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283A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Google Patents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5283A KR20230035283A KR1020230024795A KR20230024795A KR20230035283A KR 20230035283 A KR20230035283 A KR 20230035283A KR 1020230024795 A KR1020230024795 A KR 1020230024795A KR 20230024795 A KR20230024795 A KR 20230024795A KR 20230035283 A KR20230035283 A KR 20230035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unit
- detection unit
- malfunction detection
- transis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99 S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6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against rapid load changes, e.g. with auxiliary current source, with dual mode control or with inductance varia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 시스템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 상에 공통 모드로 입력되는 노이즈를 능동적으로 보상하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malfunction, and to an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that actively compensates for noise input in a common mode on two or more high current paths connected to a power system.
일반적으로 가전용, 산업용 전기 제품이나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기 기기들은 동작하는 동안 노이즈를 방출한다. 가령 전자 기기 내에서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인해 노이즈가 전력선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방치하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주변 부품 및 다른 전자 기기에 오동작 또는 고장을 야기한다. 이렇듯, 전자 기기가 다른 기기에 미치는 전자 장해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라고 하며, 그 중에서도, 와이어 및 기판 배선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노이즈를 전도성 방출(Conducted Emission, CE) 노이즈라고 한다. In general, electric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industrial electric appliances, or electric vehicles emit noise while operating. For example, noise may be emitted through a power line due to a switching operation of a power converter in an electronic device. If such noise is left unattended, it is not only harmful to the human body, but also causes malfunction or failure of peripheral part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As suc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at an electronic device has on other devices is called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among them, noise transmitted via wires and board wiring is called Conducted Emission (CE) noise.
전자 기기가 주변 부품 및 다른 기기에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전자 제품에서 EMI 노이즈 방출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자 제품들은, 노이즈 방출량에 대한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 EMI 노이즈 전류를 저감시키는 노이즈 저감 장치(예: EMI 필터)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에어컨과 같은 백색가전, 전기차, 항공,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에서, EMI 필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종래의 EMI 필터는, 전도성 방출(CE) 노이즈 중 공통 모드(Common Mode, CM)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 공통 모드 초크(CM choke)를 이용한다. 공통 모드(CM) 초크는 수동 필터(passive filter)로써, 공통 모드 노이즈 전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In order for electronic devices to operate without causing failure to peripheral parts and other devices, EMI noise emissions are strictly regulated in all electronic products. Accordingly, most electronic products necessarily include a noise reduction device (eg, an EMI filter) for reducing EMI noise current in order to satisfy regulations on noise emission. For example, in white goods such as air conditioners, electric vehicles, aviation, energy storage systems (ESS), etc., EMI filters are necessarily included. A conventional EMI filter uses a common mode choke (CM choke) to reduce common mode (CM) noise among conducted emission (CE) noise. The common mode (CM) choke is a passive filter that 'suppresses' the common mode noise current.
한편, 고전력 시스템에서 수동 EMI 필터의 노이즈 저감 성능을 유지하려면, 공통 모드 초크의 사이즈를 키우거나 개수를 늘려야 한다. 따라서 고전력 제품에서는 수동 EMI 필터의 크기와 가격이 매우 증가하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maintain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the passive EMI filter in a high-power system, the size or number of common mode chokes must be increased. Thi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ize and cost of passive EMI filters in high-power products.
상기와 같은 수동 EMI 필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능동 EMI 필터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다. 능동 EMI 필터는, EMI 노이즈를 감지하여, 상기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EMI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능동 EMI 필터는, 감지된 노이즈 신호로부터 증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능동회로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bove passive EMI filters, interest in active EMI filters has emerged. An active EMI filter can remove EMI noise by detecting EMI noise and generating a signal that cancels out the noise. An active EMI filter includes an active circuit part capable of generating an amplified signal from a detected noise signal.
그런데 상기 능동회로부의 고장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능동 EMI 필터는 노이즈 저감 기능을 수행할 뿐이므로, 능동회로부가 고장 나더라도 전력 시스템은 여전히 정상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으로부터 능동회로부의 고장을 판단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failure of the active circuit unit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since the active EMI filter only performs a noise reduction function, even if the active circuit unit fails, the power system can still operate normally,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failure of the active circuit unit from the phenomen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하나의 집적회로(IC) 칩에 능동회로부와 오동작 감지 회로가 함께 내재화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malfunction.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in which an active circuit unit and a malfunction detection circuit are internalized together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IC) chip.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tasks ar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 각각에 공통 모드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능동적으로 보상하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는, 상기 대전류 경로 상의 공통 모드 노이즈 전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전류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 전류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보상 전류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 각각에 흘리도록 하는 보상부; 및 상기 증폭부의 오동작을 감지하는 오동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오동작 감지부는 하나의 집적회로(IC) 칩에 내재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current compensator for actively compensating for noise generated in a common mode in each of at least two high current paths includes a sensing device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mon mode noise current on the high current path. wealth; an amplification unit generating an amplification current by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a compensating unit generating a compensating current based on the amplified current and allowing the compensating current to flow through each of the at least two large current paths; and a malfunc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malfunction of the amplification unit,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mplification unit and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may be internalized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IC) chip.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폭부에 포함된 두 노드에서의 신호가 차동으로 상기 오동작 감지부에 입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gnals from two nodes included in the amplification unit may be differentially input to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폭부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일 노드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일 노드는 사익 오동작 감지부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mplific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and one nod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one node of the second transistor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동작 감지부는, 상기 증폭부에 포함된 두 노드에서의 차동 DC 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차동 DC 전압이 소정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may detect a differential DC voltage at two nodes included in the amplification unit and detect whether the differential DC voltag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적회로 칩은, 상기 증폭부 및 상기 오동작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 상기 증폭부 및 상기 오동작 감지부의 기준전위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 및 상기 오동작 감지부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circuit chip includes a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upplying power to the amplifier and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a terminal connected to a reference potential of the amplifier and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적회로 칩은, 상기 오동작 감지부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와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circuit chip may include a terminal connected to a switch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는, 고전력 시스템에서, CM 초크로 구성된 수동 필터에 비하여 가격, 면적, 부피, 무게, 발열이 감소될 수 있다. The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price, area, volume, weight, and heat generation compared to a passive filter composed of a CM choke in a high pow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는, 능동회로부의 고장 또는 오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ct a failure or malfunction of an active circuit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능동회로부와 오동작 감지부가 함께 내재화된 하나의 집적회로(IC) 칩을 제공할 수 있다. 능동회로부가 집적화된 칩에 오동작 감지부를 내재화함으로써, 일반 상용 소자를 사용하여 오동작 감지부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사이즈 및 가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circuit (IC) chip in which an active circuit unit and a malfunction detection unit are both internalized may be provided. By internalizing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in the chip in which the active circuit unit is integrated, the size and pric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separately configuring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using general commercial devices.
또한, 능동회로부와 오동작 감지부를 하나의 IC 칩에 집적화함으로써, 상기 IC 칩은 독립된 부품으로써 범용성을 가지고 상용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active circuit unit and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into one IC chip, the IC chip can be commercialized with versatility as an independent component.
뿐만 아니라, 상기 IC 칩을 포함하는 전류 보상 장치를 독립된 모듈로 제작하여 상용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류 보상 장치는 주변 전기 시스템의 특성에 무관하게 독립적인 모듈로써 오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including the IC chip may be manufactured as an independent module and commercialized. This current compensating device can detect a malfunction as an independent module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electrical system.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 오동작 감지부(180), 및 IC 칩(500)의 포함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감지부(180)의 기능적 구성을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회로(184)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180)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cluding an active
2 shows the inclusion relationship of the
FIG. 3 show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FIG. 4 show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FIG. 5 shows another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6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8 is a circuit diagram of the
9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부, 유닛, 모듈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요소, 부, 유닛, 모듈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부, 유닛, 모듈들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 부, 유닛, 모듈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In the following examples,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components, parts, units, modules, etc. are connected, not only when components, parts, units, and module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other components in the middle of the components, parts, units, and modules. ,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parts, units, and modules are interposed and indirectly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는, 제1 장치(300)로부터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를 통해 공통 모드(Common Mode, CM)로 입력되는 제1 전류(I11, I12)(예: EMI 노이즈 전류)를 능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cluding an active
도 1을 참조하면,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는, 센싱부(120), 증폭부(130), 오동작 감지부(180), 및 보상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active
본 명세서에서 제1 장치(300)는 제2 장치(200)가 공급하는 전원을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력 시스템일 수 있다. 가령 제1 장치(300)는 제2 장치(200)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부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장치(300)는 제2 장치(200)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부하(예컨대 전기 자동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본 명세서에서 제2 장치(200)는 제1 장치(300)에 전원을 전류 및/또는 전압의 형태로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일 수 있다. 가령 제2 장치(200)는 전원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다른 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예컨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일 수도 있다. 물론 제2 장치(200)는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제1 장치(300) 측에는 전력 변환 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 전류(I11, I12)가 전류 보상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제1 장치(300) 측은 노이즈 소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장치(200) 측은 노이즈 리시버에 대응할 수 있다. A power conversion device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는 제2 장치(20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 즉 제2 전류(I21, I22)를 제1 장치(300)에 전달하는 경로일 수 있는데, 예컨대 전력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은 라이브선(Live line)과 중성선(Neutral line)일 수 있다. 대전류 경로(111, 112)의 적어도 일부는 전류 보상 장치(100)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전류(I21, I22)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50Hz 내지 60Hz 대역일 수 있다.The two or more high
또한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는, 제1 장치(300)에서 발생한 노이즈, 즉 제1 전류(I11, I12)가 제2 장치(200)에 전달되는 경로일 수도 있다. 제1 전류(I11, I12)는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에 대해 공통 모드(Common Mode)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전류(I11, I12)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제1 장치(300)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되는 전류일 수 있다. 가령 제1 전류(I11, I12)는 제1 장치(300)와 주변 환경 사이의 가상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 전류일 수 있다. 또는 제1 전류(I11, I12)는, 제1 장치(300)의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 전류일 수 있다. 제1 전류(I11, I12)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전류일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전술한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150KHz 내지 30MHz 대역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or more high
한편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네 개의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전류 경로(111, 112)의 수는 제1 장치(300) 및/또는 제2 장치(200)가 사용하는 전원의 종류 및/또는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two or more high
센싱부(120)는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 상의 제1 전류(I11, I12)를 감지하고, 제1 전류(I11, I12)에 대응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센싱부(120)는 대전류 경로(111, 112) 상의 제1 전류(I11, I12)를 감지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는, 제1 전류(I11, I12)의 센싱을 위하여 대전류 경로(111, 112)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지만, 센싱부(120) 내에서 센싱에 의한 출력 신호가 생성되는 부분은, 대전류 경로(111, 112)와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120)는 센싱 변압기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 변압기는 대전류 경로(111, 112)와 절연된 상태에서 대전류 경로(111, 112) 상의 제1 전류(I11, I12)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부(120)는 증폭부(130)의 입력단과 차동(differential)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증폭부(130)는 센싱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싱부(120)가 출력한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폭부(130)에 의한 '증폭'은 증폭 대상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증폭부(130)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능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폭부(130)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부(130)는 BJT 이외에 저항과 커패시터 등 복수의 수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증폭'을 위한 수단은 본 발명의 증폭부(130)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증폭부(130)의 제2 기준전위(602)와 전류 보상 장치(100)의 제1 기준전위(601)는 서로 구분될 수 있다.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의 오동작 또는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부(130)에 포함된 두 노드에서의 신호가 차동으로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에 포함된 상기 두 노드 사이의 차동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입력된 상기 차동 신호를 이용하여 증폭부(130)의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동작 감지부(180)는 상기 차동 신호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증폭부(130)의 오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동작 감지부(180)는 능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증폭부(1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집적회로(IC) 칩(500)에 내재화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 오동작 감지부(180), 및 IC 칩(500)의 포함관계를 나타낸다. 2 shows the inclusion relationship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증폭부(130)는 수동소자부(131) 및 능동소자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소자부(131)는 수동소자로만 구성되며, 능동소자부(132)는 능동소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능동소자부(132)는 능동소자뿐만 아니라 수동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소자부(131) 및 능동소자부(132)를 포함하는 증폭부(130)의 상세한 구성의 예들은 도 4 내지 도 5에서 후술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수동소자부(131)와 능동소자부(132)의 조합은, 센싱부(120)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로부터, 증폭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증폭 신호는 보상부(160)에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the combin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증폭부(130)에 포함된 두 노드에서의 신호가 차동으로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상기 두 노드의 차동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두 노드는 능동소자부(132)에 포함된 두 노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두 노드는 수동소자부(131)에도 연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gnals from two nodes included in the
일 실시예에서, 증폭부(130)의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180)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에 집적화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증폭부(130)의 수동소자부(131)와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80)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에 집적화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one embodiment, 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능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동작 감지부(180)의 기준전위는 증폭부(130)의 기준전위인 제2 기준전위(602)와 같을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의 기준전위는, 전류 보상 장치(100)의 기준전위(예를 들면, 보상부(160)의 기준전위)인 제1 기준전위(601)와 다를 수 있다. The
증폭부(130)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제1 장치(300) 및/또는 제2 장치(200)와 구분되는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증폭부(130)는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센싱부(120)가 출력한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전원장치(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증폭부(130)로부터의 차동 입력 신호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는, 증폭부(130)의 고장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The
전원장치(400)는 제1 장치(300) 및 제2 장치(200)와 무관한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증폭부(130)와 오동작 감지부(180)의 입력 전원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장치(400)는 제1 장치(300) 및 제2 장치(2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증폭부(130)와 오동작 감지부(180)의 입력 전원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The
IC 칩(500)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및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t3)를 포함할 수 있다. IC 칩(500)은 다른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증폭부(130) 중 수동소자부(131)를 제외한 능동소자부(132)만 오동작 감지부(180)와 함께 IC 칩(500)에 집적화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단자는 수동소자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다른 예를 들어, 증폭부(130)에 포함된 수동소자부(131)와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180)가 모두 하나의 IC 칩(500)에 집적화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단자는 센싱부(120)의 출력단 및 보상부(160)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보상부(160)는, 증폭부(130)에 의해 증폭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보상부(160)의 출력 측은 대전류 경로(111, 112)에 보상 전류(IC1, IC2)를 흘려주기 위해 대전류 경로(111, 112)와 연결될 수 있지만, 증폭부(130)와는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상부(160)는, 상기 절연을 위해 보상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상 변압기의 1차 측에는 증폭부(130)의 출력 신호가 흐르고, 보상 변압기의 2차 측에는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한 보상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The
보상부(160)는 제1 전류(I11, I12)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을 통해 보상 전류(IC1, IC2)를 대전류 경로(111, 112)에 주입(inject)시킬 수 있다. 보상 전류(IC1, IC2)는, 제1 전류(I11, I12)와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일 수 있다.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는 제1 장치(300)와 연결되는 두 개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에 공통 모드로 입력되는 제1 전류(I11, I12)(예: 노이즈 전류)를 능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FIG. 3 show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도 3을 참조하면,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는, 센싱 변압기(120A), 증폭부(130), 오동작 감지부(180) 및 보상부(160A)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active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센싱부(120)는 센싱 변압기(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싱 변압기(120A)는 대전류 경로(111, 112)와 절연된 상태에서 대전류 경로(111, 112) 상의 제1 전류(I11, I12)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센싱 변압기(120A)는 제1 장치(300) 측으로부터 대전류 경로(111, 112)(예: 전력선)로 입력되는 노이즈 전류인 제1 전류(I11, I12)를 센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센싱 변압기(120A)는, 대전류 경로(111, 112) 상에 배치되는 1차 측(121A), 및 증폭부(130)의 입력단과 차동(differential)으로 연결된 2차 측(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변압기(120A)는 대전류 경로(111, 112) 상에 배치되는 1차 측(121A)(예: 1차 권선)에서, 제1 전류(I11, I1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에 기초하여 2차 측(122A)(예: 2차 권선)에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변압기(120A)의 1차 측(121A)은, 예를 들면 하나의 코어에 제1 대전류 경로(111) 및 제2 대전류 경로(112)가 각각 감겨있는 권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센싱 변압기(120A)의 1차 측(121A)은, 제1 대전류 경로(111) 및 제2 대전류 경로(112)가 상기 코어를 통과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The
구체적으로, 제1 대전류 경로(111)(예: 라이브선) 상의 제1 전류(I11)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와, 제2 대전류 경로(112)(예: 중성선) 상의 제1 전류(I1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가 서로 중첩(또는 보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대전류 경로(111, 112) 상에는 제2 전류(I21, I22)도 흐르는데, 제1 대전류 경로(111) 상의 제2 전류(I21)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와, 제2 대전류 경로(112) 상의 제1 전류(I2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는 서로 상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를 들면, 센싱 변압기(120A)는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50KHz 내지 30MHz의 범위를 갖는 대역)의 제1 전류(I11, I1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의 크기가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0Hz 내지 60Hz의 범위를 갖는 대역)의 제2 전류(I21, I2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gnetic flux density induced by the first current I11 on the first high current path 111 (eg live line) and the first current I12 on the second high current path 112 (eg neutral line) The magnetic flux densities induced by may be configured to overlap (or reinfor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econd currents I21 and I22 also flow on the high
이와 같이 센싱 변압기(120A)는 제2 전류(I21, I22)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가 서로 상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제1 전류(I11, I12)만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센싱 변압기(120A)의 2차 측(122A)에 유도되는 전류는, 제1 전류(I11, I12)가 일정 비율로 변환된 전류일 수 있다. As such, the
예를 들어, 센싱 변압기(120A)에서, 1차 측(121A)과 2차 측(122A)의 권선비가 1:Nsen이고, 센싱 변압기(120A)의 1차 측(121A)의 셀프 인덕턴스가 Lsen이라고 하면, 2차 측(122A)은, Nsen 2·Lsen의 셀프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2차 측(122A)에 유도되는 전류는, 제1 전류(I11, I12)의 1/Nsen 배이다. 예를 들어 센싱 변압기(120A)의 1차 측(121A)과 2차 측(122A)은, ksen의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로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센싱 변압기(120A)의 2차 측(122A)은, 증폭부(130)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변압기(120A)의 2차 측(122A)은, 증폭부(130)의 입력단과 차동으로 연결되어, 증폭부(130)에게 유도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The
증폭부(130)는, 센싱 변압기(120A)에 의해 감지되어 2차 측(122A)에 유도되는 전류를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부(130)는, 상기 유도 전류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증폭시키거나, 및/또는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의 오동작 또는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부(130)에 포함된 두 노드 사이의 차동 신호가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입력된 차동 신호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증폭부(130)의 고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 단자(t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능동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폭부(1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에 함께 집적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증폭부(130)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제2 기준전위(60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기준전위(602)는 전류 보상 장치(100)(또는 보상부(160A))의 제1 기준전위(601)와 구분될 수 있다. 증폭부(130)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전원장치(40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IC 칩(500)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및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t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부(130) 중 수동소자부(131)를 제외한 능동소자부(132)만 오동작 감지부(180)와 함께 IC 칩(500)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은 수동소자부(131)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nly th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부(130)에 포함된 수동소자부(131) 및 능동소자부(132) 모두 오동작 감지부(180)와 함께 IC 칩(500)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은 센싱부(120)의 출력단에 연결되기 위한 단자 및 보상부(160)의 입력단에 연결되기 위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oth the
보상부(160A)는, 전술한 보상부(160)의 일 예일 수 있다. 보상부(160A)는, 보상 변압기(140A)및 보상 커패시터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증폭부(130)에 의해 증폭된 증폭 전류는, 보상 변압기(140A)의 1차 측(141A)으로 흐른다. The compensating
보상 변압기(140A)는, 능동 소자를 포함하는 증폭부(130)를 대전류 경로(111, 112)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즉 보상 변압기(140A)는 대전류 경로(111, 112)와 절연된 상태에서, 증폭 전류에 기초하여 대전류 경로(111, 112)에 주입하기 위한 보상 전류를 (2차 측(142A)에) 생성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The
보상 변압기(140A)는, 증폭부(130)의 출력단과 차동(differential)으로 연결되는 1차 측(141A), 및 대전류 경로(111, 112)와 연결되는 2차 측(142A)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변압기(140A)는 1차 측(141A)(예: 1차 권선)을 흐르는 증폭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자속 밀도에 기초하여 2차 측(142A)(예: 2차 권선)에 보상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The
이 때 2차 측(142A)은 후술하는 보상 커패시터부(150A)와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제1 기준전위(601)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2차 측(142A)의 일 단은 보상 커패시터부(150A)를 통해 대전류 경로(111, 112)와 연결되고, 2차 측(142A)의 타 단은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제1 기준전위(601)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보상 변압기(140A)의 1차 측(141A), 증폭부(130), 오동작 감지부(180), 및 센싱 변압기(120A)의 2차 측(122A)은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구분되는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될 수 있다.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제1 기준전위(601)와 증폭부(130)의 제2 기준전위(602)는 구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나머지 구성요소와 상이한 기준전위(즉, 제2 기준전위(602))를 사용하고, 별도의 전원장치(400)를 사용함으로써 보상 전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가 절연된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ference potential (ie, the second reference potential 602)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components for the component generating the compensation current and uses a
보상 변압기(140A)에서, 1차 측(141A)과 2차 측(142A)의 권선비가 1:Ninj이고, 보상 변압기(140A)의 1차 측(141A)의 셀프 인덕턴스가 Linj이라고 하면, 2차 측(142A)은, Ninj 2·Linj의 셀프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2차 측(142A)에 유도되는 전류는, 1차 측(141A)에 흐르는 전류(즉, 증폭 전류)의 1/Ninj 배이다. 보상 변압기(140A)의 1차 측(141A)과 2차 측(142A)은, kinj의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보상 변압기(140A)를 통해 변환된 전류는, 보상 커패시터부(150A)를 통해 대전류 경로(111, 112)(예: 전력선)에 보상 전류(IC1, IC2)로써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상 전류(IC1, IC2)는, 제1 전류(I11, I12)를 상쇄시키기 위해, 제1 전류(I11, I12)와 크기가 같고 위상이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증폭부(130)의 전류이득의 크기는 Nsen·Ninj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보상 커패시터부(15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상 변압기(140A)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두 개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으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보상 커패시터부(150A)는, 일 단이 보상 변압기(140A)의 2차 측(142A)과 연결되고, 타 단이 대전류 경로(111, 112)와 연결되는 두 개의 Y-커패시터(Y-capacitor, Y-ca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Y-cap 각각의 일 단은 보상 변압기(140A)의 2차 측(142A)과 연결되는 노드를 공유하며, 상기 두 Y-cap 각각의 반대 단은 각각 제1 대전류 경로(111) 및 제2 대전류 경로(112)와 연결되는 노드를 가질 수 있다.The
보상 커패시터부(150A)는, 보상 변압기(140A)에 의해 유도된 보상 전류(IC1, IC2)를 전력선에 흘려줄 수 있다. 보상 전류(IC1, IC2)가 제1 전류(I11, I12)를 보상(또는 상쇄)함으로써, 전류 보상 장치(100A)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The
한편, 보상 커패시터부(150A)는, 보상 커패시터를 통해 두 개의 대전류 경로(111, 112) 사이에 흐르는 전류(IL1)가 제1 임계 크기 미만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상 커패시터부(150A)는 보상 커패시터를 통해 두 개의 대전류 경로(111, 112) 각각과 제1 기준전위(601) 사이에 흐르는 전류(IL2)가 제2 임계 크기 미만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는, 보상 변압기(140A) 및 센싱 변압기(120A)를 이용함으로써, 절연형(isolated)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The activ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는, 도 3에 도시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일 예시이다.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에 포함된 증폭부(130A-1)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증폭부(130)의 일 예시이다. FIG. 4 show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에 포함된 증폭부(130A-1)는 수동소자부 및 능동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30A-1)의 수동소자부는 Cb, Ce, Z1, Z2, Cdc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는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11)는 npn BJT일 수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12)는 pnp BJ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부(130A-1)는 npn BJT 및 pnp BJT를 포함하는 push-pull 증폭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센싱 변압기(120A)에 의해 2차 측(122A)에서 유도된 유도 전류는, 증폭부(130A-1)에 차동(differential)으로 입력될 수 있다. 증폭부(130A-1)에 포함된 Cb 및 Ce는 교류(AC) 신호만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induced current induced in the
전원장치(400)는, 증폭부(130A-1) 및 오동작 감지부(180)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2 기준전위(602)를 기준으로 하는 직류(DC) 전압 Vdd를 공급한다. Cdc는 상기 Vdd에 대한, DC용 감결합 커패시터로, 전원장치(400)와 제2 기준전위(602) 사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Cdc는 제1 트랜지스터(11)(예: npn BJT) 및 제2 트랜지스터(12)(예: pnp BJT)의 양 콜렉터 사이를 AC 신호만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The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에서, Rnpn, Rpnp, 및 Re는,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동작점을 조절할 수 있다. Rnpn은, 제1 트랜지스터(11)(예: npn BJT)의 콜렉터(collector) 단이자 전원장치(400) 단과, 제1 트랜지스터(11)(예: npn BJT)의 베이스(base) 단을 연결할 수 있다. Rpnp는, 제2 트랜지스터(12)(예: pnp BJT)의 콜렉터(collector) 단이자 제2 기준전위(602)와, 제2 트랜지스터(12)(예: pnp BJT)의 베이스 단을 연결할 수 있다. Re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emitter) 단과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단을 연결할 수 있다.In the active element unit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변압기(120A)의 2차 측(122A) 측은,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 측과 에미터 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변압기(140A)의 1차 측(141A) 측은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콜렉터 측과 베이스 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A-1)는, 출력 전류를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로 다시 주입시키는 회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귀 구조로 인해, 증폭부(130A-1)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의 동작을 위한 일정한 전류 이득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The
노이즈 신호로 인한 증폭부(130A-1)의 입력 전압이 0보다 큰 포지티브 스윙(positive swing)의 경우, 제1 트랜지스터(11)(예: npn BJT)가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11)를 통과하는 제1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노이즈로 인한 증폭부(130A-1)의 입력 전압이 0보다 작은 네거티브 스윙(negative swing)의 경우, 제2 트랜지스터(12)(예: pnp BJT)가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전류는 제2 트랜지스터(12)를 통과하는 제2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다.When the input voltage of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장치(300)에 따라 보상해야 하는 노이즈 레벨이 클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높은 전압을 갖는 전원장치(4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장치(400)는 제1 장치(300) 및 제2 장치(200)와 독립적일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since the noise level to be compensated for according to the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11)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노드들이 공통 모드로 크게 스윙(sw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 노드들 및 이미터 노드들에서의 전압이 공통 모드로 스윙(swing)할 수 있다. As power is supplied from the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 자체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증폭부(130A-1)의 DC 바이어스(bias)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By checking whether the active element unit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노드들에서 전압이 공통모드로 크게 스윙하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11)와 제2 트랜지스터(12) 사이의 차동 DC 전압만을 감지하여 오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즉, 증폭부(130A-1)의 오동작을 센싱하기 위해, 제1 트랜지스터(11)와 제2 트랜지스터(12) 사이의 차동 DC 전압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oltage at the nodes of the first and
예를 들면, 제1 트랜지스터(11)의 일 노드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일 노드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1)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fferential DC voltage between one node of the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A-1)에 포함된 두 노드 사이의 차동 DC 전압을 이용하여, 증폭부(130A-1)의 오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예를 들면, 제1 트랜지스터(11)의 일 노드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일 노드 사이의 차동 신호가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동 신호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사이의 차동 DC 전압일 수 있다. For example, a differential signal between one node of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동작 감지부(180)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소정의 범위 내이면 출력 단자(t3)를 통해 정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상기 차동 DC 전압이 상기 소정의 범위 외이면 출력 단자(t3)를 통해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증폭부(130A-1)의 적어도 일부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A-1)에 집적화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와 오동작 감지부(180)가 하나의 IC 칩(500A-1)에 집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능동소자부의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와 오동작 감지부(180)가 하나의 IC 칩(500A-1)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A-1)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t3), 및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예: t4, t5, t6, t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은,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t4) 및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t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미터에 대응하는 두 단자들(t4, t5)은 오동작 감지부(180)의 차동 입력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들(t4, t5)은 각각 수동소자부의 Ce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은,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t6) 및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t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들(t6, t7)은 각각 수동소자부의 Cb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active element unit of the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IC 칩(500A-1)은 증폭부(130A-1)의 수동소자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IC 칩(500A-1)은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와 수동소자부, 및 오동작 감지부(18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폭부(130A-1)의 능동소자부가 집적화된 IC 칩(500A-1)에 오동작 감지부(180)를 내재화함으로써, 일반 상용 소자를 사용하여 오동작 감지부(180)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사이즈 및 가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증폭부(130A-1)의 적어도 일부와 오동작 감지부(180)를 하나의 IC 칩(500A-1)에 집적화함으로써, IC 칩(500A-1) 또는 전류 보상 장치(100A-1)는 독립된 부품으로써 범용성을 가지고 상용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오동작 감지부(1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에서 후술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2)는, 도 3에 도시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일 예시이다.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2)에 포함된 증폭부(130A-2)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의 증폭부(130)의 일 예시이다. FIG. 5 shows another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ctive
도 5에 도시된 증폭부(130A-2)는 도 4에 도시된 증폭부(130A-1)에 상응하며, 오동작 감지부(180)가 연결되는 위치만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IC 칩(500A-2)에서,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부(130A-2)에 관한 설명은 증폭부(130A-1)에 관한 설명에 상응하므로 간략히만 하기로 한다. The
일 실시예에서 증폭부(130A-2)의 수동소자부는 Cb, Ce, Z1, Z2, Cdc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30A-2)의 능동소자부는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11)는 npn BJT일 수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12)는 pnp BJ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부(130A-2)는 npn BJT 및 pnp BJT를 포함하는 push-pull 증폭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30A-2)는, 출력 전류를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로 다시 주입시키는 회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ssive element unit of the
노이즈 신호로 인한 증폭부(130A-2)의 입력 전압이 0보다 큰 포지티브 스윙(positive swing)의 경우, 제1 트랜지스터(11)(예: npn BJT)가 동작할 수 있다. 노이즈로 인한 증폭부(130A-2)의 입력 전압이 0보다 작은 네거티브 스윙(negative swing)의 경우, 제2 트랜지스터(12)(예: pnp BJT)가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input voltage of the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 노드들 및 이미터 노드들에서의 전압이 공통 모드로 크게 스윙(swing)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부(130A-2)의 DC 바이어스(bias)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power is supplied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 노드들 및 이미터 노드들에서 전압이 공통모드로 크게 스윙하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11)의 일 노드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일 노드 사이의 차동 DC 전압만을 감지하여 오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oltage at the base nodes and the emitter nodes of the first and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소정 범위 내이면 출력 단자(t3)를 통해 정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이 상기 소정 범위 외이면 출력 단자(t3)를 통해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 the differential DC voltage between the bas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증폭부(130A-2)의 적어도 일부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A-2)에 집적화될 수 있다.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130A-2)의 능동소자부와 오동작 감지부(180)가 하나의 IC 칩(500A-2)에 집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능동소자부의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와 오동작 감지부(180)가 하나의 IC 칩(500A-2)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500A-2)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t3), 및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예: t4, t5, t6, t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은,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t4) 및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t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에 대응하는 단자들(t4, t5)은 각각 수동소자부의 Ce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은,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t6) 및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t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대응하는 두 단자들(t6, t7)은 오동작 감지부(180)의 차동 입력에도 대응할 수 있다. 베이스에 대응하는 단자들(t6, t7)은 각각 수동소자부의 Cb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the active element unit of the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IC 칩(500A-2)은 증폭부(130A-2)의 수동소자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IC 칩(500A-2)은 증폭부(130A-2)의 능동소자부와 수동소자부, 및 오동작 감지부(18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the
오동작 감지부(1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에서 후술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이하에서 증폭부(130)를 통한 설명은, 증폭부(130A-1, 130A-2)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description through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감지부(180)의 기능적 구성을나타낸다. 6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오동작 감지부(180)는 감산기(subtractor, 181), 제1 비교기(comparator, 182a), 제2 비교기(182b), 제1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183a), 제2 레벨 시프터(183b), 및 논리회로(logic circuit, 1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오동작 감지부(18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6 , 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C 칩(500, 500A-1, 500A-2)에 적용될 수 있다. The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증폭부(130, 130A-1, 130A-2)에 포함된 두 노드의 신호가, 오동작 감지부(180)의 감산기(181)에 차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11)의 일 노드의 신호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일 노드의 신호가 감산기(181)에 차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signals of two nodes included in the
감산기(181)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노드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노드 사이의 차동 DC 전압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감산기(181)는 상기 두 노드에서의 전압을 차동으로 감지하므로, 상기 두 노드의 공통모드 스윙을 무시할 수 있다. 감산기(181)는 감지된 차동 DC 전압(Vsub)을 출력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IC 칩(500A-1)의 경우, 감산기(181)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사이의 차동 DC 전압(Vsub)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산기(181)의 입력단은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이미터와 노드를 공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IC 칩(500A-2)의 경우, 감산기(181)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Vsub)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산기(181)의 입력단은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와 노드를 공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한편, 감산기(181)의 각 입력단에서의 전압은 스윙할 수 있으며, 스윙은 증폭부(130)의 정격전압(Vdd)의 크기에 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산기(181)는 증폭부(130)의 정격전압(Vdd)에 상응하는 정격전압을 가져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산기(181)는 전원장치(400)의 공급전압(Vdd)을 그대로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voltage at each input terminal of the
오동작 감지부(180)가 증폭부(130)의 동작에 영향을 주면 안되므로, 오동작 감지부(180)의 감산기(181)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산기(181)는 10 kOhm보다 큰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Since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산기(181)는 레일-투-레일 연산증폭기(rail-to-rail 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제1, 제2 비교기(182a, 182b)는 감산기(181)의 출력인 차동 DC 전압(Vsub)의 크기가 소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차동 DC 전압(Vsub)의 크기가 상기 소정 범위 내이면 증폭부(130)는 정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차동 DC 전압(Vsub)의 크기가 상이 소정 범위 외이면 증폭부(130)는 고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동 DC 전압(Vsub)이 최대 기준전압(Vref,max)과 최소 기준전압(Vref,min)의 사이에 있으면, 증폭부(130)가 정상일 수 있다. 차동 DC 전압(Vsub)이 최대 기준전압(Vref,max)보다 높거나 최소 기준전압(Vref,min)보다 낮으면, 증폭부(130)가 고장일 수 있다.The first and
최대 기준전압(Vref,max) 및 최소 기준전압(Vref,min)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최대 기준전압(Vref,max) 및 최소 기준전압(Vref,min)을 설정하는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The maximum reference voltage (V ref,max ) and minimum reference voltage (V ref,min ) may be pres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criteria for setting the maximum reference voltage (V ref,max ) and minimum reference voltage (V ref,min ) will be described.
도 4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감산기(181)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사이의 차동 DC 전압(Vsub)을 감지할 수 있다. 증폭부(130)가 정상 동작할 때 상기 차동 DC 전압(Vsub)은 Ie*Re에 상응할 수 있다. Re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 단과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단을 연결하는 저항이고, Ie는 Re를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Ie와 Re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 기준전압(Vref,max)은 Ie*Re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최소 기준전압(Vref,min)은 Ie*Re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낮게 설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도 5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감산기(181)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와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사이의 차동 DC 전압(Vsub)을 감지할 수 있다. 증폭부(130)가 정상 동작할 때 상기 차동 DC 전압(Vsub)은 (Ie*Re + 2Vbe,bjt)에 상응할 수 있다. Re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 단과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단을 연결하는 저항이고, Ie는 Re를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다. Ie와 Re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Vbe,bjt는 제1 트랜지스터(11) 또는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전압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 기준전압(Vref,max)은 (Ie*Re + 2Vbe,bjt)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최소 기준전압(Vref,min)은 (Ie*Re + 2Vbe,bjt)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기준전압(Vref,max)은 2 V, 최소 기준전압(Vref,min)은 1.4 V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the
1 비교기(182a)는 차동 DC 전압(Vsub)이 최대 기준전압(Vref,max)보다 낮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신호(a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비교기(182b)는 차동 DC 전압(Vsub)이 최소 기준전압(Vref,min)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신호(b1)를 출력할 수 있다. 1 The
한편 제1, 제2 비교기(182a, 182b)의 입력단에는 여전히 높은 전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 비교기(182a, 182b)는 증폭부(130)의 정격전압(Vdd)에 상응하는 정격전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비교기(182a, 182b)는 전원장치(400)의 공급전압(Vdd)을 그대로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a high voltage may still be generated at the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비교기(182a, 182b)는 개루프 이단 연산증폭기(open-loop 2-stage 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d
제1, 제2 레벨 시프터(183a, 183b)는 비교기(182a, 182b)의 출력 신호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The first and
논리회로(184)에 포함되는 MOSFET의 게이트(gate) 전압은 비교기(182a, 182b)의 정격전압(Vdd)보다 낮기 때문에 제1, 제2 신호(a1, b1)의 전압 레벨을 낮추어서 논리회로(184)에 입력시켜야 한다. 따라서 레벨 시프터(183a, 183b)를 이용하여, 제1, 제2 신호(a1, b1)의 부호를 유지하되 전압 크기만 낮출 수 있다. Since the gate voltage of the MOSFET included in the
제1 비교기(182a)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a1)는 제1 레벨 시프터(183a)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레벨 시프터(183a) 는 제1 신호(a1)의 전압 레벨이 낮춰진 제3 신호(a2)를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a1 output from the
제2 비교기(182b)로부터 출력된 제2 신호(b1)는 제2 레벨 시프터(183b)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레벨 시프터(183b) 는 제2 신호(b1)의 전압 레벨이 낮춰진 제4 신호(b2)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signal b1 output from the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의 정격전압은 전원장치(400)의 공급전압(Vdd)에 상응할 수 있다.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의 정격전압은 상기 공급전압(Vdd)보다 낮을 수 있다. The rated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s of the
예를 들면 전원장치(400)의 공급전압(Vdd)은 12V일 수 있고,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의 정격전압은 5V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ly voltage (V dd ) of the
제3 신호(a2) 및 제4 신호(b2)는 논리회로(184)에 입력될 수 있다. 논리회로(184)는 제3 신호(a2) 및 제4 신호(b2)를 이용하여 차동 DC 전압(Vsub)이 최대 기준전압(Vref,max)과 최소 기준전압(Vref,min)의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5 신호(c1)를 출력할 수 있다. 제5 신호(c1)는 0 또는 1 중 하나인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신호(c1)가 0을 나타내면 증폭부(130)가 정상 상태이고, 제5 신호(c1)가 1을 나타내면 증폭부(130)가 고장 상태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The third signal a2 and the fourth signal b2 may be input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회로(184)의 개략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레벨 시프터(183a)의 출력인 제3 신호(a2)와 제2 레벨 시프터(183b)의 출력인 제4 신호(b2)가 논리회로(184)에 입력될 수 있다. 논리회로는 입력인 제3 신호(a2) 및 제4 신호(b2)에 기초하여 제5 신호(c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논리회로(184)는 하기 표 1과 같은 진리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third signal a2 that is the output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제1 비교기(182a)는 차동 DC 전압(Vsub)이 최대 기준전압(Vref,max)보다 작으면 1을 나타내는 고(high)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호(a1)가 1을 나타내므로 제3 신호(a2)도 1을 나타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2 비교기(182b)는 차동 DC 전압(Vsub)이 최소 기준전압(Vref,min)보다 크면 0을 나타내는 저(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신호(b1)가 0을 나타내므로 제4 신호(b2)도 0을 나타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표 1에서 제5 신호(c1)가 0을 나타내면 증폭부(130)가 정상 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5 신호(c1)가 1을 나타내면 증폭부(130)가 오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fifth signal c1 in Table 1 indicates 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다만 도 7에 도시된 논리회로(184)와 상기 진리표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오동작 감지부(180)는 증폭부(130)의 오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제5 신호(c1)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However, the
도 7을 참조하면, 논리회로(184)의 출력 단자(t3)에 LED 드라이버(14)가 연결될 수 있다. LED 드라이버(14)는 제5 신호(c1)에 기초하여 IC 칩(500) 외부의 LED(15)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예를 들어 제5 신호(c1)가 1을 나타내면, LED 드라이버(14)는 외부 LED(15)를 턴온(turn on)할 수 있다. 턴온된 외부 LED(15)는 오동작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제5 신호(c1)가 0을 나타내면 LED 드라이버(14)는 외부 LED(15)를 턴오프(turn off)할 수 있다. 턴오프된 외부 LED(15)는 정상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fth signal c1 indicates 1, the
논리회로(184)는 효율을 위해 작은 사이즈의 MOSFET으로 구비될 수 있다. 논리회로(184)의 출력인 제5 신호(c1)는 예를 들면 0 V 이상 5 V 이하일 수 있다. 논리회로(184)의 출력 단자((t3)에 연결되는 LED 드라이버(14)는 예를 들면 NMOS LED 드라이버일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 및 논리회로(184)는, 감산기(181), 비교기(182a, 182b), 및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보다 낮은 정격전압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terminals of the
따라서 감산기(181), 비교기(182a, 182b), 및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에는 Vdd가 공급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 및 논리회로(184)에는 Vdd보다 낮은 공급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감산기(181), 비교기(182a, 182b), 및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은 12 V로 구동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 및 논리회로(184)는 5 V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감산기(181), 비교기(182a, 182b), 및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은 높은 공급전압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 및 논리회로(184)는 낮은 공급전압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높은 공급전압 영역과 낮은 공급전압 영역은 실제 물리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높은 공급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요소들과 낮은 공급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이다. Accordingly, V dd may be supplied to input terminals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180)의 회로도이다. 8 is a circuit diagram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증폭부(130)의 능동소자부(132)는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감산기(181), 제1, 제2 비교기(182a, 182b), 제1, 제2 레벨 시프터(183a, 183b), 및 논리회로(18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동작 감지부(180)는 논리회로(184)의 출력단에, LED 드라이버(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오동작 감지부(180)가 능동소자부(132)를 포함하는 증폭부(130)의 동작에 영향을 주면 안되므로, 오동작 감지부(180)의 감산기(181)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 Since the
오동작 감지부(180)는 항상 동작할 필요 없이, 오동작의 검사가 필요할 때만 동작시키면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스위치(16)를 구비하여, 오동작 감지부(180)만 선택적으로 턴오프 시킬 수 있다. The
스위치(16)는 IC 칩(5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IC 칩(500)은, 스위치(16)의 상태에 기초하여 오동작 감지부(18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단자(t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16)는 전원장치(400)와 상기 단자(t8)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한편, 오동작 감지부(180)는 높은 공급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요소들과과 낮은 공급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산기(181), 비교기(182a, 182b), 및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입력단은 높은 공급전압(Vd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183a, 183b)의 출력단 및 논리회로(184)는, 전압분배회로(17)로 인하여 상기 공급전압(Vdd)보다 낮은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일 실시예에서, 능동소자부(132) 및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C 칩(500)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단자(t3),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예: t4, t5, t6, t7), 및 오동작 감지부(180)의 구동을 온오프할 수 있는 단자(t8)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한편 도 8에서는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이미터 노드가 감산기(181)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2 트랜지스터(11, 12)의 베이스 노드가 감산기(181)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FIG. 8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mitter nodes of the first an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9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도 9를 참조하면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제1 장치(300)와 연결되는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 각각에 공통 모드로 입력되는 제1 전류(I11, I12, I13)를 능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activ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세 개의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 센싱 변압기(120B), 증폭부(130B), 오동작 감지부(180), 보상 변압기(140B), 보상 커패시터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ctive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A, 100A-1, 100A-2)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세 개의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센싱 변압기(120B) 및 보상 커패시터부(150B)의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에 대해 설명한다. Compared to the active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서로 구분되는 제1 대전류 경로(111B), 제2 대전류 경로(112B) 및 제3 대전류 경로(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대전류 경로(111B)는 R상, 상기 제2 대전류 경로(112B)는 S상, 상기 제3 대전류 경로(113B)는 T상의 전력선일 수 있다. 제1 전류(I11, I12, I13)는 제1 대전류 경로(111B), 제2 대전류 경로(112B) 및 제3 대전류 경로(113B) 각각에 공통 모드로 입력될 수 있다.The active
센싱 변압기(120B)의 1차 측(121B)은 제1, 제2, 제3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 각각에 배치되어, 2차 측(122B)에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세 개의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 상의 제1 전류(I11, I12, I13)에 의해 센싱 변압기(120B)에 생성되는 자속 밀도는 서로 보강될 수 있다. The
한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에서 증폭부(130B)는, 증폭부(130A-1), 증폭부(130A-2)를 포함하는 증폭부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일 예시로 증폭부(130A-1)에 상응하는 증폭부(130B)를 도시하였다. Meanwhile, in the active
증폭부(130B)의 적어도 일부와 오동작 감지부(1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IC 칩(500B)에 집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130B)의 능동소자부와 오동작 감지부(180)가 하나의 IC 칩(500B)에 집적화될 수 있다. 능동소자부는 예를 들면 제1 트랜지스터(11), 제2 트랜지스터(12), 다이오드(13), Rnpn, Rpnp, Re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b, Ce, Z1, Z2, Cdc를 포함하는 수동소자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도 IC 칩(500B)에 집적화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한편 도 9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11)의 이미터 노드의 전압과 제2 트랜지스터(12)의 이미터 노드의 전압이 차동으로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트랜지스터(11)의 베이스 노드의 전압과 제2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 노드의 전압이 차동으로 오동작 감지부(18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제1 트랜지스터(11)는 npn BJT일 수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12)는 pnp BJT일 수 있다.Meanwhile, FIG. 9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voltage of the emitter node of the
IC 칩(500B)은 전원장치(400)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1), 제2 기준전위(602)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t2),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t3), 및 수동소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예: t4, t5, t6, t7)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이, IC 칩(500B)은, 오동작 감지부(18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16)와 연결되는 단자(t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장치(400)와 상기 단자(t8) 사이에 스위치(16)가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8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동작 감지부(180)의 출력 단자(t3)에 LED 드라이버(14) 및 외부 LED(15)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LED(15)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의 정상 또는 오동작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9 , as shown in FIG. 8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한편 보상 커패시터부(150B)는 보상 변압기(140B)에 의해 생성된 보상 전류(IC1, IC2, IC3)가 제1, 제2, 제3 대전류 경로(111B, 112B, 113B) 각각으로 흐르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출력 측(즉, 제2 장치(200) 측)에,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에 포함된 각 커패시터의 일 단은, 각각 제1 대전류 경로(111B), 제2 대전류 경로(112B) 및 제3 대전류 경로(113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커패시터의 반대 단은, 전류 보상 장치(100B)의 제1 기준전위(60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ctive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는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의 보상 전류의 출력 성능이 제2 장치(200)의 임피던스 값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의 임피던스(ZY)는, 노이즈 저감의 대상이 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지정된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의 결합으로 인해, 전류 보상 장치(100B)는, 어떤 시스템(예: 3상 3선 시스템)에서든 독립적인 모듈로써 이용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에서 감결합 커패시터부(170B)는 생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B)는 3상 3선의 전력 시스템의 부하에서 전원으로 이동하는 제1 전류(I11, I12, I13)를 보상(또는 상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activ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는 3상 4선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can be modified to be applied to 3-phase 4-wire as wel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100, 100A, 100A-1, 100A-2, 100B)는, 수동 EMI 필터에 비하여, 고전력 시스템에서 크기와 발열의 증가가 미미하다. 능동회로부와 오동작 감지부를 하나의 IC 칩(500, 500A-1, 500A-2, 500B)에 집적화함으로써, IC 칩(500, 500A-1, 500A-2, 500B)은 독립된 부품으로써 범용성을 가지고 상용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IC 칩(500, 500A-1, 500A-2, 500B)을 포함하는 전류 보상 장치(100, 100A, 100A-1, 100A-2, 100B)를 독립된 모듈로 제작하여 상용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류 보상 장치(100, 100A, 100A-1, 100A-2, 100B)는 주변 전기 시스템의 특성에 무관하게 독립적인 모듈로써 오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Compared to passive EMI filters, the activ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Claims (1)
상기 대전류 경로 상의 공통 모드 노이즈 전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전류를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 전류에 기초하여 보상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보상 전류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대전류 경로 각각에 흘리도록 하는 보상부; 및
상기 증폭부의 오동작을 감지하는 오동작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오동작 감지부는 하나의 집적회로(IC) 칩에 내재화된,
능동형 전류 보상 장치. In the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for actively compensating for noise generated in a common mode in each of at least two high current paths,
a sensing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on mode noise current on the high current path;
an amplification unit generating an amplification current by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a compensating unit generating a compensating current based on the amplified current and allowing the compensating current to flow through each of the at least two large current paths; and
Including; a malfun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amplification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amplifier and the malfunction detection unit are internalized in one integrated circuit (IC) chip,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4795A KR102699361B1 (en) | 2020-12-23 | 2023-02-24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KR1020240112482A KR20240132419A (en) | 2020-12-23 | 2024-08-22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641A KR102505124B1 (en) | 2020-12-23 | 2020-12-23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KR1020230024795A KR102699361B1 (en) | 2020-12-23 | 2023-02-24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641A Division KR102505124B1 (en) | 2019-03-28 | 2020-12-23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2482A Division KR20240132419A (en) | 2020-12-23 | 2024-08-22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5283A true KR20230035283A (en) | 2023-03-13 |
KR102699361B1 KR102699361B1 (en) | 2024-08-28 |
Family
ID=8221511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641A KR102505124B1 (en) | 2019-03-28 | 2020-12-23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KR1020230024795A KR102699361B1 (en) | 2020-12-23 | 2023-02-24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KR1020240112482A KR20240132419A (en) | 2020-12-23 | 2024-08-22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641A KR102505124B1 (en) | 2019-03-28 | 2020-12-23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2482A KR20240132419A (en) | 2020-12-23 | 2024-08-22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50512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0650A (en) * | 2000-03-28 | 2002-01-11 | Internatl Rectifier Corp | Active filter for reducing common-mode current |
KR20160117703A (en) * | 2015-03-30 | 2016-10-11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Power consumption reduced type Power converter |
KR20200122264A (en) * | 2019-04-17 | 2020-10-27 | 울산과학기술원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2020
- 2020-12-23 KR KR1020200182641A patent/KR10250512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2-24 KR KR1020230024795A patent/KR10269936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8-22 KR KR1020240112482A patent/KR20240132419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0650A (en) * | 2000-03-28 | 2002-01-11 | Internatl Rectifier Corp | Active filter for reducing common-mode current |
KR20160117703A (en) * | 2015-03-30 | 2016-10-11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Power consumption reduced type Power converter |
KR20200122264A (en) * | 2019-04-17 | 2020-10-27 | 울산과학기술원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2419A (en) | 2024-09-03 |
KR20220091284A (en) | 2022-06-30 |
KR102505124B1 (en) | 2023-03-03 |
KR102699361B1 (en) | 2024-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5193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580800B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US11949393B2 (en) | Divided a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505124B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
KR102129578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US20240203641A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malfunction | |
KR102131263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20240024126A (en) | Active compensation device for using parallel aplifier | |
KR102563789B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 unit and non-integrated circuit unit | |
KR102500177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711040B1 (en) | Active voltage compensation device | |
KR102580432B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Including One-Chip Integrated Circuit | |
KR102208533B1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694597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663720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636667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20230136095A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20240038942A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including an internalized power converter | |
KR102607200B1 (en) | Voltage-Sense Current-Compensation A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 |
KR102611393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KR102242048B1 (en) | Current compensation device | |
CN116636129A (en) | Active current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sensing operation failure | |
KR20230168997A (en) | Voltage-Sense Current-Compensation A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