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831A -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 Google Patents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3831A KR20230003831A KR1020210085394A KR20210085394A KR20230003831A KR 20230003831 A KR20230003831 A KR 20230003831A KR 1020210085394 A KR1020210085394 A KR 1020210085394A KR 20210085394 A KR20210085394 A KR 20210085394A KR 20230003831 A KR20230003831 A KR 20230003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e
- unit
- hand module
- module
- gripp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1 chem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3—Coplanar side 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여 전달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and a stacker cran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that grips and delivers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a stacker crane device having the same.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 computers, video cameras, and mobile 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storage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robots, and satellites has been in full swing,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ossibl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progressing.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t is in the limelight because of its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차전지는 외장재나 적용 형태에 따라 원통형이나 각형의 캔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these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or prismatic can-type secondary batteries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terior materials or application forms.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ingle cell or in the form of 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device used.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셀 1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PC(Personal Computer),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모듈의 사용이 요구된다.For example, a smal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one cell, while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DVD (Portable DVD), a small PC (Personal Computer),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Medium-sized or large-sized devices such as the like require the use of 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ue to problems of output and capacity.
모듈은 다수의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배열하여 연결한 코어 팩에 보호회로 등을 접속함으로써 제조된다.A module is manufactured by connecting a protection circuit or the like to a core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arranged and connected in series and/or parallel.
단위 셀로서 각형 또는 파우치형 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적층한 후 전극 단자들을 버스 바 등의 접속 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육면체 구조의 입체형 모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형 또는 파우치형 셀이 단위 셀로서 유리하다.In the case of using a prismatic or pouch-type cell as a unit cell,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stacking the w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n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us bar. Therefor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module having a hexahedral structure, a prismatic or pouch-type cell is advantageous as a unit cell.
그 중 파우치형 셀은 금속층(포일)과 금속층의 상면과 하면에 코팅되는 합성수지층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파우치 외장재를 사용하여 외관을 구성하기 때문에, 금속 캔을 사용하는 원통형 또는 각형보다 이차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이차전지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Among them, the pouch-type cell uses a pouch exterior composed of a multi-layered film of a metal layer (foil) and a synthetic resin layer co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layer, so the weight of the secondary battery is lower than that of a cylindrical or prismatic cell using a metal can.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nge into various forms, so the amount of use is gradual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셀은 셀을 조립하는 공정과 셀을 활성화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파우치 외장재는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하부 외장재와, 하부 외장재의 상부를 밀봉하는 상부 외장재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 pouch-type cell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ell and a process of activating the cell. The pouch exterior material generally includes a lower exterior materia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exterior material that seals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exterior material.
전극조립체를 하부 외장재의 수납부에 수용한 다음, 하부 외장재 수납부 주위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 외장재의 가장자리를 밀착시키고 밀착된 일부분을 열융착한 후 전해액을 넣고 나머지 부분을 진공 실링하면 셀이 조립된다.Aft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housing of the lower housing, the edge around the housing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upper housing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after heat-sealing the adhered part, an electrolyte is add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vacuum-sealed. are assembled
한편, 이차전지 셀은 방전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이차전지 셀을 조립한 다음에 1차 충전을 해서 활성화시켜야 전지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활성화 공정 또는 화성(formation) 공정이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re assembled in a discharged state, they can function as batteries only when they are first charged and activated after assembl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his is called the activation process or formation process.
화성 공정에서는 전류의 원활한 통전을 위해 소정의 활성화 공정 설비에 이차전지 셀을 탑재하고 활성화에 필요한 조건으로 충방전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그 특성상 첫 사이클시 양극 활물질의 활성화 및 음극에서의 안정적인 표면막(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생성을 위해 이러한 활성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In the formation process, secondary battery cells are loaded in predetermined activation process equipment for smooth current conduction, and processes such as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under conditions necessary for activation. In a secondary battery, due to its characteristics, such an activation process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activat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the first cycle and to create a stable surface film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the negative electrode.
화성 공정에서 음극 활물질과 전해액 간의 반응으로 음극 표면에 표면막(SEI)이 비로소 형성되고, 이 표면막(SEI)의 물리적, 기계적 건전성이 이차전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이차전지의 성능을 결정한다.In the chemical conversion process, a surface film (SEI) is fir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nod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a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integrity of the surface film (SEI)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until the end of its lifespan. .
상술한 화성 공정에서 이차전지 셀은 충전장치(High Temperature Pre-Charger, HPC)에서 충전되는데, 종래에는 충전장치의 상부 영역을 지나가는 셔틀(shuttle) 또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 충전장치에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충전장치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chemical process, secondary battery cells are charged in a high temperature pre-charger (HPC). Conventionally, a shuttle or stacker crane passing through the upper area of the charging device is used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charging device. The cells were supplied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were collected from the charging device.
한편, 셔틀 또는 스태커 크레인의 파지부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을 충전장치의 안착부에 정확하게 내려놓고 셔틀 또는 스태커 크레인의 파지부가 충전장치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정확하게 픽업하기 위해, 먼저 파지부와 충전장치의 얼라인이 이루어져야 하며, 파지부와 충전장치의 얼라인이 이루어진 후에는 파지부는 얼라인된 정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urately place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gripping part of the shuttle or stacker crane onto the seating part of the charging device and to accurately pick up the secondary battery cell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device by the gripping part of the shuttle or stacker crane, first, the gripping part and the charging device The device must be aligned, and after the gripper and the charging device are aligned, the gripper must maintain the aligned position.
즉, 얼라인 과정에서는 파지부가 충전장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며, 얼라인이 완료된 후에는 파지부의 충전장치에 대해 수평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야 한다.That is, in the aligning process, the gripping part should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device, and after the alignment is complete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ripping part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device should be limited.
그런데, 종래에는 파지부의 충전장치에 대한 수평방향의 상대이동 허용 및 제한의 전환이 불편하며 빠르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and cannot be quickly performed to allow or restrict relative movement of the gripper to the charging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 파지부와 충전장치의 얼라인 과정에서 파지부의 충전장치에 대한 수평방향의 상대이동 허용 및 제한을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cker crane capable of quickly and conveniently allowing and restric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gripping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device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gripping part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d the charging device. To provide a hand module for use and a stacker cran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supported to be relatively movable to the fixed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 gripping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gripp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coupled to the fixed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electromagnetically interacting with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including an auto centering unit may be provided.
상기 오토 센터링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접촉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centering uni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for auto-centerin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pplies magnetic force to the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ane gripping unit may include a crane gripping bracket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 plurality of crane unit gripping units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상기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gripping unit for the crane includes a pair of grippers for the cran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ctuator for a crane gripper coupled to the gripping bracket for a cran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for a crane and moving each of the pair of grippers for a crane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for alignment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into which a guide pin for alignment provided i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봉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igning guide unit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includes a guide rod body having a guide groove for aligning; and a guide rod head provided at a lower end region of the guide rod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for alignment.
상기 삽입 유도홀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uide hole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preven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part from rotating or falling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는,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에 결합되며,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에 결합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가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를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for the crane may include: a horizontal bar for anti-drop that may b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part; a stopping member for anti-swing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gripped by the crane gripper; a connecting member for anti-swing combined anti-drop coupled to the anti-drop transverse bar and mov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the anti-drop horizontal bar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anti-drop combined anti-drop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anti-drop horizontal bar enters and leave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It may include an actuator for anti-swing and anti-drop for mov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행레일을 따라 제1축 방향으로 주행하는 크레인용 주행유닛; 상기 크레인용 주행유닛에 지지되고,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핸드유닛; 및 상기 크레인용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을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상기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포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은, 상기 크레인용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unit for the crane travel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along the traveling rail; a crane hand unit supported by the crane driving unit and hol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n up/down movement unit for a crane coupled to the crane travel unit and connected to the crane hand unit to vertically move the crane hand unit, wherein the crane hand unit Silver,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d a crane coupled to the up/down moving unit for the crane and connected to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and moving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in a second axis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It includes a fork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and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includes a fixed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coupled to the fork module for the crane; a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support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 gripping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gripp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coupled to the fixed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electromagnetically interacting with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It may include an auto-centering unit that does.
상기 오토 센터링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접촉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centering uni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for auto-centerin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pplies magnetic force to the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part for the crane includes a gripping bracket for the crane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 plurality of crane unit gripping units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상기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it gripping unit for the crane includes a pair of grippers for the cran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ctuator for a crane gripper coupled to the gripping bracket for a cran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for a crane and moving each of the pair of grippers for a crane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for alignment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into which a guide pin for alignment provided i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can do.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봉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유도홀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ligning guide unit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includes a guide rod body having a guide groove for aligning; and a guide rod head provided at a lower end region of the guide rod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for alignment, wherein the insertion guide hole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lower side to upper side. can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대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상대이동 허용 및 제한을 빠르고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 크레인용 파지부의 충전장치에 대한 얼라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frame part for a crane hand module supported by a fixed frame part for a crane hand modul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a gripping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a movable frame part for a crane hand module and holding a secondary battery cell, I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electromagnetically interacts with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 Allowing and restric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the fixed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can be quickly and easily switched, thereby aligning the charging device of the crane gripping part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태커 크레인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류트레이와 공정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셀 이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이재용 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차폐용 블록부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the stacker crane device of FIG. 1;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6 is a view showing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of FIG. 5;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6;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of FIG. 5;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8 .
11 is a view show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ortion for a crane of FIG. 7 .
12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tray and a process tray used i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of FIG. 1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cell transfer device of FIG. 1;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Fig. 16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the Lee Jae-yong gripper of FIG. 13 .
Fig. 18 is a front view of Fig. 17;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acing of Lee Jae-yong's unit gripping parts in FIG. 18 is narrowed.
Fig. 20 is a side view of Fig. 17;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for Lee Jae-yong of FIG. 1 .
Fig. 22 is a plan view of Fig. 21;
Fig. 23 is a side view of Fig. 21;
FIG.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block unit of FIG. 21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a secondary battery cel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도면에서 제1축 방향은 X로 표시하고,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은 Y로 표시하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세로방향)은 Z로 표시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first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X, the second axis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Y, and the third 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Y. ) is represented by Z.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태커 크레인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7의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류트레이와 공정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셀 이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이재용 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1의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측면도이며, 도 24는 도 21의 차폐용 블록부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shows the stacker crane device of FIG. 1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the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of FIG. 5,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and FIG. 8 is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6,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B' in FIG. 8, and FIG. 11 is a crane in FIG. 7 12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tray and a process tray used i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of FIG. 1,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cell transfer device of FIG. 1 ,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FIG. 16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gripper for Lee Jae-yong of FIG. 13, and FIG. 18 is a front view of FIG. ,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is narrowed in FIG. 18, FIG. 20 is a side view of FIG. 17, and FIG. FIG. 22 is a plan view of FIG. 21 , FIG. 23 is a side view of FIG. 21 , and FIG.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block unit of FIG. 21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a secondary battery cell.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과,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와, 셀 이재장치(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24,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frame MP, a
메인 프레임(MP)은 다수 개의 기둥과 보가 연결된 다층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MP)의 각 층에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와, 셀 이재장치(400)가 배치된다.The main frame (MP) is forme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llars and beams are connected. A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방전 상태로 조립된 이차전지 셀을 충전하여 활성화시켜는 화성(formation)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로부터 이차전지 셀을 공급받아 이차전지 셀을 충전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방향(Y)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제3축 방향(Z)인 세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는 충전창지용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The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의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의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마련된다. 도 8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일부만을 간력화하여 도시하였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세로방향(Z)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에 결합된 주행레일(미도시)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용 주행유닛(310)과,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지지되고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핸드유닛(320)과,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결합되고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연결되며,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을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즉,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은 메인 프레임(MP)에 결합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 주행레일(미도시)을 따라 주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는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That is, the driving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을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down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어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지지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과,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고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에 연결되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11 , the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다단 아암의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단일 아암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이러한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이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연결되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를 이동시키는 제1 아암 이동부(344)와,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연결되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이동시키는 제2 아암 이동부(34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G)에 의해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G)에 의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moving
제1 아암 이동부(344)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아암 이동부(344)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의 하단부 영역에 결합된 제1 아암 이동용 랙기어(344a)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아암 이동용 랙기어(344a)에 치합되는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장착되며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를 회전시키는 제1 아암 이동용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first
제1 아암 이동용 구동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가 회전되고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의 회전에 의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가 전진 및 후진한다.The
제2 아암 이동부(345)는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 아암 이동부(345)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결합되는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와,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의 상단부 영역에 결합된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를 포함한다.The second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가 전진 및 후진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의 회전력은 별도의 연결기어(미도시)를 통해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로 전달되어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가 회전된다.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의 회전력은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를 통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전달되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아암 이동부(344)와, 제2 아암 이동부(345)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이고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대해 상대이동시킬 수 있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 본 실시예의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한편,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에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335)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는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의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후술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형성된 오토 센터링용 관통홀(332b)을 관통하여 후술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내벽에 연결된다.The fixed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는, 내부에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이 배치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형성된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삽입되는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이 형성된다. In the fixed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를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와,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에 결합되고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되어 2열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6 to 10, the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는 내부가 중공되며 하단부가 개구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양측벽에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가 관통하는 4개의 오토 센터링용 관통홀(332b)이 형성된다. The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내벽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는 오토 센터링부(335)의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는 자기력에 상호작용하는 철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protruding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를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down part (not shown) for the crane gripping part is coupled to the moving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는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의 양측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2열 배치된다.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2열로 배치된 크레인용 파지부(333) 각각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 각각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켜 2열로 배치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A job changer (not shown) for a crane is coupled to an up/down portion (not shown) for a crane gripping part. The
이러한 잡 체인저(미도시)에 의해 제2축 방향(Y)으로 2열로 이격되어 배치된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차전지 셀의 다양한 길이(제2축 방향(Y)의 길이)에 상응하게 2열로 배치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 셀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By such a job changer (not shown), the distance between the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type linear motor.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의 양측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과,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결합된다. The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와,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고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에 연결되며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의 사이에는 이차전지 셀의 상단부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An upper end region of a secondary battery ce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어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The
얼라인용 가이드부(334)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된다. 이러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에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용 가이드부(334)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결합되며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334a)와, 가이드 봉 몸체(334a)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334d)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334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8 and 10, the
가이드 봉 몸체(334a)는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봉 몸체(334a)의 상단부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가이드 봉 몸체(334a)의 내부에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다. The
가이드 봉 헤드(334b)는 가이드 봉 몸체(334a)의 하단부 영역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봉 헤드(334b)에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334d)이 형성된다. The
삽입 유도홀(334d)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삽입 유도홀(334d)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된다. 이러한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한다. The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접촉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을 포함한다. The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의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의 상부면에는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경은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의 이동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 전체의 이동과 같은 것으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에 의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되는 과정에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진다.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되는 과정에서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서 자기력을 인가하지 하지 않아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된 후, 즉,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삽입된 후에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서 자기력을 인가함으로써,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의 자기력에 의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 고정되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After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335)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대한 수평방향의 이동허용 및 이동제한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오토 센터링 및 얼라인이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an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crane anti-swing combined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와,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와,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결합되고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에 연결되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를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to 8 and 11 , the anti-swing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는 제1축 방향(X)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사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nti-drop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시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성력에 의해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anti-swing and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에 연결되어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 모터 또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nti-swing and
한편, 셀 이재장치(4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된다. 이러한 셀 이재장치(400)는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한다. 물류트레이(500)에는 방전 상태로 조립된 이차전지 셀이 수용되며, 물류트레이(500)는 별도의 이송장치(미도시)를 통해 셀 이재장치(400)의 하부 영역으로 전달된다. Meanwhile, the
물류트레이(500)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각각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된다.A plurality of
공정트레이(600)는 셀 이재장치(4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공정트레이(600)에는 이차전지 셀이 수용되며,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의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의해 픽업되어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으로 전달된다.The
공정트레이(600)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각각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된다.A plurality of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사이의 이격간격은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사이의 이격간격을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물류트레이(500)가 공정트레이(600)와 동일한 개수의 이차전지 셀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물류트레이(500)의 크기를 공정트레이(600)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류트레이(500)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해 물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이재장치(400)는, 도 1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이재장치 프레임(410)과,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핸드유닛(420)과,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결합되고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연결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이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핸드유닛(4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이동유닛(470)과,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지지되고 이재용 핸드유닛(42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3 to 24 , the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연결되어 이재용 핸드유닛(420)이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핸드유닛(4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재용 핸드유닛(420)은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핸드유닛(420)은,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이동유닛(470)에 결합되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파지부(440)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되고 이재용 파지부(440)에 연결되며 이재용 파지부(440)를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를 포함한다.Jaeyong Lee's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는 이재용 이동유닛(470)에 결합된다. Jaeyong Lee's fixing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파지부(440)에 연결되어 이재용 파지부(440)를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Jaeyong Lee's up/down moving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세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업/다운용 랙기어(미도시)가 마련된 업/다운용 승강로드부(451)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되며 업/다운용 랙기어(미도시)에 치합되는 업/다운용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업/다운용 기어박스부(452)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장착되며 업/다운용 기어박스부(452)에 연결되어 업/다운용 피니언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용 동력전달부(453)를 포함한다. 업/다운용 동력전달부(453)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down moving
이재용 파지부(440)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파지부(440)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에 결합되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되고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연결되며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와, 이재용 파지 브라켓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연결되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를 포함한다. Jaeyong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의 업/다운용 승강로드부(451)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3, the moving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는,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G)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몸체(442a)와, 브라켓 몸체(442a)에 결합되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가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용 가이드 샤프트(442b)를 포함한다. The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연결되어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transfer job chang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에 연결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이 조절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되며 브라켓 몸체(442a)에 연결되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잡 체인저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잡 체인저 액츄에이터(미도시)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job chang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이차전지 셀의 길이에 상응하게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를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job changer (not shown) for transferring material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 transfer unit gripping parts 444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econdary batteries of various sizes can be gripp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444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한편,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제2축 방향(X)으로 이격된 2열로 구비되어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 제1축 방향(X)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Jaeyong Le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와,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되고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에 연결되며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8 to 20 , the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는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의 브라켓용 가이드 샤프트(442b)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는 후술할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의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을 관통하는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sliding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의 사이에 이차전지 셀의 상부영역이 배치되며, 이격된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이 상호 접근하여 이차전지 셀을 파지할 수 있다.A pair of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The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킨다.The Lee Jae-yo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이재장치(400)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를 구비함으로써, 이격간격이 서로 다른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과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을 구비하는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의 사이에서 이차전지 셀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에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연결하는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되고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며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7 to 19 , the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에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이 형성된다.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은 제1축 방향(X)으로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이러한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을 통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연결한다. The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2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다. The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들은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 쌍의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에 따라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들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Since the plurality of transfer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도 13,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 연결용 고정블록(445b-1)과, 연결용 고정블록(445b-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용 회전롤러(445b-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3, 17 and 18, the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회전롤러(445b-2)가 내부에 배치되며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내벽이 형성된 연결용 절개홀(445d-3)이 마련되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과,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 결합되어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3 and 16, in the distance adjusting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은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연결용 절개홀(445d-3)이 형성된다. 연결용 절개홀(445d-3)은 제2축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moving
이러한 연결용 절개홀(445d-3)의 내벽에는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내벽에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연결용 절개홀(445d-3)의 형성된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구비함으로써,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에 의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가 제2축 방향(Y)으로 이동되면서도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과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의 연결이 유지된다.In this way, the spacing adjusting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 결합되어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다.The driving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이재용 핸드유닛(42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지지된다.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후술할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이재용 파지부(440)와 독립적으로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와,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에 연결되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가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 the anti-swing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가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는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Jaeyong Lee's anti-swing combined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에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하는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에 결합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 본체(481a-1)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 본체(481a-1)에 결합되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가이드 샤프트(481a-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 각각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한다.A plurality of anti-swing and
본 실시예에 따른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셀 삽입홈(481b-2)이 형성된 차폐용 블록부(481b-1)와, 차폐용 블록부(481b-1)에 결합되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연결부(481b-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블록 연결부(481b-3)에는 후술할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을 관통하는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마련된다. The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연결되어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킨다.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에 형성된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를 연결하는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결합되고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에 연결되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를 이동시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3,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에는 블록 연결부(481b-3)의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이 형성된다.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은 제1축 방향(X)으로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A second spacing adjusting
이러한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는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을 통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를 연결한다. The second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의 블록 연결부(481b-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2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결합된다. The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들은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 쌍의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에 따라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들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Since the plurality of anti-swing and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를 이동시킴으로써,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다.The anti-swing and anti-drop spacing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의 동작 및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을 이용한 셀 전달방법을 도 1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nd the cell transfer method using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4 .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을 이용한 셀 전달방법은, 셀 이재장치(400)가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하는 셀 이재단계와, 제1 충전장치(100)와 제1 충전장치(100)에 대해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제1 충전장치(100)로 공급하는 제1 셀 전달단계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제2 충전장치(200)로 공급하는 제2 셀 전달단계를 포함한다. A cell transfer method us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es a cell transfer step in which a
셀 이재단계에서는 셀 이재장치(400)가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여 공정트레이(600)로 이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트레이(500)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과 공정트레이(600)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이 서로 다르므로,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하는 과정에서 이재용 간격조절부(445)에 의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 In the cell transfer step, the
또한,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이 이재과정에서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제1 셀 전달단계에서는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이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에 의해 픽업되어 제1 충전장치(100)로 공급된다.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은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의 이동과정에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first cell transfer ste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제2 셀 전달단계에서는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에 의해 픽업되어 제2 충전장치(200)로 공급된다. In the second cell transfer ste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제1 충전장치(100)와, 제1 충전장치(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2 충전장치(200)와,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로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물질(particle)이 충전장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또한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335)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대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상대이동 허용 및 제한을 빠르고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 크레인용 파지부(333)의 충전장치(100, 200)에 대한 얼라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is supported by th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충전장치
200: 제2 충전장치
300: 스태커 크레인장치
310: 크레인용 주행유닛
320: 크레인용 핸드유닛
330: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331: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
332: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
332a: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
333: 크레인용 파지부
333a: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333b: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
333c: 크레인용 그리퍼
333d: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
334: 얼라인용 가이드부
334a: 가이드 봉 몸체
334b: 가이드 봉 헤드
334c: 얼라인용 가이드 홈
334d: 삽입 유도홀
335: 오토 센터링부
335a: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
336: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336a: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
336b: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
336c: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
336d: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
340: 크레인용 포크모듈
360: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400: 셀 이재장치
410: 이재장치 프레임
420: 이재용 핸드유닛
430: 이재용 고정프레임부
440: 이재용 파지부
441: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
442: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444: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444a: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
444b: 이재용 그리퍼
444c: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
444d: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
445: 이재용 간격조절부
445a: 제1 간격조절용 링크
445b: 간격조절용 연결부
445b-1: 연결용 고정블록
445b-2: 연결용 회전롤러
445c: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
445d: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
445d-1: 간격조절용 이동블록
445d-3: 연결용 절개홀
445d-2: 간격조절용 구동모터
450: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
470: 이재용 이동유닛
480: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
481: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481a: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
481b: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481b-1: 차폐용 블록부
481b-2: 셀 삽입홈
481b-3: 블록 연결부
481b-4: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
481c: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
481c-1: 제2 간격조절용 링크
481c-2: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
481c-3: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
481c-4: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
482: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
500: 물류트레이
510: 물류트레이용 안착홈
600: 공정트레이
610: 공정트레이용 안착홈
MP: 메인 프레임
P: 얼라인용 가이드 핀100: first charging device 200: second charging device
300: stacker crane device 310: driving unit for crane
320: hand unit for crane 330: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331: Fixed frame for crane hand module
332: moving frame part for crane hand module
332a: moving frame body for crane hand module
333: gripping part for
333b: unit gripping part for
333d: actuator for crane gripper 334: guide for alignment
334a: guide
334c: guide groove for
335: auto-centering
336: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or crane
336a: horizontal bar for
336c: connecting member for anti-swing and anti-drop
336d: Actuator for anti-swing and anti-drop
340: fork module for crane
360: up/down movement unit for crane
400: cell transfer device 410: transfer device frame
420: Lee Jae-yong hand unit 430: Lee Jae-yong fixed frame
440: Lee Jae-yong gripping part 441: Lee Jae-yong moving frame part
442: Jaeyong Lee gripping bracket part 444: Jaeyong Lee unit gripping part
444a: Jaeyong Lee sliding
444c: Actuator for
445: Lee Jae-yong
445b: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spacing 445b-1: fixed block for connection
445b-2: Rotating roller for
445d: Lee Jae-yong spacing
445d-3: cutout hole for
450: Jaeyong Lee up / down moving unit 470: Jaeyong Lee moving unit
480: Lee Jae-yong anti-swing anti-drop unit
481: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481a: Frame par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b: shield for anti-drop combined with anti-swing
481b-1: block portion for shielding 481b-2: cell insertion groove
481b-3:
481c: Spacing control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c-1: Link for second spacing adjustment
481c-2: connection block for spacing adjustment
481c-3: Spacing driv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c-4: slit hole for second spacing adjustment
482: moving part for anti-swing and anti-drop
500: logistics tray 510: seating groove for logistics tray
600: process tray 610: seating groove for process tray
MP: Main frame P: Guide pin for alignment
Claims (15)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 movable frame unit for a crane hand module that is movably supported by a fixed frame unit for a crane hand module;
a gripping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gripp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I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electromagnetically interacts with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including an auto-centering unit.
상기 오토 센터링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접촉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을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 centering unit,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including an electromagnet for auto centerin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pplies a magnetic force to the movable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part for the crane,
a gripping bracket for a crane connected to the mobi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including a plurality of crane unit gripping parts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상기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3,
The unit gripping part for the crane,
A pair of grippers for cran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including a crane gripper actuator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connected to the pair of crane grippers, and moving each of the pair of crane grippers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1,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portion for alignment having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into which a guide pin for alignment provided i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봉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5,
The alignment guide part,
a guide rod bod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and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comprising a guide rod head provided at a lower end region of the guide rod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for alignment.
상기 삽입 유도홀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6,
The insertion guide hole is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를 더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further compris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preven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part from rotating or falling.
상기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는,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에 결합되며,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에 파지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에 결합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가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상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를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According to claim 8,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for the crane,
a horizontal bar for anti-drop that can b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er;
a stopping member for anti-swing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gripped by the crane gripper;
a connecting member for anti-swing combined anti-drop coupled to the anti-drop transverse bar and mov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The anti-drop horizontal bar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anti-drop combined anti-drop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anti-drop horizontal bar enters and leave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that includes an actuator for anti-swing and anti-drop that moves.
상기 크레인용 주행유닛에 지지되고,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핸드유닛; 및
상기 크레인용 주행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을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용 핸드유닛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 및
상기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포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은,
상기 크레인용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 및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 traveling unit for a crane traveling in a first axis direction along a traveling rail;
a crane hand unit supported by the crane driving unit and hol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n up/down moving unit for a crane coupled to the crane travel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crane hand unit, and vertically moving the crane hand unit,
The hand unit for the crane,
a hand module for a stacker crane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d
For a crane that is coupled to the up/down movement unit for the crane and connected to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and moves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in a second axis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Including a fork module,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a fixed frame for a crane hand module coupled to the crane fork module;
a movable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support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 gripping part for a crane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par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gripp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I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electromagnetically interacts with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 stacker crane device including an auto-centering unit.
상기 오토 센터링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접촉되며,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을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auto centering unit,
A stacker crane device including an electromagnet for auto centerin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pplies a magne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상기 크레인용 파지부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gripping part for the crane,
A gripping bracket for a crane connected to a mobile frame for a crane hand module; and
A stacker crane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crane unit gripping parts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상기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 및
상기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크레인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ccording to claim 12,
The unit gripping part for the crane,
A pair of grippers for cran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tacker crane device comprising a crane gripper actuator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crane grippers and moving each of the pair of crane grippers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상기 스태커 크레인용 핸드모듈은,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hand module for the stacker crane,
The stacker cra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alignment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into which a guide pin for alignment provided i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부는,
상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 및
상기 가이드 봉 몸체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얼라인용 가이드 홈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유도홀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According to claim 14,
The alignment guide part,
a guide rod body coupled to the moving frame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 alignment; and
A guide rod head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for alignment;
The insertion guide hole is a stacker cra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394A KR102492160B1 (en) | 2021-06-30 | 2021-06-30 |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394A KR102492160B1 (en) | 2021-06-30 | 2021-06-30 |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3831A true KR20230003831A (en) | 2023-01-06 |
KR102492160B1 KR102492160B1 (en) | 2023-01-26 |
Family
ID=8492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5394A KR102492160B1 (en) | 2021-06-30 | 2021-06-30 |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2160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3877A (en) * | 2000-09-12 | 2002-03-29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
JP2002353299A (en) * | 2001-05-22 | 2002-12-06 | Shin Etsu Polymer Co Ltd | Member for positioning container for precision substrate |
JP2008094494A (en) * | 2006-09-13 | 2008-04-24 | Daifuku Co Ltd | Storing container for storing substrate |
JP2008278625A (en) * | 2007-04-27 | 2008-11-13 | Nippon Yusoki Co Ltd | Battery charging rack |
JP2011111258A (en) * | 2009-11-25 | 2011-06-09 | Daifuku Co Ltd | Substrate carrying facility |
JP2012025557A (en) * | 2010-07-26 | 2012-02-09 | Daifuku Co Ltd | Battery processing equipment |
KR102069127B1 (en) | 2018-12-11 | 2020-01-22 | 최윤기 | Multi-array charge/discharge unit for secondary battery |
-
2021
- 2021-06-30 KR KR1020210085394A patent/KR10249216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3877A (en) * | 2000-09-12 | 2002-03-29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
JP2002353299A (en) * | 2001-05-22 | 2002-12-06 | Shin Etsu Polymer Co Ltd | Member for positioning container for precision substrate |
JP2008094494A (en) * | 2006-09-13 | 2008-04-24 | Daifuku Co Ltd | Storing container for storing substrate |
JP2008278625A (en) * | 2007-04-27 | 2008-11-13 | Nippon Yusoki Co Ltd | Battery charging rack |
JP2011111258A (en) * | 2009-11-25 | 2011-06-09 | Daifuku Co Ltd | Substrate carrying facility |
JP2012025557A (en) * | 2010-07-26 | 2012-02-09 | Daifuku Co Ltd | Battery processing equipment |
KR102069127B1 (en) | 2018-12-11 | 2020-01-22 | 최윤기 | Multi-array charge/discharge unit for secondary batt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2160B1 (en) | 2023-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3402B2 (en) | Battery with circuit board and lead terminals | |
JP7071522B2 (en) | Battery pack manufacturing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 |
KR102354867B1 (en) | End plat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nd battery module auto-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2536553B1 (en) |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device | |
EP1261062B1 (en) | Lamin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
EP3576179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 |
KR102492160B1 (en) |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 |
KR102547920B1 (en) | Multi-stacker crane system and secondary battery cell delivery method using multi-stacker crane system | |
KR102547921B1 (en) | Stacker crane device and multi-stacker crane system having same | |
KR102547922B1 (en) | Multi Stacker Crane System | |
US11742553B1 (en) | Battery cell welding mask | |
KR20240092468A (en) | Hand module for individual grip type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590671B1 (en) | Ultrasonic welding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1941257B1 (en) |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20230282915A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 |
KR102322077B1 (en) | Secondary battery stacking device with folding plate | |
KR20240062755A (en) | Transfer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 |
KR102418781B1 (en) | Cell Arr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Cell with The Same | |
WO2020180009A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 |
US20240058946A1 (en) | Transfer apparatus | |
EP4425627A1 (en) | Clamping assembly, transport mechanism, and device for assembling battery cell | |
US20240055734A1 (en) | Rechargeable battery with movable electrode | |
CN220702504U (en) | Liquid injection system of battery and transfer device thereof | |
EP4397459A1 (en) | Processing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 |
EP4195382A1 (en) | Battery pack, power system an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