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048299A - 기계식 브루잉 유닛 - Google Patents

기계식 브루잉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299A
KR20230048299A KR1020237001505A KR20237001505A KR20230048299A KR 20230048299 A KR20230048299 A KR 20230048299A KR 1020237001505 A KR1020237001505 A KR 1020237001505A KR 20237001505 A KR20237001505 A KR 20237001505A KR 20230048299 A KR20230048299 A KR 2023004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ing
piston element
locking
lever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 조셉 폴 에핑
Original Assignee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filed Critical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04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용 브루잉 유닛(10)으로서, 프레임 구조체(11),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 구조체(11) 상에 장착되는 핸드 레버(14), 및 레버 기구(16)에 의해 핸드 레버(1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를 포함하고, 핸드 레버(14)의 이동에 결합되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수직 축선(18)을 따라 제1 포지션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브루잉 유닛에 관한 것이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제2 포지션에서, 그리고 마운트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챔버의 범위를 정하는 분배기 체(24)를 포함하고, 고온의 가압된 브루잉 워터가 분배기 체(24)를 통해 브루잉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분배기 필터(24)가 연결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22)를 더 포함한다. 브루잉 유닛(10)은 수직 축선(18)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포지션에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로킹 수단(30)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식 브루잉 유닛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또는 커피 머신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식 브루잉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기계식 브루잉 유닛을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은 이들 머신의 자동화 정도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위 "포터필터 머신" 또는 "반자동 머신"의 그룹, "완전 자동 머신"의 그룹 및 하이브리드 머신으로도 불리는, 이들 사이의 다양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반자동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의 경우에는, 한잔 이상의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를 준비함에 있어서 완전 자동이 아닌 작업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수반된다. 특히, 포터필터 머신은 원하는 양의 분쇄된 커피 분말을 담아서 다짐으로써 높이가 균일하고 균일하게 다져진 커피 베드(coffee bed)를 만들 수 있는 탈착식 포터필터를 포함한다. 커피 분말의 유형, 양 및 분쇄도, 사용되는 브루잉 체(brewing sieve)의 유형 및 탬핑(압박) 시 가해지는 힘을 결정하는 것은 바리스타의 몫이다. 그 후, 채워진 브루잉 체 또는 브루잉 체가 삽입된 포터필터를 커피 머신에 제공된 홀더에 고정할 수 있다. 브루잉 워터는 바리스타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드 레버에 의해 압박된 커피 분말을 통해 압착될 수 있다. 결합된 유압 시스템 및/또는 토글 레버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변형예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머신으로 얻을 수 있는 커피 품질은 아로마와 크레마 측면에서 매우 높지만 작업자의 기량과 직관에 크게 좌우된다. 숙련된 바리스타만이 이렇게 기술적으로 간단한 포터필터 머신을 사용하여 대체로 일관되게 높은 브루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을 예로 들자면, 브루잉 체가 장착된 포터필터를 제공된 포터필터 홀더에 삽입할 수 있지만, 브루잉 체는 커피 머신에서 자동으로 채워지는, 즉 통합된 커피 그라인더로부터 분쇄된 커피가 브루잉 체에 투여되는 하이브리드 머신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커피 생산 후 커피 찌꺼기 또는 커피 케이크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브루잉 공정 동안 브루잉 피스톤의 이동은 구동 유닛에 의해 대부분 자동화될 수 있다.
완전 자동 머신은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자동화를 달성하므로 작업자가 선택한 커피의 유형에 따라 커피 생산의 모든 단계가 자동으로 수행된다. 안정적인 품질을 얻을 수 있지만, 작업자가 공정에 직접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
에스프레소를 생산하려면 해당 표준에 의해 규정되는 일련의 매개 변수를 준수해야 한다. 이는 에스프레소의 경우, 88℃ 내지 94℃의 온도에 이르는 22.5 내지 27.5 ㎖의 뜨거운 물을 20 내지 30초의 사이클 시간 동안 8 내지 10 bar의 압력 하에서 균일하게 압축된 분쇄된 커피 6.5 내지 7.5 g을 통해 압착되도록 규정한다. 또한, 생산된 품질은 분쇄된 커피의 유동 저항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분쇄 정도, 브루잉 체 내 분쇄된 커피의 높이 및 채워진 분쇄된 커피가 다져진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프레소 생산에 수반되는 높은 압력으로 인해 에스프레소 머신의 구조는 어느 정도 견고해야 하며, 특히 도구들은 브루잉 공정 동안 높은 압력을 달성하고 유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EP 2 811 876에는 브루잉 공정을 위해 제공되는 홀더에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지지부를 갖는 하이브리드 머신과 관련된 커피 머신이 설명된다. 또한,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챔버의 범위를 정하는 분배기 체를 포함하는 분배기 체 요소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고온의 가압수가 분배기 체를 통해 브루잉 챔버 내로 유입된다. 분배 체 요소는, 필터 지지부가 개방되고 적절한 디바이스에 의해 통합된 커피 그라인더로부터 분쇄된 커피로 채워질 수 있는 제1 포지션과 분배 체 요소가 기밀(pressure-tight) 방식으로 필터 지지부를 폐쇄하는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분배기 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기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구동 유닛이 제공된다.
CN 201578093에는 브루잉 피스톤이 토글 레버 기구와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수동 작동 레버에 의해 브루잉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는 커피 머신이 공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의 복잡한 시스템에 의해, 브루잉 피스톤은 통합된 밀 배출구에서 분쇄된 커피가 계량되는 필터 지지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뿐만 아니라 수평으로도 이동된다. 토글 기구는 브루잉 피스톤이 가압된 브루잉 작동 중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 유지되는 정지 포지션에 고정되도록 최대 확장을 초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EP 0 634 903에는 가정용 에스프레소 머신용 브루잉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포터필터 또는 필터 지지부는 채워넣기를 위한 채움 포지션 또는 브루잉 포지션으로 수평으로 피벗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브루잉 디바이스는 작동력에 대항하여 로킹 포지션으로 수동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이 피스톤은 브루잉 포지션에서 필터 지지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필터 지지부와 함께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클램핑 연결에 의해 피스톤 로드를 거의 무단(stepless)으로 배치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와 해제 가능한 마찰 로크를 형성하는 로킹 레버가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유형의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에서 모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에 사용하기 위한 기계식 브루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유닛은 고품질의 에스프레소 또는 커피의 생산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관여할 가능성을 제공하여, 개인화된 경험을 가져다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브루잉 유닛은 에스프레소를 생산하기 위한 압력을 발생 및 유지하는데 많은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 충분히 간단한 작동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용 브루잉 유닛은 프레임 구조체,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드 레버 및 레버 기구에 의해 핸드 레버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포함하며,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수직 축선을 따라 제1 포지션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제2 포지션에서 홀더에 삽입된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분배기 체를 포함하고, 고온의 가압된 브루잉 워터가 분배기 체 및 분배기 체가 연결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를 통해 브루잉 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축선을 따라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포지션에 유지하거나,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조정 가능한 정지 포지션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설계되는 로킹 수단이 제공된다.
특히, 분배기 체는 나사 연결에 의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피스톤 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에 밀봉 수단이 제공되어, 필터 지지부에 반복적으로 삽입될 때 기밀 방식으로 브루잉 챔버를 폐쇄한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필터 지지부가 개방되고 분쇄된 커피가 필터 지지부에 수용된 브루잉 체에 채워질 수 있는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다. 압박 포지션인 제2 포지션에서, 브루잉 챔버는 기밀 방식으로 밀봉된다. 로킹 수단 뿐만 아니라 핸드 레버, 레버 기구 및 브루잉 피스톤 요소 사이의 결합은 작업자에게 에스프레소 및 커피 생산의 수동 핸들링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특히 로킹 수단을 통해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유지된다.
로킹 수단은 수직 축선을 따라 조정 가능한 포지션에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거의 무단으로 로킹하고, 이 포지션으로부터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다시 해제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압박 포지션에 대응하는 제2 포지션에 유지된다.
커피 생산 공정의 개별 단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자동 실행될 수도 있지만, 반자동 머신에서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과 같이 핸드 레버는 생산 공정에 직접 관여하는 인상을 작업자에게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커피의 일관된 품질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핸드 레버 및 포함된 레버 기구의 이동은 개방된 필터 지지부에 분쇄된 커피 분말을 채우기 위한 계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는 해제 가능한 로크의 작동과 결합될 수 있다. 로킹이 해제되면, 갓 분쇄된 커피 분말이 지정된 양만큼 제공된 필터 지지부로 진입한다. 특히, 핸드 레버 및 결합된 레버 기구의 이동은 필터 지지부 내로 유입된 커피 분말이 압축되고 브루잉 피스톤 요소가 브루잉 공정을 위한 브루잉 포지션으로 이동되도록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규정된 이동을 유발한다.
브루잉 유닛의 프레임 구조체에서,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핸드 레버가 배열되는 피벗축이 장착될 수 있다. 핸드 레버는 포크 형태일 수 있으며, 포크의 다리부는 프레임 구조체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드 레버는 근위 단부에서 핸들이 장착될 수 있고, 원위 단부에서 프레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핸드 레버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피벗 가능할 수 있다.
핸드 레버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레버 기구는 적어도 제1 연결 요소 및 제2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요소의 제1 단부는 회전 축선에서 수용되어 핸드 레버의 이동이 제1 연결 요소로 전달된다. 제1 연결 요소의 제2 단부는 제1 관절부에 의해 제2 연결 요소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이로써 제2 연결 요소의 제2 단부는 제2 관절부에 의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에 연결된다. 핸드 레버가 시작 포지션, 예를 들어 상부 포지션 또는 휴지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까지 수직 하방으로 이동할 때. 레버 기구가 핸드 레버의 이동을 브루잉 피스톤 요소로 전달하여 브루잉 피스톤 요소도 수직 하방으로 안내된다. 대안적으로, 시작 포지션이 하부 포지션일 수도 있고, 종료 포지션이 상부 포지션일 수도 있다. 즉, 핸드 레버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 또는 유압 시스템으로서 설계된 복귀 요소로부터 시작하는 저항력에 대항하여 시작 포지션을 벗어나는 핸드 레버의 이동이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저항력은 장기간에 걸쳐 그리고 집중적인 사용 중에도 해당 저항력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작은 설치 공간만 있으면 되는 공압 시스템에 의해, 특히 가스 압력 스프링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공압 또는 유압 시스템은 특히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핸드 레버의 시작 포지션을 검출하는 밸브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 밸브에 의해 생성된 복원력으로 인해, 핸드 레버를 놓았을 때 핸드 레버는 자동으로 시작 포지션으로 돌아갈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 뿐만 아니라, 제1 연결 요소 및 제2 연결 요소,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는 큰 힘이 흡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수직 이동은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핸드 레버의 이동을 서로 다른 속도로 개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핸드 레버의 이동은 저항력 및 해제 또는 차단과 관련하여 공장에서 조정될 수 있다. 특히, 핸드 레버는 그라인딩 공정과 제공된 브루잉 체로의 채우기가 완료된 후에야 해제된다. 핸드 레버 및 레버 기구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루잉 체 내로 채워지는 커피 분말이 규정된 방식으로 압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채워진 분쇄된 커피를 압축하기 위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핸드 레버에 의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로 전달될 수 있는 탬핑력을 설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조정 가능한 스프링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가 분쇄될 재료와 접촉할 때, 탬핑 스프링으로도 불리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규정된 방식으로 탬핑력이 형성될 수 있다. 브루잉 체에 담긴 양이나 커피 케이크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포지션에 접근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도달하면, 로킹 수단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 지지부 방향으로의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경로가 제한되도록 추가 압박 공정이 중지될 수 있다.
핸드 레버의 이동과 결합하여,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적어도 제2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분배기 체는 브루잉 챔버의 범위를 정하고 브루잉 챔버를 기밀식으로 폐쇄한다. 대응하는 공급 디바이스에 의해, 고온의 가압수는 짧은 유로를 따라 계량되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될 수 있고, 브루잉 챔버 내로 채워진 커피 분말을 통해 압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수 디바이스에 의한 압력하에 생성된 브루잉 워터용으로 바람직하게는 측면 유입구가 브루잉 피스톤 요소 상에 제공된다. 브루잉 워터가 분쇄된 커피를 통해 유동한 후, 추출된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는 배출구를 통해 제공된 한잔 이상의 컵으로 브루잉 챔버의 하류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제 브루잉 공정은 가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브루잉 챔버용 폐쇄 요소로서의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포지션은 다양한 커피 준비 방법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특히, 브루잉 챔버는 제1 브루잉 작업 후에 약간 개방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특히, 브루잉 압력의 빌드업 중에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규정된 포지션 또는 복귀는 로킹 수단의 적절한 설계 및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로킹된 포지션, 예를 들어 브루잉 포지션에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최소 조정 가능한 이동으로, 로킹 수단에 대항력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브루잉 공정 후 커피 케이크를 압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자동 재설정은 건조하고 이에 따라 더 쉽게 제거 가능한 커피 케이크를 생산하기 위해 소위 커피 찌꺼기의 새로운 압축을 개시한다. 특히, 이는 로킹 수단이 해제될 때 그에 따라 탄성적으로 재설정되는 로킹 수단의 소정의 탄성에 기초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수단은 브루잉 피스톤 요소와 해제 가능한 클램핑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이동은 로킹 수단의 해제 포지션에서는 크게 방해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클램핑 포지션에서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이동이 차단되어 로킹 수단의 해제 후에만 가능하다. 특히, 제공된 작동 수단에 의해, 브루잉 포지션 방향으로의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및 규정된 포지션에서의 로킹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 수단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가 안내될 때 통과하는 피팅 보어를 구비하는 로킹 레버를 포함한다. 특히, 로킹 레버는 경화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탄성을 갖는다. 로킹 레버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피스톤 로드가 로킹 레버에 제공된 피팅 보어를 통해 거의 간극 없이 연장되도록 브루잉 피스톤 요소 및 프레임 구조체에 대해 배열된다. 즉, 피팅 보어가 피스톤 로드에 근접하여 둘러싼다. 로킹 레버는 제1 단부에 장착되며, 이를 시작으로 수평 포지션으로부터, 브루잉 피스톤 요소가 제 위치, 즉 피스톤 로드가 클램핑 방식으로 피팅 보어에 로킹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경사 포지션으로 피벗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레버는 우세한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로킹은 미끄러짐 없이 대부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킹 레버는 서로 평행한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겹쳐 배열되는 각각의 피팅 보어에 일종의 단차형 로킹이 가능하다.
로킹 레버의 제2 대향 단부는 로킹 레버가 수평 포지션으로부터 피스톤 로드에 대해 경사진 포지션으로 편측 지지 포지션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에 대한 로킹 레버의 특정 각도 포지션으로부터 피스톤 로드는 피팅 보어 또는 보어들에서 기울어지고,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형성된 마찰 로크에 의해 제 위치에 로킹된다.
로킹 레버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 수단은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로킹을 달성하거나 해제하도록 배열된다. 작동 수단은 한편으로는 로킹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해제하는, 즉 로킹을 해제하여 브루잉 피스톤 요소를 해제하는 여러 기능적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은 로킹 수단 또는 로킹 레버와 작동식으로 연결되거나 작동식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는 편심 배열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편심 배열체는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어 디스크로서 설계된 편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부는 로킹 수단의 로킹 레버가 가능하다면 편심부와 로킹 수단 사이에 배열되는 전달 요소를 통해 접촉될 수 있는 원주면을 구비한다. 편심부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가능한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시, 원주면은 원호와는 상이한 궤적을 구성한다. 편심부가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로킹 수단의 로킹 레버는 로킹 레버가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피스톤 로드에 대해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되도록 편심부의 원주면과 단면 접촉을 이룰 수 있다. 편심부의 다른 회전 포지션에서, 즉 원주면이 로킹 레버와 접촉하지 않을 때, 로킹 레버는 경사 포지션을 벗어나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달 수단은 편심부와 로킹 레버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수평 포지션으로부터 또는 수평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킹 레버와 상호작용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설치 상황이 제한적인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작동 수단의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스위칭 배열체에 의해 조절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핸드 레버의 이동과 관계 없이 로킹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브루잉 피스톤 요소가 규정된 포지션에 유지됨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은 해제 수단으로서 설계된 편심 배열체에 더해 로킹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요소는 로킹 레버의 제2 자유 단부에 연결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로킹 레버를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반면 제공된 편심부는 스프링력에 대한 해제를 위해 로킹 레버를 수평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로킹 수단의 매우 신속한 작동이 달성되고, 이에 의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로킹은 핸드 레버의 이동과는 무관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브루잉 유닛이 사용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은 필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더, 고온의 가압수를 생성 및 제공하여 이를 필터 지지부 및 브루잉 유닛의 브루잉 피스톤 요소의 분배 체에 의해 규정되는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커피 분말을 생성하기 위한 그라인더 및 홀더에 삽입된 필터 지지부 내로 커피 분말을 유입하기 위한 도징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제시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해 지는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의 개시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제1 포지션에 있는 기계식 브루잉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제2 포지션에 있는 도 1에 따른 기계식 브루잉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제3 포지션에 있는 도 1에 따른 기계식 브루잉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4는 기계식 브루잉 유닛의 로킹 수단의 상세도.
도 1은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여기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의 작동 설명에 필요한 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은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고, 프레임 구조체의 프레임 섹션(11)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핸드 레버(14)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 섹션 상에 장착된다. 핸드 레버(14)는 특히, 스프링 요소로서 설계된 복귀 요소(13)의 저항력을 받으면서 시작 포지션, 예를 들어 상부 포지션으로부터 하부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은, 레버 기구(16)에 의해 핸드 레버(14)와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핸드 레버의 이동에 결합되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를 포함한다. 레버 기구(16)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한 핸드 레버(14)의 피벗 이동이 토글 기구의 접속 요소를 통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토글 기구로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이동은 예를 들어, 제공되는 슬라이드 가이드(15)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이동은 핸드 레버(14)의 이동에 결합되고, 따라서 수직 축선(18)을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포지션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피스톤 로드(22) 및 분배기 체(24)를 포함한다. 분배기 체(24)는 피스톤 로드(22)의 하부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제2 포지션에서, 홀더에 삽입된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챔버(도시되지 않음)의 범위를 밀봉식으로 정하여 대응하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 수단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소위 브루잉 포지션에서는, 고온의 가압된 브루잉 워터가 분배 체(24)를 통해 브루잉 챔버 내로 이동하며, 브루잉 워터는 채워진 분쇄된 커피를 통해 브루잉 챔버 내로 이동되게 되어 개방 포지션에서 필터 지지부 내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수직 축선(18)을 따라 거의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포지션에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로킹 수단(30)이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실제 브루잉 공정에 앞서 필터 지지부 내에 채워진 커피 분말이 규정 가능한 탬핑력으로 탬핑되거나 다져지는 경우에 유리하다.
로킹 수단(30)은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와 해제 가능한 클램핑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로킹 수단(30)의 해제 포지션에서 수직 축선(18)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클램핑 포지션으로 불리는 로킹 수단(30)의 포지션에서 차단된다.
로킹 수단(30)은 로킹 레버(32)를 포함한다. 로킹 레버(32)는 제1 단부(33)에서 샤프트(31) 상에 장착되고, 자유 제2 단부(35)를 구비하며, 이로써 수평 포지션을 벗어나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후술되는 작동 수단(40)이 로킹 레버(32)의 제2 자유 단부(35)와 결합한다.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피스톤 로드(22)가 안내될 때 통과하는 피팅 보어(34)가 로킹 레버(32) 상에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로킹 레버(32)는, 서로 평행하고 각각 피팅 보어(34)의 영역에서 피스톤 로드(22)와 클램핑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플레이트(32.1, 32.2)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다단식 특징의 결과로서, 다단식 로킹 및 재설정이 가능하다.
로킹 수단(30)을 경사 포지션으로 또는 해제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40)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40)은, 로킹 레버(32)의 제2 단부(35)와 결합하고 스프링력에 의해 로킹 레버(32)를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스프링 요소(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항상 로킹된다.
로킹 포지션을 해제하기 위한 편심 배열체(60)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편심 배열체(60)는, 회전 샤프트(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원주면(65)을 포함하는 편심부(64)를 포함한다. 원주면(65)은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 시, 원호를 벗어난 궤적을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심부(64)의 원주면은 로커 요소(66) 및 로커 요소 상에 배열되는 전달 요소(68)에 의해 로킹 레버(32)와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편심부(64)의 포지션에 따라, 로킹 레버(32)는 스프링 요소(5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수평 포지션으로 이동되며, 여기서 브루잉 피스톤 요소는 해제된다. 즉, 피스톤 로드(22)가 피팅 보어(34)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50)는 편심부(60)와 로킹 레버(32) 사이의 작동식 연결이 차단될 때, 로킹 레버(32)를 즉시 경사 포지션에 배치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도 2에서,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이 제2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며, 핸드 레버(14)가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된 것을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필터 지지부를 향해 이동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로킹 수단(30)은 피스톤 로드(22)가 피팅 보어(34)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해제 포지션에 있다. 이를 위해, 편심 배열체(60)는 로킹 레버(32)가 수평 포지션에 있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50)의 스프링력에 대응한다.
도 3에는, 핸드 레버(14)가 하부 포지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실제 브루잉 작업을 위해 브루잉 피스톤 요소(20)가 필터 지지부 내로 충분히 이동됨으로써 필터 지지부와 함께 밀봉된 브루잉 챔버를 형성한 기계식 브루잉 유닛(10)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브루잉 포지션에서, 작동 수단(40)은 로킹 레버(32)가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되고 피스톤 로드(22)에 대한 마찰 로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편심 배열체(60)의 편심부(64)는 로킹 레버(32)와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없는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한 회전 포지션으로 상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50)의 스프링력은 로킹 레버(32)의 제2 자유 단부(35)를 상방으로 당겨 로킹 레버(32)는 경사 포지션으로 상정되어 있다.
도 4는 로킹 포지션에서의 로킹 수단(30)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로킹 레버(32)와 결합하는 스프링 요소는 로킹 레버를 경사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편심부(60)는 로킹 레버(32)와 작동식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피팅 보어(34)에서 안내되는 피스톤 로드는 다단 클램핑 효과가 달성되도록 제1 로킹 플레이트(32.1) 및 제2 로킹 플레이트(32.2)와 클램핑 연결된다.

Claims (13)

  1.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용 브루잉 유닛(10)으로서,
    Figure pct00001
    프레임 구조체(11),
    Figure pct00002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체(11) 상에 장착되는 핸드 레버(14),
    Figure pct00003
    레버 기구(16)에 의해 상기 핸드 레버(14)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브루잉 피스톤 요소(20)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 레버(14)의 이동에 결합되는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수직 축선(18)을 따라 제1 포지션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는,
    o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제2 포지션에서, 그리고 유지 디바이스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지지부와 함께 브루잉 챔버의 범위를 정하는 분배기 체(24)―고온의 가압된 브루잉 워터가 상기 분배기 체(24)를 통해 상기 브루잉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음―; 및
    o 상기 분배기 체(24)가 연결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22)를 포함하는 브루잉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직 축선(18)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포지션에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로킹 수단(30)이 제공되는, 브루잉 유닛(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포지션은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제2 포지션에 대응하고, 여기서 이 요소는 압박 포지션에 유지되는, 브루잉 유닛(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30)은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와 해제 가능한 클램핑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브루잉 유닛(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30)은, 제1 단부(33)에서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22)가 안내될 때 통과하는 피팅 보어(34)를 구비하는 로킹 레버(32)를 포함하는, 브루잉 유닛(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보어(34)는 상기 피스톤 로드(22)를 근접하여 둘러싸는, 브루잉 유닛(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32)는 수평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가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경사 포지션으로 피벗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브루잉 유닛(10).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레버(32)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 상기 피스톤 로드(22)를 근접하여 둘러싸는 피팅 보어(34)를 구비하는 2개의 플레이트(32.1, 32.2)를 포함하는, 브루잉 유닛(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30)은 상기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로킹을 작동 및/또는 해제하기 위한 작동 수단(50)을 포함하는, 브루잉 유닛(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30)은, 회전 샤프트(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원주면(65)을 구비하는 편심부(64)를 구비하는 편심 배열체(60)를 포함하고, 상기 원주면(65)은 회전 시, 원호와는 상이한 궤적을 구성하는, 브루잉 유닛(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64)는 전달 수단(66, 68)에 의해 상기 로킹 레버(32)와 상호작용하도록 하여, 이 로킹 레버(32)가 상기 편심부(64)의 회전 포지션의 함수로서 해제 포지션 및/또는 로킹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는, 브루잉 유닛(1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배열체(60)는 제어 가능한 구동 유닛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브루잉 유닛(1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30)은 상기 로킹 레버(32)에 연결될 수 있는 스프링 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50)는 상기 로킹 레버(32)를 로킹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 및 배열되고, 상기 편심 배열체(60)는 상기 로킹 레버(32)를 수평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 및 배열되는, 브루잉 유닛(10).
  13.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으로서,
    Figure pct0000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루잉 유닛(10),
    Figure pct00005
    상기 필터 지지부가 삽입 가능한 유지 디바이스,
    Figure pct00006
    고온의 가압수를 생성 및 전달하고, 이를 상기 브루잉 유닛(10)의 브루잉 피스톤 요소(20)의 분배기 체(24) 및 상기 필터 지지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Figure pct00007
    커피 분말을 생산하기 위한 그라인더, 및
    Figure pct00008
    상기 유지 디바이스에 삽입된 상기 필터 지지부 내로 커피 분말을 유입하기 위한 도징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및 커피 머신.
KR1020237001505A 2020-08-11 2021-08-02 기계식 브루잉 유닛 KR20230048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0510.6A EP3954257B1 (de) 2020-08-11 2020-08-11 Mechanische brühgruppe
EP20190510.6 2020-08-11
PCT/EP2021/071537 WO2022033908A1 (de) 2020-08-11 2021-08-02 Mechanische brühgrup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99A true KR20230048299A (ko) 2023-04-11

Family

ID=7204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505A KR20230048299A (ko) 2020-08-11 2021-08-02 기계식 브루잉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404317A1 (ko)
EP (1) EP3954257B1 (ko)
JP (1) JP7388792B2 (ko)
KR (1) KR20230048299A (ko)
CN (1) CN116249466A (ko)
AU (1) AU2021324005A1 (ko)
CA (1) CA3184017A1 (ko)
WO (1) WO2022033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4466A1 (de) 2022-12-22 2024-07-25 Eugster / Frismag Ag Hybrid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entnehmbarem Getränkesubstrathalter
WO2024200626A1 (en) 2023-03-31 2024-10-03 Merck Patent Gmbh Reactive mesogens with high birefringence
WO2024200529A1 (en) 2023-03-31 2024-10-03 Merck Patent Gmbh Chiral reactive mesogen mix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2432A1 (de) * 1984-06-16 1985-12-19 INTEC S.r.l., Ponte Zanano Sarezzo, Brescia Handgesteuerte maschine fuer die herstellung von espresso-kaffee
DE4212288A1 (de) 1992-04-11 1993-10-14 Braun Ag Brüheinrichtung für eine Haushalts-Espressomaschine
EP0756842B1 (de) * 1995-07-31 1998-12-09 Eugster/Frismag AG Brühkopf einer Espressomaschine
DE20015710U1 (de) * 2000-09-11 2001-01-04 Borgmann, Michael, Dipl.-Ing., 42719 Solingen Brühkopf für eine Espressomaschine
US20070277676A1 (en) * 2004-02-25 2007-12-06 Francesco Crivellin Coffee Making Machine
CN201578093U (zh) 2009-01-22 2010-09-15 宁波夏纳电器有限公司 半自动咖啡机
ES2368225B1 (es) 2009-04-03 2012-09-18 Minima Espresso Systems, S.L. Máquina para preparar cafe.
CH706100A1 (de) 2012-02-08 2013-08-1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mit Mahlwerk und abnehmbarem Siebträg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ITUB20152073A1 (it) 2015-07-10 2017-01-10 La Marzocco Srl Macchina del tipo a pistone per erogare caffè o altre bevande per infusi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84017A1 (en) 2022-02-17
CN116249466A (zh) 2023-06-09
JP7388792B2 (ja) 2023-11-29
US20230404317A1 (en) 2023-12-21
JP2023532608A (ja) 2023-07-28
AU2021324005A1 (en) 2023-02-02
EP3954257A1 (de) 2022-02-16
EP3954257B1 (de) 2024-10-30
WO2022033908A1 (de)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8299A (ko) 기계식 브루잉 유닛
US9578986B2 (en) Automatic coffee maker for preparation of espresso coffee
DK2811876T3 (en) Coffee mak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4784050A (en) Apparatus for preparing espresso coffee in a household environment
US8528464B2 (en)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AU2018312613B2 (en) Device for pressing a dose of ground coffee powder
KR20230142762A (ko) 자동 조절식 커피 머신 및 관련 커피 원두 용기
RU2817345C1 (ru) Кофемашина
EP1921953A1 (de) Espresso- und kaffeemaschine
EP4280917B1 (en) Coffee machine
CH719855A1 (de)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kaffeegetränks.
CN115281525A (zh) 一种咖啡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