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33A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Google Patents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5133A KR20210135133A KR1020200053473A KR20200053473A KR20210135133A KR 20210135133 A KR20210135133 A KR 20210135133A KR 1020200053473 A KR1020200053473 A KR 1020200053473A KR 20200053473 A KR20200053473 A KR 20200053473A KR 20210135133 A KR20210135133 A KR 20210135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cutting
- polishing
- cutting edge
- g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쌀을 만드는 공정은 논에서 생산된 벼를 탈부(벼에서 왕겨를 벗기는 작업)공정을 거쳐 현미로 가공하고, 현미는 정백(현미의 표면층을 제거하는 작업)공정을 거쳐 백미(쌀)로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데 이때 정백공정에 사용되는 기계 즉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기계를 “정미기”라고 한다.
기존 백미 가공을 위한 정백 기술은 주로 연삭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현미에 작은 흠집을 내후 현미끼리 마찰시켜 가공한후 백미의 표면을 습식 연미방식을 사용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3연좌 정미 가공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연미 기능을 구비한 금망에 정미기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기존의 정미기의 정미용 절삭날 외측에 결합되는 정미용 금망 후단에 연미용 금망을 결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정미 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구비한 정미기 금망 및 그 금망를 구비한 정미기를 개발하여 우리가 주식으로하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 백미 가공을 위한 정백 기술은 주로 연삭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현미에 작은 흠집을 내후 현미끼리 마찰시켜 가공한후 백미의 표면을 습식 연미방식을 사용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3연좌 정미 가공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연미 기능을 구비한 금망에 정미기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기존의 정미기의 정미용 절삭날 외측에 결합되는 정미용 금망 후단에 연미용 금망을 결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정미 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구비한 정미기 금망 및 그 금망를 구비한 정미기를 개발하여 우리가 주식으로하는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쌀을 만드는 공정은 논에서 생산된 벼를 탈부(벼에서 왕겨를 벗기는 작업)공정을 거쳐 현미로 가공하고, 현미는 정백(현미의 표면층을 제거하는 작업)공정을 거쳐 백미(쌀)로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데 이때 정백공정에 사용되는 기계 즉 현미를 백미로 가공하는 기계를 “정미기”라고 한다.
기존 백미 가공을 위한 정백 기술은 주로 연삭 후 마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현미에 작은 흠집을 내후 현미끼리 마찰시켜 가공한 후 백미의 표면을 습식 연미방식을 사용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3연좌 정미 가공기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연미 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이 포함된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식 정미기에 있어서, 기존의 정미기의 정미용 절삭날 조립체와 결합되는 정미용 금망 후단에 연미용 금망을 결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정미 기능과 건식 연미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를 구비한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3연좌식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연삭숫돌을 이용하여 현미의 표면에 작은 흠집을 내어 쌀표면의 마찰계수를 증대시킨 후 쌀끼리 비며 마찰에 의하여 현미의 표면을 깍아내어 백미를 생산한후 연미기를 통하여 백미에 붙어있는 미강을 제거하여 쌀을 생산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삭숫돌과 및 마찰을 이용하여 쌀을 생산하는 방식은 쌀을 마찰하는 과정에서 열 발생이 많고, 쌀알 중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배아 부분이 필요 이상 깎여 나가 쌀 손실이 많으며, 마찰과정에서 쌀눈도 많이 손실되고, 쌀의 표면에 미세한 흠집이 나며, 이 흠집에 미강이 달라붙어 쌀의 탁도가 높아져 미관상 좋지 않아 소비자가 잘 선호하지 않았다.
이에 쌀 표면을 좀 더 매끄럽게 하고, 쌀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미강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미 공정을 거처야 했는데, 연미공정 중 건식 연미 공정은 미강제거가 완전하지 않아 원하는 수준의 깨끗한 쌀을 생산하기 어렵고, 습식 연미공정은 쌀의 표면을 보다 매끄럽고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지만, 쌀 표면에 남아 있는 습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폐가 진행되어 백미 표면에 백화현상이 빠르게 발생하여 소비자 불만과 쌀을 반품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도 1b, 1c의 선행기술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9094호 (2000. 4.15.공고)에 기재된 것으로, 정미기 케이스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에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 링 조립체와 절삭링 조립체에 간격을 두고 스크린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250)에는 현미를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260)가 절삭 링 조립체의 일측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절삭링 조립체는 지지축의 외부에 절삭링과 간격링이 번갈아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 링 조립체(10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b, 1c에 도시된 절삭날을 이용한 절삭정미 방법은 현미의 표면을 절삭날을 이용하여 깎아내는 방식이어서 3연좌식보다 동력 손실이 적고(연삭마찰식 200g/㎠ , 절삭식 50g/㎠), 현미의 표면이 균질하게 절삭되어 불필요한 쌀 손실이 적었으며, 현미의 절삭 표면이 비교적 깨끗하여, 별도의 연미 공정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자들이 보다 깨끗한 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어, 절삭 가공한 쌀이라도 더욱 깨끗하게 가공하기 위하여 연미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도 1d의 선행기술2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84236(2005. 5. 12. 공고)에 기재된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쌀 눈이 붙어 있는 쌀 배아미를 도정하는 배아미 도정기에 있어서, 1차 정미 장치에서 배아가 90% 이상 붙어 있는 배아미를 흔들 이송채를 거쳐 2차 연미 장치 이송스크류를 통해 원형 오목타공금망 내측으로 이송하여 타공 금망내에서 양날개형 로더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타공금망 내측에 형성된 원형 오목 타공구멍에 의해서 1단의 정미 과정 중 호분층 박리시 발생되어 배아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강과 미세 분진 및 싸래기를 제거하여 완전 배아미가 되도록 하면서 배아 부분이 다치지 않고 쌀 표면을 고루 연마 하여 쌀의 보존도 특히 벌레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아율을 높이면서 쌀의 품질를 높이는 방법으로 연미하는 것이 주된 기술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여전히 절삭날을 이용하여 쌀을 정미한 것이 아니라 주로 마찰에 의해 정미가 이루어져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쌀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1단 정미장치와 2단 연미 장치가 분리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종래의 백미 생산방식은 연삭 및 마찰식 정미기와 연미기를 포함한 3연좌 방식이거나 단순이 이들 정미기를 결합하여 놓은 형태여서 본 발명과 같이 절삭식이면서 정미기능과 연미 기능을 구비한 일체식 금망이 구비된 본 발명과 비교하여, 쌀 가공에 에너지 소비가 많고, 열 발생이 많으며, 쌀의 표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특히 필요 이상 현미의 표면(특히 배아부분)이 많이 깎여 나가 쌀의 생산량도 적었고, 습식연미기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폐가 진행되어 쌀의 미관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절삭식 정미기에 건식 연미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일체식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에 개발하여 종래의 3연좌식의 정미기가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정미기는 현미가 스크류(260)를 통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 사이로 밀려들어가면, 정미기의 금망(280)의 전반부(281)에서는 종래와 같이 현미 표면을 절삭을 통하여 정미가 이루어지되, 금망(280)의 후반부(285)에서는 연미기능을 수행하는 금망을 추가로 결합하여, 하나의 금망(280)으로 정미 기능과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정미기 본체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250)에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260)와 연이어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동일축 상에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둘러싸여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날 조립체(16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백미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을 설명하면,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에는 지지축(110)이 구성되고, 지지축의 외부에는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120)과 간격링(130)이 번갈아 끼워지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금망(280)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금망(280)은 2개 부분으로 형성하되, 2개부분이 하나의 통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260)측 전반부는 정미부(281)로 구성되고, 백미 배출구(230)측에는 연미부(28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정미기능과 건식 연미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 백미 생산방식은 3연좌 습식정미기(연삭+마찰+습식연미기)와 비교하여, 쌀 가공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가 적고, 열 발생이 적으며, 쌀의 표면이 깨끗하며, 특히 필요 이상 현미의 표면(특히 배아부분)이 많이 깎여 나가지 않으므로 쌀의 생산량이 많다.
또한, 습식 연미기와 비교하여서는 쌀을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산폐가 진행되지 않아 쌀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없고, 하나의 기계에 연미기와 정미기를 통합 설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우며, 설치에 자리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정미기와 연미기 개략도
도 1a) 종래기술에 따른 연삭, 마찰 및 습식연미기 개념도
도 1b 및 1c) 절삭방식의 정미기 개략도
도 1d)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 기능이 일체화된 정미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금망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절삭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 조립체
도 1a) 종래기술에 따른 연삭, 마찰 및 습식연미기 개념도
도 1b 및 1c) 절삭방식의 정미기 개략도
도 1d)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 기능이 일체화된 정미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금망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미기능을 갖는 정미기 절삭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 조립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절삭식 정미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정미기는 현미가 스크류(260)를 통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 사이로 밀려들어가면, 정미기의 금망(280)의 전반부(281)에서는 종래와 같이 현미 표면을 절삭을 통하여 정미가 이루어지되, 금망(280)의 후반부(285)에서는 연미기능을 수행하는 금망을 추가로 결합하여, 하나의 금망(280)으로 정미 기능과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정미기 본체에 구동축(2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축(250)에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260)와 연이어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날 조립체(160)가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동일축 상에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둘러싸여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260)의 상부에는 현미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50)은 베어링(29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모터에 연결된 풀리(2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 받는다.
절삭날 조립체(160)의 말단 부근에는 도정된 쌀알이 배출되기 위한 백미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절삭날 조립체(160)을 설명하면,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에는 지지축(110)이 구성되고, 지지축의 외부에는 현미를 절삭하는 절삭링(120)과 간격링(130)이 번갈아 끼워지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금망(280)이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금망(280)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금망(280)은 2개 부분으로 형성하되, 2개부분이 하나의 통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스크류(260)측 전반부는 정미부(281)로 구성되고, 백미 배출구(230)측에는 연미부(285)로 구성된다.
상기 정미부(281)는 현미의 외부를 깎아내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사선방향으로 긴 슬릿형 통공(282)이 다수 설치된다. 이 슬릿형 통공(282)은 절삭날 조립체(160)가 회전할 때 쌀알의 표면을 절삭하는 기능을 일부 담당하면서, 쌀겨를 외부로 배출한다. 쌀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송풍방법을 이용하는데, 공기를 압송하거나 빨아들이는 송풍기(미도시)로 공기가 구동축 내부에 설치된 통공을 경유하여 간격링(130)에 설치된 공기통로(132)를 통하여 금망(280)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절삭과정에서 발생한 쌀껴를 금망(280)외부로 배출하여 쌀알을 깨끗이 하면서 쌀알을 냉각 시킨다. 이때 간격링에 설치된 통공(132)은 쌀알 보다 커서 쌀알이 절삭날 조립체(160)와 절삭날 조립체(160) 외부와 금망(280)의 내부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금망(280)의 슬릿형 통공(282)은 쌀알 보다 적어 금망(280)외부로 쌀알이 배출되지 않고 금망(280)의 외부로는 쌀겨만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정미부(281)에 연이어 연비부(285)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데 연미부(285)에는 상기 금망(280)의 정미부(281)를 통과한 쌀알이 연미부(285)로 회전하면서 밀려들어 오면, 금망(280)의 연미부(285)의 내에서 절삭날 조립체(160)가 회전하면서 쌀알 간 출동과 마찰, 절삭날 조립체(160)와 금망(280)의 연미부(285)와의 마찰과 일부 적은 절삭작용으로 쌀알에 붙어 있던 미강이 분리되면서 쌀알의 불규칙한 표면을 미끈하게 연미 가공한다.
이와 같이 가공된 쌀알에 붙어 있던 미강은 공기를 압송하거나 빨아들이는 송풍기(미도시)로 제거한다. 즉, 공기가 구동축 내부에 설치된 통공을 경유하여 간격링(130)에 설치된 공기통로(132)를 통하여 금망(280)의 연미부(285)사이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연미과정에서 발생한 작은 쌀껴와 미강을 금망(280)외부로 배출하여 쌀알을 깨끗이 한다. 이때 간격링(20)에 설치된 통공은 쌀알 보다 커서 쌀알이 절삭날 조립체(160)와 절삭날 조립체(160) 외부와 금망(280)의 내부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금망(280)의 원형 통공(286)은 쌀알 보다 적어 금망(280)의 외부로 쌀알이 배출되지 않고 금망(280)외부로는 미강만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정미부(181)의 금망(280)은 일부 절삭기능을 수행하므로 일정이상의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금속판으로 구성하되, 0.5~3.0㎜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1.0~1.5㎜의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표면 경화 강판을 사용한 것이 좋으며, 정미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망(280) 내부에는 나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절삭 유도날(283)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절삭 유도날(283)은 별도의 띠형 강판으로 두께가 0.5~2.0㎜의 강재를 정미부(181)의 금망(280)내부에 용접으로 붙여 구성한다.
다음으로 연미부(181)의 금망(280)은 절삭기능(0.3~0.5%)은 거의 하지 않으며 쌀에 붙어있는 미강을 닦아내거나 쌀표면에 미세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마찰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금속판으로 구성 하되, 그 두께는 0.1~1.5㎜로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0.3~0.7㎜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한 것이 좋으며, 연미효율을 좋게 기 위하여 금망내부에는 나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연미 유도날(287)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연미유도날(287)은 연미부의 외부를 압입하여 가공하고 압입시 내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정미와 연미 기능을 더욱 좋게 하고 절삭날의 수명을 높이기 위하여 절삭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현미는 표면이 비교적 경도가 높고, 현미의 표면에서 들어 갈수록 그 경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절삭날 조립체(160)를 사용하다 보면 절삭날 조립체(160)의 전반부 절삭링(120)은 먼저 무디어 지고, 후반부의 절삭링은 비교적 오래 사용한다, 이에 현장에서는 절삭날 조립체(160)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사용하기도 하지만, 전단부의 절삭링이 먼저 무뎌져서 절삭날 조립체(160)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절삭날 조립체(160)의 후반부는 절삭기능보다는 연미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절삭날이 예리할 필요가 없고 무딘 형상이 연미기능을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따른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절삭날 조립체(160)는 제1차 정미부(161), 제2차 정비부(162) 및 연미부(163)로 3분하여 구성하고, 제1정미부(161)는 비교적 경도가 높아 쉽게 마모되지 않는 세락믹제로 절삭이(123)을 끼움 결합하여 절삭링으로 구성하고, 제2차 정미부(162)의 절삭링(120)은 종래 사용하고 있는 절삭링(120)을 사용하며, 연비부(163)의 절삭이(123)은 모서리부를 보다 완만하게 라운딩지게 가공하여 절삭보다는 마찰 기능을 수행 하도록 한다.
100 : 절삭부 110 : 지지축
120 : 절삭링 122: 절삭통로
123 : 절삭이 130 : 간격링
132 : 간결링 통공 160 : 절삭날 조립체
161 : 제1차정미부 162 : 제2차 정미부
163 : 연비부 200 : 정미기
210 : 본체 220 : 호퍼
230 : 백미 배출구 240 : 미강 배출구
250 : 구동축 260 : 스크류
270 : 풀리 280 : 금망
281 : 정미부 282 : 슬릿형 통공
283 : 정미유도날 285 : 연미부
286 : 원형통공 287 : 연미유도날
290 : 베어링
120 : 절삭링 122: 절삭통로
123 : 절삭이 130 : 간격링
132 : 간결링 통공 160 : 절삭날 조립체
161 : 제1차정미부 162 : 제2차 정미부
163 : 연비부 200 : 정미기
210 : 본체 220 : 호퍼
230 : 백미 배출구 240 : 미강 배출구
250 : 구동축 260 : 스크류
270 : 풀리 280 : 금망
281 : 정미부 282 : 슬릿형 통공
283 : 정미유도날 285 : 연미부
286 : 원형통공 287 : 연미유도날
290 : 베어링
Claims (10)
-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220), 상기 호퍼(220)로부터 투입된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 상기 스크류(260)로 부터 이송된 현미의 표면을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절삭부(100) 및 상기 절삭부(100)으로부터 가공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 배출구(23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200)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된 금망(2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망(280)은 정미 기능을 수행하는 정미부(281)와 건식 연미 기능을 수행 하는 건식 연미부(285)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기는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으로부터 금망(280)외부로 공기를 압송하는 송풍기 및/또는 금망(280) 외부에 설치되어 절삭날 조립체(160)의 내측 공기를 금망(280)외부로 빨아내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에는 쌀알 보다는 큰 크기로 복수개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금망(280)의 정미부(281)에는 쌀알보다 작은 복수개의 경사진 슬리형 통공(282)을 형성하며, 상기 연비부(285)에는 쌀알보다 작은 복수개의 원형의 통공(28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망(280)의 상기 정미부(281)는 상기 연비부(285)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정미부(281)는 연미부(285)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에는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 내측에는 정미 유도날(283)이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연미부(285)의 금망(280)내측에는 연미 유도날(257)이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은 그 두께를 0.5㎜이상 3.0㎜이하로 하고, 상기 정미부(281)의 금망(280)은 그 두께를 0.1㎜이상 1.0㎜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부(281)의 정미 유도날(283)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띠형 강재를 길이방향으로 결합하거나 나선형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미부(285)의 연미 유도날(283)은 금망을 원호형으로 둥글게 압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금망(280) 및 그 금망(28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220), 상기 호퍼(220)로부터 투입된 현미를 이송하는 스크류(260), 상기 스크류로 부터 이송된 현미의 표면을 절삭하여 백미를 생산하는 절삭부(100) 및 상기 절삭부(100)로부터 가공된 백미를 배출하는 백미 배출부(230)을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200)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는 절삭날 조립체(160)와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조립된 통형 금망(28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삭날 조립체(160)는 현미의 외곽부를 절삭하는 1차 정미부(161)와 상기 1차 정미부(162)에서 절삭된 백미를 추가 절삭하는 2차 정미부(162)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2차 정미부(162)가 1차 정미부(161)보다 1.5배 이상 6배 이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8항 있어서,
상기 2차정미부(161)는 2차정미부(161)와 연미부(162)로 구성하고, 상기 연비부(162)의 절삭이(123) 모서리는 둥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그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정미부(161)의 절삭이(123)을 세라믹재로 삽입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미기능을 포함하는 절삭날 조립체(160) 및 그 절삭날 조립체(160)를 포함하는 절삭식 정미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473A KR20210135133A (ko) | 2020-05-04 | 2020-05-04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JP2022567330A JP7519123B2 (ja) | 2020-05-04 | 2021-03-23 | 研米機能を備えた金網及びその金網を含む精米機 |
CN202180007022.9A CN114761133B (zh) | 2020-05-04 | 2021-03-23 | 切削式精米机 |
PCT/KR2021/003599 WO2021225273A1 (ko) | 2020-05-04 | 2021-03-23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473A KR20210135133A (ko) | 2020-05-04 | 2020-05-04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2333A Division KR102166267B1 (ko) | 2020-05-04 | 2020-07-03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133A true KR20210135133A (ko) | 2021-11-12 |
Family
ID=7849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473A KR20210135133A (ko) | 2020-05-04 | 2020-05-04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3513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2444B1 (ko) * | 2022-05-18 | 2022-10-07 | 주식회사 세농테크 | 절삭식 정미기 |
CN116786191A (zh) * | 2023-08-18 | 2023-09-22 | 黑龙江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 一种玉米精细加工组件、装置及使用方法 |
KR102663686B1 (ko) * | 2023-10-17 | 2024-05-10 | 김성관 | 연미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4236Y1 (ko) | 2005-02-16 | 2005-05-12 | (주)참미래 |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 |
KR101687733B1 (ko) | 2016-05-04 | 2016-12-19 |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
-
2020
- 2020-05-04 KR KR1020200053473A patent/KR2021013513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4236Y1 (ko) | 2005-02-16 | 2005-05-12 | (주)참미래 | 정미장치를 겸한 배아미 연미 장치 |
KR101687733B1 (ko) | 2016-05-04 | 2016-12-19 |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2444B1 (ko) * | 2022-05-18 | 2022-10-07 | 주식회사 세농테크 | 절삭식 정미기 |
WO2023224215A1 (ko) * | 2022-05-18 | 2023-11-23 | 주식회사 세농테크 | 절삭식 정미기 |
CN116786191A (zh) * | 2023-08-18 | 2023-09-22 | 黑龙江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 一种玉米精细加工组件、装置及使用方法 |
CN116786191B (zh) * | 2023-08-18 | 2023-11-03 | 黑龙江省农业科学院玉米研究所 | 一种玉米精细加工组件、装置及使用方法 |
KR102663686B1 (ko) * | 2023-10-17 | 2024-05-10 | 김성관 | 연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6267B1 (ko)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
KR20210135133A (ko) | 연미기능을 구비한 금망 및 그 금망을 포함하는 정미기 | |
CN102441453B (zh) | 一种稻谷制米工艺及装置 | |
US20050220952A1 (en) | Corn debranning machine | |
CN114761133B (zh) | 切削式精米机 | |
CN104707680B (zh) | 精磨装置 | |
CN204638248U (zh) | 卧式砂辊碾米机 | |
JP6446897B2 (ja) | 精米機 | |
CN112156826B (zh) | 一种碾米装置及方法 | |
KR101345470B1 (ko) | 라이스 밀 | |
CN105879956A (zh) | 高效节能原粮脱皮脱胚抛光筛选多用机 | |
JP5313982B2 (ja) | 米粉製造方法、及び米粉製造システム | |
KR102452444B1 (ko) | 절삭식 정미기 | |
KR101670387B1 (ko) | 낱알파손방지용 샤프트가 구비된 가정용 도정기 | |
JPH09173876A (ja) | 精穀ロール及び精穀機 | |
KR20190005422A (ko) | 정미기 | |
CN2708999Y (zh) | 大麦脱皮机 | |
KR102587357B1 (ko) | 절삭형 건식 세미기 | |
CN2669976Y (zh) | 新型碾米机 | |
CN220969207U (zh) | 黄酒酿造用精米机 | |
CN218962719U (zh) | 一种卧式碾米机 | |
KR20040054822A (ko) | 소형정미기의 도정롤러 | |
JP2004298801A (ja) | 選別研米装置及び精米機 | |
KR200167771Y1 (ko) | 가정용 정미기의 도정로울러 | |
CN219210040U (zh) | 一种卧式砂辊碾米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