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30040258A -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 Google Patents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58A
KR20230040258A KR1020220050318A KR20220050318A KR20230040258A KR 20230040258 A KR20230040258 A KR 20230040258A KR 1020220050318 A KR1020220050318 A KR 1020220050318A KR 20220050318 A KR20220050318 A KR 20220050318A KR 20230040258 A KR20230040258 A KR 20230040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assembly
pillar
electric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권
김진모
강민구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4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5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aterproof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to an electric device and an electric cable connected thereto. A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 cable, including a cable and a terminal coupled to an end of the cable and coupled to a socket of an electric device, compris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cable of the electric cable and the terminal; a head rotatably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device; a filler assembly disposed in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to fill a space between the cable and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cable; and a tail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press the filler assembly so that the filler assembly closely contacts th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assembly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ocket, that is, the electric device, as well as the electric cable.

Description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설비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proof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to an electric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이 이용된다. 전기 케이블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설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해당 전기설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중에서, 통신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전기신호의 교환을 위해서도 전기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설비에서, 전기 케이블은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기능하며, 이러한 경우, 전기 케이블은 통신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및 물리적 상태량,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며, 이들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및 교환을 위해 전기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In general, electrical equipment is driven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n electric cable is us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electrical equipment. An electric cabl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facility, respectively,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facility. In this case, the electric cable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cable. In addition, among electrical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figured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order to enable various types of two-way communication, and an electric cable can also be used for the exchange of such electrical signals. there is. In communication facilities, electric cables connect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to each other and serve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over long distances. In this case, electric cables may be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cables. That is, an electric cable is a medium that transmits various types of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and can be connected to electrical equipment to transfer and exchange these electrical properties.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은 전기설비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기 위해 통상적으로 여러 부품이 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물이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전기 케이블에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물은 전기 또는 통신설비의 고장 및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물 이외에도 다양한 이물질들도 노출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유입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고장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물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에는 방수 또는 차폐구조가 요구된다. Such an electric cable is typ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facility or communication facility 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various parts are combined to be firm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facility and easily mounted and detached. However, since these connector assembli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water may flow into these connector assemblies and electric cables, and the inflowed water may cause failure or damage to electrical or communication facilities. In addi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water may flow into electrical or communication facilities through exposed connector assemblies and electric cables, and similarly cause failures and damages. For this reason, a waterproof or shielding structure is required for electric cables to prevent inflow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케이블은 바로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연결되도록 미리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당한 크기 및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방수 또는 차폐구조도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미리 전기 케이블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전기 케이블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즉, 커넥터 어셈블리만 전기 케이블에 설치된 경우, 방수 또는 차폐구조는 현장에서 나중에 전기 케이블에 설치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방수 또는 차폐구조는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Also, generally, the electrical cable is coupled with the connector assembly in advance so a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or telecommunication facility. Since the connector assembly has a considerable size and complicated structure, it is necessary that a waterproofing or shielding structure is also provided to the electric cable in advance together with the connector assembly. Therefore, if it is not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together with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if only the connect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the waterproof or shielding structure is difficult to install on the electric cable later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the waterproofing or shielding structure needs to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as needed at the work site.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케이블 및 이에 연결된 전기설비에 물을 포함하여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assembly that prevents other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from entering an electric cable and electrical equipment connec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바로 전기 케이블에 설치가능한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proof assembly that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an electric cable as needed in the field.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및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밀착되게 상기 필러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 cable comprising a cable and a terminal coupled to an end of the cable and coupled to a socket of an electric devic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able and the terminal of the electric cable a housing; a head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of the electric device; a filler assembly disposed in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to fill a space between the cable and the housing and to surround the cable; And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proof assembly for the electric cable comprising a tail portion (tail) configured to press the filler assem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 후방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일부의 후방부도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ear part of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rear part of the tail part may also be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또한, 상기 필러 어셈블리의 측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side of the pillar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side of the electrical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의 소켓과 결합되면서 소켓과 이의 전방부 끝단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이용하여 이의 전방부에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후방부에 수용되는 필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붙잡으면서 동시에 실질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전방 및 후방부들에서 밀폐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므로, 전기 케이블뿐만 아니라 소켓, 즉 전기장치에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ealing structure to the front portion thereof by using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socket and the front end of the socket while being coupled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 device. In addition, the waterproof assembly can provide a substantial sealing structure while stably holding the electric cable using the pillar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rear portion thereof. Accordingly, since the waterproof assembly substantially realizes sealing at its front and rear parts, it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not only the electric cable but also the socket, ie the electr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면서 전기 케이블과 소켓의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충격 또는 압력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기 케이블 및 소켓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이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ocket of the electrical device and cover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lectrical cable and the socket as a whole,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electrical cable and the socket from external forces such as shock or pressure while preventing their breakage.

더 나아가,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또는 측부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완성된 전기 케이블,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 전기 케이블에도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도 바로 언제라도 편리하게 전기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components of the waterproof assembly are configured to be joined from the front or side of the electric cable 10, they can also be directly installed on a completed electric cable, for example, an electric cable provided with a connector assembly. For this reason,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applied to the electric cable at any time, even on site, if necessary.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효과적인 밀폐 및 외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면서도 현장에서의 편리한 조립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 및 전기 케이블의 안정성 및 신뢰성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ffective sealing and protection against external force, while enabling convenient assembly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work productivity as well as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electric devices and electric cable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andable to you.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부 단면들을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tertight assembly of FIGS. 1 and 2 including partial cross-sections;
6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Examples of waterproof assemblies for electric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se example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xampl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alternativ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some features from combinations of rel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and parts described using the above-mentioned terms, unless departing from the intended technical purpose and eff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However,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combinations in which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etc. are omitted are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분해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5는 일부 단면들을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 Finally,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including some cross-sections, and FIG. 6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proof assembly of FIGS. 1 and 2 .

앞서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기 케이블에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Referring to the aforementioned drawings, the construction of a waterproof assembly that provides a waterproof function to an electric c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상태량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매체인 전기 케이블(10)에 관한 것이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기 케이블(10)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기 케이블(10)은 상기 전기장치, 정확하게는 통신장치와 다른 이격된 통신장치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기 신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케이블이 될 수 있다. 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late to an electric cable 10, which is a medium for transmitting various types of electrical state quantities to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s shown in FIGS. 1 and 2.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 electric cable 10 may be a power cabl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device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electric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cable 10 may be a communication cable enabling exchange of electrical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al device, more precisely,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nother remot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케이블(10)에 의해 운반되는 전기적 상태량을 전기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10)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연결시키 구성되는, 즉 전기케이블(10)과 전기장치사이에 물리적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상기 전기 케이블(10) 및 전기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예로서, 전기장치에는 소켓(S)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10)은 실질적인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매체인 케이블(12)과 더불어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상기 케이블(12)의 끝단에 제공되는 터미널 또는 플러그(11)(이하, "터미널")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은 일차적으로 케이블(12)에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면, 전기장치의 소켓(S)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켓(S)은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이 소켓(S)에 결합되면, 이러한 물리적 결합에 의해 케이블(12)과 전기장치사이에 전기적 결합 또는 연결이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된 터미널(11) 및 소켓(S), 즉 연결 또는 조립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전기장치는 전기 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적 에너지 또는 상태량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in order to transfer the electrical state carried by the electric cable 10 to the electric device, the electric cable 1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that is, the electric cable ( 10) and the electrica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assembly that forms a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al cable 10 and the electrical device. As an example of the connector assembly, a socket S may be installed in an electric device. In addition, the electric cable 10 is a connector assembly along with the cable 12, which is a transmission medium of a substantial electrical state quantity, and includes a terminal or plug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12. can do. While the terminal 11 of the electric cable 10 is primarily firmly fixed to the cable 12 so as not to be separat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ocket S of the electric device. The socket S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 device.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11 is coupled to the socket S, electrical coupling or connection is achieved between the cable 12 and the electric device by this physical coupling. Therefore, the electrical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able 10 by the combined terminal 11 and the socket S, that is, the connected or assembled connector assembly, and supplies various electrical energy or state quantities including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can receive

일 예로서, 터미널(11)은 또한, 소켓(S)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소켓(S)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는 탭(tab)(11a)을 포함할 수 있다. 탭(11a)은 터미널(11)이 소켓(S)에 정확하게는 이의 인렛(inlet)(S1)에 삽입될 때, 소켓(S)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형되면서 이의 내부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11)은 소켓(S)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탭(11a)이 변형되면, 예를 들어, 상기 탭(11a)이 눌러지면, 소켓(S)으로부터 해제되며, 이에 따라 터미널(11)은 소켓(S)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은 소켓(S)에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도 전기 장치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terminal 11 may als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ocket (S). More specifically, as shown, the terminal 11 may include a tab 11a configured to selectively engage the socket S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terminal 11a is inserted into the socket S precisely in its inlet S1, the tab 11a can be caught inside the terminal while being relatively deformed by the socket S, and thus the terminal (11)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socket (S). Further, when the tab 11a is deformed, for example, when the tab 11a is pressed, it is released from the socket S, and thus the terminal 11 can be separated from the socket S. Therefore, the terminal 11 can be detachably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socket S, and accordingly, the electric cable 10 can also be convenient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electric device as needed.

다음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전원 또는 통신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된 전기 케이블(10)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방수 어셈블리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설명된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에 대한 실질적인 변형없이 전기 및 전기신호이외에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케이블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은 원리 및 구성의 실질적인 변형없이 그와 같은 다양한 케이블을 위한 다양한 커넥터 어셈블리들에도 결합가능하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는 터미널(11)로서 표준화된 통신설비인 RJ45 커넥터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도 일 예로서 통신 케이블인 네트워크 케이블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RJ45 커넥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케이블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케이블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가 원리 및 구성상의 실질적 변경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waterproof assembly that provides a waterproof function to an electric cable 10 that is made of such a power or communication cable and is combined with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on with an electric device, but of the described waterproof assembly The examples can be applied as it is to various cables configured to transmit electrical properties other than electricity and electrical signals without substantial modification to their principles and configurations. For the same reason, the examples of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various connector assemblies for such various cables as they are without substantial change in principle and configuration. As an example, FIGS. 1 and 2 show an RJ45 connector, which is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facility, as the terminal 11, and accordingly, the electric cable 10 may also be a network cable, which is a communication cable, as an example. However,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at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ther cables and connector assemblies in addition to network cables using RJ45 connectors as connector assemblies without substantial changes in principle and configuration. there is.

첨부된 모든 도면들인 도 1-도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기본적으로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헤드부(head)(200) 및 테일부(tail)(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all accompanying drawings, FIGS. 1-6, the waterproof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that basically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10. In addition, the waterproof assembly may include a head part 200 and a tail part 30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housing 100, and a filler assembly disposed in the housing 100 (300) may be included.

다음의 방수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100-400)의 설명에서, "전방"은 방수 어셈블리 및 이의 각 구성요소(100-400)가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대상장치, 예를 들어 전기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즉, 상대적 근접 및 이격)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100-400)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itself and its components (100-400), "front" is relative to the target device to which the waterproof assembly and its respective components (100-400) are coupled while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an electric device. means a location close to it, and “rear” means a location relatively far from such a target device. However, this definition is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ie, relative proximity and distance), and may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waterproof assembly and its components 100-400 may also change. there is.

또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중공 실린더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전기적 누설을 방지하도록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절연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고분자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들에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mponents 100-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are configured to enclose the entirety while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or electric cables 10 to be coupled for stable connection. Accordingly, unless otherwise stated, the components 100-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in the following may be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or member. In addition, to prevent electrical leakage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strength, the components 100 to 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or other polymeric resin material,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s, the components 100 to 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have circular cross sections, but may also have other shapes, for example, triangular or square cross sections.

더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100-400)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지므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100-400)에 제공되는 모든 추가적인 부재 및 구조는 이들(100-40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거나, 방수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구조 및 원활한 기능달성을 위해 상기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 또는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mponents 100-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have a hollow cylinder structure, unless otherwise stated, all additional members provided to these components 100-400 and The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ce of the 100-400, or may extend or be formed entir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ce to achieve a more stable structure and smooth func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이러한 전제하에서, 방수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수 어셈블리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와 같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공간에 다양한 내부부품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필러 어셈블리(3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10)도 상기 내부부품들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과 상기 터미널(11)에 연결된 케이블(1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을 감싸면서 수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하며,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Under this premise, to describe the waterproof assembly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to 6 , the waterproof assembly may first include a housing 100 form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f a body 110 that is a hollow member or a hollow cylinder to form such an inner space. The housing 100 may accommodate various internal parts, for example, a filler assembly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its internal space, and the electric cable 10 is also attached to the housing 10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internal parts. can be accommodated within.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accommodate therein a terminal 11 of an electric cable 10 and a portion of a cable 12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 Since the housing 100 surrounds and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10 by this configuration, it basically protects the electric cable 10 from external impact and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can prevent damage and failure.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0)은 소켓(S)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전방부(111) 및 상기 소켓(S)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후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0)은 바로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연결되도록 미리 커넥터 어셈블리(즉, 터미널(11))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당한 크기 및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통상적으로 방수 어셈블리도 적절하게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미리 전기 케이블(10)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즉, 커넥터 어셈블리만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된 경우, 방수 어셈블리는 현장에서 나중에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10)의 어느 한 끝단, 즉 전방 끝단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대상 전기장치의 소켓(S)에 연결되는 반면, 전기 케이블(10)의 다른 끝단, 즉 후방 끝단은 외부의 다른 전기 장치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전기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원거리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방수 어셈블리의 하우징(100)의 전방부(111)가 외부 전기장치에 배치된 전기 케이블(10)의 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고, 이 후 하우징(100)이 전기 케이블(10)을 따라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까지 이동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111 relatively adjacent to the socket S and a rear portion 112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the socket S. As already discussed above, electrical cables 10 are usually pre-mated with connector assemblies (i.e., terminals 11) to connect directly to an electrical or telecommunications facility. Since these connector assemblies have a considerable size and complex structure, the watertight assembly also typically needs to be provided to the electrical cable 10 in advance along with the connector assembly in order to be properly installed on the electrical cable 10 . Therefore, if it is not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10 together with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if only the connect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10, the waterproof assembly is difficult to install on the electric cable 10 later in the field. For example, one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that is,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S of the target electric device as mentioned above, while the other end, that is,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is externally connected.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devices of However, since these external electrical devices are far apart in most cases,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is coupled from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disposed in the external electrical device, and then Moving the housing 100 along the electric cable 10 to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is practically impossible or a very cumbersome task.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은 후방부(112)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에는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11)이 배치되므로, 이와 같은 후방부(112)로부터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방부(112)는 이러한 터미널(1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후방부(112)의 제 1 내경(D1)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부(112)의 제 1 내경(D1)은 터미널(11)의 높이, 폭, 대각길이 및/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부(112)의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내에 바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제공된 후에도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10)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로부터 전방부(111)까지 원활하게 이동 및 결합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 전체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즉, 터미널(11))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이 전체적으로 제 1 내경(D1) 또는 이에 근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can be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al cable 10 to be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from the rear portion 112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11 for connection with an electric device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in order to allow insertion from the rear part 112, the rear part 112 ) needs to have an appropriate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terminal 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housing rear portion 112 may be larger than the terminal 11 of the electric cable 1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rear portion 112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width, diagonal length and/or diameter of the terminal 11 .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portion 112, the electric cable 10, precisely its front end,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Therefore, the rear part 112 of the housing 100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from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and the waterproof assembly is attached to the electric cable 10 as needed at the work site even after the connector assembly has already been provided. It can be configured to install right away. Furthermore, in order for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to be smoothly moved and coupled from the rear part 112 to the front part 111 of the housing 100, the entire housing 100 is the front of the electric cable 10. Preferably, it is configured to be engageable from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by allowing the end (i.e., the terminal 11) to be inserted therein. To this end, the housing 100 as a whole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inner diameter D1 or a diameter close thereto.

또한, 하우징(100)은 실질적으로 소켓(S)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므로, 전기 케이블(10)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켓(S)과 함께 전기 케이블(10)을 위한 밀폐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전방부(111)는 소켓(S)에 맞닿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과 소켓(S)은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서로 연결된 밀폐구조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일 예로서, 밀폐구조의 형성을 위해, 전방부(111)의 끝단(또는 끝단면)은 상기 끝단이 마주하는 소켓(S)의 끝단, 즉 전방 끝단(또는 끝단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이의 전방부(111)에 제공되며, 소켓(S)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가스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스켓(120)은 하우징(100)과 소켓(S)사이에 밀폐를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및 소켓(S)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일 예로서, 가스켓(120)은 하우징(120)의 전방부(111)의 끝단(또는 끝단면)과 소켓(S)의 끝단(또는 끝단면)사이에 개재되며, 보다 확실하고 견고한 밀폐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100 substantially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10 connected to the socket S,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electric cable 10, the electric cable ( It is necessary to form an airtight structure for 10). Therefore, the front part 111 of the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S, and in this case, the housing 100 and the socket S have a sealed structure or spac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does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to enter. can form Precisely, as an example, for the formation of a closed structure, the end (or end face) of the front part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ocket (S) facing the end, that is, the front end (or end face). can In addition, the housing 100 is provided on its front portion 111 and may include a gasket 120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S. That is, the gasket 1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socket S to provide sealing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socket S. To be precise, as an example, the gasket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or end face) of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20 and the end (or end face) of the socket S, and is more reliable and robust. A seal can be formed.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20)은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에 제공되는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10) 및 방수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후술되는 헤드부(120))와 간섭하지 않도록, 몸체(121)는 전방부(111)의 전방끝단을 넘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 및 바깥쪽을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몸체(121)는 예를 들어, 전방부(111)의 전방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끝단과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링 부재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20)은 몸체(121),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122)는 하우징(100), 즉 이의 몸체(110)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가스켓(120)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한 쌍의 레그(122)가 몸체(110)의 좌우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는 안정적 설치 및 보다 확실한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해 소켓(S)에도 결합되며, 방수 어셈블리가 소켓에 결합되면, 가스켓(120)은 소켓(S) 및 하우징(100) 사이에서 이들에게 밀착되면서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20)에 의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부에서의 밀폐 및 이물질 유입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gasket 120 may include a body 121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 The body 12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continuously extend along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111 while having a thin thickness. In addition, the body 121 is radially inward beyo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part 11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lectric cable 10 and other components of the waterproof assembly (for example, the head part 120 described later). and may not extend outward. That is, the body 121 may be, for example, a ring member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111 and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front end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gasket 120 may include a leg 122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body 121, more precisely, from the rear portion thereof. The leg 12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at is, its body 110, and thus the gasket 120 can be fixed to the housing 100. For more stable fixation, a pair of legs 122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waterproof assembly is also coupled to the socket (S) for stable installation and more reliabl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and when the waterproof assembly is coupled to the socket, the gasket 120 is coupled to the socket (S) and the housing ), it is possible to achieve sealing while being closely adhered to them. Therefore, sealing and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at the front portion of the electric cable 10 by the gasket 120 can be implemented more reliably.

더 나아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터미널(11)보다 큰 크기를 가지면서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전기 케이블(10)이 하우징(100)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터미널(11)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게, 즉 축방향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를 위해, 하우징(1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미널(11)의 외부윤곽에 형상적으로 일치하는 내주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주면은 터미널(1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터미널(11)이 회전하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다.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using 100 has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electric cable 10, more precisely, the terminal 11 and is configured to be wrapped around, the electric cable 10 is stable within the housing 100. It is not fixed and can move. For this reason, the housing 100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electrical cable 10, precisely its terminals 11, non-rotatably about a longitudinal axis, ie non-rotatable about an axial direction. For this support, the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at least partially conforms to the outer contour of the terminal 11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comes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11, and the terminal 11 can be held so as not to rotate.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터미널(11)은 소켓(S)와의 결합을 위해 탭(11a)을 포함하므로, 하우징(100)은 상기 탭(11a)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기 위해, 상기 탭(11a)이 설치되지 않은 터미널(11)의 외면과 접촉하며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즉 이의 내주면은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접촉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0)은 이의 내주면의 양 측부들에 각각 제공되며,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100)은 이의 내주면 양측부들에 각각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의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마주하는 표면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131)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은 솔리드한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20), 즉 이의 레그(122)도 이러한 견고한 구조의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반면, 터미널(11)은 제 1 및 제 2 표면들(131)과 접촉하면서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에 의해 안내되면서 방수 어셈블리, 즉 하우징(100)내의 의도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since the terminal 11 includes a tab 11a for coupling with the socket S, the housing 100 includes the tab 11a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tab (11a)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nd hold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11) is not install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4-6 , the housing 100 , that is,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hold while contacting both side surfaces 11b and 11c of the terminal 11 . 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ntacting both side surfaces 11b and 11c of the terminal 11. there is.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the housing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Surfaces facing both side surfaces 11b and 11c of the terminal 11 of the two protrusions 130 may be formed as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 Therefore, the terminal 11 can be stably placed without being rotated about the axial direction by its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by the solid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0. . In addition, the gasket 120, that is, its leg 122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0 having such a rigid structure, and thus can be more stably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1 may be allowed to move in the axial or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and thus being gu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The watertight assembly, i.e.,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intended location within the housing 100.

또한, 방수 어셈블리가 소켓(S)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방수 어셈블리는 안정적으로 전기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기 케이블(10)에 효과적인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에 제공되는 헤드부(head)(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200), 즉 몸체(210)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일부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00)는 적어도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전기 케이블(10)과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도 4-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0)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부(220)는 소켓(S)의 결합부(S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00)와 소켓(S)의 결합부(220,S2)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을 위해, 헤드부(200)는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결합부(220)는 헤드부(200)의 전방부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며, 결합부(S2)는 소켓(S)의 외주부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00)는 하우징(100)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0)에 맞닿는 소켓(S)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헤드부(200)는 방수 어셈블리가 전기장치 및 전기 케이블(10)에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전기 케이블(10) 및 소켓(S), 즉 전기장치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proof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socket (S), the waterproof assembly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electrical devi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effective waterproofing to the electric cable (10). For this purpose, the waterproof assembly may include a head 200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 The head part 200 may be formed of a body 210 that is a hollow member or a hollow cylinder form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The head portion 200, that is, the body 210 is provided, for examp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and thus is configured to cover not only the electric cable 10 but also a portion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Therefore, the head part 200 can protect the electric cable 1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lectric cable 10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t least. As well shown in FIGS. 4 to 6 , the head portion 20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20, and this coupling portion 22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S2 of the socket S.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s 220 and S2 of the head part 200 and the socket S may be made of screw parts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For such screw coupling, the head portion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00 . Also, as an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0, and the coupling portion S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ocket S. Accordingly, the head por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enclose not only the housing 100 but also the socket 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00 . For this reason, the head part 200 not only allows the waterproof assembly to be stably instal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electric device and the electric cable 10, but also protects the electric cable 10 and the socket S from external impact and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at is, electrical devices can also be protected.

또한, 결합부들(220,S2)의 나사 결합은 헤드(200)의 회전 및 길이방향 이동을 요구하며, 이러한 헤드부(200)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조가 하우징(100) 및 헤드부(20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이의 외주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groove)(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은 이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형 안쪽으로 연장되며 홈(114)내에 삽입되는 리브(rib)(2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리브(230)도 홈(114)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헤드부(200)의 내주부에서 원주방형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230)는 홈(114)내에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상기 홈(114)의 내벽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30) 및 홈(114)과 같은 안내구조에 의해 헤드부(200)는 하우징(100)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켓(S)과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안내구조로서, 하우징(100)은 이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15)는 헤드부(200)의 후방부 및 홈(114)의 후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의 후방 끝단은 플랜지(115)에 걸리며 이에 의해 플랜지(115)는 헤드부(1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헤드부(100)가 길이방향으로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w coupling of the coupling parts 220 and S2 requires rotation and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head 200, and the guide structur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ead 200 is the housing 100 and the head ( 200)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groove 114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its outer periphery.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200 may include a rib 230 that extends radially inward from its inner periphery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4 . As shown, the groove 114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may also extend throughou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n addition, the rib 230 may also exten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0 to the entire circumferential shape for stable coupling with the groove 114 . Accordingly, the rib 230 can move stably while being guided by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114 in th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housing 100 within the groove 114 . Due to the guiding structures such as the rib 230 and the groove 114, the head portion 200 can rotate relatively stably to the housing 100 and be engaged with the socket S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more, as a guide structure,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115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its outer periphery. The flange 11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0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groove 114 .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00 is caught on the flange 115, whereby the flange 115 limit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head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100 extends to the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scape from it can be prevented.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전기 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붙잡으면서 밀폐를 형성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 및 부재가 요구된다. 또한,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부에 위치한 터미널(11)은 하우징(100), 즉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131)에 의해 고정되므로, 터미널(11)의 후방에 위치한 전기 케이블(10)의 일부, 즉 케이블(12)을 붙잡도록 구성되는 구조가 전기 케이블(10) 전체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내에 배치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어셈블리(300)는 케이블(12)과 하우징(100)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케이블(12)의 외주면과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서 케이블(12)을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2)주위에 효과적인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러 어셈블리(300)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블(12)의 외주부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케이블(12)를 붙잡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필러 어셈블리(300)는 변형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러 어셈블리(300)는 후술되는 방수 어셈블리의 테일부(tail)(400)에 의해 가압되면, 변형되면서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서 케이블(1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using 1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electric cable 10, additional structures and members capable of forming a seal while stably holding the electric cable 10 are required. Also, since the terminal 11 located at the front of the electrical cable 10 is secured by the housing 100, i.e. its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the electrical cable 10 locat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11 ), that is, a structure configured to hold the cable 12 is required for stable support of the entire electrical cable 10. For this reason, the watertight assembly may include a filler assembly 300 disposed within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 The filler assembly 300 fills a space between the cable 12 and the housing 100, and thu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12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us, the filler assembly 300 can hold the cable 12 stationary within the housing 100 and provide an effective seal around the cable 12 . In addition, the filler assembly 300 is made of a cylinder member and can entirely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ble 12, thereby holding the cable 12 more firmly. Furthermore, the pillar assembly 300 may be made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In this case, when the pillar assembly 300 is pressed by the tail part 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deformed and adhered to the cable 12 . Therefore, the pillar assembly 300 can form a sealing structure that stably fixes the cable 12 in the housing 100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rear part of the waterproof assembly.

또한,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가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설치된 전기 케이블(10)에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된 내경(D1)을 가질 수 있다. 반면,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부재이므로, 이러한 하우징(100)과는 달리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기 어렵다. In addi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from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so that the waterproof assembly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ield to the electric cable 10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is already installed. It can be. That is, the housing 100 may have an inner diameter D1 larger than the terminal 11 of the electric cable 10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illar assembly 300 is a member disposed within the housing 100, it is difficult to have a large inner diameter unlike the housing 100.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는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 측부(즉, 케이블(12) 또는 이의 측부)는 필러 어셈블리(200)의 측부를 통해 상기 필러 어셈블리(2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이 가능하도록 필러 어셈블리(200)에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 어셈블리(200)는 상하 또는 양측으로 분할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된 필러 어셈블리(200)는 작업중 작은 크기로 인해 망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분할된 구조로 인해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도 3-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어셈블리(300)는 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개부 또는 슬롯(slot) (311,32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311,321,331)은 길이방향을 따라 필러 어셈블리(300:310,320,330)의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 어셈블리(300:310,320,330)의 측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가 도 5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면, 개방된 측부, 즉 확장된 슬롯(311,321,331)을 통해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의 측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롯(311,321,331)이 형성되어도 필러 어셈블리(300)는 여전히 하나의 일체화된 몸체를 가지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용이하게 전기 케이블(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전기 케이블(10) 즉, 케이블(12)의 측부로부터 상기 케이블(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현장에서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in the waterproof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f the pillar assembly 300 can be configured to allow the electric cable 10 or its side to be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electric cable 10 or a side thereof (ie, cable 12 or a side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pillar assembly 200 through the side of the pillar assembly 200 . Various mechanisms may be applied to the filler assembly 200 to enable such insertion. For example, the pillar assembly 200 may be formed of two members divided vertically or on both sides. However, the divided pillar assembly 200 may be lost during operation due to its small size, and may not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due to the divided structure. Thu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3-6 , the filler assembly 300 may include cutouts or slots 311 , 321 , and 331 extending along its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ots 311 , 321 , and 331 may extend over the entire sides of the filler assemblies 300 (310, 320, and 3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us, the side portions of the filler assemblies 300: 310, 320, and 330 may be opened. Therefore, when the filler assembly 30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5, the electric cable 10 or its sid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that is, the expanded slots 311, 321, and 331. In addition, even when these slots 311 , 321 , and 331 are formed, the pillar assembly 300 still has a single integrated body, so i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electric cable 10 while having sufficient strength. For this reason, the filler assembly 300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lectrical cable 10, i.e., the cable 12 from the side of the cable 12, so that, lik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watertight assembly, if desired It can be installed on the electrical cable 10 at any time on site.

이와 같은 필러 어셈블리(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러 어셈블리(300)는 먼저 전기 케이블(10)의 케이블(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케이블(12)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1 필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310)는 케이블(12)을 감싸도록 전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31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 및 다른 필러들(320,330)에 의해 가압되면, 케이블(12)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면서 이를 붙잡으면서 밀폐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른 필러들(320,330)과는 다르게, 다수개의 제 1 필러(310)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사전에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굵기의 케이블(12)에 밀착되게 대응될 수 있다. Describing such a filler assembly 300 in more detail, the filler assembly 300 first includes a first filler configured to surround the cable 12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cable 12 of the electric cable 10 ( 310) may be included. The first pillar 310 may be made entirely of a hollow cylinder member to surround the cable 12, and may be made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pressed by the tail portion 400 and the other fillers 320 and 330, the first pillar 31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eal while directly adhering to the cable 12 and holding it. . In addition, unlike the other pillars 320 and 330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he plurality of first pillars 310 may be prefabricat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will closely correspond to the cables 12 of different thicknesses. can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필러(31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1 슬롯(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슬롯(311)은 제 1 필러(31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1 필러(31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러(310)는 이의 몸체 전방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리세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러(310)는 제 1 리세스(31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몸체 외주부에 형성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필러(310)은 이의 몸체 후방부 또는 끝단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보조 리세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 및 보조 리세스(312,313,314)는 후술되는 제 2 필러(320)와 제 1 필러(3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이를 위해 제 1 필러(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부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 및 보조 리세스(312,313,314)의 상세한 기능은 제 2 필러(320)의 해당 구성과 함께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illar 310 may include a first slot 311 extending over the entir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slot 311 opens the side of the first pillar 310 so that the cable 12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illar 310 . In addition, the first pillar 310 may include a first recess 312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extending radially inward. In addition, the first pillar 31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313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recess 312 an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exten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Furthermore, the first pillar 310 may include an auxiliary recess 314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ortion or end of the body thereof and extending radially inward. These first recesses, first protrusions, and auxiliary recesses 312 , 313 , and 314 are components for stable coupling of the second pillar 320 and the first pillar 310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 this purpos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pillar 310 It may extend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along the direction. The detailed functions of the first recess,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auxiliary recess 312 , 313 , 314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

또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제 1 필러(3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필러(31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2 필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러(320)는 제 1 필러(310)를 감싸도록 전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러(3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 및 다른 필러(330)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변형되면서 제 1 필러(310)를 케이블(12)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llar assembly 300 may include a second pillar 320 configured to entirely surround the first pillar 310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pillar 310 . The second pillar 320 may be made entirely of a hollow cylindrical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first pillar 310, and similarly may be made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pillar 320 may press the first pillar 3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while being deform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tail part 400 and the other pillar 330. .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필러(32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2 슬롯(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슬롯(321)은 제 2 필러(32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2 필러(32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320)는 이의 몸체 전방부의 내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320)는 제 2 돌출부(32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몸체 내주부에 형성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리세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322)는 제 1 필러(310)의 제 1 리세스(312)내에 삽입되며, 제 2 리세스(323)는 제 1 필러(310)의 제 1 돌출부(313)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리세스 및 돌출부(312,313,322,323)의 결합에 의해 제 2 필러(320)는 제 1 필러(310)에 상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제 1 리세스 및 제 1 돌출부(312,313)과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 및 제 2 리세스(322,323)도 제 2 필러(3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illar 320 may include a second slot 321 extending over the entir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second slot 321 opens the side of the second pillar 320 so that the cable 12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illar 320 . In addition, the second pillar 3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322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extending radially inward. In addition, the second pillar 320 may include a second recess 323 positioned behind the second protrusion 322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exten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As shown, the second protrusion 3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 312 of the first pillar 310, and the second recess 323 is the first protrusion 313 of the first pillar 310. )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By combining the rec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and the protrusions 312 , 313 , 322 , and 323 , the second pillar 320 is st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pillar 310 or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pillar 310 . can be combined For more stable coupling, like the first recess and the first protrusions 312 and 313,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recess 322 and 323 may also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can

또한, 제 2 필러(320)는 이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플랩 또는 블레이드(flap or blade)(3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들(324)은 제 2 필러(320)의 몸체, 정확하게는 이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랩들(324)은 가늘고 긴 몸체 및 이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즉 제 2 필러(21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면 서로 모이면서 반경방형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랩들(324)는 케이블(12)를 향해 변형되면서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조이며(clamp), 조여진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는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플랩들(324)에 의해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는 용이하게 수축되면서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가압하면서 방수 어셈블리 후방부에서 케이블(12)에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플랩들(324)의 후방 끝단에는 반경방향 안쪽을 돌출되는 후크(325)가 제공될 수 있다. 후크들(325)는 제 1 필러(310)의 후방 끝단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들(325)는 제 1 필러(310)의 보조 리세스(314)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랩들(324)는 제 1 필러(310), 즉 이의 후방부에 안정적으로 걸리며, 이에 따라 변형되면서 상기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illar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ps or blades 324 disposed at the rear thereof. The flaps 324 extend from the body of the second pillar 320, to be precise, from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e to the elongated body and the gap between the flaps 324, when pressed radially inward,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pillar 210, the flaps 324 gather together and deform radially inwardly. there is. More specifically, the flaps 324 clamp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pillar 310 while being deformed toward the cable 12, and the clamped rear portion of the first pillar 310 will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can That is, while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is easily contracted by the flaps 324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pillar 310 is pressed, the cable 12 may be seal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In addition, a hook 325 protruding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flaps 324 . The hooks 325 may be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pillar 310 . More specifically, the hooks 325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within the auxiliary recess 314 of the first pillar 310 . Accordingly, the flaps 324 are stably caught on the first pillar 310, that is, the rear part thereof, and thus can be deformed to firmly tighten the rear part of the first pillar 310.

더 나아가, 제 2 필러(320)는 이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2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26)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끝단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26)에 의해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다른 필러(330) 및 테일부(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326)는 플랩(324),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플랩(324)(즉,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및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노출된 후방부는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밀폐를 형성하도록 다른 필러(330) 및 테일부(400)에 의해 적절하게 가압 및 변형될 수 있다. Further, the second pillar 320 may include a flange 326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its outer periphery. As best seen in FIG. 6 , the flange 326 may be configured to hook the end of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0 so as not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lange 326, and thus is stably maintained by the other pillars 330 and the tail part 400. It can be deformed under pressure. More specifically, the flange 326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lap 324, precisely its front end. Due to this arrangement, the flap 324 (ie,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pillar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the exposed rea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may be appropriately pressed and deformed by the other pillars 330 and the tail portion 400 to form a seal at the rear por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끝으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제 2 필러(320), 즉 이의 외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3 필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필러(330)는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즉 플랩(324)을 감싸도록 대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3 필러(3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에 의해 가압되며, 가압되는 동안 제 1 및 제 2 필러(310,320)를 케이블(12)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제 3 필러(330)는 테일부(400)내에 배치되며, 상기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에 결합될 때, 상기 테일부(40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nally, the pillar assembly 300 may include a third pillar 330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ar part of the second pillar 320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llar 320 . The third pillar 330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that is, the flap 324, and may be made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as wel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pillar 330 is pressurized by the tail part 400, and while being pressurized,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may be press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Specifically, the third pillar 330 is disposed within the tail portion 400, and when the tail portion 400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long with the tail portion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while moving forward.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필러(33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3 슬롯(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슬롯(331)은 제 3 필러(33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3 필러(32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필러(330)는 이의 전방 끝단에 제공되는 가압면(3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면(332)는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즉 플랩(324)과 맞닿으며, 테일부(400)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해 플랩(324)를 변형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면(3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향되며 이에 따라 플랩(324)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 및 변형시킬 수 있다. 즉, 가압면(332)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으로 가면서 점점 축소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필러(330)는 이의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스텝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333)는 테일부(4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이의 기능은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 나아가, 제 3 필러(330)는 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노치(33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334)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제 3 슬롯(331)과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필러(330)와 케이블(12)가 결합될 때, 케이블(12)은 노치(334)에 의해 제 3 슬롯(331)까지 안내되어 용이하게 상기 제 3 슬롯(331)을 통해 제 3 필러(3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hird pillar 330 may include a third slot 331 extending over the entir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third slot 331 opens the side of the third pillar 330 so that the cable 12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pillar 320 . In addition, the third pillar 330 may include a pressing surface 332 provided at its front end. The pressing surface 3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320, that is, the flap 324, and may press the flap 324 to be deformed by force or pressure applied by the tail portion 400. .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surface 332, as shown, is oriented obliquely and can thereby press and deform the flap 324 radially inwardly. That is, the pressing surface 332 is formed to be tapered, and more precisely,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In addition, the third pillar 330 may include a step portion 33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its body. The step portion 333 is for stable coupling with the tail portion 400, and its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Furthermore, the third pillar 330 may include a notch 334 provided at a rear portion thereof. The notch 334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slot 331 . Therefore, when the third pillar 330 and the cable 12 are coupled, the cable 12 is guided up to the third slot 331 by the notch 334 and easily removed through the third slot 331. 3 can be inserted into the pillar 330.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4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부(4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일부(400), 즉 몸체(410)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일부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는 적어도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전기 케이블(10)과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할 수 있다. 테일부(400)는 도 3-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0)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부(420)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형성되는 결합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일부(400)와 하우징(100)의 결합부(420,113)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테일부(400)의 결합부(420)는 상기 테일부(400)의 전방부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며, 하우징(100)의 결합부(113)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외주부상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proof assembly may include a tail portion 400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 The tail part 400 may be formed of a body 410 that is a hollow member or a hollow cylinder form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The tail portion 400, that is, the body 410 is provided, for examp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and thus is configured to cover not only the electric cable 10 but also a portion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Accordingly, the tail portion 400 can protect the electrical cable 1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electrical cable 10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t least. As well shown in FIGS. 3 to 6 , the tail portion 40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420, and this coupling portion 420 is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 113) can be combined.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s 420 and 113 of the tail part 400 and 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screw parts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420 of the tail portion 40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ail portion 400, and the coupling portion 113 of the housing 100 is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112).

또한,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의 방수 어셈블리와 전기 케이블(1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하우징(100)과 유사하게, 적어도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도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은 후방부(412)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에는 터미널(11)이 배치되므로, 이와 같은 후방부(412)로부터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방부(412)는 이러한 터미널(1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 후방부(412)의 제 2 내경(D2)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부(412)의 제 2 내경(D2)은 터미널(11)의 높이, 폭, 대각길이 및/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부(412)의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은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를 통해 상기 테일부(4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제공된 후에도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10)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로부터 전방부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해서는, 테일부(400) 전체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즉, 터미널(11))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테일부(400)가 전체적으로 제 2 내경(D1) 또는 이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housing 100, at least the rear portion 412 of the tail portion 40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for easy coupling of the waterproof assembly and the electric cable 10 in the field.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cable 10 to be inserted therein.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from the rear portion 412 . Since the terminal 11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in order to allow insertion from such a rear portion 412, the rear portion 412 is suitabl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terminal 11. You need to have a configur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second inner diameter D2 of the rear part 412 of the tail part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terminal 11 of the electric cable 1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inner diameter D2 of the rear portion 412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width, diagonal length and/or diameter of the terminal 11 .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portion 412, the electric cable 10, precisely its front end, can be inserted into the tail portion 400 through the rear portion 412 of the tail portion 400. Therefore, the rear part 412 of the tail part 400 can be configured to be coupled from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and the waterproof assembly can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cable 10 as needed at the work site even after the connector assembly has already been provid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directly on Furthermore, in order for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to move smoothly from the rear part 412 of the tail part 400 to the front part, the entire tail part 400 is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that is, , terminal 1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engageable from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by allowing it to be inserted therein. To this end, the tail portion 400 may b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inner diameter D1 as a whole.

또한, 테일부(400)는 필러 어셈블리(300)를 케이블(12)과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일부(400)는 적어도 필러 어셈블리(300)의 일부, 세부적으로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후방부를 수용하면서 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부(400)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후방부, 세부적으로 후방 끝단에 위치되는 제 3 필러(330)를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들과 함께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3 필러(330) 및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테일부(400)의 몸체(410)의 내부공간내에 가압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일부(400)는 이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스텝부(4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텝부(411)는 제 3 필러(330)의 스텝부(333)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결합될 때, 스텝부(333.411)의 맞물림에 의해 제 3 필러(330)는 테일부(400)과 함께 동시에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에 밀어붙여지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를 케이블(12)에 밀착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제 3 필러(330) 및 테일부(400)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 및 동시 이동을 위해, 스텝부(333,411)은 반경방향으로 제 3 필러(330)의 외주부 및 테일부(400)의 내주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il part 400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filler assembly 3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 To this end, the tail portion 400 may be configured to press while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illar assembly 300, in detail, a rear portion of the pillar assembly 300. More specifically, the tail part 400 accommodates the third pillar 330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pillar assembly 300, in detail, together with the rear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ortions of the third pillar 330 and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are press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410 of the tail portion 400. can be accepted In addition, the tail portion 400 may include a step portion 41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step portion 411 may be engaged with the step portion 333 of the third pillar 330 . Therefore, when the tail part 400 is coupled to the rear part 112 of the housing 100, the third pillar 330 and the tail part 400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33 and 411 by the engagement of the step parts 333.411. The rear parts of the second pillars 310 and 320 are pressed, and thus the rear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can be de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stably. For more stable coupling and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third pillar 330 and the tail part 400, the step parts 333 and 411 are formed alo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pillar 33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ail part 400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formed over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테일부(400)는 헤드부(200)와 마찬가지로 방수 어셈블리가 전기 케이블(20)에 견고하게 설치되게 하며, 또한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확실한 밀폐를 형성하여 전기 케이블(10) 뿐만 아니라 소켓(S), 즉 전기장치로 물, 먼지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tail part 400 allows the waterproof assembly to be firmly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20 like the head part 200, and also forms a reliable seal at the rear of the waterproof assembly so that not only the electric cable 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and dust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ocket S, that is, the electric device.

상술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의 작동, 특히 조립과정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수 어셈블리의 작동이 관련 도면인 도 1-도 6 모두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방수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개념 및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waterproof assembl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its operation, particularly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operation of such a waterproof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all of FIGS. 1 to 6, which are related drawings.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waterproof assembly described below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changed at least partial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기 케이블(10)은 커넥터 어셈블리인 커넥터(11)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며, 마찬가지로, 전기 케이블(10)이 연결될 전기장치도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인 소켓(S)을 포함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은 또한 결합된 커넥터(11)와 함께 전기장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S)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electric cable 10 is prepared in a coupled state with the connector 11 as a connector assembly, and similarly, an electric device to which the electric cable 10 is connected may also be prepared to include a socket S, which is a part of the connector assembly. . The electrical cable 10 can also be arranged adjacent to the socket S of the electrical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device with the associated connector 11 .

이 후, 방수 어셈블리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기 케이블(10) 및 전기 장치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어셈블리의 설치중에 전기 케이블(10)은 전기 장치, 즉 이의 소켓(S)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Thereafter, a waterproof assembly may be installed over the electrical cable 10 and the electrical device to prevent entry of foreign matter.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is watertight assembly the electrical cable 10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device, ie its socket S.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어셈블리의 설치를 위해 먼저 테일부(400)가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테일부(400)와 전기 케이블(1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 즉 터미널(11)은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를 통해, 즉 이의 후방 끝단의 개구부를 통해 테일부(400)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테일부(40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및 관통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테일부(400)의 제 2 내경(D2)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tail part 400 may first be coupled with the electric cable 10 for installa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In practice, for the coupling of the tail portion 400 and the electric cable 10,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al cable 10, i.e., the terminal 11, is passed through the rear portion 412 of the tail portion 400, i.e., its rear end. It can pass through the tail part 4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ail part 400 through the opening at the end. As described above, such insertion and penetration is made possible by the second inner diameter D2 of the tail portion 400 that is at least larger than the terminal 11 .

이 후, 하우징(100)이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부(200)가 먼저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며,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하우징(100)과 헤드부(200)의 예비 어셈블리(preassembly)가 테일부(400)와 기 결합된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끝단, 즉 터미널(11)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즉, 이의 후방 끝단의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00)내에 삽입되며, 이의 내부공간을 따라 전방부(111)까지 이동된다.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에서,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은 제 1 및 제 2 표면(131)에 의해 붙잡히며, 의도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우징(100)의 제 1 내경(D1)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After that, the housing 100 may be coupled with the electric cable 10 . As described above, the head portion 200 is first prepared in a rotatably coupled state to the housing 100, and thus, a preassembly of the housing 100 and the head portion 200 is actually It may be coupled with the electrical cable 10 pre-coupled with the portion 400. More specifically, for coupling with such a preliminary assembly,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cable 10, that is, the terminal 11, passes through the rear part 112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opening at its rear end. I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and moves to the front part 111 along its inner space. In the front part 111 of the housing 100, the terminals 11 of the electric cable 10 are caught by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1 and can be stably placed in the intended position. Such insertion is made possible by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housing 100 formed at least larger than the terminal 11, as described above.

이 후, 필러 어셈블리(300)가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는 기 결합된 테일부(400) 및 하우징(100)/헤드부(200) 사이의 케이블(1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 측부(즉, 케이블(12) 또는 이의 측부)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를 통해 상기 필러 어셈블리(2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케이블(10)의 삽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에 제공되는 슬롯들(311,321,331)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After that, the filler assembly 300 may be combined with the electric cable 10 . Specifically, the filler assembly 300 may be coupled to the cable 12 between the pre-coupled tail portion 400 and the housing 100/head portion 200 . More specifically, for coupling of the pillar assembly 300, the electric cable 10 or its side (ie, cable 12 or its side) passes through the side of the pillar assembly 300 to the pillar assembly 200. can be inserted into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of the electric cable 10 is possible through the slots 311 , 321 , and 33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illar assembly 300 .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결합에 있어서, 먼저 제 1 필러(310)가 제 1 슬롯(31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제 2 필러(320)가 제 2 슬롯(32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결합되고 이후, 다시 제 1 필러(310)의 외주부상에 상기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312,313)과 제 2 돌출부 및 제 2 리세스(322,323)의 상호 결합에 의해 제 1 및 제 2 필러(310,320)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제 3 필러(330)가 제 3 슬롯(33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3 필러(330)는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예비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후방부를 감쌀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coupling of the pillar assembly 300 , first, the first pillar 3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able 12 using the first slot 311 . Thereafter, the second pillar 320 may be coupled to the cable 12 using the second slot 321 and then agai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illar 310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are relative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recess, the first protrusions 312 and 313 and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second recess 322 and 323. They can be firmly bonded to each other. After that, the third pillar 330 may be coupled to the cable 12 using the third slot 331 . The third pillar 330 is disposed on the rear part of the preliminary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and may cover the rear part.

이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과 전기 케이블(10)의 예비적인 결합이 완료되면, 이들 예비결합된 구성요소들(100-400)의 최종적인 조립 및 방수 어셈블리와 전기장치(즉, 소켓(S))와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preliminary coupling of the components 100-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and the electric cable 10 is completed, the final assembly of these pre-coupled components 100-400 and the waterproof assembly and the electric device (That is, coupling with the socket S) may be performed.

먼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이 전기장치의 소켓(S), 정확하게는 이의 인렛(S1)에 삽입됨으로써, 전원 또는 전기신호와 같은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을 위한 전기 케이블(10)과 전기 장치의 연결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결합부(220)와 결합부(S2)를 이용하여 헤드부(200)가 소켓(S)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면서 이의 결합부(220)는 소켓(S1)의 결합부(S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헤드부(200) 및 이에 결합된 하우징(100)은 소켓(S)쪽으로 즉,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하며,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은 소켓(S)의 마주하는 끝단면상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3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는 가스켓(120)은 소켓(S)과 하우징(100) 둘 다에 밀착되며, 방수 어셈블리의 전방부에서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First, as the terminal 11 of the electric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S of the electric device, to be precise, its inlet S1, the electric cable 10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tate quantities such as power or electric signals and Connec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may be performed first. After that, the head part 200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S by using the coupl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S2. More specifically, while the head portion 2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0, its coupling portion 220 may be screwed into the coupling portion S2 of the socket S1. While such screw coupling is in progress, the head portion 200 and the housing 100 coupled thereto gradually move toward the socket S, that is, forward, a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100 is abutted on the facing end face of the socket (S). Therefore, the gasket 120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111 of the housing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socket S and the housing 100, and sealing at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can be achieved. there is.

이 후,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예비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내에 삽입된다. 또한, 제 2 필러(320)의 플랜지(326)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끝단에 걸리므로,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의 전방부는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반면, 이의 후방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된 예비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제 3 필러(330)가 배치될 수 있다. Then, the preliminary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In addition, since the flange 326 of the second pillar 320 is caught on the end of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6, the front portion of the preliminary assembly is While disposed inside, its rea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 third pillar 33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xposed preliminary assembly.

이 후,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부(400)가 회전하면서 이의 결합부(420)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결합부(11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테일부(400)는 하우징(100)쪽으로 즉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3 필러(310)는 이의 스텝부(333)와 이에 맞물리는 테일부(400)의 스텝부(4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테일부(40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제 3 필러(310)는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가압하여 변형시키며, 이에 따라 변형된 후방부는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 3 필러(310)의 가압에 의해 제 2 필러(320)의 플랩(324)는 수축되면서 제 1 필러(310) 및 케이블(12)를 타이트하게 죄게 된다. 따라서, 테일부(400)에 의해 가압된 필러 어셈블리(300)에 의해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Then, the tail part 4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part 112 of the housing 100 . More specifically, while the tail portion 400 rotates, the coupling portion 420 thereof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portion 113 of the rea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 While this screw connection is in progress, the tail part 400 can gradually move toward the housing 100, that is, forward, and the third pillar 310 has its step part 333 and the tail part 400 engaged therewith.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411 of the tail portion 400, it can be moved forward. Therefore, when the tail part 4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third pillar 310 presses and deforms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310 and 320, and thus the deformed rear par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12. It can be. That is, the flap 324 of the second pillar 320 is contract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third pillar 310 and tightly clamps the first pillar 310 and the cable 12 . Accordingly, sealing of the rear portion of the waterproof assembly may be achieved by the pillar assembly 300 pressed by the tail portion 400 .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전방 및 후방부들에서 밀폐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므로, 전기 케이블(10)뿐만 아니라 소켓(S), 즉 전기장치에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소켓(S)에 결합되면서 전기 케이블(10)과 소켓(S)의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대해서도 전기 케이블(10) 및 소켓(S)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300,400)은 각각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또는 측부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완성된 전기 케이블(10),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 전기 케이블(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도 바로 언제라도 편리하게 전기 케이블(10)에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proof assembly substantially implements sealing at its front and rear parts,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not only the electric cable 10 but also the socket S, that is, the electric device. . In addition, since the waterproof assembly is coupled to the socket (S) and covers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cable (10) and the socket (S) as a whole, the electric cable (10) and the socket (S) are effectively protected against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can do. Furthermore, since the components 100, 300, and 400 of the waterproof assembly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from the front or side of the electric cable 10, respectively, the completed electric cable 10, for example, the electric cable 10 provided with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installed For this reason, i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to the electric cable 10 at any time, even on site, if necessary.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200: 헤드부
300: 필러 어셈블리 310: 제 1 필러
320: 제 2 필러 330: 제 3 필러
400: 테일부
100: housing 200: head
300: filler assembly 310: first filler
320: second filler 330: third filler
400: tail part

Claims (3)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및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밀착되게 상기 필러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A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 cable comprising a cable and a terminal coupled to an end of the cable and coupled to a socket of an electric device,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cable and a terminal of the electrical cable;
a head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of the electric device;
a filler assembly disposed in a rear portion of the housing to fill a space between the cable and the housing and to surround the cable; and
A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 cable comprising a tail portion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press the filler assem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후방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일부의 후방부도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al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A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al cable, wherein the rear portion of the tail portion is also configured to allow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al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어셈블리의 측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proof assembly for an electrical cable, wherein the side of the filler assembly is configured to allow the side of the electrical cable to be inserted therein.
KR1020220050318A 2021-09-13 2022-04-22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Pending KR202300402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39 2021-09-13
KR20210121839 2021-09-13
KR1020210160005A KR102395601B1 (en) 2021-09-13 2021-11-19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05A Division KR102395601B1 (en) 2021-09-13 2021-11-19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58A true KR20230040258A (en) 2023-03-22

Family

ID=81592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05A Active KR102395601B1 (en) 2021-09-13 2021-11-19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KR1020220050318A Pending KR20230040258A (en) 2021-09-13 2022-04-22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05A Active KR102395601B1 (en) 2021-09-13 2021-11-19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5601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5657B1 (en) * 2002-02-05 2004-08-06 Socapex Amphenol PLUG DEVICE FOR A STANDARD CORD OF ELECTRIC OR OPTICAL LINK
KR20140003918U (en) * 2012-12-17 2014-06-25 에이브이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Hook-thread component and wiring element fastening device having the hook-thread component
JP5649753B1 (en) * 2014-04-30 2015-01-07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Modular plug built-in plug assembly and modular connector built-in connector assembly
JP5651264B1 (en) * 2014-05-23 2015-01-07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LAN cable connector and LAN cable connection device
AT521108B1 (en) * 2018-04-06 2022-03-15 Neutrik Ag Connector arrangement for data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601B1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135B2 (en) Enclosure assembly for connector, strain relief member, and sealing method
US9618718B2 (en) Universal remote radio unit bird armor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JP6567085B2 (en) Plug protection cap,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fiber plug, and network device
CN101414721B (en) Coaxial conductor joint
KR100684024B1 (en) Cable closure and cable sealing method
US20090305542A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258557A (en) Photovoltaic module connector assemblies having cable strain relief
CN102668259A (en) Two-part contact element for high-voltage plug-and-socket connector
CA252899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assemblies
US12259583B2 (en) Pre-connector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13809593A (en) Connecting device and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KR102496203B1 (en)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KR20230040258A (en)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KR20150004828A (en) Quick one-way connection system
CN118137227A (en) All-insulated cable connector
EP3618210B1 (en) Junction box and offshor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junction box
CN108732683B (en) Optical cable fixing device for optical cable fusion box
CN203085863U (en) Buckle press type special cable for mine
CN214849263U (en) Underwater electric connector
CN213878612U (en) Inner core par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0299643B (en) Outdoor waterproof joint box
KR10262569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optical cable
KR101790602B1 (en) Cable assembly
RU2242069C2 (en) Plug connector
CN221530325U (en) Twisted pair communication harness and harnes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11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1600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