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2003995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951A
KR20220039951A KR1020200122172A KR20200122172A KR20220039951A KR 20220039951 A KR20220039951 A KR 20220039951A KR 1020200122172 A KR1020200122172 A KR 1020200122172A KR 20200122172 A KR20200122172 A KR 20200122172A KR 20220039951 A KR20220039951 A KR 2022003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hase delay
display device
window
disposed 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츠구 키시모토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951A/ko
Priority to US17/329,572 priority patent/US20220091319A1/en
Priority to CN202111072034.8A priority patent/CN114255650A/zh
Publication of KR2022003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28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3
    • H01L51/5246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윈도우 하부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두께가 5um 미만인 접착층으로 부착된 편광층,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 및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위상지연층은 제1 위상지연층 및 제2 위상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 하부에는 기능층 및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기능층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장치에 포함된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계 효과 표시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letrophoretic display: EPD) 등이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면에 이미지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외부의 광 등이 표시장치에서 반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표시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두께가 5um 미만인 접착층으로 부착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 및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층은 코팅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층은 1um 이상의 기포를 포함하는 쿠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층은 배선 두께가 5um 이상인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층은 선편광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20um 이상 80u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코팅된 코팅층;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 및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편광물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um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 하부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접착층 하부에 직접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신뢰성이 향상된 편광층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우수한 표시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 구성들의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부에", "하측에", "위에", "상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a)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a)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제1 방향(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DD)는 평면상에서 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들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D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표시장치(D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표시장치(D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온도,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부 입력의 예시로 펜(PE)을 도시하였다. 펜(PE)은 표시장치(DD)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 및 탈착 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DD)는 펜(PE) 등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공하고 수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폴딩영역(FA) 및 비폴딩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폴딩영역(FA), 제1 비폴딩영역(NFA1)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제2 비폴딩영역(NFA2)은 제1 방향(DR1)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영역(FA)은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영역들(NFA1, NFA2)이 도시되었으나, 폴딩영역(FA) 및 비폴딩영역들(NFA1, NFA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의 비폴딩영역들 및 비폴딩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은 폴딩영역(F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영역(FA)이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 사이에 배치되되,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영역(FA)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단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폴딩 시,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표시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a)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a)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딩 동작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DD-a)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DD-a)에 대한 설명에서는 폴딩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a)는 폴딩영역(FA-a), 제1 비폴딩영역(NFA1-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영역(FA-a)은 제1 비폴딩영역(NFA1-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a)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비폴딩영역(NFA1-a), 폴딩영역(FA-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a)은 제2 방향(DR2)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영역(FA-a)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폴딩축(FX-a)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장치(DD-a)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a)은 표시장치(DD-a)의 장변에 평행한 장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장치(DD-a)가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아웃-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롤러블 표시장치, 플랫한 리지드 표시장치, 또는 휘어진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장치(DD)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장치(DD-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보호층(WP), 윈도우(WIN), 광학필름(PP), 표시모듈(DM), 보호층(PF), 기능층(FC), 지지플레이트(SP)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는 적층구조에서 인접한 구성들을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은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5 접착층들(AL1 내지 AL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상술한 구성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DD)는 차광층, 방열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로부터 표시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IN)는 초박막 강화 유리(Ultra-Thin Glass, UTG)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WIN)는 유리를 포함하고, 두께가 20um 이상 80u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윈도우의 두께가 20um 미만일 경우 윈도우는 충분한 강성을 갖기 어렵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 시 윈도우가 손상될 수 있다. 윈도우의 두께가 80um을 초과할 경우, 윈도우의 플렉서블한 특성이 저하되어 표시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DD)는 20um 이상 80u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윈도우(WIN)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표시장치의 폴딩 및 비폴딩 동작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윈도우(WIN)의 재료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WIN)는 합성 수지 필름, 예를 들어 폴리 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윈도우(WIN)는 지문 방지층 및/또는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방지층과 하드코팅층의 재료는 공지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로부터 탈착과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을 윈도우(WIN)에 접착시키는 제1 접착층(AL1)은 접착력이 제2 내지 제5 접착층들(AL2 내지 AL5)의 접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이 외부 압력에 의해 손상되면 새로운 윈도우 보호층(WP)으로 교체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베이스층으로써 폴리 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필름과 같은 가요성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은 폴딩영역(FA)에 중첩하고, 제1 및 제2 비폴딩영역(NFA1, NFA2)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WIN) 아래에는 광학필름(PP)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름(PP)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광학필름(PP) 아래에는 표시모듈(DM)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제1 비폴딩영역(NFA1), 폴딩영역(FA), 및 제2 비폴딩영역(NFA2)에 중첩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입력센서(IS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입력센서(ISL)는 표시패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셀프캡 방식 또는 뮤츄얼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센서(ISL)는 액티브 타입의 입력장치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도 있다.
보호층(PF)은 표시모듈(DM)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층(PF)은 표시패널(DP)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PF)은 표시장치(DD)가 폴딩될 때, 표시모듈(DM)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층(PF)은 외부의 습기가 표시모듈(DM)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호층(PF)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F)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층(PF)은 플라스틱 필름을 기저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F)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F)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PF)은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C)은 보호층(PF)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FC)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은 표시모듈(DM)에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표시장치에 입력된 외부 입력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기능층(FC)의 하측에 지지플레이트(SP)가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SP)는 60GPa 이상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는 강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표시장치(DD)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는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플레이트(SP)는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의 기능층(FC)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기능층(FC)은 베이스층(BS) 및 요철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BP)는 베이스층(BS)에서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층(FC)은 요철부(BP)를 포함하여, 기능층(FC)의 상면(TF)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기능층(FC)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FC)은 쿠션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층(FC)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층으로써 발포 수지일 수 있다. 이때, 기능층(FC)은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은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 내부에 포함되는 기포가 요철부(BP)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포의 직경은 1u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능층(FC)은 디지타이터일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전자기 공명(EMR, ElectroMagnetic Resonance)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의 일 예시로 펜(PE, 도 1 참조)에 의한 표시면(DS, 도 1 참조)의 터치가 발생했을 때, 펜(PE, 도 1 참조) 내부에 구성된 공진회로에서 자계를 발생시키고, 진동하는 자계는 디지타이저에 포함된 복수의 코일들에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코일들에 유도된 신호를 통해 외부 입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6b를 참조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ZM)의 평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지타이저(ZM)는 베이스수지(PI),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 RF1, RF2), 및 복수의 디지타이저 패드들(TC1, TC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수지(PI)는 디지타이저 센서들(RF1, RF2, CF1, CF2)이 배치된 기저층일 수 있다. 베이스수지(PI)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수지(PI)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타이저 센서들(RF1, RF2) 각각은 복수의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을 포함하고, 제2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 각각은 복수의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을 포함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1 디지타이저 센서들(RF1, RF2)은 전자기 공명 방식의 디지타이저(ZM)의 입력 코일들에 대응하고, 제2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은 전자기 공명 방식의 디지타이저(ZM)의 출력 코일들에 대응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및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은 베이스수지(PI) 내에서 서로 절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각각은 대응하는 제1 디지타이저 패드들(TC1)에 연결되고,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 각각은 대응하는 제2 디지타이저 패드들(TC2)에 연결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각각은, 서로 다른 구간에서 활성화되는 스캔 신호들을 수신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각각은 대응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펜(PE, 도 1 참조)이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에 인접하면,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로부터 유도된 자기장이 펜(PE, 도 1 참조)의 공진회로와 공진하며, 펜(PE, 도 1 참조)은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펜(PE, 도 1 참조)은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LC 공진회로를 구비한 것 수 있다.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은 입력수단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감지 신호들을 제2 디지타이저 패드들(TC2)로 출력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중 제2 코일(RF2-2)과,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 중 제2 코일(CF2-2)이 교차하는 영역 중 중심부를 입력지점(IP)으로 가정한다.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2, RF2-3) 중 제2 코일(RF2-2)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는 나머지 제1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3)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 중 제2 코일(CF2-2)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는 나머지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3)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 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 중 제1 코일(CF2-1) 및 제3 코일(CF2-3)으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은, 제2 코일(CF2-2)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보다 낮고,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2, CF2-3) 중 제1 코일(CF2-1) 및 제3 코일(CF2-3)으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은, 나머지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 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레벨이 높은 제2 코일(CF2-2)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검출된 시간 및 상기 제2 코일(CF2-2)의 제2 감지 배선들(CF1-1, CF1-2, CF1-3, CF2-1, CF2-3) 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근거하여, 펜(PE, 도 1 참조)에 의한 입력지점(IP)의 2차원 좌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감지 배선들(RF1-1, RF1-2, RF1-3, RF2-1, RF2-3, CF1-1, CF1-2, CF1-3, CF2-1, CF2-3) 중 일부는 폴딩영역(FA)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일부가 생략되어 폴딩영역(F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기능층(FC)이 디지타이저(ZM)인 경우, 베이스층(BS)은 베이스수지(PI)이고, 요철부(BP)는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 RF1, RF2)일 수 있다. 베이스수지(PI) 상에 배치된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 RF1, RF2)의 두께에 의해서, 요철부(BP)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 센서들(CF1, CF2, RF1, RF2)의 두께는 5um 이상일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DD)는 요철부(BP, 도 6a 참조)를 포함하는 기능층(FC)을 포함하여, 기능층(FC) 상에 배치된 구성이 요철 형상을 가질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F), 표시모듈(DM), 및 제2 내지 제4 접착층(AL2, AL3, AL4)은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FC) 상에 배치된 보호층(PF), 표시모듈(DM), 및 제2 내지 제4 접착층(AL2, AL3, AL4) 각각은 요철부(BP)에 중첩하는 부분이 요철부(BP)의 형상을 따라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한 요철 형상(PN)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a에서는 요철부(BP)가 베이스층(BS)에서 제3 방향(DR3)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요철부(BP)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기능층(FC) 상에 배치된 보호층(PF), 표시모듈(DM), 및 제2 내지 제4 접착층(AL2, AL3, AL4) 각각은 요철부(BP)에 중첩하는 부분이 요철부(BP)의 형상을 따라 제3 방향(DR3)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기능층(FC)을 1개 포함하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기능층(FC)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기능층(FC)들은 지지플레이트(SP)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 도 5 참조)의 일부 구성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윈도우(WIN) 및 윈도우(WIN) 아래에 배치된 광학필름(PP)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의 광학필름(PP)은 윈도우(WIN) 아래에 배치된 편광층(POL1),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RE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층(POL1)은 제공된 광을 일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광학층으로 선편광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상지연층(REL)은 위상지연자(retard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지연층(REL)은 제1 위상지연층(RC1) 및 제2 위상지연층(R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C2)은 제1 위상지연층(RC1) 상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광학필름(PP)에서 제1 위상지연층(RC1), 제2 위상지연층(RC2), 및 편광층(POL1)이 제3 방향(DR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6 접착층(AL6)은 제1 위상지연층(RC1)과 제2 위상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고, 제7 접착층(AD7)은 제2 위상지연층(RC2)과 편광층(PO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제1 위상지연층(RC1)이 편광층(POL1)보다 표시모듈(DM)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C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C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C1)은 λ/4 위상지연자일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C1)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제1 위상지연층(RC1)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편광층(POL1)을 투과하여 제1 위상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편광 상태로 제1 위상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광학필름(PP)에서 제2 위상지연층(RC2)은 제1 위상지연층(RC1)과 편광층(POL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C2)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C2)은 λ/2 위상지연자일 수 있다.
제2 위상지연층(RC2)은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편광층(POL1)으로부터 제2 위상지연층(RC2)으로 입사된 선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위상지연층(RC1) 및 제2 위상지연층(RC2)은 지지체인 베이스 기재가 없이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된 제1 위상지연층(RC1) 및 제2 위상지연층(RC2)을 광학필름(PP)에 사용함으로써 표시장치(DD, 도 5 참조)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액정 코팅층인 제1 위상지연층(RC1) 및 제2 위상지연층(RC2)을 사용하여 광학필름(PP)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표시장치(DD)의 폴딩 또는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PP)은 보호층(PF), 표시모듈(DM), 및 제2 내지 제4 접착층(AL2, AL3, AL4)과 달리, 볼록한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필름(PP)의 편광층(POL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상면 및 하면을 가질 수 있다. 즉, 편광층(POL1)은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층(POL1)은 윈도우(WIN)의 하부에 코팅된 코팅층이다. 구체적으로, 편광층(POL1)은 윈도우(WIN)의 하면(BF)에 직접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편광층(POL1)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물질 또는 액정 분자 등을 윈도우(WIN)의 하면(BF)에 코팅하여 형성된 코팅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층(POL1)은 별도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지 않고, 윈도우(WIN)의 하면(BF)을 베이스면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층(POL1)은 윈도우(WIN)의 하면(BF)에 직접 코팅됨에 따라, 편광층(POL1)의 형상이 윈도우(WIN)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WIN)가 초박막 강화유리(Ultra-Thin Glass)인 경우, 윈도우(WIN)의 강성에 의해서, 주변의 압력 또는 스트레스 등에도 불구하고 편광층(POL1)의 형상이 별도의 변형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층(POL1)은 평탄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편광층(POL1)의 평탄면에 의해서,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광층(POL1)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REL)에 의해서, 보호층(PF), 표시모듈(DM), 및 제2 내지 제4 접착층(AL2, AL3, AL4)에서 발생한 단차에 의해 외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WIN) 및 광학필름(PP') 사이에는 제8 접착층(AL8)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필름(PP')은 제8 접착층(AL8)에 의해, 윈도우(WIN)의 하면(BF)에 접착될수 있다. 윈도우(WIN) 및 광학필름(PP') 사이에는 외에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층(POL2)은 별도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지 않고, 윈도우(WIN)의 하면(BF)을 베이스면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광학필름(PP')은 위상지연층(REL) 및 위상지연층(REL) 상에 배치된 편광층(POL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층(REL)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편광층(POL2)은 제8 접착층(AL8)에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제8 접착층(AL8)의 두께(t1)는 5um 미만이다. 예를 들어, 제8 접착층(AL8)의 두께(t1)는 0.1um 이상 4u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층(POL2)은 선편광자이며, 공지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층(POL2)은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의 선편광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필름일 수 있다.
편광층(POL')은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층(POL')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필름이 연신된 방향은 편광층(POL')의 흡수축이 될 수 있으며, 연신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편광층(POL')의 투과축이 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이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단차의 시인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표시장치에 대해서. 표시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단차가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시인되는지 여부를 평가한 것이다.
표 1에서 윈도우는 UTG(Ultra Thin Glass) 또는 CPI(Clear Polyimide)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 1에서 편광층은 윈도우 하부에 액정을 코팅한 액정 코팅층, 또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에 요오드(Iodine)를 흡착하여 제조된 편광층을 사용하였다. 윈도우 하부에 액정을 코팅하여 형성된 액정 코팅층에는 도 7에서 설명한 편광층(POL1)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에 요오드(Iodine)를 흡착하여 제조된 편광층에는 도 8에서 설명한 편광층(POL2)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표 1에서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에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4um, 5um, 10um, 및 15um 중 어느 하나의 두께를 가지는 감압접착필름(PSA)만이 배치된다.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에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편광층이 윈도우 하부에 코팅된 경우이다.
표 1에서 기능층은 각각이 요철부를 가지는 쿠션층 또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한다. 기능층의 요철부에 대해서,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기능층(FC), 쿠션층, 디지타이저(ZM)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층의 요철부는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로 이해될 수 있다.
구분 윈도우 편광층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
기능층 사용자에게
단차 시인 여부
실시예 1 UTG 액정 코팅층 - 쿠션층 X
실시예 2 UTG PVA+Iodine PSA(4um) 쿠션층 X
실시예 3 UTG PVA+Iodine PSA(4um) 디지타이저 X
비교예 1 UTG PVA+Iodine PSA(5um) 쿠션층 Δ
비교예 2 UTG PVA+Iodine PSA(10um) 디지타이저 Δ
비교예 3 UTG PVA+Iodine PSA(15um) 쿠션층 O
비교예 4 UTG PVA+Iodine PSA(15um) 디지타이저 O
비교예 5 CPI 액정 코팅층 - 쿠션층 O
비교예 6 CPI PVA+Iodine PSA(10um) 쿠션층 O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약간 시인되었다.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되었다. 비교예 1 내지 6의 경우, 기능층의 단차에 의해 편광층에도 단차가 발생하고, 사용자가 편광층의 단차를 시인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5의 결과를 함께 참조하면, 편광층이 액정 코팅층이더라도 윈도우가 UTG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되지 않고, 윈도우가 CPI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가 UTG인 경우, 윈도우가 CPI인 경우에 비하여 윈도우의 모듈러스가 크기 때문에,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에 의한 윈도우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가 UTG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요철 형상(PN) 등에 의한 윈도우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의 하면에 직접 코팅된 편광층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1과 같이 윈도우가 UTG이고 편광층이 코팅층인 표시장치의 경우, 윈도우으 하부에 직접 코팅된 편광층은 윈도우의 강성에 의해, 주변의 압력 또는 스트레스 등에도 불구하고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층의 형상은 윈도우의 형상과 같이 평탄면을 유지할 수 있다.
편광층이 평탄면을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단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표시면을 인식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표시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결과를 비교하면, 윈도우가 UTG이더라도 PSA의 두께가 5um 이상인 표시장치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가 시인된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같이 PSA의 두께가 4um인 경우, 편광층과 윈도우 사이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편광층이 윈도우의 형상을 따라 평탄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비교예 6의 표시장치의 경우, 윈도우로 CPI를 포함할뿐 아니라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에 10um 두께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윈도우의 강성이 편광층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 예를 들어, 편광층은 기능층에서 발생한 단차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사용자가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를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단차를 가지는 기능층을 포함하더라도, 윈도우의 하부에 직접 코팅되거나, 또는 5um 미만의 접착층에 의해 윈도우 하부에 접착된 편광층을 포함하여, 편광층이 사용자에게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장치 내부의 단차와 관계없이 평탄한 편광층에 의하여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를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표시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WIN: 윈도우 PP: 광학필름
POL1, POL2: 편광층 REL: 위상지연층
FC: 기능층 ZM: 디지타이저
AL1~AL8: 접착층

Claims (20)

  1.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두께가 5um 미만인 접착층으로 부착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 및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코팅층인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1um 이상의 기포를 포함하는 쿠션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배선 두께가 5um 이상인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인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선편광자인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20um 이상 80um 이하인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장치.
  13.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코팅된 코팅층;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위상지연층; 및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층은 상기 코팅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인 표시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윈도우;
    상기 윈도우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하부에 배치된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um 미만인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 하부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접착층 하부에 직접 배치된 것인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기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쿠션층 및 디지타이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된 제1 위상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지연층과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위상지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지연층은 λ/4 위상지연자이고, 상기 제2 위상지연층은 λ/2 위상지연자인 표시장치.
KR1020200122172A 2020-09-22 2020-09-22 표시장치 KR2022003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72A KR20220039951A (ko) 2020-09-22 2020-09-22 표시장치
US17/329,572 US20220091319A1 (en) 2020-09-22 2021-05-25 Display device
CN202111072034.8A CN114255650A (zh) 2020-09-22 2021-09-14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72A KR20220039951A (ko) 2020-09-22 2020-09-22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51A true KR20220039951A (ko) 2022-03-30

Family

ID=8074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72A KR20220039951A (ko) 2020-09-22 2020-09-2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91319A1 (ko)
KR (1) KR20220039951A (ko)
CN (1) CN114255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40A1 (ko) 2022-03-30 2023-10-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53B1 (ko) * 2017-05-08 2021-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5857B1 (ko) * 2017-09-18 2022-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845715A (zh) * 2018-09-05 2018-11-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触控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580792B1 (ko) * 2018-09-27 2023-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9547B1 (ko) * 2019-01-02 2024-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01548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1664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9144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540A1 (ko) 2022-03-30 2023-10-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1319A1 (en) 2022-03-24
CN114255650A (zh)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238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having a flexible polarizing film including a polarizer, a phase difference compensating layer, and a transparent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21611B1 (ko)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6570707B1 (en) Touch panel with high operability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s
US20080266273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11985774B2 (en) Display device
US119279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54392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gitizer and adhesive layer
US11930606B2 (en) Display device
US9983338B2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361805A1 (en) Display device
US10331254B2 (en) Touc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touch device
CN106918859B (zh) 偏振膜及具有偏振膜的显示装置
KR20220031808A (ko)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220039951A (ko) 표시장치
US11592876B2 (en) Electronic device
KR100720446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
US20240365656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JP2012018590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
EP2808731A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films
US20220229470A1 (en)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1033769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39889A (ko) 표시장치
KR20220102190A (ko) 전자 장치
US12118174B2 (en) Digitiz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