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732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3732A KR20220093732A KR1020200184758A KR20200184758A KR20220093732A KR 20220093732 A KR20220093732 A KR 20220093732A KR 1020200184758 A KR1020200184758 A KR 1020200184758A KR 20200184758 A KR20200184758 A KR 20200184758A KR 20220093732 A KR20220093732 A KR 20220093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blowing fan
- guider
- lamp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group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를 살균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a case.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의 구성으로 냉매를 유동시키며, 실내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실내공기를 적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 expander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d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expanded refrigerant. Alternatively, it is a device that can adjust the indoor air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cooling.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indoor unit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to exchange heat with indoor air, and an outdoor unit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to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실내기의 경우,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을 통해 실내공간으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송풍팬의 계속적인 작동시,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일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등으로 인해 케이스 내부에서 세균이 증식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heated or cooled air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a blower fan disposed therein. When the blower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bacteria may grow inside the case due to dust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or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a heat exchanger disposed on one side.
국내 공개특허 10-2020-0102864에서는, 케이스 내부의 세균번식을 방지하도록 케이스 내부를 살균하도록 배치되는 살균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살균을 위한 램프의 배치가 송풍팬과 인접하고, 램프에서 조사된 광이 별도의 반사판을 통해 송풍팬으로 전달되는 점에서, 살균의 범위 및 성능이 제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0-0102864 discloses a sterilization module arranged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case to prevent bacterial propagation inside the case. However,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lamp for sterilization is adjacent to the blowing fan,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 is transmitted to the blowing fan through a separate refl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ope and performance of the sterilization may be limi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살균장치가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terilizer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air flowing by a blower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작동하는 송풍팬을 살균하고, 공기조화기 외측으로는, 살균을 위한 자외선광이 도달되지 않도록 자외선광의 도달영역이 제한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erilize a blower fan operating inside the air conditioner, and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reach area of the ultraviolet light is limited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for sterilization does not reach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하측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보내도록 좌우측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팬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더와, 상기 제1가이더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더와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더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가이더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송풍팬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향해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송풍팬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송풍팬을 살균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ort, a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below the suction port, and a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A blower fan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and rotating with a rotation shaf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end the air inside the case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blowing fan guides the air flowing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ing fan to the discharge port a first guider that is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guider, a second guider forming a discharge passage with the first guider, and the upper portion to guide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blowing fan A first sidewall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r and disposed to face the blowing fan, and a sterilizer disposed on the first sidewall and irradiating left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blowing fan, including ultraviolet rays as a blowing fan By irradiating light, the blowing fan can be sterilized.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송풍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를 포함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송풍팬의 전체범위를 살균할 수 있다. The sterilizer may sterilize the entire range of the blower fan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luding a plurality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살균장치에 배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장치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측벽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겨된 거리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살균장치가 제1측벽이 송풍팬과 사이에서 형성하는 역류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A groove disposed in the sterilizer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and the distance the sterilizer is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fa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the first sidewall wins from the blowing fan, so that the sterilization device does not obstruc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untercurrent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blower fan.
상기 살균장치는,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살균램프를 상기 제1측벽에 장착시키는 램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제1측벽이 형성하는 면에서, 상기 제1측벽의 내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측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지 않아, 제1측벽과 송풍팬 사이에서 형성되는 역류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The sterilization device includes a sterilization lamp irradiating left ultraviolet light, a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amp, and a lamp cover for moun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terilization lamp on the first sidewall, The lamp cover, on the surface formed by the first sidewall, is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wall, does not have a structure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sidewall, and flows through a countercurrent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blower fan Do not disturb the air.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상기 램프커버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하여, 살균램프를 커버할 수 있다.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terilization lamp and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panel covering the open side of the lamp cover, so that the sterilization lamp can be covered.
상기 투명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상기 살균램프의 둘레로 절연체가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이나 살균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이 투명패널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 insulator may be disposed around the sterilizing lamp to prevent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sterilizing lamp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ransparent panel.
상기 제2가이더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제1측벽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보스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램프커버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 fastening boss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r, and the lamp cover extends to the rear of the first side wall and is fixedly disposed to the fastening boss, so that the lamp cover can be stably fixed.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 또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The germicidal lamp is disposed to face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or the center of the blowing fan downward.
상기 살균램프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측벽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살균램프에서 송풍팬으로 조사되는 자외선광의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The distance the sterilizing lamp is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fa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that the first side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fan, so that the area of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from the germicidal lamp to the blowing fan may be widened.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살균램프가 장착되는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투명패널이 장착되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커버의 외측면은, 상기 제1측벽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램프커버가 제1측벽을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The lamp cover includes an inner cover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terilization lamp are mounted, and an outer cover mounted on the inner cover and on which the transparent panel is mount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includes the first I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virtual surfac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lamp cover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side wall.
상기 이너커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일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어퍼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과 상기 어퍼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제1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고정하도록 몰딩액이 주입되어, 이너커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습긱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inner cover includes a circumferential wall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and an upper wall forming a surfac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upper wall Silver forms a first area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and a mold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first area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inner cover. it can be prevent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관리하기 어려운 송풍팬을 살균하여, 송풍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등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it is disposed inside the case to sterilize the blower fan, which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anag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 etc. that may occur in the blower fan.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ide of the case can be kept clean.
둘째, 살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광이 토출구의 반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자외선광이 송풍팬만을 살균하고,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irradiates l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let,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sterilizes only the blowing fan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셋째, 살균장치는, 역류유로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의 제1측벽에서 송풍팬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역류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아,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since the sterilizer does not protrude from the first sidewall of the stabilizer forming the countercurrent flow pa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wer fan is dispos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countercurrent flow path. There is also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air volum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살균장치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와, 그에 장착되는 살균장치의 일측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와, 그에 장착되는 살균장치의 타측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장치의 개략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arrangement of the ster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rilizer mounted thereon.
4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abilizer and the sterilizer mounted there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흡입구(10a)와 토출구(10b)를 형성된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기(44),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10b)로 유동시키는 송풍팬(46), 송풍팬(4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10b)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더(20), 및 토출가이더(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송풍팬(46)을 향해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has an external shape, and a
케이스(10)은 어퍼케이스(12) 또는 프론트케이스(14)의 상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a)를 형성하고, 프론트케이스(14)의 하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b)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은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 내부의 공기 흐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토출구(10b)가 흡입구(10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입구(10a)는 송풍팬(46)의 중심(46a)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구(10b)는 송풍팬(46)의 중심(46a)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relates to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the discharge port 10b may be formed below the
케이스(10)의 외둘레면은 흡입구(10a)가 형성되는 어퍼케이스(12), 어퍼케이스(12)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전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프론트케이스(14), 어퍼케이스(12)의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로어케이스(16) 및 프론트케이스(14), 어퍼케이스(12), 로어케이스(16)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케이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케이스(14)과 로어케이스(16)은 곡면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프론트케이스(14)과 로어케이스(16)이 곡면형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토출구(10b)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0b)는 케이스(10)의 전방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케이스(10) 내부에는 열교환기(44), 송풍팬(46)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흡입구(10a)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46)으로 안내하거나, 송풍팬(46)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10b)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송풍팬(46)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10b)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더(20)가 형성될 수 있다. A space in which the
토출가이더(20)는 송풍팬(4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20a)를 형성한다. 토출가이더(20)는 송풍팬(4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10b)로 안내한다. 도1을 참조하면, 토출유로(20a)는, 송풍팬(46)으로부터 전방하측으로 연장된다. The discharge guide 20 forms a
도 1을 참조하면, 토출가이더(20)는 토출유로(2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가이더(28)와 토출유로(20a)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가이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더(28)는 송풍팬(46)의 중심(46a)을 기준으로 전방부분에서 토출구(10b)의 상단부로 연결된다. 하부가이더(22)는 송풍팬(46)의 중심(46a)을 기준으로 후방부분에서 토출구(10b)의 하단부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discharge guider 20 may include an
하부가이더(22)는 송풍팬(46)에 의해 송풍팬(46)의 후방측 또는 송풍팬(46)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10b)로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22a)과, 곡면(22a)에서 토출구(10b)로 직선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직선면(22b)를 포함한다. The lower guider 22 is a
곡면(22a)의 곡률반경은 송풍팬(46)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22a)는 송풍팬(46)의 하측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송풍팬(4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곡면(22a)에서 반사되어 상부가이더(28)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직선면(22b)는 곡면(22a)에서 자연스럽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22a)의 단부가 형성하는 경사각으로 가 연장될 수 있다. 직선면(22b)는 단부가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각을 직선면(22b)형성할 수 있다. The
상부가이더(28)는 하부가이더(22)와 토출유로(20a)를 형성하며, 하부가이더(2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부가이더(28)는 토출유로(20a)의 상류에서 직선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도 1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44)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44)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고, 상부가이더(28)를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26)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스태빌라이저(26)는, 상부가이더(28)와, 상부가이더(28)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송풍팬(46)에 인접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송풍팬(46)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를 다시 송풍팬(46)으로 안내하는 제1측벽(30)과, 제1측벽(30)과 상부가이더(28)를 연결하는 연결부(32)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26)는, 상부가이더(28)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측벽(35)을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26)은, 살균장치(50)를 고정하도록 상부가이더(28)의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보스(29)를 포함한다.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설명되는 스태빌라이저(26)는, 제1측벽(30)과 제2측벽(35) 사이의 공간을 내측방향으로, 반대방향을 외측방향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부가이더(28)를 기준으로, 제1측벽(30)과 제2측벽(35)이 연장되는 방향을 스태빌라이저 상측으로, 그 반대방향을 스태빌라이저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to 5 , the described
제1측벽(30)는, 송풍팬(46)의 외주면을 따라 송풍팬(46)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된다. 제1측벽(30)는 최대한 송풍팬(46)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송풍팬(46)에서 토출되어 다시 송풍팬으로 역류하는 공기의 풍량을 최소화한다. The
제1측벽(30)는, 송풍팬(46)과 사이에서 역류공기가 유동하는 역류유로(30a)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32)는 송풍팬(46)에서 토출된 공기가 토출유로(20a)와 역류유로(30a) 사이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최소화하도록 완만하게 밴딩될 수 있다.The
제1측벽(30)에는, 송풍팬(46)으로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50)가 배치되는 홈(30b)이 형성된다. A
살균장치(50)는, 제1측벽(30)에 배치되어, 송풍팬(46)을 향해 좌외선광을 조사한다. 살균장치(50)는, 송풍팬(46)을 향해 배치된다. 살균장치(50)는, 제1측벽(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제1측벽이 형성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살균장치(50)는,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램프(52), 살균램프(52)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54), 살균램프(52)와 인쇄회로기판(54)이 고정배치되고, 하부가이더(22)에 장착되는 램프커버(56)와, 살균램프(52)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램프커버(56)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투명패널(62)을 포함한다. The
살균램프(52)는, 후방측에 배치되는 송풍팬(46)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살균램프(52)는, 제1측벽(30)가 형성하는 면보다 스태빌라이저(26)의 내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홈(30b)부분에서도, 제1측벽(30)의 외측면이 이어지는 가상의 면보다 스태빌라이저의 내측방향의 위치에 살균램프(5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살균램프(52)는, 송풍팬(46)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살균램프(52)가 송풍팬(46)으로부터 이격된 거리(L1)는, 제1측벽(30)이 송풍팬(46)으로부터 이격된 거리(L2)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살균램프(52)는, 송풍팬(46)의 중심(46a) 또는 중심(46a)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살균램프(52)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면접하여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54)은, 이하에서 설명할 램프커버(56)의 상부벽(58b)에 밀착배치된다. The
램프커버(56)는, 인쇄회로기판(54)과 살균램프(52)가 장착되는 이너커버(58)와, 이너커버(58)에 장착되고, 투명패널(62)이 장착되는 아우터커버(60)를 포함한다. The
이너커버(58)는, 내측으로 인쇄회로기판(54)이 배치된다. 이너커버(58)는, 아우터커버(6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개구된 홀에 살균램프(52)가 배치된다. The
이너커버(58)는, 인쇄회로기판(54)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58a)과, 둘레벽(58a)의 일단에서 인쇄회로기판(54)이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상부벽(58b)을 포함한다. 이너커버(58)에는, 인쇄회로기판(54)이 배치되는 제1영역(59)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벽(58a)과 상부벽(58b)은, 인쇄회로기판(54)이 배치되는 제1영역(59)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영역(59)에는, 인쇄회로기판(54)의 배치를 고정하고, 외부의 습기가 인쇄회로기판(54)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몰딩부(59a)가 주입될 수 있다. The
상부벽(58b)의 중심에는, 살균램프(52)가 배치되는 개구홀(58d)이 형성된다. 상부벽(58b)의 외주단은, 아우터커버(60)가 장착되도록, 아우터커버(6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팁(58c)이 형성된다. In the center of the
이너커버(58)는, 둘레벽(58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보스(29)와 연결되는 커버고정부(59b)를 포함한다. 커버고정부(59b)는, 둘레벽(58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보스(29)와 별도의 체결나사(67)를 통해 이너커버(58)를 스태빌라이저(26)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아우터커버(60)는, 이너커버(58)의 일측에 고정배치되고, 내측으로 투명패널(62)을 고정시킨다. 아우터커버(60)는, 제1측벽(30)에 형성되는 홈(30b)에 장착되고, 투명패널(62)을 살균램프(52)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다. The
아우터커버(60)는, 이너커버(58)의 일측에 고정배치된다. 아우터커버(60)는, 이너커버(58)의 상부벽(58b)에 형성되는 팁(58c) 사이로 배치된다. 아우터커버(60)의 외측면(60b)은, 제1측벽(30)이 형성하는 외측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아우터커버(60)의 외측면(60b)은, 제1측벽(30)의 외측면(60b)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아우터커버(60)는, 내측에 배치되는 투명패널(62)을 고정시킬 수 있다. 투명패널(62)은, 투명한 재질의 석영창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패널(62)은, 살균램프(52)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램프(52) 주위로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터커버(60)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투명패널(62)과 인쇄회로기판(54) 사이에는 살균램프(52)가 배치된다. 투명패널(62)과 인쇄회로기판(54) 사이에는, 살균램프(52)가 배치되는 제2공간(65)이 형성된다. 투명패널(62)과 인쇄회로기판(54)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54)이나 살균램프(52)에서 발생하는 열을 투명패널(62)로 전달하지 않는 절연체(64)가 배치될 수 있다. A
살균장치(50)는, 복수개가 스태빌라이저(26)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스태빌라이저(26)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A plurality of
하부가이더(22)에는, 토출유로(2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이너베인(43)이 배치된다. 이너베인(43)은, 상류단이 하부가이더(22)에 고정되고, 하류단이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lower guider 22, an inner vane 43 for guiding the air flowing along the
스태빌라이저(26)은, 송풍팬(46)이 배치된 영역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넷스틸(96)이 장착되는 제1커넥터(38)와, 이하에서 설명할 아우터베인(4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40)를 포함하는 서포터(36)를 포함한다. The
서포터(36)는, 상부가이더(28)의 양단부 배치되는 한 쌍의 이너측벽(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6)는, 상부가이더(28)의 양단부 배치되는 한 쌍의 이너측벽(34)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커넥터(38)는, 넷스틸(96)의 수평그릴(96b)이 장착되는 그릴홈(38a)이 형성된다. 그릴홈(38a)은, 제1커넥터(38)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측벽(34) 각각에도, 넷스틸(96)의 수평그릴(96b)의 단부가 장착되는 단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제2커넥터(40)는, 토출구(10b)를 향해 돌출되고, 단부에 아우터베인(4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아우터베인(42)은, 토출구(10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10b)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공기조화기
10 : 케이스
10a : 흡입구
10b : 토출구
20 : 토출가이더
20a : 토출유로
22 : 하부가이더
26 : 스태빌라이저
28 : 상부가이더
29 : 체결보스
30 : 제1측벽
30a : 역류유로
30b : 홈
32 : 연결부
34 : 이너측벽
35 : 제2측벽
36 : 서포터
42 : 아우터베인
43 : 이너베인
44 : 열교환기
46 : 송풍팬
50 : 살균장치
52 : 살균램프
54 : 인쇄회로기판
56 : 램프커버
58 : 이너커버
59 : 제1영역
59a : 몰딩액
59b : 커버고정부
60 : 아우터커버
62 : 투명패널
64 : 절연체
65 : 제2공간
96 : 넷스틸1: air conditioner 10: case
10a: inlet 10b: outlet
20:
22: lower guider 26: stabilizer
28: upper guider 29: fastening boss
30:
30b: groove 32: connection part
34: inner side wall 35: second side wall
36: supporter 42: outer vane
43: inner vane 44: heat exchanger
46: blow fan 50: sterilizer
52: germicidal lamp 54: printed circuit board
56: lamp cover 58: inner cover
59:
59b: cover fixing part 60: outer cover
62: transparent panel 64: insulator
65: second space 96: net steel
Claims (10)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보내도록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팬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더;
상기 제1가이더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더와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2가이더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송풍팬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측벽; 및
상기 제1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을 향해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송풍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a case in which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re formed below the suction port;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a blower fan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and rotating to send air inside the case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 first guider for guiding the air flowing downward by the blowing fan to the outlet;
a second guider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guid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with the first guider;
a first sidewall bent and extende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r to guide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blowing fan, and disposed to face the blowing fan; and
and a sterilizing device dispos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irradiating left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blowing fan,
The sterilizer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er fan.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살균장치에 배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살균장치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측벽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겨된 거리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A groove disposed in the sterilizer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The distance at which the sterilizer is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fa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distance at which the first sidewall is beaten from the blowing fan.
상기 살균장치는,
좌외선광을 조사하는 살균램프;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을 조절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살균램프를 상기 제1측벽에 장착시키는 램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제1측벽이 형성하는 면에서, 상기 제1측벽의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terilizer is
Germicidal lamp irradiating left ultraviolet light;
a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ermicidal lamp;
and a lamp cover for moun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terilization lamp to the first side wall,
The lamp cover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wall from a surface formed by the first sidewall.
상기 살균램프로부터 이격배치되고, 상기 램프커버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는 투명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panel spaced apart from the sterilization lamp and covering an open side of the lamp cover.
상기 투명패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는, 상기 살균램프의 둘레로 절연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5. The method of claim 4,
An insulator is disposed around the sterilization lamp between the transparent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2가이더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제1측벽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보스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A fastening boss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r,
The lamp cover extends to the rear of the first sidewall and is fixedly disposed to the fastening boss.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 또는 상기 송풍팬의 중심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rilization lamp is an air conditioner that is disposed to face a center of the blowing fan or a lower side than a center of the blowing fan.
상기 살균램프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측벽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tance between the germicidal lamp and the blowing fan is longer than the distance at which the first side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fan.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살균램프가 장착되는 이너커버와, 상기 이너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투명패널이 장착되는 아우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커버의 외측면은, 상기 제1측벽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과 나란하게 배치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lamp cover includes an inner cover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terilization lamp are mounted, and an outer cover mounted on the inner cover and on which the transparent panel is mounte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an imaginary surfac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이너커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일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어퍼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과 상기 어퍼벽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제1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치를 고정하도록 몰딩액이 주입되는 공기조화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cover includes a peripheral wall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and an upper wall forming a surface to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in close contact at one end of the peripheral wall,
The peripheral wall and the upper wall form a first area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mold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first region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758A KR102454764B1 (en) | 2020-12-28 | 2020-12-28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758A KR102454764B1 (en) | 2020-12-28 | 2020-12-28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732A true KR20220093732A (en) | 2022-07-05 |
KR102454764B1 KR102454764B1 (en) | 2022-10-13 |
Family
ID=8240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758A KR102454764B1 (en) | 2020-12-28 | 2020-12-28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476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5902A1 (en) * | 2022-08-31 | 2024-03-07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9628A (en) * | 2008-08-28 | 2011-06-02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Ion generating device and air cleaning device |
KR20190005681A (en) * | 2017-07-07 | 2019-01-16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Sterilization moudle |
KR20200102864A (en) * | 2019-02-22 | 2020-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758A patent/KR1024547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9628A (en) * | 2008-08-28 | 2011-06-02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Ion generating device and air cleaning device |
KR20190005681A (en) * | 2017-07-07 | 2019-01-16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Sterilization moudle |
KR20200102864A (en) * | 2019-02-22 | 2020-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5902A1 (en) * | 2022-08-31 | 2024-03-07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4764B1 (en) | 2022-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9504B1 (en) | Air Conditioner | |
JP3960812B2 (en) | Air conditioner | |
JP4439532B2 (en) | Air conditioner | |
JP2004069127A (en) | Air conditioner | |
JP4033885B2 (en) | Air conditioner | |
JP3995491B2 (en) | Air conditioner | |
CN107429936A (en) | Air-conditioning | |
JP400781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454764B1 (en) | Air Conditioner | |
CN114322091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KR20200102864A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JP4090489B2 (en) | Air conditioner | |
CN213334689U (en) | Indoor air conditioner | |
KR100470483B1 (en) | Five Direction Deflation Type Air-Conditioner | |
CN217235845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217685439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217235812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154186Y1 (en) | Airconditioner | |
JP7284779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412251B1 (en) | Air conditioner | |
CN216591955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JP2002243198A (en) | Dehumidifier | |
KR0139374Y1 (en) | Establishing device of ultraviolet-ray apparatus in airconditioner | |
KR20230035941A (en) | Air Conditioner | |
KR20040076158A (en) | outlet passage structure of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