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202A -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1202A KR20220131202A KR1020220034796A KR20220034796A KR20220131202A KR 20220131202 A KR20220131202 A KR 20220131202A KR 1020220034796 A KR1020220034796 A KR 1020220034796A KR 20220034796 A KR20220034796 A KR 20220034796A KR 20220131202 A KR20220131202 A KR 20220131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sleep
- degree
- ee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title abstract 5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06010012218 Delirium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6385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667 sleep st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007 arous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622 sleep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2519 Poor quality slee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0 cereb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93 pro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7—Analysis of electromy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공개한다. 이 방법은 근전도 측정부가 수면 중에 안구 운동으로 인한 근전도의 상승을 측정하는 단계; 뇌파 측정부가 수면 중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근전도의 상승 및 상기 수면 중 뇌파를 분석하여 수면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가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 및 각가속도 각각에 대해 움직임 상태와 수평 상태일 때의 차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센싱된 상기 기울어진 정도 및 상기 회전 정도를 분석하여 각성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상기 회전 정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하고, 일정한 값 이하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렘 수면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가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낙상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뇌파와 근전도의 변화 측정을 통해 수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가속도 및 각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수면 중 각성에 의한 돌발성 움직임과 렘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구별해 의료진에게 알림으로써, 섬망에 의한 낙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 환자의 증가에 따라 매년 병원 내 낙상 사고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데 낙상 사고의 중요 원인으로서, 섬망이 있다.
특히, 야간 수면 중 발생하는 섬망의 경우에는 예측하기 어려워 기존의 감시 방법으로는 결박 외에는 예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 마취 심도 측정기는 수면 마취 평가에 사용되는데, 수면 사이클에 따른 뇌파의 변이를 측정하고, 뇌파값과 근전도 값을 바탕으로 마취 심도가 계산된다.
도 1은 정상인의 수면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BIS의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정상인의 수면상태에서 각성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BIS의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인의 수면시 수면 사이클에 따른 수면의 종류별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수면 사이클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사이클 초기에서는 렘(rapid eyeball movement, REM) 수면 단계로 시작하여, 제1 내지 제4 단계 수면으로 이어지지만, 제1 사이클 중기부터는 상기 수면 단계들에 대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복하게 된다.
이때, 렘 수면 단계부터 제2 단계 수면까지는 얕은 수면을 유지하고, 제3 내지 제4 단계 수면에서는 깊은 수면이 유지된다.
렘 수면 중에는 일부 대뇌 활동이 증가하고, 빠른 안구 운동(eyeball movement)이라는 특이적인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눈동자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은 근전도의 상승으로 마취 심도 수치가 특정한 수치 이상으로 일시적으로 증가 하게 된다.
그러나, 렘 수면 상태가 실제 각성 상태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슷한 양상의 패턴을 보이고, 마취 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감시기구인 BIS (Bispectral index) 수치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뇌파와 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수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가속도 및 각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수면 중 각성에 의한 돌발성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각성후 돌발성 섬망에 의한 낙상에 위험이 있을 경우 알람을 통해 의료진에게 알림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은 근전도 측정부가 수면 중에 안구 운동으로 인한 근전도의 상승을 측정하는 단계; 뇌파 측정부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된 복수개의 패치를 통해 수면 중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근전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상승 및 뇌파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면 중 뇌파를 분석하여 수면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가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의 3차원 축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 및 각가속도 각각에 대해 움직임 상태와 수평 상태일 때의 차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수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분석하여 각성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하고, 일정한 값 이하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렘 수면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부를 작동시켜 병원 등 의료 기관 내 당직 의료진 등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가속도 센싱 및 자이로 센싱을 통해 섬망을 동반한 각성으로 인한 돌발성 움직임이 렘 수면 상태와 정확하게 구별되어, 사용자의 자세 교정, 침대에서의 낙상 예후의 조기 발견이 가능해져 낙상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정확하게 감지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 두부(頭部)의 단순한 좌우 움직임 혹은 기립에 의한 단순한 상하 움직임이 노이즈로 분류되어, 수면단계 판단시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정상인의 수면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BIS의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정상인의 수면상태에서 각성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BIS의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인의 수면시 수면 사이클에 따른 수면의 종류별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수면 사이클에 따라 렘 수면이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수면 중 성인 남성의 카이(CAI) 값의 일반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낙상 방지 장치 내 가속도 센서(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정상인의 수면상태에서 각성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BIS의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인의 수면시 수면 사이클에 따른 수면의 종류별 일반적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수면 사이클에 따라 렘 수면이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수면 중 성인 남성의 카이(CAI) 값의 일반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낙상 방지 장치 내 가속도 센서(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수면 사이클에 따라 렘 수면이 나타나는 뇌파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수면 중 성인 남성의 카이(CAI) 값의 일반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통 정상인의 BIS 값은 각성시 80 이상이고, 60 ~ 80 사이는 단순 진정 및 약한 수면단계로 평가되며, 60 미만은 중등도 이상의 의식저하 상태로 깊은 수면단계로 평가된다.
하지만, 개인 간의 차이가 있어 절대값 보다는 BIS 값의 변화 양상이 중요하다.
즉, 각성 상태에서 수면단계로 진입시 BIS 값의 변화는 도 4와 같은 일정한 변화 패턴을 보이는데, 본 발명은 BIS 값이 60 미만으로 떨어지고 변화양상이 수면 진입과 유사하면 수면상태로 인식하도록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로서, 센서부(100), 제어부(200) 및 알람부(300)를 포함하고, 센서부(100)는 근전도 측정부(110), 뇌파 측정부(120), 가속도 센서(130) 및 자이로 센서(140)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낙상 방지 장치 내 가속도 센서(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부(100) 내 근전도 측정부(110)는 수면 중에 안구 운동으로 인한 눈동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근전도의 상승을 측정한다(S110).
센서부(100) 내 뇌파 측정부(120)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된 복수개의 패치를 통해 수면 중 뇌파를 측정한다(S12).
제어부(200)는 근전도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상승 및 뇌파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수면 중 뇌파를 분석하여 수면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S200).
본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각종 연산, 판단 및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등을 포함한다.
센서부(100) 내 가속도 센서(130) 및 자이로 센서(140)는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G)의 3차원 축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 및 각가속도 각각에 대해 움직임 상태와 수평 상태일 때의 차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센싱한다(S300).
제어부(200)는 수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 가속도 센서(130) 및 자이로 센서(140)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분석하여 각성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400).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하고(S500), 일정한 값 이하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200)는 '렘 수면 상태'로 판단한다(S600).
이때,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소정의 값 미만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수면 중 두부(頭部)의 단순한 좌우 움직임 혹은 기립에 의한 단순한 상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노이즈로 분류함으로써, 수면단계 판단시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한다.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부(300)를 작동시켜 병원 등 의료 기관 내 당직 의료진 등을 호출한다(S700).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13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단계(S200)에서, 제어부(200)가 사용자의 수면 진입 상태임을 판단한 후에, 마취 심도 측정값이 상승한 경우, 본 발명은 수면 중 각성 상태인지 또는 렘 수면 상태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단계(S300)에서 가속도 센싱 및 자이로 센싱 값의 차이를 이용한다.
즉, 수면 중 뒤척임 등은 대부분 수평성 운동이 주가 되고, 움직임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거나 동선이 중력의 법선 방향(수직 방향)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난간 등의 장애물을 설치함으로써, 낙상 방지가 가능하므로, 제어부(200)는 단계(S300)에서 가속도 센싱 및 자이로 센싱 값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감지하고 '렘 수면 상태'로 판단하여(S600) 알람부(30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반면, 낙상의 위험이 있는 각성후 섬망에 의한 돌발성 움직임은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G)의 3차원 각축의 변화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고 랜덤하게 나타나며, 도 4의 렘 수면 상태의 그래프와는 달리 특정한 축 방향으로 스파이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환자가 의식 중에 일어나 앉거나, 일어서서 난간을 넘어가는 경우, 제어부(200)는 단계(S300)에서 가속도 센싱 및 자이로 센싱 값의 차이를 사전에 입력된 환자의 신장 등의 신체 사이즈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하여 낙상의 위험 여부를 예측한다.
즉, 수면 중에 특정 방향으로 사용자 두부(頭部)의 과도한 움직임이 나타날 때 병실 내 낙상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 중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G)의 3차원 각축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가속도 센싱 및 자이로 센싱 값의 차이가 급격하게 증가한 경우,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감지하여,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게 된다(S7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뇌파와 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수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가속도 및 각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수면 중 각성에 의한 돌발성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각성후 돌발성 섬망에 의한 낙상에 위험이 있을 경우 알람을 통해 의료진에게 알림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섬망을 동반한 각성으로 인한 돌발성 움직임이 렘 수면 상태와 정확하게 구별되어, 사용자의 자세 교정, 침대에서의 낙상 조기 발견이 가능해져 낙상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정확하게 감지되어, 사용자가 수면 중 두부(頭部)의 단순한 좌우 움직임 혹은 기립에 의한 단순한 상하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노이즈로 분류되어, 수면단계 판단시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센서부
110: 근전도 측정부
120: 뇌파 측정부
130: 가속도 센서
140: 자이로 센서
200: 제어부
300: 알람부
110: 근전도 측정부
120: 뇌파 측정부
130: 가속도 센서
140: 자이로 센서
200: 제어부
300: 알람부
Claims (1)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은 근전도 측정부가 수면 중에 안구 운동으로 인한 근전도의 상승을 측정하는 단계;
뇌파 측정부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된 복수개의 패치를 통해 수면 중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근전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근전도의 상승 및 뇌파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면 중 뇌파를 분석하여 수면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가 사용자 두부(頭部)의 무게 중심의 3차원 축에 걸리는 중력 가속도 및 각가속도 각각에 대해 움직임 상태와 수평 상태일 때의 차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센싱하는 단계;
제어부가 수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에 대해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를 분석하여 각성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기울어진 정도 및 회전 정도가 일정한 값을 초과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하고, 일정한 값 이하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 '렘 수면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사용자의 섬망에 의한 '각성후 돌발성 움직임'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부를 작동시켜 병원 등 의료 기관 내 당직 의료진 등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109 | 2021-03-19 | ||
KR20210036109 | 2021-03-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1202A true KR20220131202A (ko) | 2022-09-27 |
Family
ID=8345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4796A KR20220131202A (ko) | 2021-03-19 | 2022-03-21 |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3120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57283A (zh) * | 2023-11-22 | 2023-12-22 |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 一种摔倒保护方法、装置、智能假肢、终端及存储介质 |
KR102665723B1 (ko) * | 2023-07-24 | 2024-05-13 | 주식회사 미라클레어 | 바이오피드백 기반의 이갈이 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4475B1 (ko) | 2017-07-11 | 2020-10-12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동영상 기반 발작 추적감시 방법 및 장치 |
-
2022
- 2022-03-21 KR KR1020220034796A patent/KR2022013120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4475B1 (ko) | 2017-07-11 | 2020-10-12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동영상 기반 발작 추적감시 방법 및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723B1 (ko) * | 2023-07-24 | 2024-05-13 | 주식회사 미라클레어 | 바이오피드백 기반의 이갈이 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17257283A (zh) * | 2023-11-22 | 2023-12-22 |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 一种摔倒保护方法、装置、智能假肢、终端及存储介质 |
CN117257283B (zh) * | 2023-11-22 | 2024-04-09 |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 一种摔倒保护方法、装置、智能假肢、终端及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0625B2 (en) | Above bed sensor | |
JP4818162B2 (ja) | 可動床板式の寝台装置 | |
US9301689B2 (en) | Patient monitoring system | |
US10888279B2 (en) |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 |
US6239706B1 (en) | In-bed state detection system | |
KR101043864B1 (ko) | 베드 이탈 예측ㆍ검지 시스템을 구비한 침대 장치 | |
JP6823160B2 (ja) | ベッド転落を予測及び防止する患者監視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 |
US8838411B2 (en) | Bed device | |
JP4841462B2 (ja) | 寝台装置 | |
KR20220131202A (ko) | 뇌파 측정 장치를 이용한 낙상 방지 방법 | |
JP5111889B2 (ja) | 寝台装置 | |
JP2008212306A (ja) | 寝台装置 | |
EP3659565B1 (en) | On-bed state monitoring system | |
JP2019534495A (ja) | ベッド転落を予測及び防止する患者監視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 |
JP5068602B2 (ja) | 寝台装置 | |
JP2008206867A (ja) | 寝返り促進装置 | |
CN115500823A (zh) | 一种跌倒状态和防走失位置信息实时监测系统 | |
KR101786750B1 (ko) | 선택적 범위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침상 낙상 방지장치, 방지방법 및 이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획득방법 | |
JP6390937B2 (ja) | 人感装置 | |
CN115223089B (zh) | 儿童危险行为检测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 |
KR20160052879A (ko) | 낙상 감지방법 | |
KR102695170B1 (ko) | 레이더 신호와 열화상 신호를 모두 이용한 비대면 비접촉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 |
US20230210448A1 (en) | Skin shear detection for hospital beds | |
JP4606630B2 (ja) | 立ち上がり検知装置 | |
KR20240084207A (ko) | 환자 상태 분석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