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43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7432A KR20220077432A KR1020200166363A KR20200166363A KR20220077432A KR 20220077432 A KR20220077432 A KR 20220077432A KR 1020200166363 A KR1020200166363 A KR 1020200166363A KR 20200166363 A KR20200166363 A KR 20200166363A KR 20220077432 A KR20220077432 A KR 202200774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
- nozzle
- gasket
- couple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가스켓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 및 상기 노즐분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분사부를 지지하는 노즐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터브에 저장된 물을 터브 외부로 배출한 뒤, 다시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의 구성중 터브 내부로 순환수를 분사하는 노즐부가 가스켓에 용이하게 결합되며, 좌우 공용으로 구비되어 여러가지 모델에 적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01526은 펌프에 의해 압송된 순환수를 드럼 내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세탁기는, 개스킷 바디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토출포트가 구비되는 분배관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관은 환형의 유로를 형성하여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한다. 분배관이 환형으로 형성되므로 개스킷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개스킷의 강한 탄성에 의해 복수개의 토출포트를 대응되는 노즐에 동시에 결합해야 한다.
또한 환형의 분배관은 터브 및 가스켓의 사이즈가 변경 될 경우 해당 사이즈에 맞추어 분배관을 새로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양산 과정에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 모델에 적용되는 분배관은 다른 의류처리장치 모델에 적용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내부 구조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순환수 분사용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순환수 분사용 노즐부 또는 순환유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스켓에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내부 구조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공용으로 적용 가능하며, 펌프에서 공급된 물을 분기하는 순환수 분기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부의 좌우 구분없이 양측에 모두 적용 가능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순환수를 공급하는 순환부를 구성하는 부품을 여러 부분으로 세분화하고 소형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스켓과 노즐부의 결합,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순환수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순환수 분사 시에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구성하는 부품을 소형화 및 범용화 하여 제작 용이성을 향상하고,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유로 대신에 소형화 가능한 노즐부 및 호스로 구비되어 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분기유로를 이용하여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이 적은 경우에도 순환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가스켓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 및 상기 노즐분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분사부를 지지하는 노즐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 및 상기 가스켓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노즐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파이프 및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가 구비되는 토출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토출파이프 및 제2토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파이프와 상기 제2토출파이프는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의 자유단에서 상기 노즐파이프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 따라 외경이 증감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분기하는 분기커넥터 및 상기 분기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분기커넥터에 의해 분기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분기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커넥터는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기유로와 결합되는 배수관 및 상기 분기커넥터 또는 상기 급수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커넥터결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결합부와 결합되는 커넥터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분기하여 압송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노즐결합부의 일면이 상기 터브와 접촉되게 결합되며,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노즐결합부의 타면이 상기 터브와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노즐분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터브와 결합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터브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터브에 대하여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노즐보스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노즐보스를 더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보스와 상기 제2노즐보스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가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결합가이드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노즐보스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가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결합가이드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2노즐보스와 결합되는 제2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일단이 상기 세제공급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유닛,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분기하여 안내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의 일면이 상기 터브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의 타면이 상기 터브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 및 상기 가스켓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터브림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안내부는 상기 터브림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와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연결되되, 일측에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노즐,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연결되는 제2노즐 및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을 연결하는 분사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전방부를 형성하며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프론트터브, 후방부를 형성하며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레어터브 및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백터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어터브와 상기 백터브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레어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후방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내부 구조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순환수 분사용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순환수 분사용 노즐부 또는 순환유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스켓에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 및 내부 구조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의류처리장치에서 공용으로 적용 가능하며, 펌프에서 공급된 물을 분기하는 순환수 분기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부의 좌우 구분없이 양측에 모두 적용 가능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순환수를 공급하는 순환부를 구성하는 부품을 여러 부분으로 세분화하고 소형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스켓과 노즐부의 결합,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순환수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고 순환수 분사 시에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가스켓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가스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터브개구부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터브개구부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분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분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가스켓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가스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터브개구부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가 터브개구부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분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분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투입구(101)가 구비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201)가 구비되는 터브(200), 상기 터브(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개구부(201)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01)가 구비되는 드럼(30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의류처리장치(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2),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03),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04), 의류처리장치(1)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패널(미도시)과 제2측면패널(미도시), 및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0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03)과 상기 후방패널(104)은 상기 베이스(10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측면패널과 제2측면패널은 상기 베이스(102)에 고정되어 전방패널(103)과 후방패널(104)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03)에는 캐비닛(10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의류투입구(101)가 구비되는데, 상기 의류투입구(101)는 전방패널(10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06)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바디(202)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바디의 전방면에는 터브개구부(20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개구부(201)는 가스켓(400)을 통해 상기 의류투입구(101)에 연결되는데, 상기 가스켓(400)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터브바디(202)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바디(202)의 원주면 중 드럼(300)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00)에 고정하는 스프링(107), 상기 터브바디(202)의 원주면 중 상기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00)에 고정하는 댐퍼(10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108)는 상기 터브바디(202)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의 좌측에 위치된 제1댐퍼, 상기 수직선의 우측에 위치된 제2댐퍼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바디(202)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바디(202)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전방 하중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하중부를 통해 상기 터브바디(202)의 무게를 증가시키면, 상기 터브바디(202)가 보다 큰 진동을 흡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드럼(30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바디(202)의 내부에는 드럼(300)이 수용된다. 드럼(300)의 전방면 즉, 터브개구부(201)와 마주하는 드럼(300)의 일면에는 드럼개구부(301)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개구부(301)는 터브개구부(201)와 연통되어 사용자가 의류투입구(101)를 통해 터브개구부(201)를 지나 드럼(300)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럼(300)은 구동부(700)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700)는 터브바디(202)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70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바디(202)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702), 상기 터브바디(202)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702)와 드럼(300)을 연결하는 회전축(720)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400)은 상기 터브바디(202)에 저장된 물이 터브개구부(201)를 통해 캐비닛(100)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바디(202)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하는 수단이다.
상기 가스켓(400)은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되어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410)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바디(410)는 일단이 상기 의류투입구(101)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1고정바디, 타단이 상기 터브개구부(201)에 고정된 원통형상의 제2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의 자유단과 제2고정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디의 자유단의 지름은 상기 제1고정바디의 자유단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두 자유단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디에 하나 이상의 변곡점이 구비되면, 상기 터브바디(202)의 진동이 캐비닛(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변곡점의 수가 상기 연결바디의 상부공간에 위치된 변곡점의 수보다 많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연결바디로 유입된 물이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에 집중되는 것을 고려한 결과이다. 상기 연결바디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에 집중될 것이므로, 상기 연결바디의 하부공간의 부피는 상기 연결바디의 상부공간의 부피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잔수 제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00)에는 가스켓바디(410)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가스켓안내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노즐부(6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터브(200)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며 이는 의류처리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급수원에서 급수부(1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200)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부(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터브(200) 하단에는 터브배수관(206)이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터브배수관(206)으로 배출된 물은 배수부(2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과정은 상기 급수부(10)와 배수부(20)에 의해 이루어지나, 터브(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순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브(200)에서 터브배수관(206)으로 배수된 물이 펌프(500)에 의해 압송되어 다시 터브(200)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500)에 의해 압송된 물은 순환부(600)를 통해 다시 터브(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데 순환부(600)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는 상술한 구조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다른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를 살펴보면,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달리 터브(200)가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해당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며,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201)가 구비되는 터브(200), 상기 터브(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개구부(201)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01)가 구비되는 드럼(300), 상기 드럼(300)과 연결된 회전축(7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710) 및 상기 회전축(7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베어링하우징(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30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유닛(800),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400)을 포함한다.
터브(200)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프론트터브(203)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레어터브(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터브(203)와 레어터브(204)는 나사로 조립될 수 있으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레어터브(204)는 후면에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의 내주에 후방가스켓(40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가스켓(401)은 백터브(205)와 연결될 수 있는데, 백터브(205)는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후방가스켓(401)은 백터브(205) 및 레어터브(204)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200)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백터브(205)는 드럼(300) 회전 시 드럼(300)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레어터브(204)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레어터브(204)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백터브(205)가 레어터브(204)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후방가스켓(401)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방가스켓(401)은 백터브(205)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가스켓(401)이 백터브(205)에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후방가스켓(401)은 회전축(720), 베어링하우징(710)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미도시)와 레어터브(204) 사이를 실링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가 터브(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가스켓(401)은 이와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형태나 연결되는 대상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론트터브(203)의 전방부에는 유연한 부재로 구비되는 가스켓(400)이 결합되어 프론트터브(203)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부(201)와 의류투입구(101)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가스켓(400)은 세탁수가 터브(200)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300)은 프론트드럼(302), 센터드럼(304), 백드럼(30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각각 전방볼밸런서(303)와 후방볼밸런서(305)가 설치될 수 있다. 백드럼(306)은 스파이더(307)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파이더(307)는 회전축(7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0)은 회전축(72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20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720)은 백터브(205)를 관통하여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720)과 동심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720)에 직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의 로터와 회전축(720)이 직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와 회전축(720)은 직결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백터브(205)의 후면에는 베어링하우징(71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710)은 상기 모터와 백터브(205) 사이에서 회전축(7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베어링하우징(710)에는 스테이터(미도시)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는 회전축(720)과 직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720)과 직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20)은 상기 베이스(102)와 수평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102)와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회전축(720)은 베어링하우징(710)부터 드럼(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베이스(102)와 거리가 더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300)은 전방을 향해 상승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외부로 꺼낼 때 용이한 효과가 있다.
베어링하우징(710)은 캐비닛 베이스(102)로부터 서스펜션유닛(80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유닛(800)은 수직 지지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지지하는 경사 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유닛(800)은 수직 지지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지지하는 경사 지지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유닛(800)은 캐비닛 베이스(102)에 완전 고정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드럼의 전후 및/또는 좌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서스펜션유닛(800)은 베이스(102)에 연결된 그 지지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유닛(800)은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베이스(102)에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유닛(800)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300)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상기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0)는 캐비닛(100)에 지지되며, 드럼(300)의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유닛(800)에 의해 완충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실질적으로 터브(200)와 드럼(300)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고, 또 드럼(300)의 진동이 터브(200)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럼(300)과 터브(200)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럼(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둘레를 따라 마주하는 캐비닛(100)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브림(230)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림(230)은 터브개구부(201)로부터 둘레를 따라 동일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하부에서 돌출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드럼(300) 및 터브(200)가 전방을 향하여 상승하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터브(200)의 상부면이 지면에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의류투입구(101)와 이격되는 거리가 하부면에 비해 멀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터브림(23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위치를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터브림(230)에는 가스켓(4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400)은 원통 형상의 가스켓바디(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바디(410)는 두 개의 원통형상이 겹치게 위치되고 전방면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에 위치하는 가스켓바디(410)의 일부는 상기 터브림(23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가스켓바디(410)의 일부는 상기 터브림(23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터브림(230)의 전방에 위치되는 단부는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브(200)와 드럼(300)이 분리되어 지지되는 본 실시예도, 위에서 서술한 터브(200)와 드럼(30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처음의 실시예와 같이 급수부, 배수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고, 터브(200)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도 3 참조)가 구비된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기초로 터브(200)에 물을 순환 공급하는 순환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비록,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도 3에서 기술하는 순환부는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101)가 구비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201)가 구비되는 터브(200), 상기 터브(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개구부(201)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01)가 구비되는 드럼(300),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109),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400), 상기 터브(200)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200)로 압송하는 펌프(500) 및 상기 펌프(500)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펌프(500)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가스켓(400)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610) 및 상기 터브(200)에 결합되는 노즐결합부(630)와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부(610)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가스켓(400)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브(20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640) 및 상기 노즐분사부(640)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200)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분사부(640)를 지지하는 노즐결합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600)를 통해 상기 터브(200) 내부의 물이 순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브(200)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물이 터브 하단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연통되는 터브배수관(206)에 의해 펌프(500)로 유입된다. 펌프에서는 터브배수관(206)을 통해 유입된 물을 다시 터브(200)로 공급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데, 가압된 물은 펌프(500)와 연결된 공급관(611)을 통해 이동한다. 공급관(611)의 단부에는 분기커넥터(615)가 결합되어 분기커넥터(615)를 기점으로 하여 분기커넥터(615)에 연결된 분기유로(612)를 따라 펌프에서 압송된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하여 유동한다.
여기서 분기커넥터(615)에서 분기유로(612)를 따라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쪽으로 물이 안내된다는 것의 의미는, 터브개구부(201)의 중심에서 수직선(V)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분기유로(612)의 단부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로(612)의 단부에 노즐부(620)가 결합되어 터브(200)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분기유로(612)를 따라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측으로 이동된 물은 노즐부(620)에 공급된다. 노즐부(620)는 터브개구부(201)에 구비되는 가스켓(400)에 결합되어 가스켓(4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가스켓(400)에 결합된 노즐부(620)를 통해 터브(200) 외부에서 유동하던 물이 다시 터브(20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브(200) 내부에 저장된 물은 세탁행정 중 특정 단계에서 터브(200)를 순환하며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분사될 수 있다. 의류에 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공급하고 분사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탁수가 단순히 터브(200)의 하부에 밀집되어 있지 않고 다시 상부로 이송되어 분사되는 과정을 통해 세탁 및 헹굼 속도를 증가시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순환부(600)를 구성하는 분기커넥터(615), 분기유로(612), 노즐부(6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게 형성될 경우에 터브개구부(201) 또는 가스켓(400)의 사이즈에 따라 순환부(600)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새로 제작해야 하며, 공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노즐부(620), 분기커넥터(615) 등을 세부 모듈화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다양한 모델의 의류처리장치에 동일한 노즐부(620) 또는 분기커넥터(615) 등을 적용하여 제작 및 설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노즐부(620)를 살펴보면 일면이 터브(200)에 마주하며 결합되고, 타면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방향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좌측에 결합되는 노즐부과, 우측에 결합되는 노즐부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게 제작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620)는 동일한 형상의 노즐부(620)를 구조적 설계를 통해 좌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될 경우 좌우 부품의 형상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시간 증가, 공정의 개별화, 관리의 비효율, 비용 상승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620)는 가스켓(400)과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개구부(201)와 상기 의류투입구(101)를 연결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가스켓바디(410)와 상기 가스켓바디(410)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할 때, 상기 가스켓안내부(420)는 전방에서 터브개구부를 바라볼 때,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안내부(421), 우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안내부(422), 좌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3안내부(423),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4안내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거나 적은 개수의 가스켓안내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안내부(424)가 있는 가스켓(400)을 상정하면 우측에 있는 제1안내부(421)와 제2안내부(422)에는 하나의 노즐부(620)가 결합될 수 있고, 죄측에 있는 제3안내부(423)와 제4안내부(424)에는 또 하나의 노즐부(620)가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620)는 이와 같이 가스켓(400)을 관통하게 결합되며, 펌프(500)에서 압송된 물이 순환유로부(610)를 통해 노즐부(620)에 공급되고, 노즐부(620)에서 터브(200) 내부로 분사된다. 물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가스켓바디(410)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분사안내부(411)에 충돌하고, 충돌에 의해 굴절된 물이 드럼(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터브와 순환부가 결합된 것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터브림(230)은 터브(200)의 하부보다 상부에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에 터브(200)가 캐비닛(100) 내부에서 지면과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100)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의류투입구(101)와 터브개구부(201)를 대응시키기 위해 도 4와 같이 터브림(230)이 상부의 길이가 하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림(230)에 가스켓(4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터브림(230)의 외주면에서는 가스켓(400)이 터브림(230)의 일정 높이만큼만 접촉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는 명확히 확인할 수 없으나, 터브림(230)의 내주면에서는 상기 가스켓(400) 터브림(230)의 내주면 전체에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620)는 터브(200)와 평행을 이루지 않고 상부가 터브와 더욱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터브개구부(201)와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상부가 터브(200)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부(620)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도록 가스켓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A부분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노즐부가 결합되기 이전, 도7은 노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가스켓(400)과 터브림(230)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되지 않기 위해서 가스켓(400)이 터브림(230)과 이중으로 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바디(410)는 터브림(230)의 내부, 외부에서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터브개구부(201)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터브림(230)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가스켓안내부(420)가 터브림을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터브림(230)에 형성된 관통홀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가스켓안내부(420)가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는 노즐부(620)가 결합되어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노즐부(620)는 순환유로부(610)에서 물을 공급받고 가스켓(400)과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640)와 상기 노즐분사부(640)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200)와 결합되는 노즐결합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결합부(630)는 상기 노즐분사부(640)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20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631) 및 상기 제1결합부(631)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200)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634)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4)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측에서 상기 터브(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의미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631)가 상기 터브(200)와 결합되고,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634)가 상기 터브(200)와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의 수직선(V)을 기준으로 우측을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으로, 좌측을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실제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과 타측은 다양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들어 터브개구부(201)의 중심에서 특정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장선이 서로 상이하다면, 일측과 타측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노즐결합부(630)는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4)를 연결하는 연장부(63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37)는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4)를 상기 터브(200)에 대하여 단차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4)가 터브(200)에 의해 단차지게 연결될 경우 상기 노즐부(620)가 가스켓(4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가 터브(200)와 이격되는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결합부(631)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640)가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결합가이드(632) 및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보스부(210)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634)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640)가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결합가이드(635) 및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보스부(210)와 결합되는 제2결합홀(6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633) 및 제2결합홀(636)은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가이드(632)와 제2결합가이드(635)는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의 일측에서 함몰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홀(633)과 제2결합홀(636)에는 스크류나 볼트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 삽입되어 터브(200)와 노즐결합부(63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가이드(632) 및 제2결합가이드(635)는 터브(200)에 형성되는 제1터브돌기(212)나 제2터브돌기(214)에 의해 노즐분사부(640)가 가스켓(40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노즐분사부(640)는 상기 순환유로부(610)에 연결되며, 내부에 노즐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파이프(641) 및 상기 노즐파이프(64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가 구비되는 토출파이프(64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파이프(641)는 순환유로부(610) 중 분기유로(612)에 연결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파이프(641)를 통과한 물은 노즐유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를 형성하는 토출파이프(642)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노즐파이프(641)와 토출파이프(642)는 모두 관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물이 유동할 수 있으며,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토출파이프(64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측부터 제1토출파이프(643), 제2토출파이프(644)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파이프(642)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토출파이프(643)와 제2토출파이프(644)는 가스켓(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파이프(643)와 제2토출파이프(644)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가스켓의 고무재질이 일정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토출파이프가 터브개구부의 중심을 향하여 서로 나란하지 않게 구비될 경우, 가스켓안내부에 토출파이프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토출파이프가 나란하게 구비될 경우 가스켓과 결합성이 증대되며, 작업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토출파이프(642)의 단부에는 직경이 증감하는 돌기부(645)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45)는 스크류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645)의 최대외경은 상기 돌기부(645)가 시작되는 지점의 토출파이프(64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645)는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는 가스켓안내부(420)와 돌기부(645)가 결합될 때, 가스켓안내부(420)를 통해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토출파이프(642)가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부(645)가 형성되는 지점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645)가 형성되는 부분만 가스켓안내붚에 삽입되는 것이 누수 방지 목적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터브개구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스켓(400)에 노즐부(620)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터브림(230)을 관통하여 가스켓안내부(420)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켓안내부(420)에는 상술한 토출파이프(642)가 결합되어 있다. 노즐결합부(630)를 살펴보면,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는 제1결합부(631)가 터브(200)에 접촉되게 결합되어 있다.
터브(200)에는 노즐결합부(630)를 향해 돌출되는 노즐보스부(210)가 형성된다. 노즐보스부(210)는 노즐결합부(630)가 터브(200)와 결합되는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터브(200)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노즐결합부(630)를 터브(200) 표면에 스큐류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관통결합할 경우 터브(200)의 외벽을 관통하여 누수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터브(200)에 별도의 두께를 가지며 결합이 용이하도록 노즐보스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보스부(210)는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제1결합부(631)와 결합 가능하도록 터브(200)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노즐보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안내부(420)에 노즐분사부(640)가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터브(200)에서 돌출되는 제1터브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보스(2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1결합홀(633)과 체결부재에 의해 관통 결합 가능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터브돌기(212)는 터브(200)에서 돌출되는 핀 형태로 구비되어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측면에서 노즐부(620)가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1결합가이드(632)가 제1결합가이드(632)의 함몰부 중 가장 깊은 곳에 접촉하는 지점에서 노즐분사부(640)의 토출파이프(642)가 가스켓안내부(420)에 충분히 결합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토출파이프(642)가 가스켓안내부(420)에 과도하게 삽입되거나, 반대로 충분히 삽입되지 않아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보스(211)는 터브(20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토출파이프(642)가 가스켓안내부(420)에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부(631)의 위치를 고려하여 터브(200)와 제1결합부(631)가 이격되는 거리만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돌기(212) 또한 상기 토출파이프(642)가 가스켓안내부(420)에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가이드(632)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결합가이드(632)가 상기 제1터브돌기(212)에 접촉 가능한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 위치하는 가스켓(400)에 노즐부(620)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과 마찬가지로 상기 터브림(230)을 관통하여 가스켓안내부(420)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켓안내부(420)에는 상술한 토출파이프(642)가 결합되어 있다. 노즐결합부(630)를 살펴보면,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는 제1결합부(631)가 터브(200)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것과 반대로 상기 제2결합부(634)가 터브(200)에 접촉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과 다른점을 살펴보면, 제2결합부(634)가 터브(200)에 접촉되어있다. 이는 동일한 노즐부(620)를 좌우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 구비되는 노즐보스부(210)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부(634)와 결합되는 제2노즐보스(213)와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노즐분사부(640)가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기 위해 터브(200)에서 돌출되는 제2터브돌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보스(213)와 상기 제2터브돌기(214)는 각각 제2결합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636)과 제2결합가이드(635)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한 결합 구조 및 과정은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제1결합부(631)와 제1노즐보스(211), 제1터브돌기(212)가 결합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제1노즐보스(211)와 제2노즐보스(213)는 상기 캐비닛(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노즐보스(211)는 제1결합부(631)와 결합되고, 제2노즐보스(213)는 제2결합부(634)와 결합되고, 설치 면에서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의 상대적 높이가 차이나기 때문에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제1노즐보스(211)와 제2노즐보스(213)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1터브돌기(212)와 제2터브돌기(214)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가 구성되는 것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결합부(631)와 제2결합부(634)각 노즐분사부(640)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제1노즐보스(211)와 제2노즐보스(213)는 수평 방향으로 터브개구부(201)와 이격 거리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노즐부(620)의 결합관계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상기 제1결합부(631)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640)가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결합가이드(632) 및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보스부(210)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634)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640)가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결합가이드(635) 및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보스부(210)와 결합되는 제2결합홀(6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보스부(210)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노즐보스(211) 및 제1터브돌기(212)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노즐보스(213) 및 제2터브돌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브돌기(212)는 제1노즐보스(211)보다 터브개구부(201)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터브돌기(214)는 제2노즐보스(213)보다 터브개구부(201)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가스켓(400)은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410) 및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640)는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00)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터브림(23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안내부(420)는 상기 터브림(230)을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분사부(640)는 상기 순환유로부(610)에 연결되며, 내부에 노즐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파이프(641) 및 상기 노즐파이프(64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가 구비되는 토출파이프(6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파이프(642)의 자유단에서 상기 노즐파이프(641)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 따라 외경이 증감하는 돌기부(64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645)는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645)는 상기 토출파이프(642)의 일부 구성으로서 상기 토출파이프(64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토출파이프(642)의 단부를 제외한 원주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기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할 때 노즐부(620)에 펌프(500)로부터 압송된 물을 공급하는 순환유로부(610)는 펌프와 연결되는 공급관(611), 공급관(611)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611)에서 공급된 물을 분기하는 분기커넥터(615) 및 분기커넥터(615)와 노즐부(620)를 연결하는 분기유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분기커넥터(615)는 상기 공급관(611)과 연결되는 급수관(616), 상기 급수관(616)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기유로(612)와 결합되는 배수관(617) 및 상기 분기커넥터(615) 또는 상기 급수관(616)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6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순환부(600)를 구성하는 노즐부(620)와 순환유로부(610)가 일체로 형성되어 범용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나, 분기커넥터(615)는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하므로 제작 비용, 설계 비용이 감소하고 운송 편의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결합부(618)가 형성됨으로써 터브(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순환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분기커넥터(615)와 공급관(611), 분기커넥터(615)와 분기유로(612)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분기커넥터가 터브에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터브(200)에는 커넥터결합부(618)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결합부(618)와 결합되는 커넥터보스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보스부(220)는 제1커넥터보스(221)와 제1커넥터돌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돌기(222)는 상기 터브에서 돌출되는 핀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결합가이드(63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분기커넥터(615)의 배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넥터보스(221)는 터브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결합홀(6181)과 상기 제1커넥터보스(221)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분기커넥터(615)는 상기 커넥터결합부(618)를 이용하여 상기 터브(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순환수의 유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순환부(60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 특히, 순환부(600)의 구성 중 노즐부(620)의 형상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일단이 상기 세제공급부(109)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공급부(109)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세제공급부(109)를 지나 안내관(11)을 따라 유동할 수 있으며, 안내관(11)의 일측은 상기 가스켓(400)에 삽입 결합되어 세탁에 필요한 물을 터브(2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노즐부(620)와 분기커넥터(615)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되고 양 구성을 연결하는 분기유로(612)의 경우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호스로 구비될 경우에, 터브(200)와 캐비닛(10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 운반, 조립의 용이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투입구(101)가 구비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에 고정되며,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201)가 구비되는 터브(200), 상기 터브(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개구부(201)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01)가 구비되는 드럼(300), 상기 드럼(300)과 연결된 회전축(7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710) 및 상기 회전축(7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700), 상기 베어링하우징(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30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유닛(800),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400), 상기 터브(200)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200)로 압송하는 펌프(500) 및 상기 펌프(500)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펌프(500)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측으로 분기하여 안내하는 순환유로부(610) 및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양측에서 상기 가스켓(400)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20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640)를 포함하는 노즐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640)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640)의 일면이 상기 터브(200)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640)의 타면이 상기 터브(20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노즐부(620)는
상기 가스켓(400)은 상기 의류투입구(101)와 상기 터브개구부(201)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410),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4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640)는 상기 가스켓안내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0)는 상기 터브개구부(201)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터브림(23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안내부는 상기 터브림(23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앞에서 상술한 터브림에 관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620)는 별도의 노즐결합부(630)가 형성되지 않고 노즐분사부(640)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분사부(640)는 순환유로부(610)와 가스켓안내부(420)에 연결되되, 일측에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노즐(650), 가스켓안내부(420)의 다른 부분에 연결되는 제2노즐(660) 및 제1노즐(650)과 제2노즐(660)을 연결하는 분사연결유로(6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안내부(420)는 제1안내부(421), 제2안내부(422), 제3안내부(423), 제4안내부(42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노즐(650)은 제2안내부(422)와 제4안내부(424)에 연결되고, 제2노즐(660)은 제1안내부(421)와 제3안내부(4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노즐(650)과 제2노즐(660)은 좌우 양방향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제1노즐(650)과 제2노즐(660)을 연결하는 분사연결유로(670) 또한 좌우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터브개구부(201) 및 가스켓(400)의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제1노즐(650)과 제2노즐(660)은 동일하게 사용하고, 분사연결유로(670)의 길이만 변경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여 범용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좌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부품의 종류가 감소되어 제작, 설계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상기 제1노즐(650)이 터브개구부(20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노즐(650)의 일면이 상기 터브(200)와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제1노즐(650)이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노즐(650)의 타면이 상기 터브(200)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관계는 제2노즐(660) 및 분사연결유로(67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도 12 중 터브개구부의 일측에 있는 제1노즐과 제2노즐을 각각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순환유로부(610)가 연결되는 제1공급관(651)을 통해 제1노즐(65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된 물은 분기하여 가스켓과 결합되는 제1분사관(653) 및 제1배출관(65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관(653)을 살펴보면, 상기 가스켓안내부(420)가 터브림(230)을 관통하여 터브(200) 외부로 노출되고, 제1분사관(653)이 가스켓안내부(420)에 결합된다. 제1분사관(653)의 단부에는 제1돌기부(65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경이 증감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스켓안내부(420)와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652)을 살펴보면, 제1배출관은 분사연결유로(67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순환유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는 제1분사관(653)을 통해 터브(200) 내부로 공급되고, 일부는 제1배출관(652)을 통해 분사연결유로(670)를 유동하여 제2노즐(660)에 공급된다.
도 12 및 도 14를 참고하면, 제2노즐(660)은 분사연결유로(670)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제2공급관(661)과 제2공급관(661)으로 공급받은 물을 터브 내부로 분사하는 제2분사관(6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분사관(662)의 단부에는 제1분사관(653)과 유사하게 제2돌기부(663)가 형성되어 가스켓안내부(420)와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터브개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노즐분사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터브개구부(201)의 타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급수부
100: 캐비닛
101: 의류투입구 102: 베이스 103: 전방패널
104: 후방패널 105: 상부패널 106: 도어
107: 스프링 108: 댐퍼 109: 세제공급부
20: 배수부 200: 터브 201: 터브개구부
202: 터브바디 203: 프론트터브 204: 레어터브
205: 백터브 206: 터브배수관 210: 노즐보스부
211: 제1노즐보스 212: 제1터브돌기 213: 제2노즐보스
214: 제2터브돌기 220: 커넥터보스부 221: 제1커넥터보스
222: 제1커넥터돌기 230: 터브림 231: 림관통홀
300: 드럼 301: 드럼개구부 302: 프론트드럼
303: 전방볼밸런서 304: 센터드럼 305: 후방볼밸런서
306: 백드럼 307: 스파이더 400: 가스켓
401: 후방가스켓 410: 가스켓바디 411: 분사안내부
420: 가스켓안내부 421: 제1안내부 422: 제2안내부
423: 제3안내부 424: 제4안내부 500: 펌프
600: 순환부 610: 순환유로부 611: 공급관
612: 분기유로 613: 제1분기유로 614: 제2분기유로
615: 분기커넥터 616: 급수관 617: 배수관
618: 커넥터결합부 6181: 커넥터결합홀 6182: 커넥터결합가이드
620: 노즐부 630: 노즐결합부 631: 제1결합부
632: 제1결합가이드 633: 제1결합홀 634: 제2결합부
635: 제2결합가이드 636: 제2결합홀 637: 연장부
640: 노즐분사부 641: 노즐파이프 642: 토출파이프
643: 제1토출파이프 644: 제2토출파이프 645: 돌기부
650: 제1노즐 651: 제1공급관 652: 제1배출관
653: 제1분사관 654: 제1돌기부 660: 제2노즐
661: 제2공급관 662: 제2분사관 663: 제2돌기부
670: 분사연결유로 671: 제1연결유로 672: 제2연결유로
700: 구동부 701: 스테이터 702: 로터
710: 베어링하우징 720: 회전축 800: 서스펜션유닛
101: 의류투입구 102: 베이스 103: 전방패널
104: 후방패널 105: 상부패널 106: 도어
107: 스프링 108: 댐퍼 109: 세제공급부
20: 배수부 200: 터브 201: 터브개구부
202: 터브바디 203: 프론트터브 204: 레어터브
205: 백터브 206: 터브배수관 210: 노즐보스부
211: 제1노즐보스 212: 제1터브돌기 213: 제2노즐보스
214: 제2터브돌기 220: 커넥터보스부 221: 제1커넥터보스
222: 제1커넥터돌기 230: 터브림 231: 림관통홀
300: 드럼 301: 드럼개구부 302: 프론트드럼
303: 전방볼밸런서 304: 센터드럼 305: 후방볼밸런서
306: 백드럼 307: 스파이더 400: 가스켓
401: 후방가스켓 410: 가스켓바디 411: 분사안내부
420: 가스켓안내부 421: 제1안내부 422: 제2안내부
423: 제3안내부 424: 제4안내부 500: 펌프
600: 순환부 610: 순환유로부 611: 공급관
612: 분기유로 613: 제1분기유로 614: 제2분기유로
615: 분기커넥터 616: 급수관 617: 배수관
618: 커넥터결합부 6181: 커넥터결합홀 6182: 커넥터결합가이드
620: 노즐부 630: 노즐결합부 631: 제1결합부
632: 제1결합가이드 633: 제1결합홀 634: 제2결합부
635: 제2결합가이드 636: 제2결합홀 637: 연장부
640: 노즐분사부 641: 노즐파이프 642: 토출파이프
643: 제1토출파이프 644: 제2토출파이프 645: 돌기부
650: 제1노즐 651: 제1공급관 652: 제1배출관
653: 제1분사관 654: 제1돌기부 660: 제2노즐
661: 제2공급관 662: 제2분사관 663: 제2돌기부
670: 분사연결유로 671: 제1연결유로 672: 제2연결유로
700: 구동부 701: 스테이터 702: 로터
710: 베어링하우징 720: 회전축 800: 서스펜션유닛
Claims (20)
-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가스켓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 및
상기 노즐분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분사부를 지지하는 노즐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 및
상기 가스켓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노즐유로가 형성되는 노즐파이프; 및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하는 분사유로가 구비되는 토출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파이프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토출파이프 및 제2토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파이프와 상기 제2토출파이프는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파이프의 자유단에서 상기 노즐파이프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연장 방향에 따라 외경이 증감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분기하는 분기커넥터; 및
상기 분기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분기커넥터에 의해 분기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분기유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커넥터는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기유로와 결합되는 배수관; 및
상기 분기커넥터 또는 상기 급수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커넥터결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결합부와 결합되는 커넥터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분기하여 압송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순환유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노즐결합부의 일면이 상기 터브와 접촉되게 결합되며,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노즐결합부의 타면이 상기 터브와 접촉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결합부는
상기 노즐분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터브와 결합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터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터브에 대하여 단차지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노즐보스;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노즐보스;를 더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보스와 상기 제2노즐보스는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가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결합가이드;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노즐보스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상기 노즐분사부가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결합가이드;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2노즐보스와 결합되는 제2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세제공급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터브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유닛;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로 압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펌프에 의해서 압송된 물을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으로 분기하여 안내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터브개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가스켓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분사부를 포함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일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의 일면이 상기 터브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브개구부의 타측에서는 상기 노즐분사부의 타면이 상기 터브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의류투입구와 상기 터브개구부를 연결하는 가스켓바디; 및
상기 가스켓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스켓바디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가스켓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개구부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터브림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안내부는 상기 터브림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분사부는
상기 순환유로부와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연결되되, 일측에 개방된 유로가 형성되는 제1노즐;
상기 가스켓안내부에 연결되는 제2노즐; 및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을 연결하는 분사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전방부를 형성하며 터브개구부가 구비되는 프론트터브;
후방부를 형성하며 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레어터브; 및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백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레어터브와 상기 백터브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레어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후방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363A KR20220077432A (ko) | 2020-12-02 | 2020-12-02 | 의류처리장치 |
EP21211543.0A EP4008828A1 (en) | 2020-12-02 | 2021-12-0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7/540,671 US20220170195A1 (en) | 2020-12-02 | 2021-12-0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363A KR20220077432A (ko) | 2020-12-02 | 2020-12-02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7432A true KR20220077432A (ko) | 2022-06-09 |
Family
ID=7882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6363A KR20220077432A (ko) | 2020-12-02 | 2020-12-02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70195A1 (ko) |
EP (1) | EP4008828A1 (ko) |
KR (1) | KR20220077432A (ko)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259234B (it) * | 1992-11-11 | 1996-03-11 | Zanussi Elettrodomestici | Lavatrici con dispositivo perfezionato di caricamento d'acqua |
KR20090107164A (ko) * | 2008-04-08 | 2009-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1556150B1 (ko) * | 2008-12-31 | 2015-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KR101590371B1 (ko) * | 2009-02-16 | 2016-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방법 |
US9045853B2 (en) * | 2009-10-13 | 2015-06-02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1756676B1 (ko) * | 2010-04-28 | 2017-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이드부재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
AU2012243648B2 (en) * | 2011-04-14 | 2015-12-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washing |
WO2013091288A1 (zh) * | 2011-12-19 | 2013-06-27 | 海尔集团公司 | 一种用于清洗观察窗及窗垫密封圈的装置和方法及洗衣机 |
KR20140140435A (ko) * | 2013-05-29 | 2014-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102183472B1 (ko) * | 2013-11-07 | 2020-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102512212B1 (ko) * | 2016-02-23 | 2023-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US10982370B2 (en) * | 2016-03-08 | 2021-04-20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RU2732110C1 (ru) * | 2016-12-28 | 2020-09-11 |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
KR102523465B1 (ko) * | 2017-11-09 | 2023-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U2017384896B2 (en) * | 2016-12-28 | 2020-11-12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KR102573125B1 (ko) * | 2017-12-28 | 2023-08-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2459589B1 (ko) * | 2018-01-05 | 2022-10-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WO2020004908A1 (en) * | 2018-06-27 | 2020-01-02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JP7155303B2 (ja) | 2018-06-27 | 2022-10-18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洗濯機 |
WO2020004911A1 (en) * | 2018-06-27 | 2020-01-02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US11692296B2 (en) * | 2018-06-27 | 2023-07-04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KR102628103B1 (ko) * | 2019-02-01 | 202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628098B1 (ko) * | 2019-02-01 | 202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20
- 2020-12-02 KR KR1020200166363A patent/KR2022007743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12-01 EP EP21211543.0A patent/EP4008828A1/en active Pending
- 2021-12-02 US US17/540,671 patent/US20220170195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170195A1 (en) | 2022-06-02 |
EP4008828A1 (en)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3125B1 (ko) | 세탁기 | |
US11293132B2 (en) | Laundry machine | |
KR10252346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765277B1 (ko) | 드럼세탁기 | |
US9476157B2 (en) | 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 |
US20190024293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RU2734407C1 (ru) |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 |
US11479902B2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US11377776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992179B1 (ko) | 세탁기 | |
US9080275B2 (en) | Drain ho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102436701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EP3690112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180131894A (ko) | 세탁기 | |
KR102431502B1 (ko) | 세탁물 처리장치 | |
KR102643584B1 (ko) | 세탁기 | |
KR20220156222A (ko) | 세탁기 | |
KR20220077432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8518996A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486261B1 (ko) | 세탁기 | |
KR101461391B1 (ko) |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 |
KR102642445B1 (ko) | 세탁기 | |
KR100696423B1 (ko) | 스팀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 |
KR102485726B1 (ko) | 세탁기 | |
KR101054437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