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59A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0159A KR20220030159A KR1020210097635A KR20210097635A KR20220030159A KR 20220030159 A KR20220030159 A KR 20220030159A KR 1020210097635 A KR1020210097635 A KR 1020210097635A KR 20210097635 A KR20210097635 A KR 20210097635A KR 20220030159 A KR20220030159 A KR 20220030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 mold
- frame
- plunger
-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B29C45/021—Plunger drives; Pressure equalizing means for a plurality of transfer plu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8—Mould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69—Moulds with means for removing excess material, e.g. with overflow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586—Injection or transfer plu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8—Using spring tension to drive movable machin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2045/2604—Latching means for successive opening or closing of moul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틀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고, 캐비티(2a)가 형성된 상부틀(2)과, 상부틀(2)에 대향하여, 캐비티(2a)에 수지 재료(J)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4)가 마련된 하부틀(3)과,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5)를 구비하고, 수지 주입부(4)는, 수지 재료(J)를 수용하는 포트(41a)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43)를 거쳐 하부틀(3)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부틀(3)의 형면 상으로 돌출한(툭 튀어나온) 돌출부(411)를 가지는 포트 블록(41)과, 포트(41a) 내에 마련된 플런저(421)를 가지고, 상부틀(2) 및 하부틀(3)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플런저(421)를 이동시켜서 포트(41a)로부터 캐비티(2a)에 수지 재료(J)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42)를 구비하고, 틀체결 기구(5)가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이동시켜서, 하부틀(3)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W2)과 포트 블록(41) 상의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iably separate a resin molded product from unnecessary resin without causing an enlargement of the mold or an increase in unnecessary resin, and an upper mold 2 having a cavity 2a formed therein; Opposite to, the lower frame 3 provided with the resin injection part 4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J into the cavity 2a, and the frame clamp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upper frame 2 and the lower frame 3 (5) is provided, and the resin injection part (4) is provided with a port (41a)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J)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3) via the elastic member (43). , having a port block 41 having a protrusion 411 protruding (protruding) onto the mold surface of the lower frame 3 and a plunger 421 provided in the port 41a, the upper frame 2 and the lower and a transfer mechanism 42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J into the cavity 2a from the port 41a by moving the plunger 421 in a state in which the mold 3 is clamped, and the mold clamping mechanism 5 During the frame opening operation of opening the upper frame 2 and the lower frame 3, the transfer mechanism 42 moves the plunger 421 toward the upper frame 2, so that the The resin molded product W2 and the unnecessary resin K on the pot block 41 are sepa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mol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틀(上型) 및 하부틀(下型)을 틀체결(型締, die-clamping)해서, 하부틀에 마련된 게이트 블록이 기판의 일부를 하부틀에 밀어 접(押接)한 상태에서, 게이트 블록의 상면과 상부틀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상부틀의 캐비티부에 주입해서 수지 봉지를 행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re die-clamped, and the gate block provided in the lower frame is a part of the substrate. It is considered to perform resin encapsulation by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cavity of the upper frame from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bloc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metal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frame.
이 수지 봉지 장치에서는, 게이트 블록의 하측에, 게이트 블록을 위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고, 틀체결시에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틀 및 하부틀의 틀개방시에,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해서, 게이트 블록이 하부틀의 상면(형면(型面))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져서, 게이트 블록 상의 불필요(不要) 수지인 러너(runner)가 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In this resin sealing device, a spring for moving the gate block up and down is provided below the gate block, and it is in a compressed state at the time of frame fastening. And, when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are opened, the spring is restored from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gate block is pushed up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mold surface) of the lower frame, so that unnecessary (不要) The resin runner is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그렇지만, 상기의 장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불필요 수지와 기판을 분리하고 있으므로, 불필요 수지와 기판을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스프링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성형틀(成形型)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의 대형화를 초래해 버린다.However, in the device described above, the unnecessary resin and the substrate are separated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n, it is necessary to enlarge a spring, and an enlargement of a shaping|molding die and an enlargement of unnecessary resin will be brought about.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성형틀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그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reliably separate the resin molded article from the unnecessary resin without causing an enlargement of the molding die or an enlargement of the unnecessary resin.
즉, 본 발명에 관계된 수지 성형 장치는,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틀과, 상기 제1 틀에 대향하여,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가 마련된 제2 틀과,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주입부는, 상기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제2 틀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는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내에 마련된 플런저를 가지고,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로부터 상기 캐비티에 상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型開)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resi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old having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A first frame and a frame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second frame are provided, wherein the resin injection unit has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and is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through an elastic member. , a port block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nto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and moving the plung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ramed to move the plunger from the port a transfer mechanism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wherein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oward the first mold, the resin molded product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are separated.
또, 본 발명에 관계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수지 성형 장치를 이용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이다.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id resin mold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틀과, 그 제1 틀에 대향하여,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가 마련된 제2 틀과,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주입부는, 상기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제2 틀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는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내에 마련된 플런저를 가지고,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로부터 상기 캐비티에 상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를 이용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having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and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and provided with a resin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a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and a frame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resin injection unit has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and is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through an elastic member. It is provided and has a port block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onto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and moves the plung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rame-fastened to the po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product using a resin mold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echanism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from the ,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o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틀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liably separate the resin molded article from the unnecessary resin without causing an enlargement of the molding die or an enlargement of the unnecessary resin.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1실시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같은(同)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기판 재치(載置) 상태 및 수지 재료 장전(裝塡)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틀체결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수지 주입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기준 위치(X)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떼어냄(引剝, peeling)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틀개방 동작 개시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틀개방 동작중의 게이트 브레이크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틀개방 동작중의 게이트 브레이크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같은 실시형태의 성형 모듈의 틀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같은 실시형태의 언로더의 각 흡착부가 수지 성형품 및 불필요 수지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불필요 수지가 상승해서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가 줄어든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같은 실시형태의 언로더가 수지 성형품 및 불필요 수지를 흡착해서 반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같은 실시형태의 긁어냄(搔出, scraping) 동작에 있어서의 (a) 긁어냄 위치, 및, (b) 로드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sin molding apparatus of 1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board|substrate mounting state and the resin material loading stat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frame-fastening stat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sin injection|pouring stat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6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eference position X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eeling stat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frame opening operation|movement start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gate break operation|movement during the frame opening operation|movement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after gate break during the frame opening operation|movement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frame-opening state of the shaping|molding module of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each adsorption|suction part of the unloader of the same embodiment contacted the resin molded article and unnecessary resi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unnecessary resin rose and the adsorption|suction part for unnecessary resin decreased in the same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unloader of the same embodiment adsorb|sucks and carries out a resin molded article and unnecessary resin.
15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 a scraping position in a scraping operation|movement of the same embodiment, and (b) a rod position.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해서, 예를 들어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수지 성형 장치는, 전술한 대로,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틀과, 상기 제1 틀에 대향하여,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가 마련된 제2 틀과,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주입부는, 상기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제2 틀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으로 돌출한(툭 튀어나온) 돌출부(張出部)를 가지는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내에 마련된 플런저를 가지고,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로부터 상기 캐비티에 상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n mo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mold having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and a frame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resin injection part has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and is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through an elastic member. and a port block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protruding onto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rame-fastened a transfer mechanism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from the port by moving the plunger in the A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o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이 수지 성형 장치라면,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는 플런저에 의해 제1 틀을 향해 밀리므로, 포트 블록을 진퇴시키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또,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탄성 부재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성형틀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With this resin molding apparatus,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is pushed toward the first mold by the plunger, so it is possible to reliably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from the unnecessary resin without increa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pot block forward and backward. . Moreov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enlargement of the elastic member is prevented, and further enlargement of the molding die and the enlargement of unnecessary resin are not caused.
또, 틀체결시에 압축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를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인 탄성력을 받아서 상기 포트 블록이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reliably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unnecessary resin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mpressed at the time of clamping the mold, the transfer mechanism receives the elastic force, which i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from the unnecessary resin by moving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at the same time that the pot block moves toward the first mold.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를 분리한 경우이더라도, 상기 플런저와 불필요 수지가 밀착해서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후의 불필요 수지의 회수에 트러블(不具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플런저로부터 상기 불필요 수지를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when the plunger is moved toward the first mold to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the unnecessary resin, if the plunger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closely bonded to each other, trouble occurs in the subsequent recovery of the unnecessary resin there 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ransfer mechanism preferably moves the plunger to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mold before moving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o remove the unnecessary resin from the plunger. Do.
이 구성이라면, 상기 플런저와 상기 불필요 수지가 미리 박리되어 있으므로, 수지 성형품과 불필요 수지를 분리한 후에, 분리된 불필요 수지가 회수되기 쉬워진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lunger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previously peeled off, the separated unnecessary resin is easily recovered after the resin molded article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separated.
상기 포트 블록은, 상기 틀개방 동작의 개시부터 소정 기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인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 틀과의 사이에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끼운(협지한) 상태이고, 상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보존유지(保持)하면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상기 제1 틀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 block is in a state in which the unnecessary resin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mold by an elastic force that is a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mold opening operation, and the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Afterwards, it is preferable to peel the unnecessary resin from the first mold while preserving the unnecessary resin.
이 구성이라면, 상기 포트 블록이 상기 제1 틀과의 사이에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끼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를 분리시키게 되어, 그들의 분리시에 상기 불필요 수지가 포트 블록으로부터 갑자기 빠져(이탈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necessary resin is sandwiched between the pot block and the first mold,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separated, and the unnecessary resin is suddenly removed from the pot block during their sepa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thrown away.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를 분리할 때에, 상기 수지 성형품이 상기 제2 틀로부터 들뜨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를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틀은, 상기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가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수지 성형품을 상기 제2 틀의 형면을 향해 압압(押壓)하는 압압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liably separate the resin molded article and the unnecessary resin while preventing the resin molded article from lifting or shifting from the second mold when separating the resin molded article and the unnecessary resin, the first mold is ,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resin molded product toward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t least until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separated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상기 플런저는, 상기 포트 내를 슬라이딩(摺動)하게 되지만, 상기 포트 내면에 부착한 수지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와 상기 포트와의 슬라이딩 저항이 커져 버린다. 그러면, 상기 포트 블록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추종해 버리고, 탄성 부재가 다(완전히) 복원하지 않아 상기 포트 블록이 틀체결 전의 초기 상태로 돌아오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불필요 수지를 회수할 때에 탄성 부재가 갑자기 신장해(늘어나) 버리고, 그 탄력으로 불필요 수지가 포트 블록으로부터 빠져서 불필요 수지의 회수가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Although the said plunger slides in the inside of the said pot,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said plunger and the said port will become large by the resin adhering to the said pot inner surface. Then, the port block follows the movement of the plunger, and the elastic member does not fully (completely) restore, so there is a fear that the port block may not return to the initial state before frame fastening. In this case, there is a fear that the elastic member suddenly stretches (stretches) when the unnecessary resin is recovered, and the unnecessary resin is released from the pot block due to its elasticity, making it difficult to recover the unnecessary resin.
이 때문에,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탄성 부재가 복원한 초기 상태로 될 때까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said plunger toward the said 1st frame until the said elastic member returns to the restored initial state.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포트 블록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틀의 형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지 성형품을 끼운 상태로부터, 상기 수지 성형품과는 비접촉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ort block sandwiches the resin molded product betwee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is separated from the resin molded product. It is preferable to be in a non-contact state.
이 구성이라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서, 돌출부가 확실하게 수지 성형품과는 비접촉 상태로 되므로, 그 후의 수지 성형품의 반출에 있어서 돌출부가 방해로 되기 어렵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trusion is reliably brought into a non-contact state with the resin molded product by the movement of the plunger.
또, 상술한 수지 성형 장치를 이용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1양태이다.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above-mentioned resin molding apparatus is also one aspect|mode of this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제1 틀과, 그 제1 틀에 대향하여,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가 마련된 제2 틀과,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주입부는, 상기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제2 틀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는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내에 마련된 플런저를 가지고,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로부터 상기 캐비티에 상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를 이용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having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and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and provided with a resin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a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and a frame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rein the resin injection unit has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and is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through an elastic member. It is provided and has a port block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onto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and moves the plung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rame-fastened to the po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product using a resin mold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echanism for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from the ,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o separate the resin molded product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본 발명의 1실시형태><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에 관계된 수지 성형 장치의 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어떠한 도면에 대해서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적당히 생략하거나 또는 과장해서 모식적으로 그려져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resin mold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also about any figure shown below, in order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it is abbreviate|omitted or exaggerated suitably and is drawn typically. About the same compon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suitably.
<수지 성형 장치의 전체 구성><Entire configuration of resin molding apparatus>
본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100)는, 전자 부품(Wx)이 접속된 성형 대상물(W1)을 수지 재료(J)를 이용한 트랜스퍼 성형에 의해서 수지 성형하는 것이다.The
여기서, 성형 대상물(W1)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제 기판, 수지제 기판, 유리제 기판, 세라믹스제 기판, 회로 기판, 반도체제 기판, 배선 기판, 리드 프레임 등이고, 배선의 유무는 불문한다. 또, 수지 성형을 위한 수지 재료(J)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이고, 수지 재료(J)의 형태는 과립상(顆粒狀), 분말상(粉末狀), 액상(液狀), 시트상 또는 정제(tablet)상 등이다. 또한, 성형 대상물(W1)의 상면에 접속되는 전자 부품(Wx)으로서는, 예를 들면 베어 칩(bare chip) 또는 수지 봉지된 칩이다.Here, as the object W1 to be molded, for example, a metal substrate, a resin substrate, a glass substrate, a ceramic substrate, a circuit board, a semiconductor substrate, a wiring board, a lead frame, etc., whether or not wiring is present. In addition, the resin material (J) for resin molding is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for example,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form of the resin material (J) is granular, powdery, and liquid. , in the form of a sheet or tablet. The electronic component Wx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W1 is, for example, a bare chip or a resin-sealed chip.
구체적으로 수지 성형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 전의 성형 대상물(W1) 및 수지 재료(J)를 공급하는 공급 모듈(100A)과, 수지 성형하는 성형 모듈(100B)과, 성형 후의 성형 대상물(W2)(이하, 수지 성형품(W2))을 수용하는 수납 모듈(100C)을, 각각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급 모듈(100A)과, 성형 모듈(100B)과, 수납 모듈(100C)은, 각각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 서로 착탈(着脫)될 수 있고, 또한, 교환될 수가 있다. 또, 성형 모듈(100B)을 2개 또는 3개로 하는 등, 각 구성요소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공급 모듈(100A)에는, 성형 대상물(W1)을 공급하는 성형 대상물 공급부(11)와, 수지 재료(J)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부(12)와, 성형 대상물 공급부(11)로부터 성형 대상물(W1)을 수취하여 성형 모듈(100B)에 반송하고, 수지 재료 공급부(12)로부터 수지 재료(J)를 수취하여 성형 모듈(100B)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13)(이하, 로더(13))가 마련되어 있다.The
로더(13)는, 공급 모듈(100A)과 성형 모듈(100B)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것이고, 공급 모듈(100A)과 성형 모듈(100B)에 걸쳐서 마련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이동한다.The
성형 모듈(100B)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재료(J)가 주입되는 캐비티(2a)가 형성된 성형틀의 한쪽인 제1 틀(2)(이하, 상부틀(2))과, 상부틀(2)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캐비티(2a)에 수지 재료(J)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4)가 마련된 성형틀의 다른쪽인 제2 틀(3)(이하, 하부틀(3))과,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체결하는 틀체결 기구(5)를 가진다. 상부틀(2)은, 상부틀 홀더(101)에 보존유지되어 있고, 그 상부틀 홀더(101)는, 상부플래튼(10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부틀(2)은, 상부틀 베이스 플레이트(103)를 거쳐 상부틀 홀더(101)에 부착되어 있다. 하부틀(3)은, 하부틀 홀더(104)에 보존유지되어 있고, 그 하부틀 홀더(104)는, 틀체결 기구(5)에 의해 승강하는 가동 플래튼(105)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하부틀(3)은, 하부틀 베이스 플레이트(106)를 거쳐 하부틀 홀더(104)에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수지 주입부(4)는, 수지 재료(J)를 수용하는 포트(41a)가 형성된 포트 블록(41)과, 포트(41a) 내에 마련된 플런저(421)를 가지는 트랜스퍼 기구(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포트(41a)는, 예를 들면 원통모양(圓筒狀)을 이루는 통모양 부재(4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통모양 부재(410)는, 포트 블록(4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넣어져(감입되어) 있다.The
포트 블록(41)은, 하부틀(3)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되도록 탄성 부재(4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다. 다시 말해, 포트 블록(41)은, 탄성 부재(43)를 거쳐 하부틀(3)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43)는, 포트 블록(41)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The
또, 포트 블록(41)의 상단부에는, 하부틀(3)의 상면인 형면 상으로 돌출한(툭 튀어나온) 돌출부(張出部)(4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포트 블록(41)의 상면에는, 포트(41a)로부터 주입된 수지 재료(J)를 캐비티(2a)에 도입하는 수지 유로로 되는 칼부(41b) 및 게이트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411)는,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체결한 상태에서, 그의 상면이 상부틀(2)에 접촉함과 동시에, 그의 하면이 성형 대상물(W1)을 하부틀(3)의 형면과의 사이에서 끼우게(협지하게) 된다.Moreover, at the upper end of the
트랜스퍼 기구(42)는, 상부틀(2) 및 하부틀(3)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플런저(421)를 이동시켜서 포트(41a)로부터 캐비티(2a)에 수지 재료(J)를 주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퍼 기구(42)는, 포트(41a)에 있어서 가열되어 용융된 수지 재료(J)를 압송(壓送)하기 위한 플런저(421)와, 그 플런저(421)를 구동하는 플런저 구동부(422)를 가지고 있다.The
상부틀(2)에는, 성형 대상물(W1)의 전자 부품(Wx)을 수용함과 동시에 용융된 수지 재료(J)가 주입되는 캐비티(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틀(2)에는, 포트 블록(41)과 대향하는 부분에 오목부(2b)가 형성됨과 동시에, 포트 블록(41)의 칼부(41b) 및 게이트부(41c)와 캐비티(2a)를 접속하는 러너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틀(2)에는, 포트 블록(41)과는 반대측에 에어벤트(통기구멍)가 형성되어 있다. 또, 러너부(2c)를 생략하고, 칼부(41b)와 캐비티(2a)를 게이트부(41c)를 거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A
또, 상부틀(2)에는, 수지 성형 후의 성형 대상물(W2)을 상부틀(2)로부터 틀분리(離型)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젝터 핀(61)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이젝터 핀(61)은, 상부틀(2)의 소요(所要) 개소에 관통해서 상부틀(2)에 대해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부틀(2)의 상측에 마련된 이젝터 플레이트(62)에 고정되어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62)는, 탄성 부재(63)를 거쳐 상부플래튼(102) 등에 마련되어 있고, 리턴 핀(64)을 가지고 있다. 틀체결시에 리턴 핀(64)이 하부틀(3)에 있어서의 성형 대상물(W1)의 재치(載置) 영역 외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젝터 플레이트(62)를 상부틀(2)에 대해서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틀체결시에 있어서 이젝터 핀(61)은 상부틀(2)의 형면에 끌어넣은(들어간) 상태로 된다. 한편, 틀개방시에 있어서는 하부틀(3)이 하강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젝터 플레이트(62)는 상부틀(2)에 대해서 하강하고, 이젝터 핀(61)이 탄성 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서 수지 성형품(W2)을 상부틀(2)로부터 틀분리(이형)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틀체결 기구(5)에 의해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체결하면, 칼부(41b), 게이트부(41c), 오목부(2b) 및 러너부(2c)로 이루어지는 수지 유로가, 포트(41a)와 캐비티(2a)를 연통(連通)한다(도 4 참조). 또,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체결하면, 포트 블록(41)의 돌출부(411)의 하면과 하부틀(3)의 형면 사이에 성형 대상물(W1)의 포트측 단부가 끼게(협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런저(421)에 의해 용융된 수지 재료(J)를 캐비티(2a)에 주입하면, 성형 대상물(W1)의 전자 부품(Wx)이 수지 봉지된다.And, when the
수납 모듈(100C)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품(W2)을 수납하는 수납부(14)와, 성형 모듈(100B)로부터 수지 성형품(W2)을 수취하여, 수납부(14)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15)(이하, 언로더(15))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언로더(15)는, 성형 모듈(100B)과 수납 모듈(100C)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것이고, 성형 모듈(100B)과 수납 모듈(100C)에 걸쳐서 마련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이동한다.The
<수지 성형 장치(100) 동작><Operation of
이 수지 성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도 14를 참조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3∼도 14는, 포트 블록(41)의 한쪽측(좌측)만을 도시하고, 다른쪽측(우측)을 생략하고 있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다른쪽측의 상태는 한쪽측의 상태와 동일하다. 또, 이하의 동작은, 예를 들면 공급 모듈(100A)에 마련된 제어부(COM)가 각 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The operation of the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틀(2) 및 하부틀(3)이 틀개방된 상태에서, 로더(13)에 의해 성형 전의 성형 대상물(W1)이 반송되어 하부틀(3)에 건네져서 재치된다(얹어놓인다). 이 때, 상부틀(2) 및 하부틀(3)은, 수지 재료(J)를 용융하고, 경화시킬 수 있는 온도로 승온되어 있다. 그 후, 로더(13)에 의해 수지 재료(J)가 반송되어 포트 블록(41)의 포트(41a) 내에 수용된다.As shown in FIG. 3 , in a state in which the
이 상태에서, 틀체결 기구(5)에 의해 하부틀(3)을 상승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 블록(41)이 상부틀(2)에 닿고 하부틀(3)에 대해서 하강해서, 돌출부(411)의 하면이 성형 대상물(W1)의 포트측 단부에 접촉한다. 또, 돌출부(411)가 접촉하지 않는 성형 대상물(W1)의 외주부에, 상부틀(2)의 하면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틀(2) 및 하부틀(3)이 틀체결된다. 이 틀체결 후에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 구동부(422)에 의해서 플런저(421)를 상승시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41a) 내의 용융된 수지 재료(J)가 수지 통로를 통해 캐비티(2a) 내에 주입된다. 그리고, 소정의 성형 시간이 경과하고, 캐비티(2a) 내에서 수지 재료(J)가 경화한 후에, 틀체결 기구(5)가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개방한다.In this state, when the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100)는, 틀체결 기구(5)가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하는 동작(게이트 브레이크 동작)을 행한다. 또한, 불필요 수지(K)는, 포트 블록(41) 상에 잔류해서 경화한 수지이다.Here, in the
예를 들면 상기의 성형 시간이 경과하기 직전(틀개방 동작의 개시 전)에, 트랜스퍼 기구(4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421)가 불필요 수지(K)를 미는 힘을 소정 값의 힘(예를 들면 플런저(421)와 불필요 수지(K)가 박리하는 일 없이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비교적 작은 값의 힘)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플런저(421)가 미는 힘은, 플런저 구동부(422)의 구동축(트랜스퍼 축) 등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로드 셀 등의 힘 센서(중량 센서, 하중 센서 등을 포함한다)에 의해 측정된다.For example, just before the above molding time elapses (before the start of the mold opening operation), the
그리고, 제어부(COM)는, 상기 소정 값의 힘으로 되었을 때의 플런저(421)의 위치를 기준 위치(X)로서 기억한다(도 6 참조). 이 기준 위치(X)는, 후술하는 게이트 브레이크 동작 및 불필요 수지(K)의 틀분리·회수의 기준이 되는 위치이다. 또한, 기준 위치(X)는, 플런저(421)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플런저(421)에 접속된 플런저 구동부(422)의 구동축(트랜스퍼 축) 등의 그밖의 부재의 위치로 해도 좋다.And the control part COM memorize|stores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틀개방 동작의 개시 전에, 트랜스퍼 기구(4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421)를 상부틀(2)과는 반대측으로 하강시켜서, 소정의 떼어냄(벗겨냄) 위치(Y)까지 하강시킨다. 플런저(421)를 떼어냄 위치(Y)까지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421)의 상면과 불필요 수지(K)의 하면이 박리한다. 이 떼어냄 동작 후에, 트랜스퍼 기구(42)는, 플런저(421)를 상술한 기준 위치(X)까지 상승시킨다. 이 때, 플런저(421)의 상면은, 불필요 수지(K)의 하면에 접촉한다(도 6의 상태).And before the start of the frame opening operation, the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체결 기구(5)가 하부틀(3)의 하강을 개시하는 것에 의해, 틀개방 동작을 개시한다. 틀체결 기구(5)가 틀개방 동작을 개시해서 클램프력이 소정 값(상술한 트랜스퍼 기구(42)에서의 소정 값과는 다르다)까지 저하한 타이밍에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랜스퍼 기구(42)는,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트 블록(41) 상의 불필요 수지(K)가 플런저(421)에 의해서 상부틀(2)을 향해 밀린다. 또한, 클램프력은, 틀체결 기구(5)의 클램프축 등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는 로드 셀 등의 힘 센서(중량 센서, 하중 센서 등을 포함한다)에 의해 측정된다.Next, as shown in FIG. 8, when the
또,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킬 때에는, 포트 블록(41)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한 탄성 부재(43)의 복원력인 탄성력을 받아서 하부틀(3)로부터 상부틀(2)을 향해 상승한다. 다시 말해,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을 받아서 포트 블록(41)이 하부틀(3)로부터 상부틀(2)을 향해 상승하는 것과 동시에, 트랜스퍼 기구(42)는 플런저(421)를 하부틀(3)로부터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키게 된다.Moreover, when the
또한,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을 받아서 포트 블록(41)이 하부틀(3)로부터 상부틀(2)을 향해 상승을 개시하는 타이밍과, 트랜스퍼 기구(42)에 의해서 플런저(421)를 하부틀(3)로부터 상부틀(2)을 향해 상승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일치하고 있어도 좋고, 달라도 좋다.In addition, during the frame opening operation, the timing at which the
상기의 트랜스퍼 기구(42)에 의한 플런저(421)의 상승 및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한 포트 블록(41)의 상승에 의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틀(3)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W2)과 포트 블록(41) 상의 불필요 수지(K)가 분리된다(게이트 브레이크).As shown in FIG. 10 , the mold surface of the
이 때, 하부틀(3) 상의 수지 성형품(W2)은, 상부틀(2)에 마련된 이젝터 핀(61)에 의해서 하부틀(3)의 형면을 향해 압압(押壓)되고 있고, 수지 성형품(W2)의 하면은, 하부틀(3)의 형면에 밀착한 상태이다(도 9 참조). 이 이젝터 핀(61)은,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할 때에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에 압압하는 압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압압 부재에 의해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에 압압하고 있으므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 사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기 쉽고, 게이트 브레이크하기 쉬워진다.At this time, the resin molded article W2 on the
여기서, 압압 부재인 이젝터 핀(61)은, 적어도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가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을 향해 압압한다. 바꾸어 말하면,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이젝터 핀(61)이 수지 성형품(W2)을 압압하고 있는 동안에, 상술한 포트 블록(41)의 상승 및 플런저(421)의 상승에 의해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의 분리가 완료된다.Here, the
상기의 게이트 브레이크중에 있어서, 불필요 수지(K)는,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측으로 밀리는 포트 블록(41)의 상면과 상부틀(2)의 하면 사이에 끼인(협지된) 상태이다(도 9 및 도 10 참조). 다시 말해, 포트 블록(41)은, 틀개방 동작의 개시부터 소정 기간에 있어서,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부틀(2)과의 사이에서 불필요 수지(K)를 끼운(협지한) 상태로 된다. 또한, 소정 기간이란, 적어도 게이트 브레이크가 완료될 때까지를 포함하는 기간이고, 탄성 부재(43)가 복원한 초기 상태(상부틀(2)에 밀려서 압축되기 전의 상태)로 되도록 하부틀(3)이 하강할 때까지의 기간이다.In the above gate break, the unnecessary resin K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소정 기간 경과 후, 다시 말해, 틀체결 기구(5)가 더욱더 하부틀(3)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 블록(41)은, 불필요 수지(K)를 보존유지하면서 불필요 수지(K)를 상부틀(2)로부터 박리시킨다. 여기서, 포트 블록(41)에 칼부(41b) 및 게이트부(41c)가 형성되어 있고, 포트 블록(41)과 불필요 수지(K)와의 접촉 면적이, 상부틀(2)과 불필요 수지(K)와의 접촉 면적보다도 큰 것으로 인해, 불필요 수지(K)는 포트 블록(41)으로부터 박리하는 일 없이 상부틀(2)로부터 박리한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 수지(K)에 접촉해서 그 불필요 수지(K)를 상부틀(2)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이젝터 핀을 불필요하게 할 수가 있다.The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in other words, as the
또,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포트 블록(41)의 돌출부(411)가, 하부틀(3)의 형면과의 사이에서 수지 성형품(W2)을 끼운 상태로부터, 수지 성형품(W2)과는 비접촉 상태로 된다.In addition, as the
또한, 상기의 게이트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트랜스퍼 기구(42)는, 포트 블록(41)의 하측의 탄성 부재(43)가 복원한 틀체결 전의 초기 상태로 될 때까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킨다(도 11 참조). 이것에 의해, 다음의 수지 성형에 있어서, 돌출부(411)의 하측에 성형 대상물(W1)을 재치할 때에 돌출부(411)가 방해로 되지 않는다.In addition, apart from the gate brake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은 틀개방 동작을 행하고,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한 후에, 언로더(15)에 의해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반출한다.After performing the above frame opening operation|movement and isolate|separating the resin molded product W2 and the unnecessary resin K, the resin molded product W2 and the unnecessary resin K are carried out by the
언로더(1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품용 흡착부(15a)와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를 가지고 있다. 성형품용 흡착부(15a) 및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는 모두(둘 다) 수지제의 흡착 패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특히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는, 예를 들면 벨로우즈(bellows)형의 것이고, 성형품용 흡착부(15a)보다도 신축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성형품용 흡착부(15a) 및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는, 베이스 부재(151)에 마련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흡인원(吸引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성형품용 흡착부(15a)는, 베이스 부재(151)에 대해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언로더(15)에는, 성형품용 흡착부(15a)에 의해 흡착된 수지 성형품(W2)을 보존유지하기 위한 보존유지 발톱(爪)(152)이 마련되어 있다.The
상술한 틀개방 동작 종료 후에, 언로더(15)를 상부틀(2)과 하부틀(3) 사이에 진입시킨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품용 흡착부(15a)를 수지 성형품(W2)의 상면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를 불필요 수지(K)의 상면에 접촉시킨다.After the above-described frame ope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이 상태에서, 트랜스퍼 기구(42)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421)를 상승시켜서 불필요 수지(K)를 포트 블록(41)으로부터 들어 올린다. 여기서, 불필요 수지(K)가 포트(41a) 내에 남은 잔존부(殘部)(K1)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잔존부(K1)가 불필요 수지(K)의 회수의 방해로 되지 않을 정도로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 수지(K)는 포트 블록(41)으로부터 틀분리됨과 동시에,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에 밀착한다. 이 때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는 탄성 변형해서 줄어든 상태이다.In this state, the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가 줄어든 상태로 한 후에,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의 흡착을 개시해서, 불필요 수지용 흡착부(15b)에 불필요 수지(K)를 흡착시킨다. 또, 성형품용 흡착부(15a)의 흡착을 개시해서, 성형품용 흡착부(15a)에 수지 성형품(W2)을 흡착시킨다.After the unnecessary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품(W2)을 흡착한 성형품용 흡착부(15a)를 포트 블록(4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수지 성형품(W2)을 돌출부(411) 밖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언로더(15)를 상승시킨 후에, 상부틀(2) 및 하부틀(3)로부터 퇴출(退出)한다. 이것에 의해, 언로더(15)에 의해서 수지 성형품(W2) 및 불필요 수지(K)의 반출이 행해진다.And, as shown in FIG. 14, the adsorption|
여기서, 언로더(15)에는, 상부틀(2) 및 하부틀(3)을 클리닝하기 위한 청소(淸掃)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것이 있다. 또한, 청소 기구로서는, 회전 브러시 및 먼지를 흡인해서 배출하는 흡인부를 가지는 것이 생각된다.Here, the
이 경우에는, 수지 성형품(W2) 및 불필요 수지(K)를 흡착한 언로더(15)는, 상부틀(2) 및 하부틀(3) 사이에 머무르며, 클리닝 동작을 행한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우선 트랜스퍼 기구(42)는, 포트(41a) 내에 부착한 수지를 긁어내는 동작을 행한다. 다시 말해, 트랜스퍼 기구(42)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421)를 소정의 긁어냄(搔出)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여기서, 소정의 긁어냄 위치는, 예를 들면, 플런저(421)의 상면이 포트(41a)의 개구 위치보다도 상측으로 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트랜스퍼 기구(42)는, 소정의 긁어냄 위치로부터 수지 재료(J)를 수용하기 위한 로드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그 후, 트랜스퍼 기구(42)는, 다시, 플런저(421)를 소정의 긁어냄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트 내에 부착한 수지를 포트(41a) 밖으로 긁어낸다.Here, first, the
그 후, 언로더(15)에 마련한 청소 기구에 의해, 상부틀(2), 하부틀(3), 포트 블록(41) 및 플런저(421)를 클리닝한다. 클리닝 동작 종료 후에, 언로더(15)는, 상부틀(2) 및 하부틀(3)로부터 퇴출해서, 수지 성형품(W2) 및 불필요 수지(K)의 반출이 행해진다.Then, the
<본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this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100)에 의하면, 틀체결 기구(5)에 의해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키므로, 포트 블록(41) 상의 불필요 수지(K)는 플런저(421)에 의해 상부틀(2)을 향해 밀리게 되어, 포트 블록(41)을 진퇴시키는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확실하게 분리하게 된다. 또,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탄성 부재(43)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성형틀(2, 3)의 대형화나 불필요 수지(K)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According to the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탄성 부재(43)의 복원력인 탄성력을 받아서 포트 블록(41)이 상승하는 것과 동시에 트랜스퍼 기구(42)가 플런저(421)를 상승시켜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하므로, 틀체결시에 압축되어 있는 탄성 부재(4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키기 전에, 플런저(421)를 상부틀(2)과는 반대측으로 하강시켜서, 플런저(421)의 상면으로부터 불필요 수지(K)의 하면을 박리하고 있으므로,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켜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한 후에, 분리된 불필요 수지(K)를 회수하기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efore raising the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틀개방 동작의 개시부터 게이트 브레이크가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 포트 블록(41)과 상부틀(2) 사이에서 불필요 수지(K)를 끼우고(협지하고) 있으므로, 불필요 수지(K)가 수지 성형품(W2)으로부터 분리한 반동 등에 의해, 불필요 수지(K)가 포트 블록(41)으로부터 갑자기 빠져(이탈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start of the frame opening opera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gate break, the unnecessary resin K is sandwiched between the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가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 상부틀(2)에 마련된 이젝터 핀(61) 등의 압압 부재에 의해서,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을 향해 압압하고 있으므로, 불필요 수지(K)의 분리 시에, 수지 성형품(W2)이 하부틀(3)로부터 들뜨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n molded product W2 is used by a pressing member such as the
또한 이에 더하여, 트랜스퍼 기구(42)는, 탄성 부재(43)가 복원한 초기 상태로 될 때까지, 플런저(421)를 상부틀(2)을 향해 상승시키므로, 포트 내면에 부착한 수지에 의해서 플런저(421)와 포트(41a)와의 슬라이딩 저항이 커졌다고 해도, 포트 블록(41)을 틀개방시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로 확실하게 되돌려보낼 수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그밖의 변형 실시형태><Other modified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하기 전에, 플런저(421)를 하강시켜서 플런저(421)의 상면과 불필요 수지(K)의 하면을 박리하고 있지만,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를 분리한 후에, 플런저(421)를 하강시켜서 플런저(421)의 상면과 불필요 수지(K)의 하면을 박리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before separating the resin molded product W2 and the unnecessary resin K, the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성형품(W2)과 불필요 수지(K)가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 상부틀(2)에 마련된 이젝터 핀(61)에 의해,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을 향해 압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젝터 핀(61)과는 별도로, 수지 성형품(W2)을 하부틀(3)의 형면에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sin molded product W2 is moved to the lower mold by the ejector pins 61 provided on th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포트 블록(41)에 칼부(41b) 및 게이트부(41c)를 형성하고 있지만, 상부틀(2)의 오목부(2b)에 칼부 및 게이트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상부틀(2) 및 하부틀(3)의 틀개방시에 불필요 수지(K)가 포트 블록(41)으로부터 틀분리해서 상부틀(2)의 오목부(2b)에 머무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부틀(2)에 불필요 수지(K)를 틀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터 핀을 마련해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본 발명의 수지 성형 장치는, 통상의 트랜스퍼 성형에 한정되지 않고,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한 구성이면 좋다.The resin mold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normal transfer molding, What is necessary is just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transfer mechanism.
그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갖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ha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nd various deformation|transformation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100…수지 성형 장치
W1 …성형 대상물
J …수지 재료
W2 …수지 성형품
K …불필요 수지
2 …제1 틀(상부틀)
2a …캐비티
3 …제2 틀(하부틀)
4 …수지 주입부
41 …포트 블록
41a…포트
411…돌출부
42 …트랜스퍼 기구
421…플런저
43 …탄성 부재
5 …틀체결 기구
61 …이젝터 핀(압압 부재)100… resin molding equipment
W1 … molded object
J … resin material
W2 … resin molded product
K … unnecessary resin
2 … 1st frame (upper frame)
2a … cavity
3 … 2nd frame (lower frame)
4 … resin injection part
41 … port block
41a… port
411… projection part
42 … transfer mechanism
421… plunger
43 … elastic member
5 … frame fastener
61 … Ejector pin (pressing member)
Claims (9)
상기 제1 틀에 대향하여,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가 마련된 제2 틀과,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체결(型締)하는 틀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주입부는,
상기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를 거쳐 상기 제2 틀에 대해서 진퇴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틀의 형면(型面) 상으로 돌출한 돌출부(張出部)를 가지는 포트 블록과,
상기 포트 내에 마련된 플런저를 가지고,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이 틀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로부터 상기 캐비티에 상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트랜스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型開)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不要) 수지를 분리하는, 수지 성형 장치.A first frame in which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is formed;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and provided with a resin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a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and a frame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resin injection unit,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is formed, the port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ld via an elastic member, the port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onto a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block and
and a transfer mechanism having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and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from the port into the cavity by moving the plung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molded;
During the frame opening operation of the frame clamping mechanism to op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frame, so that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 resin molding apparatus which separates the resin molded article on the top and the unnecessary resin on the pot block.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을 받아서 상기 포트 블록이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수지 성형 장치.The method of claim 1,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the transfer mechanism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move the port block toward the first mold,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so that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A resin molding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nnecessary resin.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플런저로부터 상기 불필요 수지를 박리하는, 수지 성형 장치.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nd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mold before moving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o peel the unnecessary resin from the plunger.
상기 포트 블록은, 상기 틀개방 동작의 개시부터 소정 기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 틀과의 사이에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끼운 상태이고, 상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보존유지(保持)하면서 상기 불필요 수지를 상기 제1 틀로부터 박리시키는, 수지 성형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ort block is in a state in which the unnecessary resin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mol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mold opening operation, and after the lapse of the predetermined period, the unnecessary resin A resin molding apparatus for peeling the unnecessary resin from the first mold while preserving the resin.
상기 제1 틀은, 상기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지 성형품과 상기 불필요 수지가 분리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수지 성형품을 상기 제2 틀의 형면을 향해 압압(押壓)하는 압압 부재를 가지는, 수지 성형 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irst mold includes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resin molded product toward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t least until the resin molded product and the unnecessary resin are separated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The branch is a resin molding apparatus.
상기 트랜스퍼 기구는, 상기 탄성 부재가 복원한 초기 상태로 될 때까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는, 수지 성형 장치.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until the elastic member returns to the restored initial state.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상기 포트 블록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틀의 형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지 성형품을 끼운 상태로부터, 상기 수지 성형품과는 비접촉 상태로 되는, 수지 성형 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s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ort block sandwiches the resin molded product betwee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resin molded product A resin molding apparatus which becomes a non-contact state.
상기 틀체결 기구가 상기 제1 틀 및 상기 제2 틀을 틀개방하는 틀개방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기구가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틀을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제2 틀의 형면 상의 수지 성형품과 상기 포트 블록 상의 불필요 수지를 분리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A first mold having a cavity into which a resin material is injected, a second mold facing the first mold and provided with a resin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a resin material into the cavity,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re molded together and a mold fastening mechanism to, wherein the resin injection part has a port for accommodating the resin material,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ld through an elastic member, and protrudes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 transfer mechanism having a port block having a protrusion and a plunger provided in the port, and injecting the resin material from the port into the cavity by moving the plung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ramed.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provided resin molding apparatus,
During the mold opening operation of the mold clamping mechanism to op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he transfer mechanism moves the plunger toward the first mold, so that the resin molded product on the mold surface of the second mol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which isolate|separates unnecessary resin on the said pot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144864 | 2020-08-28 | ||
JP2020144864A JP7341106B2 (en) | 2020-08-28 | 2020-08-28 | Resin molding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0159A true KR20220030159A (en) | 2022-03-10 |
KR102614360B1 KR102614360B1 (en) | 2023-12-20 |
Family
ID=8044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7635A Active KR102614360B1 (en) | 2020-08-28 | 2021-07-26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341106B2 (en) |
KR (1) | KR102614360B1 (en) |
CN (1) | CN114103016B (en) |
TW (1) | TWI79586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60686A1 (en) * | 2022-07-22 | 2025-05-28 | Towa Corporation | Conveying device,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arti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4419A (en) * | 1990-05-08 | 1992-01-20 | Yamada Seisakusho Co Ltd | Transfer mold apparatus |
JP2000311908A (en) | 1999-04-28 | 2000-11-07 | Towa Corp | Resin-sealing apparatus, resin-sealing method and substrate holding apparatus |
JP2004235530A (en) * | 2003-01-31 | 2004-08-19 | Tsukuba Seiko Co Ltd | Sealing and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ed molding body using the same |
KR20140125716A (en) * | 2013-04-19 | 2014-10-29 |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 Resin-sealing apparatus and resin-sealing method |
KR20200018314A (en) * | 2018-08-10 | 2020-02-19 |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 Work transfer device, resin transfer device and resin mol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5506A (en) | 2001-10-04 | 2003-04-18 | Towa Corp | Resin-sealing method and equipment |
JP2004014936A (en) | 2002-06-10 | 2004-01-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eal molding equipment |
JP2019034444A (en) * | 2017-08-10 | 2019-03-07 | Towa株式会社 | Conveying mechanism of resin molded product, resin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 |
JP6981935B2 (en) | 2018-08-23 | 2021-12-17 |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 Mold mold and resin molding device equipped with it |
JP6655148B1 (en) * | 2018-10-16 | 2020-02-26 | Towa株式会社 | Transfer device, resin molding device, transfer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
JP6655150B1 (en) | 2018-10-19 | 2020-02-26 | Towa株式会社 | Transfer device, resin molding device, transfer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
-
2020
- 2020-08-28 JP JP2020144864A patent/JP7341106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7-26 KR KR1020210097635A patent/KR102614360B1/en active Active
- 2021-08-03 CN CN202110884627.8A patent/CN114103016B/en active Active
- 2021-08-09 TW TW110129218A patent/TWI795862B/en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4419A (en) * | 1990-05-08 | 1992-01-20 | Yamada Seisakusho Co Ltd | Transfer mold apparatus |
JP2000311908A (en) | 1999-04-28 | 2000-11-07 | Towa Corp | Resin-sealing apparatus, resin-sealing method and substrate holding apparatus |
JP2004235530A (en) * | 2003-01-31 | 2004-08-19 | Tsukuba Seiko Co Ltd | Sealing and mold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aled molding body using the same |
KR20140125716A (en) * | 2013-04-19 | 2014-10-29 |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 Resin-sealing apparatus and resin-sealing method |
KR20200018314A (en) * | 2018-08-10 | 2020-02-19 | 아피쿠 야마다 가부시키가이샤 | Work transfer device, resin transfer device and resin mol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95862B (en) | 2023-03-11 |
JP7341106B2 (en) | 2023-09-08 |
CN114103016A (en) | 2022-03-01 |
KR102614360B1 (en) | 2023-12-20 |
CN114103016B (en) | 2024-09-24 |
JP2022039710A (en) | 2022-03-10 |
TW202209511A (en) | 2022-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4881B1 (en) | Conveying device, resin molding device, convey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 |
CN109383047B (en) |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 |
KR102571950B1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
KR102513129B1 (en) | Molding die,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
CN109382965A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rrying mechanism of synthetic resin, resin molding apparatus and synthetic resin | |
KR20220030159A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
KR102571952B1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
TWI766729B (en) | Workpiece unloading device, resin molding device | |
KR20250016323A (en) |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s | |
KR102494206B1 (en) | Resin molding apparatus and resin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 |
JPH06132336A (en) | Transfer mold equipment | |
WO2024241633A1 (en) | Conveyor,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resin art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8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8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