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905A - Fence - Google Patents
F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8905A KR20220038905A KR1020200121277A KR20200121277A KR20220038905A KR 20220038905 A KR20220038905 A KR 20220038905A KR 1020200121277 A KR1020200121277 A KR 1020200121277A KR 20200121277 A KR20200121277 A KR 20200121277A KR 20220038905 A KR20220038905 A KR 202200389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bending
- base
- fenc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지주의 꺽임을 방지하고 지주의 복원력이 향상된 휀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nce that prevents bending of a pole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has improved resilience of the pole.
일반적으로, 휀스는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공간을 분리하거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 이 중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는 차량의 추돌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특징을 가진다.In general, a fence is a facility installed on a road to separate a roadway, separate a space, or prevent pedestrians from crossing the roa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ffic.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도 1은 종래 휀스, 특히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fence, in particular, a conventional fence for jaywalk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결형 휀스(100)는 하나의 지주(110)가 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110)의 양측에 중공형성된 연결부(111)가 일체로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따라서 도로가 곡선구간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휀스도 곡선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데, 연결형 휀스(100)는 곡선구간에서 설치가 불가능하다(도 2 참조).Therefore, when the road is formed in a curved section, the fence must also be installed in a curved section, and the connection-
한편, 휀스는 차량의 충돌 등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잘 꺾이지 않아야 하고, 꺾이게 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이 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ence should not be bent easily even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ollision of a vehicle acts, and even if it is bent, it sh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그러나 종래의 휀스는 지주의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복원력도 약해서 꺽인 후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도 3 참조). However, the conventional fence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being bent because the strength of the holding is weak and the restoring force is also weak (see FIG. 3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내부에 꺾임방지부재를 삽입하여 차량 충돌에 의해 지주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bending preventing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pole to prevent the pole from being bent due to a vehicle collision and to provide a fen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ole is 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가 꺾이더라도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지주 복원력이 향상되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in which the holding force is improved so that the holding force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even if the holding is b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꺾임방지부재를 지주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차량 충돌시 지주의 내부에서 상승하지 않고 삽입위치에 고정되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that is easy to insert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nto the inside of the pole, and is fixed to the insertion position without rising from the inside of the pole during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충돌에 의해 횡대가 지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capable of preventing the cross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le by a vehicle collision.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앵커홀이 형성된 베이스가 구비되고, 양측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형성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연결부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횡대; 및 차량 충돌시 상기 지주의 꺾임을 방지하고 복원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지주의 내부에 삽입되며 150mm~300mm의 길이를 갖는 꺾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이고,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다각 기둥 형태의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밑면이 꼭지점에서 맞은편 꼭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 크고, 밑면의 변에서 맞은편 변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주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횡대의 단부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홀의 주위를 감싸며 양각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체결홀을 기준으로 상기 지주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더 길게 편심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주는 꺽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4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띠형태로 돌출된 반사지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se having anchor holes formed thereon to be fixed to the ground,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inside is hollow; a crossbar having an e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ole and provided between the poles; and a bending preven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lding to prevent bending of the holding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to strengthen the restoring force and having a length of 150 mm to 300 mm, wherein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s a polyethylene resin foam, and the bending The prevention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and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to the opposite vertex is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and th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base to the opposite side is the support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a fastening hole for screwing the end of the crosspie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embossed angle is formed around the fastening hole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It is formed to be longer eccentrically toward the side away from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post is formed with four ribs upward from the base to prevent bending,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a reflective paper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b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또한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주의 하부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y fixed to the ground and further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unit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post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의 내부에 꺾임방지부재를 삽입하여 차량 충돌에 의해 지주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le from being bent due to a vehicle collision by inserting a bending prevention member inside the pole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pole.
또한, 지주가 꺾이더라도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지주 복원력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holding force is improved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even if the holding is bent.
또한, 꺾임방지부재를 지주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차량 충돌시 지주의 내부에서 상승하지 않고 삽입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it is easy to insert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nto the interior of the pole, there is an effect of being fixed to the insertion position without rising from the inside of the pole during a vehicle collision.
또한, 차량 충돌에 의해 횡대가 지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ssba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sts due to a vehicle collision.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show a conventional fence.
4 to 6 show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대(20)를 포함한다. 4 to 6 , the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는 하단에 면적이 확장된 고정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에는 앵커홀(13)이 형성되어 있어, 앵커홀(13)을 관통하는 앵커(미도시)에 의해 지면에 고정한다.The
상기 지주(10)의 양측면에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횡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연결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는 양측으로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3단으로 형성되지만, 이와 달리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상기 횡대(20)는 상기 연결부(11)에 삽입되어 지주(10)와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The
또한 상기 연결부(11)에는 상기 횡대(10)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체결홀(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11)의 결합홀에 상기 횡대(10)의 단부를 삽입한 후, 체결홀(15)을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여 지주(10)에 횡대(20)를 결합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특히, 상기 연결부(11)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홀(15)의 주위에 양각으로 돌출된 보강부(16)가 형성된다. In particular, on the surface of the
상기 보강부(16)는 횡대(10)가 연결부(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이 횡대(20)에 충돌하게 되면, 충격력은 가장 취약한 곳인 연결부(11)와 횡대(10)의 결합부위, 보다 정확히 말하면 체결홀(15)로 전달되는데, 이 때 나사결합된 연결부(11) 또는 체결홀(15)이 찢어지거나 갈라지면서 연결부(11)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11)에서 횡대(10)가 분리되면, 상기 횡대(20)가 지주(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횡대(20)의 단부가 도로를 향하게 되어 통행하는 차량과 충돌하여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따라서 휀스(1)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체결홀(15)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16)가 체결홀(15) 주위로 양각으로 돌출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부(16)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도 체결홀(15)이 찢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e
특히, 상기 보강부(16)는 체결홀(15) 주위에 양각으로 돌출되어 형성하지만, 체결홀(15)이 중심에 있지 않고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L1≠L2).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강부(16)는 체결홀(15)을 기준으로 지주(1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더 길게 편심되어 형성된다(L1 < L2). 이것은 상기 보강부(16)는횡대(10)가 연결부(1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강도를 보강해야 하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10)의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띠형태로 돌출된 반사지 안착부(17)가 나란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야간에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주에 부착되는 반사지(미도시)는 상하로 띠형태로 돌출된 반사지 안착부(17)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띠형태로 양각으로 돌출된 반사지 안착부(17)가 반사지의 상부와 하부를 보호하고 있어, 반사지를 부착시키는 위치를 통일시킬 수 있고, 수평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반사지 안착부(17)가 없다면 반사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부착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부착되는 위치도 상이해진다. Also, referring to FIG. 4 ,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또한 이와 같이 부착된 반사지가 잘 떨어지지 않고 보호하는 역할도 있다. 왜냐하면, 반사지 안착부(17)가 없다면 차량의 충돌 등으로 반사지가 밀려 올라가거나 아래로 밀려 내려갈 수 있는데, 반사지의 테두리(상부와 하부)를 양각으로 돌출된 띠 형태의 반사지 안착부가 밀착되어 있어 충돌되는 차량도 반사지의 상부와 하부를 직접 접하지 않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reflective paper attached in this way does not fall off easily and also serves to protect. Because, if there is no
한편, 상기 휀스(1)는 법규에 따라 가장 위에 있는 가로바(21)의 높이가 정해진다. 통상, 무단횡단금지휀스는 가장 위에 있는 가로바(21)의 높이가 900mm로 정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ar 21 at the top of the fence 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w. In general,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ar 21 at the top of the trespassing fence is set to 900mm.
본 발명에서는 지주(10)의 높이를 보정함으로써, 위와 같은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의 하부와 지면 사이에 높이조절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rrecting the height of the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가 안착되는 안착부(41)와, 상기 고정부(12)에 형성된 앵커홀(13)과 통공되는 고정홀(42)이 형성되어 있다. The
따라서 상기 안착부(41)에 지주의 고정부(12)를 안착시키고, 앵커가 상기 앵커홀(13)과 고정홀(42)을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주(10)의 높이를 쉽게 보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지주(10)의 내부에 꺾임방지부재(5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는 내부에 중공부(14)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it can be seen that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꺾임방지부재(50)는 차량 충돌시 지주(10)의 꺾임을 방지하고, 설사 꺾이더라도 원상태로 복원하는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꺾임방지부재(50)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수지와 가스를 주입하고 실린더에 넣고 가열 용융시켜 압출성형하며, 폴리에틸렌 발포체의 발포율은 40~45배율이 바람직하다. The
통상 휀스의 꺾임은 지상으로부터 80~120mm의 높이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꺾임방지부재(50)의 상단은 150~300mm에 위치되도록 삽입한다. Normally, the bending of the fence occurs at a height of 80~120mm from the ground.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다시 말해, 상기 꺾임방지부재(50)의 길이를 150~300mm로 형성한 다음, 상기 꺾임방지부재(50)의 하단을 상기 지주의 하단에 맞추면, 꺾임방지부재(50)의 상단은 지면으로부터 150~300mm에 걸쳐 위치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length of the
상기 꺾임방지부재(50)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기둥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다각기둥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8각기둥으로 형성한 것이다. The
상기 꺾임방지부재(50)를 원기둥형태로 형성할 경우,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면의 지름을 지주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해야 한다. 이 경우, 지주(10)의 내경(2r)이 꺾임방지부재(50)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꺾임방지부재(50)가 지주의 내부에서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갭이 형성된다. When the
이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지주(10)가 꺾이려고 할 때, 꺾임방지부재(50)는 지주(10)의 내부에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찰없이 쉽게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승동작으로 인해 꺾임방지부재(50)의 하단이 80mm 이상 높이로 상승하게 되면 지주(10)가 꺾이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만약, 차량이 충돌하여 지주가 꺾일 때 꺾임방지부재(50)가 지주의 내부에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부재(50)의 지름을 지주의 내경(2r)과 같거나 크게 한다면 조립성이 매우 나빠진다. 즉, 꺾임방지부재(50)를 지주의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If the diameter of the
본 실시예는 이러한 양쪽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꺾임방지부재(50)를 다각기둥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꺾임방지부재(50)의 밑면(본 실시예에서는 8각형)은 꼭지점에서 맞은편 꼭지점까지의 거리(d2)가 상기 지주의 내경(2r)보다 크다(d2>2r).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both of these problems, the
반면, 꺾임방지부재(50)의 밑면의 변에서 맞은편 변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지주의 내경(2r)과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d1≤2r).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d1) from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다각기둥 형태의 꺾임방지부재(50)를 지주의 내부에 삽입 시, 꺾임방지부재(50)의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51, 밑면에서 꼭지점)는 압축시켜 삽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지주(10)의 내벽에 밀착하게 되지만, 꺾임방지부재(50)의 면(52, 밑면에서 변)은 삽입 후 지주의 내벽에 밀착되지 않는다. Referring back to FIG. 9, when inserting the polygonal pillar-shaped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꺾임방지부재(50)를 지주에 삽입시 꺾임방지부재(50)의 모서리(51)만 지주의 내벽에 접하고 면(52)은 접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립이 용이하다. Due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한편, 설치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지주가 꺾일 때 꺾임방지부재(50)가 상승하려고 하지만, 꺾임방지부재(50)의 모서리(51)들이 지주(10)의 내벽에 길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에 대한 마찰력이 있어 상승하지 않고, 그에 따라 지주가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꺾인다고 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면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탄성력이 있어 지주(10)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돕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pole is bent in the installed stat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10)는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18)가 4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리브(18)는 베이스(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상부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얇아져 상어 지느러미같은 형태(삼각형태)로 돌출된다. 이것은 지면에서 가까운 부분이 잘 꺾이기 때문이다. 상기 리브는 지면으로부터 100~150mm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높이에서 지주가 가장 잘 꺾이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1: 실시예
10: 지주
20: 횡대
40: 높이조절부
50: 꺽임방지부재1: Example
10: holding
20: runway
40: height adjustment unit
50: bending prevention member
Claims (1)
상기 지주의 연결부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지주 사이에 구비되는 횡대; 및
차량 충돌시 상기 지주의 꺾임을 방지하고 복원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지주의 내부에 삽입되며 150mm~300mm의 길이를 갖는 꺾임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발포체이고,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다각 기둥 형태의 상기 꺾임방지부재는 밑면이 꼭지점에서 맞은편 꼭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 크고, 밑면의 변에서 맞은편 변까지의 거리가 상기 지주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횡대의 단부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홀의 주위를 감싸며 양각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체결홀을 기준으로 상기 지주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더 길게 편심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주는 꺽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4개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띠형태로 돌출된 반사지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금지 휀스.A post having a base having anchor holes formed thereon to be fixed to the ground,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having a hollow inside;
a crossbar having an e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ole and provided between the poles; and
Including; and a bending preven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to prevent bending of the support and strengthen the restoring force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having a length of 150mm to 300mm;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s a polyethylene resin foam,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s formed in a polygonal column shape,
The polygonal pillar-shaped anti-bending member has a base having a distance from the vertex to the opposite vertex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and th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base to the opposite side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A fastening hole for screwing the end of the cross bar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A reinforcing par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astening hole and protrude at embossing,
The reinforcing part is formed to be longer eccentrically away from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ole,
The support is formed with four ribs upward from the base to prevent bending,
Crossing prohibition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ive paper seat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b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277A KR20220038905A (en) | 2020-09-21 | 2020-09-21 | F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277A KR20220038905A (en) | 2020-09-21 | 2020-09-21 | Fe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8905A true KR20220038905A (en) | 2022-03-29 |
Family
ID=8099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277A KR20220038905A (en) | 2020-09-21 | 2020-09-21 | F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8905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344B1 (en) | 2014-12-30 | 2015-04-15 | 채상원 | Divisional strip for preventing jaywalking |
KR20190010834A (en) | 2017-07-23 | 2019-01-31 | 김소현 | cellphone key |
KR20190102164A (en) | 2019-08-26 | 2019-09-03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Th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Power Supply Control |
KR20190102163A (en) | 2017-06-21 | 2019-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KR20190108353A (en) | 2018-03-14 | 2019-09-24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Moving apparatus in water |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277A patent/KR2022003890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2344B1 (en) | 2014-12-30 | 2015-04-15 | 채상원 | Divisional strip for preventing jaywalking |
KR20190102163A (en) | 2017-06-21 | 2019-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KR20190010834A (en) | 2017-07-23 | 2019-01-31 | 김소현 | cellphone key |
KR20190108353A (en) | 2018-03-14 | 2019-09-24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Moving apparatus in water |
KR20190102164A (en) | 2019-08-26 | 2019-09-03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Th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Power Supply Contro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6710B1 (en) | Carriageway of lane marking | |
KR100837432B1 (en) | Construction method and buffering bollard | |
KR102102118B1 (en) | Separate type lane separator | |
KR101499459B1 (en) | Prefabricated safety bollard | |
KR101440604B1 (en)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for sidewalk roadway | |
KR20220038905A (en) | Fence | |
KR101149595B1 (en) | Road reflecting mirror | |
JP2007315055A (en) | Post for protective fence | |
KR101850491B1 (en) | Shock absorbing bollard with improved safety | |
JPH10121429A (en) | Fence pillar | |
JP4592605B2 (en) | Road marking object | |
KR20220009316A (en) | Fence | |
KR102468053B1 (en) | Guard rail | |
KR200336654Y1 (en) | Median strip structure of curved road | |
KR102391031B1 (en) | Induction rod for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334807B2 (en) | Road marking object | |
KR100969451B1 (en) | A road line safety pillar for regulating traffic lane | |
KR200287820Y1 (en) | Safety guideance | |
KR101940015B1 (en) | A road stud | |
KR200207038Y1 (en) | A median strip of the highway | |
KR200400355Y1 (en) | Guide block for parking lot | |
KR20240154394A (en) | Bollards with resilience | |
KR100472091B1 (en) | Median strip of highway | |
JP5639219B2 (en) | Road marking object | |
KR101681957B1 (en) | Curved boundary stone fixtur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