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17A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8617A KR20220118617A KR1020210022241A KR20210022241A KR20220118617A KR 20220118617 A KR20220118617 A KR 20220118617A KR 1020210022241 A KR1020210022241 A KR 1020210022241A KR 20210022241 A KR20210022241 A KR 20210022241A KR 20220118617 A KR20220118617 A KR 202201186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electronic device
- layer
- disposed
- transpa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Enclosures for carrying portable computers with peripheral devices, e.g. cases for a laptop and a prin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5—Stack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display.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음향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저장된 파일의 실행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한 음성 통화, 메시지 전송, 온라인 채팅 및/또는 금융 거래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일상화되면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개성을 드러내는 장신구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는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른 외관 형상이나 색상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애프터마켓을 통해, 각종 필름이나, 보호 케이스와 같은 장식물을 구매하여 전자 장치의 장식에 활용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functions are being integrated into on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smart phone includes functions such as a sound reproducing device, an imaging device, or an electronic notebook as well 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ore various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the smart phone through additional installation of application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information in real time by not only executing a loaded application or a stored file, but also accessing a serv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s various services such as voice calls, message transmission, online chatting, and/or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become commonplac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used as an accessory to reveal a user's personality. For example, manufacturers compete to provide differentiated electronic devices by using different external shapes or colors according to models, and users purchase decorations such as various films or protective cases through the aftermarket to purchase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used to decorate the device.
하지만, 전자 장치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취향은 더욱 다양화하고 있으며, 이미 제작된 전자 장치의 외관 형상이나 색상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 제작된 전자 장치의 외관 형상이나 색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이나 취향의 변화를 만족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애프터마켓 제품을 이용하여 이러한 전자 장치의 외관을 장식하더라도, 사용자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users' tastes for the appearance of electronic device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the appearance shape or color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has already been manufactured may be practically impossible. For example, there may be a limit to satisfying users' various tastes or changes in tastes with the external shape or color of an already manufactured electronic device. Even if an aftermarket product is used to decorate the exterior of such an electronic device, it may be difficult to sufficiently satisfy a user's desir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적인 장식 또는 시각적인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visual decorations or visual changes using a transparent display.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 환경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ase of use by utilizing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여, 상기 제2 면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to output a scree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splay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to output a scree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display is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and may be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area.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상기 장식층 사이에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t least one transparent plate,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a transparent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decorative layer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o output a screen a display, wherein the transparent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ve laye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의 표면(예: 후면) 내부 영역(예: 전자 장치의 외관에 구현된 색상이나 문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다양한 형태의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외관의 자체 형상이나 색상을 이용한 장식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투명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다양한 시각적인 장식이나 시각적인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의 외관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장식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화하는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전자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촬영에 필요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거나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transparent display may at least partially visually expose an inner region (eg, a color or pattern embodied on the exterior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surface (eg, the back) of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external space. and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visual effects.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to implement various visual decorations or visual changes while substantially maintaining the decoration using the shape or color of the exterior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 transparent display may satisfy diversified user needs by providing a decorative effec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hile substantially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som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the electronic device utilizes a transparent display to display a graphic object necessary for photographing or output a live view image of the subjec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conveniently photograph a subject. In addition, various effects recogniz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장식 효과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2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display is dispos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display is disposed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of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visual decoration effect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6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a first use stat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one of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a second use stat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one of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a third use state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one of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one of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101 in a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The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The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and a signal ( e.g. commands or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and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1 and the external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have various types of devices.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portable medical device, a camera,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of which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such components, and refer to those components in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that one (e.g., first) component i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referenced, it means that on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is, for example, interchangeable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can be used as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r a part of the part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software (eg, a program)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readable by a machine (eg, an electronic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rocessor (eg, processor) of a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may call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ed at least one comman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is used in cases where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emporary storage cas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on two user devices (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nline between smartphones (eg: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disposed in other components. ha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102, 104))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200 (eg,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제1 면(또는 전면)(210A), 제2 면(또는 후면)(210B), 및 제1 면(210A) 및 제2 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0C)을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2의 제1 면(210A), 도 3의 제2 면(210B) 및 측면(2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2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는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21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이라 함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으로서 디스플레이(2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2 and 3 ,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2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2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210C)은, 전면 플레이트(202) 및 후면 플레이트(2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또는 "측면 부재")(2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211) 및 측면 베젤 구조(2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는, 상기 제1 면(2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1 영역(210D)(예: 곡면 영역)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상기 제2 면(2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2 영역(210E)(예: 곡면 영역)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가 상기 제1 영역(210D)들(또는 상기 제2 영역(210E)들)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210D)들 또는 제2 영역(2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218)는, 상기와 같은 제1 영역(210D) 또는 제2 영역(2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예: 커넥터 홀(208)이 형성된 측면) 쪽에서는 제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210D) 또는 제2 영역(210E)을 포함한 측면(예: 키 입력 장치(217)가 배치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01), 오디오 모듈(203, 207, 214), 센서 모듈(204), 카메라 모듈(205, 255), 키 입력 장치(217), 발광 소자(206), 및 커넥터 홀(208, 2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217), 또는 발광 소자(2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디스플레이(2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210A), 및 상기 측면(210C)의 제1 영역(2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2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2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01)의 화면 표시 영역(예: 활성 영역) 또는 화면 표시 영역을 벗어난 영역(예: 비활성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214), 센서 모듈(204), 카메라 모듈(205, 255), 및 발광 소자(2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214), 센서 모듈(204), 카메라 모듈(205, 255), 및 발광 소자(2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204)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2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210D)들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2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a recess or opening is formed in a portion of a screen display area (eg, an active area) or an area outside the screen display area (eg, an inactive area) of the
오디오 모듈(203, 207, 214)은, 마이크 홀(203) 및 스피커 홀(207, 2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2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207, 214)은, 외부 스피커 홀(2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피커 홀(207, 214)과 마이크 홀(203)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207, 2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The
센서 모듈(204)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2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210)의 제2 면(210B)에 배치된 또 다른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 또는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예: 디스플레이(201))뿐만 아니라 제2 면(2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2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카메라 모듈(205, 255)은, 전자 장치(200)의 제1 면(2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모듈(205), 및 제2 면(2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모듈(2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255)은, 제1 부품(예: 적외선 광원), 제2 부품(예: 적외선 수신기), 플리커 탐지 센서 및/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5, 25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210B)에는 도시되지 않은 플래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2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키 입력 장치(217)는, 하우징(210)의 측면(2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2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7)는 디스플레이(2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발광 소자(206)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제1 면(2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2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2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2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커넥터 홀(208, 2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2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209)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holes 208 and 209 include 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2 면(210B)에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4 또는 도 5의 투명 디스플레이(3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311)는 제2 면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기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후면 플레이트(211)의 일부인 세라믹, 폴리머 또는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물질 부분이나, 그 표면에 형성된 증착층, 도금층, 도장층 또는 인쇄층은, 투명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술한 디스플레이(201)는 '제1 디스플레이(201)'라 칭해질 수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311)는 '제2 디스플레이(311)'라 칭해질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311)의 배치 구조에 관해서는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1, 102, 104, 2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311)는 전자 장치(200)의 후면(210B), 예를 들면, 후면 플레이트(301)(예: 도 3의 후면 플레이트(211))에 배치되어,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1))와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201)와 제2 디스플레이(311)는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예를 들어, 후면 플레이트(301)는 외부 공간을 향하게 형성된 장식층(3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311)는 실질적으로 장식층(315)의 위에, 예를 들어, 장식층(315)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311)는 실질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됨으로써, 장식층(315)에 구현된 시각적인 효과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투과하여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되더라도, 제2 면(210B)의 내부 영역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311)보다 더 내측에 배치된 영역의 시각적인 효과나 구조가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4 and 5 , the transparent display, for example,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보호하도록 배치된 투명 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11) 및/또는 투명 플레이트(313)가 후면 플레이트(301) 상에 배치된 구조에서, 제2 면(210B)은 실질적으로 투명 플레이트(3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투명 플레이트(313)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사이에 두고 장식층(315)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311)는 광학 접착층(317)을 통해 장식층(315)에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11)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광학 접착층을 통해 투명 플레이트(313)에 접합될 수 있다. 광학 접착층(315)은 실질적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으며, 장식층(315)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2 디스플레이(311)와 투명 플레이트(313)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3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층(311a)은, 예를 들면, 제2 디스플레이(311)와 투명 플레이트(313)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감지층(311a)은, 제2 디스플레이(311)와 투명 플레이트(313) 중 어느 하나의 일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식층(315)은, 도금층, 증착층(315a), 인쇄층, 틴팅 필름 및/또는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층(315)은 증착층(315a),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도금층이나 틴팅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하고자 하는 시각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에서 나열한 다양한 층이나 필름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장식층(3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층 또는 필름이 형성 또는 배치된 영역의 조합에 따라 장식층(315)은 각종 문양이나 문자 도안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금층이나 증착층(315a)은, 후면 플레이트(301)를 형성하는 구조물(예: 세라믹, 폴리머 또는 금속 물질 부분)의 표면에서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금층이나 증착층(315a)이 형성된 경우,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또는 인쇄층)은 도금층이나 증착층(315a)의 표면에 도포 또는 분사된 도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며, 도금층이나 증착층(315b)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은 도금층이나 증착층(315a)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오염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틴팅 필름은 지정된 색상으로 착색되면서, 실질적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301)를 형성하는 구조물은 레이저나 샌드 블로어(sand blower)에 의해 표면 가공될 수 있으며,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색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lating layer or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장식층(315)을 사이에 두고 제2 디스플레이(311)와 마주보게 형성된 차폐층(3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층(319)은 실질적으로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후면 플레이트(301)를 형성하는 구조물(예: 세라믹, 폴리머 또는 금속 물질 부분)을 시각적으로 은폐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차폐층(319)은 후면 플레이트(301)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색상을 은폐함으로써, 장식층(315)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이나 문양을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차폐층(319)은 장식층(315)이 제공하는 색상이나 문양이 후면 플레이트(301)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색상에 의해 간섭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양이나 문자, 캐릭터 형상, 화면의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예: 그라데이션 효과), 색상 변화 및/또는 이러한 시각 효과의 선택적인 조합이나 애니메이션 효과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서 다양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이러한 시각 효과는 지정된 시간 동안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어 제공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지 않은 시간 동안에는, 장식층(315)이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장식층(315) 자체로서 제공하는 시각적인 장식이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 구현될 수 있다. 활성화된 시간 동안에도, 제2 디스플레이(311)는 장식층(315)의 일부를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장식층(315) 자체로서 제공하는 장식 효과를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식층(315)에 이미 문양, 문자 또는 캐릭터 형상이 각인 또는 인쇄된 상태라면, 제2 디스플레이(311)는 장식층(315)에 형성된 문양, 문자 또는 캐릭터 형상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나 메시지 수신, 또는 연동된 앱의 새로운 피드가 수신되면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된 시각 효과 중 지정된 시각 효과를 출력하거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시각 효과나 메시지 출력 중 선택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311), 예컨대, 도 4의 투명 플레이트(313)를 접촉함으로써,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감지층(311a)은 제2 디스플레이(311)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통화, 메시지 출력 또는 연동된 앱을 활성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대기 모드일 때,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날씨나 시간과 같은 생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대기 모드라 하더라도,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앱과 관련된 정보나 그래픽 객체 또는 이벤트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구현되는 상술한 시각 효과나 이벤트 알림은, 전자 장치(200)의 거치 상태에 따라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와 같은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311)가 가려진 상태임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실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31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11)가 가려지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시간 동안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실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31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visual effect or event notification implemented through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311)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라이브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예: 촬영자)는 제1 디스플레이(201)를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를 보면서 도 2의 제2 카메라 모듈(255)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2 디스플레이(301)를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제공할 때, 피사체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301)를 통해 자신이 촬영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셀피 촬영이 수행될 때, 제1 디스플레이(201)가 화면을 출력하는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제1 카메라 모듈(205))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디스플레이(201)를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제1 카메라 모듈(205)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셀피 촬영이 수행될 때,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화면을 출력하는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제2 카메라 모듈(255))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제2 카메라 모듈(255)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카메라 모듈(255)은 제1 카메라 모듈(205)보다 더 많은 수의 이미지 센서나 좀더 높은 성능의 렌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피 촬영에서 제2 카메라 모듈(255)을 이용함으로써 더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311)는 제2 카메라 모듈(255)을 이용한 셀피 촬영에서 라이브 뷰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 높은 품질의 셀피 이미지를 좀더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a user's selfie is taken, a first camera module (eg, the
상술한 시각 효과나 촬영에서의 활용에 관해 도 6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visual effect or application in photographing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6 to 11 .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전자 장치(4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4 또는 도 5의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장식 효과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400 (eg, the
도 6과 도 7은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어 메쉬(mesh) 문양을 출력함으로써 장식 효과를 구현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식층(315)(예: 도 4 또는 도 5의 장식층(315))에 구현된 문양이나 문자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311)는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장식층(315)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자를 외부 공간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어 장식층(315)에 구현된 장식 효과와는 다른 시각적인 장식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311)가 메쉬 문양을 출력함으로써, 활성화되지 않을 때와는 다른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6 and 7 are exemplified by comparing th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decorative effect by activatin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되더라도, 장식층(315)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자가 외부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311)가 활성화된 때, 장식층(315)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자와 제2 디스플레이(311)가 출력하는 시각 효과가 중첩되어 전자 장치(400)의 외관에서 변화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11)는 장식층(315)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문양이나 문자를 중첩하게 출력하면서, 색상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장식층(315)에 인쇄된 문양 또는 문자의 색상과 제2 디스플레이(311)가 출력하는 색상이 중첩되어 다양한 색상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ven when the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500)(예: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7의 전자 장치(101, 102, 104, 400))에서, 제1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4 또는 도 5의 제2 디스플레이(311))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500)에서, 제2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311)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500)에서, 제3 사용 상태에서의 투명 디스플레이(311)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n electronic device 500 (eg,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50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311)는 문양이나 문자의 크기나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센서 모듈(예: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도 1의 센서 모듈(176))를 이용하여 중력 방향을 감지하고, 제2 디스플레이(311)를 이용하여 문자들을 출력함에 있어 수평 방향(예: 중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311)의 하단부 영역에서 전자 장치(500)의 폭 방향(519a)을 따라 문자들이 배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311)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전자 장치(500)의 길이 방향(519b)을 따라 배열된 문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311)는 대각선 방향(519c)을 따라 배열된 형태로 문자들을 출력할 수 있다. 8 to 10 ,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500)의 배열 방향이 변화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5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500)의 배열 방향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들의 크기나 배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500)의 배열 방향과 무관하게, 전자 장치(5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나 문양의 크기 또는 배열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의 크기, 배열 방향 또는 배열 형태를 변경하면서 불규칙적으로 점멸시키도록 전자 장치(500) 또는 프로세서(120)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311)를 통해 출력되는 문양이나 문자는 다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도 11은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600)(예: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10의 전자 장치(101, 102, 104, 200, 400, 5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4 또는 도 5의 제2 디스플레이(311))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600 (eg, the
도 11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655), 예를 들어, 도 3의 제2 카메라 모듈(255)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전자 장치(6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2 디스플레이(311)의 제1 영역(A1)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 획득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제1 영역(A1)과는 다른 제2 디스플레이(311)의 제2 영역(A2)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 이미지 획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라 함은, 예를 들면, 인물, 매크로, 풍경과 같은 촬영 모드 전환 버튼, 셔터 버튼, 줌 버튼 및/또는 감도 조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목적이나 환경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를 통해 촬영 모드, 줌 또는 감도를 선택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층(311a)은 적어도 제1 영역(A1)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600) 또는 프로세서(120)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과, 그래픽 객체(들)에 부여된 기능 또는 명령에 기반하여 촬영 모드, 줌 또는 감도를 선택 또는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655)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전자 장치(600)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디스플레이(2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31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라이브 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655)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제1 디스플레이(201) 또는 제2 디스플레이(31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655)을 이용하여 셀피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655)를 통해 라이브 뷰 이미지가 제공될 때, 사용자는 셀피 촬영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655)를 이용하여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라이브 뷰 이미지를 보면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the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11의 전자 장치(101, 102, 104, 400, 500, 600))는,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4 또는 도 5의 제2 디스플레이(311))를 포함함으로써, 전자 장치 또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의 어느 한 면(예: 도 3의 제2 면(210B))에서, 장식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장식층(315))에 부여된 장식 효과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면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장식 효과 또는 장식 효과의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배열 또는 거치 상태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문자, 영상,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형태로 다양한 이벤트 알림 또는 앱과 연동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또는 프로세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실행 중인 앱과 연동된 그래픽 객체 또는 이벤트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11의 전자 장치(101, 102, 104, 400, 500, 600))는, 제1 면(예: 도 2의 제1 면(210A))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예: 도 3의 제2 면(210B))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제1 면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1)),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 내지 도 5의 후면 플레이트(211, 301) 상에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여, 상기 제2 면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면을 형성하는 투명 플레이트(예: 도 4 또는 도 5의 투명 플레이트(313), 및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장식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장식층(3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상기 장식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층은, 도금층, 증착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증착층(315a)), 인쇄층, 틴팅 필름 및/또는 자외선 경화 패턴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ecoration layer may include a plating layer, a deposition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장식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마주보게 형성된 차폐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차폐층(3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장식층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예: 도 4 또는 도 5의 광학 접착층(3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n optical adhesive layer (eg, the optica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예: 도 5의 터치 감지층(3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문양, 문자, 화면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display may be set to output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제2 카메라 모듈(255) 또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6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예: 도 11의 제2 영역(A2)에 표시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module (eg, th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11의 전자 장치(101, 102, 104, 400, 500, 600))는, 제1 면(예: 도 2의 제1 면(210A))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예: 도 3의 제2 면(210B))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예: 도 4 또는 도 5의 투명 플레이트(313),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장식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장식층(315)),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상기 장식층 사이에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예: 도 3 내지 도 5의 후면 플레이트(211, 301)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311))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electronic device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층은, 도금층, 증착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증착층(315a)), 인쇄층, 틴팅 필름 및/또는 자외선 경화 패턴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자외선 경화 패턴층(315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ecoration layer may include a plating layer, a deposition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마주보게 형성된 차폐층(예: 도 4 또는 도 5의 차폐층(3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shielding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장식층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예: 도 4 또는 도 5의 광학 접착층(3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n optical adhesive layer (eg, the optical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예: 도 5의 터치 감지층(3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면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출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제2 카메라 모듈(255) 또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655)),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a processo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acquires a subject image using the camera module, and while acquiring the subject image, the processor uses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first display to obtain a live view image of the subject. view image) can be set to outpu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예: 도 5의 터치 감지층(311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예: 도 11의 제1 영역(A1))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 획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예: 도 11의 제2 영역(A2))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하며, 상기 터치 감지층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touch sensing layer (eg, th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객체는, 촬영 모드 전환 버튼, 셔터 버튼, 줌 버튼 및 감도 조절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oting mode switching button, a shutter button, a zoom button, and a sensitivity control button.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문양, 문자, 화면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processor, and the processor outputs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se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지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문양, 문자, 화면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설정되고, 지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is set to output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for a specified first time in the standby mode, It may be set to deactivate the transparent display for a specified second time perio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 중 적어도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transparent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on layer for at least the second time of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이상,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장식층은, 도금, 증착, 도장, 분사 또는, 레이저나 샌드 블로어를 이용한 표면 가공과 같은 다양한 공정을 통해 형성된 것에 관해 언급되고 있으며, 장식층이 형성되는 구조물(예: 후면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세라믹, 폴리머 또는 금속 물질 부분)의 재질에 따라 상술한 공정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장식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된 공정에 따라 사용되는 원료는 다양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documen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decorative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formed through various processes such as plating, vapor deposition, painting, spraying, or surface processing using a laser or sand blower, and a structure on which the decorative layer is formed (eg, a back plate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eramic, polymer, or metallic material to be formed. For example, the process of forming the decorative lay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raw material used may vary according to the selected process.
101, 102, 104, 200, 400, 500, 600: 전자 장치
201: 디스플레이 211, 301: 후면 플레이트
205, 255: 카메라 모듈 311: 투명 디스플레이
313: 투명 플레이트 315: 장식층
317: 광학 접착층 319: 차폐층101, 102, 104, 200, 400, 500, 600: electronic device
201:
205, 255: camera module 311: transparent display
313: transparent plate 315: decorative layer
317: optical adhesive layer 319: shielding layer
Claims (20)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여, 상기 제2 면 내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to output a screen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splay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to output a scree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is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th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nside the second side.
상기 제2 면을 형성하는 투명 플레이트; 및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상기 장식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ransparent plate forming the second surface; and
Further comprising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second display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decoration layer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on layer.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2 , wherein the decoratio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ating layer, a deposition layer, a printed layer, a tinting film, and/or an ultraviolet curing pattern layer.
상기 장식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마주보게 형성된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layer formed to face the second display with the decorat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장식층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decorative layer and the second display,
wherein the optical adhesive layer is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ve layer.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and the transparent plate.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display is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amera modul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module, the second display is set to output a live view image of the subject.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플레이트;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투명 플레이트와 상기 장식층 사이에 배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t least one transparent plat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decorative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a transparent display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decorative layer on any on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o output a screen;
and the transparent display is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ve layer.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9 , wherein the decoratio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ating layer, a deposition layer, a printed layer, a tinting film, and/or an ultraviolet curing pattern layer.
상기 장식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마주보게 형성된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layer formed to face the transparent display with the decorat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장식층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접착층은 상기 장식층의 적어도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decorative layer and the transparent display,
wherein the optical adhesive layer is configured to visually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orative layer.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투명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transparent plate.
프로세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면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출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방향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제1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processor;
a camera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faces a screen output direction from the side on which the transparent display is disposed;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display disposed in the housing to output a scree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nsparent display,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using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first display.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cessor,
Obtaining an image of a subject using the camera module,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live view image of a subject using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first display while acquiring the subject image.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터치 감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을 이용하여 피사체 이미지 획득에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라이브 뷰 이미지(live view image)를 출력하며,
상기 터치 감지층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ing layer dispos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The processor is
Obtaining an image of a subject using the camera module,
While acquiring the subject image, a graphic object related to acquiring the subject image is displayed using the first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a live view image of the subject is output using the second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sense a user input in the first area using the touch sensing layer.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6 , wherein the graphic objec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hooting mode switching button, a shutter button, a zoom button, and a sensitivity control button.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문양, 문자, 화면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대기 모드에서, 지정된 제1 시간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문양, 문자, 화면 점멸, 점진적인 색상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설정되고,
지정된 제2 시간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cessor,
In the standby mode,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for a specified first time, it is set to output at least one of a pattern, a character, a screen flickering, a gradual color change, or a movement of a color change,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able the transparent display for a second specified amount of tim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241A KR20220118617A (en) | 2021-02-19 | 2021-02-19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
PCT/KR2022/000731 WO2022177169A1 (en) | 2021-02-19 | 2022-01-14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ransparent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241A KR20220118617A (en) | 2021-02-19 | 2021-02-19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617A true KR20220118617A (en) | 2022-08-26 |
Family
ID=8293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241A Pending KR20220118617A (en) | 2021-02-19 | 2021-02-19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8617A (en) |
WO (1) | WO2022177169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106B1 (en) * | 2014-06-10 | 2021-0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5334990B (en) * | 2014-07-15 | 2018-08-07 |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
KR102491287B1 (en) * | 2016-01-14 | 2023-0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US11073712B2 (en) * | 2018-04-10 | 2021-07-27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display for through-display imaging |
KR102789170B1 (en) * | 2019-06-21 | 2025-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a sub display |
-
2021
- 2021-02-19 KR KR1020210022241A patent/KR20220118617A/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1-14 WO PCT/KR2022/000731 patent/WO202217716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77169A1 (en) | 2022-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1584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lways on display | |
US20240111172A1 (en) | Camera module including image stabilizat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 |
KR20220039535A (en) | Contact structure of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
US12200878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ir vent | |
KR20220120854A (en)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module and a structure of a microphone conduit of the electronic device | |
KR20220128735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20240008195A1 (en) | Housing having ventilation member arranged therein,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220001296A (en) | Cas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 |
US20230054033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 |
US11689793B2 (en) | Camera module with reduced base line in dual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220118617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 |
KR20220131764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lit-shaped microphone hole | |
KR20230018604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ck surface plat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
KR20220087762A (en) | electronic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structure for removing electrical stress | |
KR20220125599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ck cover and camera module | |
US20240031734A1 (en) | Audio output device including extended resonance spa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2323709B2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otation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EP4369695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s | |
EP4529370A1 (en) |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 | |
US20240422911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orting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 |
KR20230164536A (en) | Electronic device and housing structure thereof | |
KR20220131013A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circuit board | |
KR20240141593A (en) | Exterior cover for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20250036621A (en) | Sens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240013624A (en) | Audio output device including extended resonance spa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