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337A -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 Google Patents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0337A KR20220090337A KR1020200181428A KR20200181428A KR20220090337A KR 20220090337 A KR20220090337 A KR 20220090337A KR 1020200181428 A KR1020200181428 A KR 1020200181428A KR 20200181428 A KR20200181428 A KR 20200181428A KR 20220090337 A KR20220090337 A KR 202200903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el
- heating means
- drying device
- handrail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함체인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 및 가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을 온오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어 가열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타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relates to a towel drying apparatus having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 which is an enclosure forming a plate shape as a whole; a heating mean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heating unit to turn on/off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a perforated hol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수건 보관함의 바닥 또는 중간 지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체가 되면서도 수건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하여 수건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의 기능까지 겸비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l drying apparatus having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r an intermediate point of a conventional towel storage box, and removes moisture from the towel while being a support that can hold the towel. To provide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that has the function of a dryer to dry towels effectively.
가정의 욕실 또는 사우나와 같은 공동 목욕 시설 등에서는 세탁된 수건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사용하고 있다. 보관함은 철제, 목제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 등을 재질로 하는 캐비넷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경우에는 수건의 보관상태에 따라서 미관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전면을 문(욕실에 설치된 수건 보관함의 경우 거울을 포함함)을 이용하여 폐쇄하는 경우에는 통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바,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수건에 습기가 배어 눅눅해지는 경우가 있다. 즉, 욕실과 사우나와 같은 공동 목욕시설은 항상 습기가 존재하며, 건조된 수건은 이를 흡수하는 성향이 특히 강하다. 아울러, 거울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온수의 사용으로 인한 온도차로 인하여 수건 보관함의 결로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In household bathrooms or communal bathing facilities such as saunas, lockers for storing washed towels are used. The storage box is a cabinet made of iron, wood, or plastic injection molding materials, and in the case of an open front, the appearance may not be good depending on the storage condition of the towels. Including), there is a problem that ventilation is not good when closing using a bar,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the towel may become damp due to moisture. That is, there is always moisture in common bath facilities such as bathrooms and saunas, and dry towels have a particularly strong tendency to absorb it. In addition, when a mirror is attached, condensation may occur in the towel holde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e use of hot water.
이와 같이 미사용 수건에 습기가 배는 경우에는 위생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시 좋지않은 냄새가 날 수도 있으며, 사용상 쾌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unused towel is wet, it is not good for hygie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pleasant odor may be emitted during use, and the use is not pleasan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습윤 환경에서도 수건함의 건조상태를 상시 유지하여 수건 사용의 쾌적성,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to ensure the comfort and hygiene of towel use by always maintaining the dry state of the towel box even in a wet environment.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수건의 건조과정은 물론이고, 수건을 거치할 수 있도록 선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el drying apparatus having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that can serve as a shelf to hold towels as well as a drying process of towels.
또한, 본 발명은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의 크기를 수건 보관함의 크기에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수건 보관함의 교체가 용이하고, 수건 보관함의 위치 이동도 편리하도록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that makes the size of the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to match the size of the towel storage box, so that the towel storage box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location of the towel storage box is conveniently mov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수건 보관함에 설치되는 난간(수건 이탈 방지봉)에서도 공기가 배출되어 수건을 골고루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that allows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handrail (towel separation prevention bar) installed in the towel storage box to dry the towel evenly.
또한, 본 발명은 윗부분 및 옆부분에서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수건 보관함의 건조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that can more reliably guarantee the drying state of the towel holder by discharging air from the upper part and the side part.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함체인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 및 가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을 온오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어 가열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타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dy as a whole forming a plate shape; a heating means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heating unit to turn on/off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a perforated hol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상기 제어부, 가열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전원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means and starting an operation is further included.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홀이 더 마련되며, 흡입홀과 인접한 본체 내부와 팬 사이에는 필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suction hole for sucking external air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filter uni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an and the insid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suction hole.
상기 가열수단에 인접하여 가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an adjacent to the hea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상기 제어부와 가열수단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rtition wall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means.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공기배출용 배출공 또는 슬릿이 형성된 봉형상의 난간이 결합되며, 난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는 난간 결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봉형상의 난간은 직선형, 만곡형, 절곡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A bar-shaped handrail having a discharge hole or a slit for air discharg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handrail coupling part having a discharge hole to move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andrail i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bar-shaped handrail is a straight line, At least one of a curved type and a bent type it is preferable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 또는 난간의 일측에는 살균 장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terilizing device is inclu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or one side of the handrail.
상기 본체에는 수건함의 내면 중 배면 방향의 벽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타공된 판재가 거치되는 판재 거치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타공홀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타공된 판재와 수건함 내면 중 후면 사이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ate holder on which a perforated plate provided adjacent to a wall surf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owel box is mounted, and heated air flowing through the perforated hole is a rea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wel box. It is preferable to feed in betwee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습윤 환경에서도 수건함의 건조상태를 상시 유지하여 수건 사용의 쾌적성,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ensuring the comfort and hygiene of towel use by always maintaining the dry state of the towel box even in a wet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수건의 건조과정은 물론이고, 수건을 거치할 수 있도록 선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the role of a shelf to hold the towel as well as the drying process of the towel.
또한, 본 발명은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의 크기를 수건 보관함의 크기에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수건 보관함의 교체가 용이하고, 수건 보관함의 위치 이동도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making the size of the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to match the size of the towel holder, so that the towel hold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towel holder is also conveniently moved.
또한, 본 발명은 수건 보관함에 설치되는 난간(수건 이탈 방지봉)에서도 공기가 배출되어 수건을 골고루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discharged from the handrail (towel separation prevention rod) installed in the towel holder, so that the towel can be dried evenly.
또한, 본 발명은 상면 및 측면에서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수건 보관함의 건조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more reliably guaranteeing the dry state of the towel holder by discharging air from the top and side surfaces.
또한, 본 발명은 욕실 등의 내부와 외부 온도차로 인하거나, 또는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로 욕실장의 거울에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on the mirror of the bathroom head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throom, or when hot water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가 설치된 수건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타공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난간에 구성되는 배출공 또는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과 수건 보관함의 측면에 측면바 홀이 형성된 측면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다양한 설치상태와 난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난간의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owel box installed with a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erforated hole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showing the flow state of air when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hole or a slit configured in th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showing a side bar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owel storage box.
7 is a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states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handrail.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handrails construc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 group"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건 건조가 설치된 수건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타공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난간에 구성되는 배출공 또는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과 수건 보관함의 측면에 측면바 홀이 형성된 측면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다양한 설치상태와 난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난간의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owel box installed with towel dry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erforated hole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state of air when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hole or a slit configured in th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de bar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towel storage box It is a view showing a bar, and FIG. 7 is a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states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state of the railing, and FIG. It is a drawing showing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건 보관함(10)은 사각 캐비넷 형태이다. 수건 보관함(10)의 전방부에는 수건의 낙하를 방지하고 수건의 보관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난간(180)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towel storage box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quare cabinet. A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수건 보관함(10)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예를 들어 상하 중간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중간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기존의 수건 보관함(10)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했던 수건 받침용 선반을 대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수건 보관함(10)용 선반으로도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선반을 빼고,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착탈이 가능하여 독립적인 거래 대상이 될 수 있다. 수건 보관함(10)과 함께 패키지로 거래대상이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함체인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수단(120); 상기 가열수단(1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30); 상기 센서(130) 및 가열수단(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13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120)을 온오프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마련되어 가열수단(12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타공홀(1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함체 형상인 본체(110)는 가급적이면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위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에는 가열수단(120)이 마련되는데, 가열수단(120)은 히터일 수도 있고, 저항체일 수도 있다. 가열수단(120)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한 작동방식이나 특정한 형태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다. If possible, the
상기 가열수단(120)은 제어부(140) 및 장치 전면에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원부 스위치(250)에 의하여 온오프제어되는데, 이는 가열수단(120)의 작동을 통하여 수건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이유이나, 가열수단(120)의 과열을 방지하는 측면도 있다. 즉, 가열수단(120)이 일정 온도 미만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열수단(120)의 과열에 의하여 화재 등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한다. 가열수단(120)의 온도는 가열수단(120)과 유무선으로 접촉가능한 센서(130)에 의하여 측정이 가능하며, 센서(130)는 제어부(140)에 측정된 온도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The heating means 120 is controlled on and off by the
한편, 본체(110)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다방면으로 공기중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측면 또는 배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타공홀(150)이 뚫려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발열 기능과 가열된 공기 배출기능을 모두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더욱 촉진하기 위하여 팬(160)을 내장할 수 있다. 팬(16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되며, 팬(160)의 회전면이 본체(11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상부면과 수직이나 비스듬한 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팬(160)은 가열수단(12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타공홀(150)과, 난간 결합부(190)를 통해 난간(180)의 배출공(181)을 통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난간 결합부(190)는 난간(18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으며, 돌출부나 함몰부의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난간(180)의 내부와 통공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난간 결합부(190)의 형태는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난간(180)은 본체(110) 중 수건 보관함(10)의 입구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난간 결합부(190)도 그에 부합되는 위치에 생성된다. 습기제거장치(100)가 수건 보관함(10)의 바닥이 아닌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체(110)의 하부에도 난간 결합부(190)가 마련되어 여기에 난간(18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난간 결합부(190)에는 배출홀이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은 습기제거장치(100)의 내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배출홀을 통해 난간(180)으로 공기가 공급 및 순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 또는 난간(180)의 일측에는 살균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예를 들어 UV LED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출홀의 하부에 설치되면, UV LED로 인하여 난간의 배출공을 통한 조명의 효과를 향유함은 물론, 살균의 기능까지 부가할 수 있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180)에 구성되는 배출공(181)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배출공(181) 대신 난간(180) 측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81)이 마련될 수도 있다. 배출공과 슬릿은 가열된 공기를 수건 보관함(10) 내부로 배출시킨다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As shown in FIG. 5 , the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난간(180)과의 연결성이 좋으며, 난간(180)을 통해서 가열된 공기를 수건 보관함(10) 내 골고루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난간(18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판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판재 거치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한편, 가열수단(120)이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며, 제어부(140)가 이와 인접하게 되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열수단(120)과 제어부(140) 사이에는 격벽(170)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격벽(170)은 단열성 재질일 수 있다. 별도의 냉각수단을 강구할 수도 있으나, 냉각수단은 가열수단(120)에 의한 열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는 않다.On the other hand, if the heating means 120 maintains a high temperature state, and the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수건 보관함(10)의 내부 후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2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판재 거치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한편, 난간(180)의 배출공(181)을 통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은 편의상 수건 보관함(10)의 전후가 되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수건 보관함의 도어면과 평행한 면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공기의 유동방향, 즉 배출공(181)이나 슬릿의 형성방향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판재 거치부(200)는 판재(210)가 거치되어 판재(210)와 수건 보관함(10)의 내부 후면이 독립된 공간을 이루도록 기능하고, 습기제거장치(100)의 배면에 설치된 타공홀(150)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상부로 순환하면서 판재홀(260)을 통해 수건 보관함(10) 전반적으로 골고루 가열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판재(210)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과 수건 보관함의 측면에 측면바 홀이 형성된 측면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에는 필터부(240) 측면에 형성된 흡입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오염된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필터부(240)가 정화하게 된다.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showing a side bar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owel storage box. As shown, in the
또한, 수건 보관함(10)의 내부 측면에 습기제거장치(100)와 연통되어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는 내부 중공형인 측면바(220)를 구성함으로써, 수건이 수건 보관함(10)에 꽉 찼을 때에도 수건 보관함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측면바(220)의 측면에 측면바 홀(230)이 마련됨으로써, 측면바(220)의 측면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어 수건 보관함(10)내 사각지대 없이 두루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inn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기제거장치의 다양한 설치상태와 난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수건 보관함(10)의 어떤 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고, 연결되는 난간(180)의 형태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직선형 난간(180) 뿐만 아니라 도 8에서와 같이 만곡형 또는 절곡형 난간(180)을 구성할 수 있다.7 is a view showing various installation states of the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handrail. As shown,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습기제거장치(100)는 수건의 거치기능과 동시에 수건의 건조기능, 난간(180)의 수건 안착기능 및 난간(180)을 통한 수건의 건조 기능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개체로서 사용하던 수건 보관함(10)을 폐기하는 경우에도 다른 수건 보관함(10)에도 활용될 수 있어 재활용 성능도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not for its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수건 보관함
100 : 습기제거장치
110 : 본체
120 : 가열수단
130 : 센서
140 : 제어부
150 : 타공홀
160 : 팬
170 : 격벽
180 : 난간
181 : 배출공, 슬릿
190 : 난간 결합부
200 : 판재 거치부
210 : 판재
220 : 측면바
230 : 측면바 홀
240 : 필터
250 : 전원부 스위치
260 : 판재홀10 : towel storage
100: moisture removal device 110: body
120: heating means 130: sensor
140: control unit 150: perforated hole
160: fan 170: bulkhead
180: handrail 181: exhaust hole, slit
190: handrail coupling part 200: plate material holding part
210: plate 220: side bar
230: side bar hole 240: filter
250: power switch 260: plate hole
Claims (8)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 및 가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을 온오프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어 가열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기 위한 타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 body that is an enclosure forming a plate shape as a whole;
a heating means provided on one inner side of the body;
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heating unit to turn on/off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and
a perforated hol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preve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가열수단에 인접하여 가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Adjacent to the heating means, a fan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eans to the outside;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홀이 더 마련되며, 흡입홀과 인접한 본체 내부와 팬 사이에는 필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 towel drying device having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uction hole for sucking in external air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filter uni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an and the insid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suction hole.
상기 제어부와 가열수단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means.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공기배출용 배출공 또는 슬릿이 형성된 봉형상의 난간이 결합되며, 난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는 난간 결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봉형상의 난간은 직선형, 만곡형, 절곡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A bar-shaped handrail having a discharge hole or a slit for air discharg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a handrail coupling unit having a discharge hole to move air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andrail is further included,
The bar-shaped handrail is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type, and a bent type.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 또는 난간의 일측에는 살균 장치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terilizing device is included on one side of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main body or the handrail .
상기 본체에는 수건함의 내면 중 배면 방향의 벽면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타공된 판재가 거치되는 판재 거치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타공홀을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타공된 판재와 수건함 내면 중 후면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further includes a plate holder on which a perforated plate provided adjacent to a wall surface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owel box is mounted, and heated air flowing through the perforated hole is a rea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owel box. A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in between.
상기 제어부, 가열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는 전원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방지기능을 가진 수건 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Towel drying device with a moisture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to start the operation and supply power to drive the control unit, the heating mea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1428A KR20220090337A (en) | 2020-12-22 | 2020-12-22 |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1428A KR20220090337A (en) | 2020-12-22 | 2020-12-22 |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0337A true KR20220090337A (en) | 2022-06-29 |
Family
ID=8227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1428A KR20220090337A (en) | 2020-12-22 | 2020-12-22 |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033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82665A (en) * | 2022-10-28 | 2023-02-03 | 成都九芝堂金鼎药业有限公司 | High-efficient even drying device of medicinal materi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276B1 (en) | 2013-09-25 | 2015-10-26 | 김인석 | Apparatus for drying towel |
-
2020
- 2020-12-22 KR KR1020200181428A patent/KR2022009033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3276B1 (en) | 2013-09-25 | 2015-10-26 | 김인석 | Apparatus for drying towe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82665A (en) * | 2022-10-28 | 2023-02-03 | 成都九芝堂金鼎药业有限公司 | High-efficient even drying device of medicinal material |
CN115682665B (en) * | 2022-10-28 | 2024-06-04 | 成都九芝堂金鼎药业有限公司 | Efficient and uniform medicinal material dry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68487B2 (en) |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 |
US10301766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0434404Y1 (en) |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knife and chopping board | |
US5606640A (en) | Towel warming cabinet with heated air from attached hair dryer circulating through towel rack and downwardly over the towel | |
JP4728263B2 (en) | Bathroom cleaning equipment | |
KR100928466B1 (en) | A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of hygienic clothes | |
KR101068655B1 (en) | Drying apparatus for laundry having function of emiting far infrared ray and negative ion | |
KR20220090337A (en) | Tower drying device functioned by moisture elimination | |
KR101974630B1 (en) | Apparatus For Drying Laundry | |
KR101525934B1 (en) | A Spa for Pet | |
JP2010019519A (en) | Bathroom dryer | |
KR100761986B1 (en) | Shoes drying sterilization machine | |
KR101516235B1 (en) | Food dehydrator for family use | |
KR101971097B1 (en) | Foldable apparatus for drying towel | |
KR20060006702A (en) | Multipurpose hanging sterilizer | |
JP3619203B2 (en) | Drying equipment | |
KR20100013004U (en) | A laundry dryer using the Heat Pipe | |
JP4600295B2 (en) | Drying equipment | |
JPH05157356A (en) | Toilet table | |
KR20080035936A (en) | Multi-purpose drying apparatus | |
JP6827169B2 (en) | Bathroom heater / dryer | |
US20220186958A1 (en) |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 |
KR20200127801A (en) | pet dryer | |
KR20120061363A (en) | Multifunction drier | |
CN212152844U (en) | Dry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