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63A - 독립 구동 모듈 - Google Patents
독립 구동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3763A KR20220093763A KR1020200184815A KR20200184815A KR20220093763A KR 20220093763 A KR20220093763 A KR 20220093763A KR 1020200184815 A KR1020200184815 A KR 1020200184815A KR 20200184815 A KR20200184815 A KR 20200184815A KR 20220093763 A KR20220093763 A KR 202200937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absorber
- wheel motor
- module
- absorber module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30—In-wheel moun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4232—Sliding mou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40—Stee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휠모터;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어 인휠모터를 지지하는 지지암;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인휠모터와 차체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시 인휠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흡수와 조향을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쇽업소버모듈; 및 쇽업소버모듈의 타단에 연결되어 쇽업소버모듈에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모터;를 포함하는 독립 구동 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 구동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휠에 각각 장착되어 휠의 구동 및 조향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 차량을 말하며, 주행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와,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DC)을 교류 전력(AC)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을 도모하는 주행용 모터 등이 필수적으로 탑재되어 있고, 모터의 회전동력이 감속기에 감속된 후 구동축을 통해 휠로 전달되어 전기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 진다.
최근에는 감속기나 차동 기어와 같은 중간 단계의 동력전달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동력전달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고려하여, 타이어 장착용 휠의 림 내부에 모터를 직접 내설하여 모터의 동력이 휠에 직접 전달하도록 하는 인휠 모터 차량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인휠 모터는 독립적으로 조향되는 조향장치와 모듈화된 동립 구동 모듈이 차량의 휠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종래의 독립 구동 모듈에는 조향장치에 추가로 서스팬션 장치가 마련되어 중량이 증가되고,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독립 구동 모듈의 조향장치와 서스펜션 장치를 일체로 결합하여 독립 구동 모듈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은 차량의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휠모터;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어 인휠모터를 지지하는 지지암;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인휠모터와 차체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시 인휠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흡수와 조향을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쇽업소버모듈; 및 쇽업소버모듈의 타단에 연결되어 쇽업소버모듈에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모터;를 포함한다.
쇽업소버모듈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및 실린더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로드가 포함될 수 있다.
로드에는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실린더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만입된 제1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에는 실린더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가 더 포함되고, 실린더에는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만입된 제2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에는 조향모터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부가 포함되어 조향모터의 회전력을 인휠모터로 전달하여 인휠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차체와 인휠모터와 연결시키는 어퍼암 및 로워암이 포함되고, 어퍼암에는 쇽업소버모듈이 관통되도록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쇽업소버모듈은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인휠모터의 하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은 어퍼암을 관통하고, 인휠모터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은 중심축이 인휠모터의 상하방향 지름방향 축과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인휠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암은 일단이 차체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인휠모터와 결합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에는 타단이 강절이음에 의해 인휠모터와 연결된 제3연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에는 외측면을 감싸면서 마련된 탄성체가 포함되며, 탄성체는 쇽업소버모듈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어 차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은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는 허용하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은 조향장치에 쇽업소버를 일체로 결합시킨 쇽업소버모듈에 의해 종래의 독립 구동 모듈에 대비하여 중량이 감소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쇽업소버모듈의 길이 조절에 따라 차량의 토-캠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향장치에 쇽업소버를 일체로 결합시킴에 따라 차량의 캐빈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조향모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길이에 따른 캠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제1실시예,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제2실시예,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조향모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길이에 따른 캠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제1실시예,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의 제2실시예,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조향모터(38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300)의 길이에 따른 캠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독립 구동 모듈은 차량의 휠과 차량을 각각 연결하며 휠의 구동 및 조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은 차량의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휠모터(100); 일단이 인휠모터(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400)와 연결되어 인휠모터(100)를 지지하는 지지암(200); 일단이 인휠모터(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400)와 연결되며, 인휠모터(100)와 차체(400)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시 인휠모터(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흡수와 조향을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쇽업소버모듈(300); 및 쇽업소버모듈(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쇽업소버모듈(300)에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모터(380);를 포함한다.
인휠모터(100)는 휠의 내부에 장착되어 휠의 회전을 제어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며 차량에 마련된 고전압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력이 인가되어 작동될 수 있다.
지지암(200)은 일단이 차체(400)와 연결되고, 인휠모터(100) 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인휠모터(100)와 연결되어 차체(400)와 인휠모터(100)를 연결시켜 인휠모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일단이 조향모터(38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이 휠과 결합된 인휠모터(100)에 연결되어 조향모터(38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회전력을 인휠모터(100)로 전달하여 인휠모터(100)를 지지암(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쇽업소버모듈(300)은 길이가 압축 또는 인장되도록 길이가 가변되며 인휠모터(1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독립 구동 모듈에서 별물로 장착되었던 쇽업소버를 제거하고, 조향모듈과 쇽업소버를 일체로 제조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차량 내부의 캐빈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쇽업소버와 조향모듈이 일체화 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310) 및 실린더(310)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로드(320)가 포함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형태로 일단부가 폐쇄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310)와 실린더(3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320)로 인해 유체가 압축되거나 팽창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인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면으로부터 휠 및 인휠모터(1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모듈(300)은 길이가 설정 가능하며 이에 따라 차량의 토-캠버 설정이 가능하다.
도 6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300)의 제1실시예,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로드(320)에는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부(321)가 형성되고, 실린더(310)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만입된 제1슬롯(311)이 형성될 수 있다.
조향모터(380)의 회전축이 회전시 쇽업소버모듈(300)이 회전되어 인휠모터(100)를 회전시켜 휠을 조향시킬 수 있다.
이때 로드(320) 또는 실린더(310)가 조향모터(38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인휠모터(100)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로드(32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복수 개가 돌출된 돌기부(321)가 형성되며, 실린더(310)에는 돌기부(3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되도록 제1슬롯(311)이 형성되어 돌기부(321)는 제1슬롯(311)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슬롯(311)은 로드(320)가 실린더(310)로 삽입되는 입구부에 형성되거나, 실린더(3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돌기부(3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향모터(380)가 작동시 돌기부(321)는 제1슬롯(311)에 삽입되어 실린더(310) 또는 로드(320)가 조향모터(38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 구동 모듈의 쇽업소버모듈(300)의 제2실시예,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쇽업소버모듈(300)에는 실린더(310)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330)가 더 포함되고, 실린더(310)에는 고정부(33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부(330)가 삽입되도록 만입된 제2슬롯(312)이 형성될 수 있다.
조향모터(380)의 회전축이 회전시 쇽업소버모듈(300)이 회전되어 인휠모터(100)를 회전시켜 휠을 조향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더의 외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로드(3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 개로 고정부(330)가 형성되고, 실린더(310)에는 고정부(330)가 삽입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만입된 제2슬롯(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향모터(380)가 작동시 고정부(330)는 제2슬롯(312)에 삽입되어 실린더(310) 또는 로드(320)가 조향모터(38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에는 조향모터(380)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부(340)가 포함되어 조향모터(380)의 회전력을 인휠모터(100)로 전달하여 인휠모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모듈(300)의 일단이 조향모터(380)와 연결되며 조향모터(380)의 회전력을 인휠모터(100)로 전달하기 위해 조향모터(380)와 쇽업소버모듈(300)은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1연결부(3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340)는 유니버셜 조인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체(400)에 결합된 조향모터(380)를 회전시켜 쇽업소버모듈(300)을 회전시키며, 인휠모터(100)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휠을 조향할 수 있다.
지지암(20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차체(400)와 인휠모터(100)와 연결시키는 어퍼암(210) 및 로워암(220)이 포함되고, 어퍼암(210)에는 쇽업소버모듈(300)이 관통되도록 관통된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쇽업소버모듈(300)은 관통홀(211)을 관통하면서 인휠모터(100)의 하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지지암(200)은 어퍼암(210)과 로워암(220)으로 형성된 더블위시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거티브 캠버 설정이 가능해지며, 차고를 낮추는 저상화 설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네거티브 캠버를 설정시 차량의 코너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퍼암(210)에는 쇽업소버모듈(300)이 관통되는 관통홀(211)이 형성되며, 쇽업소버는 어퍼암(210)을 관통하며 인휠모터(10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휠모터(100)의 상하방향의 지름을 기준으로 쇽업소버모듈(300)이 틸팅되어 인휠모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쇽업소버모듈(300)이 노면에서 발생되어 휠 및 인휠모터(100)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어퍼암(210)을 관통하고, 인휠모터(100)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연결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350)는 어퍼암(21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쇽업소버모듈(3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쇽업소버모듈(300)의 타단을 인휠모터(10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쇽업소버모듈(300)은 조향모터(38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어퍼암(210)의 간섭을 회피하며 인휠모터(100)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중심축이 인휠모터(100)의 상하방향 지름방향 축과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인휠모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인휠모터(100)의 상하방향 지름방향 축에서 틸팅될 상태로 인휠모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휠을 통해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암(200)은 일단이 차체(400)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인휠모터(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200)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차체(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이 요철을 통과할 때 휠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모듈(300)에는 타단이 강절이음에 의해 인휠모터(100)와 연결된 제3연결부(36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암(200)이 1개로 구성되며, 지지암(200)의 상측에서 쇽업소버모듈(300)이 인휠모터(100)와 연결되어 인휠모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쇽업소버모듈(300)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어퍼암(210)의 간섭을 회피하지 않아도 됨으로 제3연결부(360)는 리지드조인트와 같은 부품에 의해 인휠모터(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구조를 더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경량화시키고, 또한 캐빈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에는 외측면을 감싸면서 마련된 탄성체(370)가 포함되며, 탄성체(370)는 쇽업소버모듈(30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어 차체(40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실린더(310)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통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10) 및 로드(320)를 감싸면서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탄성체(370)를 통해 노면에서 발생되어 휠 및 인휠모터(100)를 통해 차체(400)롤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스프링의 압축 또는 인장을 통해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면에서 발생되어 휠 및 인휠모터(100)를 통해 차체(400)롤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2중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는 허용하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쇽업소버모듈(300)은 돌기부(321)와 제1슬롯(311) 또는 고정부(330)와 제2슬롯(312)과 같은 구성 이외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의 이동은 가능하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있으며, 이러한 구성 이외의 구성으로도 쇽업소버모듈(300)을 길이 방향의 이동은 가능하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시킬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인휠모터
200 : 지지암
210 : 어퍼암
211 : 관통홀
220 : 로워암
300 : 쇽업소버모듈
310 : 실린더
311 : 제1슬롯
312 : 제2슬롯
320 : 로드
321 : 돌기부
330 : 고정부
340 : 제1연결부
350 : 제2연결부
360 : 제3연결부
370 : 탄성체
400 : 조향모터
500 : 차체
200 : 지지암
210 : 어퍼암
211 : 관통홀
220 : 로워암
300 : 쇽업소버모듈
310 : 실린더
311 : 제1슬롯
312 : 제2슬롯
320 : 로드
321 : 돌기부
330 : 고정부
340 : 제1연결부
350 : 제2연결부
360 : 제3연결부
370 : 탄성체
400 : 조향모터
500 : 차체
Claims (12)
- 차량의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휠모터;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어 인휠모터를 지지하는 지지암;
일단이 인휠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인휠모터와 차체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회전시 인휠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충격흡수와 조향을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는 쇽업소버모듈; 및
쇽업소버모듈의 타단에 연결되어 쇽업소버모듈에 조향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모터;를 포함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및 실린더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로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로드에는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실린더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만입된 제1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에는 실린더의 외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가 더 포함되고, 실린더에는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만입된 제2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에는 조향모터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부가 포함되어 조향모터의 회전력을 인휠모터로 전달하여 인휠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차체와 인휠모터와 연결시키는 어퍼암 및 로워암이 포함되고,
어퍼암에는 쇽업소버모듈이 관통되도록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쇽업소버모듈은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인휠모터의 하부 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6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은 어퍼암을 관통하고, 인휠모터와 연결되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6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은 중심축이 인휠모터의 상하방향 지름방향 축과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인휠모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암은 일단이 차체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인휠모터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에는 타단이 강절이음에 의해 인휠모터와 연결된 제3연결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에는 외측면을 감싸면서 마련된 탄성체가 포함되며,
탄성체는 쇽업소버모듈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되어 차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쇽업소버모듈은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는 허용하되,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구동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815A KR20220093763A (ko) | 2020-12-28 | 2020-12-28 | 독립 구동 모듈 |
EP21208310.9A EP4019310B1 (en) | 2020-12-28 | 2021-11-15 | Independent drive module |
US17/529,610 US11872889B2 (en) | 2020-12-28 | 2021-11-18 | Independent drive module |
CN202111582587.8A CN114683832A (zh) | 2020-12-28 | 2021-12-22 | 独立驱动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815A KR20220093763A (ko) | 2020-12-28 | 2020-12-28 | 독립 구동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763A true KR20220093763A (ko) | 2022-07-05 |
Family
ID=8240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815A KR20220093763A (ko) | 2020-12-28 | 2020-12-28 | 독립 구동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376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1855A (ko) | 2017-10-13 | 2019-04-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인휠 모터 차량의 조향 시스템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815A patent/KR2022009376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1855A (ko) | 2017-10-13 | 2019-04-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인휠 모터 차량의 조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34438B2 (en) | Steering device of independent drive wheel and independent drive module including same | |
US7866434B2 (en) | Steering apparatus | |
JP7434465B2 (ja) |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操舵能力 | |
CN110329023B (zh) | 一种轮毂电机用双横臂独立悬架 | |
US11872889B2 (en) | Independent drive module | |
JP2008183985A (ja) | 車両用駆動装置の配設構造 | |
WO2019151131A1 (ja) |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 |
JP2017124822A (ja) |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US11964531B2 (en) | Transverse wheel suspension system | |
KR20220093763A (ko) | 독립 구동 모듈 | |
KR102471968B1 (ko) | 인휠모터 구동시스템이 적용된 전기자동차 | |
CN213323321U (zh) | 一种运用于无人驾驶的全自由度转向的线控底盘平台 | |
CN209008327U (zh) | 一种内置转向的麦弗逊悬架结构 | |
KR102632583B1 (ko) | 차량용 조향장치 | |
US11820449B2 (en) | Independent corner module | |
CN111186269A (zh) | 一种一体化对称支撑单摆臂悬架轮边电驱动系统 | |
KR102580457B1 (ko) | 차량용 자세 제어장치 | |
JP4857658B2 (ja) | 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CN108274988A (zh) | 具有动态吸振功能的轮边电驱动系统 | |
CN116442703A (zh) | 前桥总成及全地形车 | |
CN205706043U (zh) | 带有多个车轮悬架的车辆和主动式稳定器装置 | |
KR20230069292A (ko) |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 |
JPH1142949A (ja) | 車両の動力伝達機構 | |
KR20190011381A (ko) | 토션빔을 구비한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