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20057667A - 칩의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칩의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667A
KR20220057667A KR1020227014501A KR20227014501A KR20220057667A KR 20220057667 A KR20220057667 A KR 20220057667A KR 1020227014501 A KR1020227014501 A KR 1020227014501A KR 20227014501 A KR20227014501 A KR 20227014501A KR 20220057667 A KR20220057667 A KR 20220057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hips
game
total amount
substitute curr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시게타
Original Assignee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제루 구루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3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560A/ko
Publication of KR2022005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66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07F17/322Casino tables, e.g. tables having integrated screens, chip det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2Roulette-like ball g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 G06M1/27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using photo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23Architectural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internal configuration, master/slave,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1Security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detecting cheating, device integrity, surveill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8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non-monetary media of fixed value, e.g. casino chips of fixed va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Geometr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부피가 크게 겹쳐 쌓여 유기 테이블에 놓여지는데, 각 칩 내에 IC 태그를 장착하고, 판독 장치로 판독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총액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고, 카메라로부터의 촬상에서는 사각이 발생하거나, 중첩에 의해 그림자에 들어가거나 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을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계측 시스템에서는,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 (120) 의 화상을 얻는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 (2) 와,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 대상의 칩에 대한 각각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시각으로부터 계측 대상의 칩의 높이를 얻고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를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장수 계측 장치 (32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칩의 계측 시스템{CHIP MEASURING SYSTEM}
본 출원에서는, 2016년 9월 1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2016-196030의 이익을 주장하고, 당해 출원의 내용은 인용함으로써 여기에 도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기장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 (gaming chips) 인 칩의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기 테이블 상에 놓여진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의 장수나 총액을 파악하기 위해 각 유기용 대용 화폐에 무선 IC (RFID) 태그를 붙여 유기용 대용 화폐의 액수를 파악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카드 게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유기 테이블 상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가 승패 결과대로 회수 혹은 상환되었는지의 여부를, 유기용 대용 화폐의 움직임을 화상 해석함으로써 판정하여, 부정 행위의 모니터링이 실시된다.
또, 카지노 등의 유기장에서는,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장수나 총액을 파악하기 위해 각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IC 태그를 붙여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를 파악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5/107902호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부피가 크게 겹쳐 쌓여 유기 테이블에 놓여지는데, 각 칩 내에 IC 태그를 장착하고, 유기 테이블의 아래에 형성한 IC 태그의 판독 장치에서 겹쳐 쌓은 칩을 판독한다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칩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총액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판독 장치의 감도를 높게 하면, 상이한 위치 (위치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합산되어져 각 위치마다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을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또, 카메라로부터의 촬상에서는, 카메라의 시각에 따라 사각 (死角) 이 발생하거나, 중첩에 의해 그림자에 들어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을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카지노 등의 유기장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부피가 크게 겹쳐 쌓여 유기 테이블에 놓여지는데, 유기 테이블의 아래에 형성한 IC 태그의 판독 장치에서는, 총액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판독 장치의 감도를 높게 하면, 상이한 위치 (위치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합산되어져 각 위치마다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을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유기장에서의 게임에 있어서의 겹쳐 쌓인 칩의 총액을 계측하는 신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칩의 계측 시스템은, 유기 테이블에서 실시되는 게임에 있어서 겹쳐 쌓인 소정 두께의 계측 대상의 칩의 상태를 카메라에 의해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와,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얻는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 대상의 칩에 대한 각각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시각으로부터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높이를 얻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를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장수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및 칩 장수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는다.
또한,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칩 장수 계측 장치에 더하여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와,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화상 분석 결과로부터 각각의 칩의 종류를 식별하여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칩의 계측 시스템은,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통하여 각 플레이어가 거는 계측 대상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를 파악하여, 각 플레이어가 건 모든 칩의 총액을 파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유기 테이블의 딜러의 칩 트레이의 화상을 얻는 칩 트레이용의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칩 트레이용의 카메라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칩 트레이의 칩의 총액을 파악하는 칩 트레이의 칩 계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본원 발명은, 칩의 계측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기 테이블에 있어서의 매 게임의 승패 결과를 얻는 승패 결과 판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승패 결과 판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해 진 플레이어가 건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로부터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진 플레이어가 건 칩 총액을 파악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유기 테이블의 딜러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파악하고, 각 게임의 청산 전의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으로부터, 당해 게임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건 계측 대상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와 당해 승패 결과 판정 장치에서 얻은 당해 게임의 승패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증감액을 가감산하고,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청산 후의 상기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통하여 얻은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당해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오산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복수 갖고, 상기 칩 총액 계측 장치는, 각각의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각각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촬영된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사용하여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하는, 칩의 계측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 본 칩의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은,
적어도 착색층과,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적층하여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를 구성하여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에 의해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가 특정 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적층 구조체의 또한 상하면에는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쇄층이 형성되며,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층 구조를 이루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칩의 계측 시스템은,
유기 테이블에서 실시되는 게임에 있어서 겹쳐 쌓인 소정 두께의 계측 대상의 칩의 상태를 카메라에 의해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와,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얻는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 대상의 칩에 대한 각각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시각으로부터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높이를 얻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를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장수 계측 장치와,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와,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화상 분석 결과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칩 장수 계측 장치, 및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은,
적어도 착색층과,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적층하여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를 구성하여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에 의해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가 특정 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적층 구조체의 또한 상하면에는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쇄층이 형성되며,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층 구조를 이루는 구성이다.
또,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은,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 중 적어도 1 층으로, 층중에 중량 증가용의 금속 분말을 함유한 무거운 층이어도 된다. 또, 추가로 상기 착색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한 백색층 또는 박색층의 상하의 층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계측 시스템에 의하면, 겹쳐 쌓여 놓여진 칩의 장수를 계측하여, 걸어진 칩의 총액을 계산함으로써,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른 칩의 회수 및 상환이 바르게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계측 시스템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악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상이한 중첩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을 쌓아 올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종류가 상이한 것을 쌓아 올린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 사진도이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칩 트레이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칩 트레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는, 2 단 구조의 칩 트레이와 카메라 장치 (2)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2 단을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 는, 2 단 구조의 칩 트레이와 카메라 장치 (2)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2 단을 어긋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장수의 계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장수의 계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장수의 계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장수의 계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지노 등의 유기장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부피가 크게 겹쳐 쌓여 유기 테이블에 놓여지는데, 유기 테이블의 아래에 형성한 IC 태그의 판독 장치에서는, 총액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판독 장치의 감도를 높게 하면, 상이한 위치 (위치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합산되어져 각 위치마다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을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존재한다.
또 종래,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무늬는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있고, 다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쌓여 있으면, 카메라에 의해 정확하게 쌓아진 장수를 파악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여 겹쳐 쌓이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긋나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카메라 장치 (2) 가 위치하는 경우 (혹은 상대적으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방향이 사각이 되는 경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는) 것이 상정된다.
또, 딜러는 유기 테이블 상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승패 결과대로 회수 혹은 상환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화상 해석함으로써 판정하려고 해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무늬가 복잡하기 때문에,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응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상환시에 딜러가 정확하게 상환했는지의 여부는, 현존의 실용적인 화상 해석 기술로는 판정할 수 없어, 미스의 방지가 충분하지 않다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다수 쌓아 올려져 있어도 화상 분석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장수를 판정할 수 있어, 비교적 중첩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도 총액을 위치와 색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유기 테이블 (4) 을 갖는 유기장에 있어서의 테이블 게임에 있어서의 칩의 계측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은 동 시스템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복수의 유기 테이블 (4) 을 갖는 유기장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유기 테이블 (4) 에서 실시되는 게임의 진행 상태를 게임 참가인 (6) 및 딜러 (5) 를 포함하여 복수의 카메라 장치 (2) 를 통하여 영상으로서 기록함과 함께 기록된 게임의 진행 상태의 영상을 화상 분석하는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구비한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또한 유기 테이블 (4) 에 있어서 각 게임의 승패 결과를 판정하여 표시하는 카드 배포 장치 (3) 를 구비한다. 카드 배포 장치 (3) 는, 이미 당업자에게 사용되어 알려져 있는, 이른바 전자 슈이며, 미리 게임의 룰이 프로그램되어 있고, 배포되는 카드 (1) 의 정보 (랭크와 슈트) 를 판독하여, 게임의 승패를 판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카라 게임에서는, 뱅커의 승, 플레이어의 승, 타이 (무승부) 가, 기본적으로 각 2 ∼ 3 장의 카드의 랭크에 의해 결정되며, 판정 결과 (승패 결과) 는 표시 램프 (13) 에서 표시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카드 배포 장치 (3) 로부터 얻은 카드 (1) 의 정보 (랭크와 슈트) 를 판독하여 각 게임의 승패 결과를 판정함과 함께, 게임 참가인 (6) 이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와 종류와 장수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각 게임에 있어서의 참가인 (6) 중의 승자 (6W) 및 패자 (6L) 를 판정한다. 또, 추가로 유기 테이블 (4) 에 있어서의 카지노측의 수지 계산 (패자 (6L) 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으로부터 참가인 (6) 중의 승자 (6W) 에게 상환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을 뺀 액수) 을 게임마다 실시하는 계산 기능을 구비한다.
본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 기록 장치 (300),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및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일체 혹은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및 프로그램, 메모리를 복합적으로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계측에 사용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계측 시스템에 사용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정면 단면도로, 복수의 색의 상이한 플라스틱의 층이 적층되고, 적어도 중간에 착색층 (121) 을 구비하며, 이 중간의 착색층 (121) 의 양측에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 (도시하지 않지만 착색층 (121) 보다 색이 연한 층이면 된다) 을 적층한 다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색층 (121) 을 구비하고, 이 중간의 착색층 (121) 의 양측에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 (도시하지 않지만 착색층 (121) 보다 색이 연한 층이면 된다) 을 적층한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고,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 (10 포인트, 20 포인트, 100 포인트, 1000 포인트 등) 마다 착색층 (121) 의 색을 바꿈으로써 (적색, 녹색, 황색이나 청색 등)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측면에 축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외관에 있어서 착색층 (121) 과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을 갖는 구조체로 하고, 착색층 (121) 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각각 다른 실시예이지만, 착색층 (121) 및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예로, 성형 금형 (도시 생략) 내에서 먼저 착색층 (121) 을 성형하고, 그 후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을 성형하는 이른바 2 색 성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백색층 (122) 의 표면 (상면과 하면) 에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쇄 (123) (100 포인트 등) 가 실시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층에 투명층 (124) 이 형성되고,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적어도 5 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가늘고 긴 장척상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장척의 상태에서 각 층 (착색층 (121), 백색층 (122), 투명층 (124)) 사이가 열 압착되어 밀착된 상태 (5 층 구조등) 를 형성하고, 그 후에 프레스 등에 의해 원형 혹은 장방형 등으로 펀칭하여 형성된다. 프레스에 의해 펀칭할 때에 펀칭을 위한 금형의 다이와 펀치의 치수를 설계하여 최외층의 투명층 (124) 의 단 (端) 에 R 가공 (둥근 모서리) 이 실시된다.
즉,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제조할 때에는, 먼저, 판상의 플라스틱제의 착색층 (121) 과, 판상의 플라스틱제의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을 적층하여,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적층 구조체의 상면 및 하면에 도안을 인쇄하고, 다시 그 위에 투명층 (124) 을 형성한다. 그리고, 적층 구조체와 투명층 (124) 의 각 층을 가열 압착하여 각 층을 열 용착하여 대용 화폐 원판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들어진 대용 화폐 원판을 금형에 의해 펀칭 가공하여, 소정 형상의 복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얻는다. 이 펀칭 가공시에, 금형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외측의 상하의 모서리를 R 가공한다.
또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는, 백색층 (122) 의 표면에 UV 잉크 또는 카본 블랙 잉크에 의한 페이스 코드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이 페이스 코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진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외선 (혹은 적외선) 을 쬐면 마크가 눈에 보이게 되어, 그 형태나 수의 조합으로 진정한 것을 나타낸다. 도 6 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쌓아 올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긴 코드 (FL) 와 짧은 코드 (FS) 를 조합한 것이, 페이스 코드 (F) 이다. 인쇄 (123) 나 페이스 코드를 덮도록 최외층에는 투명층 (인쇄층) (124) 이 열 압착 혹은 코팅 (도포) 되어 있지만, 이 투명층 (124) 에는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색층 (122) 의 표면에 페이스 코드를 인쇄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페이스 코드 대신에, 혹은 페이스 코드와 함께, 시큐리티 마크, 옵티컬 베리어블 디바이스 (OVD)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을 인쇄해도 된다.
인쇄 (123) (100 포인트 등) 가 실시된 최외층의 투명층 (인쇄층) (124) 의 단은 R 가공 (R) 이 실시되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펀칭 공정에 있어서, 백색층 (122) 의 표면이 변형되어 측면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예리한 단이 남아, 손이나 다른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착색층 (121)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색된 복수의 층 (도 3 에서는 3 층) 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착색된 복수의 층 (도 3 에서는 3 층) 은 서로 열 압착되어 있으므로, 도 3 과 같이 3 층 구조가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아니며, 도 3 은 설명상 3 층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서는 착색층 (121) 의 3 층 중 한가운데의 층에는 일부 도려내진 부분 (B) 이 형성되고, 그 중에는 RFID (125) 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RFID (125) 는, 착색층 (121) 에 도려내진 부분 (B) 을 형성하지 않고, 평평한 표면의 착색층 (121) 과 평평한 표면의 백색층 (122) 사이에 배치되며, 그대로 착색층 (121) 과 백색층 (122) 을 열 압착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내장시켜도 된다. 착색층 (121) 및 백색층 (122) 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플라스틱 등의 열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열 압착에 의해 RFID (125) 를 사이에 두는 착색층 (121) 및 백색층 (122) 중의 플라스틱층이 열 변형되므로, 도려내진 부분 (B) 을 형성하지 않아도 RFID (125) 가 그들 층의 사이에 밀착 고정된다.
도 7 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가 상이한 것을 쌓아 올린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 설명 사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상에 게임의 참가인 (6) 이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카메라 장치 (2) 로 촬상하고, 놓여진 에어리어 (8) 별로 (뱅커에게 걸었는지, 플레이어에게 걸었는지, 혹은 페어 (PAIR) 에 걸었는지, 타이 (TIE) 에 걸었는지) 를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구비한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에 의해 측정함과 함께, 각 에어리어에 있어서 적층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착색층 (121) (혹은 박색층) 또는 백색층 (122) 의 수와 색을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가 (화상 기록 장치 (300) 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 계측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와 장수를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카메라 장치 (2) 에 의한 촬상을 카드 배포 장치로부터 한 장째의 카드가 뽑힐 때, 또는 뽑히기 전후, 혹은 딜러의 내기 종료의 싸인 후에 실시하도록, 카메라 장치 (2) 를 제어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를 갖는 제어 장치여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카메라 장치 (2),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각 참가인 (6) 이 거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 (8)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에 건 위치), 종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색마다 상이한 액수의 값이 할당되어 있다) 및 장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공 지능 활용형의 컴퓨터 혹은 제어 시스템, 딥 러닝 (구조) 기술에 있어서는, 자기 학습 기능 등을 사용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 (8)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에 건 위치), 종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은 색마다 상이한 액수의 값이 할당되어 있다) 및 장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게임에 있어서 카드 배포 장치 (3) 가 판정하는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각 게임의 진 참가인 (6L) 이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화살표 E 로 나타낸다) 및 이긴 게임 참가인 (6W) 에 대한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 (지불 (120W)) 이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적정하게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게임의 진행 상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판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 에 나타내는 종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비해) 적층된 다층 구조로 되어 있고,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가 선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포함하는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는 용이하게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종류 및 장수의 측정을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공 지능 활용형의 컴퓨터 혹은 제어 시스템, 딥 러닝 (구조) 기술을 사용하면, 화상의 분석, 판정이 보다 정확하게 가능해진다. 인공 지능 활용형의 컴퓨터 혹은 제어 시스템, 딥 러닝 (구조) 기술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져 있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의 딜러 (5) 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사용하여 분석 파악 가능하고, 게임이 종료되어 청산한 후에, 각 게임 참가인 (6) 이 건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게임 참가인 (6W) 에 대한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대한 지불 (120W) 의 액수에 따라,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총액이 증감하였는지의 여부를,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비교 계산 가능하다.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은, RFID 등의 수단에 의해 항상 파악되고 있어도, 그 증감액이 바른지 아닌지는, 관리 제어 장치 (14) 가,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게임의 진행 상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판정한다. 이것들도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가 활용되어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의 각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에 건 위치) 와 액수 (종류와 장수) 를 파악하여, 각 게임의 승패 결과에 의해 얻어지는 각 게임 참가인 (6) 의 승패 이력과 얻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 (이긴 액수) 를, 과거의 다수 (빅 데이터) 의 게임의 통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이한 상황 (카지노에 의해 설정된다) 으로서 추출 가능한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여도 된다. 전형적으로는 어느 액수 (100 만 달러) 이상의 이긴 액수의 발생이나, 어느 유기 테이블 (4) 의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 졌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적고, 이겼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많은 상태가 수 게임 계속되어, 그것이 과거의 게임의 통계 데이터 (빅 데이터 등) 와 비교하여 특이한 상황으로서 이것을 추출 가능한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의 관리 제어 장치 (14) 를 구비하는 것이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의 딜러 (5) 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각 게임 후에 각 참가인 (6) 이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과의 청산이 실시되어 청산한 후에, 청산에 대응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증감이 바른지의 여부를, 비교 계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딜러 (5)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유지용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는, 횡방향으로 적층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착색층 (121) 또는 백색층 (122) 의 수와 색을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가 (화상 기록 장치 (300) 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 계측함으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와 장수가 판정 가능하다. 유지용의 칩 트레이 (17)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은, 이와 같이 하여 항상 (혹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파악되어 있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각 게임의 청산액 (유기 테이블 (4) 에 있어서의 카지노측의 수지 계산 (패자 (6L) 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으로부터 참가인 (6) 중의 승자 (6W) 에게 상환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을 뺀 액)) 을 게임마다 실시하는 계산 기능을 구비하므로 (상기 참조), 칩 트레이 (17)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은 항상 (혹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검증된다. 즉,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증감이, 화상 기록 장치 (300) 에 의한 화상 분석 결과와 딜러 (5) 에 의한 각 게임의 청산액과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검증된다.
도 8a 는, 본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트레이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 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트레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칩 트레이 (17) 에는, 진 플레이어 (6L) 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L) 을 회수하여 일시 보관하는 회수용의 칩 트레이 (171) 와 상환하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W) 을 보관하는 상환용의 칩 트레이 (172) 가 형성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 (300) 및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진 플레이어 (6L) 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L) 의 위치, 종류 및 장수를 파악하고,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L) 의 증액분 (당해 회수용의 칩 트레이 (171)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있어야 하는 액수) 을 계산한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 (300) 및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회수된 후의 칩 트레이 (171)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상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전에 나타낸 칩 트레이 (17) 는, 상단 칩 트레이 (17a) 와 하단 칩 트레이 (17b) 로 이루어지는 2 단 구조로 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 는, 2 단 구조의 칩 트레이 (17) 와 카메라 장치 (2)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9a 는, 2 단을 중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 는 2 단을 어긋나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단 칩 트레이 (17a) 의 하단에는 하단 칩 트레이 (17b) 가 있고, 서로 힌지 (18) 로 연결되어 있다. 상단 칩 트레이 (17a)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부족한 경우에는 하단 칩 트레이 (17b) 로부터 상단 칩 트레이 (17a) 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보충하고, 상단 칩 트레이 (17a)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과잉이 된 경우에는 하단 칩 트레이 (17b) 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이동시킨다.
하단 칩 트레이 (17b) 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출납하기 위해서는 상단 칩 트레이 (17a) 를 힌지 (18) 에 의해 이동시켜, 도 9b 의 상태로 한다. 도 9a 의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 (2) 에 의해 상단 칩 트레이 (17a) 를 촬상하고, 도 9b 의 상태에서는 카메라 장치 (2) 에 의해 하단 칩 트레이 (17b) 를 촬상 가능하다. 도 9b 의 상태에서는 또한, 카메라 장치 (2C) 에 의해 상단 칩 트레이 (17a) 와 하단 칩 트레이 (17b) 를 동시에 또한 서로 구별 가능한 상태에서도 촬상 가능하다. 또, 도 9b 의 상태에서 상단 칩 트레이 (17a) 와 하단 칩 트레이 (17b) 를 따로 따로 촬영해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카메라 장치 (2),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각 플레이어 (6) 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베트 에어리어 (8) 의 어느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 에 걸었는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색마다 상이한 액수의 값이 할당되어 있다) 및 장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여 겹쳐 쌓이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긋나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카메라 장치 (2) 가 위치하는 경우 (혹은 상대적으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방향이 사각이 되는 경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는) 것이 상정된다.
이와 같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베트 에어리어 (8) 의 어느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 에 걸었는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색마다 상이한 액수의 값이 할당되어 있다) 및 장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 게임에 있어서 카드 배포 장치 (3) 가 판정하는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각 플레이어 (6) 가 건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회수 (화살표 E 로 나타낸다) 및 이긴 플레이어 (6W) 에 대한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대한 지불 (120W) 이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적정하게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게임의 진행 상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가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분석한 판정 결과가, 그 밖의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 (예를 들어 RFID 에 의한 판독 결과) 와 상이했던 경우에는, 당해 분석 화상을 보존하여 나중에 검증할 수 있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의 딜러 (5) 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사용하여 분석 파악 가능하고, 게임이 종료되어 청산한 후에, 각 플레이어 (6) 가 건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플레이어 (6W) 에 대한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대한 지불 (120W) 의 액수에 따라,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증감되었는지의 여부를, 게임의 승패 결과에 따라서 비교 계산 가능하다.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은, RFID 등의 수단에 의해 항상 파악되고 있어도, 그 증감액이 바른지 아닌지는, 관리 제어 장치 (14) 가,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게임의 진행 상태의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게임의 승패 결과, 어느 종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베트 에어리어 (8) 의 어느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 에 몇 장 걸렸는지의 정보, 및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이 끝난 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증감액에 기초하여 부정이나 미스를 검지하므로, 게임 종료 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움직임, 즉, 걸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플레이어측으로 이동했는지, 딜러측으로 이동했는지를 파악하지 않아도, 부정이나 미스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의 승패 결과는, 예를 들어 바카라의 경우에는, 카드 배포 장치 (3) 에 있어서, 그 게임에서 계속 내보내진 카드 (1) 의 랭크를 판독함으로써, 바카라의 룰에 따라서 판정할 수 있다. 또, 게임의 승패 결과는, 유기 테이블 (4) 상을 카메라 장치 (2) 로 촬영하여, 그 화상을 화상 기록 장치 (300) 로 분석하고, 관리 제어 장치 (14) 로 분석 결과를 게임의 룰과 대조하는 것에 의해서도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 장치 (2) 와 화상 기록 장치 (300) 와 관리 제어 장치 (14) 로 본원 발명의 승패 결과 판정 장치가 구성된다.
각 플레이 위치 (7) 의 플레이어, 어느 종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베트 에어리어 (8) 의 어느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 에 몇 장 걸렸는지의 정보는, 베트 에어리어 (8)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카메라 장치 (2) 로 촬영하여, 화상 기록 장치 (300) 로 플레이 위치 (7) 마다 그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다. 이후에 상세를 설명한다.
또,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이 실시되기 전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증감액은,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을 하기 전의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과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을 한 후의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을 비교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을 하기 전의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 및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한 상환을 한 후의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은, 각각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수용한 칩 트레이 (17) 를 카메라 장치 (2) 로 촬영하고, 화상 기록 장치 (300) 로 그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검지 가능하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내에 그 액수를 나타내는 RFID 를 매립함과 함께 칩 트레이 (17) 에 RFID 리더를 형성함으로써, 칩 트레이 (17) 에 수용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게임 개시 전에 칩 트레이 (17)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Bb 이고, 게임이 종료되어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회수 및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에 대한 상환이 끝난 후의 칩 트레이 (17)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이 Ba 라고 한다. 또, 이 게임에 있어서, 플레이어 에어리어에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전체 플레이 위치 (7) 의 총액이 bp 이고, 뱅커 에어리어에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전체 플레이 위치 (7) 의 총액이 bb 이고, 타이 에어리어에 걸어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전체 플레이 위치 (7) 의 총액이 bt 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이 게임의 승패 결과가 뱅커의 승리인 경우에는, Ba - Bb = bp - bb + bt 가 성립되어야 한다. 혹은, 게임 종료 후의 칩 트레이 (17) 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 Ba 는 (Bb + bp - bb + bt) 이어야 한다. 그와 같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회수 또는 상환에 있어서, 부정 또는 미스가 있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게임마다 유기 테이블 (4) 상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액수와 게임의 승패 결과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수지를 계산하여, 게임 후에 있어서의 칩 트레이 (17) 내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잔고의 증액을 검증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이 검증에 있어서 상이가 검출되면, 알람을 발출하거나, 혹은 카메라 장치 (2) 로 촬영된 비디오의 기록에 그 취지의 기록을 추가한다. 카지노 운영자는, 비디오를 확인함으로써 상이의 원인을 추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계측 시스템은, 각 게임의 청산 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으로부터, 당해 게임에서 모든 플레이어 (6) 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 종류 및 장수와 승패 결과 판정 장치에서 얻은 당해 게임의 승패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증감액을 가감산하고,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청산 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얻은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상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각 플레이어가 거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를 파악하고, 각 플레이어가 건 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모든 회수가 끝났을 때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현실의 총액을 파악하고, 각 게임의 청산 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총액으로부터, 진 플레이어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로부터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칩 트레이 (17) 의 증액을 가산한 당해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당해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상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각 게임의 청산 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으로부터, 진 플레이어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 종류 및 장수로부터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칩 트레이 (17) 의 증액을 가산한 당해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당해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상이가 없다고 판정하고, 또한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정산 후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얻은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상이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지불의 오류로 판정하고, 지불의 오류를 알리는 지불 오류 시그널을 발생시킨다.
칩 트레이 (17) 에는, 진 플레이어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회수하여 일시 보관하는 회수 칩 트레이 (171) 가 형성되고, 화상 기록 장치 (300) 는, 진 플레이어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L) 의 위치, 종류 및 장수로부터 계산되는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증액을 가산한 회수 칩 트레이 (171)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회수 칩 트레이 (171)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상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가 유기 테이블 (4) 의 딜러 (5) 의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파악되어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현실의 총액이, 모든 플레이어가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액수와 당해 게임의 승패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증감액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상이를 판정했을 때에는, 화상 기록 장치 (300) 에 있어서 상기의 상이가 발생한 게임의 기록이 분석 가능해지도록, 화상 기록 장치 (300) 는, 취득된 영상에 인덱스 혹은 시각을 부여하거나, 혹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회수 신 혹은 지불 신을 특정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화상 기록 장치 (300) 를 통하여 게임의 종료시의 청산 후에 칩 트레이 (17) 에 있어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칩) 의 총액을 얻는데, 이 경우의 청산 후의 판단이라는 것은, 이하의 1) ∼ 4) 중 어느 하나가 일어났을 때로 한다.
1) 이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이긴 칩) (120) 에 대한 상환이 종료되었을 때,
2) 당해 게임에서 사용된 카드 (1) 가 회수되어, 당해 테이블의 폐기 에어리어 혹은 폐기 슬롯에 폐기될 때,
3) 승패 결과 판정 장치에 부수되는 소정의 버튼을 눌렀을 때,
4) 승패를 나타내는 마커 (도시 생략) 를 원래대로 되돌렸을 때.
상기의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각 게임에서 게임 참가인이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와 종류와 장수의 촬상을 실시하는데, 이것은 이하의 1) ∼ 3) 중 어느 하나를 검출했을 때로 한다.
1) 상기 카드 배포 장치의 한 장째의 카드가 뽑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2) 뽑히기 전후,
3) 딜러의 내기 종료의 싸인을 관리 제어 장치가 인식한 후.
또,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 테이블 (4) 의 각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에 건 위치) 와 액수 (종류와 장수) 를 파악하고, 각 게임의 승패 결과에 의해 얻어지는 각 플레이어 (6) 의 승패 이력과 얻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 (이긴 액수) 를, 과거의 다수 (빅 데이터) 의 게임의 통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이한 상황 (카지노에 의해 설정된다) 으로서 추출 가능한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이다. 전형적으로는 어느 액수 (100 만 달러) 이상의 이긴 액수의 발생이나, 어느 유기 테이블 (4) 의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 졌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적고, 이겼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많은 상태가 수 게임 계속되어, 그것이 과거의 게임의 통계 데이터 (빅 데이터 등) 와 비교하여 특이한 상황으로서 이것을 추출 가능한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의 관리 제어 장치 (14) 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계측 시스템의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화상 기록 장치 (300) 와 일체로 되어) 특이한 상황으로서 추출되거나, 혹은 소정액 이상의 승리를 거둔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의 개별의 플레이어 (6) 의 특정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플레이어 (6) 의 특정은, 화상 기록 장치 (300) 에 있어서, 얼굴의 화상을 특징점 추출 등에 의해 얻고, 아이덴티티 번호 (ID 등) 를 부여하여 특정해 둔다. 그리고 관리 제어 장치 (14) 는, 특정된 플레이어 (6) 가, 자리를 떠 다른 유기 테이블에 도착했을 때, 당해 다른 유기 테이블에 당해 특정 플레이어의 존재를 알리는 경고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기 테이블 (4) 을 관리하는 피트 매니저나 각 테이블 책임자 (딜러여도 된다) 에게 알려, 추가적인 특이 현상의 방지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 있어서, 개별의 플레이어 (6) 를 특정하지 않고 플레이 위치 (7) 마다의 승패 이력과 얻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 (이긴 액수) 를 감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 플레이어 (6) 가 자리를 뜬 경우에 그 플레이어 (6) 를 트랙킹할 수 없게 되지만, 1 개의 유기 테이블 (4) 의 특정한 플레이 위치 (7) 에서 졌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적고, 이겼을 때의 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가 많은 상태가 수 게임 계속되거나 하는 특이한 상황을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플레이 위치 (7) 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 플레이 위치 (7) 에 있어서 부정이나 미스가 있었던 의심이 있다. 그리고, 그 플레이 위치 (7) 를 촬영한 비디오를 검증함으로써, 부정이나 미스를 발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장치 (2) 는, 적어도 유기 테이블 (4) 의 베트 에어리어 (8)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화상 기록 장치 (300) 는, 카메라 장치 (2) 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위치 (7) 마다 베트 에어리어 (8) 의 플레이어, 뱅커, 타이의 어느 위치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이 놓여졌는지, 및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를 검지한다. 또, 카드 배포 장치 (3) 는, 승패 결과 판정 장치로서도 기능하여, 게임의 승패 결과를 판정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놓여진 베트 에어리어 (8) 내의 위치 (플레이어, 뱅커, 또는 타이) 및 게임의 승패 결과에 기초하여, 플레이 위치 (7) 마다의 승패 이력 및 얻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액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획득액) 를 기록해 간다 (감시한다). 또한, 승패 이력 및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획득액은, 그 어느 하나만이 기록되어도 된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이 승패 이력 및/또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획득액의 이력이, 과거의 다수 (빅 데이터) 의 게임의 통계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이한 상황 (카지노에 의해 설정된다) 인 경우에, 이 플레이어 위치 (7) 를 부정 행위가 의심되는 플레이 위치로서 특정한다.
어느 플레이어 위치 (7) 에 대해 부정 행위가 의심된 경우에는, 부정 검지 시스템은, 그 시점에서 적어도 딜러가 지각할 수 있도록 알람 (빛이나 소리나 진동) 을 발생시켜도 된다. 이로써, 적어도 그 자리에서 그 이후의 게임을 중단시키거나 하여, 부정 행위의 계속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카메라 장치 (2) 에 의해 촬영되어 기록되는 영상에, 부정 행위가 의심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비디오를 확인함으로써, 부정 행위의 의심의 원인을 구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착색층 (121) 과, 착색층 (121) 을 사이에 두는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이 적층된,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이로써 측면에 적층 방향으로 줄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측면에 나타난 착색층 (121) 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종류가 특정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의 표면에 인쇄가 실시되고, 그 상면에 투명층 (124) 을 갖는다. 착색층 (121),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 인쇄층 (124) 은,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착색층 (121) 을 사이에 두는 백색층 (122) 또는 박색층은, 상하에서 두께가 상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상면 및 하면의 외측 가장자리는 R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취급하는 플레이어의 손이 다치거나, 다른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색층 (121), 백색층 (122) 또는 박색층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의 층 사이에 RFID (125) 가 밀착 고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UV 발광 잉크,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잉크 (카본 블랙 잉크) 등의 적외선 흡수 잉크에 의한 페이스 코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페이스 코드 대신에, 혹은 페이스 코드와 함께, 시큐리티 마크, 옵티컬 베리어블 디바이스 (OVD)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각 게임에서 게임 참가인이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와 종류와 장수를 판별하기 위한 촬상을, 카드 배포 장치 (3) 로부터 한 장째의 카드가 뽑힐 때, 또는, 뽑히기 전후, 혹은 딜러의 내기 종료의 싸인 후에 실시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계측 시스템은, 유기 테이블 (4) 에 있어서 각 게임의 승패 결과를 판정하여 표시하는 카드 배포 장치 (3) 와, 유기 테이블 (4) 상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촬상하는 카메라 장치 (2) 와, 카메라 장치 (2) 에 의한 촬상 결과를 사용하여, 게임 참가인 (6) 이 유기 테이블 (4) 상에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위치와 종류와 장수를 특정하여 기억하는 관리 제어 장치 (14) 를 구비한다.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착색층 (121) 과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체로,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갖는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카드 배포 장치 (3) 로부터 얻은 승패 결과와, 카메라 장치 (2) 의 촬상 결과를 사용하여 특정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위치와 종류와 장수에 기초하여, 유기 테이블 (4) 에 있어서의 카지노측의 수지 계산을 게임마다 실시하는 계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관리 제어 장치 (14) 는, 각 게임 참가인 (6) 이 놓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착색층 (121) 또는 백색층 (122) 혹은 박색층의 수를 계측하고, 착색층 (121) 의 색에 의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의 종류나 금액을 판정하여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장수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은,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여 겹쳐 쌓이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긋나 중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카메라 장치 (2) 가 위치하는 경우 (혹은 상대적으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방향이 사각이 되는 경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보이지 않는 (사각에 들어가는) 것이 상정된다. 각 플레이 위치 (7) 의 플레이어, 어느 종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베트 에어리어 (8) 의 어느 위치 (플레이어나, 뱅커나, 페어) 에 몇 장 걸렸는지의 정보는, 베트 에어리어 (8) 에 놓여진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카메라 장치 (2) 로 촬영하고, 화상 기록 장치 (300) 로 플레이 위치 (7) 마다 그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지는데, 카메라 장치 (2) 만으로 이것을 실시하려고 하면 사각 등의 문제로 매우 고도의 고가의 화상 해석 장치가 필요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 상세를 설명한다.
도 10, 11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계측 시스템에서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2) 에 더하여, 유기용 테이블 (4) 로부터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촬영하는 높이 계측용 카메라 장치 (2R, 2L) 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유기용 테이블 (4) 에 수직인 동일 평면 상에 있다고 가정한다.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4) 이 이루는 각도 α 와, 높이 계측용 카메라 (2L)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 (1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4) 이 이루는 각도 β,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 (1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4) 의 교점 (KR) 과 높이 계측용 카메라 (2L)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 (1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4) 의 교점 (KL) 사이의 거리 (L) 와, 중첩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높이 (H) 의 관계식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낸다.
식 (1) L = H/tanα + H/tanβ
여기서 거리 (L), 각도 α,β 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교점 (KR, KL) 은,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의 화각 (畵角) 에서 보아,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중심 (C) 을 유기 테이블 (4) 상에 투영한 위치이다. 따라서,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에 의한 촬영 화상의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윤곽의 중심을 화상 처리에 의해 얻음으로써 교점 (KR, KL) 을 얻는다. 또한,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에 의한 촬영 화상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유기용 테이블 (4) 을 바로 위로부터 부감하는 화상을 얻거나 하여, 교점 (KR, KL) 사이의 거리 (L) (도 10, 11 에서 나타내는 L1, L2) 를 얻는다. 또한, 교점 (KR, KL) 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면,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의 테이블로부터의 높이는 일정하므로, 각도 α, β 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중첩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높이 (H) 는, 식 (1) 을 변형한 식 (2) 에서, 상기에서 얻은 거리 (L) 및 각도 α, β 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식 (2) H = (tanα × tanβ)/((tanα + tanβ))L
이상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유기용 테이블 (4) 에 수직인 동일 평면 상에 있다고 가정했지만,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이 유기용 테이블 (4) 에 수직인 동일 평면 상에 없는 경우에도, 도 12 에 있어서 동일하게 계산할 수 있다. 중심 (C) 으로부터 테이블면에 대한 수선의 테이블면과의 교점을 O, 교점 (O, KR) 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점 (KR, KL) 을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γ, 교점 (O, KL) 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점 (KR, KL) 을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δ 로 하면, 상세한 계산은 생략하지만,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식 (2)′ H = tanαtanβ/(tanαcosδ + tanβcosγ)L
이상에 나타낸 방법으로 중첩된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높이 (H) 를 얻음으로써, 소정의 두께 (t) 를 갖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장수는 H/t 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 (300) 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장수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칩의 종류와 그 종류마다의 장수를 얻을 수 있고, 칩 총액 계측 장치 (302) 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의 총액을 얻는다. 동 위치에 있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에 대해서는, 도 10,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H1, H2) 에 대응하여 L1, L2, 각도 α, β 가 변화하기 때문에, 식 (2) 에 의해 각각의 높이 (H1, H2) 를 얻는다. 또,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는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120) 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2) 의 기능을 겸비해도 된다.
도 13 은 룰렛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계측 시스템의 도면이다. 유기용 테이블 (201) 상에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이 겹쳐 쌓여 놓여진다. 이 경우에도 상기에서 서술한 방법으로,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에 의해,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 (2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201) 의 교점 (KR) 과 높이 계측용 카메라 (2L) 와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 (220) 의 중심 (C) 을 연결하는 직선과 유기 테이블 (201) 의 교점 (KL) 사이의 거리 (L) 를 얻을 수 있고,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높이 (H) 를 얻을 수 있다. 높이 (H) 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두께 (t) 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장수가 얻어진다. 룰렛에서는 플레이어마다 색이 상이한 일 종류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이 사용된다. 따라서, 높이 계측용 카메라 (2R, 2L) 와 칩 장수 계측 장치 (301) 에 의해 얻은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장수만으로부터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총액을 얻을 수 있고, 최상위의 유기용 대용 화폐로서의 칩 (220) 의 색으로부터 건 플레이어 (6) 를 판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계측 시스템에서는, 관리 제어 장치 (14) 등에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는데, 인공 지능 활용형 혹은 딥 러닝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9361577호, 미국 특허 공개 공보 2016-171336호, 미국 공개 공보 2015-036920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16-110232호 등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기재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적용되는 게임에서의 필요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장치가 적당하게 변형되어도 된다.

Claims (12)

  1. 유기장에 있어서의 유기 테이블 상의 칩의 계측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기 테이블에서 실시되는 게임에 있어서 겹쳐 쌓인 소정 두께의 계측 대상의 칩의 상태를 카메라에 의해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와,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얻는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 대상의 칩에 대한 각각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시각으로부터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높이를 얻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를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장수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및 칩 장수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는, 칩의 계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칩 장수 계측 장치에 더하여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는, 칩의 계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와,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화상 분석 결과로부터 각각의 칩의 종류를 식별하여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칩 장수 계측 장치에 더하여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는, 칩의 계측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통하여 각 플레이어가 거는 계측 대상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를 파악하여, 각 플레이어가 건 모든 칩의 총액을 파악 가능한 구성인, 칩의 계측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테이블의 딜러의 칩 트레이의 화상을 얻는 칩 트레이용의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고, 칩 트레이용의 카메라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칩 트레이의 칩의 총액을 파악하는 칩 트레이의 칩 계측 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칩의 계측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테이블에 있어서의 매 게임의 승패 결과를 얻는 승패 결과 판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상기 승패 결과 판정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해 진 플레이어가 건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로부터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진 플레이어가 건 칩 총액을 파악 가능한 구성인, 칩의 계측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 장치는, 유기 테이블의 딜러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파악하고, 각 게임의 청산 전의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으로부터, 당해 게임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건 계측 대상의 칩의 위치, 종류 및 장수와 당해 승패 결과 판정 장치에서 얻은 당해 게임의 승패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당해 게임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증감액을 가감산하고,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청산 후의 상기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있어야 하는 총액과,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통하여 얻은 당해 게임의 종료시의 당해 계측 대상의 칩 트레이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칩의 현실의 총액을 비교하여, 있어야 하는 총액과 현실의 총액 사이에 오산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칩의 계측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장치를 복수 갖고, 상기 칩 총액 계측 장치는, 각각의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각각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촬영된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사용하여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하는, 칩의 계측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은,
    적어도 착색층과,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적층하여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를 구성하여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에 의해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가 특정 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적층 구조체의 또한 상하면에는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쇄층이 형성되며,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층 구조를 이루는 구성인, 칩의 계측 시스템.
  10. 유기장에 있어서의 유기 테이블 상의 칩의 계측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기 테이블에서 실시되는 게임에 있어서 겹쳐 쌓인 소정 두께의 계측 대상의 칩의 상태를 카메라에 의해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와,
    상이한 위치 혹은 각도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화상을 얻는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와,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높이 계측용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 대상의 칩에 대한 각각의 수평 혹은 수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시각으로부터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높이를 얻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를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장수 계측 장치와,
    칩 장수 계측 장치로부터 얻은 계측 대상의 칩의 장수와, 상기 화상 기록 장치의 화상 분석 결과로부터 겹쳐 쌓인 계측 대상의 칩의 총액을 계산에 의해 얻는 칩 총액 계측 장치와,
    화상 기록 장치, 칩 장수 계측 장치, 및 칩 총액 계측 장치를 제어하는 관리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계측 대상의 칩은,
    적어도 착색층과,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적층하여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를 구성하여 측면에 적층 방향의 줄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에 의해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가 특정 가능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적층 구조체의 또한 상하면에는 유희용 대용 화폐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쇄층이 형성되며, 각 층 사이가 열 압착되어 층 구조를 이루는 구성인, 칩의 계측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의 층의 적어도 1 층은, 층 중에 중량 증가용의 금속 분말을 함유한 무거운 층인, 칩의 계측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백색층 혹은 박색층을 형성하고, 상기 착색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한 백색층 또는 박색층의 상하의 층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한, 칩의 계측 시스템.
KR1020227014501A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Ceased KR20220057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2276A KR20230138560A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0631 2015-11-19
JP2016030443 2016-02-01
JP2016196030A JP6652478B2 (ja) 2015-11-19 2016-09-12 チップの計測システム
JPJP-P-2016-196030 2016-09-12
KR1020217009191A KR102393905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PCT/JP2017/032692 WO2018047965A1 (ja) 2015-11-19 2017-09-11 チップの計測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191A Division KR102393905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276A Division KR20230138560A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667A true KR20220057667A (ko) 2022-05-09

Family

ID=595651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46A Active KR102235116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KR1020237032276A Ceased KR20230138560A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KR1020227014501A Ceased KR20220057667A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KR1020217009191A Active KR102393905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046A Active KR102235116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KR1020237032276A Ceased KR20230138560A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191A Active KR102393905B1 (ko) 2015-11-19 2017-09-11 칩의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6) JP6652478B2 (ko)
KR (4) KR102235116B1 (ko)
CN (3) CN115253266A (ko)
NZ (1) NZ752428A (ko)
PH (1) PH12019500533A1 (ko)
SG (3) SG10201913110XA (ko)
WO (1) WO2018047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2478B2 (ja) * 2015-11-19 2020-02-26 エンゼルプレイングカード株式会社 チップの計測システム
US10957156B2 (en) 2016-09-12 2021-03-23 Angel Playing Cards Co., Ltd. Chip measurement system
CN109310921B (zh) 2016-02-01 2021-12-28 天使集团股份有限公司 游艺用代用货币的管理系统
CN111527528A (zh) * 2017-11-15 2020-08-11 天使游戏纸牌股份有限公司 识别系统
MX2020007344A (es) * 2018-01-09 2020-10-28 Jr Jerry A Main Sistema de monitoreo de bandeja de fichas de casino.
US20210035407A1 (en) * 2018-02-26 2021-02-04 Angel Playing Cards Co., Ltd. Game management system
JP7369141B2 (ja) 2018-05-09 2023-10-25 エンゼルグループ株式会社 ゲーミングチップの計数
EP3699877A1 (en) * 2019-02-21 2020-08-26 Angel Playing Cards Co., Ltd. Management system for table game
CN111062237A (zh) 2019-09-05 2020-04-24 商汤国际私人有限公司 识别图像中的序列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062401A (zh) * 2019-09-27 2020-04-24 商汤国际私人有限公司 堆叠物体的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2106625B2 (en) * 2019-10-15 2024-10-01 Arb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playing chips
JP2021175499A (ja) * 2020-04-27 2021-11-04 エンゼルグループ株式会社 2重チップトレイ、チップトレイ、およびゲーム管理システム
US12315330B2 (en) 2021-06-21 2025-05-27 Lnw Gaming, Inc. Chip tracking system
US12169999B2 (en) 2021-09-02 2024-12-17 Lnw Gaming, Inc. Chip tracking system
US11967200B2 (en) 2022-01-12 2024-04-23 Lnw Gaming, Inc. Chip tracking system
KR102723385B1 (ko) * 2023-12-14 2024-10-29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테이블 게임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테이블 게임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7902A1 (en) 2014-01-17 2015-07-23 Angel Playing Cards Co., Ltd. Card game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559A (ja) * 1991-09-05 1993-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さ計測装置
JPH06134140A (ja) * 1992-10-23 1994-05-17 Lsi Japan Kk ゲーム点数計数方式、ゲーム点数計数装置及びゲーム用チップ
US6532297B1 (en) * 1995-10-05 2003-03-11 Digital Biometrics, Inc. Gambling chip recognition system
US20030174864A1 (en) * 1997-10-27 2003-09-18 Digital Biometrics, Inc. Gambling chip recognition system
CA2533855C (en) * 1999-04-21 2008-10-07 Mindpla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asinos and gaming
US6460848B1 (en) * 1999-04-21 2002-10-08 Mindpla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asinos and gaming
JP2001324310A (ja) * 2000-03-06 2001-11-22 Kazuhiro Shiina 立体データ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JP3852285B2 (ja) * 2001-01-10 2006-1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3次元形状計測装置および3次元形状計測方法
US20080113783A1 (en) * 2006-11-10 2008-05-15 Zbigniew Czyzewski Casino table game monitoring system
WO2006008819A1 (ja) * 2004-07-22 2006-01-26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溶液中の異物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60160600A1 (en) 2005-01-14 2006-07-20 Hill Otho D Card game system with automatic bet recognition
EP1901822A2 (en) * 2005-05-19 2008-03-26 Image Fidelity Llc. Remote gaming with live table games
WO2007108056A1 (ja) 2006-03-16 2007-09-27 Fujitsu Limited 画像認識システム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JP2008011901A (ja) 2006-07-03 2008-01-24 Fujifilm Corp 画像種類判別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09071B2 (ja) * 2007-09-12 2012-12-26 旭精工株式会社 メダル選別手段を有するメダル処理装置
AU2008205438B2 (en) * 2007-09-13 2012-07-26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and gaming system using chips
JP5468210B2 (ja) * 2008-03-14 2014-04-09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判定システム
JP2009269110A (ja) * 2008-05-02 2009-11-19 Olympus Corp 組立装置
US8285034B2 (en) * 2009-08-26 2012-10-09 Bally Gaming,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evaluating a stack of objects in an image
JP5574654B2 (ja) * 2009-09-25 2014-08-2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チップ計数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5342413B2 (ja) * 2009-11-16 2013-11-13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4677536B1 (ja) * 2009-11-20 2011-04-27 株式会社三次元メディア 3次元物体認識装置及び3次元物体認識方法
CN101853076A (zh) * 2010-04-29 2010-10-06 郭小卫 一种输入设备获取输入信息的方法
JP2014026299A (ja) * 2010-11-11 2014-02-06 Angel Playing Cards Co Ltd 遊戯用代用貨幣および遊戯用代用貨幣の判定システム
JP6115012B2 (ja) * 2011-08-30 2017-04-19 富士通株式会社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検査プログラム
US9514538B2 (en) * 2012-05-25 2016-12-0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Pupil detection method, corneal reflex detection method, facial posture detection method, and pupil tracking method
JP5413501B1 (ja) 2012-12-07 2014-0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164639B2 (ja) * 2013-05-23 2017-07-19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ディープ・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の学習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700106A (zh) * 2013-12-26 2014-04-02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分布式摄像机的多视角运动目标统计与定位方法
US9495606B2 (en) 2014-02-28 2016-11-15 Ricoh Co., Ltd. Method for product recognition from multiple images
CN112569572B (zh) * 2014-10-16 2024-07-09 Arb实验室公司 用于监视游戏活动的系统、方法和设备
JP6652478B2 (ja) * 2015-11-19 2020-02-26 エンゼルプレイングカード株式会社 チップの計測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7902A1 (en) 2014-01-17 2015-07-23 Angel Playing Cards Co., Ltd. Card gam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28075A (zh) 2022-10-25
JP2020072981A (ja) 2020-05-14
CN115253266A (zh) 2022-11-01
JP7288539B2 (ja) 2023-06-07
SG10201913114SA (en) 2020-03-30
CN109937075A (zh) 2019-06-25
JP7595112B2 (ja) 2024-12-05
WO2018047965A1 (ja) 2018-03-15
KR20210037022A (ko) 2021-04-05
PH12019500533A1 (en) 2019-07-24
JP2025028958A (ja) 2025-03-05
JP2023116532A (ja) 2023-08-22
KR20230138560A (ko) 2023-10-05
KR102393905B1 (ko) 2022-05-03
KR102235116B1 (ko) 2021-04-01
SG10201913112TA (en) 2020-03-30
JP2022133355A (ja) 2022-09-13
NZ752428A (en) 2022-09-30
NZ792224A (en) 2024-10-25
CN109937075B (zh) 2022-05-31
JP2022023101A (ja) 2022-02-07
SG10201913110XA (en) 2020-03-30
JP6652478B2 (ja) 2020-02-26
JP6959373B2 (ja) 2021-11-02
KR20190039791A (ko) 2019-04-15
JP2017136347A (ja)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905B1 (ko) 칩의 계측 시스템
US11475733B2 (en) Chip measurement system
US12142112B2 (en) Chip measurement system
KR102393466B1 (ko) 게임용 대용 화폐, 검사장치, 게임용 대용 화폐의 제조방법, 및 테이블 게임의 관리 시스템
JP2025074105A (ja) 遊技用代用貨幣トレイ、テーブルゲームの管理システム、遊技用代用貨幣トレイシステム、及び遊技用代用貨幣管理方法
HK40081932A (en) Chip measuring system
HK40082286A (en) Chip measuring system
HK40004008A (en) Chip measuring system
HK40004008B (en) Chip measu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204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7009191

Filing date: 2021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