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668A - 절연 안전 튜브 - Google Patents
절연 안전 튜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4668A KR20220104668A KR1020220088198A KR20220088198A KR20220104668A KR 20220104668 A KR20220104668 A KR 20220104668A KR 1020220088198 A KR1020220088198 A KR 1020220088198A KR 20220088198 A KR20220088198 A KR 20220088198A KR 20220104668 A KR20220104668 A KR 20220104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outer tube
- inner tube
- presen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3—Filling materials, e.g. solid or fluid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안전 튜브에 관한 것으로, 절연물질로 구성된 외부 튜브 및 상기 외부 튜브 내에 수용되고, 절연물질로 구성된 내부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튜브의 밖으로 도출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튜브의 중심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연 안전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략량계 단자대 및 전선의 혼촉을 예방할 수 있는 절연 안전 튜브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는 기업이나 가정에서 사용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도구로, 일반적으로 집안이나 빌딩으로 들어가는 전선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략량계의 부설 및 교체 시 전체 전력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활선상태의 전선의 피복을 일부 제거한 후 전략량계 단자대에 삽입하는 시공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피복이 제거된 전선은 절연테이프로 임시 처리하여 혼촉 예방을 할 수 있으나, 절연테이프의 일부가 벗겨지거나 절연테이프 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저압 활선상태에서 벗겨진 피복이 혼촉되어 전략량계 소손 및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1-0006236호(2011.06.2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복이 벗겨져 노출된 전선의 전략량계 부설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절연 안전 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는 절연물질로 구성된 외부 튜브; 및 상기 외부 튜브 내에 수용되고, 절연물질로 구성된 내부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튜브의 밖으로 도출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튜브의 중심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내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작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홈 형상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내부 튜브가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튜브는 일단이 튜브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호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전선이 상기 방호부에 접한 상태에는 벌어졌다가 전선이 상기 방호부에 접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튜브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라드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튜브 및 상기 내부 튜브 절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부 튜브는 절개된 외부 튜브의 양측을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는 전선을 튜브 내로 수용한 이후 외부 튜브 내에 위치한 내부 튜브를 위로 밀어 올려 노출된 전선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노출을 방호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에 전선이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통해 전선의 노출부를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에 전선이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통해 전선의 노출부를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에 전선이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통해 전선의 노출부를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는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는 절연물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전선의 절연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다양한 전선 규격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는 원기둥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부 튜브(10)는 고정부(11), 지지부(12), 체결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튜브(20)는 방호부(21) 및 조작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튜브(20)의 방호부(21)는 일단이 튜브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출된 전선이 수용되는 경우에 전선의 끝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호부(21)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전선(30)이 방호부(21)에 접한 상태에는 벌어졌다가 전선(30)이 접하지 않을 때에는 튜브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22)는 그 일부가 외부 튜브(10)의 밖으로 도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내부 튜브(20)를 튜브의 중심축 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튜브(20)에는 조작부(22)가 움직일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조작부(22)에는 돌출된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 튜브(10)의 고정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조작부(22)의 고정부재는 이에 대응하는 고정부(11)의 홈 형상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는 절개부(14)를 가지고 있어 벌려질 수 있으며, 이렇게 벌려진 튜브 내에 전선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튜브(10)의 체결부(13)는 벌려진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가 닫힌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 튜브(10)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은 걸쇠 방식, 끼움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튜브(10)의 지지부(12)는 내부 튜브(20)가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튜브(20)가 외부 튜브(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절연 안전 튜브에 전선을 장착하여 절연을 수행하는 방식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튜브(10) 및 내부 튜브(20)를 벌려서 전선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전선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22)를 조작하여 내부 튜브(20)를 밀어 올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출된 전선이 내부 튜브에 의해 커버되도로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안전 튜브는 전선을 튜브 내로 수용한 이후 외부 튜브 내에 위치한 내부 튜브를 위로 밀어 올려 노출된 전선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노출을 방호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외부 튜브
11: 고정부
12: 지지부
13: 체결부
14: 절개부
20: 내부 튜브
21: 방호부
22: 조작부
30: 전선
11: 고정부
12: 지지부
13: 체결부
14: 절개부
20: 내부 튜브
21: 방호부
22: 조작부
30: 전선
Claims (3)
- 절연물질로 구성된 외부 튜브; 및
상기 외부 튜브 내에 수용되고, 절연물질로 구성된 내부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 튜브의 밖으로 도출된 조작부를 포함하여 튜브의 중심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내부 튜브는 일단이 튜브의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내부 튜브가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안전 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 및 상기 내부 튜브는 절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부 튜브는 절개된 외부 튜브의 양측을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안전 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 및 상기 내부 튜브는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안전 튜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198A KR102539343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883A KR102423627B1 (ko) | 2020-07-01 | 2020-07-01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8A KR102539343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883A Division KR102423627B1 (ko) | 2020-07-01 | 2020-07-01 | 절연 안전 튜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4668A true KR20220104668A (ko) | 2022-07-26 |
KR102539343B1 KR102539343B1 (ko) | 2023-06-05 |
Family
ID=7934750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883A KR102423627B1 (ko) | 2020-07-01 | 2020-07-01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6A KR102537105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9A KR102526897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7A KR102526896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8A KR102539343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200A KR102539344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883A KR102423627B1 (ko) | 2020-07-01 | 2020-07-01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6A KR102537105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9A KR102526897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KR1020220088197A KR102526896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200A KR102539344B1 (ko) | 2020-07-01 | 2022-07-18 | 절연 안전 튜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6) | KR10242362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532Y1 (ko) * | 1999-10-27 | 2000-03-15 | 한국전력공사 | 전력량계 단자 안전카바 |
KR20000019707U (ko) * | 1999-04-19 | 2000-11-25 | 김봉주 | 전선접속부용 절연카바체 |
KR200441726Y1 (ko) * | 2008-04-29 | 2008-09-03 | 홍성언 | 케이블 안전장치 |
KR20090076378A (ko) * | 2008-01-08 | 2009-07-13 | 한국전력공사 |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
JP2013258903A (ja) * | 2013-07-04 | 2013-12-26 | Osaki Electric Co Ltd |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
KR20200039179A (ko) * | 2018-10-05 | 2020-04-16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혼촉 방지캡 |
-
2020
- 2020-07-01 KR KR1020200080883A patent/KR1024236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18 KR KR1020220088196A patent/KR1025371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18 KR KR1020220088199A patent/KR102526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18 KR KR1020220088197A patent/KR102526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18 KR KR1020220088198A patent/KR102539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7-18 KR KR1020220088200A patent/KR102539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707U (ko) * | 1999-04-19 | 2000-11-25 | 김봉주 | 전선접속부용 절연카바체 |
KR200175532Y1 (ko) * | 1999-10-27 | 2000-03-15 | 한국전력공사 | 전력량계 단자 안전카바 |
KR20090076378A (ko) * | 2008-01-08 | 2009-07-13 | 한국전력공사 |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
KR200441726Y1 (ko) * | 2008-04-29 | 2008-09-03 | 홍성언 | 케이블 안전장치 |
JP2013258903A (ja) * | 2013-07-04 | 2013-12-26 | Osaki Electric Co Ltd |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
KR20200039179A (ko) * | 2018-10-05 | 2020-04-16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혼촉 방지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9344B1 (ko) | 2023-06-05 |
KR20220105628A (ko) | 2022-07-27 |
KR102537105B1 (ko) | 2023-05-30 |
KR102526897B1 (ko) | 2023-05-02 |
KR102526896B1 (ko) | 2023-05-02 |
KR20220106723A (ko) | 2022-07-29 |
KR20220106089A (ko) | 2022-07-28 |
KR20220106090A (ko) | 2022-07-28 |
KR102423627B1 (ko) | 2022-07-21 |
KR102539343B1 (ko) | 2023-06-05 |
KR20220003277A (ko) | 2022-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5559B1 (ko) |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 |
WO1995006342A1 (en) | Busway tap-off base assembly | |
KR20220165550A (ko) | 간접활선작업용 절연보강재 내장형 절연커버 | |
KR102423627B1 (ko) | 절연 안전 튜브 | |
MX2011003830A (es) | Conector cable coaxial. | |
CA3080376C (en) |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 |
KR102344312B1 (ko) |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 |
EP1710868A2 (en) | Sealing element for terminal portions of multipolar cables | |
KR100852365B1 (ko) | 단자보호커버 | |
US6558184B1 (en) | Connector of the insulation-perforating type for a suspended electrical system | |
KR101868322B1 (ko) |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 커버 | |
KR20090076378A (ko) |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 |
KR102037508B1 (ko) | 매립박스 일체형 매립형 콘센트 | |
KR200479319Y1 (ko) |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 |
KR200339034Y1 (ko) | 애자 방호관 | |
CN205104388U (zh) | 微动开关的绝缘防护结构、微动开关组件和空气净化器 | |
CN220324159U (zh) | 一种电线电缆10kV熔接头防护装置 | |
US20240055846A1 (en) | Cable stacker | |
JP6093657B2 (ja) | 電線用被覆補修カバー | |
CN221305478U (zh) | 一种线径自适应封堵结构 | |
CN217742907U (zh) | 一种带穿线孔装置的配电室防鼠挡板 | |
JPH11111361A (ja) | シールド電線用防水保護カバー | |
US20240067413A1 (en) | Utility box cover | |
JPH10284852A (ja) | 電装部品の保護装置 | |
CN106785632B (zh) | 一种电缆防倒供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