CN204600586U (en) | A kind of child's tourniquet | |
CN104207817A (en) | Covering-type tourniquet | |
JP2013070885A (en) | Catheter fixture | |
JP4510508B2 (en) | Hemostatic device | |
KR101793382B1 (en) | Multi-function with a fixing device | |
US20180228655A1 (en) | Bandaging device | |
JP4437209B2 (en) | Hemostasis patch | |
CN212066792U (en) | Pressing tourniquet | |
JPH07241313A (en) | Sticking material to stop bleeding | |
CN212307943U (en) | Vein hemostatic plaster | |
WO2017059432A9 (en) | Sensor mount for a reflective photo-optic sensor | |
CN210991135U (en) | Width-adjustable bandage | |
JPH06327690A (en) | Artery hemoostatic method and artery hemoostatic apparatus | |
EP0224549A1 (en) | Haemostatic dressings | |
KR20140061625A (en) | A band for dressing | |
CN219983210U (en) | Liquid absorption appl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