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751A -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5751A KR20230045751A KR1020210128231A KR20210128231A KR20230045751A KR 20230045751 A KR20230045751 A KR 20230045751A KR 1020210128231 A KR1020210128231 A KR 1020210128231A KR 20210128231 A KR20210128231 A KR 20210128231A KR 20230045751 A KR20230045751 A KR 20230045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module
- control unit
- installation layout
- vibration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7—Specimen mounting arrangements, e.g. table head ada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2—Vibration control arrangements, e.g. for generating random 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모듈이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제1 지그모듈과, 일단이, 상기 제1 지그모듈에 결합되되, 결합상태를 조절 가능한 제2 지그모듈과,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 지그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그모듈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인 차량용 호스는 실제 차량에 설치된 경우, 엔진의 진동 및 롤링 등에 의해 진동에 노출된다. 이에, 차량용 호스는 차량에 설치되기에 앞서, 실제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모사한 복합환경 진동시험장치를 이용한 진동시험이 수행된다.
다만, 기존의 시험장치의 경우, 차량용 호스가 실제 차량에 설치된 상태와 100% 동일한 설치 레이아웃(layout)을 구현하기 어려워, 진동시험의 정확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호스가 실제 차량에 설치된 설치환경을 모사한 설치 레이아웃을 구현하여 진동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시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은,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모듈이 구비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제1 지그모듈과, 일단이, 상기 제1 지그모듈에 결합되되, 결합상태를 조절 가능한 제2 지그모듈과,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 지그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그모듈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선택적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상기 결합상태는, 상기 제2 지그모듈의 결합 높이 및 결합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지그모듈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 구비된 돌출부에 결합되는 중간바디와, 상기 중간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이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바디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모듈은, 상기 제1 지그모듈에 회전 및 선형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간지지판과, 상기 중간지지판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지그모듈의 일단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대는, 상기 중간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제3 지그모듈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시험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용 호스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에 연결된 상기 차량용 호스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유닛과, 상기 진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시험 시스템은, 3개의 지그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용 호스의 설치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차량에 설치되는 설치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설치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차량 주행 시, 가진원(예컨대, 엔진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대한, 차량용 호스의 내구성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에 차량용 호스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지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제3 지그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그모듈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시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지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제3 지그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그모듈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시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에 차량용 호스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은, 차량용 호스(H)가 차량에 설치된 실제 설치환경을 모사(模寫)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호스(H)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호스 또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일 수 있다. 이처럼,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을 이용하여 모사한 시험 환경 내에서, 차량 주행 시 가진원(예를 들어, 엔진 구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대한 차량용 호스(H)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진동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은 베이스부(100)와, 제1 지그모듈(200)과, 제2 지그모듈(300)과, 제3 지그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단일 플레이트(plate)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후술할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차량용 호스(H)의 일단(이하, 제1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모듈(110)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모듈(110)은, 서로 마주보도록 베이스부(100) 상에 배치된 한쌍의 보조지지대(111)와, 한쌍의 보조지지대(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전바(112)와, 차량용 호스(H)의 제1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한쌍의 보조지지대(111)는 베이스부(100)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의 일단은, 후술할 제3 지그모듈(400)이 배치되는 베이스부(100)의 타단의 반대측일 수 있다.
제1 회전바(112)는 한쌍의 보조지지대(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바(112)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보조지지대(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회전바(112)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보조지지대(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바(112)는 한쌍의 보조지지대(111)를 연결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제1 회전바(112)에 배치되어, 제1 회전바(112)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3)의 끝단에는 차량용 호스(H)의 제1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가 차량용 호스(H)의 제1 단부의 개구 내에 삽입되어 끼워맞춤(fit)됨으로써, 차량용 호스(H)가 연결모듈(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3)는 일 실시예로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연결부(113)는 제1 회전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회전바(112)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복수개의 영역 각각에는 제1 연결부(113)가 한 개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영역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바(112)의 각 영역에 배치된 제1 연결부(113)들이 서로 동일한 회전각만큼 회전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회전각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에 복수개의 차량용 호스(H)가 연결되는 경우, 복수개의 차량용 호스(H)가 각각 다른 설치 각도로 배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어, 차량용 호스(H)이 실제 차량의 설치 상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설치 레이아웃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지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지그모듈(200)은 후술할 제2 지그모듈(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그모듈(200)은 베이스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그모듈(200)은 연결모듈(110)과 제3 지그모듈(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그모듈(200)은 결합판(210)과, 결합용 지지대(22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판(210)은 얇은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판(210)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그 면적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210)은 전술한 복수개의 결합홀 중 선택된 일부의 결합홀과 나사결합됨으로써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판(210)은 결합홀과의 나사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홀의 위치를 변경 후 다시 결합됨으로써 베이스부(100) 상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결합용 지지대(220)는, 그 일단이 결합판(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의 높이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용 지지대(220)는 제3 지그모듈(400)의 최대높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용 지지대(22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결합용 지지대(220)가 얇고 긴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bar)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지그모듈(300)은 제1 지그모듈(200)에 연결되어 제3 지그모듈(4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그모듈(300)은 제1 지그모듈(200)과 제3 지그모듈(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그모듈(300)은 중간지지판(310)과, 중간지지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중간지지판(310)은 일단에,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은 중간지지판(31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판(310)의 관통홀 내로 결합용 지지대(220)가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제2 지그모듈(300)이 제1 지그모듈(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그모듈(300)은, 제1 지그모듈(200)에 결합된 결합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용 지지대(220)가 관통홀 내로 관통 삽입된 상태로, 중간지지판(310)이 결합용 지지대(220)의 길이방향(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제2 지그모듈(300)의 결합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결합용 지지대(220)가 관통홀 내로 관통 삽입된 상태로, 중간지지판(310)이 결합용 지지대(220)의 길이방향(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지그모듈(30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중간지지판(310)은 중간지지판(3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잠금할 수 있는 잠금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지지판(310)이 원하는 결합 높이 및/또는 결합 각도로 배치된 이후, 중간지지판(310)을 잠금하여, 제2 지그모듈(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중간지지대(320)는 중간지지판(310)의 타단에 배치되어, 제3 지그모듈(4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지지판(310)의 타단은,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지지판(310)의 상기한 일단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이러한, 중간지지판(310)의 타단은 중간지지판(310)의 일단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지지판(310)은 그 길이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길이중심부를 가운데 두고 양측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지지판(310)은, 길이중심부를 중심으로, 제3 지그모듈(400)에 인접한 단부측 부분(이하, 제2 두께부)의 두께가, 관통홀이 형성된 단부측 부분의 두께(이하, 제1 두께부)의 반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대(320)는 중간지지판(310)의 제2 두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지지대(320)는 일 측면이, 제2 두께부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지지대(320)는 중간지지판(310)의 제1 두께부의 두께(또는 최대 두께)의 반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지지대(320)가 중간지지판(310)에 결합되더라도, 제2 두께부와 중간지지대(320)가 결합된 총 두께가. 중간지지판(310)의 제1 두께부와 동일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간지지대(320)는 일단이 중간지지판(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간지지판(3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중간지지대(320)는 중간지지판(310)으로부터, 제3 지그모듈(40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중간지지대(320)는 중간지지판(3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제3 지그모듈(40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지지대(320)의 타단은 후술할 제3 지그모듈(4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3 지그모듈(4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제3 지그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그모듈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지그모듈(400)은 차량용 호스(H)의 타단(이하, 제2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호스(H)의 제2 단부는, 연결모듈(110)에 연결된 차량용 호스(H)의 제1 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제3 지그모듈(400)은 베이스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그모듈(400)은 연결모듈(110)과 대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그모듈(200) 및 이에 연결된 제2 지그모듈(300)은, 서로 마주보는 연결모듈(110)과, 제3 지그모듈(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그모듈(400)은 지지대(410)와, 회전부(420)와, 연결부(이하, 제2 연결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420)는 회전바(이하, 제2 회전바)(421)와, 중간연결부재(422)와, 중간바디(4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10)는 지지바디와, 한쌍의 메인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디는, 일 실시예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메인지지대는 지지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메인지지대는 서로 이격되고,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쌍의 메인지지대에는 제2 회전바(421)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회전바(421)는 한쌍의 메인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바(421)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메인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바(421)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메인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바(421)는 한쌍의 메인지지대를 연결한 가상의 회전축(이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메인지지대를 연결한 가상의 회전축은, 전술한 한쌍의 보조지지대(111)를 연결한 가상의 회전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회전바(421)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 회전바(421)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의 단부에는 중간연결부재(422) 또는 중간바디(423)가 결합될 수 있다.
중간연결부재(422)는 제2 회전바(421)의 돌출부와, 중간바디(423)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연결부재(422)는 제2 회전바(421)의 돌출부와, 중간바디(423)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연결부재(422)의 일단은 돌출부에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중간바디(423)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중간연결부재(422)에 의해, 회전부(4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호스(H)의 설치 레이아웃에 맞춰 회전부(420)의 길이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중간연결부재(422)를 분리시킨 후, 제2 회전바(421)의 돌출부를 중간바디(423)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용 호스(H)의 설치 레이아웃에 맞춰 회전부(420)의 길이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중간연결부재(422)를 연속하여 연결함으로써, 회전부(420)의 전체 길이를 더 늘릴 수 있다.
중간바디(423)는 중간연결부재(422) 와 제2 연결부(4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바디(423)는 중간연결부재(422) 와 제2 연결부(430)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바디(423)의 일단은 중간연결부재(422) 와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연결부(430)와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연결부재(422)가 구비되지 않고, 중간바디(423)가 제2 회전바(421)의 돌출부와 제2 연결부(43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중간바디(423)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바디(423)의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간바디(423)의 형상이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지그모듈(300)의 제1 지그모듈(200)과의 결합 상태에 맞추어, 중간바디(423)의 적어도 일부를 만곡시킨 후, 제3 지그모듈(400)을 제2 지그모듈(30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바디(423)는 복수개의 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바디(423)는 예를 들어, 벨로우즈(bellows) 관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바디(423)는 부분적으로 길이 및 형상이 변형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바디(423)는 중간바디(423)는 단일의 금속 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430)는 일단이, 중간바디(423)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430)의 타단에는 차량용 호스(H)의 제2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연결부(430)는, 차량용 호스(H)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차량용 호스(H)의 제2 단부의 내경에 기초하여, 다른 연결부로 교체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0)는 제2 회전방향(R2 방향)을 따라 제2 지그모듈(300)을 향해 회전한 후, 중간지지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연결부(430)의 일 측면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중간지지대(320)의 일 측면에 결합돌기(미도시)가 구비되고, 결합돌기가 결합홈 내로 삽입됨으로써 제2 연결부(430)가 중간지지대(32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연결부(430)의 일 측면에 제1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중간지지대(320)의 일 측면의 상기한 나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나사홀(미도시)이 구비되어, 별도의 볼트를 제1 나사홀과 제2 나사홀에 동시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제2 연결부(430)가 중간지지대(3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0)는 중간지지대(320)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동시험이 완료되거나, 차량용 호스(H)를 교체하는 경우, 제2 연결부(430)를 중간지지대(320)로부터 분리한 후, 회전부(420)와 함께 제1 회전방향(R1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지그모듈(300)로부터 다시 멀어질 수 있다.
이처럼, 중간연결부재(422), 중간바디(423) 및 제2 연결부(430)가 모두 탈착 가능한 조립식 구조체로서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설치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다양한 차량용 호스(H)의 설치 상태를 모사하여, 후술할 진동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설치 레이아웃에 따라, 여러 개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만으로 다양한 실제 설치환경에 대응되는 설치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을 이용하여 차량용 호스(H)의 설치 레이아웃을 조절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우선, 진동시험 대상인 차량용 호스(H)의 종류 및 모사하고자 하는 실제 설치상태에 기초하여, 베이스부(100) 상에서 제1 지그모듈(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그모듈(200)은 결정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00)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제2 지그모듈(300)의 결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사 대상인 차량용 호스(H)의 실제 설치상태에 대응되도록, 결합용 지지대(220)에 연결된 중간지지판(310)의 결합 높이 및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결합 상태가 결정된 제2 지그모듈(300)에, 제3 지그모듈(4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그모듈(400)의 회전부(420) 및 이에 연결된 제2 연결부(430)를 제2 회전방향(R2)을 따라 회전시켜, 제2 연결부(430)의 일 측면을 중간지지대(320)의 일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경사지도록 배치된 중간지지대(320)에 의해, 회전부(420) 및 제2 연결부(43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호스(H)의 일단(제1 단부)를 연결모듈(110)의 제1 연결부(113)에 연결하고, 차량용 호스(H)의 타단(제2 단부)를 제3 지그모듈(400)의 제2 연결부(430)에 연결함으로써, 차량용 호스(H)의 설치 레이아웃 조절이 완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시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진동시험 시스템(1)은 차량용 호스(H)가 차량에 설치된 실제 설치 환경을 모사하여, 차량 주행 시 가진원(예를 들어, 엔진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대한 차량용 호스(H)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진동시험 시스템(1)은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과, 하우징(20)과, 진동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시험 시스템(1)은 센서 유닛(미도시)과,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20)은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일 수 있다. 하우징(20)은 다각면체, 원기둥, 구형 또는 반구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우징(20)이 내부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도어(doo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에, 차량용 호스(H)를 연결하거나,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진동 유닛(30)은 하우징(20)에 연결되어 하우징(2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에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진동 유닛(30)은 지지용 받침판(31)와, 진동발생부(32)와, 진동전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용 받침판(31)은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플레이트로 형성된 구조물일 있다. 지지용 받침판(31)은 외부의 물체나, 건물 지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용 받침판(31)에는 진동발생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발생부(32)는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전력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부(32)는 진동 발생 방법에 따라 기계식과 전자기식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식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식 진동발생부(32)는 자장내의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고정 자기장에 반대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 내의 전류에 의해 전자기(Amarture)의 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자기장은 진동발생부 내의 전자석에 의해 발생되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전자기(Amarture)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됨으로써, 진동시험이 가능하게 된다.
진동전달부(33)는 진동발생부(32)에서 발생된 진동을 하우징(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진동전달부(33)는 진동발생부(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전달부(33)의 상부에 하우징(20)이 배치됨으로써, 진동발생부(32)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전달부(33)를 통해, 하우징(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 유닛(미도시)는 하우징(20)의 내부공간 또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에 배치되어, 진동이 가해지는 동안 차량용 호스(H)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은 진동 유닛(30)에 의해 가해진 진동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유닛은 검출한 차량용 호스(H)의 상태 및 진동 검출값을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진동 유닛(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진동 유닛(30)이 진동을 발생 및 전달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실제 설치환경에서 차량용 호스(H)에 가해지는 진동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진동 유닛(30)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하우징(20) 및 차량용 호스(H)로 진동이 가해진 경우 진동 유닛(30)이 진동 발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10)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시험 시스템(1)은, 제1 내지 제3 지그모듈(200, 300, 400)을 이용하여, 차량용 호스(H)의 설치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차량에 설치되는 설치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설치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차량 주행 시, 가진원(예컨대, 엔진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대한, 차량용 호스(H)의 내구성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진동시험 시스템
H: 차량용 호스
10: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100: 베이스부
200: 제1 지그모듈
300: 제2 지그모듈
400: 제3 지그모듈
20: 하우징
30: 진동 유닛
30: 제어부
H: 차량용 호스
10: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100: 베이스부
200: 제1 지그모듈
300: 제2 지그모듈
400: 제3 지그모듈
20: 하우징
30: 진동 유닛
30: 제어부
Claims (8)
- 차량용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모듈이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제1 지그모듈;
일단이, 상기 제1 지그모듈에 결합되되, 결합상태를 조절 가능한 제2 지그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 지그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그모듈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지그모듈;을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선택적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1 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상기 결합상태는, 상기 제2 지그모듈의 결합 높이 및 결합 각도를 포함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그모듈은,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에 구비된 돌출부에 결합되는 중간바디; 및
상기 중간바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용 호스이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바디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호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교체 가능한,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모듈은,
상기 제1 지그모듈에 회전 및 선형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간지지판; 및
상기 중간지지판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지그모듈의 일단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대;를 구비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대는, 상기 중간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제3 지그모듈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용 호스가 연결되어 지지되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상기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에 연결된 상기 차량용 호스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유닛; 및
상기 진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동시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231A KR102677504B1 (ko) | 2021-09-28 | 2021-09-28 |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8231A KR102677504B1 (ko) | 2021-09-28 | 2021-09-28 |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5751A true KR20230045751A (ko) | 2023-04-05 |
KR102677504B1 KR102677504B1 (ko) | 2024-06-25 |
Family
ID=8588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8231A KR102677504B1 (ko) | 2021-09-28 | 2021-09-28 |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75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18304A (zh) * | 2024-07-25 | 2024-08-20 |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航空可变形式导管测试装置及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88692A (ja) * | 2003-09-16 | 2005-04-07 |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 ホースレイアウト検証治具 |
JP2018096897A (ja) * | 2016-12-15 | 2018-06-21 | 株式会社ニチリン | ホースアセンブリの振動耐久試験用治具 |
-
2021
- 2021-09-28 KR KR1020210128231A patent/KR1026775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88692A (ja) * | 2003-09-16 | 2005-04-07 |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 ホースレイアウト検証治具 |
JP2018096897A (ja) * | 2016-12-15 | 2018-06-21 | 株式会社ニチリン | ホースアセンブリの振動耐久試験用治具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18304A (zh) * | 2024-07-25 | 2024-08-20 |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航空可变形式导管测试装置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7504B1 (ko) | 202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16893B2 (ja) | 試験装置 | |
KR101292879B1 (ko) | 자력 조절이 가능한 배관 탐사용 이동 로봇 | |
JP2016203926A (ja) | 検査装置 | |
JP2011002435A (ja) | 風洞天秤較正装置 | |
KR20230045751A (ko) | 설치 레이아웃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시험 시스템 | |
KR20170005304A (ko) | 모터 특성 검사장치 | |
US7107829B2 (en) | Powertrain testing apparatus | |
KR101592961B1 (ko) | 동력전달축의 성능 시험 장치 | |
CN111071471B (zh) | 一种具有俘能功能的复合式减振云台 | |
JP2015033671A (ja) | 加振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ミュレーター用加振システム | |
JP2017201258A (ja) | 疲労試験方法、および、疲労試験装置 | |
KR101101740B1 (ko) | 자동차 로봇용접기의 위치변환장치 | |
JP2004190776A (ja) | 磁気粘性流体を用いた支承装置 | |
KR101295320B1 (ko) | 밸브시험모듈 및 이를 적용한 중력추종시험장치 | |
JP4902607B2 (ja) | 直動アクチュエータ | |
KR20220043408A (ko) | 배관 주행 장치 | |
CN111722162B (zh) | 一种极坐标式磁流变阻尼器磁场测试装置 | |
JP6318270B2 (ja) | 模擬コイルばね装置 | |
JP2010122154A (ja) | 揺動回転試験装置 | |
KR102060760B1 (ko) | 압전소자 방식 공작기계 가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작기계 가진 방법 | |
JPH0664599A (ja) | 宇宙ロボットの姿勢制御試験装置 | |
JP2007003425A (ja) | リニアサーボモーター式加振装置 | |
US20090049944A1 (en) | Micromanipulator for moving a probe | |
JP2005091078A (ja) | 振動試験装置 | |
JP3075053B2 (ja) | 2軸駆動機構の特性評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