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20143925A -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925A
KR20220143925A KR1020227032706A KR20227032706A KR20220143925A KR 20220143925 A KR20220143925 A KR 20220143925A KR 1020227032706 A KR1020227032706 A KR 1020227032706A KR 20227032706 A KR20227032706 A KR 20227032706A KR 20220143925 A KR20220143925 A KR 2022014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ell
user
unit
prefer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78610B1 (ko
Inventor
겐지 오가타
쇼헤이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86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7Sensors changing capacitance upon adsorption or absorption of fluid components, e.g.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sensors, MOS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8Entity relationship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 및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한다. 냄새 센서(2)는, 발생원(T)이 발하는 냄새를 검출한다. 정보 처리부(3)는, 기호 정보 입력부(11) 및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를 구비한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 기호 정보 입력부(11)는, 냄새 센서(2)에서 검출된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한다. 기억부(20)는, 냄새 센서(2)에서 검출된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와,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Description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센서가 여러가지 장소에서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냄새 센서를 이용하면, 냄새를 사람에게 감지하게 하는 냄새 물질을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특허 제 6508689호 공보
냄새에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는 것이나, 혐오감을 갖게 하는 것 등,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동일한 냄새여도,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동일한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는, 연령, 성별, 컨디션, 및 속하는 문화 등의 차이가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냄새는, 사회 생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는 아직도 제공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구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은,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센서와,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부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
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체격, 생활 환경, 직업, 취미, 컨디션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냄새 정보에는, 상기 냄새의 강도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냄새가 감도는 공간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환경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환경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환경 정보에는, 기온, 습도, 기압, 기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생체 정보 취득부에서 검출된 상기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생체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뇌파, 호흡음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냄새 센서와 상기 냄새의 발생원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거리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냄새의 발생원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발생원의 화상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냄새 센서에서 상기 냄새가 검출되었을 때의 일시 정보를 생성하는 계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계시부에서 생성된 일시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하여, 신규의 사용자의 냄새에 대한 기호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 및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에 실장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서버 컴퓨터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냄새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정보 관리 방법은,
냄새 센서가,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검출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냄새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냄새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
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냄새에 대한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부에 기억한다. 이러한 정보는,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나타낸 정보가 되고, 그러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구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정보의 상세한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트리도이다.
도 3은 냄새 정보의 상세한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트리도이다.
도 4는 기억부에 축적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임의의 냄새를 좋아한다고 대답한 사람과, 싫어한다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을 성별마다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임의의 냄새를 좋아한다고 대답한 사람과, 싫어한다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마다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처리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환경 정보의 상세한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트리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기억부에 축적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는 생체 정보의 상세한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트리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6은 카메라로 냄새의 발생원을 촬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동등의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의 형태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와,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한다.
냄새 센서(2)는, 냄새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악취 센서라고도 불리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냄새 센서(2)는, 사람에게 냄새를 느끼게 하는 냄새 물질 t를 흡착하는 감응막(2a)을 가지고 있다. 감응막(2a)에는, 화학 수식을 실시한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 반도체나, 지질막 등, 여러가지 것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냄새 물질 t를 흡착시키는 수용체를 갖는 것이면 감응막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그 종류에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감응막(2a)은, 냄새 센서(2)에 마련된 구조체 또는 전기 회로 중에 삽입되어 있다. 냄새 물질 t가 감응막(2a)에 흡착하면, 감응막(2a)의 중량 등이 변화하여, 감응막(2a)을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감응막(2a)이 실장된 전기 회로의 물리 특성이 변화한다. 구조체의 물리 특성에는, 예를 들면, 감응막(2a)이 장착된 구조체의 진동 주파수, 굴절률, 형광 강도, 온도가 있다. 또, 감응막(2a)을 포함하는 전기 회로의 물리 특성에는, 전기 전도도, 저항값, 임피던스, 전위차, 캐패시턴스가 있다. 냄새 센서(2)는, 이 구조체 또는 전기 회로의 물리 특성의 변화로, 냄새를 검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이러한 물리 특성의 종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냄새 센서(2)는, 이러한 물리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냄새를 발생시키는 발생원 T가 근처에 있고, 발생원 T로부터 발생되는 냄새 물질 t가 감응막(2a)에 흡착하면, 감응막(2a)의 물리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의 레벨이 변화한다. 이 신호의 레벨의 변화에 의해, 그 냄새 물질 t의 부착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냄새 센서(2)는, 복수 종류의 감응막(2a)을 갖고, 한 번에 복수 종류의 냄새 물질 t를 검출 가능해도 좋다. 또, 냄새 센서(2)가, 감응막(2a)을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고,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검출 가능한 냄새 물질 t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냄새 센서(2)에 의해, 다종 다양한 냄새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냄새에 대응하는 냄새 물질 t가 복수 종류 있고, 특정하는 데에 복수 종류의 감응막(2a)을 필요로 하는 냄새도 있다. 이 경우, 냄새 센서(2)는, 복수 종류의 감응막(2a)에 있어서의 물리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정보 처리부(3)는,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부(3)는, 냄새 센서(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부(3)는, 냄새 센서(2)로부터, 감응막(2a)의 물리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부(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와, 기호 정보 입력부(11)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와, 정보 통합부(13)와, 기억부(20)를 구비한다.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출력된 감응막(2a)의 물리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한다. 냄새 정보 생성부(10)에는, 감응막(2a)에 흡착하는 냄새 물질 t와 관련되는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냄새 센서(2)에서 검출된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냄새 정보에는, 기본적으로는 냄새의 종별이 포함된다. 냄새의 종별에는, 여러가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꽃, 화장품, 음식, 음료, 체취, 생물의 냄새 등이 있다. 또, 냄새의 종별은, 냄새 물질 t 그 자체여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냄새의 종별에 특히 제한은 없다.
또, 냄새 정보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냄새의 종별에 부가하여 그 강도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냄새의 강도는, 냄새 센서(2)의 신호에 있어서의 감응막(2a)의 물리 특성의 변화량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즉, 물리 특성의 변화량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그 냄새는 강한 것으로 하고,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냄새는 약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냄새 센서(2)가, 검출되는 냄새 물질 t의 종별, 즉 냄새의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냄새 정보 생성부(10)에 보내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입력한 신호가 가리키는 데이터를,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로서, 기억부(20)에 기억되는 정보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만으로 좋다.
기호 정보 입력부(11)는, 냄새 센서(2)에서 검출된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한다. 기호 정보는, 사용자가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정보 처리부(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가능한 여러가지 맨 머신 인터페이스(도 7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기호 정보 입력부(11)는, 그러한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기호 정보를 입력한다. 또, 기호 정보에는,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이외에, 어느 쪽도 아닌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체격, 생활 환경, 직업, 취미, 컨디션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지역은, 사용자와 관련성이 깊은 지역이다. 지역에는, 예를 들면, 출생지, 거주지, 근무지 등이 포함된다. 또, 체격에는, 신장 및 체중 등이 포함된다. 또, 생활 환경에는, 주거(아파트인지 단독주택인지), 가족 구성, 식사 등이 포함된다. 직업에는, 그 내용이나 근무 시간(월당, 1일당, 잔업 시간) 등이 포함된다. 또, 직업에는, 사무직인지 힘쓰는 직업인지 등, 그 직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해도 좋다. 무직, 학생 등도, 이 직업의 속성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취미에는, 그 취미의 내용이나 취미에 쓰는 시간이 포함된다. 컨디션에는, 기분이 나쁜지, 음주 상태인지, 앓고 있는 병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사용자 정보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개인이 갖는 모든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입력되도록 해도 좋다. 또, 정보 처리부(3)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50)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50)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5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컨디션 등의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입력하게 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를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관련지어 1개의 정보로 통합한다. 정보 통합부(13)는, 통합된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여기서, 「관련지어」란, 복수의 정보가, 다른 정보와 함께 축적된 경우에도, 한쪽의 정보로부터, 나머지의 정보에 액세스 가능한 상태로 복수의 정보를 연결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특정의 사용자 정보를 키로서, 대응하는 냄새 정보, 기호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냄새 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기호 정보로부터,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기억부(20)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기억부(20)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를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도 1에서는, 식별 번호 D1~D8이 부여된 통합 정보까지가, 기억부(20)에 축적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관련된 정보에 동일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면, 많은 정보 중에서,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식별 번호는 정보마다 독특한 번호이면 좋다.
또, 정보 통합부(13)는 없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냄새 정보 생성부(10), 기호 정보 입력부(11) 및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의 각각이, 기억부(20)의 냄새 정보, 기호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동일한 식별 번호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기입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통합된 정보의 축적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정보가 수집된다. 도 4에서는, 통합된 정보가 냄새마다 정리되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냄새의 종별 A, B, C마다,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등이,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기억부(20)에 축적된 정보로부터, 냄새에 대한 개인의 여러가지 기호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냄새 A에 대해, 좋아한다고 대답한 사람과, 싫어한다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을, 남녀별로 구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냄새 A에 대해, 좋아한다고 대답한 사람과, 싫어한다고 대답한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구할 수 있다. 이 외, 지역별, 체격별, 생활 환경, 직업, 취미, 컨디션 등에 따라서도, 좋아하는 냄새와 싫어하는 냄새에 대한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냄새 정보 생성부(10), 기호 정보 입력부(11), 사용자 정보 취득부(12), 정보 통합부(13) 및 기억부(20) 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부(3)는, 프로세서(31), 주기억부(32), 외부 기억부(33), 조작부(34), 표시부(35), 음성 입력부(36), 음성 출력부(37), 카메라(38), 통신 회로(39) 및 타이머(40)를, 하드웨어로서 구비하고 있다. 주기억부(32), 외부 기억부(33), 조작부(34), 표시부(35), 음성 입력부(36), 음성 출력부(37), 카메라(38), 통신 회로(39) 및 타이머(40)는, 모두 내부 버스(30)를 거쳐 프로세서(31)에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3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유닛이다. 이 프로세서(31)가, 외부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41)에 따라 냄새 정보 생성부(10), 기호 정보 입력부(11), 사용자 정보 취득부(12) 및 정보 통합부(13)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정보 처리부(3)의 기능이 실현된다.
주기억부(32)는, RAM(Random-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기억부(32)에는, 외부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41)이 로드된다. 이 외에, 주기억부(32)는, 프로세서(31)의 작업 영역(정보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외부 기억부(33)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DVD-RAM(Digital Versatile Disc Random-Access Memory), DVD-RW(Digital Versatile Disc ReWritable)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외부 기억부(33)에는, 프로세서(31)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41)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외부 기억부(33)는, 프로세서(31)의 지시에 따라, 이 프로그램(41)의 실행 시에 이용되는 정보를 프로세서(31)에 공급하고, 프로세서(31)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기억한다.
조작부(34)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내부 버스(30)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34)를 거쳐, 사용자가 조작한 내용에 관한 정보가 프로세서(31)에 입력된다.
표시부(35)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기호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는, 입력용 화면이 표시된다. 또, 조작부(34)와 표시부(35)를, 일체화하여 터치 패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입력부(36)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이다. 음성 입력부(36)는, 사용자가 음성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음성 출력부(37)는, 스피커이다. 음성 출력부(37)는, 사용자에게 정보의 입력을 재촉하는 음성 등을 출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부(34), 표시부(35), 음성 입력부(36), 음성 출력부(37)가, 맨 머신 인터페이스에 상당한다.
카메라(38)는, 화상 또는 영상을 촬상 가능한 카메라이다. 카메라(3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생원 T의 촬상에 이용된다.
통신 회로(39)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된다.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또, 이 통신 네트워크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9에 있어서의 통신 네트워크(4)가 있다.
타이머(40)는, 계시를 행한다. 프로세서(31)는, 현재의 시각 정보 또는 일시 정보를 필요로 할 때는, 타이머(40)가 계시하는 시각 정보 또는 일시 정보를 얻는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의 검출을 위한 준비를 행한다(단계 S1).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샘플로서의 냄새를 발생시키는 발생원 T를 준비한다. 또, 원래 냄새가 있는 장소에서는, 그러한 발생원 T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또한, 여기서는, 냄새 센서(2) 상태를, 발생원 T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검출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냄새 센서(2)의 카트리지를 교환하거나, 감응막(2a)으로부터 이미 부착된 냄새 물질 t를 이탈시키거나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냄새 센서(2)가 새롭게 냄새를 검출 가능한 초기 상태로 한다.
검출의 준비가 종료하면, 정보 관리 시스템(1)의 냄새 센서(2) 및 정보 처리부(3)는,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2). 구체적으로는, 냄새 센서(2)는, 감응막(2a)을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전기 회로의 물리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이것에 대해서, 정보 처리부(3)의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입력을 개시한다. 여기서, 냄새 물질 t가, 감응막(2a)에 부착하면, 신호의 레벨이 변화한다. 냄새 센서(2)는, 이와 같이 하여, 냄새를 검출하고, 감응막(2a)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냄새 검출 단계).
계속해서, 정보 처리부(3)의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입력하는 신호의 레벨의 변화를 감시하면서, 냄새가 검출될 때까지 기다린다(단계 S3;아니오). 냄새가 검출되면(단계 S3;예), 정보 처리부(3)의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냄새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
계속해서, 정보 처리부(3)의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정보 처리부(3)의 표시부(35)에, 사용자 정보의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 입력 화상은, 예를 들면 연령, 성별, 컨디션 등의 입력을 재촉하는 문구가 표시하는 화상 또는 연령, 성별, 컨디션 등을 선택하기 위한 화상이다. 사용자는, 표시된 입력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연령, 성별, 컨디션 등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또, 사용자 정보 기억부(50)에 벌써 사용자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50)에 기억된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 또, 음성 출력부(37)로부터의 음성 출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연령, 성별, 컨디션 등의 입력을 재촉하고, 음성 입력부(36)에 대한 음성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연령, 성별, 컨디션 등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부(3)의 기호 정보 입력부(11)는, 상술한 냄새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6;기호 정보 입력 단계).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정보 처리부(3)의 표시부(35)에, 기호 정보의 입력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 입력 화상은, 예를 들면 이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화상이다. 사용자는 표시부(35)에 표시된 입력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이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입력한다. 또, 여기에서도, 음성 출력부(37)에 의한 음성 출력, 음성 입력부(36)에 의한 음성 입력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부(3)의 정보 통합부(13)는, 단계 S4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와, 단계 S5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와, 단계 S6에서 입력된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이러한 통합 정보를 생성하고, 기억부(20)에 기억한다(단계 S7;기억 단계). 단계 S7 실행 후에는, 단계 S1에 돌아온다.
상술한 단계 S1~S7은 반복되고, 반복할 때마다, 기억부(20)에 통합 정보가 축적된다. 그 동안, 냄새의 발생원 T를 변경해도 좋다. 또, 그 변경에 맞추어 단계 S1에 있어서 냄새 센서(2)의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또, 단계 S4~S6은, 순서 무관하며, 병행하여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기억부(20)에 축적된 정보로부터, 여러가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냄새를, 임의의 연령대의 남성이 좋아하는 한편, 동일 연령대의 여성은 싫어하는 경향이 있는 것 등을 알 수 있다. 또, 냄새에 따라서는, 남성 여성 관계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 등을 특정할 수 있다. 또, 체격, 생활 환경, 직업, 취미에 따라서도, 냄새에 대한 기호가 크게 바뀌는 것, 음주 상태, 병을 앓고 있는 상태에서는, 동일 연령대, 성별의 인간이어도, 냄새에 대한 기호가 크게 바뀌는 것 등을 분석 결과로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상품의 개발, 이벤트의 개최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정보 생성부(10), 기호 정보 입력부(11), 사용자 정보 취득부(12), 정보 통합부(13), 기억부(20) 및 사용자 정보 기억부(50)를 구비하는 점은,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과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냄새 정보 생성부(10), 기호 정보 입력부(11), 사용자 정보 취득부(12) 및 정보 통합부(13)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6)에 실장되어 있다. 또, 기억부(20)는, 그 휴대 단말(6)과 통신 네트워크(4)를 거쳐 접속되는 서버 컴퓨터(7)에 실장되어 있다. 냄새 센서(2)는, 휴대 단말(6)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냄새 센서(2)는, 냄새를 검출한다. 또, 휴대 단말(6)에 있어서, 냄새 정보 생성부(10)는, 냄새 센서(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냄새 정보를 생성한다. 기호 정보 입력부(11)는,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기호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관련지어, 그러한 통합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통합부(13)는, 통합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4)를 거쳐, 서버 컴퓨터(7)에 보낸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부로서, 사용자 개인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6)을 이용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6)에서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50)에 많은 사용자 개인에 관한 사용자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는, 그 사용자 정보의 대부분을, 사용자 정보 기억부(5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7)는, 정보 기입부(21)를 구비한다. 정보 기입부(21)는, 통신 네트워크(4)를 거쳐 보내진 통합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기입부(21)는, 수신한 통합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즉, 기억부(20)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와,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또, 휴대 단말(6) 및 서버 컴퓨터(7)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부(3)의 하드웨어 구성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다만, 서버 컴퓨터(7)에 대해서는, 음성 입력부(36), 음성 출력부(37) 및 카메라(38)에 대해서는 불필요하다.
통신 네트워크(4)에는, 각각 사용자가 다른 복수의 휴대 단말(6)이 접속되어 있고, 각 휴대 단말(6)에는, 냄새 센서(2)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6) 및 냄새 센서(2)를 이용하여, 냄새 검출과 기호 정보의 입력을 행한다. 휴대 단말(6)의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기호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통합된 통합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4)를 거쳐 서버 컴퓨터(7)에 보낸다. 서버 컴퓨터(7)의 정보 기입부(21)는, 통합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입하여, 정보를 축적한다.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4)를 거쳐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6)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축적된 정보의 통계적인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정보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휴대 단말(6)을 이용하므로, 장소를 선택하지 않고 , 이동하여, 냄새의 검출 등을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와,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환경 센서(14)를 더 구비한다. 환경 센서(14)는, 냄새가 감도는 공간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정보 처리부(3)에는, 환경 센서(1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환경 정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온, 습도, 기압, 기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위치 정보에는, 지도(평면 지도) 상의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고도 정보도 포함된다. 그러나, 환경 정보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꽃가루가 날리는 방식에 관한 정보, PM2.5의 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광화학 스모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정보 처리부(3)는, 환경 정보 취득부(15)를 구비한다. 환경 정보 취득부(15)는, 환경 센서(14)에서 검출된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에, 환경 정보 취득부(15)에서 취득된 환경 정보를 관련지어 통합 정보를 생성하고, 그 통합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억한다.
기억부(20)에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보가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기온, 습도가 소정 범위에서, 날씨가 맑은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임의의 냄새를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은, 그 때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 그 때문에,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와 같은 기호 정보를, 환경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축적하면, 축적된 정보에 근거하여, 환경이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어느 냄새에 대해,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특정 연령대의 남성이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냄새여도,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좋아하는 사람이 적게 되는 등의 지견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제로는, 환경 센서(14)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경 정보 취득부(15)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고, 통신 네트워크(4)(도 9 참조)를 거쳐 환경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환경 정보 취득부(15)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와,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생체 센서(16)를 더 구비한다. 생체 센서(16)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한다.
정보 처리부(3)에는, 생체 센서(1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생체 정보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뇌파, 호흡음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생체 정보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인체에서 관측 가능한 그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3)는, 생체 정보 취득부(17)를 구비한다. 생체 정보 취득부(17)는, 생체 센서(16)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에, 생체 정보 취득부(17)에서 검출된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통합 정보를 생성하고, 그 통합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억한다.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체온이 38도 이상인 사용자가 임의의 냄새를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은, 그 때의 신체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그 때문에,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와 같은 기호 정보를,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축적하면, 축적된 정보에 근거하여, 신체 상태가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임의의 냄새에 대해, 컨디션이 좋은 상태에서는 특정 연령대의 남성 중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냄새여도, 몸이 불편한 상태에서는, 좋아하는 사람이 적게 되는 등의 지견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실제로는, 생체 센서(16)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생체 정보 취득부(1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생체 정보를 취득해도 좋고, 통신 회로(39)(도 7)를 거친 정보 통신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검사 정보를 갖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생체 정보 취득부(17)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와,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정보 관리 시스템(1)은, 거리 센서(60)를 더 구비한다. 거리 센서(60)는, 냄새 센서(2)와 냄새의 발생원 T의 거리 정보를 검출한다.
정보 처리부(3)에는, 거리 센서(60)가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부(3)는, 거리 정보 취득부(61)를 구비한다. 거리 정보 취득부(61)는, 거리 센서(60)에서 검출된 거리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에, 거리 정보 취득부(61)에서 검출된 거리 정보를 관련지어 통합 정보를 생성하고, 그 통합 정보를 기억부(20)에 기억한다.
거리 센서(60)로서는, 카메라(38)(도 7 참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38)는, 냄새 센서(2)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거리 정보 취득부(61)는, 카메라(38)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냄새 센서(2)와 냄새의 발생원 T의 거리 L(거리 정보)를 취득한다. 이 거리 정보는 엄밀한 것일 필요는 없고, 수 m와 같은 수치로 표현해도 좋고, 먼, 가까운과 같이 표현된 것이어도 좋다. 카메라(38)를 복안 카메라(compound eye camera)로 하면, 삼각 측량법에 근거하여 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거리 정보도, 냄새 정보, 기호 정보, 사용자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도록 하면, 냄새의 발생원 T와의 거리에 수반하는,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를 분석할 수 있다.
물론, 거리 센서(60)에는, 카메라 이외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거리 정보 취득부(61)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냄새 센서(2)와, 정보 처리부(3)를 구비하는 점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촬상부(62)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상기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과 다르다. 촬상부(62)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냄새의 발생원 T를 촬상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에, 촬상부(62)에서 촬상된 발생원 T의 화상을 관련지어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면, 냄새 정보, 기호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그 냄새의 발생원 T의 화상을 관련지어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동일한 냄새지만, 발생원 T의 상태가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부(62)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여, 카메라(38)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실시의 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계시부(70)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상기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과 다르다.
계시부(70)는 계시, 즉 냄새 센서(2)에서 냄새가 검출되었을 때의 일시 정보의 생성을 행한다. 정보 통합부(13)는, 냄새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냄새 정보, 사용자 정보 취득부(12)에서 취득된 사용자 정보, 기호 정보 입력부(11)에 입력된 기호 정보에, 계시부(70)에서 계시된 일시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은, 일시에 따라서도 좌우된다. 따라서,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와 같은 기호 정보를, 냄새를 맡았을 때의 일시와 관련지어 기억하고, 축적하면, 축적된 정보에 근거하여, 시간대가 사람의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시부(70)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여, 타이머(40)로부터 일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냄새 정보, 기호 정보, 사용자 정보에 부가하여, 환경 정보, 생체 정보, 거리 정보, 화상, 일시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생체 정보, 거리 정보, 화상, 일시 정보의 모두, 또는 적어도 1개를 냄새 정보, 기호 정보, 사용자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의 형태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추정부(80)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상기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과 다르다.
추정부(80)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12)로부터,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억부(20)에 대한 새로운 통합 정보의 기억은 행해져 있지 않다.
추정부(80)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하여, 신규의 사용자의 냄새에 대한 기호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신규의 사용자의 연령, 성별 등을 입력하면, 추정부(80)는, 동일한 연령층, 성별의 냄새에 관한 분포에 근거하여, 신규의 사용자가 속하는 연령층, 성별이 좋아하는 냄새, 싫어하는 냄새를 추정한다.
추정부(80)에 있어서의 추정은, 여러가지 수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냄새에 대한 기호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부가하여, 환경 정보, 생체 정보, 거리 정보, 화상, 일시 정보를 가미하여, 추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추정부(80)가,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는 기계 학습, 심층 학습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을 갖고, 그 학습 시스템에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환경 정보, 생체 정보, 거리 정보, 화상, 일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추정 결과를 얻도록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추정부(80)는, 도 7의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41)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그 기능이 실현된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람의 냄새의 사고 방식에 관해서 여러가지 분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어느 연령층에 대해서는 좋다고 대답한 사람이 많은 냄새에 대해서는, 그 연령층 전용 상품의 냄새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 연령, 성별 등에 관계없이, 좋다고 대답한 사람이 많은 냄새에 대해서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용의 냄새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그 냄새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를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와 관련지어, 통합된 정보로서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이러한 정보는,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나타낸 정보가 되어, 그러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냄새에 대한 사고 방식의 차이와 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구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 3~8에 나타내는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6)과 서버 컴퓨터(7)의 구성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 8에 따른 정보 관리 시스템(1)에서는, 추정부(80)의 출력은, 신규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6)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냄새 센서(2)는, 정보 처리부(3)에 포함되도록 해도 좋다. 환경 센서(14), 생체 센서(1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 번에 검출되는 냄새를 1개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 번에 2 종류 이상의 냄새가 검출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2 종류 이상의 냄새에 관한 냄새 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부(20)에 기억되게 된다.
또, 추가되는 정보는, 환경 정보, 생체 정보, 거리 정보, 발생원 T의 화상, 일시 정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냄새가 검출된 장소 등을, 통합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냄새의 사고 방식을 바꾸는 요인이 되는 것은, 모두 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정보 처리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및 퍼스널 컴퓨터 등의 일반적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고, 전용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그 외, 정보 처리부(3)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소프트웨어 구성은 일례이며, 임의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1), 주기억부(32), 외부 기억부(33), 조작부(34), 표시부(35), 음성 입력부(36), 음성 출력부(37), 카메라(38), 통신 회로(39), 타이머(40) 및 내부 버스(30)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부(3)의 처리를 행하는 중심이 되는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시스템에 의하지 않고,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일시적이지 않은 기록 매체(플렉서블 디스크, CD-ROM, DVD-ROM 등)에 저장하여 배포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부(3)를 구성해도 좋다. 또,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에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해두고,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이 다운로드 등 하는 것으로 정보 처리부(3)를 구성해도 좋다.
컴퓨터의 기능을, OS(운영 시스템)와 응용 프로그램의 분담, 또는 OS와 응용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등에는, 응용 프로그램 부분만을 기록 매체나 기억 장치에 저장해도 좋다.
반송파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첩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BBS, Bulletin Board System)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게시하고, 네트워크를 거쳐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달해도 좋다. 그리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OS의 제어 하에서,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廣義)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실시의 형태 및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또, 상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의 형태가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특허 청구의 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또, 본원에 대해서는, 2020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20-34043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 출원 2020-34043호의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냄새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정보 관리 시스템 2 : 냄새 센서
2a : 감응막 3 : 정보 처리부
4 : 통신 네트워크 6 : 휴대 단말
7 : 서버 컴퓨터 10 : 냄새 정보 생성부
11 : 기호 정보 입력부 12 : 사용자 정보 취득부
13 : 정보 통합부 14 : 환경 센서
15 : 환경 정보 취득부 16 : 생체 센서
17 : 생체 정보 취득부 20 : 기억부
21 : 정보 기입부 30 : 내부 버스
31 : 프로세서 32 : 주기억부
33 : 외부 기억부 34 : 조작부
35 : 표시부 36 : 음성 입력부
37 : 음성 출력부 38 : 카메라
39 : 통신 회로 40 : 타이머
41 : 프로그램 50 : 사용자 정보 기억부
60 : 거리 센서 61 : 거리 정보 취득부
62 : 촬상부 70 : 계시부
80 : 추정부 T : 발생원
t : 냄새 물질

Claims (14)

  1.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센서와,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부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
    를 구비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체격, 생활 환경, 직업, 취미, 컨디션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정보에는, 상기 냄새의 강도가 포함되는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가 감도는 공간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환경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환경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에는, 기온, 습도, 기압, 기후, 위치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생체 정보 취득부에서 검출된 상기 생체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뇌파, 호흡음 중, 적어도 1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센서와 상기 냄새의 발생원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거리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거리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발생원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상기 발생원의 화상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센서에서 상기 냄새가 검출되었을 때의 일시 정보를 생성하는 계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냄새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기호 정보에, 상기 계시부에서 생성된 일시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하여, 신규의 사용자의 냄새에 대한 기호를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 및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에 실장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서버 컴퓨터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냄새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관리 시스템.
  13. 냄새 센서가,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검출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냄새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 단계와,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냄새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14. 컴퓨터를,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입력하는 기호 정보 입력부,
    상기 냄새 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냄새의 종별을 나타내는 냄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기호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
    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227032706A 2020-02-28 2021-02-08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Active KR102778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4043 2020-02-28
JPJP-P-2020-034043 2020-02-28
PCT/JP2021/004580 WO2021171987A1 (ja) 2020-02-28 2021-02-08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925A true KR20220143925A (ko) 2022-10-25
KR102778610B1 KR102778610B1 (ko) 2025-03-07

Family

ID=7749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706A Active KR102778610B1 (ko) 2020-02-28 2021-02-08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205129B2 (ko)
EP (1) EP4089609A4 (ko)
JP (1) JP7424466B2 (ko)
KR (1) KR102778610B1 (ko)
CN (1) CN115039118A (ko)
TW (1) TW202203117A (ko)
WO (1) WO202117198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1858A1 (en) * 2006-11-30 2008-06-05 Gordon Mckenn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ustom blended fragrance
KR101689763B1 (ko) *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EP3187852A1 (en) * 2014-08-29 2017-07-05 Kabushikigaisha Aroma Bit, Inc. Odour detection system, odour identification device, and odour identification method
JP2018088372A (ja) * 2016-11-29 2018-06-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68672A1 (ja) * 2017-03-15 2018-09-20 太陽誘電株式会社 管理装置、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空調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458A (ja) 1984-07-13 1986-02-04 Meiji Milk Prod Co Ltd カルシウム強化豆乳の製造法
EP2257317A1 (en) * 2008-02-15 2010-12-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agrance dispenser
US8880448B2 (en) * 2009-07-23 2014-11-04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Predicting odor pleasantness with an electronic nose
WO2017085796A1 (ja) 2015-11-17 2017-05-26 株式会社アロマビット 匂いセンサおよび匂い測定システム
JP6593126B2 (ja) 2015-11-25 2019-10-23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竪型粉砕機
WO2017094284A1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JP6830206B2 (ja) 2016-06-13 2021-0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
AU2017306411B2 (en) * 2016-08-03 2022-03-31 Scentbridge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of a networked scent diffusion device
CN106777322A (zh) * 2017-01-07 2017-05-3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及系统
US10647181B2 (en) * 2017-01-19 2020-05-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redictive sc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94699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6875305B2 (ja) * 2018-03-23 2021-05-19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嗅覚嗜好とパーソナリティとの関係性解析装置
JP6679660B2 (ja) 2018-06-12 2020-04-15 サッポロ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香りの嗜好性評価方法
JP7075848B2 (ja) 2018-08-28 2022-05-26 日立Astemo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225718B1 (ko) * 2019-01-08 2021-03-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현실세계와 온라인 공간 간에 후각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JP6768981B1 (ja) 2020-03-13 2020-10-14 東京瓦斯株式会社 室内環境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1858A1 (en) * 2006-11-30 2008-06-05 Gordon Mckenn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ustom blended fragrance
EP3187852A1 (en) * 2014-08-29 2017-07-05 Kabushikigaisha Aroma Bit, Inc. Odour detection system, odour identification device, and odour identification method
KR101689763B1 (ko) *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JP2018088372A (ja) * 2016-11-29 2018-06-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68672A1 (ja) * 2017-03-15 2018-09-20 太陽誘電株式会社 管理装置、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空調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3117A (zh) 2022-01-16
EP4089609A4 (en) 2023-06-28
KR102778610B1 (ko) 2025-03-07
EP4089609A1 (en) 2022-11-16
US20230075086A1 (en) 2023-03-09
WO2021171987A1 (ja) 2021-09-02
US12205129B2 (en) 2025-01-21
CN115039118A (zh) 2022-09-09
JPWO2021171987A1 (ko) 2021-09-02
JP7424466B2 (ja)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ulby et al. A scoping review of technological approaches to environmental monitoring
CN111954812B (zh) 基于电子鼻的气味剂分析的利用
KR101880159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계 그림 심리검사 전용 검사지 및 그 검사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시스템과 방법
US9679044B2 (en) Assigning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s to households
Kern et al. Olfactory function in wave 2 of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EP2698685A2 (en) Using physical sensory input to determine human response to multimedia content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KR101988334B1 (ko) 이동 전화기 및 이동전화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효율성 분석 방법
CN102929966B (zh) 一种用于提供个性化搜索列表的方法及系统
JP2013041323A (ja) 行動識別装置、行動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40144A1 (ja) 香り提示情報出力システム
Adami et al. Monitoring health parameters of elder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Hensel et al. Proposed standard test protocols and outcome measures for quantitative comparison of emissions from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s
JP2017220181A (ja) 案内表示システム、案内表示方法及び案内表示プログラム
US20210327591A1 (en) System for Efficiently Estimating and Improving Wellbeing
Wang et al. The influence of viewing photos of different types of rural landscapes on stress in Beijing
CN106485083B (zh) 家庭用户体征数据监控方法
JP7424466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Höhne et al. Motion instructions in surveys: Compliance, acceleration, and response quality
JP2016009342A (ja) 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装置、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方法及びエリアバースト推定提示プログラム
CN111198960A (zh) 用户画像数据的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862727B (zh) 健康信息推送方法和装置
Lam et al. Personalized monitoring of ambulatory function with a smartphone 2-minute walk test in multiple sclerosis
Ferreira et al. Assessment of trip validation interfaces for smartphone-based travel surveys
CN114360724A (zh) 健康管理知识图谱构建方法、服务提供方法及相关装置
Beynon et al. Measurement Method Options to Investigate Digital Screen Technology Us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A Narrativ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