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920A -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 Google Patents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9920A KR20220109920A KR1020210013515A KR20210013515A KR20220109920A KR 20220109920 A KR20220109920 A KR 20220109920A KR 1020210013515 A KR1020210013515 A KR 1020210013515A KR 20210013515 A KR20210013515 A KR 20210013515A KR 20220109920 A KR20220109920 A KR 202201099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user
- hmd
- unit
- experience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057 hereditary mucoepithelial dys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2—Motion systems for aircraft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활용하여 가상의 공간에서 함께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장착으로 인하여 가상의 체험 공간 내에서 사용들끼리 중첩 충돌되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wo or more users can experience together in a virtual space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It relates to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that can prevent errors or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overlapping collisions between users in a virtual experience space.
여가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말타기, 자동차 운전, 비행기 운전 등과 같이 실제 체험하는 레저활동 또는 여가생활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population enjoying leisure life increases, leisure activities or leisure activities that are actually experienced, such as horse riding, driving a car, and driving an airplane, are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레저활동 또는 여가생활을 위해서는 라이센스를 따거나 장시간 교육을 받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사용자에에 많은 부담이 있었다.However, for such leisure activities or leisure lif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obtaining a license or receiving long-term education, and there is a lot of burden on the user in terms of time and cost.
최근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장치가 도입되고 있다. Recently, a virtual experience simulation device has been introduced to solve this inconvenience.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302호 '시뮬레이션 체험관'에는 전방에 커다란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이들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후방에 다수의 사용자 시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는 피스톤 등으로 구성되는 모션장치에 의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a large display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imulation experience hall'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3302, and a plurality of user seats are installed in the rear so that the screen displayed on these displays can be viewed. Such a seat discloses a technology that is installed so as to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y a motion device composed of a piston or the like.
이 때, 사용자가 시트에 안착한 상태에서 전방에서 표시되는 시뮬레이션 화면을 주시하고, 시뮬레이션 화면과 연동되게 프로그램된 모션장치가 구동되면서 사용자가 앞으로 기울어 지거나 좌우로 기울어지게 하여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user watches the simulation screen displayed from the fron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and as the motion device programmed to interlock with the simulation screen is driven, the user can tilt forward or tilt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it virtually. .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장치는 전방에 커다란 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있는데, 시트에 탑승한 체험자가 전방을 주시하여야 시뮬레이션 화면을 볼 수 밖에 없어 체험자가 시선을 다른 데로 돌리게 되면 화면이 보이지 않게 되어 가상체험의 리얼리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irtual experience simulation device configured in this way, a large display is provided in the front, and the experiencer on the seat has no choice but to see the simulation screen only when he looks for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lity of the virtual experience decreases.
또한, 이러한 리얼리티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대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한계로 인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경계(베젤)가 보일 수 밖에 없어 오히려 시뮬레이션의 리얼리티를 더 떨어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lack of reality, the display can be configured as a larg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further lowers the reality of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입체영상 키오스크와 관련된 기술이 실용신안등록 제20-447950호에 제안되었다.Due to these problems, a technology related to a stereoscopic image kiosk has been prop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47950.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더라도 기존 VR 체험은 HMD를 착용하고 개인별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단순한 체험 형태이기 때문에 현실감과 생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입체 영상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현실감이 사실적으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with this technology, the existing VR experience is a simple experience type using individual vision and hearing wearing an HM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nse of reality and liveliness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더욱이, 개별적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동일한 체험공간을 여러 복수명의 참가자들이 가성현실로 체험하는 과정에서 각 참가자들의 동작이나 이동경로에 따라 중첩 충돌 현상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오류를 가져오거나 특정 가상공간 현실의 영역한계에 대한 접근 오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process of multiple participants experiencing the same experience space independently in individual places as virtual reality, depending on each participant's motion or movement path, overlapping collisions may cause system errors or limit the realm of a specific virtual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ess error occur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적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동일한 체험공간을 온라인으로 여러 복수명의 참가자들이 동시에 동일한 가성현실로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cipants can simultaneously experience the same experience space online in the same virtual reality at an individual loc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적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동일한 체험공간을 온라인으로 여러 복수명의 참가자들이 동시에 동일한 가성현실로 체험하는 과정에서 각 참가자들의 동작이나 이동경로에 따라 중첩 충돌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스템의 오류나 특정 가상공간 현실의 영역한계에 대한 접근 오류 등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VR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occurs due to overlapping collision phenomenon depending on the motion or movement path of each participant in the process of simultaneously experiencing the same experience space online with the same virtual reality in an individual place independently. It is to provide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VR experience by preventing errors in the virtual space or access errors in the realm of a specific virtual space.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체험자의 자세에 관련된 6 자유도를 검지하기 위한 6자유도 센서부(12)를 구비하며 3D 영상이 디스플레되는 HMD(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0: 10a, 10b, 10c,...10n); 웹서버 또는 스토리지를 구축하며 3차원 가상공간 실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재되며 3D 영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응답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DB서버(20); 애셋 번들을 위한 서버로 이루어지며 온라인을 통하여 요청된 URL과 번들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요청에 맞는 컨텐츠와 특정 가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30); 가상 공간에 매칭되도록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착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대하여 모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부(40);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판별하기 위한 유효접근 판별부(60); 및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작용에 따른 각 사용자에 대한 충돌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키며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판별된 각 사용자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의 결과에 따라 경보 데이터를 해당되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HMD (head mounted display; 10: 10a, 10b, 10c,.. .10n); A
여기서,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접속ID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식별ID를 부여하고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for each user of 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an identification ID is given to each user according to the online access ID, and 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teraction
또한, HMD(10; 10: 10a, 10b, 10c,...10n)는 체험자인 각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개별적으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체험자의 자세에 관련된 6 자유도를 검지하기 위한 6자유도 센서부(12)를 구비하며 3D 영상이 디스플레되는 디스플레이부(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MD (10; 10: 10a, 10b, 10c, ... 10n) is worn on the head by each user who is an experiencer so that he or she can individually view the simulation imag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6-degree-of-
또한, 디스플레이부(14)는 착용시 사용자의 각 눈에 보여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2개 존재하며, 초기 프로그램 구동시 DB서버(20)로부터 컨텐츠 URL을 JSON 형태로 제공받아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와 비교후 마이너 버전 또는 컨텐츠 서버(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받아 갱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각 사용자의 각 HMD(10; 10: 10a, 10b, 10c,...10n)가 무선기능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될 때, 접속되는 인터넷 접속ID로 식별ID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of each us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 wireless func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dentification ID is generated as an Internet connection ID to be connected.
또한, 시뮬레이터부(40)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에 대하여 가상 공간에 매칭되도록 모션을 제공하며,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접속ID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식별ID를 부여하고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에 대하여 특정 동일 가상공간에서 초기화된 각각의 가상공간 좌표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mulator unit 40 provides motion to match the virtual space with respect to the real space in which each user of the
또한, 유효접근 판별부(60)는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일한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이동이나 동작에 따른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제공하며, 그 경계 범위의 초과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ffective
또한,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효접근 공간 범위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간은 체험되는 특정 가상공간에서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가 점유할 수 없는 공간이나 위험 공간 경계 밖의 범위 이내에 있는 제1 공간에 대하여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보다 좁은 공간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가용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ffective access space range provided by the effective
또한,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의 완충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 공간이 구비되며, 제어부(70)는 사용자의 가상공간에서 가용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 공간으로부터 위험 공간의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 방향으로 진입하게 될 경우 완충공간인 제2 공간의 영역 내에 위치한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해당 HMD(10; 10: 10a, 10b, 10c,...10n)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ird space formed of a buffer space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provided, and the
또한,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작용과 관련된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의 모션 결과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들 사이의 충돌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user tha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tion result of each user of each
또한, 위험 공간의 영역에 해당 되는 제1 영역과 완충 공간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의 경계는 가상공간의 절벽이나 벽과 같은 장애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anger space and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buffer space is formed of an obstacle such as a cliff or wall in the virtual spac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적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동일한 체험공간을 온라인으로 여러 복수명의 참가자들이 동시에 동일한 가성현실로 체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동일한 체험공간을 온라인으로 여러 복수명의 참가자들이 동시에 동일한 가성현실로 체험하는 과정에서 각 참가자들의 동작이나 이동경로에 따라 중첩 충돌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스템의 오류나 특정 가상공간 현실의 영역한계에 대한 접근 오류 등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VR 체험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rticipants can experience the same virtual reality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virtual reality independently in an individual place online, but also a plurality of participants can independently use the same experience space online in an individual place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same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perience VR by preventing system errors caused by overlapping collisions depending on the motions or movement paths of each participant or access errors to the realm of a specific virtual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HMD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유효점유 공간 이탈에 대한 경보 발생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체험자인 HMD 체험자, 시스템 및 관리자 사이의 서비스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HMD in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n alert for deviation from an effective occupied space in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of a service between the HMD experiencer, the experiencer, the system, and the manager in the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HMD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유효점유 공간 이탈에 대한 경보 발생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체험자인 HMD 체험자, 시스템 및 관리자 사이의 서비스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HMD in the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n alarm, and FIG. 5 is a service flow diagram between the HMD experiencer, the experiencer, the system, and the manager in the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체험자의 자세에 관련된 6 자유도를 검지하기 위한 6자유도 센서부(12)를 구비하며 3D 영상이 디스플레되는 HMD(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0: 10a, 10b, 10c,...10n), 웹서버 또는 스토리지를 구축하며 3차원 가상공간 실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재되며 3D 영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응답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DB서버(20), 애셋 번들을 위한 서버로 이루어지며 온라인을 통하여 요청된 URL과 번들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요청에 맞는 컨텐츠와 특정 가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30), 가상 공간에 매칭되도록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착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대하여 모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부(40),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접속ID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식별ID를 부여하고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판별하기 위한 유효접근 판별부(60), 및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작용에 따른 각 사용자에 대한 충돌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키며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판별된 각 사용자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의 결과에 따라 경보 데이터를 해당되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이 제공된다.1 to 5 , according to the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6 degree of
여기서, HMD(10; 10: 10a, 10b, 10c,...10n)는 체험자인 각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개별적으로 시뮬레이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체험자의 자세에 관련된 6 자유도를 검지하기 위한 6자유도 센서부(12)를 구비하며 3D 영상이 디스플레되는 디스플레이부(14)를 구비한다.Here, the HMD (10; 10: 10a, 10b, 10c, ... 10n) is worn on the head by each user who is an experiencer so that he or she can individually view the simulation image, and detects 6 degrees of freedom related to the user's posture It includes a 6-
디스플레이부(14)는 착용시 사용자의 각 눈에 보여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2개 존재하며, 초기 프로그램 구동시 DB서버(20)로부터 컨텐츠 URL을 JSON 형태로 제공받아 로컬 메모리에 저장된 리스트와 비교후 마이너 버전 또는 컨텐츠 서버(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받아 갱신시킨다.The
각 사용자의 각 HMD(10; 10: 10a, 10b, 10c,...10n)는 무선기능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된다.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of each us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 wireless function.
6자유도 센서부(12)는 MCU 칩에서 실시간 출력되는 원시 데이터를 사용하여 오일러각을 계산하여, 즉 실시간의 가속도 및 각속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공간상에서의 센서의 회전각을 가속도계의 데이터와 자이로 센서의 데이터를 융합한 보상 필터 방식으로 출력된다.The 6-
한편, 각 사용자의 각 HMD(10; 10: 10a, 10b, 10c,...10n)가 무선기능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될 때, 접속되는 인터넷 접속ID로 본 시스템에 접속된다.On the other hand, when 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of each us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 wireless function, it is connected to the present system with the connected Internet access ID.
DB서버(20)는 웹서버 또는 스토리지를 구축하며 3차원 가상공간 실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재되며 3D 영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URL 응답형태로 제공한다.The
DB서버(20)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HMD(10)에 제공한다. HMD(10)는 URL 주소를 전송하며, HMD(10)은 DB서버(20)로부터 입력받은 URL을 통하여 컨텐츠 서버(30)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30)에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버전과 HMD(10)에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버전을 비교한다.The
이 때, HMD(10)에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버전과 컨텐츠 서버(30)에 저장된 컨테츠의 데이터 버전이 같을 경우 HMD(10)은 자체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며, HMD(10)에 저장된 컨텐츠의 데이터 버전이 컨텐츠 서버(30)에 저장된 컨테츠의 데이터 버전보다 낮을 경우(마이너일 경우) HMD(10)은 컨텐츠 서버(30)에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며, 필요에 따라 DB서버(20)에 새로운 URL 주소 변경이 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data vers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HMD 10 and the data vers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HMD(10)는 각 실제객체마다 미리 할당된 3차원 가상영상의 가상객체를 표시한다. The HMD 10 displays a virtual object of a 3D virtual image allocated in advance for each real object.
컨텐츠 서버(30)는 애셋 번들을 위한 서버로 이루어지며 온라인을 통하여 요청된 URL과 번들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요청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여기서, 에셋 번들은 유니티 내에 존재하는 리소스에 관한 에셋(스크립트, 프리팹, 사운드, 텍스쳐, 머티리얼 등)을 묶음(Bundle)으로 만들어 외부 스토리지에 로드하여 사용하게 되며, 스토어에서는 분할된 용량별로 다운받으며, 가상체험 데이터 인스톨 후 나머지 에셋 번들을 분할된 용량별로 다운로드된다.Here, the Asset Bundle makes a bundle of assets (scripts, prefabs, sounds, textures, materials, etc.) related to resources existing in Unity and loads them into external storage for use. , After installing the virtual experience data, the remaining asset bundles are downloaded by divided capacity.
시뮬레이터부(40)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에 대하여 가상 공간에 매칭되도록 모션을 제공한다.The simulator unit 40 provides motion to match the virtual space with respect to the real space in which each user of the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판별한다.The interaction
이 때,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접속ID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식별ID를 부여하고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에 대하여 특정 동일 가상공간에서 초기화된 각각의 가상공간 좌표를 부여한다.At this time, the interaction
이후,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예를 들면,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 접근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interaction
유효접근 판별부(60)는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동일한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이동이나 동작에 따른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제공하며, 그 경계 범위의 초과여부를 판별한다.The effective
이 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간은 체험되는 특정 가상공간에서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가 점유할 수 없는 공간이나 위험 공간 경계 밖의 범위 이내에 있는 제1 공간의 범위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보다 좁은 공간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가용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의 완충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 공간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pace provided to the user is a space that cannot be occupied by the user of the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효접근 공간 범위는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의 완충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 공간으로 이루어진다.The effective access space range provided by the effective
제어부(70)는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작용, 예를 들면,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의 모션 결과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들 사이의 충돌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70)는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판별된 각 사용자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의 결과에 따라 경보 데이터를 해당되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상공간에서 가용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 공간으로부터 위험 공간의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 방향으로 진입하게 될 경우 완충공간인 제2 공간의 영역 내에 위치한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해당 HMD(10; 10: 10a, 10b, 10c,...10n)에 제공한다.The
여기서, 위험 공간의 영역에 해당 되는 제1 영역과 완충 공간에 해당되는 제2 영역의 경계는 예를 들면, 가상공간의 절벽이나 벽과 같은 장애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anger space and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buffer space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obstacle such as a cliff or a wall in the virtual space.
한편, 제어부(70)는 HMD(10)을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모션 정보를 파악하며, HMD(1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객체의 자세는 3차원 자세정보에 동기되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HMD(1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객체의 좌표는 실제영상정보에 대한 공간 좌표계에서 HMD(10)의 모바일 좌표계로 변경되고, 선택 해제된 가상객체의 좌표는 HMD(10)의 모바일 좌표계에서 실제영상정보에 대한 공간 좌표계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HMD(10)을 3차원적으로 움직일 경우, 선택된 가상객체는 그 3차원적인 움직임에 동기되어 자세가 자동 변경된다. 6자유도 센서부(12)는 HMD(10)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응시방향, 이동방향, 기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rdinates of at least one or more virtual objects selected in the
HMD(10)에 대하여 가상객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객체가 HMD(10)의 디스플레이부(14)로 전송된다. 이 때, 가상객체의 기준 좌표계를 공간 좌표계에서 HMD(10)의 좌표계로 변경된다. 가상객체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HMD(10)을 이동/회전하면, HMD(10)에 연결된 가상객체의 이동/회전 정보가 HMD(10)의 3차원 움직임에 동기에 3차원적으로 변경된다. 가상객체가 입력되지 않도록 하면 가상객체가 HMD(10)에서 분리된다. 그에 따라 가상객체의 기준 좌표계가 HMD(10)의 좌표계에서 공간 좌표계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70)는 HMD(10)의 구동신호에 따라 DB서버(20)로부터 URL을 입력받아 HMD(10)와 시뮬레이터부(40)를 제어한다.When a virtual object is selected for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에 의하면, 체험자용 HMD(10A)와 가이드용 HMD(10B)를 각각 착용한 사용자들이 가상의 공간에서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체험자와 가이드가 착용하고 있는 HMD(10)에는 각 HMD(10)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표지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식별표지 생성부(16)를 더 구비한다. 식별표지 생성부(16)는 각 HMD(10)의 움직임에 따른 착용자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하며, 제어부(70)로 입력한다.According to the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occur while users wearing the HMD 10A for the experience and the HMD 10B for the guide, respectively, move in a virtual space, The
한편, 제어부(70)는 각 HMD(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 관한 실 공간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이차원 위치 좌표로 배열하며, 각 식별표지 생성부(16)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이들 HMD(1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 대한 상대적 거리 정보를 생성하며,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HMD(10)의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거나 알람 정보를 HMD(10)으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HMD(10)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동하는 HMD(10)의 착용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a safety accident that occurs between wearers of the
10, 10a, 10b, 10c,...10n: HMD
12: 6자유도 센서부
14: 디스플레이부
16: 식별표지 생성부
20: DB서버
30: 컨텐츠 서버
40: 시뮬레이터부
50: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
60: 유효접근 판별부
70: 제어부10, 10a, 10b, 10c,...10n: HMD
12: 6 degree of freedom sensor unit
14: display unit
16: identification mark generation unit
20: DB server
30: content server
40: simulator unit
50: interaction data generation unit
60: effective access determination unit
70: control unit
Claims (11)
웹서버 또는 스토리지를 구축하며 3차원 가상공간 실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내재되며 3D 영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응답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DB서버(20);
애셋 번들을 위한 서버로 이루어지며 온라인을 통하여 요청된 URL과 번들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요청에 맞는 컨텐츠와 특정 가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서버(30);
가상 공간에 매칭되도록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착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대하여 모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부(40);
컨텐츠 서버(3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상공간 상에서 각 사용자의 점유 유효공간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를 판별하기 위한 유효접근 판별부(60); 및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작용에 따른 각 사용자에 대한 충돌에 대한 경보를 발생시키며 유효접근 판별부(60)에 의하여 판별된 각 사용자에 대한 유효접근 공간 범위의 결과에 따라 경보 데이터를 해당되는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an HMD (head mounted display; 10: 10a, 10b, 10c, ... 10n) having a 6 degree of freedom sensor unit 12 for detecting 6 degrees of freedom related to each participant's posture and displaying a 3D image;
A DB server 20 for constructing a web server or storage, having a program necessary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provid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response form to the content of a 3D image;
a content server 30 comprising a server for an asset bundle and providing content and a specific virtual space suitable for the reques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RL and the bundle version requested through online;
a simulator unit 40 for providing motion in a space in which each wearer of the HMD 10; 10: 10a, 10b, 10c, ... 10n is located so as to match the virtual space;
an effective access determining unit 60 for determining an effective access space range for each user's occupied effective space on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content server 30; and
Generates an alert for collision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data generating unit 50, and the result of the effective access space range for each user determined by the effective access determining unit 60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comprising: a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o provide alert dat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HMD (10; 10: 10a, 10b, 10c, ... 10n) to the user.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상호작용 데이이터생성부(50)는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접속ID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식별ID를 부여하고 각 HMD(10; 10: 10a, 10b, 10c,...10n)의 각 사용자들에 대하여 특정 동일 가상공간에서 초기화된 각각의 가상공간 좌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mulator unit 40 provides motion to match the virtual space with respect to the real space in which each user of the HMD (10; 10: 10a, 10b, 10c, ... 10n) is located,
The interaction data generation unit 50 generates the interaction data generation unit 50 according to the online access ID for each user of each HMD 10; 10: 10a, 10b, 10c, ... 10n. An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to each HMD (10; 10: 10: 10a, 10b, 10c, ... 10n), and each virtual space coordinate initialized in a specific same virtual space is given to each user. Online multiplayer VR experience system.
제어부(70)는 사용자의 가상공간에서 가용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 공간으로부터 위험 공간의 영역에 해당되는 제1 영역 방향으로 진입하게 될 경우 완충공간인 제2 공간의 영역 내에 위치한 HMD(10; 10: 10a, 10b, 10c,...10n)의 사용자에 대하여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해당 HMD(10; 10: 10a, 10b, 10c,...10n)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third space consisting of a buffer space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provided,
When the controller 70 enter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dangerous space from the second space consisting of the available space in the user's virtual space, the HMD (10; 10) located in the area of the second space as the buffer space: 10a, 10b, 10c,... VR experience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515A KR20220109920A (en) | 2021-01-29 | 2021-01-29 |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515A KR20220109920A (en) | 2021-01-29 | 2021-01-29 |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9920A true KR20220109920A (en) | 2022-08-05 |
Family
ID=8282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515A Pending KR20220109920A (en) | 2021-01-29 | 2021-01-29 |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992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42049A (en) * | 2022-08-26 | 2023-04-07 | 北京博雅睿视科技有限公司 | VR video-oriented visual angle swi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3515A patent/KR20220109920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42049A (en) * | 2022-08-26 | 2023-04-07 | 北京博雅睿视科技有限公司 | VR video-oriented visual angle swi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31568B2 (en) | Eye tracking with prediction and latest updates to the GPU for fast foveated rendering in HMD environments | |
CN112400150B (en) | Dynamic graphics rendering based on predicted glance landing sites | |
US10496158B2 (en) |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generation program | |
Blade et al. | Virtual environments standards and terminology | |
JP5961736B1 (en) |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system | |
KR102209873B1 (en) | Perception based predictive tracking for head mounted displays | |
JP6002286B1 (en) |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and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program | |
CN109643161A (en) | Dynamic enters and leaves the reality environment browsed by different HMD users | |
JP2022519975A (en) | Artificial reality system with multiple involvement modes | |
JP6234622B1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via virtual space,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ogram | |
US20220405996A1 (en) |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JP6275891B1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via virtual space,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ogram | |
JP7150354B2 (en) | Vehicle design support system | |
JP2018124907A (en) | Method for supporting movement in virtual space,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the program | |
JP6433862B2 (en) | Head mounted display system control program, computer and method | |
JP6947661B2 (en) | A program executed by a comput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head mount devic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executing the program, and a method executed by a comput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head mount device. | |
JP2017021824A (en) |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and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program | |
KR20220109920A (en) | Experience system of online multi-players | |
KR102343601B1 (en) | Tourism experience system with 60DOF online multi-player | |
JP6522092B1 (en) |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 |
US10217186B2 (en) | Method,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fast-moving frames of virtual reality | |
JP6598575B2 (en) |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system | |
JP2019021347A (en) | Head-mounted display system control program | |
JP7589795B2 (en) |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program | |
WO2024185429A1 (en) | Head-mounted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