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19A -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0619A KR20220040619A KR1020200123520A KR20200123520A KR20220040619A KR 20220040619 A KR20220040619 A KR 20220040619A KR 1020200123520 A KR1020200123520 A KR 1020200123520A KR 20200123520 A KR20200123520 A KR 20200123520A KR 20220040619 A KR20220040619 A KR 202200406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ridge
- water
- vertical
- guide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교량의 슬래브 상에 형성된 아스팔트 내로 침투한 침투수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아스팔트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빗물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pre-wat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asphalt by easily discharging the infiltr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asphalt formed on the slab of the bridge,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falling rainwater. It is related to the bridge senior water system.
교량에는 우수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설비가 설치된다. 교량의 아스팔트 위에 떨어지는 빗물은 아스팔트 상에서 종배수 유도관 쪽으로 흘러서 수집되지만, 빗물 중 적지 않은 양이 아스팔트 내로 침투하게 된다(이하, 아스팔트 내로 침투하는 빗물을 “침투수”라 칭한다). 비가 그친 후 교량의 아스팔트 표면은 빠른 시간 안에 건조되는데 반하여, 아스팔트로 침투한 침투수는 특정 영역에 고이거나 건조 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고, 이는 아스팔트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침투수를 빠른 시간 안에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공관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추가 시공 비용을 발생시키고 시간에 따라 이물질이 끼어 침투수 배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A drainage system is installed on the bridge to drain rainwater. Rainwater that falls on the asphalt of the bridge flows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on the asphalt and is collected, but not a small amount of the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asphalt (hereafter, rain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asphalt is referred to as “permeate water”). After the rain stops, the asphalt surface of the bridge dries quickly, whereas the perme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asphalt accumulates in a specific area or takes a long time to dry, which can reduce the life of the asphalt. Therefore, a technique for installing a separate perforated pipe has been proposed to quickly remove the infiltrated water, but this incurs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nd in many cases the infiltration water discharge function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due to foreign matter getting caught over time. .
더 나아가, 종배수 유도관을 통하여 수집되어 흐르던 우수는 횡배수관을 통하여 종배수관 위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 때 낙차로 인하여 종배수관에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교량 하부에도 주거나 상업 시설이 들어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은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Furthermore, rainwater collected and flowing through the vertical drainage pipe falls on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through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and at this time, a large noise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rainage pipe due to the fall. In densely populated areas, residential buildings or commercial facilities are often built under bridges, so this noise is also a cause of civil complaints.
그리고 교량의 시공 과정, 특히 측면 방호벽 시공을 하는데 있어서, 종래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처음부터 측면 방호벽 형성용 거푸집 측면으로 횡배수관이 돌출되게 시공되어 있어서 기계를 이용한 측면 방호벽 타설이 어려웠다. An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ridge,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side protection wall, the conventional bridge water supply system was constructed so that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side protection wall from the beginning, so it was difficult to place the side protection wall using a machin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유공관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아스팔트 내로 침투한 침투수가 바로 종배수 유도관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pre-water system so that the permeated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asphalt can be directly collected into the longitudinal drainage guide pip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erforated pipe, etc. do it with
또한 교량 구조상 횡배수관과 종배수관의 높이 차로 인하여 낙차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우수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ridge pre-water system that can minimize noise caused by rainwater even when a large drop occur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rainage pipe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ridge.
더 나아가, 종래의 교량 시공 과정에 있어서, 횡유도 배수관이 측면 방호벽 형성용 거푸집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어서 기계를 이용하여 방호벽을 타설하는 것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bridge construction process, it is another object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our the protection wall using a machine because the transverse guide drain pipe protrudes outside the form for forming the side protection wall.
본 발명은 교량에 유입된 물을 교량 외부로 배수시키 위한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되 교량의 아스팔트(A)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 또는 아스팔트(A) 내로 침투한 침투수가 유입되는 종배수 유도관(300); 교량의 외측에서 교량에 고정설치되되,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유도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전달받아 교량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종배수관(100); 및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과 상기 종배수관(100)을 연결하여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상기 종배수관(100)으로 전달하는 연결배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은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되, 아스팔트(A)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 격벽(322)이 형성되고, 하부 격벽(322)의 상단은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 관로 몸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배수부”는 종배수 유도관(300)의 물을 종배수관(1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괄하는 개념의 용어로서, 측면 방호벽(S)에 설치되는 횡배수부(200) 및 중앙분리 방호벽(C) 주변에 설치되는 집수부(500)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pre-water system for draining water flowing into a bridge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Rainwater or asphalt (A) installed under the protection wa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flow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asphalt (A) of the bridge The longitudinal
상기 관로 몸체(320)의 상기 하부 격벽(322)에는 상기 아스팔트(A) 내부로 침투한 침투수가 상기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더 나아가, 상기 하부 격벽(322)에는 아스팔트(A) 내의 이물질이 상기 침투수 유도공(321)을 통하여 상기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망(330)이 구비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그리고, 상기 관로 몸체(320)의 개방된 부분은 차단판(3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차단판(310)에는 아스팔트(A) 상의 이물질이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는 것은 막되, 우수만 통과시키는 우수 유도공(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판(310)은 상부 차단판 걸림부(312) 및 하부 차단판 걸림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 몸체(320)는 상부 몸체 걸림부(323) 및 하부 몸체 걸림부(324)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차단판 걸림부(312)는 상기 상부 몸체 걸림부(323)에 걸리고, 상기 하부 차단판 걸림부(313)는 상기 하부 몸체 걸림부(324)에 걸려서 상기 차단판(310)이 탈착 가능하게 상기 관로 몸체(320)에 부착될 수 있다. And, the open part of the
또한, 상기 종배수관(100)에 이어지는 상기 연결배수부의 종단에는 상기 배수관부에서 상기 종배수관(100)으로 떨어지는 우수 또는 침투수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부(290)가 구비되되, 상기 소음저감부(290)는 꼭지점이 상기 배수관부를 향하는 뿔형태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상기 연결배수부는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교량의 측면 방호벽(S) 외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종배수관(100)으로 보내기 위한 횡배수관(2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횡배수관(230)은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으로부터 교량의 측면 방호벽(S) 외벽까지 이어지는 횡배수 유도관(231); 및 일단은 상기 횡배수 유도관(231)의 종단에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이어지는 횡배수 연결관(233)을 포함한다. The connection drainage unit guides rainwater or infiltration 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그리고 상기 횡배수 유도관(330)은 상기 횡배수 연결관(233)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부(232)를 포함하되, 상기 확관부(23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확관부 브라켓(234)이 확관부 체결 수단(235)에 의하여 측면 방호벽(S)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And the transverse
상기 연결배수부는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교량의 슬래브(D) 하부로 안내하여 종배수관(100)으로 보내기 위한 침투수 유도관(410)을 포함하되, 상기 침투수 유도관(410)의 일단은 중앙분리 방호벽(C)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on drain unit includes a seepage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배수부는 상기 아스팔트(A) 위를 흐르는 우수를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유도하기 위한 집수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아스팔트(A) 및 슬래브(D)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로로 형성되되, 상단은 상기 아스팔트(A)의 상면과 이어지며, 상기 종배수 유도관(1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는 상기 집수부(500)를 거쳐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nally, the connection drainage unit includes a
본 발명은 별도의 유공관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아스팔트 내로 스며든 침투스가 자연스럽게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유도되므로,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eparate perforated pipe is not formed, the penetrations that permeate into the asphalt are naturally guided to the longitudinal
더 나아나, 횡배수관(230) 또는 집수부(500)와 같은 연결배관부의 종단에 소음저감부(290)를 설치함으로써, 횡배수관(230) 또는 집수부(500)와 같은 연결배관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종배수관(1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installing the
그리고, 횡배수관(230)과 측면 방호벽(S)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측면 방호벽(S)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작업 과정에서는 횡배수 유도관(231)과 횡배수 연결관(233)을 분리시켰다가, 측면 방호벽(S)이 완성 후에 횡배수 연결관(233)을 횡배수 유도관(2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교량의 측면 방호벽(S)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횡배수부와 종배수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횡배수 유도관의 종단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 6은 종배수관이 종배수관 고정구에 의하여 측면 방호벽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은 종배수 유도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중앙분리 방호벽을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중앙분리 방호벽에 침투수 유도관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중앙분리 방호벽에 집수부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bridge pre-wa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pre-wa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side of the side guard wall (S) of the bridg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verse drainage part and a vertical drainage pipe.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uide pipe.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drain pipe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protection wall by the vertical drain pipe fixture.
7 and 8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9 is a plan view of the central separation barrier viewed from the top.
10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epage water guide pipe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ion protection wall.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ter collec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ion protection wal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의 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교량의 하부를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물인 슬래브(D) 상에 아스팔트(A)가 도포되어 있고, 교량의 중앙부에는 중앙분리 방호벽(C)이, 교량의 양 측면에는 측면 방호벽(S)이 형성되어 있다.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 of a bridge equipped with a bridge pre-wa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phalt (A) is applied on the slab (D), which is a plate-shaped structure that forms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and a central separation barrier (C)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ridge and side barrier walls (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idge. .
중앙분리 방호벽(C)과 측면 방호벽(S)의 하단에는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종배수 유도관(300)이 설치되는데, 아스팔트(A)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 또는 아스팔트(A) 내부로 파고든 침투수가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모여서 종배수 유도관(300)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교량의 슬래브(D) 하측에는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종배수관(100)이 설치되는데,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유도되었던 우수 또는 침투수는 횡배수부(200) 또는 집수부(500)를 통하여 종배수관(100)으로 모여서 교량 외부로 배출된다. A longitudinal
도 3은 교량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측면 방호벽(S)의 하단에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종배수관(100)이 일정 간격으로 교량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종배수관 받침부(110)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종배수관(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횡배수부(200)가 구비된다. Figure 3 shows the side of the bridge.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rotection wall (S), the
도 4는 측면 방호벽(S)에 구비된 횡부수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측면 방호벽(S)의 하측에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종배수 유도관(300)이 구비되는데, 아스팔트(A)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 또는 아스팔트(A) 내로 침투한 침투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도된 우수 또는 침투수는 측면 방호벽(S)을 관통하여 교량의 외측으로 이어진 횡배수관(230)을 따라서 흘러서, 교량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종배수관(100)에 모여서 종배수관(100)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종배수관(100)은 교량의 외측에 고정설치된 종배수관 고정구(110)에 의하여 교량에 고정 설치된다.Figure 4 shows the transverse breaking
바람직하게는 횡배수관(23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횡배수 유도관(231)과 횡배수 연결관(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배수 유도관(231)은 종배수 유도관(300)으로부터 교량 콘크리트 구조물까지 이어진 배관으로서, 그 단부는 직경이 커지는 확관부(232)를 포함하고 있고, 확관부(232) 외측에 절곡 형성된 확관부 브라켓(234)은 앵커와 같은 확관부 체결 수단(235)에 의하여 교량의 방호벽(C) 외벽에 고정설치된다. 측면 방호벽(C)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철근구조물(B)이 형성되어 있다. 횡배수 유도관(231)은 측면 방호벽(C)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철근구조물(B)이 형성된 위치는 피해서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그리고 횡배수 연결관(233)은 확관부(232)에 비하여 직경이 작아서 확관부(232)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횡배수 유도관(231)을 통하여 흐르는 물을 종배수관(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횡배수 연결관(233)의 종단부에는 소음저감부(290)가 설치될 수 있는데, 횡배수 연결관(233)의 종단과 종배수관(100)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횡배수 연결관(233)에서 떨어지는 물이 종배수관(100)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소음저감부(290)는 뿔 형태의 구조물(원뿔 및 각뿔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로서, 횡배수 연결관(233)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뿔 형태의 구조물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낙하하므로, 한 곳에 집중적으로 다량의 물이 낙하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종배수관(100) 구조물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And the
시공 과정을 살펴보면, 교량의 측면 방호벽(S) 제작 과정에서 측면 방호벽(S)의 철근구조물(B)에 종배수 유도관(300)을 고정시키고(제1 공정), 복수 개의 횡배수 유도관(231)을 종배수 유도관(300)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한다(제2 공정). 이 때, 횡배수 유도관(231)은 횡배수 연결관(233)과 분리된 상태에서 설치가 이루어지며, 철근구조물(B)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횡배수 유도관(231) 사이의 간격을 조금씩 조절할 수 있다. 횡배수 유도관(231)이 설치된 다음, 측면 방호벽(S)의 외형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철근구조물(B) 주변에 형성하고 몰탈을 타설한다(제3 공정). 이후 횡배수 유도관(231)의 종단에 형성된 확관부 브라켓(234)을 확관부 체결 수단(235)을 이용하여 몰탈에 의해서 형성된 측면 방호벽(S)의 외면에 고정시킨다(제4 공정). 이후 종배수관(100)을 측면 방호벽(S) 주변에 종배수관 고정구(110)에 의해서 고정시키고(제5공정), 횡배수 연결관(233)을 횡배수 유도관(231)의 종단에 형성된 확관부(232)에 끼워넣어 설치하게 된다(제6공정). 필요에 따라서는 횡배수 연결관(233)의 종단에 소음저감부(290)를 설치할 수 있다(제7공정). Looking at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ide protection wall (S) of the bridge, the vertical
도 6은 횡배수부(200)가 형성되지 아니한 곳에서 종배수관(100)이 교량에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측면 방호벽(S)의 하단에 종배수관 고정구(110)가 고정 설치되고, 종배수관 고정구(110)가 다시 종배수관(100)을 지지함으로써, 종배수관(100)이 교량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6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 7 및 도 8은 종배수 유도관(300)을 도시한 것이다. 종배수 유도관(300)은 측면 방호벽(S) 또는 중앙분리 방호벽(C)의 하단에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아스팔트(A)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를 유도하기 위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배수 유도관(300)은 유도된 우수가 흘러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로 몸체(320)를 포함하는데, 아스팔트(A)와 맞닿는 하부 격벽(322)에는 침투수 유도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투수 유도공(321)을 통하여 아스팔트 내로 침투한 침투수(321)가 관로 몸체(320)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격벽(322) 앞에 메시(mesh) 형태의 이물질 방지망(330)을 설치하여, 아스팔트(A)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침투수 유도공(321)을 통과하여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이물질 방지망(33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침투수 유도공(321) 자체의 사이즈를 작게 조절하여 이물질이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and 8 show the longitudinal
관로 몸체(32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어서 아스팔트(A) 상면을 따라 흐르는 유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아스팔트(A) 상면의 이물질이 관로 몸체(3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우수 유도공(311)이 형성된 차단판(31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차단판(310)의 상하부에는 각각 절곡된 구조물인 상부 차단판 걸림부(312) 및 하부 차단판 걸림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각각 관로 몸체(320)에 형성된 상부 몸체 걸림부(323) 및 하부 몸체 걸림부(324)에 걸려서, 차단판(310)이 관로 몸체(320)의 상단 개방부에 거치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도 9는 중앙분리 방호벽(C)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중앙분리 방호벽(C)을 따라서 종배수 유도관(300)이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집수부(500)가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인접한 종배수 유도관(300) 사이에는 침투수 유도관(410)이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된다.9 is a plan view of the central separation barrier (C) viewed from the top. The vertical
도 10은 중앙분리 방호벽(C)에 종배수 유도관(3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배수관(100)이 종배수관 고정구(110)에 의하여 슬래브(D)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침투수 유도관(300)의 일단은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되고, 종배수관(100)까지 이어진다. 그러므로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유도된 침투수는 침투수 유도관(300)을 통하여 종배수관(100)으로 흘러들게 된다.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도 11은 중앙분리 방호벽(C)에 집수부(5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집수부(500)는 수직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단은 아스팔트(A) 상면과 이어지고, 하단은 종배수관(100)에 이어져 있어서, 아스팔트(A) 위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직접 종배수관(100)으로 흘러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집수부(500)의 상단에는 아스팔트(A) 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집수부 이물질 방지망(5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집수부(500)와 종배수 유도관(300)은 침투수 유도관(41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도된 침투수는 침투수 유도관(410) 및 집수부(500)를 통하여 종배수관(100)으로 흘러들게 된다. 우천시 집수부(500)를 통해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종배수관(100)으로 유입되므로, 집수부(500)의 하단에는 소음 저감을 위해서 소음저감부(290)가 설치될 수 있다. 소음저감부(290)와 관련에서 전술한 바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100: 종배수관
110: 종배수관 고정구
200: 횡배수부
230: 횡배수관
231: 횡배수 유도관
232: 확관부
233: 횡배수 연결관
234: 확관부 브라켓
235: 확관부 체결 수단
290: 소음저감부
300: 종배수 유도관
310: 차단판
311: 우수 유도공
312: 상부 차단판 걸림부
313: 하부 차단판 걸림부
320: 관로 몸체
322: 하부 격벽
323: 상부 몸체 걸림부
324: 하부 몸체 걸림부
321: 침투수 유도공
330: 이물질 방지망
410: 침투수 유도관
500: 집수부
510: 집수부 이물질 방지망
S: 측면 방호벽
C: 중앙분리 방호벽
A: 아스팔트
D: 슬래브
B: 철근구조물100: sub-drain pipe 110: sub-drain pipe fixture
200: transverse drain 230: transverse drain pipe
231: transverse drainage guide pipe 232: expansion pipe
233: lateral drain connector 234: expansion pipe bracket
235: expansion pipe fastening means
290: noise reduction unit
300: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10: blocking plate
311: rain guide hole 312: upper blocking plate engaging part
313: lower blocking plate engaging portion
320: conduit body
322: lower bulkhead 323: upper body engaging portion
324: lower body engaging portion 321: permeation water guide hole
330: foreign matter prevention net
410: seepage water induction pipe 500: catchment part
510: foreign matter prevention net in the collecting part
S: side barriers C: central separation barriers
A: Asphalt D: Slab
B: Rebar structure
Claims (11)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되 교량의 아스팔트(A)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 또는 아스팔트(A) 내로 침투한 침투수가 유입되는 종배수 유도관(300);
교량의 외측에서 교량에 고정설치되되, 종배수 유도관(300)으로 유도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전달받아 교량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종배수관(100); 및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과 상기 종배수관(100)을 연결하여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를 상기 종배수관(100)으로 전달하는 연결배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종배수 유도관(300)은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가 흐르는 경로를 제공하되, 아스팔트(A)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 격벽(322)이 형성되고, 하부 격벽(322)의 상단은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 관로 몸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It relates to a bridge pre-water system for draining water flowing into the bridge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A longitudinal drainage guide pipe 300 installed under the protection wa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through which rain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asphalt (A) of the bridge or seepage water penetrating into the asphalt (A) flows;
a vertical drainage pipe 100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ridge from the outside of the bridge, and receives rainwater or infiltration water guided to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and
By connecting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and the vertical drainage pipe 100, it includes a connection drainage unit for transferring rainwater or perme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100,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rainwater or permeated water flows, but a lower partition wall 32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phalt (A),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ition wall 322 is an open part Bridge pre-wa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uit body (320) formed.
The bridge prewate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bulkhead (322) is provided with a seepage water guide hole (321) for allowing the seepage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asphalt (A) to flow into the pipe body (320).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partition wall (322)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prevention net (330)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sphalt (A) from flowing into the conduit body (320) through the seepage water guide hole (321) Characterized by the bridge prewater system.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part of the pipe body (320) is a blocking plate (310) is detachably coupled, the blocking plate (310) is a foreign material on the asphalt (A) is introduced into the pipe body (320) It is blocked, but the bridge wa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water guide hole (311) that passes only rainwater is formed.
상기 상부 차단판 걸림부(312)는 상기 상부 몸체 걸림부(323)에 걸리고, 상기 하부 차단판 걸림부(313)는 상기 하부 몸체 걸림부(324)에 걸려서 상기 차단판(310)이 탈착 가능하게 상기 관로 몸체(32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locking plate (310) includes an upper blocking plate engaging portion (312) and a lower blocking plate engaging portion (313), and the conduit body (320) has an upper body engaging portion (323) and a lower body including a locking part 324,
The upper blocking plate engaging part 312 is caught by the upper body engaging part 323, and the lower blocking plate engaging part 313 is caught by the lower body engaging part 324, so that the blocking plate 310 is detachable. The bridge pre-wa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the pipe body (320).
상기 소음저감부(290)는 꼭지점이 상기 배수관부를 향하는 뿔형태의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of the connection drain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0) is provided with a noise reduction unit (290) for reducing noise caused by rainwater or seepage water falling from the drain pipe to the vertical drain pipe (100) But,
The noise reduction unit 290 is a bridge wa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ex is a cone-shaped structure toward the drain pip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drain unit is a transverse drain pipe (230) for guiding rainwater or permeated 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drain guide pipe (300) to the outside of the side protection wall (S) of the bridge to send it to the vertical drain pipe (10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bridge pre-water system.
일단은 상기 횡배수 유도관(231)의 종단에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이어지는 횡배수 연결관(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transverse drainage pipe 230 is a transverse drainage guide pipe (231) extending from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to the outer wall of the side protection wall (S) of the bridg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transverse drainage guide pipe (231),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nsverse drainage connecting pipe (233) that extends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100), the bridge pre-water system.
상기 확관부(23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확관부 브라켓(234)이 확관부 체결 수단(235)에 의하여 측면 방호벽(S)의 외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ransverse drainage guide pipe 330 includes an expansion pipe portion 232 so that the transverse drainage connection pipe 233 can be fitted,
The pipe expansion bracket 23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expansion part 232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side protection wall (S) by the pipe expansion part fastening means (235).
상기 침투수 유도관(410)의 일단은 중앙분리 방호벽(C)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종배수 유도관(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rainage unit permeation water guide pipe (410) for guiding rainwater or permeated 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to the lower part of the slab (D) of the bridge to send it to the vertical drain pipe (100) including,
One end of the seepage water guide pipe 41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300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separation protection wall C,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100. number system.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아스팔트(A) 및 슬래브(D)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로로 형성되되, 상단은 상기 아스팔트(A)의 상면과 이어지며,
상기 종배수 유도관(100)에 유입된 우수 또는 침투수는 상기 집수부(500)를 거쳐 상기 종배수관(100)까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rain includes a water collecting part 500 for guiding the rainwater flowing over the asphalt (A) to the vertical drain pipe (100),
The water collecting part 500 is formed as a pipe passing through the asphalt (A) and the slab (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sphalt (A),
Rainwater or seepage water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drainage guide pipe (100) flows through the collecting part (500)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100), the bridge senior water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3520A KR102561226B1 (en) | 2020-09-24 | 2020-09-24 |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3520A KR102561226B1 (en) | 2020-09-24 | 2020-09-24 |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0619A true KR20220040619A (en) | 2022-03-31 |
KR102561226B1 KR102561226B1 (en) | 2023-07-31 |
Family
ID=8093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3520A KR102561226B1 (en) | 2020-09-24 | 2020-09-24 |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12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9719B1 (en) * | 2024-02-27 | 2024-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crete slab with end drain block for preca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93Y1 (en) * | 2002-06-19 | 2002-09-27 |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 Flow Reduction Drain Pipe for Bridge |
KR200417944Y1 (en) * | 2005-12-30 | 2006-06-07 |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 A bridge rainwater drain structure |
KR101088163B1 (en) | 2010-05-27 | 2011-12-02 | 금창준 |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KR20160121676A (en) * | 2015-04-09 | 2016-10-20 | 주식회사 브리오 |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
KR101681875B1 (en) | 2016-09-12 | 2016-12-02 | 김원주 |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
KR101813621B1 (en) | 2017-04-11 | 2017-12-29 | 정구선 | Drainage System for Use in Bridges |
KR101994832B1 (en) * | 2018-08-31 | 2019-07-01 | 이지용 |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
-
2020
- 2020-09-24 KR KR1020200123520A patent/KR1025612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93Y1 (en) * | 2002-06-19 | 2002-09-27 |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 Flow Reduction Drain Pipe for Bridge |
KR200417944Y1 (en) * | 2005-12-30 | 2006-06-07 |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 A bridge rainwater drain structure |
KR101088163B1 (en) | 2010-05-27 | 2011-12-02 | 금창준 |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KR20160121676A (en) * | 2015-04-09 | 2016-10-20 | 주식회사 브리오 |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
KR101681875B1 (en) | 2016-09-12 | 2016-12-02 | 김원주 |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
KR101813621B1 (en) | 2017-04-11 | 2017-12-29 | 정구선 | Drainage System for Use in Bridges |
KR101994832B1 (en) * | 2018-08-31 | 2019-07-01 | 이지용 | Bridge linear drain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9719B1 (en) * | 2024-02-27 | 2024-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crete slab with end drain block for preca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1226B1 (en) | 2023-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17880B2 (en) | Waterproof drainage structure of road bridge | |
KR102017871B1 (en)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776805B1 (en) | Prefabricated bridge drainage system | |
KR101088163B1 (en) |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
KR101039316B1 (en) | Drainage structure for tunnel | |
CN110820587A (en) | Urban bridge buried drain pipe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20220040619A (en) | Bridge Linear Drainage System | |
KR102094526B1 (en) | Bridge drainag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214143273U (en) | Vertical drainage device of highway bridge floor | |
KR101574701B1 (en) | Rail type open channel for forest road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CN215164529U (en) | Bridge structure | |
JP5388733B2 (en) | Simple drainage member, simple drainage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12375801U (en) | Ecological bank protection of hydraulic engineering | |
KR101156980B1 (en) |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for fine view improvement type | |
AU2012244376A1 (en) | One piece box culvert with headwall | |
EP1350897A1 (en) | Two-way trap | |
KR20120094789A (en) | The drainage system of bridge | |
KR200419448Y1 (en) | Over pressure durable basement drainage system | |
KR20060072720A (en) | Drainage system for bridge | |
JP2020112027A (en) | dam | |
CN215165721U (en) | Road side slope reinforcing structure | |
KR102718593B1 (en) | Permanent drainage system for groundwater | |
CN221276644U (en) | Slurry stone block fixing device for slope protection | |
KR102609204B1 (en) | Bridge drainage apparatus | |
JP7016981B1 (en) | Drainage system for abutments and pi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