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884A -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5884A KR20220095884A KR1020200187853A KR20200187853A KR20220095884A KR 20220095884 A KR20220095884 A KR 20220095884A KR 1020200187853 A KR1020200187853 A KR 1020200187853A KR 20200187853 A KR20200187853 A KR 20200187853A KR 20220095884 A KR20220095884 A KR 202200958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ed surface
- rotation axis
- front door
- discharge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면토출구를 개폐하는 전방도어부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방지향기류의 형성 시에 전방도어부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fro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front discharge port while mov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keep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door to a minimum when forming a forward directing airflow. .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uses a refrigerant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to cool and purify air in orde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user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캐비닛의 전면이나 측면에 형성되고, 흡입구가 캐비닛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eiling type, a wall-mounted type, and a stand typ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stand-type indoor unit,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side surface of the cabinet, and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스탠드형 실내기를 비롯하여 천장형 또는 벽결이형 실내기는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환이나 기류방향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eiling-type or wall-mounted indoor units, including stand-type indoor units, generally include means for changing the discharge direction or air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이와 관련하여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9419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함)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전후방향으로 전면패널을 이동시켜 전면토출구에 형성되는 유로를 가변함으로써, 전면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1094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the front panel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vary the flow path formed in the front discharge port. , a configuration for switching the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ront discharge port is disclosed.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기류방향의 전환을 위해 전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전면패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면패널 자체의 사이즈가 증가되고, 부품수 및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전방지향기류 형성 시에 전면토출구의 유효 단면적이 측방지향기류 형성 시보다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풍량이 감소되고 소음이 현저히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전면토출구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또는 전면토출구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전면패널이 적용되기 때문에 전방지향기류 생성 시에 토출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이로 인해 효율이 급격히 감소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5792호(이하, 선행문헌 2라함)에는 선행문헌 1과 유사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면패널을 이용하여 전면토출구에 형성되는 유로를 가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은 선행문헌 1에 비해서 전방지향기류 형성 시에 전면토출구에 보다 많은 개도량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이 확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5579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low path formed in the front discharge port is varied by using a front panel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다만, 선행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은 전방지향기류 형성 시에 선행문헌 1에 비해서 전면패널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However,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이와 같은 전방패널의 과도한 돌출량에 의해서, 전방패널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불안정하게 되고, 전방패널의 지지를 위해서 보다 강성이 높은 소재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급격히 증가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Due to such an excessiv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panel,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ront panel reciprocally is unstable, and since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must be used to support the front panel, the manufacturing cost is inevitab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또한, 전방패널의 과도한 돌출량에 의해서, 즉 전면토출구의 개도량이 지나치게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전면토출구를 통해서 실내기의 내부 구조가 지나치게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그리고 심미적으로 불안감을 생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panel, that is, the opening of the front discharge port is inevitably larg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is excessively expos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which can create psychological and aesthetic anxiety for user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 시에 전방도어부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aintaining a minimum amount of protrusion of a front door when a forward direction airflow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전면토출구의 단면적보다 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전방도어부를 적용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flow resistance of discharged air by applying a front door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a front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은 전방도어부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갖는 전방송풍팬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전방지향기류 형성 시에 원거리까지 송풍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applying an all-broadcast wind fan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ront door unit and blowing air over a long distance when a forward direction airflow is form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 열교환기, 송풍팬, 토출가이드, 및 전방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와 함께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전방도어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는 제1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경사면 중 일부가 상기 전면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전방도어부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 heat exchanger, a blowing fan, a discharge guide, and a front doo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door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together with the discharge guide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rises while proceeding forward along do. Through this,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door can be kept to a minimum.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고, 상기 전면토출구까지 연장되는 제3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전면토출구로부터 돌출되는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guide, a second inclined surface gradually descending while proceed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gradually ascending while progress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extending to the front discharge port, wherein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forward position In this state,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des from the front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s smaller than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2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a longitudinal length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s smaller than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과 나란한 방향과 제3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경사각은 상기 제1 경사각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first inclination angle, the third inclined surface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third inclination angle, and the third inclination angle is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becomes small
또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각이 상기 제3 경사각보다 더 크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ms a second inclination angle with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is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angle.
또한,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최단거리가 되는 유로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중에서 최소 단면적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적거나 같게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a passage neck portion serving a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am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charge guide is formed,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portion is moved to the frontmost position, the front view A minimum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sherman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door and the flow passage neck.
또한, 상기 최소 단면적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의 70% 이상 100% 이하가 된다.In addition,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is 70% or more and 100% or less of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door and the passage neck.
또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판형상이 되는 상기 전방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상기 송풍팬의 최대반경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s to a front end of the front door, a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having a disk shape, and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that of the blowing fan. smaller than the maximum radius.
또한,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형개구가 되는 상기 전면토출구의 최대반경보다 더 작게 된다.In addition,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ischarge port, which is a circular opening.
또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의 최대반경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부까지의 직선거리가 된다.In addition, the blowing fan includes at least one blade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maximum radius of the blowing fan is a linear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an outer end of the blade.
또한,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front door part is entirely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guide.
또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고,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s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front end part of the front door part is positioned in the area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판형상이 되는 상기 전방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유로목부까지의 직선거리보다 더 크게 된다.In addition,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having a disk shape, and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greater than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the flow passage neck.
또한, 상기 전방도어부는, 상기 최전방 위치와 상기 최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상기 전면토출구로 토출되었던 기류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기류방향이 전환된다.In addition, the front door unit may be stopp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rontmost position and the rearmost position, and when the front door unit is mov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front door unit may have been moved to the frontmost position. The air flow direction is changed to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air flow direction that was discharged.
또한,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토출구와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formed between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flow passage ne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가 상기 전면토출구와 동일한 위치가 된다.Also,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is the same as the front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중간 위치에서 정지되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된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door unit is stopp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proceed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유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은 상기 제2 경사면의 후방단부로부터 전방단부까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guide includes at least one van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at least one vane is located on the rotation axis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the front end. extended in parallel directions.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내측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vane and the rotation axis is kept constant while procee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내측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경사면의 전방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거나 같게 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vane and the rotation axi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rotation axi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방도어부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전방도어부의 자체의 사이즈 및 전방도어부를 지지하는 구성물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front door itself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supporting the front door by keep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door to a minimum,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방도어부의 돌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내부 구조의 노출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리적 그리고 심미적으로 안정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psychological and aesthetic stability for the user by keep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ront door to a minimum and thus the exposure of the internal structure to a minimu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토출구의 단면적보다 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전방도어부를 적용하여 유동저항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증가시키고 보다 원거리 지역까지 송풍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efficiency by minimizing flow resistance by applying a front door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allowing air to be blown to a more remote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방도어부의 돌출량 및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어 더 큰 송풍용량을 갖는 송풍팬을 적용하여 토출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원거리 지역까지 원활이 송풍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trusion amount and size of the front door, so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discharge capacity by applying a blower fan having a larger blowing capacity, and it is possible to smoothly blow air to a remote area has the effect of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방송풍모듈로서 전방도어부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방송풍모듈로서 전방도어부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링과 유성기어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푸시링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도어구동부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도어구동부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캐리어하우징을 추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링과 무빙실린더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무빙실린더가 푸시링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토출가이드와 제2 토출가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1 토출가이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2 토출가이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제2 토출가이드의 후면사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방도어부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방도어부가 면맞춤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방도어부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as the all-broadcast wind module shown in FIG.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most forward position as the all-broadcast wind module shown in FIG. 3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ring and the planetary gear devic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the push ring shown in FIG.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ront door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door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carrier housing is added in FIG. 11 .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ush ring and a moving cylinder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cylinder is advanced with respect to the push ring in FIG. 14 .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charge guide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shown in FIG. 16 .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ischarge guide shown in FIG. 16 .
19 is a rear side view of the second discharge guide shown in FIG. 16 .
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is moved to a mat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is moved to the most forward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upper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C to D” is u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specific opposit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that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and less than or equal to 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구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First, the entire assembly structure constituting the
<전체구성><Overall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 어셈블리(Ⅰ),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방 토출구 및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도어 어셈블리(Ⅱ),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어셈블리(Ⅲ), 송풍팬 어셈블리(Ⅲ)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어셈블리(Ⅳ),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Ⅵ), 필터 어셈블리(Ⅵ)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 및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어셈블리(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캐비닛 어셈블리><Cabinet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어셈블리(Ⅰ)는 후방으로 흡입구(111)를 형성하고, 내측에 열교환기(41)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어퍼캐비닛(11)과, 리어어퍼캐비닛(11)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습 어셈블리(Ⅴ)의 일부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의 후방 및 측방을 커버하는 리어로어캐비닛(13)과, 리어어퍼캐비닛(11) 및 리어로어캐비닛(13)의 개구된 전면에 배치되는 프런트캐비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 assembly (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upper cabinet 11 that forms a
리어어퍼캐비닛(11)은, 전체적으로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리어로어캐비닛(13) 및 베이스부(12)의 상측에 배치된다. 개구된 전면에는 후술하는 프런트캐비닛(14)이 배치되며, 개구된 상면에는 탑커버(15)가 배치된다.The rear upper cabinet 11 is formed to have a U-shape with an open front and an upper surface as a whole, and is disposed above the rear
리어어퍼캐비닛(11)은 내부에 열교환기(41)와,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구성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어어퍼캐비닛(11)의 내측에는 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열교환기 장착부재(미도시)와, 전방송풍모듈(31)이 장착되는 전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장착되는 측방송풍모듈 장착부재(미도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rear upper cabinet 11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리어어퍼캐비닛(11)의 후방에는 흡입구(111)가 형성되며, 흡입구(111) 측에는 필터 어셈블리(Ⅵ)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캐비닛(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A
또한, 리어어퍼캐비닛(11)의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 사이에는, 필터청소기(72)의 상하방향(U-D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배치된다. In add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이동가이더(71)는, 리어어퍼캐비닛(11) 후방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방향(U-D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movement guide 7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한편, 리어어퍼캐비닛(11)의 후방에는, 레일 형태의 이동가이더(71)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이온화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온화부는,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으로, 흡입구(111)로 유동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t the rear of the rear upper cabinet 11 , an ionization unit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rail-shaped
또한, 리어로어캐비닛(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냉매관(42)이 관통하는 냉매관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리어로어캐비닛(13)의 후방 하부면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홀(131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베이스부(12)는 리어어퍼캐비닛(11)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가습 어셈블리(Ⅴ)의 구성인 수조(51)와 히팅부(미도시)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부(12)는 내측에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감기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2)의 외둘레에는 리어로어캐비닛(13), 및 도어 어셈블리(Ⅱ)의 측면도어 유닛(2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또한, 베이스부(12)에는,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와 연결되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원선 관통홀(미도시), 가습 어셈블리(Ⅴ)의 가습유로관(미도시)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습유로관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또한, 베이스부(12)의 상측에는 리어어퍼캐비닛(11)이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어퍼캐비닛(11)를 포함하는 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upper cabinet 11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하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캐비닛(11)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2)와 리어어퍼캐비닛(11)의 전면에 프런트캐비닛(14)이 배치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프런트캐비닛(14)은 실내기(1)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위치로서 전방송풍모듈(3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교환 어셈블리(Ⅳ)에 의해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가 전방송풍모듈(31)에 의해 가속되어 배출되는 전면토출구(141)가 형성된다. The
또한, 프런트캐비닛(14)에는, 실내공간의 조건을 감지하는 카메라센서(14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142)는 프런트캐비닛(14)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여기서, 실내공간의 조건이란, 실내공간의 크기, 실내공간에 존재하는 재실자의 수, 재실자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dition of the indoor space may include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number of occupants in the indoor space, and the location of the occupants.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도어 어셈블리(Ⅱ)는, 프런트캐비닛(14)에 형성되는 전면토출구(141)를 개폐하고 전면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방 도어모듈(21)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모듈(22)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히든 베인모듈(23)을 포함한다.The door assembly (II) includes a
전방 도어모듈(21)은, 전면토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폐쇄하는 최후방 위치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된다.The
전방 도어모듈(21)이 최전방 위치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방지향기류를 생성하는 운전 모드는, 후술하는 간접풍 운전모드와 구별하기 위해서 직접풍 운전모드로서 규정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나아가 전방 도어모듈(21)은 최후방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면맞춤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면맞춤 위치는, 전방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이 프런트캐비넷(14)의 전방면과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에 해당한다.Furthermore, the
면맞춤 위치에 전방 도어 모듈(21)이 정지되면, 전방 도어모듈(21)의 외면의 형상에 의해 전면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이 아닌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운전모드는 간접풍 운전모드로 규정될 수 있다. When the
한편, 도어모듈(21)의 가장 전방측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빛은 아우터패널(211)를 거쳐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패널(211)은, 사용자에게 실내기(1)의 운전 상태, 실내기(1) 주변의 공기질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측면 도어모듈(22)은,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측면 도어모듈(22)은, 실내기(1)가 전체적으로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실내기(1)의 전방송풍모듈(31)만 작동되는 상태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in the
이와 같이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가 측면 도어모듈(22)을 통해 폐쇄되도록 하여,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미세먼지 등이 유입되어 내부에 고착되거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측면 도어모듈(22)은. 전후방향(F-R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개폐하는 한 쌍의 측면 도어(221a, 221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와, 각각의 측면 도어(221a, 221b) 및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측면 도어(221a, 221b)는,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폐쇄하는 최전방 위치로부터 측면토출구(224a, 224b)를 완전히 개방하는 최후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심미감을 형성하고 프런트캐비닛(14)과 리어어퍼캐비닛(11)에 대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측면 도어(221a, 221b)는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소정의 폭으로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연장되고, 측면 도어(221a, 221b)의 외면은 리어어퍼캐비닛(11)과 프런트캐비닛(14)과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측면 도어(221a, 221b)의 이동 가능한 지지를 위해서, 일단이 측면 도어(221a, 221b)에 부착되며 타단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이동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For movable support of the side doors (221a, 221b), one end is attached to the side door (221a, 221b)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s (223a, 223b) to be movable and slidably supported by a guide connector (not shown). More may be provided.
예시적으로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는, 전동방식으로 측면 도어(221a, 221b)를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Exemplarily, the side
기어모터는, 고정부재에 해당하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측면 도어(221a, 221b)의 내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The gear motor is firmly fixed to the support frames 223a and 223b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s, and the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may be firm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도어(221a, 221b)는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측면 도어(221a, 221b)의 폭에 비해서 높이가 매우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구동부만으로는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어렵게 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에 대해서 각각 2개씩 측면 도어 구동부(222a, 222b)가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각각 개별 측면 도어(221a, 221b)이 상단 및 하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wo side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측면 도어(221a, 22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리어어퍼캐비닛(11) 및 리어로어캐비닛(13)과 함께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양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은 리어어퍼캐비닛(11)과 프런트캐비닛(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s 223a and 223b rotatably support the
또한,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는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토출구(224a, 224b)가 형성된다.In addi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a plurality of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서포트프레임(223a, 223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 및 고정되어, 캐비닛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히든 베인모듈(23)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측면 베인(225a, 225b)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지향기류는 전방방향(F-방향)에 대해서 약 25도 내외의 유효 토출각을 갖는 토출기류로서 규정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한편,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구비되는 측면 베인(225a, 225b)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베인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이 아닌 다른 부재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측면 베인이 후술하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토출가이드(326)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vane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프레임(223a, 223b)에 측면 베인(225a, 225b)이 구비되고 토출가이드(326)에 측면 베인(3261)이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as shown in FIG. 3 ,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upport frames 223a and 223b to be provided with
히든 베인모듈(23)은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되는 전방지향기류를 측방지향기류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hidden vane module 23 serves to convert 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discharged through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에 배출되는 공기는 서포트프레임(223a, 223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서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to the
히든 베인모듈(23)은 이와 같이 전방지향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전방지향기류의 방향 전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측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히든 베인(231a, 231b)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The hidden vane module 23 serves as a van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in this way. The direction change of 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is performed by plate-shaped
보다 상세히는, 히든 베인모듈(23)의 히든 베인(231a, 231b)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이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 중일 경우에는 프런트캐비닛(14)의 후면 측의 수납 위치에 숨겨진 상태 또는 히든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히든 베인(231a, 231b)은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지향기류가 유지된다.In more detail, the
다만, 직접풍 모드로부터 간접풍 모드로 전환을 위해서 히든 베인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면, 히든 베인(231a, 231b)은 전술한 수납 위치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개시된다.However, when the hidden vane driving unit (not shown) is operated to switch from the direct wind mode to the indirect wind mode, the
수평 이동이 개시되면, 히든 베인(231a, 231b)은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된 후 정지된다.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s started, the
히든 베인(231a, 231b)이 최종 전개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히든 베인(231a, 231b)에 의해서 저항을 받게 되고, 특히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적으로 히든 베인(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다.When the movement of the hidden
이 때, 측면토출구(224a, 224b)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전방 단부 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히든 베인(231a, 231b)과 충돌하게 되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후방 측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서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end side is the fastest amo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도 3에는 좌측면토출구(224a) 및 우측면토출구(224b)에 대응하여 각각 좌측 히든 베인(231a) 및 우측 히든 베인(231b)이 한 개씩 구비되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측 히든 베인(231a) 및 우측 히든 베인(231b)이 각각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고 볼 것이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좌우측에 각각 한 개씩(231a, 231b)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히든 베인(231a, 231b)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one left
히든 베인 구동부(미도시)는 전동방식으로 히든 베인(231a, 231b)을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모터와, 기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기어(미도시)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을 선형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idden vane driving unit (not shown) uses a gear motor to drive the
기어모터는,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피니언기어에 기어물림되는 랙기어는 히든 베인(231a, 231b)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히든 베인(231a, 231b)에 부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든 베인(231a, 231b)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랙기어가 부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홀(231h)이 형성될 수 있다.The gear motor is configured to be firmly supported by a separate bracket (not shown), and the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송풍팬 어셈블리><Blowing fan assembly>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실내기(1)의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전방송풍모듈(31), 실내기(1)의 양측의 측면토출구(224a, 224b)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를 포함한다. The blower fan assembly (III) includes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풍팬 어셈블리(Ⅲ)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전방송풍모듈(31)과 3개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듈(31)과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 어셈블리(Ⅳ)의 전방에 배치된다. The blower fan assembly (II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front
전방송풍모듈(31)은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의 상측에 배치된다. 전방송풍모듈(31)은 프런트캐비닛(14)에 형성된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한다. The all-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팬(311), 전방송풍모터(312), 및 전방송풍팬하우징(3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하우징(313)과 전술한 전방 도어모듈(21)의 구조적인 형태 및 전방 도어모듈(21)의 위치 선택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의 원거리로 배출되는 직접풍 모드로 운전되거나 공기가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배출되는 간접풍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The all-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전방송풍모듈(31)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복수 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 각각은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토출구(224a, 224b)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The side broadcast wind module (32a, 32b, 32c) is disposed below the front wind module (31). A plurality of side
각각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측방송풍팬(321a, 321b, 321c), 측방송풍모터(322a, 322b, 322c), 측방송풍팬하우징(323a, 323b, 323c), 흡입가이드(325a, 325b, 325c), 및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포함할 수 있다.Each side broadcast wind module (32a, 32b, 32c) is a side broadcast wind fan (321a, 321b, 321c), a side broadcast wind motor (322a, 322b, 322c), a side broadcast wind fan housing (323a, 323b, 323c), a suction guide ( 325a, 325b, and 325c), and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은 열교환기(41)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측방흡입가이드(325a, 325b, 325c)를 통해 흡입하고,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를 거쳐 측면토출구(224a, 224b)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e side broadcast wind modules (32a, 32b, 32c)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41), suck the heat-exchanged air through the side suction guides (325a, 325b, 325c), and the discharge guides (326a, 326b, 326c)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s (224a, 224b).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a, 326b, 326c)의 측면 베인에 의해 토출기류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24a, 224b)의 측면 베인(225a, 225b) 또는 토출가이드(326)의 측면 베인(3261)에 의해 결정되는 기류를 전방지향기류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The air flowing by the side broadcast wind module (32a, 32b, 32c) is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by the side vanes (225a, 225b) of the side outlets (224a, 224b) or the side vanes of the discharge guides (326a, 326b, 326c) This can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determined by the
<열교환 어셈블리><Heat Exchange Assembly>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리어어퍼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IV serves to heat exchang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rear upper cabinet 11 with the refrigerant.
열교환 어셈블리(Ⅳ)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41)와, 열교환기(41)로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IV)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41) through which a refrigerant exchanging heat with indoor air flows, and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such that the refrigerant flows into or out of the heat exchanger (41). have.
냉매관은 열교환기(41)로 유입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입관(42) 열교환기(41)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pipe may include a
열교환기(41)는 송풍팬 어셈블리(Ⅲ)의 후방에 배치된다. 열교환기(41)는 흡입구(111)와 토출구(22, 141)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기(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1)는 필터 어셈블리(Ⅵ)와 송풍팬 어셈블리(Ⅲ)사이에 배치된다.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41)는 복수의 측방송풍모듈(32a, 32b, 32c)과, 전방송풍모듈(31)가 상하로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캐비닛(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1)는 리어어퍼캐비닛(11) 내측에 형성되는 열교환기 체결부(미도시)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가습 어셈블리><Humidification Assembly>
가습 어셈블리(Ⅴ)는 실내기(1) 외부로 가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가습 어셈블리(Ⅴ)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 수조(51)의 물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히팅된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가습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가습토출노즐(미도시), 히팅부)에서 히팅된 가습공기를 가습토출노즐)로 가이드하는 가습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V may discharg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필터 어셈블리> <Filter assembly>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lter assembly VI serv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캐비닛(11)의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캐비닛(11)의 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111)에 배치되어,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리어어퍼캐비닛(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filter assembly (VI) is mova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ar upper cabinet (11). The filter assembly VI may be disposed at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흡입구(111)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를 포함한다. 필터 어셈블리(Ⅵ)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을 흡입구(111)에 배치시키거나, 리어어퍼캐비닛(11)의 측방면의 외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Ⅵ)는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재(미도시) 및 필터장착부재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V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ilter in which the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모듈이 흡입구에 배치될 때, 좌우로 형성되는 필터모듈의 폭방향으로 필터장착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리어어퍼캐비닛(11)의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는 제1필터모듈(62a, 62b)과, 리어어퍼캐비닛(11)의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는 제2필터모듈(62c, 62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필터모듈(62a, 62b)은, 흡입구(111) 좌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캐비닛(11)의 좌측면의 좌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모듈(62c, 62d)은, 흡입구(111) 우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리어어퍼캐비닛(11)의 우측면의 우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필터모듈(62a, 62b)과 제2 필터모듈(62c, 62d)이 모두 흡입구(111)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When both the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필터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621), 이온화부로 이온화된 공기 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부(미도시), 및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은 프리필터(621)가 장착되고, 필터장착부재에 장착되는 필터케이스(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622)에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된다. 필터케이스(622)는 프리필터(621)가 장착되는 면에서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는 서로 격자형태를 형성하며, 필터케이스(62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리필터(621)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필터모듈(62a, 62b, 62c, 62d)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The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리어로어캐비닛(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Ⅵ)의 하단부(60a)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청소 어셈블리(Ⅶ)의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이더(7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범위에서 최하단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The
<필터청소 어셈블리><Filter cleaning assembly>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의 후방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외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모듈(62a, 62b, 62c, 62d)의 프리필터(62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한다.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VI), and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assembly (VI). 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removes foreign substances caught in the
필터청소 어셈블리(Ⅶ)는 필터 어셈블리(Ⅵ) 후방에서 상하방향(U-D 방향)으로 이동하며, 필터 어셈블리(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72),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더(71), 및 필터청소기(7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cleaning assembly (VII)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lter assembly (VI),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전방도어모듈 및 전방송풍모듈의 세부 구성><Detailed composition of front door module and front wind module>
이하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전방도어모듈(21) 및 전방송풍모듈(31)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전면토출구(141)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전방도어모듈(21)은 프런트캐비닛(14)의 전면에 구비되고 후술하는 제3 토출가이드(317)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전면토출구(141)를 개폐하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도어모듈(21)과 결합하고, 캐비닛 어셈블리(Ⅰ)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모듈케이스(41)는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이 장착되고,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듈케이스(41)는 전방도어모듈(21)과 전방송풍모듈(31)을 이루는 각 부품들이 장착되기에 적절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어모듈(21)은 전방도어부(21a)와 전방도어구동부(21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 the
전방도어부(21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방도어구동부(21b)는 푸시링(214), 무빙실린더(215), 제1 모터(216), 유성기어장치(217), 서포트플레이트(218), 및 캐리어하우징(219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도 9를 참조하면, 푸시링(214)은 제1 모터(21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푸시링(214)은 무빙실린더(215)와 결합하고, 푸시링(214)이 회전함에 따라 무빙실린더(215)는 실내기(1)의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경로를 가지고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푸시링(214)은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무빙실린더(215)는 푸시링(214)의 외주에 장착되어 푸시링(214)이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시링(214)은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장착되어, 회전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무빙실린더(215)는 푸시링(214)의 외주에 장착되고, 푸시링(214)에 커플링되어 푸시링(214)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무빙실린더(215)의 전방부에는 무빙에어가이드(2192)가 결합한다.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무빙실린더(215)의 이동에 따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토출구(141)를 개폐하고, 전면토출구(141)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며, 토출기류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A moving
보다 상세히는,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회전축선(X-X) 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전방의 위치인 최전방 위치(Pf)와 가장 후방의 위치인 최후방 위치(Pr)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무빙실린더(215)에 의해 지지된다. In more detail, the moving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최전방 위치(Pf) 또는 최후방 위치(Pr)에 도달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최전방 위치(Pf)는 전면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기류(Fo)가 전방지향기류를 생성하는 기능 위치가 되고, 최전방 위치(Pf)는 무빙에어가이드(2192)가 토출유로(Fin)를 차단하는 기능 위치가 된다.When the moving
한편,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최전방 위치(Pf)와 최후방 위치(Pr)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정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지 상태가 유지되는 중간 위치는, 전방도어부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이 프런트캐비닛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면맞춤 위치(Pm)로서 규정될 수 있다. 면맞춤 위치(Pm)는 전면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기류(Fo)가 회전축선(X-X)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성을 갖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는 기능 위치가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0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한편, 제1 모터(216)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푸시링(214)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터(216)의 회전 및 정지동작은 실내기(1)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모터(216)는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유성기어장치(217)는 제1 모터(216)의 출력축에 결합하고, 제1 모터(216)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푸시링(214)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유성기어장치(217)는 제1 모터(216)의 출력축으로부터 구동력이 입력되고, 푸시링(214)에서 구동력이 출력될 수 있다.The
서포트플레이트(218)는 푸시링(214)과 결합하고, 제1 모터(216) 및 유성기어장치(217)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모터(216)는 서포트플레이트(218)에 장착되고, 회전축을 통해 유성기어장치(217)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캐리어하우징(2191)은 푸시링(214), 무빙실린더(215) 및 서포트플레이트(218)가 장착될 수 있다. 캐리어하우징(2191) 자신은 회전 또는 전후방향 이동을 하지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이 때, 캐리어하우징(2191)에 장착된 푸시링(214)은 제1 모터(216)가 회전함에 따라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하우징(2191)에 장착된 무빙실린더(215)는 제1 모터(216)가 회전함에 따라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무빙실린더(215)의 전방 측에 결합할 수 있다. 무빙에어가이드(2192)은 무빙실린더(215)에 장착되어 무빙실린더(21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캐리어하우징(219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물론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도 무빙실린더(215)의 전방부에 결합하여,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무빙실린더(215), 무빙에어가이드(2192) 및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도어부(21a)를 구성한다.Of course, the
디스플레이조명유닛(210)은 이너패널(213), 인쇄회로기판(212) 및 아우터패널(211)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이너패널(213)은 무빙실린더(215)에 결합하여,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2)은 이너패널(213)에 수용되고,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회로, 각종의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아우터패널(211)은 이너패널(213)에 결합하고, 이너패널(213)의 전방에 배치되며, 인쇄회로기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211a)가 구비될 수 있다.The
아우터패널(211)의 전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디스플레이부(211a)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1a)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도형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패널(211)의 전면에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All o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전방송풍모듈(31)은 전방송풍팬(311), 팬하우징(313), 제1 토출가이드(315), 전방송풍모터(312), 제2 토출가이드(316) 및 제3 토출가이드(3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l-
전방송풍팬(311)은 전방송풍모터(312)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전면토출구(141)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전면토출구(141)는 원형 개구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전방송풍팬(311)의 블레이드(3112)는 전면토출구(141)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기의 유동형상 및 유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The al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송풍팬(311)은 팬허브(3111), 슈라우드(3112) 및 복수의 블레이드(3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중앙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하는 사류팬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all-
이 때, 전방송풍팬(311)의 회전축선(X-X)은 프런트캐비닛(14)으로부터 리어어퍼캐비닛(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선(X-X)이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axis of rotation (X-X) of the
팬허브(3111)는 전체적으로 전방송풍팬(311)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허브(311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13)의 일단부가 견고히 고정된다.The
슈라우드(3112)는 팬허브(3111)와 회전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팬허브(3111)의 후방에 배치되고, 팬허브(3111)와 함께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슈라우드(3112)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13)의 타단부가 견고히 고정된다.The
복수의 블레이드(3113)는 각각 팬허브(3111)와 슈라우드(3112) 사이에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3113)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3113)는 회전축선(X-X)에 대해서 대체로 사선방향으로 연장된다.The plurality of
전방송풍팬(311)의 송풍용량은 사이즈, 즉 블레이드(3113)의 반경 사이즈를 통해 결정된다. 블레이드(3113)의 반경은 회전축선(X-X)으로부터 블레이드(3113)의 반경방향 외측단부까지의 직선거리로서 규정될 수 있다.The blowing capacity of the all-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도어부(21a)와 전면토출구(141) 사이에서 결정되는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은 종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좁게 유지된다. 따라서 적절한 토출용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의 전방송풍팬(311)의 반경, 즉 블레이드(3113)의 반경(dF)은 전방도어부(21a)의 최대 반경(dD)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flow path Fin determined between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도어부(21a)의 최대 반경(dD)은 전방도어부(21a)의 전방단부에 형성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ximum radius dD of the
한편, 팬하우징(313)은 전방송풍팬(311)을 수용하고, 전방송풍팬(3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전면토출구(141)로 향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 가이드를 위해, 팬하우징(313)의 내주면은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제1 토출가이드(315)는 전방송풍팬(311)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송풍팬(3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The
제2 토출가이드(316)는 제1 토출가이드(315)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토출가이드(31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전면토출구(141)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토출가이드(315)와 제2 토출가이드(316)는 전방송풍팬(31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유동에 포함된 회전속도 성분을 전방을 향하는 직진속도 성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토출가이드(315)와 제2 토출가이드(316)는 각각 공기유동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안내하는 제1 베인(3153)과 제2 베인(3162)을 구비한다.The
제1 토출가이드(315)와 제2 토출가이드(316)에 관한 세부 구성을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전방송풍모터(312)는 제1 토출가이드(315)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출력축이 제1 토출가이드(31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전방송풍팬(311)의 팬허브(3111)에 결합할 수 있다. 전방송풍모터(312)는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전방송풍팬(31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한다.The all-
전방송풍모터(312)를 제1 토출가이드(315)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방송풍모터(312)를 제1 토출가이드(315)의 중앙부에 고정시키고 제1 토출가이드(315)의 전방 내벽에 결합하는 모터브라켓(312a)가 제1 토출가이드(315)에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all-
제3 토출가이드(317)는 제2 토출가이드(316)의 전방에 배치되고, 무빙에어가이드(2192)와 함께 전면토출구(141)의 후방에 형성되는 토출유로(Fin)를 형성할 수 있다. The
링형상을 갖는 토출유로(Fin)는, 유동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가변되도록 형성된다.The discharge flow path Fin having a ring shape is formed to have a variable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flow direction.
제3 토출가이드(317)는 제2 토출가이드(316)과 함께 토출유로(Fin)의 외측경계면을 형성하고,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토출유로(Fin)의 내측경계면을 형성한다. 토출유로(Fin)는 제3 토출가이드(317)와 무빙에어가이드(2192)에 의해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토출유로(Fin)의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도 20 내지 도 24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flow path Fi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
이하,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방도어부(21a)와 전방도어구동부(21b)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도어부(21a)의 무빙에어가이드(2192)는 바디부(2192a)와 에어가이드부(2192b)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바디부(2192a)는, 전방도어구동부(21b)의 무빙실린더(215)에 결합하고,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2192a)는 무빙실린더(215)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에어가이드부(2192b)는 바디부(2192a)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방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외면이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2192b)의 외주면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는 제1 경사면(21a1)을 구비한다. The
이 때, 제1 경사면(21a1)은 회전축선(X-X)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곡선이 되는 단면곡선부(2492b-2, 도 20 참조)와, 단면이 직선이 되는 단면직선부(2492b-3, 도 20 참조)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includes a curved section 2492b-2 (refer to FIG. 20) in which a cross section cut by a pla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X-X is curved, and a straight section 2492b-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a straight line. 3, see FIG. 20).
단면직선부(2492b-3, 도 20 참조)는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과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한다. 단면직선부(2492b-3)의 상승각도는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제1 경사각(θ1)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The cross-sectional straight portion 2492b-3 (refer to FIG. 20 ) forms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with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X. The rising angle of the cross-sectional straight part 2492b-3 is constantly maintained at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while procee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X.
이 때, 제1 경사각(θ1)은 30˚~50˚의 범위를 갖도록 설정된다. 50˚를 초과하는 경사각이 설정되면 유동저항이 급격히 증가하고 동시에 소음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is set to have a range of 30° to 50°. This is because if an inclination angle exceeding 50° is set, the flow resistance increases rapidly and noise may increase at the same time.
또한,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전방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의 외주둘레면과, 이너패널(213)의 외주둘레면에도 제1 경사각(θ1)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In addition, inclined surfaces having a first inclination angle θ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부(2192b)의 외주면, 아우터패널(211)의 외주둘레면, 및 이너패널(213)의 외주둘레면은 연속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다른 한정이 없는 한, 에어가이드부(2192b)의 외측 둘레면, 아우터패널(211)의 외측 둘레면, 및 이너패널(213)의 외측 둘레면은 함께 전방도어부의 제1 경사면(21a1)을 형성하는 것으로 규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한편, 제1 경사면(21a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토출가이드(316)의 내주면 및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경사면(3161a) 및 제3 경사면(3171)과 함께 토출유로(Fin)를 형성한다. 이들 경사면은 각각 회전축선(X-X)에 수직한 단면이 모두 원형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들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토출유로(Fin)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includes a second
다만, 토출유로(Fin)의 형상은 전방도어구동부(21b)가 구동되어 전방도어부(21a)가 이동됨에 따라, 즉, 무빙에어가이드(2192)이 이동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discharge flow path Fin may be changed as the fro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실린더(215)가 최후방 위치(Pr)로 이동하면, 에어가이드부(2192b)도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최후방 위치(Pr)로 이동하면서 토출유로(Fin)의 폭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결국에는 토출유로(Fin)는 폐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mov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실린더(215)가 최전방 위치(Pf)로 이동하면, 에어가이드부(2192b)도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최전방 위치(Pf)로 이동하여 토출유로(Fin)가 가변될 수 있다. 무빙실린더(215)가 최전방 위치(Pf)로 상태에서 토출유로(Fin)의 폭은 최대가 되고, 이 때 전면토출구(141)의 개도는 최대가 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토출구(141)의 개도는 최대가 될 때 전방지향기류가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moving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위치에 따른 토출유로의 형상변화 및 토출기류의 방향변화에 관한 구성은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실린더(215)에는 내주에 무빙실린더(215)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1 관통홀(2153a)이 구비되는 제1 결합부(2153)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 the mov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패널(213)에는 내주에 이너패널(213)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관통홀(2153a)과 대응하는 제2 관통홀(2131a)이 구비되는 제2 결합부(2131)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제1 결합부(2153)와 제2 결합부(21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이 때 제1 결합부(2153)와 제2 결합부(2131)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153a)과 제2 관통홀(2131a)에 볼트 등의 결합기구를 체결하여 이너패널(213)은 무빙실린더(215)에 결합할 수 있다.The
따라서, 이너패널(213)은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너패널(213)과 무빙실린더(215) 사이에 배치되는 무빙에어가이드(2192)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어구동부(21b)의 유성기어장치(217)는 선기어(2171), 복수의 유성기어(2172) 및 링기어(217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3 , the
선기어(2171)는 제1 모터(216)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제1 모터(21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e
유성기어(2172)는 선기어(2171)의 외주에 치합되고, 선기어(2171)를 공전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링기어(2173)는 유성기어(2172)의 외주에 치합되고, 푸시링(214)의 내주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링기어(2173)는 푸시링(214)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한편, 서포트플레이트(218)에는 복수의 유성기어(2172)가 장착됨으로써, 서포트플레이트(218)는 유성기어(21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모터(216)의 회전구동력은 유성기어장치(217)에 의해 감속되어, 링기어(2173) 및 푸시링(214)에 전달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전방도어구동부(21b)를 180도 반대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1에서 캐리어하우징(2191)을 추가한 도면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링(214)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보스(21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무빙실린더(215)는 가이드보스(2141)가 삽입되고, 푸시링(214)의 회전에 따라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2151)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가이드보스(214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푸시링(214)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2151)은 가이드보스(2141)와 일치하는 개수로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은 무빙실린더(215)의 원주에서 푸시링(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가이드보스(2141)는 가이드슬릿(2151)에 삽입되어 가이드슬릿(2151)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보스(2141)가 가이드슬릿(215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푸시링(214)의 회전운동은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슬릿(2151)은 무빙실린더(215)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부(2151a)는 무빙실린더(215)의 전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타단부(2151b)는 무빙실린더(215)의 후방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이러한 구조로 인해, 푸시링(214)이 회전하면 푸시링(214)의 가이드보스(2141)는 무빙실린더(215)의 원주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215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이 때, 푸시링(214)은 회전할 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무빙실린더(215)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실린더(215)와 함께 움직이는 무빙에어가이드(219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면토출구(141)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일단부(2151a)와 타단부(2151b) 사이의 전후방향 이격간격(LL)은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 이동범위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보스(2141)가 가이드슬릿(2151)의 일단부(2151a)의 끝에서 타단부(2151b)의 끝까지 움직이면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 최대 이동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2151a)와 타단부(2151b) 사이의 전후방향 이격간격(LL)은 무빙실린더(215)의 직경보다는 현저히 작은 사이즈를 갖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즉, 전방도어부(21a)의 전후방향 이동량이 종래기술보다 매우 작은 범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The front-back direction spacing LL between the one
제1 모터(216)의 회전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무빙실린더(215)는 전방을 향해 전진과 후방을 향해 후진을 하여,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하는 푸시링(214)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무빙실린더(215)를 서로 커플링하고, 무빙실린더(215)에 무빙에어가이드(2192)을 결합함으로써, 무빙에어가이드(219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효율적으로 토출유로(Fin)를 개폐하거나 토출유로(Fin)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y coupling the
이에 따라, 토출유로(Fin)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양과 기류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ccordingly,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flow path Fin,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and the airflow direc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Specific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
한편, 가이드슬릿(2151)에는 일단부(2151a)와 타단부(2151b) 사이에 구비되며 무빙실린더(215)의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경로변경부(2151c)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가이드보스(2141)가 가이드슬릿(2151)을 따라 이동하다가 경로변경부(2151c)에 위치하게 되면, 잠시동안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When the
제1 모터(216)의 회전속도와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전후방향 위치를 제어하는데, 때로는 이러한 제1 모터(216)의 회전속도와 회전각도가 원하는 값으로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216)의 회전속도와 회전각도만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전후방향 위치가 설계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rotation speed and angle of the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슬릿(2151)에 경로변경부(2151c)를 마련하여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위치가 설계된 것과 달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보스(2141)가 경로변경부(2151c)에 놓이는 경우,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전후방향 위치가 설계된 것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보스(2141)가 놓일 때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전후방향 위치가 설계된 것과 일치하는 경로변경부(2151c)를 가이드슬릿(2151)에 마련하여, 제1 모터(216)가 제어명령과 다른 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무빙에어가이드(2192)이 설계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정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한편, 경로변경부(2151c)의 길이는 설계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슬릿(2151)의 일단부(2151a)와 타단부(2151b)에도 경로변경부(2151c)와 동일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그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Meanwhile, the length of the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하우징(2191)에는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홈부(2191a)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실린더(215)에는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가이드홈부(2191a)에 결합하는 가이드레일부(2152)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 , a
가이드홈부(2191a)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은 캐리어하우징(2191)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2152)는 가이드홈부(2191a)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은 무빙실린더(215)의 원주방향으로 가이드홈부(219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있다.A plurality of
가이드홈부(2191a)는 가이드바디부(2191a-1) 및 함몰홈부(2191a-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디부(2191a-1)는 캐리어하우징(2191)의 내주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부(2191a-2)는 상기 가이드바디부(2191a-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부(2152)가 장착될 수 있다.The
캐리어하우징(2191)은 팬하우징(313), 제1 토출가이드(315) 또는 제2 토출가이드(316)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회전하지도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캐리어하우징(2191)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홈부(2191a)에 무빙실린더(215)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부(2152)가 결합하면, 무빙실린더(215)는 가이드홈부(2191a)에 가이드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있으나, 푸시링(214)처럼 회전할 수는 없다.The
따라서, 가이드레일부(2152)와 가이드홈부(2191a)의 결합구조로 인해, 캐리어하우징(2191)이 무빙실린더(215)의 회전을 억제하므로, 푸시링(214)이 회전하더라도 무빙실린더(215)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만 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토출가이드의 세부 구성><Detailed composition of discharge guide>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에 구비되는 토출가이드(315, 316, 317)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discharge guides 315 , 316 , and 317 provided i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토출가이드(315)는 전방송풍팬(311)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기의 토출유로(Fin)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동에 포함된 회전속도 성분을 전방을 향하는 직진속도 성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토출가이드(315)는 원통 형상의 아우터링(3151)을 포함한다. 아우터링(3151)의 내부에는 링형상의 공기의 토출유로(Fin)가 형성된다.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은 전방송풍팬(311)의 회전축선(X-X)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16 and 17 , the
아우터링(3151)의 내부에는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돔 형상의 모터수용부(3152)가 형성된다. 모터수용부(3152)는 내부에 전방송풍모터(312)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모터수용부(3152)의 내부에는 전방송풍모터(312)를 지지하게 위한 복수의 체결보스(315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송풍모터(312)를 3개소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체결보스(3152a)가 모터수용부(3152)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A dome-shaped motor accommodating part 3152 which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rear is formed inside the
또한, 모터수용부(3152)의 중앙에는 전방송풍모터(312)의 출력축이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출력축과 동심이 되는 관통홀(3152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through
모터수용부(3152)의 외주면(3152a) 중에서 적어도 회전축선(X-X) 방향으로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과 중첩되는 부분은, 전술한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과 함께 링형상의 토출유로(Fin)를 형성한다.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과 마찬가지로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모터수용부(3152)의 외주면(3152a) 중에서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과 중첩되는 부분은 전방송풍팬(311)의 회전축선(X-X)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Among the outer
한편,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과 모터수용부(3152)의 외주면(3152a)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베인(3153)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inner
각각의 제1 베인(3153)의 외측단부는 아우터링(3151)의 내주면(3151a)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측단부는 모터수용부(3152)의 외주면(3152a)에 일체로 연결된다. The outer end of each
각각의 제1 베인(3153)은 통과하는 공기유동에 포함된 회전속도 성분을 최소화하여 공기유동의 직진속도 성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베인(3153)은 전방송풍팬(311)의 블레이드(3113)와 반대방향성을 갖는 익형을 갖게 된다.Each of the
제1 베인(3153)을 통과한 공기유동은 회전속도 성분이 최소화되고 직진속도 성분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토출구(141)로 배출되는 기류는 동일한 소비전력으로 보다 원거리 지역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제1 베인(3153)의 전방단부 측으로서 반경방향 외측에는 후술하는 제2 베인(3162)의 반경방향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제2 베인(3162)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3153a)가 구비될 수 있다. An extension portion 3153a protruding toward the
한편, 아우터링(315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체결부(3154)가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부(3154)는 후크체결부(3154b)와 볼트체결부(3154a)를 포함한다. 후크체결부(3154b) 중에서 일부는 팬하우징에 대한 체결을 위한 용도를 가지며, 다른 일부는 후술하는 제2 토출가이드(316)에 대한 체결을 위한 용도를 가진다. 제2 토출가이드(316)에는 아우터링(3151)의 후크체결부(3154b)에 후크 방식으로 결합되는 후크체결부(3163b)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마찬가지로 복수의 볼트체결부(3154a)는 팬하우징에 대한 볼트 체결을 위해, 그리고 제2 토출가이드(316)에 대한 볼트 체결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Similarly, the plurality of
한편, 제2 토출가이드(316)는, 제1 토출가이드(315)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토출가이드(315)를 통과한 공기를 전면토출구(141)를 향해 안내하는 토출유로(Fin)를 형성하되,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토출가이드(316)는, 제1 토출가이드(315)의 전방에 결합되는 가이드링(3161)을 포함한다.18 and 19 , the
가이드링(3161)은 제1 토출가이드(315)에 연속하여 이어지는 토출유로(Fin)를 형성하되, 유로단면적을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가이드링(3161)의 내주면(3161a)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제2 경사면(3161a1)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inner
제2 경사면(3161a1)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에 대해서 제2 경사각(θ2)을 형성한다. 토출유로(Fin)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유동손실을 방지하게 위해서, 제2 경사면(3161a1)의 후방단부와 전방단부(3161b)까지 제2 경사면(3161a1)의 하강각도는 제2 경사각(θ2)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경사각(θ2)은 40˚˚범위를 갖도록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61a1 forms a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with respect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X. In order to prevent flow loss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discharge flow path Fin, the descending angl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61a1 to the rear end and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경사각(θ2)은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3171)에 형성되는 제3 경사면(3171a)의 제3 경사각(θ3)보다는 더 크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θ2 is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third
또한,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제2 경사면(3161a1)의 전후방향길이(L_Z1)는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제3 경사면(3171a)의 전후방향길이(L_Z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L_Z1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161a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X is great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L_Z2 of the third
한편, 제2 토출가이드(316)는 가이드링(3161)의 내주면(3161a)으로부터 반경반향 내측을 향해, 즉 토출유로(Fin)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베인(3162)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제2 베인(3162)은, 전술한 제1 베인(3153)을 통과한 공기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직진속도 성분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다만 제1 베인(3153)과는 제2 베인(3162)은 익형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종의 칸막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인(3162)은 가이드링(3161)의 내주면(3161a)으로부터 반경반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며,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된다.As shown, the
각각의 제2 베인(3162)은 가이드링(3161)의 내주면(316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때, 제2 베인(3162)은 제1 베인(3153)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Each of the
또한, 제2 베인(3162)의 내측단부(3162a)와 회전축선(X-X) 사이의 간격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인(3162)의 내측단부(3162a)와 회전축선(X-X) 사이의 간격(dV)은, 제2 경사면(3161a1)의 전방단부(3161b)와 회전축선(X-X)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거나 같게 된다. 즉, 제2 베인(3162)은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2 경사면(3161a1)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는 공기유동의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제2 베인(3162)의 면적을 제한하여 유동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 the interval dV between the
한편, 가이드링(316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체결부(3163)가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부(3163)는 후크체결부(3163b, 3163c)와 볼트체결부(3163a)를 포함한다. 후크체결부(3163b, 3163c) 중에서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은 제1 토출가이드(315)에 대한 체결을 위한 용도를 가지며,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은 제2 토출가이드(316)에 대한 체결을 위한 용도를 가진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제3 토출가이드(317)는, 제2 토출가이드(316)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 토출가이드(316)에 연속하는 토출유로(Fin)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3 토출가이드(317)는 제2 토출가이드(316)의 제2 경사면(3161a1)에 의해서 감소되었던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유로단면적 확장을 위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3171)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는 제3 경사면(3171a)을 구비한다.In order to expand the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as shown in FIG. 20 , the inner
토출유로(Fin)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유동손실을 방지하게 위해서, 제3 경사면(3171a)의 후방단부(3174)와 전방단부(3173)까지 제3 경사면(3171a)의 상승각도는 제3 경사각(θ3)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flow loss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discharge flow path Fin, the rising angle of the third
이 때, 제3 경사각(θ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도어부(21a)의 제1 경사면(21a1)의 제1 경사각(θ1)보다는 작은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제3 경사각(θ3)은 제2 토출가이드(316)의 제2 경사각(θ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inclination angle θ3 is small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of the
한편,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3171)의 후방단부(3174)는, 제2 토출가이드(316)의 내주면(3161a)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던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이 다시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전환점이 되는 유로목부(3174)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3171)의 전방단부는 공기가 실외기로 배출되는 원형의 전면토출구(141)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경사면(3171a)의 회전축선(X-X) 방향 길이(L_Z2)는 제2 경사면(3161a1)의 회전축선(X-X) 방향 길이(L_Z1)보다 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토출가이드(316) 및 제3 토출가이드(317)를 포함하는 회전축선(X-X) 방향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더 큰 회전축선(X-X) 길이를 갖고 더 큰 송풍용량을 갖는 전방송풍팬(311)을 적용할 수 있다. Also, as illustrated, the length L_Z2 of the third
한편, 제3 토출가이드(317)의 외주면(3172)에는 전술한 제2 토출가이드(316)의 후크체결부(3163c)에 결합하는 체결부(3175)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전방도어부의 위치에 따른 토출유로의 세부 구성><Detailed composition of the discharge flow pa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door>
이하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에 구비되는 전방도어부(21a)의 위치에 따른 토출유로(Fin)의 변화 및 토출기류(Fo)의 변화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nge in the discharge flow path Fin and a change in the discharge air flow Fo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도 20은 전방도어부(21a)가 최후방 위치(Pr)에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20 shows a state in which the
전방도어부(21a)의 최후방 위치, 및 후술하는 최전방 위치와 중간 위치는 모두 전방도어부(21a)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의 정지 위치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한정이 없는 한 전방도어부(21a)의 위치는 전방도어부(21a)의 아우터패널(2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rearmost position of the
전방도어부(21a)가 최후방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전방도어부(21a)의 아우터패널(211)은 회전축선(X-X) 방향을 기준으로 제3 경사면 영역(Z2)에 있게 된다.When the
이 때, 전방도어부(21a)의 최대반경은 아우터패널(211)의 반경이 되며, 아우터패널(211)의 반경(dD)은 전면토출구(141)의 최대반경보다는 더 작지만, 회전축선(X-X)으로부터 유로목부(3174)까지의 직선거리(dV)보다는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도어부(21a)의 아우터패널(211)은 유로목부(3174)를 지나쳐서 유로목부(3174)보다 더 후방의 제2 경사면 영역(Z1)으로 이동될 수 없으며, 유로목부(3174)의 전방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된다.At this time, the maximum radius of the
이와 같이 전방도어부(21a)의 아우터패널(211)은 유로목부(3174) 전방 측에서 정지되면, 아우터패널(211)의 외주면과 제3 경사면(3171a)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며, 실질적으로 토출유로(Fin)가 폐쇄되는 상태가 된다.As such, when the
한편,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방도어구동부(21b)의 제1 모터가 구동되면, 전술한 푸시링이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링의 회전은 다시 무빙실린더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무빙실린더는 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Meanwhile, when the first motor of the front
무빙실린더의 직선 이동에 의해서, 무빙실린더의 전방에 결합된 전방도어부(21a)는 무빙실린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cylinder, the
최후방 위치(Pr)로부터 이동이 개시되면, 전방도어부(21a)는 면맞춤 위치(Pm)까지 이동된 후 정지되거나, 면맞춤 위치(Pm)까지 이동된 후 정지되지 않고 곧 바로 최전방 위치(Pf)까지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movement is started from the rearmost position Pr, the
도 21 및 도 22에는 전방도어부(21a)가 면맞춤 위치(Pm)까지 이동된 후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1 and 22 show a stopped state after the
전방도어부(21a)가 면맞춤 위치(Pm)까지 이동되면, 전방도어부(21a)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아우터패널(211)의 전방면은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전면토출구(141)와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고, 아우터패널(211)의 전방면은 프런트캐비닛(14)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이 때, 전방도어부(21a)는 전체적으로 제2 토출가이드(316) 및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211), 이너패널(213) 및 에어가이드부(2192b)로 구성되는 제1 경사면(21a1)의 회전축선(X-X) 방향 길이(L2)는 제3 경사면(3171a)의 회전축선(X-X) 방향 길이(L3)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length L2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X-X)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composed of the
또한, 제1 경사면(21a1)의 후단은 제3 경사면 영역(Z2)을 넘어 제2 경사면 영역(Z1)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토출유로(Fin)의 단면이 감소되는 시점은 유로목부(3174)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된다. 특히, 제1 경사면(21a1) 중에서 단면곡선부(2492b-2)는 전체적으로 제2 경사면 영역(Z1)에 배치된 상태가 되며, 단면직선부(2192b-3)는 제2 경사면 영역(Z1)과 제3 경사면 영역(Z2)에 동시에 걸쳐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goes beyo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area Z2 and is disposed i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a Z1,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Fin is reduced is the passage neck portion 3174 ) is moved further backwards.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curved portion 2492b-2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is entirely disposed i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region Z1, and the cross-sectional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21a1)의 제1 경사각(θ1)은 제3 경사면(3171a)의 제3 경사각(θ3)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도 23 및 도 24의 전방도어부(21a)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와 비교하여, 제1 경사면(21a1)과 제3 경사면(3171a) 사이에서 형성되는 토출유로(Fin)의 단면적이 더 좁게 형성되고 토출유로(Fin) 내에서 공기의 유동 속도는 더 증가하게 된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is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third
또한, 전방도어부(21a)의 전방단부와 제3 토출가이드(317)의 전방단부(3173)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효 토출구는 거의 회전축선(X-X)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상태가 되나, 유효 토출구로 진행하는 유동은 제1 경사면(21a1)과 제3 경사면(3171a)에 의해서 소정의 경사를 갖게 된다. 즉, 전방도어부(21a)의 전방단부와 제3 토출가이드(317)의 전방단부(3173)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효 토출구는 토출유로(Fin) 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Also, the effective discharge port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따라서 유효 토출구를 빠져나온 기류 중에서 유효 토출구의 전방 하부 측에서 유속 저하 및 압력 증가가 먼저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22에 도시된 같이 토출기류(Fo)는 회전축선(X-X)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성을 갖게 되는 측방지향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among the airflows that have exited the effective outlet, a decrease in flow velocity and an increase in pressure occur first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effective outlet,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A lateral direction airflow is formed.
전방도어부(21a)가 면맞춤 위치(Pm)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어부(21a)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면, 제1 경사면(21a1) 중 일부만이 전면토출구(141)를 통과하여 프런트캐비닛(14) 및 제3 토출가이드(317)의 외측으로 돌출된다.As shown, when the
보다 상세히는 제1 경사면(21a1)을 구성하는 아우터패널(211) 및 이너패널(213)은 전체적으로 전면토출구(141)를 통과하여 이동되며, 무빙에어가이드(2192)의 에어가이드부(2192b)의 전방 측 일부가 전면토출구(141)를 통과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이 때,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제1 경사면(21a1)이 전면토출구(141)로부터 돌출되는 전후방향길이(L_ex)는,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3171a)의 전후방향길이(L_Z2)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되는 수준으로 제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L_ex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protrudes from the
이와 같이, 제1 경사면(21a1)의 돌출길이를 제3 경사면(3171a)의 전후방향길이(L_ex) 이하의 수준으로 제한함으로써, 무빙에어가이드(219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빙에어가이드(219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방도어구동부(21b)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토출유로(Fin)의 내부구조가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현저히 심미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In this way, by limiting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to a level less than or equal to the longitudinal length L_ex of the third
한편, 전방도어부(21a)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토출유로(Fin)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즉, 면맞춤 위치에서 형성되었던 측방지향기류가 전방지향기류로 전환된다.That is, the lateral direction airflow formed at the mating position is converted into 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전방지향기류는 회전축선(X-X)에 나란한 방향과 토출기류방향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효 토출각이 20도 내외가 되는 토출기류(Fo)로서 규정될 수 있다.The forward direction airflow may be defined as the discharge airflow Fo in which an effective discharge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X and the discharge airflow direction is about 20 degrees.
다만, 본 발명은 전방지향기류를 형성하되, 충분한 토출용량을 확보하면서 보다 먼 원거리 위치까지 기류가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orm a forward-facing airflow, and to allow the airflow to reach a more distant location while securing a sufficient discharge capacity.
먼저, 제1 경사면(21a1)을 구성하는 에어가이드부(2192b)의 외주면 중 단면직선부(2192b-3)는 전체적으로 회전축선(X-X) 방향으로 유로목부(3174)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First,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따라서 전방도어부(21a)가 면맞춤 위치에 있을 때 형성되는 토출유로(Fin)에 비해서 유로목부(3174) 위치에서의 유로단면적(A)이 더 크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유동 저항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더 많은 토출풍량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A at the location of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토출가이드(317)의 내주면(3171)에 형성되는 제3 경사면(3171a)의 제3 경사각(θ3)은, 제1 경사면(21a1)의 제1 경사각(θ1)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inclination angle θ3 of the third
따라서 제1 경사면(21a1)과 제3 경사면(3171a) 사이에서 형성되는 토출유로(Fin)는 유로목부(3174)에서의 유로단면적보다 적거나 같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점진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passage Fin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and the third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토출이 완료될 때까지 유속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거나 최소한 일정 수준의 유속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먼 원거리 지역까지 토출기류(Fo)가 도달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flow rate may be continuously increased or at least a certain level of flow rate may be maintained until the final discharge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discharge air flow Fo can be reached to a more distant area.
한편, 과도한 유로단면적의 감소는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소정의 범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경사면(21a1) 및 제3 경사면(3171a)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로단면적(B1, B2) 중에서 가장 작은 유로단면적은 유로목부(3174)에의 유로단면적(A)보다는 작거나 같으며, 유로목부(3174)에의 유로단면적(A)의 70%보다는 더 크거나 같게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excessive reduction of the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it needs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llustratively, the smallest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s B1 and B2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a1 and the third
또한, 전술한 면맞춤 위치에서와 유사하게, 전방도어부(21a)의 전방단부와 제3 토출가이드(317)의 전방단부(3173)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효 토출구는 토출유로(Fin) 내에서 유동방향과 수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Also, similarly to the mating position described above, the effective discharge port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다만, 전술한 면맞춤 위치에서와는 달리, 유효 토출구를 빠져나온 기류 중에서 유효 토출구의 전방 상부 측에서 유속 저하 및 압력 증가가 먼저 일어나게 된다. However, unlike in the above-described mating position, a decrease in the flow rate and an increase in pressure occur first at the upper front side of the effective discharge port among the airflows exiting the effective discharge port.
이로 인해 도 24에 도시된 같이 토출기류(Fo)는 대체로 전방을 지향하여 진행하는 방향성을 갖는 전방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4 , the discharge air flow Fo can form a forward discharge air flow having a direction that generally moves forwar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 variety of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실내기
Ⅰ: 캐비닛 어셈블리
Ⅱ: 도어 어셈블리
Ⅲ: 송풍팬 어셈블리
Ⅳ: 열교환 어셈블리
Ⅴ: 가습 어셈블리
Ⅵ: 필터 어셈블리
Ⅶ: 필터청소 어셈블리
21: 전방 도어모듈
22: 측면 도어모듈
224a, 224b: 측면토출구
225a, 225b: 측면 베인
23: 히든 베인모듈
31: 전방송풍모듈
32a, 32b, 32c: 측방송풍모듈
322a, 322b, 322c: 측방송풍모터
321a, 321b, 321c: 측방송풍팬
323a, 323b, 323c: 측방송풍팬하우징
21a: 전방도어부
21b: 전방도어구동부
2192: 무빙에어가이드
315: 제1 토출가이드
316: 제2 토출가이드
317: 제3 토출가이드1: Indoor unit Ⅰ: Cabinet assembly
Ⅱ: Door assembly Ⅲ: Blowing fan assembly
IV: heat exchange assembly V: humidification assembly
Ⅵ: filter assembly Ⅶ: filter cleaning assembly
21: front door module 22: side door module
224a, 224b:
23: hidden vane module 31: all broadcast wind module
32a, 32b, 32c: side broadcast wind module
322a, 322b, 322c: side broadcast wind motor
321a, 321b, 321c: side air fan
323a, 323b, 323c: side air fan housing
21a:
2192: moving air guide 315: first discharge guide
316: second discharge guide 317: third discharge guide
Claims (21)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발생하는 열교환기;
상기 캐비닛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전방단부에 상기 전면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면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토출가이드; 및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최전방 위치와 후방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최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방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와 함께 상기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전방도어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는 제1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경사면 중 일부가 상기 전면토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a cabinet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on the rear side, and a front outlet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and the refrigerant;
a blower fan having a rotation axis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and sucking in the heat-exchanged air;
a discharge guide in which the front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front end, and a discharge flow path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front discharge port is formed therein; and
a front door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guide and movably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between a frontmost position moved maximally forward and a rearmost position maximally moved rearward;
inclu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door forming the discharge flow path together with the discharge guide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rises while proceed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frontmost position, a par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passes through the front outlet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상승하고, 상기 전면토출구까지 연장되는 제3 경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전면토출구로부터 돌출되는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guide is
a second inclined surface gradually descending while proceed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gradually ascending while progress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extending to the front discharge port;
including,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forward position,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protrudes from the front discharge po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s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 air conditioner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ength.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2,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is smaller than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line.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2 경사면의 전후방향길이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3,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line is smaller than a front-back direction length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line.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과 나란한 방향과 제3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경사각은 상기 제1 경사각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2,
The first inclined surface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first inclination angle,
The third inclined surface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third inclination angle,
The third inclin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angle.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각이 상기 제3 경사각보다 더 크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5,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nd a second inclination angle,
Th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econd inclination angle is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angle.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최단거리가 되는 유로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중에서 최소 단면적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보다 더 적거나 같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2,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a passage neck portion which i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am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ischarge guide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forward position, a minimum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discharg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door part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door part and the flow passage neck part An air conditioner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flow path.
상기 최소 단면적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의 70% 이상 100% 이하가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7,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is 70% or more and 100% or less of a cross-sectional area of a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door and the passage neck.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판형상이 되는 상기 전방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상기 송풍팬의 최대반경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2,
The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s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and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k shape,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smaller than the maximum radius of the blowing fan.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형개구가 되는 상기 전면토출구의 최대반경보다 더 작게 되는 공기조화기.
10. In claim 9,
A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portion is smaller than a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ischarge port, which is a circular opening.
상기 송풍팬은, 상기 회전축선에 대해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의 최대반경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단부까지의 직선거리가 되는 공기조화기.
10. In claim 9,
The blowing fan includes at least one blade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maximum radius of the blowing fan is an air conditioner that is a linear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the outer end of the blade.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는 전체적으로 상기 토출가이드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7,
When the front door part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front door part is entirely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guide.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후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3 경사면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s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When the front door unit is moved to the rearmost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unit is positioned in the area of the third inclined sur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원판형상이 되는 상기 전방단부에서 형성되며,
상기 전방도어부의 최대반경은,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유로목부까지의 직선거리보다 더 크게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3,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k shape,
The maximum radius of the front door portion is greater than a linear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the flow passage neck portion.
상기 전방도어부는, 상기 최전방 위치와 상기 최후방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고,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중간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최전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상기 전면토출구로 토출되었던 기류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기류방향이 전환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7,
The front door unit may be stopp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rontmost position and the rearmost position,
When the front door unit is mov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air flow direction is switched to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ir flow direction that was discharged to the front discharge port when the front door unit was moved to the forward position.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토출구와 상기 유로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5,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an air conditioner formed between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flow passage neck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도어부의 전방단부가 상기 전면토출구와 동일한 위치가 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5,
The intermediate position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i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ront outle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전방도어부가 상기 중간 위치에서 정지되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3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감소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15,
When the front door is stopp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proceeding for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유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은 상기 제2 경사면의 후방단부로부터 전방단부까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In claim 2,
The discharge guide includes at least one vane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The at least one vane extends from a rea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a front 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내측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회전축선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기조화기.
In paragraph 19,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vane and the rotation axis is kept constant while procee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인의 내측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경사면의 전방단부와 상기 회전축선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거나 같게 되는 공기조화기.21. In claim 20,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at least one vane and the axis of rot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axis of rota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853A KR20220095884A (en) | 2020-12-30 | 2020-12-30 | Air-conditioner |
CN202111431057.3A CN114688614B (en) | 2020-12-30 | 2021-11-29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853A KR20220095884A (en) | 2020-12-30 | 2020-12-30 | Air-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884A true KR20220095884A (en) | 2022-07-07 |
Family
ID=8213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7853A KR20220095884A (en) | 2020-12-30 | 2020-12-30 | Air-conditio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5884A (en) |
CN (1) | CN114688614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4383B1 (en) * | 2022-09-29 | 2023-10-0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Having Adjustable Front Air Outlet |
KR102589570B1 (en) * | 2022-07-22 | 2023-10-17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Having Adjustable Front Air Outl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09419A (en) | 2006-05-11 | 2007-11-1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Page buffer of flash memory device |
KR20180055792A (en) | 2015-07-17 | 2018-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a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00960B2 (en) * | 2012-05-24 | 2016-04-06 | シャープ株式会社 | Charged particle delivery device |
KR102064218B1 (en) * | 2013-01-02 | 2020-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7014478A1 (en) * | 2015-07-17 | 2017-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EP3913297A1 (en) * | 2016-02-26 | 2021-11-24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CN106642618B (en) * | 2017-01-11 | 2022-04-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Top air outlet device, air conditioner and motion control method of top air outlet device |
CN109114678B (en) * | 2017-06-23 | 2021-11-09 | 大金工业株式会社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WO2019177415A1 (en) * | 2018-03-16 | 2019-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N109268940B (en) * | 2018-11-01 | 2024-06-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and fan thereof |
CN111237873B (en) * | 2020-03-19 | 2024-06-25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Vortex ring generating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7853A patent/KR20220095884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11-29 CN CN202111431057.3A patent/CN114688614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09419A (en) | 2006-05-11 | 2007-11-1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Page buffer of flash memory device |
KR20180055792A (en) | 2015-07-17 | 2018-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9570B1 (en) * | 2022-07-22 | 2023-10-17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Having Adjustable Front Air Outlet |
KR102584383B1 (en) * | 2022-09-29 | 2023-10-0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Having Adjustable Front Air Out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688614B (en) | 2023-06-20 |
CN114688614A (en) | 2022-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623492B (en) | Air conditioner | |
CN214536468U (en) | Vertic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0474045B1 (en) | Air Conditioner | |
CN114688614B (en) | Air conditioner | |
KR102675494B1 (en)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CN116783429A (en) | Air conditioner | |
KR20220102962A (en) | Air-conditioner | |
CN114623491B (en) | air conditioner | |
KR20040010899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13074417B (en) | Air conditioner | |
KR102445746B1 (en)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CN114763930B (en) | Air conditioner | |
KR20220106673A (en)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KR102558732B1 (en)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CN211977016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114763921A (en) | Vertic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2400760B1 (en) | Air-conditioner | |
KR102462999B1 (en) | Air-conditioner | |
CN114811720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220081613A (en) | Air-conditioner | |
KR20090022106A (en) | Air conditioner | |
CN102022784A (en)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KR102634138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 |
CN213747012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114674037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