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229A -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 제어 - Google Patents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 제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4229A KR20230024229A KR1020220100347A KR20220100347A KR20230024229A KR 20230024229 A KR20230024229 A KR 20230024229A KR 1020220100347 A KR1020220100347 A KR 1020220100347A KR 20220100347 A KR20220100347 A KR 20220100347A KR 20230024229 A KR20230024229 A KR 202300242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ce
- user
- pairing
- radio access
- resour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2—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giving priorities, e.g. assigning classes of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 2b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일부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서 슬롯별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서 gNB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9a 및 9b는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적용하는 장치의 단순화된 예를 도시한다.
Claims (20)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nnections)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 -,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의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페어링된 할당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을 고려하는 슬라이스 기반 할당량(slice-based quota)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적어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일한 슬라이스의 사용자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사용자와 주어진 슬라이스의 사용자를 페어링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선호 또는 회피하기 위한 상대적인 선호(preference)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자원이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 방식으로 슬롯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의 다중-사용자에게 할당된 경우, 슬라이스 할당량과 비교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자원의 카운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된 할당이 제공된 동일한 슬라이스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에 속하는 사용자 사이의 간섭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상기 자원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주어진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를 동일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다중-사용자의 상기 상대적인 선호를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숫자 값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상기 동일한 슬라이스의 Mu-페어링 사용자를 회피해야 함을 표시하는 제1 값과
무선 액세스 노드가 상기 동일한 슬라이스의 사용자만을 페어링해야 함을 표시하는 제 2값
사이의 값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슬라이스의 주어진 수 N개의 단말 디바이스가 주어진 슬롯에서 동일한 세트 P의 자원 블록에 할당된다는 것을 결정하고,
슬라이스-기반 할당량을 결정할 때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이 고려되는 방법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선호를 제1, 제2 및 제3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값은 각각의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자원을 모두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 N에 관계없이 슬라이스가 P개의 자원 블록만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3 값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 N이 2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슬라이스가 2*P개의 자원 블록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슬라이스가 P개의 자원 블록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P개의 자원 블록이 할당되었는지를 결정하고,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된 할당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이 슬라이스 기반 할당량을 결정할 때 고려되는지 여부의 상기 상대적인 선호를 제1, 제2 또는 제3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값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 효과가 무시되고, 임의의 개별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P개의 자원 블록을 모두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주어진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의 자원에 대해 페어링된 할당을 획득한다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간섭으로 인해 경험할 스펙트럼 효율성의 감소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감소된 수의 자원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3 값은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슬라이스에 속한다면 상기 제1 값의 규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반면, 상기 사용자가 상이한 슬라이스에 속한다면 상기 제2 값의 규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의 다중-사용자 페어링,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 슬라이스 할당량 조정 및 자원에 관한 보고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상기 수신된 보고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대적인 선호를 조정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적어도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 제어에 대한 명령어-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 -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로부터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제1 조정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조정 인자 및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자원 할당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것으로 카운트된 자원에 대한 제2 조정 인자를 결정- 상기 제2 조정 인자는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을 고려하는 방법을 표시함 - 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 및 상기 제2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자원을 슬라이스 할당량에 대해 카운트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제3 조정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의 수 및 제2 및 제3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자원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 페어링 및 자원 결정에 사용될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고,
페어링, 자원 및 간섭에 관한 보고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상기 제2 조정 인자를 단말 디바이스마다 결정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기 장치가 상기 제3 조정 인자를 슬라이스마다 결정하는 것을 더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 -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의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페어링된 할당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을 고려하는 슬라이스-기반 할당량을 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주어진 슬라이스의 사용자를 동일한 슬라이스의 사용자,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사용자와 페어링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선호 또는 회피하기 위한 상대적인 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자원이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 방식으로 슬롯 내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의 다중-사용자로 할당된 경우, 슬라이스 할당량과 비교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자원의 카운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된 할당이 제공된 동일한 슬라이스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에 속하는 사용자 사이의 간섭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상기 자원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를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결정 및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주어진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를 동일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다중-사용자의 상대적인 선호를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숫자 값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상기 동일한 슬라이스의 Mu-페어링 사용자를 회피해야 함을 표시하는 제1 값과
무선 액세스 노드가 상기 동일한 슬라이스의 사용자만을 페어링해야 함을 표시하는 제2 값 사이의 값인,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슬라이스의 주어진 수 N 개의 단말 디바이스가 주어진 슬롯에서 동일한 세트 P의 자원 블록에 할당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슬라이스 기반 할당량을 결정할 때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이 고려되는 방법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선호를 제1, 제2 또는 제3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값은 각각의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자원을 모두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 N에 관계 없이 슬라이스가 P개의 자원 블록만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값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수 N이 2보다 크거나 같으면 슬라이스가 2*P개의 자원 블록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되고, 그렇지 않으면, 슬라이스가 P개의 자원 블록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는,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P개의 자원 블록이 할당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페어링된 할당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이 슬라이스-기반 할당량을 결정할 때 고려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상대적인 선호를 제1, 제2 또는 제3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값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 효과가 무시되고, 임의의 개별 단말 디바이스가 할당된 P개의 자원 블록을 모두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값은 주어진 단말 디바이스가 특정 수의 자원에 대해 페어링된 할당을 획득한다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간섭으로 인해 경험할 스펙트럼 효율성의 감소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감소된 수의 자원을 소비한 것으로 취급됨을 표시하고
상기 제3 값은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슬라이스에 속한다면 상기 제1 값의 규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반면, 상기 사용자가 상이한 슬라이스에 속한다면 상기 제2 값의 규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 -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로부터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표시하는 제1 조정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조정 인자 및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것으로 카운트된 자원에 대한 제2 조정 인자를 결정- 상기 제2 조정 인자는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을 고려하는 방법을 표시함 -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명령어 및 상기 제2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자원을 슬라이스 할당량에 대해 카운트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제3 조정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자원의 수 및 제2 및 제3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자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자원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 페어링 및 자원 결정에 사용될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페어링, 자원 및 간섭에 관한 보고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 인자를 단말 디바이스마다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고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적어도 장치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 -,.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의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노드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페어링된 할당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을 고려하는 슬라이스 기반 할당량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고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명령어는 적어도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명령어- 상기 연결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사용함- 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슬라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제1 조정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조정 인자 및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중-사용자 페어링 및 자원 할당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것으로 카운트된 자원에 대한 제2 조정 인자를 결정- 상기 제2 조정 인자는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간섭을 고려하는 방법을 표시함- 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 및 상기 제2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자원을 슬라이스 할당량에 대해 카운트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제3 조정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의 수와 제2 및 제3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슬라이스에 의해 소비된 자원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 페어링 및 자원 결정에 사용될 슬라이스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고,
페어링, 자원 및 간섭에 관한 보고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215846 | 2021-08-11 | ||
FI20215846A FI20215846A1 (en) | 2021-08-11 | 2021-08-11 | Control of MIMO connections for multiple us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4229A true KR20230024229A (ko) | 2023-02-20 |
KR102509804B1 KR102509804B1 (ko) | 2023-03-14 |
Family
ID=8304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0347A Active KR102509804B1 (ko) | 2021-08-11 | 2022-08-11 |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 제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711859B2 (ko) |
EP (1) | EP4135211A1 (ko) |
KR (1) | KR102509804B1 (ko) |
CN (1) | CN115913294B (ko) |
FI (1) | FI202158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69494B2 (en) * | 2021-12-14 | 2024-08-20 | Dish Wireless L.L.C. | Orchestration of client-accessible test slices on a cellular networ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5130A1 (en) * | 2018-03-27 | 2019-10-0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Network slicing based on one or more token counters |
WO2020002127A1 (en) * | 2018-06-28 | 2020-01-02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s and apparatuses of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beam selection and user pairing using deep learning |
WO2020212640A1 (en) * | 2019-04-15 | 2020-10-22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Resource allocation in a network slice |
US20200367072A1 (en) * | 2019-05-17 | 2020-11-19 |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 Function slicing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resource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093256A (ja) * | 2015-04-20 | 2018-06-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
US10772101B2 (en) * | 2015-12-08 | 2020-09-0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ir interface configuration |
BR112018070365A8 (pt) * | 2016-04-05 | 2023-04-25 | Sharp Kk | Equipamento de usuário e método de comunicação executado por um equipamento de usuário |
CN108777883B (zh) * | 2016-08-26 | 2022-10-1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无线接入网络切片的构建方法和装置 |
CN109548042B (zh) * | 2017-09-22 | 2023-11-1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网络切片配置方法及装置 |
CN109842910A (zh) * | 2017-11-28 | 2019-06-04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 一种网络切片的处理方法及接入网网元 |
EP3782413B1 (en) * | 2018-05-02 | 2022-05-04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Coordinator network node and access network node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1956763B2 (en) * | 2019-01-25 | 2024-04-09 | Northeastern University | Methods for the enforcement of network slicing policies in virtualized cellular networks |
WO2021130615A1 (en) * | 2019-12-26 | 2021-07-0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Network slicing in cellular systems |
-
2021
- 2021-08-11 FI FI20215846A patent/FI20215846A1/en unknown
-
2022
- 2022-07-22 EP EP22186406.9A patent/EP4135211A1/en active Pending
- 2022-08-09 US US17/883,952 patent/US11711859B2/en active Active
- 2022-08-09 CN CN202210952215.8A patent/CN115913294B/zh active Active
- 2022-08-11 KR KR1020220100347A patent/KR102509804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3-17 US US18/122,828 patent/US1182553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5130A1 (en) * | 2018-03-27 | 2019-10-0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Network slicing based on one or more token counters |
WO2020002127A1 (en) * | 2018-06-28 | 2020-01-02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s and apparatuses of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beam selection and user pairing using deep learning |
WO2020212640A1 (en) * | 2019-04-15 | 2020-10-22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Resource allocation in a network slice |
US20200367072A1 (en) * | 2019-05-17 | 2020-11-19 |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 Function slicing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 resour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9804B1 (ko) | 2023-03-14 |
FI20215846A1 (en) | 2022-07-06 |
US20230051441A1 (en) | 2023-02-16 |
US20230217511A1 (en) | 2023-07-06 |
US11825532B2 (en) | 2023-11-21 |
CN115913294B (zh) | 2024-07-23 |
CN115913294A (zh) | 2023-04-04 |
US11711859B2 (en) | 2023-07-25 |
EP4135211A1 (en) | 2023-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55787A1 (en) | Network slice selection in cellular system | |
KR102303010B1 (ko) | 네트워크 슬라이스 구성 | |
US20220038931A1 (en) | Radio link adaptation in wireless network | |
US11729664B2 (en) | Allocating resources for communication and sensing services | |
US12185360B2 (en) | Processing rules for resource elements | |
US20220217620A1 (en) | Controlling network access | |
KR102509804B1 (ko) | 다중-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연결 제어 | |
US20250031151A1 (en) |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 |
WO2024187455A1 (en) | Prioritized bit rate based slicing control | |
WO2021047767A1 (en) | Mobility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 |
US20240073723A1 (en) | Test methodology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 |
US20240023092A1 (en) | Whitening Uplink Data Streams | |
US20220311538A1 (en) |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user mode | |
CN118175553A (zh) | 无线电接入网中的网络切片 | |
WO2024223044A1 (en) | Updating machine learning model | |
WO2023193911A1 (en) | Positioning of collaborating devices | |
CN116614887A (zh) | 功率谱密度感知上行链路调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