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15711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119A
KR20210157119A KR1020200075010A KR20200075010A KR20210157119A KR 20210157119 A KR20210157119 A KR 20210157119A KR 1020200075010 A KR1020200075010 A KR 1020200075010A KR 20200075010 A KR20200075010 A KR 20200075010A KR 20210157119 A KR20210157119 A KR 2021015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door
refrigerator
light emi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환
지용근
최정원
하종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119A/ko
Priority to US17/231,463 priority patent/US11852397B2/en
Priority to PCT/KR2021/005017 priority patent/WO2021256692A1/en
Publication of KR2021015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11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냉장고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 제1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 제2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고, 제1 도어 및 제2 도어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객체를 식별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냉장고는 센서를 통해 사람이 냉장고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이 냉장고 근처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냉장고는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동작은 디스플레이를 온 상태로 변경하거나 음성 알림을 출력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기 정의된 조건에 따라 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으로 열리게 하거나 닫히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으로 문을 열리게 하거나 닫히게 하는 동작에 사람의 추가 동작이 필요할 수 있으며, 완전 비접촉 명령을 통하여 자동 개방 동작 또는 자동 폐쇄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을 식별함에 있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데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복수의 도어 중 어느 도어를 개방할 건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도어 중 사용자가 의도한 도어를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근접 센서를 교번적으로 동작하게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 상기 제1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 상기 제2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는 상기 제4 도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는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도어에 배치된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상기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상기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3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4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온 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를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의 저면(또는 캡도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4 근접 센서는 상기 제4 도어의 저면(또는 캡도어)에 배치될수 있으며, 상기 제3 근접 센서의 센싱 방향과 상기 제4 근접 센서의 센싱 ??향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가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를 오프 시키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가 오프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제3 근접 센서 내지 제6 근접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 상기 제1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는 상기 제4 도어 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도어에 배치된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상기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상기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3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4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온 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10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은 근접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특성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냉장고의 센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냉장고(100)의 근접 센서의 배치에 따른 위험 영역 감지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상이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본체(110), 근접 센서(120), 도어 개방 장치(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냉동사이클에 따라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장치와 증발기를 거쳐 생성된 냉기로 피냉각체를 냉각시켜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을 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다.
본체(110)는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20)는 접촉 없이도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냉장고(100) 근처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20)는 복수의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20)는 예를 들어, 광학식 근접센서, 용량식 근접센서, 유도식 근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근접 센서(120)는 IR 근접 센서(120)일 수 있다. 냉장고(100)는 근접 센서(120)뿐만 아니라 전면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서도 외부 객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2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30)는 냉장고(100)의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open)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개방 장치(130)는 도어 개폐 모듈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도어 개폐 모듈은 도어 개방 장치(130) 및 도어 폐쇄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개폐 모듈은 도어 개방 장치(13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개방(open)하거나 도어 폐쇄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폐쇄(close)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포함하는 본체(110),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130), 제1 도어(1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121), 제2 도어(11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100)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고,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교번적으로 제어한다는 것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근접 센서(121)가 동작하면 제2 근접 센서(122)가 동작하지 않으며, 제1 근접 센서(121)가 동작하지 않으면 제2 근접 센서(122)가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번적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도12, 도17에서 후술한다.
또한,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작함으로서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근접 센서(121)의 센싱 방향 또는 제2 근접 센서(122)의 센싱 방향에 외부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외부 객체가 있다고 식별한 경우 외부 객체가 어느 정도의 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와 제2 근접 센서(122)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므로, 동시에 외부 객체의 접근을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교번적 동작의 주기를 짧은 시간으로 좁히는 경우 외부 객체를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1 근접 센서(121) 또는 제2 근접 센서(122) 중 어느 센서에 더 가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객체가 제1 근접 센서(121)에 가까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1 도어(111)에 접근하였다고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객체가 제2 근접 센서(122)에 가까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2 도어(112)에 접근하였다고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9 내지 도 26에서 후술한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모두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제1 도어(111)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113) 및 제2 도어(112)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114)를 더 포함하며,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되고,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112)는 제1 도어(111)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3 도어(113)는 제1 도어(111)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4 도어(114)는 제1 도어(111)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도어(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도어(1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도어가 아닌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는 본체(110) 상에서 제1 도어(111) 및 제3 도어(11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제2 근접 센서(122)는 본체(110) 상에서 제2 도어(112) 및 제4 도어(11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도어(111, 112, 113, 114), 간 근접 센서(121, 122)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에 배치된 제1 발광부(151) 및 제2 도어(112)에 배치된 제2 발광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닛일 수 있다. 각 발광부(151, 152)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51)는 제1 도어(111)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발광부(152)는 제2 도어(112)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이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근 거리 정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이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 거리가 60cm 이고 제2 임계 거리가 30cm라고 가정한다.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50cm이면 제어부(140)는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20cm이면 제어부(140)는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2 발광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를 모두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가 모두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한 이후에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고, 식별된 도어에 부착된 발광부만을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가 모두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고, 그 이후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외부 객체와 더 인접한 하나의 발광부만이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구현 예에 따라,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고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모두 개방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 모두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 중 외부 객체와 더 가까이 있다고 식별된 발광부만을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식별된 발광부가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한 이후에 식별된 발광부가 포함된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근접 센서만으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의하여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제어부(140)는 식별된 발광부를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 중 외부 객체와 더 가까운 발광부만이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고,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는 발광부와 인접한 근접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해당 근접 센서를 통해서만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접근 거리 정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이면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한 발광부가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발광 모드는 발광 소자가 일정한 조도로 빛을 조사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발광 모드는 발광 소자가 점멸하는 형태로 빛을 조사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발광 모드는 제1 색의 빛을 조사하는 모드일 수 있고, 제2 모드는 제1 색과 다른 제2 색의 빛을 조사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발광 모드와 제2 발광 모드는 발광 시기, 발광 주파수, 발광 파장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고,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시간과 제2 임계 시간을 계산하는 기준은 최초로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감지되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로 외부 객체가 냉장고(100)로부터 30cm 이내에 접근하면, 제어부(140)는 접근 시작 시점부터 제1 임계 시간 또는 제2 임계 시간에 외부 객체가 냉장고(100)로부터 30cm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외부 객체가 감지되고, 그 이후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외부 객체가 감지되고, 그 이후로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외부 객체가 감지되지 않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9 내지 도 23에서 후술한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172) 또는 스피커(17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제어부(140)는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 근처에서 떨어지라는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172)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 근처에서 떨어져야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음을 알리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스피커(173)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 근처에서 떨어져야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음을 알리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도어(114)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내지 도 12에서 후술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도어(111)가 개방되는 동안 제3 근접 센서(123)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1 도어(111)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고, 제2 도어(112)가 개방되는 동안 제4 근접 센서(124)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2 도어(112)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1 도어(111)가 개방되는 동안이라고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제1 도어(111)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가 아닌 제1 도어(111)가 개방되도록 준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어부(140)가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를 온 시키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오프시키고,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를 오프시키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오프를 온 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내지 제4 근접 센서(124)를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12에서 후술한다.
한편, 제3 근접 센서(123)는 제3 도어(113)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근접 센서(124)는 제4 도어(114)의 저면에 배치될수 있으며, 제3 근접 센서(123)의 센싱 방향과 제4 근접 센서(124)의 센싱 ??향이 상이할 수 있다.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의 배치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의 센싱 방향이 상이한 이유는 수광부와 발광부의 위치 차이 때문일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수광부가 항상 일정 방향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의 센싱 방향이 동일하다면, 냉장고(100)의 외부 객체 감지 영역이 일정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의 센싱 방향이 상이하게 되도록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7에서 후술한다.
한편, 냉장고(100)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 제4 도어(114)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근접 센서(12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온 되어 있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근접 센서(126)를 오프 시키고,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오프 되어 있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근접 센서(126)를 온 시키고,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근접 센서(126)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제3 도어(1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제4 도어(1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7에서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복수의 도어 중 어느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근접 센서들 상호간에 간섭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근접 센서들 상호간에 간섭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도어를 식별하는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의 감지 거리에 따라 발광 모드가 상이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자동 개방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100)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본체(110), 근접 센서(120), 도어 개방 장치(130), 제어부(140), 제1 발광부(151), 제2 발광부(152), 제1 적외선 센서(161) 제2 적외선 센서(162), 메모리(171), 디스플레이(172), 스피커(173), 입력부(174), 구동부(175), 전원 공급부(176), 도어 센서(177), 통신부(178) 및 메모리(17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1 근접 센서(121), 제2 근접 센서(122), 도어 개방 장치(130) 및 제어부(140)의 동작 중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체(110)는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센서(12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2 근접 센서(122), 제3 근접 센서(123), 제4 근접 센서(124), 제5 근접 센서(125) 및 제6 근접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적외선 센서(161) 및 제2 적외선 센서(162)는 적외선을 출력하고, 객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여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71)는 제어부(14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제어부(14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171)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냉장고(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냉장고(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냉장고(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냉장고(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냉장고(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2)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72)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7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입력부(17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74)는 예컨대, 터치 센서, (디지털) 펜 센서, 압력 센서, 키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5)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압축기(175-1), 팬(175-2), 필터(175-3) 또는 히터(17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5)는 조명(미도시), 또는, 냄새 탈취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75-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냉동 사이클의 작동 유체인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75-1)에 의해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하는 응축기(미도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미도시) 및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액체 상태인 냉매의 기화를 통해 저장실에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는 펠티어 소자(미도시), 자기 열 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하는 자기 냉각 장치(미도시)를 통해 저장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팬(175-2)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냉각 사이클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는 외부 공기를 통해 열 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필터(175-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저장실 내 부유하거나 또는, 부착된 세균을 살균(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필터(175-3)는 이온 살균 청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75-4)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히터(175-4)는 제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6)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냉장고의 구성 요소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6)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전원 코드(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냉장고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어 센서(177)는 냉장고(100)에 부착된(포함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 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센서(177)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도어 센서(177)는 생성된 센싱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센서(177)는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센서(177)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센서(177)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구성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8)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78)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근접 센서(121)는 발광부(121-1) 및 수광부(121-2)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는 외부 객체(사물 또는 사람 등)를 식별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근접 센서(121)는 발광부(121-1)를 통해 기 정의된 파장의 빛을 출력하고 수광부(121-2)를 통해 출력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근접 센서(121)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근접 센서(121)는 기 정의된 파장의 전자기파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근접 센서(121)에 대한 내용은 제2 근접 센서(122)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특성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근접 센서(121 내지 126)는 외부 객체와의 거리에 따른 전압을 상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프(405)에 기초하여, 근접 센서는 거리가 기 정의된 거리(5cm~10cm) 에서 최고 출력 전압을 출력하며, 그 이상의 거리(5cm~10cm 보다 먼 거리)에서는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외부 객체의 색상에 따라 반사율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은 계열의 색(예를 들어, 흰색)은 반사율이 약 90%일 수 있으며, 어두운 계열의 색(예를 들어, 회색)은 반사율이 약 18%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 정의된 거리보다 먼 거리에서는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이 내려가지만, 기 정의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 내에서는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이 동일한 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 2V에 대응되는 거리는 약 4cm 와 약 18cm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객체에 대한 정확한 거리를 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객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3 도어(113), 제4 도어(114),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하단 도어(113 및 11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되고,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냉장고 본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의 중앙 부분은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와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5)를 구분할 수 있는 중앙 베젤을 의미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의 상단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근접 센서(121)는 제1 도어(111)의 저면부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상단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근접 센서(122)는 제2 도어(112)의 저면부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705, 710)는 각 근접 센서(121, 122)의 시간에 따른 인가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는 off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근접 센서가 오프 되어 있는 상태는 근접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이 vi 값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는 근접 센서에 인가되는 전압에 0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v1은 제1 근접 센서(121)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고, v2는 제2 근접 센서(122)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가 0부터 t1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가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가 t2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가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3 도어(113), 제4 도어(114), 제1 근접 센서(121), 제2 근접 센서(122),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3 도어(113), 제4 도어(114), 제1 근접 센서(121), 제2 근접 센서(122)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이미 기재 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의 저면부에 배치되어 냉장고(100)의 정면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바라보는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방향이 상이하다는 것은 도어의 저면과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센서의 배치 각도가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제3 근접 센서(12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근접 센서(123)는 고정부(123-1) 및 덮개(123-2)에 의하여 제3 근접 센서(123)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23-1)는 제3 도어(113)의 저면과 접촉되고 제3 근접 센서(123)가 부착되도록 제3 근접 센서(123)의 형태에 대응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123-2)는 제3 근접 센서(123)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부(123-1) 및 제3 근접 센서(123)에 대응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동일한 센싱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동일한 센싱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근접 센서(121)의 센싱 영역과 제2 근접 센서(122)의 센싱 영역이 일부 중복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영역이란 근접 센서가 외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영역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복수의 영역(위험 영역, 감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정면을 향하되 센싱 방향이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근접 센서(121)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우측으로 제1 임계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근접 센서(122)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좌측으로 제2 임계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각도 및 제2 임계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정면을 향해 회전 없이 배치되고 있는 도 10의 실시 예와 달리, 도 11의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센싱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실시 예와 달리 제1 근접 센서(121)의 센싱 영역과 제2 근접 센서(122)의 센싱 영역이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센싱 영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배치되는 회전 각도는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의 회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121)및 제2 근접 센서(122)는 냉장고(100)의 정면의 중앙 영역을 감지할 수 있고,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는 냉장고(100)의 정면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그래프(1205, 1210, 1215, 1220)는 각 근접 센서(121, 122, 123, 124)의 시간에 따른 인가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v3는 제3 근접 센서(123)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고, v4는 제4 근접 센서(124)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외의 설명은 도 7과 동일하므로 중복 기재를 생략한다.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가 0부터 t1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가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가 t2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가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제2 도어(112), 제3 도어(113), 제4 도어(114), 제1 근접 센서(121), 제2 근접 센서(122), 제3 근접 센서(123), 제4 근접 센서(124), 제5 근접 센서(125) 및 제6 근접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제4 도어(114)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제4 도어(114)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저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제 4 도어(114)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의 센싱 방향 중 적어도 2개의 센서의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방향은 근접 센서가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근접 센서(123)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3 임계 각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4 임계 각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5 근접 센서(125)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5 임계 각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6 근접 센서(126)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6 임계 각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임계 각도 내지 제6 임계 각도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임계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의 임계 각도를 상이하게 배치시킨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동일한 임계 각도를 이용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보다 더 넓은 감지 영역을 센싱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의 정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근접 센서(123)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3 임계 각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5 근접 센서(125)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5 임계 각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임계 각도는 제5 임계 각도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냉장고(100)의 정면 영역 중 중앙 영역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통해 감지될 수 있으므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는 냉장고(100)의 정면 영역 중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우측 영역을 센싱할 수 있도록 센싱 방향을 회전 시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임계 각도보다 제5 임계 각도가 더 커야 하는 이유는 제3 근접 센서(123)가 냉장고(100)의 중앙 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냉장고(100)의 정면 영역 중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우측 영역을 센싱하려면 제5 근접 센서(125)보다 더 많은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제4 도어(114)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의 센싱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4 임계 각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6 근접 센서(126)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제6 임계 각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4 임계 각도는 제6 임계 각도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3 도어(113) 및 제4 도어(114)의 저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는 센싱 방향이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센싱 방향을 상이하게 제어하면 냉장고(100)는 위험 영역 및 감지 영역에 대하여 정교하게 외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근접 센서(123)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영역과 제5 근접 센서(125)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영역이 일부 중복되도록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를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3 근접 센서(123)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영역과 제5 근접 센서(125)가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영역이 중복되지 않도록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보다 센싱 영역이 줄어들지만, 정교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외부 객체를 탐지하는 영역이 일부 중복되므로 제3 근접 센서(123)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와 제5 근접 센서(125)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결합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교번적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그래프(1705, 1710, 1715, 1720, 1725, 1730)는 각 근접 센서(121, 122, 123, 124, 125, 126)의 시간에 따른 인가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v4는 제4 근접 센서(124)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고, v6은 제6 근접 센서(126)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외의 설명은 도 7 및 도 12와 동일하므로 중복 기재를 생략한다.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0부터 t1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t2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온 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오프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 오프되어 있는 경우 제2 근접 센서(122),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는 온 되도록 근접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의 저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1 적외선 센서(161)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도어(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부(152) 또는 제2 적외선 센서(162)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도어(11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부(151) 또는 제1 적외선 센서(161)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도어(111)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51) 또는 제1 적외선 센서(161)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도어(111)의 저면부 중 우측 가장 자리 영역(냉장고(100) 의 정면을 향해 좌측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부(152) 또는 제2 적외선 센서(16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도어(112)의 저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부(152) 또는 제2 적외선 센서(16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도어(112)의 저면부 중 좌측 가장 자리 영역(냉장고(100) 의 정면을 향해 우측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냉장고의 센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식별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영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냉장고(100)는 냉장고(100)로부터 제1 임계 거리까지의 거리(d1) 와 냉장고(100)로부터 제2 임계 거리까지의 거리(d2)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감지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00)는 냉장고(100)로부터 제2 임계 거리까지의 거리(d2)에 해당하는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영역은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영역일 수 있다. 제조물 책임 영역이란, 제조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제조물의 필수 동작 과정에서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냉장고(100)는 냉장고(100)로부터 제1 임계 거리까지의 거리(d1)를 감지 영역으로 판단하고, 냉장고(100)로부터 제2 임계 거리까지의 거리(d2)에 해당하는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의 차이점은 감지 영역을 어디까지로 설정한 것인지 여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위험 영역은 감지 영역에 해당하지 않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위험 영역은 감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사람이 바로 위험 영역으로 접근하였다고 가정하면 일 실시 예에서는 외부 객체가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서는 외부 객체가 접근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0)는 감지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영역은 상단 감지 영역과 하단 감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단 감지 영역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에 의해 식별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단 감지 영역은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에 식별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영역은 냉장고(100)로부터 임계 거리(d1)까지로 가정한다.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내지 제6 근접 센서(126)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지 영역에 외부 객체(10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 존재하면, 냉장고(100)는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가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 모드는 계속하여 동일한 조도로 빛을 발광하는 모드(또는 발광부를 턴온하는 모드)일 수 있다.
발광부를 통해 빛이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발광 모드로 빛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자동 도어 개방이 수행되기 전 단계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하여 제1 발광부(151) 및 제2 발광부(152)를 제1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 이후,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내지 제6 근접 센서(126)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영역 안에 외부 객체(10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영역은 상단 위험 영역과 하단 위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단 위험 영역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에 의하여 감지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단 위험 영역은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에 의하여 감지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영역은 냉장고(100)로부터 임계 거리(d2)까지로 가정한다.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 존재하면, 냉장고(100)는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제2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 모드는 점멸 형태로 빛을 발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발광 모드와 다른 제2 발광 모드로 빛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자동 도어 개방이 수행되기 전 단계라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서 식별된 이후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서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다시 위험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 존재 하지 않으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도어 개방 동작의 후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서 식별되고,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서 식별된 이후 위험 영역에서 식별되고,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서 식별된 이후 위험 영역에서 식별되지 않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서 식별된 이후 위험 영역에서 식별되지 않는다는 것은 외부 객체(1000)가 냉장고(100)에 가까이 접근하고 다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가 제2 발광 모드에서 다시 제3 발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발광 모드는 제1 발광 모드와 제2 발광 모드와 다른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발광 모드와 같이 빛을 일정한 조도로 출력하면서 제1 발광 모드와 다른 색상의 빛을 일정한 조도로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발광 모드와 같이 빛을 점멸하도록 출력하면서 빛을 제2 발광 모드와 다른 점멸 속도로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발광 모드 및 제2 발광 모드와 다른 제3 발광 모드로 빛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계로,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냉장고(100)로부터 d1까지의 영역)에서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단계로,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감지 영역에서 식별되면,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영역은 냉장고(100)로부터 d3까지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뻗는 행위를 하면 근접 센서가 이를 인식하여 트리거 영역에 외부 객체(1000)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3단계로,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면,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지 않는지 판단할 수 있다. 계속하여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다가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지 않는 경우,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 또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는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는지 판단함에 있어 제1 근접 센서(121) 또는 제2 근접 센서(122)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는 기 설정된 임계 높이 이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냉장고(100)는 자동 도어 개방을 위한 최종 이벤트에 대하여 제3 근접 센서(123)내지 제6 근접 센서(126)를 이용하지 않고 제1 근접 센서(121) 또는 제2 근접 센서(122)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만을 이용하여 외부 객체(1000)가 트리거 영역에서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상황에서, 외부 객체(1000)가 위험 영역에서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상황에서 위험 영역에 외부 객체(1000)가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도어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 개방 동작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냉장고(100)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 개방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도어(111) 도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부(152) 및 제2 적외선 센서(162)가 제2 도어(112)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제2 적외선 센서(162)를 통해 외부 객체(1000)가 감지되면, 제2 도어(112)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발광부(151) 및 제1 적외선 센서(161)가 제1 도어(111)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제1 적외선 센서(161)를 통해 외부 객체(1000)가 감지되면, 제1 도어(111)가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는 냉장고(10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도어(111) 도는 제2 도어(11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 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2 도어(112)가 개방되는 도중에 제2 적외선 센서(162)를 통해 외부 객체(1000)가 감지되면, 냉장고(100)는 제2 도어(112)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가 외부 객체(1000)를 감지하는 상황은 외부 객체(1000)가 손을 뻗어 도어의 핸들(손잡이)를 잡는 상황 또는 손을 핸들(손잡이) 근처로 집어 넣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근접 센서는 외부 객체의 접근 여부에 따라 센싱되는 값이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센싱되는 기준을 전압 Vo라고 가정한다. 또한, 외부 객체가 센싱되는 경우 Va 값이 출력되고 외부 객체가 센싱되지 않는 경우 0값이 출력되는 것을 가정한다.
일 실시 예(2605)에 따라, 외부 객체가 근접 센서에 to 시점에 감지되고 t1 시점 이전에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2610)에 따라, 외부 객체가 근접 센서에 to 시점에 감지되고 t1 시점 이후 t2 시점 이전에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2615)에 따라, 외부 객체가 근접 센서에 to 시점에 감지되고 t2 시점 이후에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2620)에 따라, 외부 객체가 근접 센서에 to 시점에 감지되고 t1 시점 이후 t2 시점 이전에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며 t2 시점 이후에 다시 외부 객체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고, t2 시점 이후에 다시 외부 객체가 감지되면 개방되고 있는 도어의 개방을 정지할 수 있다.
도 27은 냉장고(100)의 근접 센서의 배치에 따른 위험 영역 감지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도어(111)에 제1 근접 센서(121)가 배치되고, 제2 도어(112)에 제2 근접 센서(122)가 배치되는 형태를 가정하고, 배치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제3 근접 센서(123)가 배치되고 제 4 도어(114)의 저면부에 제4 근접 센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근접 센서(123)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30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30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위험 영역 감지율은 65%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3 도어(113)의 저면부에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5 근접 센서(125)가 배치되고 제 4 도어(114)의 저면부에 제4 근접 센서(124) 및 제6 근접 센서(126)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근접 센서(123)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32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근접 센서(124)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29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근접 센서(125)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27도만큼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6 근접 센서(126)는 냉장고(100)의 정면을 향해 33도만큼 좌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위험 영역 감지율은 100%일 수 있다.
종합적으로, 냉장고(100)는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를 이용하여 상단 감지 영역에서 외부 객체(1000)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는 제3 근접 센서(123) 내지 제6 근접 센서(126)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단 감지 영역에서 외부 객체(1000)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가 더 많은 개수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위험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위험 감지율이 더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냉장고(100)와 달리 다른 실시 예의 냉장고(100)는 각 근접 센서의 배치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 배치는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가 동일한 각도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배치되었지만, 근접 센서에 포함된 발광부(121-1)의 위치가 수광부(121-2)의 위치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위험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좌측과 우측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4 근접 센서(124)가 회전되어 있는 각도보다 제6 근접 센서(126)가 회전되어 있는 각도가 더 큰 값을 갖도록 근접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포함하는 본체(110),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130), 제1 도어(1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도어(11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122)를 포함하는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2705).
또한,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2 근접 센서(122)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100)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할 수 있다 (S2710).
또한,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S2715).
여기서, 본체(110)는 제1 도어(111)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113) 및 제2 도어(112)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1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근접 센서(121)는 제3 도어(113) 에 배치되고, 제2 근접 센서(122)는 제4 도어(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1)에 배치된 제1 발광부(151) 및 제2 도어(112)에 배치된 제2 발광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발광부(151) 또는 제2 발광부(152) 중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킬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는 단계 및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 객체가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는 제3 도어(113)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도어(114)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 근접 센서(123) 및 제4 근접 센서(124)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제1 도어(111)가 개방되는 동안 제3 근접 센서(123)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1 도어(111)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2 도어(112)가 개방되는 동안 제4 근접 센서(124)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2 도어(112)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3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를 온 시키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제1 근접 센서(121) 및 제3 근접 센서(123)를 오프시키는 동안 제2 근접 센서(122) 및 제4 근접 센서(124)를 오프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8과 같은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100)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냉장고)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냉장고)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냉장고)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본체 111: 제1 도어
112: 제2 도어 120: 근접 센서
121: 제1 근접 센서 122: 제2 근접 센서
130: 도어 개방 장치 140: 제어부

Claims (20)

  1. 냉장고에 있어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
    상기 제1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
    상기 제2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는 제4 도어에 배치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도어에 배치된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상기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키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상기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냉장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3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4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온 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를 온 시키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근접 센서는 상기 제4 도어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근접 센서의 센싱 방향과 상기 제4 근접 센서의 센싱 "?향?* 상이한, 냉장고.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가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를 오프 시키고,
    상기 제1 근접 센서, 제3 근접 센서 및 제5 근접 센서가 오프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제4 근접 센서 및 제6 근접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제3 근접 센서 내지 제6 근접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의 센싱 방향이 상이한, 냉장고.
  12.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 상기 제1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고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한 외부 객체와 가까운 도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3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아래에 배치된 제4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근접 센서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는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 도어에 배치된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도어에 배치된 제2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외부 객체의 접근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객체가 제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시키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 중 상기 식별된 도어에 배치된 발광부를 점멸시키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제1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한 후, 상기 제2 임계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 임계 시간보다 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객체가 상기 제2 임계 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임계 시간을 초과하여 식별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3 도어에 배치된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도어에 배치된 제4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근접 센서 및 상기 제4 근접 센서가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3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4 근접 센서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영역에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도어의 개방을 정지하도록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온 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3 근접 센서를 오프시키는 동안 상기 제2 근접 센서 및 제4 근접 센서를 오프를 온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200075010A 2020-06-19 2020-06-19 냉장고 Pending KR20210157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010A KR20210157119A (ko) 2020-06-19 2020-06-19 냉장고
US17/231,463 US11852397B2 (en) 2020-06-19 2021-04-15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5017 WO2021256692A1 (en) 2020-06-19 2021-04-21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010A KR20210157119A (ko) 2020-06-19 2020-06-1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19A true KR20210157119A (ko) 2021-12-28

Family

ID=7902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010A Pending KR20210157119A (ko) 2020-06-19 2020-06-1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2397B2 (ko)
KR (1) KR20210157119A (ko)
WO (1) WO20212566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729B1 (ko) * 2023-03-17 2023-11-29 (주)아하 펜트레이가 내장된 전자 칠판
WO2024005217A1 (ko) * 2022-06-27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030B2 (ja) 1998-08-05 2007-06-27 日本信号株式会社 自動改札機
JP2005037320A (ja) 2003-07-18 2005-02-10 Sharp Corp 人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80004822A (ko) 2006-07-06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JP6326620B2 (ja) 2014-02-28 2018-05-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9427097B2 (en) * 2014-05-22 2016-08-30 Hill Phoenix, Inc. Refrigeration control using a door handle proximity sensor
JP6754547B2 (ja) 2014-12-16 2020-09-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1306877B (zh) * 2015-04-27 2022-06-03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076190B1 (ko) 2015-04-27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개방 방법
KR20170054741A (ko)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KR20170082009A (ko) 2016-01-05 2017-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97356B1 (ko)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49674A (ko) 2016-11-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8224B1 (ko) 2018-01-0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KR102149201B1 (ko) 2018-07-13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217A1 (ko) * 2022-06-27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2606729B1 (ko) * 2023-03-17 2023-11-29 (주)아하 펜트레이가 내장된 전자 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2397B2 (en) 2023-12-26
US20210396453A1 (en) 2021-12-23
WO2021256692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869B2 (en) Refrigerator
KR102601206B1 (ko) 와인보관장치
KR20210157119A (ko) 냉장고
KR20150083677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US11397046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main processor to control power to a sub-processor based on a door st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83347A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US11898787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173166A1 (zh) 冰箱
MX2015003024A (es) Sistemas, metodos y aparato para prevenir la condensacion en aparadores con refrigeracion.
JP2017110832A (ja) 冷蔵庫
JP6598481B2 (ja) 冷蔵庫
KR102025326B1 (ko) 냉장고 도어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5674B1 (ko) 쇼케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445353B2 (ja) 冷却庫
KR101517578B1 (ko) 쇼케이스 제어방법
TW201732209A (zh) 門結構
JP2020143829A (ja) 冷蔵庫
KR20160023111A (ko) 냉장고의 도어 경고 장치
KR10168066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741A (ko) 냉장고
JP2013036660A (ja) 冷却庫
KR20170048884A (ko) 쇼케이스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815988B1 (ko) 쇼케이스의 도어 자동제어장치
KR20160099939A (ko) 냉장고의 야간모드 제어 시스템
US20250028329A1 (en) Robot device for identifying movement path based on privacy z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