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61A - 흡수성 물품, 및 포장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포장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9361A KR20220159361A KR1020227029275A KR20227029275A KR20220159361A KR 20220159361 A KR20220159361 A KR 20220159361A KR 1020227029275 A KR1020227029275 A KR 1020227029275A KR 20227029275 A KR20227029275 A KR 20227029275A KR 20220159361 A KR20220159361 A KR 202201593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ent article
- region
- drug
- crimping
- bodily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순서대로 적층된,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 흡수체, 및 투액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장착자의 체액 배출구에 대응시키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방에 인접하는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방에 인접하는 후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노출면 이외에 도포된 약제 도포부를 가지며, 상기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약제 도포부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상기 약제 도포부와 이간되어 압착부가 존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및 포장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향료 성분, 소취 성분, 또는 그 밖의 기능 성분을 함유시킨 약제를 부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흡수체의, 배설부 대향부에 위치하는 내부에 향료가 배치되고, 배설부 대향부에 복수 형성된 슬릿이, 향료가 배치된 면까지 도달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상기 구성의 작용으로서, 향료를 지속적으로 충분히 향기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과 같이, 향료가 흡수체의 배설부 대향부에 배치된 구성에서는, 사용 중에는, 향료의 대부분이 체액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향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향료가 체액과 접촉함으로써, 향료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향료 이외의 약제여도 동일하게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사용 중에도, 향료 등의 약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순서대로 적층된,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 흡수체, 및 투액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장착자의 체액 배출구에 대응시키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방에 인접하는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방에 인접하는 후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노출면 이외에 도포된 약제 도포부를 가지며, 상기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약제 도포부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상기 약제 도포부와 이간되어 압착(壓搾)부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사용 중에도, 향료 등의 약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이 포장 시트와 함께 절첩되어 포장된 포장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이 포장 시트와 함께 절첩되어 포장된 포장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 해설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모식적인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기본 구조)
먼저, 흡수성 물품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2 에, 흡수성 물품 (1) 의 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 (2), 흡수체 (4), 투액성의 표면 시트 (3) 가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편평 형상을 갖는다. 흡수성 물품 (1) 의 장착시에는, 표면 시트 (3) 측이 피부에 닿는 측 (피부측 혹은 표측) 이 되고, 이면 시트 (2) 측이 속옷에 고정되는 측 (속옷측 혹은 이측) 이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은, 장착시에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D1) 과, 이 전후 방향 (D1) 과 직교하는 폭 방향 (D2) 을 갖는다. 도 1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 (1) 은, 전후 방향 (D1) 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전후 방향 중심선) (CL) 에 대해서 대략 선 대칭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형상은 선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또, 흡수성 물품 (1) 의 형상 이외의 구성 (흡수체의 밀도, 재질, 및 압착부의 크기, 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 중심선 (CL) 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략 대칭이어도 되고, 비대칭이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 (1) 은, 장착시에 장착자의 두 다리 사이에 주로 대응시키는 중간 영역 (M) 과, 중간 영역 (M) 의 전방에 인접하며 또한 흡수성 물품 (1) 의 전단까지의 영역인 전방 영역 (F) 과, 중간 영역 (M) 의 후방에 인접하며 또한 흡수성 물품 (1) 의 후단까지의 영역인 후방 영역 (R) 을 갖는다. 중간 영역 (M) 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을 포함한다.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은, 장착시에 장착자의 질구, 요도구 등의 체액 배출구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그 중심 (QC) 이 전후 방향 중심선 (CL) 상에 위치한다.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길이 (제 1 방향 (D1) 의 길이) 는 약 10 ∼ 50 ㎜, 폭 (제 2 방향 (D2) 의 길이) 은 약 5 ∼ 40 ㎜ 가 될 수 있다. 도 1 에서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은, 질구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타원상으로 그려져 있지만, 도시된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크기 및 형상은, 본 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전방 영역 (F) 은, 흡수성 물품 (1) 이 3 단 접기 이상으로 절첩되어 개별 포장될 때에, 폭 방향 (D2) 을 따른 접음선에서 표면 시트 (3) 측으로 되접어 꺾여, 중간 영역 (M) 에 중첩되는 영역이다. 또, 후방 영역 (R) 은, 동일하게 흡수성 물품이 3 단 접기 이상으로 절첩되어 개별 포장될 때에, 폭 방향 (D2) 을 따른 다른 접음선에서 표면 시트 (3) 측으로 되접어 꺾여, 중간 영역 (M) 에 중첩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 (1) 전체의 길이가 긴 경우, 후방 영역 (R) 은, 중간 영역 (M) 에 중첩되기 전에, 후방 영역 (R) 내의 폭 방향 (D2) 을 따른 또 다른 접음선에서 절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간 영역 (M) 은,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윙 (WG, WG) 을 포함하는 영역이어도 되고, 윙 (WG, WG) 의 전방의 기점이 되는 위치로부터 후방의 기점이 되는 위치까지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윙 (WG, WG)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영역 (M) 은, 제 2 방향 (D2) 의 외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윙 (WG, WG) 의 이면 시트 (2) 측에는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시에 이면 시트 (2) 측으로 되접어 꺾어 속옷에 첩착 (貼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흡수성 물품 (1) 을 속옷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면 시트 (2) 는, 적어도 차수 (遮水) 성을 갖는 시트여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제의 시트 등이어도 된다. 또,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나아가서는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수·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 (3) 는, 경혈, 직물, 뇨 등의 체액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의 시트로 할 수 있다. 표면 시트 (3) 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및 이것들의 혼방 섬유, 그리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직포의 가공법으로는,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론법, 니들 펀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펀 레이스법은 유연성, 스펀 본드법은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서멀 본드법은 벌크하고 소프트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심으로 하고 융점의 낮은 섬유를 초로 한 심초 (core/sheath) 형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4) 는,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면상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로는, 고흡수 폴리머 입상분 (superabsorbent polymer (SAP)), 고흡수 폴리머 섬유 (superabsorbent fiber (SAF)), 및 이것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화학 펄프의 원료재로는, 활엽수재, 침엽수재 등이 사용되지만, 섬유 길이가 긴 점 등에서 침엽수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합성 섬유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것들 중의 2 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심으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초로 한 심초형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를 친수화제로 표면 처리하고,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부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4) 는, 적섬 (積纖) 또는 에어 레이드 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4) 의 전후 방향 (D1) 의 양단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 (2) 의 가장자리부와 표면 시트 (3) 의 가장자리부가, 접착제, 히트 시일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또, 흡수성 물품 (1) 의 양측부, 즉 폭 방향 (D2) 의 양측에는, 표측 (표면 시트 (3) 측) 에,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사이드 부직포 (7, 7) 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부직포 (7, 7) 는, 중간 영역 (M) 에 있어서 제 2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동일하게 중간 영역 (M) 에 있어서 제 2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된 이면 시트 (2) 와 접합되고, 상기 서술한 윙 (WG, WG)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1) 은, 윙 (WG, WG) 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사이드 부직포 (7) 는, 체액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혹은 피부 촉감을 높이는 등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발수 처리 또는 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사이드 부직포 (7) 의 소재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재생 섬유 등이어도 된다. 또, 사이드 부직포 (7) 가 발수 처리되어 있는 경우, 그 처리에는, 실리콘계, 파라핀계 등의 발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사이드 부직포 (7) 를 사용하지 않고, 표면 시트 (3) 가,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 (D2) 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이면 시트 (2) 와 접합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흡수체 (4)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 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 (4) 는 전체적으로 전체 면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되고,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및 그 근방의 영역 등을 팽출시킨 구조로 해도 된다. 또, 흡수체 (4) 의 전후 방향 (길이 방향) (D1) 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10 ∼ 4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290 ㎜ 여도 된다. 또, 흡수체 (4) 의 폭 방향 (폭 방향) (D2) 의 길이는, 40 ∼ 200 ㎜ 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 120 ㎜ 여도 된다. 흡수체 (4) 의 폭은 일정해도 된다.
흡수체 (4) 는, 흡수체 (4) 의 본체 부분을 크레이프지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포 시트로 감싼 것이어도 된다. 흡수체 (4) 가 피포 시트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흡수체 (4) 의 비틀림이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피포 시트로는, 무착색 (즉, 백색) 의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착색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된 피포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 피포 시트의 색은, 표면 시트 (3) 측으로부터도 엷은 색으로서 반영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배출된 체액의 색을, 그 반영된 피포 시트의 색으로 분간 못하게 하여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피포 시트는, 예를 들어, 체액의 색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혈의 흡수를 목적으로 하여 구성된 흡수성 물품 (생리용 냅킨 등) 에 있어서는, 피포 시트는 적색의 보색인 녹색으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약제)
흡수성 물품 (1) 에는, 약제가 도포된 약제 도포부 (A)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약제 도포부 (A) 는, 약제가 실제로 도포된 부분, 및 도포된 부분으로부터 약제가 침투·확산된 결과, 약제가 존재하는 부분도 포함한다. 약제 도포부 (A) 는, 흡수성 물품 (1) 의 노출면 이외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 (1) 의 노출면이란, 흡수성 물품 (1) 을 펼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으로서, 흡수성 물품 (1) 의 피부면측 및 비피부면측의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제 도포부 (A) 는, 표면 시트 (3) 의 피부면 (표면) 및 이면 시트 (2) 의 비피부면 (이면) 이외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도포부 (A) 가, 흡수성 물품 (1) 의 피부면측 (표면측) 의 노출면에 없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약제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고, 흡수성 물품 (1) 의 비피부면측 (이면측) 의 노출면에 없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약제가 장착시에 속옷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많은 형태에 있어서 이면 시트 (2) 의 비피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부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약제 도포부 (A) 는, 예를 들어, 흡수체 (4) 의 표면 시트 (3) 측의 면, 흡수체 (4) 의 내부, 흡수체 (4) 의 이면 시트 (2) 측의 면, 및 흡수체 (4) 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흡수체 (4) 의 단면의 1 이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 (4) 가 피포 시트 (5) 로 감싸여 있는 경우에는, 약제 도포부 (A) 는, 피포 시트 (5) 의 외면 (흡수체 (4) 에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흡수체 (4) 와 피포 시트 (5) 사이에, 예를 들어 피포 시트 (5) 의, 흡수체 (4) 에 대향하는 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약제 도포부 (A) 는, 표면 시트 (3) 의 비피부면측, 또는 이면 시트 (2) 의 피부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 또는 흡수체 (4) 와 이면 시트 (2) 사이에 별도의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별도의 시트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3) 와 흡수체 (4) 사이에는 세컨드 시트를 배치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약제 도포부 (A) 를, 세컨드 시트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약제 도포부 (A) 는, 상기 서술한 장소의 1 이상의 지점에, 즉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약제 도포부 (A) 는, 장착자가 약제의 기능을 보다 실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관점에서는, 표면 시트 (3) 의 비피부면측, 및 흡수체 (4) 의 피부면측의 1 이상에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 도포부 (A) 는, 전방 영역 (F) 혹은 후방 영역 (R), 또는 전방 영역 (F) 및 후방 영역 (R) 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약제 도포부 (A) 를,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배치시킬 수 있어, 체액이 약제와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약제 도포부 (A)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영역 (R)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약제 도포부 (A) 는 중간 영역 (M) 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중간 영역 (M) 에 형성되는 약제의 양은, 전방 영역 (F) 및 후방 영역 (R) 에 형성되는 약제의 양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물품 (1) 에 도포되는 약제의 전량 중, 전방 영역 (F) 및 후방 영역 (R)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는 약제의 양은 가능한 한 많게, 중간 영역 (M) 에 형성되는 약제의 양은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영역 (F) 및 후방 영역 (R) 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흡수성 물품 (1) 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95 % 이상이고, 중간 영역 (M) 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흡수성 물품 (1) 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5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되는 약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 1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70 g/㎡ 여도 된다. 또, 약제 도포부 (A) 의 면적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직하게는 100 ∼ 2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1600 ㎟ 여도 된다. 또한, 약제 도포부 (A)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형이어도 되고,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약제가 도포되는 범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흡수성 물품 (1) 에 있어서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기능을 저해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해서, 약제 도포부 (A) 는, 표면 시트 (3) 와 이면 시트 (2) 의 접합부, 표면 시트 (3) 와 사이드 부직포 (7) 의 접합부 등과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흡수성 물품 (1) 에 여하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 성분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액제이면 바람직하다. 기능 성분은, 예를 들어, 방향 성분, 소취 성분, 청량감 향상 성분, 온감 향상 성분 등을 1 이상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고, 휘발성이면 바람직하다.
방향 성분은, 천연 향료 또는 합성 향료여도 된다. 천연 향료의 구체예로는, 용연향, 안식향, 해리향, 영묘향, 정자유, 갈바눔, 자스민 앱설루트, 라브다넘, 마테차, 메리로트, 미모사, 무스크톤킨, 미르라, 오크모스 또는 무스 드 쉔, 유향, 백지(白芷)향, 오리스, 파촐리, 로즈메리유, 백단유, 베티베르유, 바이올렛 리프 앱설루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합성 향료의 구체예로는, 고급 알코올, 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벤조산, 신남산, 신남알데히드, 신남알코올, 쿠마린, 에스테르, 인돌, 케톤, 살리실산과 관련 화합물, 테르페노이드, 바닐린 등을 들 수 있다.
약제에 함유시키는 기능 성분으로는, 2 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방향 작용과 함께 소취 작용을 갖는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약제에 함유되는 기능 성분은, 용매 및 기능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호스트 화합물에 의해서 포접된 포접 화합물의 형태, 또는 막재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캡슐화된 형태이면 된다.
도포되는 약제는, 취급이 용이하고, 적절한 휘발 속도로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도포시의 상태로는, 수성 물질, 특히 물인 용매를 사용하여 기능 성분을 용해시켜 이루어지는 용액이면 바람직하다.
약제를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약제의 도포는, 예를 들어, 분무기, 솔, 브러시, 바코터, 그라비어 코터, 롤 코터, 잉크젯 인쇄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중, 소량의 약제여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점에서, 약제의 액적을 비상시켜 약제를 부착시키는 수단, 특히 분무기에 의한 분무에 의해서 약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에는 압착부 (10)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압착부 (10) 는, 피부면측 (표면 시트 (3) 측) 으로부터 비피부면측 (이면 시트 (2) 측) 으로 부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화하는 가공 (엠보싱 가공) 이 실시된 부분 (피트 엠보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압착부 (10) 는,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3) 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적층체, 또는 흡수체 (4), 세컨드 시트, 및 표면 시트 (3) 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피부면측으로부터 압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적층체를, 1 쌍의 가압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적층체의 피부면측에 볼록상의 롤을, 비피부면측에 평탄한 롤이 배치되도록 한다.
압착부 (10) 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도트상의 압착부여도 되지만,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선상 또는 홈상이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선상 또는 홈상의 압착부 (10)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을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적어도, 압착부 (10) 는, 중간 영역 (M) 을 통과하고, 전후 방향 중심선 (CL) 의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압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 전방 영역 (F) 및 후방 영역 (R) 에도 각각 압착부 (10)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압착부 (10) 는, 이행되어 온 체액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차단 압착부 (11)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차단 압착부 (11)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약제 도포부 (A)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차단 압착부 (11) 를 통과하는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약제 도포부 (A) 의 모든 위치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을 잇는 모든 직선이, 약제 도포부 (A) 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사이에서, 약제 도포부 (A) 와 이간된 압착부를 통과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차단 압착부 (11) 이외의 압착부는, 간단히 압착부 (12) 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흡수성 물품 (1) 의 사용 중, 체액은 통상적으로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 배출되지만, 그 후,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외측으로, 흡수성 물품 (1) 의 표면 및 내부를 이행·확산할 수 있다. 체액은, 특히 상기 서술한 전후 방향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약제 도포부 (A) 의 약제는, 체액과 접촉함으로써 성질이 변화하는 것이 있다. 특히 약제가 방향 성분일 경우, 체액과 혼합됨으로써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체액과 방향 성분이 혼합된 냄새를 악취로 느끼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 (1) 의 사용 중에, 이행되어 온 체액이 약제 도포부 (A) 와 가능한 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 의하면,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 차단 압착부 (11)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이행되어 온 체액은, 약제 도포부 (A) 에 도달하기 전에, 차단 압착부 (11) 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는 고밀도화된 부분이기 때문에, 체액은 압착부에 끌어당겨지고, 압착부에 있어서 유지되는 경향이 크다. 또, 체액의 양이 많을 경우 등에 압착부에서 모두 유지할 수 없다고 해도, 체액의 이행 경로를 변경시켜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압착부 (11) 에 있어서 체액의 이행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지되고, 이로써, 체액의 약제 도포부 (A) 에의 도달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압착부 (12) 는, 차단 압착부 (11) 와 결합되어 있지 않다면,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 (12) 와 약제 도포부 (A) 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약제 도포부 (A) 와 압착부 (12) 가 중첩되어 있는 형태는, 고밀도화된 부분에 약제를 도포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약제가 압착부에 모아지기 쉽고,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약제가 잘 휘발되지 않아, 약제의 기능을 보다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변형예)
도 3 에,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어진 흡수성 물품 (1) 은, 도 1 에 나타내어진 흡수성 물품 (1) 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지만, 압착부 (10) 의 형상이 상이하다. 도 3 의 예에 있어서도,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된 차단 압착부 (11) 가 형성되어 있지만, 차단 압착부 (11) 를 포함하는 압착부 (10) 가, 중간 영역 (M) 에 형성된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연장되는 1 쌍의 전후 방향 압착부와 이간되어 있다.
도 1 ∼ 도 3 의 예에서는 모두,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가, 전후 방향 중심선 (CL) 과 교차하고 있다. 즉,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가, 전후 방향 중심선 (CL) 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폭 방향 (D2) 의 요소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되어 온 체액이,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의 가장자리부에 닿고, 보다 넓은 폭으로 체액을 차단할 수 있어, 차단 작용이 향상된다.
또,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가, 반드시 전후 방향 중심선 (CL) 과 교차할 필요는 없고,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의 연장선이, 전후 방향 중심선 (CL) 과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홈상의 차단 압착부 (11) 는 직선상이어도 되고 곡선상이어도 되지만, 곡선상이면 (만곡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 압착부 (11) 가, 전후 방향 (D1) 의 외방으로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다량의 체액이 급격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행되었을 경우, 차단 압착부 (11) 의 전후 방향 (D1) 내방에서 체액을 차단하기 쉽기 때문에, 체액이 약제 도포부 (A) 에 보다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도 4 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내는 예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예와는, 이면 시트 (2),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3)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윤곽 형상, 흡수체 (4) 의 형상, 및 압착부 (10) 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4 의 예에서도, 압착부 (10) 는 차단 압착부 (11) 를 포함하지만, 차단 압착부 (11) 는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는, 중간 영역 (M) 에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형성된 1 쌍의 전후 방향 압착부의 후단부로서 형성된 1 쌍의 차단 압착부 (11a, 11a), 전후 방향 중심선 (CL) 과 교차하고,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차단 압착부 (11b), 및 차단 압착부 (11b) 의 후방에 형성된, 폭 방향 (D2) 으로 이간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그 이간 폭이 커지는 1 쌍의 차단 압착부 (11c, 11c) 를 갖는다.
차단 압착부 (11a, 11a, 11b, 11c, 11c) 는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모두,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으로부터 후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직선은, 약제 도포부 (A) 에 도달하기 전에, 어느 차단 압착부 (11) 를 통과한다. 따라서, 폭 방향 (D2) 으로 연속된 차단 압착부 (11) 를 형성하지 않아도,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된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를 조합함으로써, 폭 방향 (D2) 으로 넓게 형성된 약제 도포부 (A) 에 대해서도 차단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도 4 의 예에서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일직선 상에,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직선 중, 차단 압착부 (11b, 11c) 의 양방과 교차하는 직선이 있다. 이와 같이,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직선이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와 교차하고 있으면, 차단 압착부 (11) 에 의한 차단 작용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5 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예는, 도 4 에 나타내는 예와는, 이면 시트 (2),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3)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본 구조, 윤곽 형상, 및 흡수체 (4) 의 형상이 동일하지만, 압착부 (10) 및 약제 도포부 (A) 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도 5 의 예에서도, 압착부 (10) 는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를 포함하지만, 차단 압착부 (11) 는, 중간 영역 (M) 에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형성된 1 쌍의 전후 방향 압착부의 후단부로서 형성된 1 쌍의 차단 압착부 (11a, 11a) 와, 전후 방향 중심선 (CL) 상에 배치된 도트상의 차단 압착부 (11b) 를 갖는다.
차단 압착부 (11a, 11a, 11b) 는 모두,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약제 도포부 (A) 의 모든 위치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으로부터 출발하며 또한 차단 압착부 (11a, 11a, 11b) 중 어느 것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약제 도포부 (A)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압착부 (11a, 11a) 와 도트상의 차단 압착부 (11b) 사이는 각각 이간되어 있고, 이 사이를 통과하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으로부터 후방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는, 약제 도포부 (A) 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도 5 의 예에서는, 약제 도포부 (A) 는, 차단 압착부 (11a, 11a) 와 도트상의 차단 압착부 (11b) 의 위치에 맞추어, 복수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예는,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예와, 이면 시트 (2),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3)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흡수성 물품 (1) 의 윤곽 형상, 흡수체 (4) 의 형상, 그리고 압착부 (10) 및 약제 도포부 (A) 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6 의 예에 있어서도, 압착부 (10) 는 복수의 차단 압착부 (11) 를 포함하지만, 차단 압착부 (11) 는, 중간 영역 (M) 에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형성된 1 쌍의 전후 방향 압착부의 후단부로서 형성된 1 쌍의 차단 압착부 (11a, 11a) 뿐이다.
1 쌍의 차단 압착부 (11a, 11a)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6 의 예에서는, 2 개의 약제 도포부 (A) 가 전후 방향 중심선 (CL) 의 각 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약제 도포부 (A)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으로부터 출발하며 또한 차단 압착부 (11a, 11a) 를 통과하는 직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히 다량의 체액이 급격하게 배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위를 보고 누워 있는 경우 등에는, 체액이 이행·침투하기 쉬운 곳은, 후방 영역 (R) 의 폭 방향 (D2) 의 중앙이다. 그 때문에, 도 6 의 예와 같이, 약제 도포부 (A) 가 전후 방향 중심선 (CL) 상에 형성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 (D2) 의 중앙에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약제 도포부 (A) 가 폭 방향 (D2) 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체액이 약제에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가 체액과 혼합되지 않고, 차단 압착부가 그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도 7 에도,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 은, 전체 길이가 긴, 야간용 또는 장시간용의 생리용 냅킨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도,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예와 이면 시트 (2),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3) 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흡수성 물품 (1) 의 윤곽 형상, 사이드 부직포 (7) 의 구성 등이 상이하다. 또, 압착부 (10) 및 약제 도포부 (A) 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7 의 예에 있어서의 압착부 (10) 는, 도 6 에 있어서의 압착부 (10) 와 동일하게, 중간 영역 (M) 에 전후 방향 (D1) 을 따라서 형성된 1 쌍의 전후 방향 압착부의 후단부로서 형성된 1 쌍의 차단 압착부 (11a, 11a) 를 포함한다. 약제 도포부 (A)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으로부터 출발하며 또한 차단 압착부 (11a, 11a) 를 통과하는 직선에 의해서 형성되는 범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 의 예에서는, 전후 방향 중심선 (CL) 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2 개의 약제 도포부 (A, A) 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 ∼ 도 7 중 어느 예에서도, 차단 압착부 (11) 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 주로 배출된 체액이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해 왔을 때에, 차단 압착부 (11) 에 의해서 체액의 이행을 저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액과 약제 도포부 (A) 의 접촉을 배제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도포부 (A) 에 포함되는 약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흡수체에 형성된 압착부의 예)
도 8 에,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 에서 사용되는 흡수체 (4)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흡수체 (4) 는, 표면 시트 (3) 가 적층되기 전의 상태, 즉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3) 의 적층체가 압착되어 압착부 (10) 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에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자체에도 압착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 (20) 는, 흡수체 (4) 에 대해서, 피부면측 (표면 시트 (3) 측) 으로부터 비피부면측 (이면 시트 (2) 측) 으로 부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밀도화하는 가공이 실시된 부분 (코어 엠보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다. 압착부 (20) 는, 흡수체 (4) 를, 피포 시트 (5) 로 감싸이기 전 또는 감싸인 후에, 피부면측으로부터 압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체 (4) 를, 1 쌍의 가압 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흡수체 (4) 의 피부면측에 볼록상의 롤이, 비피부면측에 평탄한 롤이 배치되도록 한다. 흡수체 (4) 에 형성되는 압착부 (20) 는,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3) 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형성되는 압착부 (10) 와 동일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다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동심의 원환상의 압착부 (20a), 원환상의 압착부의 주위에 형성된 타원상의 압착부 (20d), 그 사이에 형성된, 전후 방향 중심선 (CL) 을 통과하며 또한 약간 전후 방향 (D1) 외방으로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볼록상의 압착부 (20b, 20c)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압착부 (20d) 는,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도 1) 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중첩될 수 있지만, 압착부 (20a, 20b, 20c) 는,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도 1) 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중첩되지 않는 압착부로서, 흡수성 물품 (1) 의 외관을 본 것만으로는, 그 위치를 시인할 수 없거나 또는 시인하기 어렵다.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도, 차단 압착부 (21) 를 구비하고 있다. 차단 압착부 (21) 는, 상기 서술한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의 차단 압착부 (11) 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즉, 차단 압착부 (21)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으로부터 이행되어 온 체액을, 약제 도포부 (A) 의 앞에서 저지하여, 체액과 약제의 접촉을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차단 압착부 (21) 는, 길이 방향 중심선 (CL) 과 교차하며 또한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차단 압착부 (21a, 21b, 21c, 21d)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차단 압착부 (21a, 21b, 21c, 21d) 는 각각, 상기 서술한 압착부 (20a, 20b, 20c, 20d) 의 일부이다.
흡수성 물품 (1) 에,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및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압착부의 요건은,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및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중 어느 것이 만족하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및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의 양방이 상기 요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 에,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및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의 양방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 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 에는, 흡수성 물품 (1) 을 펼친 상태에서 표면 시트 (3) 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 에는, 도 9 에 포함되는 흡수체 (4) 로서, 다른 구성 요소와 적층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흡수체 (4)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에는, 약제 도포부 (A), 및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3) 가 적층된 상태에서 표면 시트 (3) 측으로부터 압착된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 (10)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9 에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에는,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부 (20)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는 차단 압착부 (21a, 21b, 21c) 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압착부 (피트 엠보스) (10) 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약제 도포부 (A) 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지만, 압착부 (코어 엠보스) (20) 가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체액의 차단 작용이 얻어지고, 약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 의 중심 (QC) 과 약제 도포부 (A) 를 잇는 임의의 직선의 임의의 선 상에, 복수의 차단 압착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3 개의 차단 압착부 (21a, 21b, 21c)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액의 차단 효과가 높다.
(포장 흡수성 물품)
도 11 에,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 (1) 이, 포장 시트 (50) 와 함께 절첩되어 포장되어 얻어진 포장 흡수성 물품 (100) 을 나타낸다. 흡수성 물품 (1) 을 포장 시트 (50) 로 포장하는 경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을 포장 시트 (50) 에 재치 (載置) 하고, 포장 시트 (50) 및 흡수성 물품 (1) 을 함께, 표면 시트 (3) 측 (피부면측) 으로 전후 방향 (D1) 으로 절첩한다. 후방 영역 (R) 을 제 1 접음선 (L1) 에서 되접어 꺾은 후, 전방 영역 (F) 을 제 2 접음선 (L2) 에서, 후방 영역 (R) 으로 중첩되도록 되접어 꺾는다 (도 1). 또한, 윙 (WG, WG) 은, 상기한 전후 방향 (D1) 의 절첩 전에, 표면 시트 (3) 측으로 되접어 꺾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 (D1) 으로 절첩한 후, 폭 방향 (D2) 의 양 가장자리를,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박리 가능하게 시일되고, 포장 시트 (50) 에 시일부 (S, S) 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시일부 (S) 는, 예를 들어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포장 시트의 용융을 수반하지 않는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한 기계적 시일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접착제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폭 방향 (D2) 의 중앙에는, 전방 영역 (F) 과, 전방 영역 (F) 과 중첩되어 있지 않는 후방 영역 (F) 의 부분에 걸쳐서 픽스 테이프 (60) 가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후방 영역 (R) 을 전방 영역 (F) 보다 먼저 절첩했을 경우, 후방 영역 (R) 이, 포장 흡수성 물품 (100) 에 있어서는 보다 내부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약제 도포부 (A) 를 후방 영역 (R) 에 형성해 둠으로써, 개봉까지 약제가 잘 휘발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포장 흡수성 물품 (100) 의 제조부터 개봉까지의 시간이 길었다고 해도, 약제의 기능이 잘 손상되지 않는다.
이상, 생리용 냅킨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형태는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이어도 된다. 단, 경혈과 섞이면 기능이 저하되기 쉬운 약제가 많은 점에서, 본 형태는 생리용 냅킨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부기한다.
(부기 1)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는, 순서대로 적층된,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 흡수체, 및 투액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장착자의 체액 배출구에 대응시키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방에 인접하는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방에 인접하는 후방 영역을 갖고,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노출면 이외에 도포된 약제 도포부를 가지며, 상기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약제 도포부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상기 약제 도포부와 이간되어 압착부가 존재한다.
상기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과 약제 도포부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압착부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중,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에서 받아낸 체액이,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외측으로, 예를 들어 직선적으로 이행해도, 약제 도포부에 도달하기 전에 압착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압착부에 있어서 체액이 모아져 유지되기 쉬워진다. 달리 말하면, 약제 도포부의 앞에서 압착부가 체액을 차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체액이 약제 도포부와 접촉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접촉하기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체액과 접촉하는 것에 의한 약제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착부는 약제 도포부와는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압착부를 타고 약제 도포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기 2)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압착부가 홈상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상 압착부 또는 상기 홈상 압착부의 연장선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과 교차한다.
상기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홈상 압착부가, 전후 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고 있는, 즉 폭 방향의 요소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압착부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으로부터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되어 온 체액을 차단하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부기 3)
부기 23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홈상 압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과 교차하고, 상기 약제 도포부를 향하여 볼록상의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볼록상의 홈상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 중심선 상에서, 즉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중앙 부근을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되어 온 체액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장착 상태에서는, 체액은,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 중앙을 통과하여 이행하기 쉽기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압착부에 의한 체액의 차단 효과가 향상된다.
(부기 4)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후방 영역에, 상기 약제 도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을 절첩하여 포장했을 경우, 후방 영역이 포장 흡수성 물품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후방 영역에 약제를 도포해 두면, 개봉 전에 약제가 잘 휘발되지 않는다. 또, 사용시에는, 후방 영역은, 신체로부터의 힘을 받기 쉬워, 신축되기 쉽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용도 또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약제의 휘발이 촉진되기 쉬워, 약제의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부기 5)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약제 도포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으로 각각 이간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약제 도포부가 분할되어, 전후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다량의 체액이 급격하게 전후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이행되어 왔을 경우여도, 체액이 약제 도포부에 접촉하기 어려워, 약제의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부기 6)
부기 6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후방 영역 및 상기 전방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상기 흡수성 물품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95 % 이상이고, 상기 중간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상기 흡수성 물품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5 % 이하이다.
상기 부기 6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후방 영역 및 전방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소정량 이상이며, 또한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소정치 이하이다. 약제를 후방 영역 및/또는 전방 영역에 편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체액이 약제 도포부와 혼합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부기 7)
부기 7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부기 1 내지 부기 6 중 어느 양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 시트를 포함하는 포장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부기 7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상기 부기 1 내지 부기 6 중 어느 양태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키는 포장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부기 8)
부기 8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약제 도포부가 상기 후방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이, 상기 포장 시트와 함께 상기 표면 시트측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첩되고, 상기 후방 영역에 상기 전방 영역이 중첩되어 있다.
상기 부기 8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약제 도포 영역이 후방 영역에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이, 후방 영역이 절첩된 후에 후방 영역 상에 전방 영역이 중첩되도록 절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약제 도포 영역이 내부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개봉 전에 약제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20년 3월 26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0-05583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된다.
1 : 흡수성 물품
2 : 이면 시트
3 : 표면 시트
4 : 흡수체
7 : 사이드 부직포
10 : 압착부 (피트 엠보스)
11, 11a, 11b, 11c : 피트 엠보스의 차단 압착부
12 : 압착부
20, 20a, 20b, 20c, 20d : 흡수체의 압착부 (코어 엠보스)
21, 21a, 21b, 21c, 21d : 코어 엠보스의 차단 압착부
50 : 포장 시트
60 : 픽스 테이프
100 : 포장 흡수성 물품
A : 약제 도포부
CL : 전후 방향 중심선
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F : 흡수성 물품의 전방 영역
L1 : 제 1 접음선
L2 : 제 2 접음선
M : 흡수성 물품의 중간 영역
R : 흡수성 물품의 후방 영역
Q :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C :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
S : 시일부
WG : 윙
2 : 이면 시트
3 : 표면 시트
4 : 흡수체
7 : 사이드 부직포
10 : 압착부 (피트 엠보스)
11, 11a, 11b, 11c : 피트 엠보스의 차단 압착부
12 : 압착부
20, 20a, 20b, 20c, 20d : 흡수체의 압착부 (코어 엠보스)
21, 21a, 21b, 21c, 21d : 코어 엠보스의 차단 압착부
50 : 포장 시트
60 : 픽스 테이프
100 : 포장 흡수성 물품
A : 약제 도포부
CL : 전후 방향 중심선
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F : 흡수성 물품의 전방 영역
L1 : 제 1 접음선
L2 : 제 2 접음선
M : 흡수성 물품의 중간 영역
R : 흡수성 물품의 후방 영역
Q :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
QC :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
S : 시일부
WG : 윙
Claims (8)
- 순서대로 적층된,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 흡수체, 및 투액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장착자의 체액 배출구에 대응시키는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을 포함하는 중간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전방에 인접하는 전방 영역과, 상기 중간 영역의 후방에 인접하는 후방 영역을 갖고,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일방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노출면 이외에 도포된 약제 도포부를 가지며,
상기 체액 배출구 대응 영역의 중심과, 상기 약제 도포부를 잇는 임의의 직선 상에, 상기 약제 도포부와 이간되어 압착부가 존재하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가 홈상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상 압착부 또는 상기 홈상 압착부의 연장선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과 교차하는, 흡수성 물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상 압착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과 교차하고, 상기 약제 도포부를 향하여 볼록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영역에, 상기 약제 도포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도포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으로 각각 이간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영역 및 상기 전방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상기 흡수성 물품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95 % 이상이고, 상기 중간 영역에 도포된 약제의 양이, 상기 흡수성 물품에 도포된 약제의 전량에 대해서 5 % 이하인, 흡수성 물품.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과, 상기 흡수성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 시트를 포함하는 포장 흡수성 물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도포부가 상기 후방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방 영역 및 상기 후방 영역이, 상기 포장 시트와 함께 상기 표면 시트측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절첩되고, 상기 후방 영역에 상기 전방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포장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55838A JP7431635B2 (ja) | 2020-03-26 | 2020-03-26 | 包装吸収性物品 |
JPJP-P-2020-055838 | 2020-03-26 | ||
PCT/JP2021/003904 WO2021192640A1 (ja) | 2020-03-26 | 2021-02-03 | 吸収性物品、及び包装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9361A true KR20220159361A (ko) | 2022-12-02 |
Family
ID=7789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9275A KR20220159361A (ko) | 2020-03-26 | 2021-02-03 | 흡수성 물품, 및 포장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38208A1 (ko) |
EP (1) | EP4129253A4 (ko) |
JP (1) | JP7431635B2 (ko) |
KR (1) | KR20220159361A (ko) |
CN (1) | CN115209853A (ko) |
BR (1) | BR112022018739A2 (ko) |
TW (1) | TW202135752A (ko) |
WO (1) | WO2021192640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00217A (ja) | 2015-06-05 | 2017-01-0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61886A (ja) | 1999-08-31 | 2001-03-13 | Kao Corp | 吸収性物品 |
US6656168B2 (en) * | 2001-12-18 | 2003-12-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eminine care product with discrete areas of a skin wellness additive |
JP5465910B2 (ja) * | 2009-03-31 | 2014-04-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452964B2 (ja) | 2009-03-31 | 2014-03-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EP2793790B1 (en) | 2011-12-20 | 2019-10-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ragrance or odor control composition |
MX371209B (es) | 2012-01-13 | 2020-01-22 | Xspray Microparticles Ab |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nanoparticulas hibridas amorfas estables, de al menos un inhibidor de proteina quinasa y al menos un componente estabilizador polimerico y formador de matriz. |
JP5988810B2 (ja) * | 2012-09-28 | 2016-09-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20150313763A1 (en) * | 2012-12-20 | 2015-11-05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
JP6504756B2 (ja) * | 2014-06-30 | 2019-04-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JP6214686B2 (ja) * | 2016-01-08 | 2017-10-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JP6868362B2 (ja) * | 2016-09-29 | 2021-05-12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11031979B (zh) | 2017-09-01 | 2022-10-25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 |
JP6567036B2 (ja) * | 2017-12-28 | 2019-08-2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KR102518885B1 (ko) | 2018-06-29 | 2023-04-05 | 유니 참 코포레이션 | 흡수성 물품 |
JP7158923B2 (ja) | 2018-07-02 | 2022-10-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包装体 |
-
2020
- 2020-03-26 JP JP2020055838A patent/JP7431635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2-03 US US17/758,902 patent/US20230338208A1/en active Pending
- 2021-02-03 CN CN202180019253.1A patent/CN115209853A/zh active Pending
- 2021-02-03 BR BR112022018739A patent/BR112022018739A2/pt unknown
- 2021-02-03 WO PCT/JP2021/003904 patent/WO202119264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2-03 EP EP21774823.5A patent/EP412925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21-02-03 KR KR1020227029275A patent/KR20220159361A/ko unknown
- 2021-03-17 TW TW110109554A patent/TW202135752A/zh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00217A (ja) | 2015-06-05 | 2017-01-0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22018739A2 (pt) | 2022-11-01 |
EP4129253A1 (en) | 2023-02-08 |
CN115209853A (zh) | 2022-10-18 |
US20230338208A1 (en) | 2023-10-26 |
WO2021192640A1 (ja) | 2021-09-30 |
JP2021153762A (ja) | 2021-10-07 |
JP7431635B2 (ja) | 2024-02-15 |
TW202135752A (zh) | 2021-10-01 |
EP4129253A4 (en) | 2023-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3953B1 (ko) | 탈색 구조를 갖는 흡수성 용품 | |
KR100930006B1 (ko) | 흡수성 물품 | |
WO2020066234A1 (ja) | 吸収性物品 | |
WO2020179881A1 (ja) | 吸収性物品 | |
KR20220159361A (ko) | 흡수성 물품, 및 포장 흡수성 물품 | |
JP7368272B2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RU2812396C1 (ru) |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обернут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 |
JP7512182B2 (ja) | 吸収性物品 | |
WO2020195483A1 (ja) | 吸収性物品 | |
WO2023007829A1 (ja) | 吸収性物品、個装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JP7194718B2 (ja) | 吸収性物品 | |
JP7313320B2 (ja) | 個装吸収性物品 | |
JP2019034079A (ja)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
JP7315375B2 (ja) | 吸収性物品 | |
JP7178288B2 (ja) | 吸収性物品 | |
JP7361556B2 (ja) | 吸収性物品 | |
JP2022038034A (ja) | 吸収性物品 | |
JP2023034360A (ja) | 吸収性物品 | |
JP2023145190A (ja) | 個装吸収性物品 | |
TW202237049A (zh) | 吸收性物品 | |
JP2021078637A (ja) | 吸収性物品 | |
JP2023016251A (ja) | 吸収性物品包装体 | |
JP2022104247A (ja) | 機能材含有シート、吸収性物品、機能材含有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