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33A -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 Google Patents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6033A KR20210146033A KR1020200063013A KR20200063013A KR20210146033A KR 20210146033 A KR20210146033 A KR 20210146033A KR 1020200063013 A KR1020200063013 A KR 1020200063013A KR 20200063013 A KR20200063013 A KR 20200063013A KR 20210146033 A KR20210146033 A KR 202101460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beverage
- lid
- stored
- storage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 건 발명은 음료, 컵 분리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거대 몸체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를 이용하여 컵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컵에 들어 있는 음료수와 얼음인 내용물을 쏟아 용이하게 분리 수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In particular, by opening the lid of the cup using the lid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collection stand body, the beverage and ice contents in the cup can be poured and collected easily. made it possible
일반적으로 종이, 플라스틱 컵(이하, "일회용 컵"이라 함)은 편리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 판매기를 통하여 커피나 여러 가지의 음료수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paper and plastic cu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posable cups”) are widely used due to their convenience, and coffee or various beverages can be consumed through vending machines.
일회용 컵은 하루에도 많은 량이 사용 후 버려지고 있으며, 사용이 끝난 대부분은 쓰레기통 등으로 버려지는 과정에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컵 수거함이 사용되고 있다.A large amount of disposable cups are thrown away after use every day, and various types of cup collection boxes are used to prevent economic loss in the process of being thrown away in trash cans.
컵 수거함의 예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497호(2000.02.14.)의 종이컵 분리 수거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종이컵 분리 수거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종이컵을 투입구로 투입하면, 저장통의 내측 하부에 차례로 적층되어 보관되고, 저장통에 종이컵이 가득 차게 되면 수거함을 뒤집어 투입구를 통하여 적층된 종이컵을 인출하여 회수하도록 하였으나, 커피, 음료수 등 마시다가 남은 잔여 내용물이 컵에 담긴 채로 버려짐에 따라 수거시 컵에 남아있던 내용물이 쓰레기통 내에 쏟아져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부패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고 있어, 수거 및 보관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n example of the cup collection box, the paper cup separation collector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6497 (February 14, 2000) was proposed, and the proposed paper cup separation collector puts the used paper cup into the inlet, and is sequentially locat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torage box. When the storage bin is filled with paper cups, the collection box is turned over and the stacked paper cups are pulled out through the inlet to be recover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were spilled into the trash can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or to rot and cause a bad odor, making it difficult to collect and store.
또한,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일회용 종이컵의 경우, 재활용을 위해 종이컵에 덮혀져 있는 플라스틱 뚜껑을 별도로 분리한 후 이를 처리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isposable paper cup having a plastic li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the plastic lid covered on the paper cup must be separately separated and then processed for recycling.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095830호(2019.08.16.)의 컵 뚜껑 분리부를 구비한 분리수거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분리수거장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본체부의 상단부에 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 위한 컵 뚜껑 분리부가 구비되고, 컵 뚜껑 분리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본체부 내에 상측에서 떨어지는 뚜껑과 내용물 중 뚜껑을 걸러내는 제1 필터가 구비되고, 제1 필터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거하기 위한 잔여물 수거부가 제1 필터에 하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부내에 구비되어 컵이 많이 버려지는 장소에 설치됨으로써, 컵과 컵안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 컵을 분리 수거하고, 자원 절약과 환경 오염 방지를 생활화하여 쾌적한 생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였으나, 내용물이 분리된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아 불편함이 있었고, 뚜껑과 내용물이 같이 떨어져 제1필터에 의하여 분리되는 과정에서 뚜껑이 내용물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뚜껑이 착탈식이 아닌 밀봉된 형태를 가질 경우, 분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having a cup lid separation unit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5830 (2019.08.16.) has been proposed, and the proposed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removes the lid from the cup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 cup lid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is provided, and a lid falling from the upper side and a first filter filtering the lid among conten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located below the cup lid separation unit, and for collecting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The residue collecting par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ilter and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ot of cups are thrown away, so that the cup and the contents in the cup can be stored separately, and the user can separate the cup by himself and save resources. Although it was made to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space 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t was inconvenient because conditions were not prepared to store the cup with the contents separated. There was a problem of contamination by the contents, and when the lid had a sealed form rather than a detachable typ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separated.
이 건 발명은 수거대 몸체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를 이용하여 컵에 착탈 가능하게 덮혀진 뚜껑 및 밀봉된 상태로 덮혀진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고, 뚜껑이 오픈된 컵을 기울여 컵에 들어 있는 음료수와 얼음인 내용물을 쏟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이 분리된 컵이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 보관되도록 한 것이다.This invention uses the lid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body of the collection stand so that the lid removably covered with the cup and the lid covered in a sealed state are opened, and the beverage and ice in the cup are tilted by tilting the lid with the lid open. The phosphorus contents are pour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cups from which the contents are separated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size.
이 건 발명은 컵(CP)에서 쏟은 음료가 흘러 저장되는 음료 저장부(100)가 구비되고, 음료를 쏟아 빈 컵(CP)이 보관되는 컵 보관부(200)로 구비된 음료, 컵 분리 수거대(A)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저장부(100)는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 오븐부(300)가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컵(CP)에 들어 있던 음료를 쏟아 부으면 하부로 흘러 저장되도록 하는 음료 깔대기부(110)가 상기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음료 깔대기부(110)의 하부에 음료 저장통(120)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컵 보관부(200)는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로 구비된 컵 삽입홀(210)의 하부에 컵 가이드(220)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컵 가이드(220)의 하단에 컵 받침부(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뚜껑 오픈부(300)는 수직부재(310)의 상단에 경사부재(320)의 하단이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상단에 수평부재(330)가 절곡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330)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컵(CP)에 덮혀진 뚜껑(CO)의 중앙 부분에 닿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내측에 찬넬형 걸림편(340)이 구비되어 뚜껑(CO)의 가장자리가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뚜껑 오픈부(300)는 철취 블레이드(351)를 갖는 절취편(350)으로 구비되어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을 찔러 절취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절취 블레이드(351)는 절취 요부(351a)와 절취 철부(351b)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절취편(350)은 수평,수직 배열의 형태를 갖도록 음료 깔때기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t-off
한편, 이 건 발명의 상기 컵 가이드(220)는 다수개의 수직봉(221)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컵 받침부(230)는 컵빠짐홀(231)이 구비된 컵 걸림링(231)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수직봉(221)은 컵 받침부(230)의 컵 걸림링(231)에 등간격으로 구비됨으로써, 음료와 얼음 등이 쏟아져 비어 있는 상태의 컵(CP)이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낙하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무게를 줄이는 가운데 컵 보관부(200)에 보관된 컵(CP)을 역방향으로 꺼내 처분 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이 건 발명의 상기 컵 보관부(200)의 컵 삽입홀(210)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컵(CP)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중,소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컵 걸림링(231)은 상부의 컵 삽입홀(210)에 갯수에 따라 구비되며, 컵 걸림링(231)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대,중,소 3개로 이루어진 중간 부분이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 건 발명은 수거대 몸체에 뚜껑 오픈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컵에 착탈 가능하게 덮혀진 뚜껑 및 밀봉된 상태로 덮혀진 뚜껑이 용이하게 오픈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lid opening part is provided in the collection stand body, so that the lid removably covered by the cup and the lid covered in a sealed state can be easily opened.
또한, 이를 통해 내용물이 남아 있는 컵의 뚜껑이 오픈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pouring out while the lid of the cup with the remaining contents is opened.
또한, 이를 통해 컵과 컵에 들어 있는 음료수와 얼음인 내용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cup and the beverage and the ice contained in the cup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컵과 내용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컵은 컵대로 내용물은 내용물대로 분리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up and the contents are separated, the cup is stored as the cup and the contents are stored separately as the contents,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또한, 컵이 크기에 따라 종류별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분리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많은 량의 컵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ps are stored separately and stored sequentially in a stacked state according to the siz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toring a large amount of cups in a limited space.
그리고 이를 통해 쾌적한 주변 환경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is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pleasant surrounding environment.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에 의하여 컵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가운데 뚜껑이 분리된 컵이 컵 보관부에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에 의하여 컵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가운데 뚜껑이 분리된 컵이 컵 보관부에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with the lid separated in the middle is stacked in the cup storage unit so that the lid of the cup is opened by the lid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s with the lids removed are stacked in the cup storage unit while the lids of the cups are opened by the lid opening unit provided in th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에 의하여 컵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가운데 뚜껑이 분리된 컵이 컵 보관부에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에 구비된 뚜껑 오픈부에 의하여 컵의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가운데 뚜껑이 분리된 컵이 컵 보관부에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separated, and FIG. 3 is a bever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with the lid separated in the middle so that the lid of the cup is opened by the lid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is stacked in the cup storage part, Figure 4 is a bever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is gu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with the lid separated from the cup is stacked in the cup storage unit while the lid of the cup is opened by the lid opening part provided in the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이 건 발명에 따른 음료, 컵 분리 수거대는 컵(CP)에 착탈 가능하게 덮혀진 뚜껑(C0) 및 밀봉된 상태로 덮혀진 뚜껑(CO')이 용이하게 오픈되도록 하는 가운데 컵(CP)에 들어 있는 음료수와 얼음인 내용물이 용이하게 분리되어 각각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이며, 주변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P)에서 쏟은 음료가 흘러 저장되는 음료 저장부(100)가 구비되고, 음료를 쏟아 빈 컵(CP)이 보관되는 컵 보관부(200)로 구비되어 있다.The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middle cup (CP) so that the lid (C0) removably covered with the cup (CP) and the lid (CO') covered in a sealed state can be easily opened. As the beverage and ice content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stored, the space utilization rate is increase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comfortably. A
여기에서, 상기 음료 저장부(100)는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이 분리되도록 뚜껑 오븐부(300)가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컵(CP)에 들어 있던 음료를 쏟아 부으면 하부로 흘러 저장되도록 하는 음료 깔대기부(110)가 상기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기 음료 깔대기부(110)의 하부에 음료 저장통(120)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Here, in the
상기 컵 보관부(200)는 내용물이 분리되어 비어 있는 상태의 컵(CP)이 보관되도록 한 것으로,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로 구비된 컵 삽입홀(210)의 하부에 컵 가이드(220)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컵 가이드(220)의 하단에 컵 받침부(230)가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컵 보관부(200)에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컵(CP)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컵 삽입홀(210)의 크기, 직경이 대,중,소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storing cups CP having various sizes in the
이는 컵 보관부(200)의 내부로 보관되어지는 컵(CP)의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 컵(CP)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되거나, 컵(CP)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 컵 보관부(200)에 보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when the size of the cup CP stored in the
상기 컵 가이드(220)는 다수개의 수직봉(221)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무게를 가볍게 하고, 외부로부터 컵(CP)이 분리 보관된 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분리 보관된 컵(CP)을 역방향으로 용이하게 꺼내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컵 받침부(230)는 컵 빠짐홀(231)이 구비된 컵 걸림링(231)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초 컵 가이드(220)를 통해 삽입된 컵(CP)의 하단이 소정 길이로 컵 빠짐홀(231)을 통해 하부로 빠짐과 동시에 컵 걸림링(231)에 의하여 컵(CP)의 상단 부분이 걸려지도록 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컵(CP)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컵 걸림링(231)은 상부의 컵 삽입홀(210)에 갯수에 일치되게 구비되며, 컵 걸림링(231)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중,소 3개로 이루어진 것이 중간 부분이 하나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뚜껑 오픈부(300)는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수직부재(310)의 상단에 경사부재(320)의 하단이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상단에 수평부재(330)가 절곡되게 구비되어 있다.The lid
상기 수평부재(330)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짐으로써,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의 중앙 부분에 닿아 눌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내측에 찬넬형 걸림편(340)이 구비되어 뚜껑(CO)의 가장자리가 걸려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뚜껑 오픈부(300)는 컵(CP)에 뚜껑(CO)이 착탈 가능하게 덮혀진 것을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이는 도4의 우측 상부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재(320)의 내측에 구비된 찬넬형 걸림편(340)에 뚜껑(CO)의 가장자리가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컵(CP)을 화살표 방향으로 기울임과 동시에 뚜껑(CO)의 중앙 부분이 수평부재(330)는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컵(CP)을 더 젖히게 됨과 동시에 병 오프너를 이용하여 병 뚜껑이 오픈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뚜껑(CO)이 컵(CP)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upper right of FIG. 4, the cup (CP)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lid (CO) is hung on the channel-type engaging piece (34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inclined member (320) At the same time as til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한편, 이러한 형태의 뚜껑 오픈부(300) 이외에 철취 블레이드(351)를 갖는 절취편(350)이 음료 깔대기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도록 할 경우, 내부에 음료수와 얼음인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된 상태로 덮혀진 뚜껑(C0')이 용이하게 절취,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밀봉된 상태로 덮혀져 있는 뚜껑(CO')이 절취되는 과정에서 컵(CP)의 외부로 쏟아진 내용물은 음료 깔대기부(110)를 따라 하부로 흘러 음료 저장통(120)에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t-out
상기 절취 블레이드(351)를 갖는 절취편(350)을 이용하여 컵(CP)에 밀봉된 상태로 덮혀진 뚜껑(C0')은 사용자가 컵(CP)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뚜껑(CO')을 절취편(350)에 같다 대고 힘을 가함과 동시에 뚜껑(CO')이 절취편(350)에 찔려지게 되면서 관통되고, 컵(CP)을 회전 시킴과 동시에 절취 블레이드(351)에 의하여 뚜껑(CO')이 절취된 상태로 오픈될 수 있게 된다.The lid C0' covered in a sealed state on the cup CP using the cut-
이를 위해, 상기 상기 절취 블레이드(351)는 절취 요부(351a)와 절취 철부(351b)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기 절취편(350)은 수평,수직 배열의 형태를 갖도록 음료 깔때기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컵(CP)의 뚜껑(CO')이 절취되어 오픈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100:음료 저장부 110:음료 깔대기부
120:음료 저장통 200:컵 보관부
210:컵 삽입홀 220:컵 가이드
230:컵 받침부 300:뚜껑 오븐부
310:수직부재 320:경사부재
330:수평부재 340:찬넬형 걸림편
350:절취편 351:철취 블레이드
351a:절취 요부 351b:절취 철부
400:수거대 몸체100: beverage storage unit 110: beverage funnel unit
120: beverage storage container 200: cup storage unit
210: cup insertion hole 220: cup guide
230: cup support unit 300: lid oven unit
310: vertical member 320: inclined member
330: horizontal member 340: channel-type jamming piece
350: perforated piece 351: removed blade
351a:
400: collection stand body
Claims (5)
상기 음료 저장부(100)는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 오븐부(300)가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컵(CP)에 들어 있던 음료를 쏟아 부으면 하부로 흘러 저장되도록 하는 음료 깔대기부(110)가 상기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음료 깔대기부(110)의 하부에 음료 저장통(120)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컵 보관부(200)는 수거대 몸체(400)의 상부로 구비된 컵 삽입홀(210)의 하부에 컵 가이드(220)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컵 가이드(220)의 하단에 컵 받침부(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분리 수거대.
A beverage storage unit 100 in which a beverage spilled from the cup CP flows and is stored is provided, and a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A) provided as a cup storage unit 200 in which an empty cup CP is stored by pouring beverages. In
The beverage storage unit 100 has a lid oven unit 300 for separating the lid CO provided in the cup CP to be provid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stand body 400, and to the cup CP. A beverage funnel unit 110 that flows downward to be stored when the beverage is poured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ollection body 400, and the beverage storage container 12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funnel unit 110. Provided to be replaceable, the cup storage uni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up guide 2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insertion hole 21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on stand body 400, and the cup guide ( Beverage and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support 2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220).
상기 뚜껑 오픈부(300)는 수직부재(310)의 상단에 경사부재(320)의 하단이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상단에 수평부재(330)가 절곡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330)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컵(CP)에 덮혀지게 구비된 뚜껑(CO)의 중앙 부분에 닿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경사부재(320)의 내측에 찬넬형 걸림편(340)이 구비되어 뚜껑(CO)의 가장자리가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분리 수거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open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member 320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10, and the horizontal member 330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member 320, The horizontal member 330 extends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CO provided to be covered with the cup CP, and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inclined member 320 with a channel-type engaging piece ( 340) is provided so that the edge of the lid (CO) is hung on the beverage,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상기 뚜껑 오픈부(300)는 철취 블레이드(351)를 갖는 절취편(350)으로 구비되어 컵(CP)에 구비된 뚜껑(CO)을 찔러 절취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분리 수거대.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open part 300 is provided as a cut-out piece 350 having a detachable blade 351, and is provided to cut through the lid CO provided on the cup CP.
상기 절취 블레이드(351)는 절취 요부(351a)와 절취 철부(351b)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분리 수거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utting blade 351 is a beverage, cup separation collection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recess (351a) and the cutting convex part (351b) are repeatedl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절취편(350)은 수평,수직 배열의 형태를 갖도록 음료 깔때기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컵 분리 수거대.4. The method of claim 3,
The cut-off piece 350 is a beverage, cup separ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funnel portion 110 to have a horizontal and vertical arrang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013A KR20210146033A (en) | 2020-05-26 | 2020-05-26 |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3013A KR20210146033A (en) | 2020-05-26 | 2020-05-26 |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6033A true KR20210146033A (en) | 2021-12-03 |
Family
ID=7886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3013A KR20210146033A (en) | 2020-05-26 | 2020-05-26 |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6033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5830A (en) | 2018-02-07 | 2019-08-16 | 김보광 | 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
-
2020
- 2020-05-26 KR KR1020200063013A patent/KR20210146033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5830A (en) | 2018-02-07 | 2019-08-16 | 김보광 | Liquid and solid separating device includinig cup lid sepa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87655B2 (en) |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beverage capsules | |
US20110027426A1 (en) | Product tablet and related pack | |
US20120279930A1 (en) | Grease separation and disposal system | |
KR20210146033A (en) | Drink and the cup separation collecting stand | |
CA2777850A1 (en) | Grease separation and disposal system | |
KR102018024B1 (en) | Waste can dolly | |
EP1012107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open-topped cylindrical containers from closed topped cylindrical containers | |
WO2013143706A1 (en) | Container for food products immersed in liquid | |
RU2801899C1 (en) | Device for collecting, stacking and storing used cups, as well as for collecting straws and lids for cups and for collecting remaining liquid from cups | |
CN212465629U (en) | Improved beverage cup | |
EP2846666A1 (en) | Method, cartridge and apparatus for mixing beverages | |
US5636670A (en) | Oil/liquid recovery system | |
CN208915814U (en) | A kind of bottle cap and bottle | |
CN101564270B (en) | Improved beverage soaking device structure | |
FR2654083A1 (en) | Container for selective collecting of waste | |
KR200266323Y1 (en) | Paper cup vessel | |
CN110466922A (en) | Automatic garbage classification collection device | |
KR20090009933U (en) | Constant feed structure for Instant coffee bag | |
CN214441794U (en) | Plastic bottle recovery unit is used in campus stadium | |
US20230381790A1 (en) | Sorting and compacting system for an aircraft | |
JP201109288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 | |
KR102730459B1 (en) |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automatic processing device | |
KR200201745Y1 (en) | Drink tool | |
KR101979900B1 (en) | Collection device of disposable vessel and dispossal vessel applyed thereof | |
KR200238059Y1 (en) | Device for Retrieval Of Disposable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