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63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2632A KR20210152632A KR1020200069172A KR20200069172A KR20210152632A KR 20210152632 A KR20210152632 A KR 20210152632A KR 1020200069172 A KR1020200069172 A KR 1020200069172A KR 20200069172 A KR20200069172 A KR 20200069172A KR 20210152632 A KR20210152632 A KR 202101526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 pattern
- light emitting
- display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3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3
- 102100027094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1
- 101001057941 Homo sapiens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1
- 102100027126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8
- 101001057942 Homo sapiens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38
- 102100027095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7
- 101001057939 Homo sapiens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102100030385 Granzyme 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7
- 101001009603 Homo sapiens Granzyme B Proteins 0.000 description 17
- 201000001130 congenital generalized lipodystrophy type 1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101100451713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HT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2100027100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1001057929 Homo sapiens 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4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9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01000001379 familial temporal lobe epilepsy 3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TVIVIEFSHFOWTE-UHFFFAOYSA-K tri(quinolin-8-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 TVIVIEFSHFOWT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6
- 101150020392 Cgl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1113 congenital generalized lipodystrophy type 3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HNWFFTUWRIGBNM-UHFFFAOYSA-N 2-methyl-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3=C4C=CC=CC4=C(C=4C=C5C=CC=CC5=CC=4)C4=CC=C(C=C43)C)=CC=C21 HNWFFTUWRIG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BAJPWYDYFEBTF-UHFFFAOYSA-N 2-tert-butyl-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3=C4C=CC=CC4=C(C=4C=C5C=CC=CC5=CC=4)C4=CC=C(C=C43)C(C)(C)C)=CC=C21 OBAJPWYDYFEB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AWXGSYPUMWKTBR-UHFFFAOYSA-N 4-carbazol-9-yl-n,n-bis(4-carbazol-9-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C(N(C=2C=CC(=CC=2)N2C3=CC=CC=C3C3=CC=CC=C32)C=2C=CC(=CC=2)N2C3=CC=CC=C3C3=CC=CC=C32)C=C1 AWXGSYPUMWKT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TUJKAYZIMMJEP-UHFFFAOYSA-N 9-[4-(4-carbazol-9-yl-2-methylphenyl)-3-methylphe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C(C=2C(=CC(=CC=2)N2C3=CC=CC=C3C3=CC=CC=C32)C)C(C)=C1 LTUJKAYZIMMJ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VFUDMQLBKNMONU-UHFFFAOYSA-N 9-[4-(4-carbazol-9-ylphenyl)phe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C(C=2C=CC(=CC=2)N2C3=CC=CC=C3C3=CC=CC=C32)C=C1 VFUDMQLBKNMON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EQBRULPNIVQPP-UHFFFAOYSA-N 2-[3,5-bis(1-phenylbenzimidazol-2-yl)phenyl]-1-phe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C=CC=C2N=C1C1=CC(C=2N(C3=CC=CC=C3N=2)C=2C=CC=CC=2)=CC(C=2N(C3=CC=CC=C3N=2)C=2C=CC=CC=2)=C1 GEQBRULPNIVQ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QGHOUODWALEFC-UHFFFAOYSA-N 2-phenyl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N1 VQGHOUODWALE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VFQEOPUXVPSLB-UHFFFAOYSA-N 3-(4-tert-butylphenyl)-4-phenyl-5-(4-phenylphen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N1C=2C=CC=CC=2)=NN=C1C1=CC=C(C=2C=CC=CC=2)C=C1 ZVFQEOPUXVPS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IZUPBYFLORCRA-UHFFFAOYSA-N 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C2=CC3=CC=CC=C3C=C2)=C(C=CC=C2)C2=C1C1=CC=C(C=CC=C2)C2=C1 VIZUPBYFLORC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1000837344 Homo sapiens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232347 Mus musculus Il11r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8692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lass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FVXQDWNSAGPHN-UHFFFAOYSA-K bis[(2-methylquinolin-8-yl)oxy]-(4-phenylphen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C=C([O-])C2=NC(C)=CC=C21.C1=CC=C([O-])C2=NC(C)=CC=C21.C1=CC([O-])=CC=C1C1=CC=CC=C1 UFVXQDWNSAGPHN-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81 coe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06 cristob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1366 familial temporal lobe epilepsy 2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27 poly(N-vinyl carbaz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82 stishov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05 tridy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AOQKGYRILLEVJV-UHFFFAOYSA-N 4-naphthalen-1-yl-3,5-diphen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1C(N1C=2C3=CC=CC=C3C=CC=2)=NN=C1C1=CC=CC=C1 AOQKGYRILLEV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JOBWOGCFQCDNV-UHFFFAOYSA-N 9H-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CC=C3NC2=C1 UJOBWOGCFQCD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7115 AlS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613 Cd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611 CdZn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5540 Ga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5542 GaS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18 Gallium arsen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62 Hg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3 Indium arsen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7709 Zn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38 blue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45 blue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55 blu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HYPYGJEEGLRJD-UHFFFAOYSA-N cadmium(2+);selenium(2-) Chemical compound [Se-2].[Cd+2] UHYPYGJEEGLR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56 cinnaba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SZVJSHCCFOBDDC-UHFFFAOYSA-N ferrosoferric oxide Chemical compound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HNNTQXNPWCJQ-UHFFFAOYSA-N 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CC=C3C2=C1 NIHNNTQXNPWCJ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PYVAWXEWQSOGY-UHFFFAOYSA-N indium antimonide Chemical compound [Sb]#[In] WPYVAWXEWQSO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PQDHPTXJYYUPQ-UHFFFAOYSA-N indium arsenide Chemical compound [In]#[As] RPQDHPTXJYYUP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7 lanthano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02 lantha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FZLIPJUXYLNCLC-UHFFFAOYSA-N lanthanum atom Chemical compound [La] FZLIPJUXYLNC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36 patent blue V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98 polyfluo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SBIBMFFZSBJNJF-UHFFFAOYSA-N selenium;zinc Chemical compound [Se]=[Zn] SBIBMFFZSBJN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ZLGASXMSKOWSE-UHFFFAOYSA-N tantal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a]#N MZLGASXMSKOW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ZVWKZXLXHLZXLS-UHFFFAOYSA-N zirco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Zr]#N ZVWKZXLXHLZX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BNMDCCMCLUHBL-UHFFFAOYSA-N (2,5-dioxopyrrolidin-1-yl) 4-pyren-1-ylbutanoate Chemical compound C=1C=C(C2=C34)C=CC3=CC=CC4=CC=C2C=1CCCC(=O)ON1C(=O)CCC1=O YBNMDCCMCLUH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WZZBBJTIUYDPZ-DVACKJPTSA-N (z)-4-hydroxypent-3-en-2-one;iridium;2-phenylpyridine Chemical compound [Ir].C\C(O)=C\C(C)=O.[C-]1=CC=CC=C1C1=CC=CC=N1.[C-]1=CC=CC=C1C1=CC=CC=N1 IWZZBBJTIUYDPZ-DVACKJPTSA-N 0.000 description 1
- POILWHVDKZOXJZ-ARJAWSKDSA-M (z)-4-oxopent-2-en-2-olate Chemical compound C\C([O-])=C\C(C)=O POILWHVDKZOXJZ-ARJAWSKDSA-M 0.000 description 1
- ZSYMVHGRKPBJCQ-UHFFFAOYSA-N 1,1'-biphenyl;9h-carbazole Chemical group C1=CC=CC=C1C1=CC=CC=C1.C1=CC=C2C3=CC=CC=C3NC2=C1 ZSYMVHGRKPBJ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GQSLSMAEVWNPU-YTEMWHBBSA-N 1,2-bis[(e)-2-phenylet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C1=CC=CC=C1\C=C\C1=CC=CC=C1 NGQSLSMAEVWNPU-YTEMWHBBSA-N 0.000 description 1
- STTGYIUESPWXOW-UHFFFAOYSA-N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2C=CC3=C(C=4C=CC=CC=4)C=C(C)N=C3C2=NC(C)=CC=1C1=CC=CC=C1 STTGYIUESPWX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HDHJYNTEFLIHY-UHFFFAOYSA-N 4,7-diphenyl-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NC2=C1C=CC1=C(C=3C=CC=CC=3)C=CN=C21 DHDHJYNTEFLIH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IJILZFXPFTO-UHFFFAOYSA-N 4-methyl-n-[4-[1-[4-(4-methyl-n-(4-methylphenyl)anilino)phenyl]cyclohexyl]phenyl]-n-(4-meth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C=1)C=1C=CC(C)=CC=1)C1=CC=C(C)C=C1 ZOKIJILZFXPF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IJYEGDOKCKUOL-UHFFFAOYSA-N 9-phe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C=CC=C2C2=CC=CC=C21 VIJYEGDOKCKU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83 Al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AYRUJLWNCNPSJ-UHFFFAOYSA-N Anil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 PAYRUJLWNCNP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ESRRRLHHXXBRW-UHFFFAOYSA-N C1=CC=NC2=C3C(O)=CC=CC3=CC=C21 Chemical compound C1=CC=NC2=C3C(O)=CC=CC3=CC=C21 KESRRRLHHXXB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4 C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518 CoFe2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01 Ga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PXJNWSHGFTCBW-UHFFFAOYSA-N Indium phosphide Chemical compound [In]#P GPXJNWSHGFTCB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64773 In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6161 MgAl2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264 NiFe2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65 Pb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72 Sam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LRPTPMANUNPDV-UHFFFAOYSA-N Silane Chemical compound [SiH4] BLRPTPMANUNP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77 Silicon-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642 Sn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9 Ytter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541 Zn 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IBWJMIKFTYEEK-UHFFFAOYSA-N [Ir].C1(=CC=CC=C1)C1=NC=CC(=C1)C Chemical compound [Ir].C1(=CC=CC=C1)C1=NC=CC(=C1)C SIBWJMIKFTYE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EDXJYDRNCIFBQ-UHFFFAOYSA-N aluminium(3+) Chemical compound [Al+3] REDXJYDRNCIF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ZCJVWCMJYNSQO-UHFFFAOYSA-N butyl pbd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1=NN=C(C=2C=CC(=CC=2)C=2C=CC=CC=2)O1 XZCJVWCMJYNS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KWITHWXAAZEY-UHFFFAOYSA-L calcium difluoride Chemical compound [F-].[F-].[Ca+2] WUKWITHWXAAZ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4 calc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MIGMASIKSOYAM-UHFFFAOYSA-N cerium Chemical compound [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Ce] ZMIGMASIKSOY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0 cer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85 chemical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VMYJDGYRUAWML-UHFFFAOYSA-N cobalt(II) oxide Inorganic materials [Co]=O IVMYJDGYRUAW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BEWDCMIDFGDOO-UHFFFAOYSA-N cobalt(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O-2].[Co+2].[Co+3].[Co+3] UBEWDCMIDFGD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group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0 green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80 group 4 elemen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JNBYAVZURUTKZ-UHFFFAOYSA-N hafnium(IV) oxide Inorganic materials O=[Hf]=O CJNBYAVZURUT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623 hetero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HZWSUVWRRXEJF-UHFFFAOYSA-N indium tin Chemical compound [In].[Sn] RHZWSUVWRRXE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LUBEOXRNEUHS-UHFFFAOYSA-N iridium(3+) Chemical compound [Ir+3] MILUBEOXRNEU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EEXRMUCXBPYOV-UHFFFAOYSA-N iridium;2-phenylpyridine Chemical compound [Ir].C1=CC=CC=C1C1=CC=CC=N1.C1=CC=CC=C1C1=CC=CC=N1.C1=CC=CC=C1C1=CC=CC=N1 UEEXRMUCXBPY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040 m-tol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C([H])C(=C1[H])C([H])([H])[H]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35 magnes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MWRITDGCCNYAT-UHFFFAOYSA-L manganese oxide Inorganic materials [Mn].O[Mn]=O.O[Mn]=O AMWRITDGCCNYAT-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ASIZKWUTCETSD-UHFFFAOYSA-N manganese(II) oxide Inorganic materials [Mn]=O VASIZKWUTCET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EYXPJBPASPPLI-UHFFFAOYSA-N manganese(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Mn]O[Mn]=O GEYXPJBPASPPL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6 meta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3 meth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07 nanocrystallin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FYFXOXNSNQGX-UHFFFAOYSA-N neodymium atom Chemical compound [Nd] QEFYFXOXNSNQ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QNBVCBUOCNRFZ-UHFFFAOYSA-N nickel ferrite Chemical compound [Ni]=O.O=[Fe]O[Fe]=O NQNBVCBUOCNR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NRSAWUEBMWBQH-UHFFFAOYSA-N nickel(II) oxide Inorganic materials [Ni]=O GNRSAWUEBMWB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LKJKCYBOYXKC-UHFFFAOYSA-N nonaoxidotritungsten Chemical compound O=[W]1(=O)O[W](=O)(=O)O[W](=O)(=O)O1 QGLKJKCYBOYX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24 organometal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BMMGVYCKOGBVEV-UHFFFAOYSA-N oxo(oxoceriooxy)cerium Chemical compound [Ce]=O.O=[Ce]=O BMMGVYCKOGBV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80 per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2C=CC=C3C4=CC=CC5=CC=CC(C1=C23)=C45)* 0.000 description 1
- CSHWQDPOILHKBI-UHFFFAOYSA-N peryrene Natural products C1=CC(C2=CC=CC=3C2=C2C=CC=3)=C3C2=CC=CC3=C1 CSHWQDPOILH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IEQIEDJGQAUEQZ-UHFFFAOYSA-N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N1C(N=C2C3=CC=CC=C3C(N=C3C4=CC=CC=C4C(=N4)N3)=N2)=C(C=CC=C2)C2=C1N=C1C2=CC=CC=C2C4=N1 IEQIEDJGQAUE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0 poly(aryl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2 poly(p-xyl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53 poly(phenylenevi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5 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55 polyphenylen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62 red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4 semiconductor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77 sila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4 silver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UZPDOWCWNUUKD-UHFFFAOYSA-M sod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F-].[Na+] PUZPDOWCWNUUK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CGWQDWYSQAFTO-UHFFFAOYSA-N tellanylidenelead Chemical compound [Pb]=[Te] OCGWQDWYSQAF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651 triphenylami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ENZDBCJOHFCAS-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O)CO LENZDBCJOHFC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0 tungst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YHJXGDMRRJCRY-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tin(4+) Chemical compound [O-2].[Zn+2].[Sn+4].[In+3] TYHJXGDMRRJCR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27/327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 H01L27/322—
-
- H01L51/5225—
-
- H01L51/524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싱크 패턴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자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소자, 예시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자발광 소자는 대향하는 두 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발광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제공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하며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자발광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등과 같은 광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낮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시야각, 높은 휘도와 콘트라스트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져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영역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싱크 패턴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의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도전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은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공급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애노드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층, 및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애노드 전극을 부분적으로 누출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싱크 패턴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의 단부는 상기 화소 정의막의 단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패턴에 직접 접촉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하부 무기층, 상기 하부 무기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상부 무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하부 무기층 및 상기 상부 무기층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상부 무기층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댐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무기층 및 상기 상부 무기층은 상기 댐 부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댐 부재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된 제1 싱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베이스부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배치된 제2 싱크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싱크 패턴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캡핑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 상에 위치하는 제2 캡핑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캡핑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캡핑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제는, 상기 제2 캡핑층, 상기 봉지층 및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싱크 패턴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정전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 및 상기 컬러 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의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싱크 패턴은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공급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패턴에 직접 접촉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분리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 영역으로의 정전기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 및 도 4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Q7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X3-X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X5-X5'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3컬러 필터 및 컬러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 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2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뱅크 패턴, 제1 파장 변환 패턴,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광투과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정전기의 유입 경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 및 도 4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Q7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X3-X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X5-X5'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3컬러 필터 및 컬러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 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2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뱅크 패턴, 제1 파장 변환 패턴,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광투과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정전기의 유입 경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제3, 제4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제3 구성요소, 제4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카메라, 자동차에 제공되는 중앙정보 디스플레이(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중대형 전자 장비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써,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제3 방향(Z) 중 도면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에서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개략적 적층 구조를 설명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표시 기판(10), 표시 기판(10)과 대향하는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을 결합하는 실링 부재(50),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채워진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 예컨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 표시 영역(DA)에 후술할 발광 영역 및 비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 및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나노 사이즈를 갖는 무기물 기반의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색변환 기판(30)은 표시 기판(10) 상에 위치하고 표시 기판(10)과 대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은 입사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변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은 상기 색변환 패턴으로서 컬러 필터와 파장 변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은 상기 컬러 필터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는 실링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은 실링 부재(5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5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링 부재(50)는 에폭시계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 부재(50)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다. 충진제(70)는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를 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충진제(70)는 실리콘계 유기물질, 에폭시계 유기물질 또는 실리콘계 유기물질과 에폭시계 유기물질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가 실질적으로 0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굴절률과 흡광계수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굴절률이 감소할수록 흡광계수도 감소한다. 그리고 굴절률이 1.7 이하인 경우 흡광계수는 실질적으로 0에 수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굴절률이 1.7 이하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발광 소자에서 제공된 광이 충진제(70)를 투과하며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굴절률이 1.4 내지 1.6인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표시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2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8은 도 2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부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두개의 제1 변(L1) 및 제3 변(L3)과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두개의 제2 변(L2) 및 제4 변(L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각 변들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예서 제1 변(L1) 및 제3 변(L3)의 길이와 제2 변(L2) 및 제4 변(L4)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L1) 및 제3 변(L3)이 제2 변(L2) 및 제4 변(L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연성 회로 기판(FPC) 및 구동칩(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에서 표시 기판(10)에는 복수의 발광 영역들 및 비발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기판(10)의 표시 영역(DA)에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표시 기판(10)의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비발광 영역(NLA)은 표시 기판(10)의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발광 영역(NLA)은 표시 영역(DA) 내에서 각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을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은 제3 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색의 광은 청색광일 수 있으며, 약 440nm 내지 약 480nm 범위에서 피크파장(peak wavelength)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피크파장이란, 광의 강도(intensity)가 최대인 파장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상기 그룹이 표시 영역(DA)에 복수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제1 방향(X)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 내에서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영역(LA1) 및 제2 발광 영역(LA2)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고, 제3 발광 영역(LA3)은 제2 방향(Y)을 따라 제1 발광 영역(LA1) 및 제2 발광 영역(LA2)의 일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에서 색변환 기판(30)에는 복수의 투광 영역들 및 차광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투광 영역들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색변환 기판(30)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차광 영역(BA)은 표시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이 투과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변환 기판(30)에는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투광 영역(TA1)은 제1 발광 영역(LA1)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1 발광 영역(LA1)과 중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투광 영역(TA2)은 제2 발광 영역(LA2)과 대응하거나 중첩하고 제3 투광 영역(TA3)은 제3 발광 영역(LA3)과 대응하거나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제1 방향(X)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도 제1 방향(X)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영역(LA1) 및 제2 발광 영역(LA2)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고, 제3 발광 영역(LA3)은 제2 방향(Y)을 따라 제1 발광 영역(LA1) 및 제2 발광 영역(LA2)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광 영역(TA1) 및 제2 투광 영역(TA2)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고, 제3 투광 영역(TA3)은 제2 방향(Y)을 따라 제1 투광 영역(TA1) 및 제2 투광 영역(TA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기판(10)에서 제공된 상기 제3색의 광은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투광 영역(TA1)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1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2 투광 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2 출사광이라 지칭하고, 제3 투광 영역(TA3)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제3 출사광이라 지칭하면, 상기 제1 출사광은 제1색의 광이고, 상기 제2 출사광은 상기 제1색과 다른 제2색의 광이고, 상기 제3 출사광은 상기 제3색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예서 상기 제3색의 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440nm 내지 약 48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갖는 청색광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색의 광은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색의 광은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 내에서 색변환 기판(30)의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의 주변에는 차광 영역(BA)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영역(BA)은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차광 영역(BA)은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에도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댐 부재(DM), 및 실링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댐 부재(DM)는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봉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기물(또는 모노머)이 넘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봉지층의 유기물이 표시 장치(1)의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 부재(DM)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비표시 영역(NDA) 중 댐 부재(DM)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평면상에서 댐 부재(DM) 및 표시 영역(DA)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은 패드 영역(PDA)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드 영역(PDA)에는 복수의 접속 패드(PD)가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속 패드(PD)는 비표시 영역(NDA) 중 장변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비표시 영역(NDA) 중 제1 변(L1)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접속 패드(PD)는 연결 배선 등을 매개로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속 패드(PD)는 실링 부재(5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속 패드(PD)는 실링 부재(50)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영역(DA)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속 패드(PD)는 실링 부재(50)와 표시 장치(1)의 제1 변(L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 중 표시 기판(도 1의 10)은 상술한 댐 부재(DM), 및 접속 패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접속 패드(PD)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표시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전원 등을 제공하는 회로보드 등과 표시 기판(도 1의 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전원 공급 배선(VSL)은 접속 패드(PD)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VSL)에 인가되는 정전압은 예를 들어, 약 0V 또는 OV 이하의 저전압일 수 있다.
구동칩(IC)은 상기 회로보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 신호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데이터 구동칩일 수 있으며, 상기 회로보드 등으로부터 데이터 제어신호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 등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연성 회로 기판(FPC)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칩(IC)은 COF(Chip On Film) 형태로 연성 회로 기판(FPC)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칩(IC)에서 제공된 데이터 전압, 상기 회로보드에서 제공된 전원 등은 연성 회로 기판(FPC) 및 접속 패드(PD)를 경유하여 표시 기판(도 1의 10)의 상기 화소 회로 등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1)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3 및 도 4의 X1-X1'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Q7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X3-X3'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X5-X5'를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부가하여 도 9 내지 도 13을 더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 및 색변환 기판(30)을 포함하며, 표시 기판(10)과 색변환 기판(30)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기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베이스부(1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가 플라스틱 기판인 경우, 제1 베이스부(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에서 제1 베이스부(110)에는 복수의 발광 영역(LA1, LA2, LA3) 및 비발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의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제1 베이스부(110)의 4개의 변과 동일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의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및 제4 변(L4)은 제1 베이스부(110)의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 및 제4 변(L4)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부(110) 상에는 버퍼층(111)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제1 베이스부(110) 상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제1 베이스부(110)를 통하여 침투하는 이물 또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111)은 SiO2, SiNx, SiON와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1) 상에는 차광 패턴(BML)이 위치할 수 있다. 차광 패턴(BML)은 외부의 광 또는 발광 소자의 광이 후술할 반도체층(ACT)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박막 트랜지스터(TL)에서 광에 의해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누설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은 광을 차단하고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패턴(BML)은 (Ag), 니켈(Ni),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네오듐(Nd)등의 금속 중 단일 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패턴(BML)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광 패턴(BML)은 티타늄(Ti)/구리(Cu)/인듐틴옥사이드(ITO)의 적층 구조체 또는 티타늄(Ti)/구리(Cu)/산화알루미늄(Al2O3)의 적층 구조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은 각 반도체층(ACT)과 대응하도록 복수개 구비되고 반도체층(ACT)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의 폭은 반도체층(ACT)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은 데이터선, 전원공급선, 도면에 미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도면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TL)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등의 일부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BML)은 제2 도전층 또는 상기 제2 도전층이 포함하는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보다 작은 저항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패턴(BML) 상에는 제1 절연층(113)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113)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은 차광 패턴(BML)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113)은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 HfO2, ZrO2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 상에는 반도체층(ACT)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층(ACT)은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과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층(ACT)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도체층(ACT)은 Zn 산화물계 물질로, Zn 산화물, In-Zn 산화물, Ga-In-Zn 산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ZnO에 인듐(In)과 갈륨(Ga)과 같은 금속이 함유된 IGZO(In-Ga-Zn-O) 반도체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도체층(ACT)은 비정질실리콘 또는 폴리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층(ACT)은 각 차광 패턴(BML)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도체층(ACT)에서 광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제1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층은 게이트 전극(GE), 제1 게이트 메탈(WR1)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표시 영역(DA)에 위치하고 반도체층(ACT)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메탈(WR1)은 접속 패드(도 2의 PD)와 표시 영역(도 2의 DA) 내에 위치하는 소자들,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TL) 및 발광 소자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및 제1 게이트 메탈(WR1)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반도체층(ACT)과 상기 제1 도전층 또는 반도체층(ACT)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115)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절연층(115)은 반도체층(ACT)의 채널 영역을 마스킹하는 마스크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절연층(115)의 폭은 반도체층(ACT)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절연층(115)은 제1 베이스부(110)의 전면에 배치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패터닝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게이트 절연층(115)의 폭은, 게이트 전극(GE) 또는 상기 제1 도전층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절연층(115)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15)은 제1 절연층(113)의 설명에서 예시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서 게이트 절연층(115)은 제1 게이트 메탈(WR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5) 상에는 반도체층(ACT) 및 게이트 전극(GE)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17)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17)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117)은 평탄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117)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층(117)은 포토아크릴(photo acryl, PAC), 폴리스티렌(polystyl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릴에테르(polyarylether), 헤테로사이클릭 폴리머(heterocyclic polymer), 파릴렌(parylene), 불소계 고분자,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실록산계 수지(siloxane series resin) 및 실란 수지(silane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절연층(117) 상에는 상기 제2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전층은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전원 공급 배선(VSL) 및 접속 패드(PD)의 제1 패드 전극(PD1)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 및 소스 전극(SE)은 각각 제2 절연층(117)을 관통하여 반도체층(ACT)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113) 및 제2 절연층(117)을 관통하여 차광 패턴(BML)과 연결될 수도 있다. 차광 패턴(BML)이 신호 또는 전압 등을 전달하는 배선의 일부인 경우, 소스 전극(SE)은 차광 패턴(BML)과 연결되고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배선에 제공된 전압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는 차광 패턴(BML)이 별도의 배선이 아닌 플로팅된 패턴인 경우, 소스 전극(SE)에 제공된 전압 등이 차광 패턴(BML)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드레인 전극(DE)이 제1 절연층(113) 및 제2 절연층(117)을 관통하여 차광 패턴(BML)과 연결될 수도 있다. 차광 패턴(BML)이 별도의 신호가 제공되는 배선이 아닌 경우, 드레인 전극(DE)에 인가되는 전압등이 차광 패턴(BML)에 전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반도체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L)를 이룰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L)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L) 중 일부분은 비발광 영역(NL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 배선(VSL)은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VSL)에는 캐소드 전극(CE)에 제공되는 구동 전압, 예컨대 ELVSS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접속 패드(PD)의 제1 패드 전극(PD1)은 비표시 영역(NDA) 중 패드 영역(도 2의 PDA)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 전극(PD1)은 제2 절연층(117)을 관통하여 제1 게이트 메탈(W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전원 공급 배선(VSL) 및 접속 패드(PD)의 제1 패드 전극(PD1)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전원 공급 배선(VSL) 및 접속 패드(PD)의 제1 패드 전극(PD1)은, Ti/Al/Ti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절연층(117) 상에는 제3 절연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30)은 표시 영역(DA)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L)를 커버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NDA)에서 전원 공급 배선(VSL)의 일부분을 노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13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130)은 유기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절연층(13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130)은 감광성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층(130) 위에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3 절연층(130) 위에는 연결 전극(CNE) 및 접속 패드(PD)의 제2 패드 전극(PD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제1 발광 영역(LA1)과 중첩하고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제2 발광 영역(LA2)과 중첩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제3 발광 영역(LA3)과 중첩하되 적어도 일부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은 제3 절연층(130)을 관통하여 제1 애노드 전극(AE1)과 대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L)의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되고, 제2 애노드 전극(AE2)은 제3 절연층(130)을 관통하여 제2 애노드 전극(AE2)과 대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L)의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되고,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제3 절연층(130)을 관통하여 제3 애노드 전극(AE3)과 대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L)의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및 Cr와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상기 금속층 위에 적층된 금속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다층구조, 예시적으로 ITO/Ag, Ag/ITO, ITO/Mg,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와 같은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전원 공급 배선(V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배선(VSL)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PD2)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 패드 전극(PD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패드 전극(PD2)은 제1 패드 전극(PD1)과 직접 접촉하여 제1 패드 전극(PD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 전극(CNE) 및 제2 패드 전극(PD2)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제조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화소 정의막(15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50)은 제1 애노드 전극(AE1)을 노출하는 개구부, 제2 애노드 전극(AE2)을 노출하는 개구부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애노드 전극(AE1)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1 발광 영역(LA1)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애노드 전극(AE2)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2 발광 영역(LA2)일 수 있으며, 제3 애노드 전극(AE3) 중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되는 영역은 제3 발광 영역(LA3)일 수 있다. 그리고 화소 정의막(150)이 위치하는 영역은 비발광 영역(NLA)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15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150)은 후술할 컬러 패턴(250) 및 차광 패턴(260)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150)은 후술할 뱅크 패턴(370)과도 중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는 발광층(OL)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OL)은 복수의 발광 영역(LA1, LA2, 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 형성된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발광층(OL)이 표시 영역(DA) 내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층(OL)의 일부는 비표시 영역(ND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OL)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발광층(OL) 상에는 캐소드 전극(CE)이 위치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의 일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D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연결 전극(C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전극(CNE)과 접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배선(VSL)에 제공되는 구동 전압(예컨대, ELVSS전압)은 연결 전극(CNE)을 경유하여 캐소드 전극(CE)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캐소드 전극(CE)은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CNE)과 접촉하지만,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CNE)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캐소드 전극(CE)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전극(CNE)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는 화소 정의막(1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는 화소 정의막(150)과 중첩 배치될 수 있고, 그 단부는 화소 정의막(150)의 실링 부재(50)를 바라보는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는 화소 정의막(150)의 실링 부재(50)를 바라보는 측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연결 전극(CNE)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50)를 이용하여, 표시 기판(10)과 색 변환 기판(30)을 부착하는 표시 장치(1)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기는 색 변환 기판(30)에 유입되어, 표시 기판(10)의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 회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색 변환 기판(30)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는 통상적으로, 음전하를 띠게되는데, 음전하를 띤 정전기기에 의해, 표시 영역(DA)의 상기 화소 회로의 박막 트랜지스터(TL)(예컨대, 구동 트랜지스터)의 발광 소자와 연결된 소스 전극의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L)(예컨대, 구동 트랜지스터)의 발광 소자와 연결된 소스 전극의 전압이 감소되면, 구동 트랜지스터에 예상치 못한 누설 전류(Leakage current)가 발생하여, 화면에 암부 얼룩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의 표시 영역(DA)로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실링 부재(50)와 중첩 영역, 또는 실링 부재(50)의 외측(예컨대, 실링 부재(50)와 표시 장치(1)의 변(L1~L4) 사이의 영역)에 상기 유입된 정전기의 통로(Path)로 기능하는 가이드 링(Guard ring) 등의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 링은 상술된 표시 기판(10)의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을 이용한 이중 배선(저저항)을 적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링의 제2 도전층이 부식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의 제2 도전층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링을 제1 도전층만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상기 가이드 링을 제1 도전층만을 이용하여 형성될 경우, 색 변환 기판(30)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가 제1 도전층만이 적용된 가이드 링과 색 변환 기판(30) 사이의 제2 절연층(117), 및 제3 절연층(130)으로 인해 색 변환 기판(3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링까지의 통로의 자체 저항이 증가되어, 표시 영역(DA) 내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이 오히려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실링 부재(50)의 외측(예컨대, 실링 부재(50)와 표시 장치(1)의 변(L1~L4) 사이의 영역)에 상기 유입된 정전기의 통로(Path)로 기능하는 가이드 링(Guard ring) 등을 배치할 경우,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정전기의 유입 경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9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경우,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를 실링 부재(50)와 표시 영역(DA)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는 상술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위치하고 캐소드 전극(CE)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연결 전극(CNE), 및 전원 공급 배선(VSL)일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출 통로는 싱크 패턴(Sink pattern)일 수 있다. 상기 싱크 패턴은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로서,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위치하고 캐소드 전극(CE)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연결 전극(CNE), 및 전원 공급 배선(VSL)을 이용하면,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정전기 방출 통로로서, 애노드 전극(AE1~AE3)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연결 전극(CNE)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링을 제1 도전층만을 이용하여 형성될 경우 대비하여 색 변환 기판(30)으로부터 상기 정전기 방출 통로까지의 자체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표시 영역(DA) 내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 또는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상기 반투과성을 갖는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Ag, Mg, Cu,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 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CE)의 두께가 수십 내지 수백 옹스트롬인 경우에,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이 투과성을 갖는 경우, 캐소드 전극(CE)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소드 전극(CE)은 WxOx(tungsten oxide), TiO2(Titan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MgO(magnesium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캐소드 전극(CE)은 발광층(OL)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는 발광층(OL)의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발광층(OL)의 단부는 캐소드 전극(CE)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1 발광 소자(ED1)를 이루고, 제2 애노드 전극(AE2),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2 발광 소자(ED2)를 이루고, 제3 애노드 전극(AE3),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3 발광 소자(ED3)를 이룰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 제2 발광 소자(ED2) 및 제3 발광 소자(ED3)는 각각 출사광(LE)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OL)에서 최종적으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제1 성분(LE1) 및 제2 성분(LE2)이 혼합된 혼합광일 수 있다. 출사광(LE) 중 제1 성분(LE1) 과 제2 성분(LE2)은 각각 피크 파장이 440nm 이상 480nm 미만일 수 있다. 즉, 출사광(LE)은 청색광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OL)은 복수의 발광층이 중첩 배치된 구조, 예컨대 탠덤(tandem)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발광층(OL)은 제1 발광층(EML1)을 포함하는 제1 스택(ST1), 제1 스택(ST1) 상에 위치하고 제2 발광층(EML2)을 포함하는 제2 스택(ST2), 제2 스택(ST2) 상에 위치하고 제3 발광층(EML3)을 포함하는 제3 스택(ST3), 제1 스택(ST1)과 제2 스택(ST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전하생성층(CGL1) 및 제2 스택(ST2)과 제3 스택(ST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전하생성층(CG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택(ST1), 제2 스택(ST2) 및 제3 스택(ST3)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은 모두 상기 제1 색의 광, 예컨대 청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은 각각 청색 발광층일 수 있으며,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피크파장을 갖는 제1 청색광을 출사하고,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피크파장과 다른 제2 피크파장의 제2 청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어느 하나는 제1 피크파장을 갖는 제1 청색광을 출사하고,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나머지 둘은 제2 피크파장을 갖는 제2 청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즉, 발광층(OL)에서 최종적으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제1 성분(LE1) 및 제2 성분(LE2)이 혼합된 혼합광일 수 있으며, 제1 성분(LE1) 은 제1 피크파장을 갖는 제1 청색광이고, 제2 성분(LE2)은 제2 피크파장을 갖는 제2 청색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크파장과 상기 제2 피크파장 중 하나의 범위는 440nm 이상 460nm 미만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크파장과 상기 제2 피크파장 중 나머지 하나의 범위는 460nm 이상 480n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피크파장의 범위 및 상기 제2 피크파장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피크파장의 범위 및 상기 제2 피크파장의 범위는 모두 460nm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청색광 및 상기 제2 청색광 중 어느 하나는 진청색(deep blue color)의 광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청색광 및 상기 제2 청색광 중 다른 하나는 연청색(sky blue color)의 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발광층(OL)에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청색광이며, 장파장 성분 및 단파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발광층(OL)은 출사광(LE)으로서 좀 더 넓게 분포(broad)된 발광 피크(peak)를 가지는 청색광을 출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좁은(sharp) 발광 피크(peak)를 가지는 청색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 대비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각각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CBP(4,4'-bis(N-carbazolyl)-1,1'-biphenyl), PVK(poly(n-vinylcabazole)), ADN(9,10-di(naphthalene-2-yl)anthracene), TCTA(4,4',4''-Tris(carbazol-9-yl)-triphenylamine),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e-2-yl)benzene), TBADN(3-tert-butyl-9,10-di(naphth-2-yl)anthracene), DSA(distyrylarylene), CDBP(4,4'-bis(9-carbazolyl)-2,2'-dimethyl-biphenyl), MADN(2-Methyl-9,10-bis(naphthalen-2-yl)anthrac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은 각각 예를 들어, 스피로-DPVBi(spiro-DPVBi), 스피로-6P(spiro-6P), DSB(distyryl-benzene), DSA(distyryl-arylene), PFO(Polyfluorene)계 고분자 및 PPV(poly(p-phenylene vinylene)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4,6-F2ppy)2Irpic와 같은 유기 금속 착체(organometallic complex)를 포함하는 인광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서로 다른 파장 영역대의 청색광을 출사한다. 서로 다른 파장 영역대의 청색광을 출사하기 위해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은 서로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공진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대의 청색광을 출사하기 위해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서로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각각이 발광하는 청색광은, 모두 피크파장이 440nm 내지 480nm일 수도 있으며,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피크파장을 갖는 제1 청색광을 출사하고,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피크파장과 다른 제2 피크파장의 제2 청색광을 출사하고,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피크파장 및 상기 제2 피크파장과 다른 제3 피크파장의 제3 청색광을 출사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크파장, 상기 제2 피크파장 및 상기 제3 피크파장 중 어느 하나의 범위는 440nm 이상 460n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크파장, 상기 제2 피크파장 및 상기 제3 피크파장 중 다른 하나의 범위는 460nm 이상 470nm 미만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크파장, 상기 제2 피크파장 및 상기 제3 피크파장 중 나머지 하나의 범위는 470nm 이상 480nm 이하일 수도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발광층(OL)에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청색광이며, 장파장 성분, 중간파장 성분 및 단파장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발광층(OL)은 출사광(LE)으로서 좀 더 넓게 분포(broad)된 발광 피크(peak)를 가지는 청색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탠덤(tandem) 방식의 구조, 즉 복수개의 발광층을 적층한 구조를 채용하지 않는 종래의 발광 소자에 비하여 광 효율이 상승하는 이점 및 표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는,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3색의 광, 예컨대 청색광을 발광하고,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제3색의 광, 예컨대 녹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방출하는 청색광의 피크파장의 범위는 440nm 이상 내지 480nm 이하 또는 460nm 이상 내지 480nm 이하 일 수 있다.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적어도 다른 하나가 방출하는 녹색광은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파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어느 하나는 녹색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층이고,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나머지 둘은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층일 수 있다.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나머지 둘이 청색 발광층인 경우, 두개의 청색 발광층이 방출하는 청색광의 피크파장 범위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두개의 청색 발광층이 방출하는 피크파장의 범위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발광층(OL)에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청색광인 제1 성분(LE1)과 녹색광인 제2 성분(LE2)이 혼합된 혼합광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성분(LE1)이 진청색의 광이고, 제2 성분(LE2)이 녹색광인 경우, 출사광(LE)은 연청색(sky blue color)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발광층(OL)에서 출사되는 출사광(LE)은 청색광과 녹색광의 혼합광으로서, 장파장 성분 및 단파장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발광층(OL)은 출사광(LE)으로서 좀 더 넓게 분포(broad)된 발광 피크(peak)를 가지는 청색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측면 시야각에서의 색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사광(LE) 중 제2 성분(LE2)이 녹색광인 바, 표시 장치(1)에서 외부로 제공되는 광 중, 녹색광 성분을 보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색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및 제3발광층(EML3) 중 녹색 발광층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이 포함하는 호스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CBP(4,4'-bis(N-carbazolyl)-1,1'-biphenyl), PVK(poly(n-vinylcabazole)), ADN(9,10-di(naphthalene-2-yl)anthracene), TCTA(4,4',4''-Tris(carbazol-9-yl)-triphenylamine), TPBi(1,3,5-tris(N-phenylbenzimidazole-2-yl)benzene), TBADN(3-tert-butyl-9,10-di(naphth-2-yl)anthracene), DSA(distyrylarylene), CDBP(4,4'-bis(9-carbazolyl)-2,2'-dimethyl-biphenyl), MADN(2-Methyl-9,10-bis(naphthalen-2-yl)anthrac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이 포함하는 도펀트는 예를 들어 Alq3(tris-(8-hydroyquinolato) aluminum(III))을 포함하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로서,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 Ir(ppy)2(acac)(Bis(2-phenylpyridine)(acetylacetonate)iridium(III)), Ir(mpyp)3(2-phenyl-4-methyl-pyridine iridium)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은 제1 스택(ST1)과 제2 스택(ST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은 각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은 제1 스택(ST1)과 제2 스택(ST2) 사이에서 전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은 n형 전하생성층(CGL11) 및 p형 전하생성층(CGL12)을 포함할 수 있다. p형 전하생성층(CGL12)은 n형 전하생성층(CGL1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n형 전하생성층(CGL11)과 제2 스택(ST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은 n형 전하생성층(CGL11) 및 p형 전하생성층(CGL12)이 서로 접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n형 전하생성층(CGL11)은 애노드 전극(AE1, 도 7의 AE2, 도 7의 AE3) 및 캐소드 전극(CE) 중 애노드 전극(AE1, 도 7의 AE2, 도 7의 AE3)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p형 전하생성층(CGL12)은 애노드 전극(AE1, 도 7의 AE2, 도 7의 AE3) 및 캐소드 전극(CE) 중 캐소드 전극(CE)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n형 전하생성층(CGL11)은 애노드 전극(AE1, 도 7의 AE2, 도 7의 AE3)에 인접한 제1 발광층(EML1)에 전자를 공급하고, p형 전하생성층(CGL12)은 제2 스택(ST2)에 포함되는 제2 발광층(EML2)에 정공을 공급한다. 제1 전하생성층(CGL1)을 제1 스택(ST1) 및 제2 스택(ST2) 사이에 배치하여, 각각의 발광층에 전하를 제공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증대시키고,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제1 스택(ST1)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도 7의 AE2) 및 제3 애노드 전극(도 7의 AE3)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정공수송층(HTL1), 제1 전자블록층(BIL1), 제1 전자수송층(ET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공수송층(HTL1)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도 7의 AE2) 및 제3 애노드 전극(도 7의 AE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정공수송층(HTL1)은 정공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N-페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등의 카바졸계 유도체, 플루오렌(fluorene)계 유도체, TPD(N,N'-bis(3-methylphen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TCTA(4,4',4"-tris(N-carbazolyl)triphenylamine) 등과 같은 트리페닐아민계 유도체, NPB(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 TAPC(4,4e bis[N,N-bis(4-methylphenyl)benzenamine])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자블록층(BIL1)은 제1 정공수송층(HTL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정공수송층(HTL1)과 제1 발광층(EML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자블록층(BIL1)은 제1 발광층(EML1)에서 생성된 전자가 제1 정공수송층(HTL1)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공수송물질과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정공수송층(HTL1)과 제1 전자블록층(BIL1)은 각각의 재료가 혼합된 단일층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전자수송층(ETL1)은 제1 발광층(EML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하생성층(CGL1)과 제1 발광층(EML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전자수송층(ETL1)은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 TPBi(1,3,5-Tri(1-phenyl-1H-benzo[d]imidazol-2-yl)phenyl),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4,7-Diphenyl-1,10-phenanthroline), TAZ(3-(4-Biphenyl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NTAZ(4-(Naphthalen-1-yl)-3,5-diphenyl-4H-1,2,4-triazole), tBu-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BAlq(Bis(2-methyl-8-quinolinolato-N1,O8)-(1,1'-Biphenyl-4-olato)aluminum), Bebq2(berylliumbis(benzoquinolin-10-olate), ADN(9,10-di(naphthalene-2-yl)anthracene)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전자 수송 물질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스택(ST2)은 제1 전하생성층(CGL1)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정공수송층(HTL2), 제2 전자블록층(BIL2), 제2 전자수송층(ET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공수송층(HTL2)은 제1 전하생성층(CG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정공수송층(HTL2)은 제1 정공수송층(HTL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정공수송층(H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정공수송층(HTL2)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자블록층(BIL2)은 제2 정공수송층(HTL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정공수송층(HTL2)과 제1 발광층(EM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자블록층(BIL2)은 제1 전자블록층(BIL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전자블록층(BI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전자수송층(ETL2)은 제2 발광층(EML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전하생성층(CGL2)과 제2 발광층(EM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자수송층(ETL2)은 제1 전자수송층(ETL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전자수송층(E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전자수송층(ETL2)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하생성층(CGL2)은 제2 스택(ST2) 상에 위치하고 제2 스택(ST2)과 제3 스택(ST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하생성층(CGL2)은 상술한 제1 전하생성층(CGL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하생성층(CGL2)은 제2 스택(ST2)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된 n형 전하생성층(CGL21)과, 캐소드 전극(CE)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p형 전하생성층(CGL22)을 포함할 수 있다. p형 전하생성층(CGL22)은 n형 전하생성층(CGL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하생성층(CGL2)은 n형 전하생성층(CGL21) 및 p형 전하생성층(CGL22)이 서로 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하생성층(CGL1) 및 제2 전하생성층(CGL2)은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스택(ST2)은 제2 전하생성층(CGL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정공수송층(HTL3) 및 제3 전자수송층(ETL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정공수송층(HTL3)은 제2 전하생성층(CG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정공수송층(HTL3)은 제1 정공수송층(HTL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정공수송층(H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정공수송층(HTL3)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정공수송층(HTL3)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전자수송층(ETL3)은 제3 발광층(EML3)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CE)과 제3 발광층(EML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전자수송층(ETL3)은 제1 전자수송층(ETL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전자수송층(E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전자수송층(ETL3)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전자수송층(ETL3)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제1 스택(ST1)과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도 7의 AE2) 및 제3 애노드 전극(도 7의 AE3) 사이, 제2 스택(ST2)과 제1 전하생성층(CGL1) 사이, 제3 스택(ST3)과 제2 전하생성층(CGL2)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은 제1 발광층(EML1), 제2 발광층(EML2) 및 제3 발광층(EML3)으로 보다 원활하게 정공이 주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정공주입층은 CuPc(cupper phthalocyanine),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ANI(polyaniline) 및 NPD(N,N-dinaphthyl-N,N'-diphenyl benzid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정공주입층은 제1 스택(ST1)과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도 7의 AE2) 및 제3 애노드 전극(도 7의 AE3) 사이, 제2 스택(ST2)과 제1 전하생성층(CGL1) 사이, 제3 스택(ST3)과 제2 전하생성층(CGL2)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제3 전자수송층(ETL3)과 캐소드 전극(CE) 사이, 제2 전하생성층(CGL2)과 제2 스택(ST2) 사이 및 제1 전하생성층(CGL1)과 제1 스택(ST1)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은 전자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 TAZ, spiro-PBD, BAlq 또는 SAlq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자주입층은 금속할라이드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gF2, LiF, NaF, KF, RbF, CsF, FrF, LiI, NaI, KI, RbI, CsI, FrI 및 CaF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자주입층은 Yb, Sm, Eu 등의 란탄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자주입층은 RbI:Yb, KI:Yb 등과 같이 금속할라이드 물질과 란탄계 물질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이 금속할라이드 물질과 란탄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주입층은 금속할라이드 물질과 란탄계 물질을 공증착(Co-deposition)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주입층은 제3 전자수송층(ETL3)과 캐소드 전극(CE) 사이, 제2 전하생성층(CGL2)과 제2 스택(ST2) 사이 및 제1 전하생성층(CGL1)과 제1 스택(ST1)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발광층(OL)의 구조는 변형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발광층(OL)은 도 11에 도시된 발광층(OLa)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발광층(OLa)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제3 스택(ST3)과 제2 스택(ST2)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스택(ST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스택(ST3)과 제2 스택(ST2) 사이에 위치하는 제3전하생성층(CGL3)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택(ST4)은 제4발광층(EML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정공수송층(HTL4), 제3전자블록층(BIL3) 및 제4전자수송층(ETL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OL)이 포함하는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은 각각 상기 제1색의 광, 예컨대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서로 다른 피크파장 범위의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는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녹색광을 방출하고,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청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발광층(EML1), 제2발광층(EML2), 제3발광층(EML3) 및 제4발광층(EML4) 중 어느 하나는 녹색 발광층이고, 나머지 3개의 발광층들은 모두 청색 발광층일 수도 있다.
제4정공수송층(HTL4)은 제2전하생성층(CG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정공수송층(HTL4)은 제1정공수송층(HTL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정공수송층(H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4정공수송층(HTL4)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정공수송층(HTL4)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전자블록층(BIL3)은 제4정공수송층(HTL4)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4정공수송층(HTL4)과 제4발광층(EML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전자블록층(BIL3)은 제1전자블록층(BIL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전자블록층(BI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3전자블록층(BIL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4전자수송층(ETL4)은 제4발광층(EML4)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전하생성층(CGL3)과 제4발광층(EML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전자수송층(ETL4)은 제1전자수송층(ETL1)과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제1전자수송층(ETL1)이 포함하는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4전자수송층(ETL4)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전자수송층(ETL4)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전하생성층(CGL3)은 상술한 제1전하생성층(CGL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전하생성층(CGL3)은 제2 스택(ST2)에 보다 인접하게 배치된 n형 전하생성층(CGL31)과, 캐소드 전극(CE)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p형 전하생성층(CGL32)을 포함할 수 있다. p형 전하생성층(CGL32)은 n형 전하생성층(CGL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제4 스택(ST4)과 제3전하생성층(CGL3) 사이에는 상기 전자주입층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스택(ST4)과 제2전하생성층(CGL2) 사이에는 상기 정공주입층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발광층(OL) 및 도 11에 도시된 발광층(OLa)은 모두 공통적으로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색의 광, 예컨대 적색광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출사광(LE)은 피크파장이 610nm 내지 약 650nm의 범위인 광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출사광(LE)은 피크파장이 440nm 내지 550nm인 광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댐 부재(DM)는 전원 공급 배선(VSL)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 부재(DM)와 표시 영역(DA) 사이에 전원 공급 배선(VSL)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 부재(DM)의 일부는 전원 공급 배선(VSL)과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댐 부재(DM)는 복수의 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 부재(DM)는 복수의 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 부재(DM)는 제1 댐(D1) 및 제2 댐(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D1)은 전원 공급 배선(VSL)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배선(VSL)을 사이에 두고 제3 절연층(130)과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댐(D1)은 제2 절연층(117) 상에 위치하는 제1 하부 댐 패턴(D11) 및 제1 하부 댐 패턴(D11) 상에 위치하는 제1 상부 댐 패턴(D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댐(D2)은 제1 댐(D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댐(D1)과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댐(D2)은 제2 절연층(117) 상에 위치하는 제2 하부 댐 패턴(D21) 및 제2 하부 댐 패턴(D21) 상에 위치하는 제2 상부 댐 패턴(D2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댐 패턴(D11) 및 제2 하부 댐 패턴(D21) 은 제3 절연층(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3 절연층(13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댐 패턴(D12) 및 제2 상부 댐 패턴(D22) 은 화소 정의막(15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화소 정의막(15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댐(D1) 및 제2 댐(D2)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댐(D2)의 높이는 제1 댐(D1)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A)에서 멀어질수록 댐 부재(DM)가 포함하는 댐의 높이는 점차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봉지층(170)이 포함하는 유기층(173)의 형성과정에서 유기물이 넘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CE) 상에는 제1 캡핑층(16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캡핑층(160)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고 외부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캡핑층(160)은 광투과성을 갖는 무기 물질 및 유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캡핑층(160)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기 입자가 포함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층(160)은 트리아민(triamine) 유도체, 카르바졸(carbazole biphenyl) 유도체, 아릴렌디아민(arylenediamine) 유도체 또는 알루미 키노륨 복합체(Alq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160)은 고굴절 물질과 저굴절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제1 캡핑층(160)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두개의 층, 예컨대 고굴절층과 저굴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160)은 캐소드 전극(CE)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핑층(160)의 단부는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CE)의 단부는 제1 캡핑층(16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제1 캡핑층(160) 상에는 봉지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70)은 수분과 같은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봉지층(170)의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들, 예컨대 발광 소자들(ED1, ED2, ED3)을 보호한다. 봉지층(170)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170)과 캐소드 전극(CE) 사이에는, 캐소드 전극(CE)을 커버하는 캡핑층(도면 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봉지층(170)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봉지층(170)은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170)은 제1 캡핑층(16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무기층(171), 유기층(173) 및 상부 무기층(17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무기층(171)은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발광 소자(ED1), 제2 발광 소자(ED2) 및 제3 발광 소자(ED3)를 커버할 수 있다. 하부 무기층(171)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댐 부재(DM)를 커버하고, 댐 부재(DM)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무기층(171)은 제1 캡핑층(160)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무기층(171)의 단부는 제1 캡핑층(160)의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캡핑층(160)의 단부는 하부 무기층(17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하부 무기층(171) 상에는 유기층(173)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층(173)은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발광 소자(ED1), 제2 발광 소자(ED2) 및 제3 발광 소자(ED3)를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층(173)의 일부는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하되, 댐 부재(DM)의 외측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유기층(173)의 일부가 제1 댐(D1)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층(173)의 일부는 제1 댐(D1)과 제2 댐(D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유기층(173)의 단부는 제1 댐(D1)과 제2 댐(D2) 사이의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유기층(173) 상에는 상부 무기층(175)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무기층(175)은 유기층(173)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무기층(175)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하부 무기층(171)과 직접 접촉하여 무기-무기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무기층(175)의 단부와 하부 무기층(171)의 단부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무기층(171) 및 상부 무기층(175)은 각각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리튬 플로라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무기층(171) 및 상부 무기층(175)은 각각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무기층(171) 및 상부 무기층(1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무기물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 예컨대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층(173)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봉지층(170)의 구조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봉지층(170)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에 부가하여 도 14 내지 도 18을 더 참조하여 색변환 기판(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3컬러 필터 및 컬러 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차광 부재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1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제2컬러 필터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기판에서, 뱅크 패턴, 제1 파장 변환 패턴,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광투과패턴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2 베이스부(310)는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시적으로 무기막 등의 절연층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에는 복수의 투광 영역(TA1, TA2, TA3) 및 차광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3 컬러 필터(235) 및 컬러 패턴(2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235)는 제3 발광 영역(LA3) 또는 제3 투광 영역(TA3)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235)는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컬러 필터(235)는 청색 컬러 필터(blue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청색염료(blue dye) 또는 청색안료(blue pigment)와 같은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색재(colorant)란, 염료(dye) 및 안료(pigment)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컬러 패턴(250)은 비발광 영역(NLA) 또는 차광 영역(B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컬러 패턴(250)은 비표시 영역(ND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컬러 패턴(250)은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표시 장치(1)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외광은 상당 부분 반사되어 표시 장치(1)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비발광 영역(NLA) 및 비표시 영역(NDA)에 컬러 패턴(250)이 위치하는 경우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 패턴(250)은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 패턴(250)은 제3 컬러 필터(23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컬러 필터(235)의 형성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패턴(250)이 청색의 색재를 포함하는 경우, 컬러 패턴(250)을 투과한 외광 또는 반사광은 청색광일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인식하는 색상별 민감도(eye color sensibility)는 광의 색상에 따라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색 파장대역의 광은 녹색 파장대역의 광 및 적색 파장대역의 광보다 사용자에게 보다 덜 민감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컬러 패턴(250)이 청색의 색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반사광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패턴(250)은 차광 영역(BA)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패턴(250)과 제3 컬러 필터(235)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차광 패턴(260)이 위치할 수 있다. 차광 패턴(260)은 차광 영역(BA)과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대략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은 표시 장치(1)의 색 재현율을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부(310) 위에 차광 패턴(260)이 위치하는 경우, 외광의 적어도 일부가 차광 패턴(260)에 흡수된다. 따라서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인접한 투광 영역 간에 광이 침범하여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색 재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컬러 패턴(2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차광 패턴(260)은 컬러 패턴(250)을 사이에 두고 제2 베이스부(31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차광 패턴(260)과 제2 베이스부(310) 사이에는 컬러 패턴(250)이 위치하는 바,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제2 베이스부(310)와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26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2 컬러 필터(23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231)는 제1 발광 영역(LA1) 또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발광 영역(LA2) 또는 제2 투광 영역(TA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는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1 컬러 필터(231)는 청색광을 차단하는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는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 및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컬러 필터(231)는 적색 컬러 필터(red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적색의 색재(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233)는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2 컬러 필터(233)도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233)는 상기 제2 색의 광(예컨대, 녹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3 색의 광(예컨대, 청색광) 및 상기 제1 색의 광(예컨대, 적색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컬러 필터(233)는 녹색 컬러 필터(green color filter)일 수 있으며, 녹색의 색재(green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의 일부는 차광 영역(BA) 내에 더 위치할 수있으며, 도 9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컬러 필터(233)의 일부도 차광 영역(B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 중 일부는 차광 영역(BA) 중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영역 및 제1 투광 영역(TA1)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의 영역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233) 중 일부는 차광 영역(BA) 중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영역 및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의 영역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컬러 필터(233)가 서로 비중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차광 영역(BA) 중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영역에서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컬러 필터(233)는 서로 중첩할 수도 있다. 차광 영역(BA)에서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컬러 필터(233)가 중첩하는 부분은 광의 투과를 저지하는 차광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2 컬러 필터(233)는 차광 영역(BA) 전체에 걸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2 컬러 필터(233)는 차광 영역(BA) 전체에서 서로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영역(BA)에서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2 컬러 필터(233)는 컬러 패턴(250)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영역(BA) 중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영역에서 컬러 패턴(250)은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2 컬러 필터(233)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차광 영역(BA) 중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에서 컬러 패턴(250)은 제2 컬러 필터(233)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차광 영역(BA) 중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에서 컬러 패턴(250)은 제1 컬러 필터(231)와 중첩할 수 있다.
차광 영역(BA)에서 제1 컬러 필터(231)와 컬러 패턴(250)이 중첩하는 부분 및 제2 컬러 필터(233)와 컬러 패턴(250)이 중첩하는 부분은 차광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차광 영역(BA)에서 제1 컬러 필터(231)와 컬러 패턴(250)이 중첩하는 부분 및 제2 컬러 필터(233)와 컬러 패턴(250)이 중첩하는 부분은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이 인접한 발광 영역 간에 침범하여 혼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색 재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와 제2 컬러 필터(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표시 영역(NDA)에 더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컬러 필터(231)는 비표시 영역(NDA) 내에 더 위치하고, 비표시 영역(NDA)에서 컬러 패턴(250)과 중첩할 수 있다. 서로 중첩하는 컬러 패턴(250)과 제1 컬러 필터(231)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차광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차광 패턴(260)이 생략되는 경우, 제1 컬러 필터(231)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컬러 패턴(250) 바로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차광 패턴(260), 컬러 패턴(250),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를 커버하는 제2 캡핑층(391)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1)은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1)은 차광 패턴(260)과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차광 패턴(260), 컬러 패턴(250),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 등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캡핑층(391)은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에 포함된 색재가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다른 구성, 예컨대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1)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캡핑층(39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1)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컬러 패턴(250), 차광 패턴(260) 및 제1 컬러 필터(231)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1)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을 향하는 제2 캡핑층(391)의 일면 상에는 뱅크 패턴(37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제2 캡핑층(391)의 일면 바로 위에 위치하고 제2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비발광 영역(NLA) 또는 차광 영역(BA)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을 둘러쌀 수 있다. 뱅크 패턴(370)은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광투과 패턴(330)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 중 제1 투광 영역(TA1)을 둘러싸는 부분, 뱅크 패턴(370) 중 제2 투광 영역(TA2)을 둘러싸는 부분 및 뱅크 패턴(370) 중 제3 투광 영역(TA3)을 둘러싸는 부분은 서로 분리된 개별 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광투과 패턴(330)이 노즐 등을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방식, 즉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뱅크 패턴(370)은 토출된 잉크 조성물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뱅크 패턴(370)은 격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화소 정의막(150)과 중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비표시 영역(ND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뱅크 패턴(370)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컬러 패턴(250) 및 제1 컬러 필터(231)와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광경화성을 갖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 패턴(370)은 광경화성을 갖고 차광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 패턴(370)이 차광성을 갖는 경우, 표시 영역(DA)에서 서로 이웃하는 발광 영역 간에 광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 패턴(370)은 제2 발광 소자(ED2)에서 방출된 출사광(LE)이 제1 발광 영역(LA1)과 중첩하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입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뱅크 패턴(370)은 비발광 영역(NLA) 및 비표시 영역(NDA)에서 뱅크 패턴(37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들로 외광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지할 수 있다.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핑층(391) 상에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광투과 패턴(33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광투과 패턴(330)은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투과 패턴(330)은 제3 발광 영역(LA3) 또는 제3 발광 소자(ED3)와 중첩할 수 있다. 광투과 패턴(330)은 제3 투광 영역(TA3)에서 뱅크 패턴(37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3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형의 패턴(island shape patter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광투과 패턴(330)이 차광 영역(BA)과는 비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30)의 일부는 차광 영역(BA)과 중첩할 수도 있다.
광투과 패턴(330)은 입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3 발광 소자(ED3)에서 제공된 출사광(LE)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청색광일 수 있다. 청색광인 출사광(LE)은 광투과 패턴(330) 및 제3 컬러 필터(235)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3 발광 영역(LA3)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제3 광(LO3)은 청색광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30)은 제1 베이스 수지(3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수지(331) 내에 분산된 제1 산란체(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33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331)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33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33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유기입자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산란체(333)는 광투과 패턴(330)을 투과하는 광의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랜덤한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투과 패턴(330)은 제2 캡핑층(391) 및 뱅크 패턴(3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캡핑층(391) 상에 위치하고, 제1 발광 영역(LA1) 또는 제1 발광 소자(ED1) 또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1 투광 영역(TA1)에서 뱅크 패턴(37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랜드 패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이 차광 영역(BA)과는 비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일부는 차광 영역(BA)과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캡핑층(391) 및 뱅크 패턴(3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1 발광 소자(ED1)에서 제공된 출사광(LE)을 610nm 내지 650nm 범위의 피크파장을 갖는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베이스 수지(341) 및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1 파장시프터(3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된 제2 산란체(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34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수지(341)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시프터(34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시프터(345)는 제1 발광 소자(ED1)에서 제공된 청색광인 제3 색의 출사광(LE)을 610nm 내지 650nm 범위에서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제1 파장시프터(34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하는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그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갭을 가져 빛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반도체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II-VI족 화합물은 CdSe, CdTe, ZnS, ZnSe, ZnTe, ZnO, HgS, HgSe, HgTe, MgSe, Mg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InZnP, AgInS, CuInS,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HgZnTe, MgZnSe, MgZn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HgZnTeS,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III-V족 화합물은 GaN, GaP, GaAs, GaSb, AlN, AlP, AlAs, AlSb, InN, InP, InAs, InS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GaNP,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AlNSb, AlPAs, AlPSb, InGaP, InNP, InAlP, InNAs, InNSb, InPAs, InPSb, GaAlNP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GaAlNAs, GaAlNSb, GaAlPAs, GaAlPSb, GaInNP, GaInNAs, GaInNSb, GaInPAs, GaInPSb, InAlNP, InAlNAs, InAlNSb, InAlPAs, InAlPS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IV-VI족 화합물은 SnS, SnSe, SnTe, PbS, PbSe, Pb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 SnPbSe, SnPb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SnPbSSe, SnPbSeTe, SnPbS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IV족 원소로는 Si, G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IV족 화합물로는 SiC, SiG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일 수 있다.
이때, 이원소 화합물, 삼원소 화합물 또는 사원소 화합물은 균일한 농도로 입자 내에 존재하거나, 농도 분포가 부분적으로 다른 상태로 나누어져 동일 입자 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양자점이 다른 양자점을 둘러싸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코어와 쉘의 계면은 쉘에 존재하는 원소의 농도가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농도 구배(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양자점은 전술한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쉘은 상기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여 반도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 역할 및/또는 양자점에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징층(charging lay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쉘은 단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코어와 쉘의 계면은 쉘에 존재하는 원소의 농도가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농도 구배(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쉘의 예로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은 SiO2, Al2O3, TiO2, ZnO, MnO, Mn2O3, Mn3O4, CuO, FeO, Fe2O3, Fe3O4, CoO, Co3O4, NiO 등의 이원소 화합물, 또는 MgAl2O4, CoFe2O4, NiFe2O4, CoMn2O4등의 삼원소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반도체 화합물은 CdS, CdSe, CdTe, ZnS, ZnSe, ZnTe, ZnSeS, ZnTeS, GaAs, GaP, GaSb, HgS, HgSe, HgTe, InAs, InP, InGaP, InSb, AlAs, AlP, AlSb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장시프터(345)가 방출하는 광은 약 45nm 이하, 또는 약 40nm 이하, 또는 약 30nm 이하의 발광 파장 스펙트럼 반치폭(full width of half maximum, FWHM)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시 장치(1)가 표시하는 색의 색 순도와 색 재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 제1 파장시프터(345)가 방출하는 광은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여러 방향을 향하여 방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투광 영역(TA1)에서 표시되는 제1 색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ED1)에서 제공된 출사광(LE) 중 일부는 제1 파장시프터(345)에 의해 적색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출사광(LE)중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 필터(231)에 입사한 성분은, 제1 컬러 필터(2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출사광(LE)중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의해 변환된 적색광은 제1 컬러 필터(231)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즉, 제1 투광 영역(TA1)을 통해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제1 광(LO1)은 적색광일 수 있다.
제2 산란체(343)는 제2 베이스 수지(34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2 베이스 수지(34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34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2 산란체(34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3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2 투광 영역(TA2)에서 뱅크 패턴(37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랜드 패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일부는 차광 영역(BA)과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2 캡핑층(391) 및 뱅크 패턴(3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2 발광 소자(ED2)에서 제공된 출사광(LE)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3 베이스 수지(351) 및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된 제2 파장시프터(3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된 제3 산란체(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351)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베이스 수지(351)는 제1 베이스 수지(3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31)의 구성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시프터(355)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파장시프터(355)는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파장시프터(355)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제2 파장시프터(355)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제1 파장시프터(34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파장시프터(345) 및 제2 파장시프터(355)는 모두 양자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파장시프터(355)를 이루는 양자점의 입자 크기는 제1 파장시프터(345)를 이루는 양자점의 입자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산란체(353)는 제3 베이스 수지(35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3 베이스 수지(35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산란체(35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3 산란체(35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2 산란체(34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에는 제3 발광 소자(ED3)에서 방출된 출사광(LE)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파장시프터(355)는 제3 발광 소자(ED3)에서 제공된 출사광(LE)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청색광인 출사광(LE) 중 일부는 제2 파장시프터(355)에 의해 녹색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투과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컬러 필터(233)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출사광(LE) 중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에 의해 변환된 녹색광은 제2 컬러 필터(233)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제2 투광 영역(TA2)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제2 광(LO2)은 녹색광일 수 있다.
뱅크 패턴(370),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상에는 제3 캡핑층(393)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캡핑층(393)은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캡핑층(393)은 비표시 영역(NDA)에도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도 1의 NDA)에서 제3 캡핑층(393)은 제2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광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캡핑층(393)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뱅크 패턴(37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제3 캡핑층(393)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2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캡핑층(393)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캡핑층(393)은 제2 캡핑층(39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2 캡핑층(391)의 설명에서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1) 및 제3 캡핑층(393)이 모두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2 캡핑층(391)과 제3 캡핑층(393)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무기-무기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DA)에서 색변환 기판(30)과 표시 기판(10) 사이에는 실링 부재(50)가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봉지층(170)과 중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 부재(50)는 하부 무기층(171) 및 상부 무기층(175)과 중첩하고 상기 유기층(173)과는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50)는 봉지층(17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 부재(50)는 상부 무기층(175) 바로 위에 위치하고 상부 무기층(175)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50)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부 무기층(175) 및 하부 무기층(171)은 실링 부재(5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컬러 패턴(250), 제1 컬러 필터(231) 및 뱅크 패턴(370)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50)는 뱅크 패턴(370)을 커버하는 제3 캡핑층(393)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색변환 기판(30), 표시 기판(10) 및 실링 부재(50)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제(70)가 위치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몇몇 실시예에서 충진제(70)는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캡핑층(393) 및 봉지층(170)의 상부 무기층(175)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경우,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를 실링 부재(50)와 표시 영역(DA)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는 상술된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위치하고 캐소드 전극(CE)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연결 전극(CNE), 및 전원 공급 배선(VSL)일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ESD)의 방출 통로로서,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을 제외한 제2 변(L2) 내지 제4 변(L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위치하고 캐소드 전극(CE)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연결 전극(CNE), 및 전원 공급 배선(VSL)을 이용하면,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정전기 방출 통로로서, 애노드 전극(AE1~AE3)과 동일층에 위치하는 연결 전극(CNE)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링을 제1 도전층만을 이용하여 형성될 경우 대비하여 색 변환 기판(30)으로부터 상기 정전기 방출 통로까지의 자체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표시 영역(DA) 내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에 인접한 영역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2 변(L2) 내지 제4 변(L4)에 인접한 영역에서도 캐소드 전극(CE)이 비표시 영역(NDA)에서 연결 전극(C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전극(CNE)과 접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3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1 변(L1)에 인접한 영역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장치(1)의 제2 변(L2) 내지 제4 변(L4)에 인접한 영역에서도 캐소드 전극(CE)이 비표시 영역(NDA)에서 연결 전극(C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전극(CNE)과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평면상 실링 부재(50)와 표시 영역(DA)의 사이에 위치한 정전기 유도 패턴(E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10)은 정전기 유도 패턴(E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제1 싱크 패턴일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전원 공급 배선(VSL)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댐 부재(DM)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제2 댐(D2)과 두께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이 제2 댐(D2)과 두께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될 경우,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제2 절연층(117)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부 댐 패턴(D21)은 정전기 유도 패턴(EIP)의 표시 영역(DA)에 더 가까운 상면, 및 측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무기층(171), 및 상부 무기층(175)은 정전기 유도 패턴(EIP)의 나머지 상면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무기층(171)은 정전기 유도 패턴(EIP)의 상기 나머지 상면, 및 측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은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의 방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평면상 실링 부재(50)와 표시 영역(DA)의 사이에 위치한 정전기 유도 패턴(EIP)을 더 포함함으로써,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색 변환 기판(30)은 제3 캡핑층(393)과 충진제(70) 사이에 배치된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0에 따른 표시 장치(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색 변환 기판(30)은 제3 캡핑층(393)과 충진제(70) 사이에 배치된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은 제2 싱크 패턴일 수 있다.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은 표시 기판(10)의 정전기 유도 패턴(EIP)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색 변환 기판(30)으로 유입된 정전기는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으로 유도(또는 유입)되고, 색 변환 기판(30)의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으로 유입된 정전기는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된 표시 기판(10)의 정전기 유도 패턴(EIP)으로 유입(또는 유도)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평면상 실링 부재(50)와 표시 영역(DA)의 사이에 위치한 정전기 유도 패턴(EIP_1)을 더 포함함으로써,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1)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상기 컬러 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싱크 패턴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표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의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도전층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은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공급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애노드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층, 및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애노드 전극을 부분적으로 누출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싱크 패턴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는 표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의 단부는 상기 화소 정의막의 단부의 내측에 위치한 표시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패턴에 직접 접촉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분리된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하부 무기층, 상기 하부 무기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상부 무기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하부 무기층 및 상기 상부 무기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상부 무기층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댐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무기층 및 상기 상부 무기층은 상기 댐 부재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댐 부재와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된 제1 싱크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제1 베이스부를 바라보는 일면 상에 배치된 제2 싱크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싱크 패턴은 상기 제1 싱크 패턴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캡핑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 상에 위치하는 제2 캡핑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2 캡핑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제2 캡핑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충진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제는, 상기 제2 캡핑층, 상기 봉지층 및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정의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고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비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싱크 패턴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정전기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 및
상기 컬러 필터 상에 위치하는 파장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의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전극과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패턴은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싱크 패턴은 전원 공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공급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 패턴에 직접 접촉되며,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분리된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9172A KR20210152632A (ko) | 2020-06-08 | 2020-06-08 | 표시 장치 |
US17/338,461 US20210384283A1 (en) | 2020-06-08 | 2021-06-03 | Display device |
EP21178224.8A EP3923342A1 (en) | 2020-06-08 | 2021-06-08 | Display device |
CN202110638180.6A CN113838992A (zh) | 2020-06-08 | 2021-06-08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9172A KR20210152632A (ko) | 2020-06-08 | 2020-06-08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2632A true KR20210152632A (ko) | 2021-12-16 |
Family
ID=7635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9172A KR20210152632A (ko) | 2020-06-08 | 2020-06-08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84283A1 (ko) |
EP (1) | EP3923342A1 (ko) |
KR (1) | KR20210152632A (ko) |
CN (1) | CN113838992A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9904B1 (ko) * | 2012-11-06 | 2019-11-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
KR102610710B1 (ko) * | 2016-06-10 | 2023-12-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CN206833100U (zh) * | 2017-06-27 | 2018-01-0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102617812B1 (ko) * | 2018-05-10 | 2023-12-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 장치 |
CN109192767B (zh) * | 2018-11-01 | 2020-08-21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KR20200055846A (ko) * | 2018-11-13 | 2020-05-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09920935B (zh) * | 2019-03-18 | 2021-08-10 |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2020
- 2020-06-08 KR KR1020200069172A patent/KR2021015263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6-03 US US17/338,461 patent/US20210384283A1/en active Pending
- 2021-06-08 CN CN202110638180.6A patent/CN113838992A/zh active Pending
- 2021-06-08 EP EP21178224.8A patent/EP3923342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23342A1 (en) | 2021-12-15 |
CN113838992A (zh) | 2021-12-24 |
US20210384283A1 (en) | 202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6445B1 (ko) | 표시 장치 | |
EP3926685A2 (en) | Display device | |
KR20210156371A (ko) | 표시 장치 | |
KR20220014426A (ko) | 표시 장치 | |
EP3958324B1 (en) | Display device | |
KR20220000388A (ko) | 표시 장치 | |
US20230263034A1 (en) | Display device | |
CN219322900U (zh) | 显示装置 | |
KR20220099595A (ko) | 표시 장치 | |
CN219288079U (zh) | 显示装置 | |
KR20210152632A (ko) | 표시 장치 | |
CN219761827U (zh) | 包括发光元件的衬底和显示装置 | |
US20230413632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230380228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230411561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240006102A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30077801A (ko) | 표시 장치 | |
KR20240020736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