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127655A -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655A
KR20210127655A KR1020210134713A KR20210134713A KR20210127655A KR 20210127655 A KR20210127655 A KR 20210127655A KR 1020210134713 A KR1020210134713 A KR 1020210134713A KR 20210134713 A KR20210134713 A KR 20210134713A KR 20210127655 A KR20210127655 A KR 2021012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extract
gee
frac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유진
이효근
강민철
김현수
김태희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네이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네이처텍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655A/ko
Publication of KR2021012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참도박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방 세포에서 지방산 생성, 저장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 SREBP-1, 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표피 지방, 피하 지방, 말초 지방, 장간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고 지방 식이 유도 마우스 혈청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함량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Grateloupia elliptica}
본 발명은 참도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난 40년 동안 일부 국가에서 과체중과 비만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GHO (Global Health Observatory)는 전 세계 성인 비만이 1975년 이래 거의 3배가 되었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과체중과 비만율이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 비만은 과도한 체지방이 지방세포에 축적된 의학적 상태로, 비만의 주요 요인은 음식 섭취와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이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지방생성의 억제는 비만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비만이 장기화 되면, 다양한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만과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비만제가 개발되어 왔다. 합성 항비만제 중에서 Orlistat(Xenical)은 비만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이 합성 항비만제는 위장장애 및 통증의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합성 비만제의 유해한 부작용으로 인해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천연 항 비만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없는 특유의 대사과정과 독특한 환경으로 인하여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육상생물은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해양생물은 아직 충분하게 연구되지 않아서 새로운 유용성을 가진 천연물질 개발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분야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786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참도박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방 세포에서 지방산 생성, 저장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 SREBP-1, 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표피 지방, 피하 지방, 말초 지방, 장간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고 지방 식이 유도 마우스 혈청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함량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은 홍조류 지누아릿과의 해조로서, 높이는 15~40cm이며, 잎 모양이고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적자색, 노란색, 녹색의 육질인데 마르면 자줏빛으로 변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 또는 분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또는 분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20 내지 100% 알코올,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100%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hanol)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에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여 참도박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를 헥산(hexane, Hex),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부탄올(butanol, BuOH), 물(water, H2O) 순서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잔여 물층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참도박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방 세포에서 지방산 생성, 저장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 SREBP-1, 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표피 지방, 피하 지방, 말초 지방, 장간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고 지방 식이 유도 마우스 혈청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함량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의미한다. 진단 시 신체비만지수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 25 내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유발되며, 혈장으로부터 지방세포로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하여 주로 중성지방의 형태로 축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참도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참도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비만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참도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참도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동결 건조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인간,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참도박, 추출물, 분획물, 비만, 예방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비만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상기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원료 조성물 중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참도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참도박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방 세포에서 지방산 생성, 저장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 SREBP-1, 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표피 지방, 피하 지방, 말초 지방, 장간 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고 지방 식이 유도 마우스 혈청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함량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 3T3-L1 세포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 (GEE)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 24시간 동안 MTT 분석을 이용하여 GEE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각 그룹에서 평균 ±SD (n = 3)로 표시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2. 3T3-L1 세포에서 세포내 지질 축적에 대한 GEE의 효과를 나타낸다. 오일 레드 O 염색에 의해 지질 축적을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를 2일 동안 분화-유도 칵테일로 처리하고 GEE를 8일 동안 3T3-L1 세포에 첨가하였다. 8일 후, 세포내 지질을 오일 레드 O로 염색하고 현미경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었다(A). 지질 함량의 정량은 500 nm에서 염색된 지질 방울(lipid droplets)의 흡광도에 의해 측정하였다(B). 데이터는 각 그룹에서 평균 ±SD (n=3)로 표시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3. 참도박 메탄올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의 오일 레드 O 염색 결과이다.
도 5. 도 4를 정량화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 3T3-L1 세포에서 지방생성 단백질 발현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 (GEE)의 효과를 나타낸다. SREBP-1, PPAR-γ, FABP4의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고 지방생성 단백질 밴드(A)를 정량하여 그래프(B)로 나타냈다. 데이터는 각 그룹에서 평균 ±SD (n=3)로 표시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7. 체중 및 지방 무게 증가에 대한 GEE의 효과를 HFD 유도 마우스에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7주 동안 HFD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GEE로 처리한 후 체중 증가 (A), 7주차 체중 변화 (B), 및 지방 무게(C)의 비교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 그룹에서 평균 ±SD (n=3)로 표시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도 8. HFD 유도 마우스에서 백색 지방조직 및 간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8 주에 모든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백색 지방조직 및 간 조직을 수거하고, 고정한 후, H&E 염색하여 조직학적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간 조직(A)에서 지질 방울(lipid droplet)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지질 축적을 나타냈고, 백색 지방 세포의 세포 수 및 크기를 이미지 제이(image J)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각 그룹에서 평균 ±SD (n=3)로 표시된다.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p < 0.05, ##p < 0.01 및 ###p < 0.001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물질
참도박(G. elliptica)은 한국의 제주도에서 채집되었다. 채집된 참도박은 수돗물로 세척하여 소금과 착생식물을 제거하고 -20 ℃의 냉동고에 보관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참도박을 추가 실험을 위해 균질화 하였다.
3T3-L1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 (KCLB, 서울)에서 구입하였고,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소태아 혈청 (FBS), 소혈청 (BS), 인산염 완충 식염수(pH 7.4; P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 (PS)은 Gibco (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다.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와 같은 항비만 모노클로날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 (Bedford, M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및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는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이소부틸-1-메틸크산틴(isobutyl-1-methylxanthine, IBMX), 덱사메타손, 인슐린을 포함하는 3T3-L1 세포분화 시약은 시그마 케미칼 사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구입하였다. 혈청 인슐린은 Crystal Chem (미국 일리노이주 엘크그로브 빌리지)의 시판 키트에 의해 측정되었고,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와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Abcam 사 (미국, 매사추세츠, 캠브리지)의 비색분석 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혈청 렙틴은 Invitrogen 사 (미국, 뉴욕, 그랜드 아일랜드)의 시판 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사용된 모든 화학물질 및 시약은 분석용이며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졌다.
실시예 2: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 (GEE)의 제조
건조된 참도박 100 kg을 60% 에탄올 용액과 혼합하고 진탕 배양기에서 최적 조건(70℃, 20시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에탄올 추출물 60%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증발기로 37℃에서 회전 증발시켰다. 농축된 추출물을 90℃에서 멸균기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멸균된 추출물을 -80℃ 냉동고에 보관하여 동결건조시켰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참도박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2와 같이, 참도박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물 6.0g을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극성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n-hexane, n-Hex.),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n-부탄올(n-butanol, n-BuOH) 및 물(water, H2O) 순서로 용매 분획층을 얻었다(도 3). 상기 생성된 분획물들은 각각 감압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참도박 분획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4: 세포 배양 및 분화
3T3-L1 세포를 최적 배양조건 (37℃, 5% CO2) 하에서 BS 10% 및 페니실린 1% (100 단위/ml-1)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이 보충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세포의 계대 배양은 2일마다 수행되었다. 2일 후, 계대 배양된 3T3-L1 세포가 60% 융합(confluence)에 도달했을 때 다시 계대 배양하였다. 3T3-L1 세포의 분화는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융합(confluence) 2일 후에 수행되었다.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2일 동안 3T3-L1 세포 배양 배지를 10 %의 FBS, 1%의 PS 및 MDI 용액 [덱사메타손(0.25 μM), IBMX (0.5 mM) 및 인슐린 (5 μ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로 대체하였다. 2일 후, 3T3-L1 세포 배지를 10%의 FBS, 1%의 PS 및 인슐린(5 μ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로 2일 동안 추가로 대체하였다. MDI 및 인슐린 유도 후, 세포는 이어서 2일마다 배양 배지가 교체되었다. 8일 후, 축적된 지질 함량을 오일 레드(Oil Red) O 염색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오일 레드 O 염색
오일 레드 O 염색은 3T3-L1 세포에서 세포내 지질 축적을 정량화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Kang에 의해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지질 염색법을 실시하였다(Anti-obesity effects of seaweeds of Jeju Island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90 (2016) 36-44). 세포내 지질은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지질을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오일 레드 O로 염색되었다. 오일 레드 O는 3T3-L1 세포의 세포내 지질에 대한 작은 방울을 시각화한다.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3T3-L1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고 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어서, 25, 50, 100, 200 μg/ml의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를 대조군을 제외하고 지방 세포 분화 동안 4회 처리하였다. 분화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로 1시간 동안 고정하여 웰 플레이트 상에 세포를 고정시켰다. 1시간 후, 세포를 60 %의 2-프로판올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진탕기에서 세포를 0.6%의 오일 레드 O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오일 레드 O 염색 후, 세포를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세포를 건조시키고 Lionheart™ (FX automated Microscope BioTek Instruments, Inc.) (미국, 버몬트, 위누스키)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지질 함량의 정량화를 위해, 진탕기에서 3T3-L1 세포에 염색된 오일 레드 O를 100 %의 2-프로판올로 1시간 동안 용리시켰다. 1시간 후, 상대 오일 레드 O 함량을 500 nm의 파장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 (Synergy HT Multi-Dection microplate reader, Bio-Tek, USA)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6: 동물
C57/BL 6J 수컷 마우스 50마리는 중앙실험동물 사 (서울, 한국)에서 입수하였으며, 체중이 18~22g인 5~6 주령은 제주대학교 실험동물센터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실험 마우스는 12:12 시간 명/암 주기로 음식 (보통 식이, 고 지방 식이), 물, 온도 (20-22℃) 및 습도 (55 %) 조절된 방에서 최적의 조건하에 수용되었다. 모든 마우스를 2주 동안 상기 환경에 적응시킨 후 5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각 케이지에 n = 5). 동물을 보통 식이 (Chow Diet, CD) 그룹, 고 지방 식이 (HFD)그룹, GEE (125 mg/kg) + HFD 그룹, GEE (250 mg/kg) + HFD 그룹 및 GCE (125 mg/kg) + HFD 그룹의 5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매일 아침 시험 샘플을 7주 동안 경구 투여에 의해 주입하였다.
실시예 7: 세포 생존력 분석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세포독성은 강(Kang)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3-(4,5-디메틸티아 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Food and chemical toxicology 90 (2016) 36-44). 3T3-L1 세포를 10 % BS 및 1 %의 페니실린 (100 단위/ml-1) 및 스트렙토 마이신 (100 μg/ml)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서 1x105 세포/웰의 밀도로 12개의 웰 플레이트 상에 접종하였다. 이후, 세포는 시험샘플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MTT 용액 (100 Ml; 2 mg/ml)을 각 웰에 첨가하고 3-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웰 플레이트를 800 xg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한 다음,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포르마잔 결정을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에 1시간 동안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 웨스턴 블롯 분석
분화된 3T3-L1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를 용해 완충액 [Tris (20mM), EDTA (5mM), NaP2O7 (10mM), NaF (100mM), Na3VO4 (2mM), NP-40 (1 %), 아프로티닌 (10 mg/ml), 류펩틴(10 mg/ml) 및 PMSF (1 mM)]으로 1 시간 동안 용해하였다. 이어서, 용해물을 4℃에서 20분 동안 12,000 xg에서 원심분리하고 단백질 함량을 BCATM 단백질 분석키트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정량 후, 용해물을 디티오트레이톨(DTT)을 함유하는 4X 완충액과 혼합하고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SDS) 겔 전기영동 전에 120℃에서 90분 동안 12% SDS 겔로 분리하고, 분리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상으로 옮겼다. 이동 후, 멤브레인을 2시간 동안 1X TBST [Tris-HCl (25mM), KCl (2.65 mM), NaCl (137 mM), 트윈 20 (0.05%)]에서 5% 탈지유로 차단하고 1차 항체와 저온에서 혼합하였다. 1차 항체는 1:1,000 희석으로 사용되었다. 이어서, 멤브레인을 10분마다 1X TBST로 3회 세척하고 2시간 동안 1:3,000 희석으로 2차 항체를 부착시켰다. 배양 후, 표적 지방생성 단백질 밴드를 ECL 웨스턴 블롯팅 검출 키트에 의해 활성화된 X-선 필름에서 검출하였다.
실시예 9: 혈청 분석
혈액 샘플을 심장 천공에 의해 EDTA 용액으로 세정된 주사기 내로 수집하였다. 마우스 혈청은 4℃에서 20분 동안 12,000 xg에서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얻어졌다. 트리글리세리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수준의 혈청 농도는 상용 비색 분석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실시예 10: 통계 분석
모든 결과를 이중으로 분석하여 평균 ±S.E.로 제공되었다. 통계 분석은 사회과학용 통계 패키지(SPSS) 버전 14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 및 p-값 (대조군에 비해 *p < 0.05, **p < 0.01 및 ***p < 0.001, 대조군에 비해 #p < 0.05, ## p < 0.01 및 ### p < 0.001)을 이용하여 스튜던트 t-시험 또는 일원(one-way) 분산분석 (ANOVA)에 의해 결정되었다.
실험예 1. 3T3-L1 지방 세포에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세포독성 측정
3T3-L1 세포에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세포독성을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분석하였다. 도 1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낸다. 그 결과, 모든 GEE 농도 (50, 100, 200 μg/ml)에서 3T3-L1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50, 100, 200 μg/ml의 GEE를 선택하여 분화된 3T3-L1 세포의 지질 축적에 대한 GEE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3T3-L1 세포에서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에 대한 참도박의 효과
2-1. 3T3-L1 세포에서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효과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항비만 효과는 3T3-L1 지방 세포에서 조사되었다. 지방생성 분화 및 지질 축적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억제효과는 오일 레드 O 염색 염료에 의해 측정되었다. 도 2는 상이한 농도의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를 처리한 3T3-L1 세포의 현미경 및 스캔 이미지를 나타내고(A), 지질 함량을 정량화한 결과를 나타낸다(B). 그 결과, 3T3-L1 세포에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로 처리되었을 때, 세포 지질 축적이 감소되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28, 34, 40, 61%의 농도 의존 방식으로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도 2). 이 결과를 통해, GEE의 처리가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을 억제하여 3T3-L1 세포에서 지질 축적을 감소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 3T3-L1 세포에서 지방 세포 분화 및 지질 축적에 대한 참도박 용매별 추출물과 분획물의 효과
실험예 2-1에 확인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메탄올 추출물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그리고 부탄올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방생성 분화 및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오일 레드 O 염색에 의해 비교 확인하였다. 도 4는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의 오일 레드 O 염색 결과이고, 도 5는 도 4를 정량화 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참도박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지방생성 분화 및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실험예 3. 3T3-L1 세포에서 지방-특이적 단백질의 발현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효과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이 3T3-L1 세포에서 지방생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지방형성과 세포외 매트릭스로부터 세포 내로 지질 이동에 관여하는 지방-특이적 단백질 발현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은 3T3-L1 세포에서 PPAR-γ, SREBP-1, FABP-4 발현의 지방-특이적 단백질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 PPAR-γ, SREBP-1, FABP-4는 지방 세포에서 지방산 생성, 저장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지방-특이적 단백질 발현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GEE(25, 50, 100, 200 μg/ml)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PPAR-γ, SREBP-1, FABP-4와 같은 지방-특이적 단백질 발현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이들 결과를 통해, GEE가 3T3-L1 세포에서 지방-특이적 단백질 발현의 하향 조절에 의해 지방생성, 지질 축적 및 지질의 이동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이 지방-특이적 단백질을 조절하여 지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체중 및 백색 지방조직 무게 증가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영향
모든 마우스는 7주 동안 하루에 한 번 식염수 또는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로 경구 투여하였고 체중은 1주마다 기록되었다(도 7). 양성대조군으로 체중 감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을 사용하였다. HFD 그룹의 체중 증가는 ND 식이 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았는데, 이는 고 지방 식이 유도가 정상적인 C57/BL 마우스 모델에서 비만을 유발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GEE의 보충은 HFD 식이 그룹과 비교하여 HFD 유도 체중 증가를 상당히 약화시켰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에게 GEE를 125, 250 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경우 체중 증가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E 및 GCE 처리 그룹에서 상당한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다. HFD(38.74 ± 1.92g)와 비교하여, HFD + GEE (125μg/ml) 그룹의 체중은 7주 후에 35.55 ± 2.25g으로 감소하였고, HFD + GEE (250μg/ml) 그룹의 체중은 35.21 ± 1.93g으로 감소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과 유사한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도 7B는 7주 동안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체중은 CD가 6.24 ± 1.08 g의 체중 증가를 나타냈으며 HFD는 16.10 ± 2.30 g의 체중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GEE 처리 그룹에서 체중 증가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GEE (125mg/kg) + HFD 그룹의 경우 13.23 ± 0.92g의 체중 증가를 나타냈으며, GEE (250mg/kg) + HFD 그룹의 경우 12.81 ± 0.69g의 체중 증가를 나타내어 체중 증가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과 유사한 체중 증가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표피(Epi), 피하(Sub), 장간막(Mes), 말초(Peri) 지방조직을 포함한 4 가지 종류의 백색 지방조직 무게 증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HFD 그룹에서 상당한 지방 무게 증가가 관찰되었다. 도 7C는 각 마우스 그룹의 상대적 지방조직 무게를 나타낸다.
CD 그룹 [Epi (0.43 ± 0.05 g), Sub (0.36 ± 0.07 g), Mes (0.31 ± 0.01 g), Peri (0.21 ± 0.01 g)]과 비교하여, HFD 식이 그룹[Epi (2.51 ± 0.19 g), Sub(2.12 ± 0.08 g), Mes(1.67 ± 0.11 g), Peri(0.44 ± 0.10 g)]에서 높은 지방 무게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HFD + GEE (125 mg/kg) 식이 그룹에서는 Epi(2.28 ± 0.52 g), Sub (2.00 ± 0.19 g), Mes(1.42 ± 0.07 g), Peri(0.28 ± 0.01 g)로 지방 무게 증가가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HFD + GEE (250 mg/kg) 식이 그룹에서도 Epi(2.11 ± 0.18 g), Sub(1.90 ± 0.00 g), Mes(1.31 ± 0.20 g), Peri(0.22 ± 0.00 g)로 지방무게가 감소되었다. 특히 고 농도 GEE (250 mg/kg)의 경구 투여는 마우스 Epi 및 Mes 지방 무게 증가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GEE가 HFD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HFD 유도 체중 및 지방 증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HFD 마우스에서 마우스 혈청 생화학적 지수에 대한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영향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E)의 항비만 효과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HFD 유도 마우스에서 마우스 혈청 생화학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수준을 측정하였다. 상이한 식이 그룹의 마우스 혈청 생화학 조사 결과를 표 1에 도시하였다.
CD 그룹[TG (65.51 ± 2.03 nmol), TC (38.75 ± 0.00 μg/ml), 렙틴 (212.50 ± 2.50 pg/ml), 인슐린 (1.48 ± 0.02 ng/ml)]에 비해, HFD 식이 그룹에서 [TG (110.78 ± 1.62 nmol), TC (50.17 ± 0.05 μg/ml), 렙틴 (4308.13 ± 59.37 pg/ml), 인슐린 (4.50 ± 0.18 ng/ml)]로 TG, TC, 렙틴 및 인슐린 수준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GEE의 경구 투여는 TG, TC, 렙틴 및 인슐린 수준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구체적으로 GEE (250 mg/kg) 투여에 의해, TG(58.22 ± 0.14mmol/μl), TC(29.33 ± 0.07μg/μl), 렙틴(1896.88 ± 1.87pg/ml), 인슐린(3.97 ± 0.00 ng/ml) 수준으로 감소시켰으며, 또한 GEE(125 mg/kg) 투여에 의해 TG(77.41 ± 0.14 mmol/μl), TC(89.53 ± 0.17 μg/μl), 렙틴(3176.88 ± 44.38 pg/ml) 및 인슐린(4.10 ± 0.05 ng/ml)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 보다 혈청 트리글리세리드(TG), 총 콜레스테롤(TC), 렙틴 및 인슐린 수준을 감소시킨 것이다. 이 결과는 GEE가 HFD 유도 비만 마우스의 혈청 지질 및 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arameters Groups
CD HFD GEE
(125 mg/kg) +HFD
GEE
(250 mg/kg) +HFD
GCE
(125 mg/kg) +HFD
Triglyceride (mmol/μl) 65.51 ± 2.03#### 110.78 ± 1.62 77.41 ± 0.14** 58.22 ± 0.14*** 94.43 ± 0.14**
Total cholesterol(μg/μl) 38.75 ± 0.00## 50.17 ± 0.05 89.53 ± 0.17** 29.33 ± 0.07*** 53.66 ± 0.08NS
Leptin (pg/ml) 212.50 ± 2.50#### 4308.13 ± 59.37 3176.88 ± 44.38*** 1896.88 ± 1.87*** 4561.88 ± 4.38**
Insulin (ng/ml) 1.48 ± 0.02#### 4.50 ± 0.18 4.10 ± 0.05NS 3.97 ± 0.00NS 6.23 ± 0.18**
실험예 6. 마우스 간 및 백색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마우스 간 및 표피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분석은 7주 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 염색에 의해 수행되었다. 도 8은 H&E로 염색된 간 및 백색 지방조직 섹션의 조직학적 이미지를 나타낸다. 간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에 따르면, HFD 그룹으로부터의 지질 방울(lipid drops)의 양은 CD 그룹보다 높았다. 그러나, 이 축적된 지질 방울(droplets)은 GEE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즉, 도 8A에서 조직학적 분석 결과, GEE 투여는 간 조직에서 HFD-유도된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8B에서 마우스 백색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지질 축적 정도가 백색 지방 세포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구체적으로, HFD는 CD 그룹에 비해 지질 축적 및 백색 지방 세포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GEE 투여는 백색 지방조직에서 HFD 유도 지방 축적을 감소시켰다. HFD 그룹 마우스의 평균 지방 세포 크기는 CD 그룹보다 컸는데, HFD가 백색 지방 세포 크기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EE의 투여에 의해 백색 지방의 크기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EE의 투여에 의해 양성대조군으로 항비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 GCE)보다 지질 방울 축적을 더 감소시켰으며, 백색 지방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GEE는 마우스 간 및 백색 지방조직에서 지질 축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물의 농도는 125~250 ㎍/ml인 약학 조성물.
  3.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134713A 2019-11-21 2021-10-12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7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13A KR20210127655A (ko) 2019-11-21 2021-10-12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62A KR20210062524A (ko) 2019-11-21 2019-11-21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34713A KR20210127655A (ko) 2019-11-21 2021-10-12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62A Division KR20210062524A (ko) 2019-11-21 2019-11-21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55A true KR20210127655A (ko) 2021-10-22

Family

ID=76150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62A KR20210062524A (ko) 2019-11-21 2019-11-21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34713A KR20210127655A (ko) 2019-11-21 2021-10-12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62A KR20210062524A (ko) 2019-11-21 2019-11-21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25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603A (ko)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유유 비만치료ㆍ억제용 맥문동 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603A (ko)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유유 비만치료ㆍ억제용 맥문동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524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16842A (ja) 代謝症候群の抑制のためのスファランサス・インディクスおよびガルシニア・マンゴスターナ由来の組成物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393722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damage and/or alleviating skin inflammation, containing 3,5-dicaffeoylquin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20190090362A (ko)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KR20080019242A (ko) 글루코스 대사부전 치료용 약제
KR101908221B1 (ko) 금방동사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Moon et al. HM-chromanone suppresses lipid accumulation by modulating AMPK/SREBP-1c pathway in ob/ob mice
EP2334377B1 (en) Herbal extract as sensitivity enhancer toward insulin and antidiabetes
WO2009014315A1 (en) A composition that is comprising extracts, fractions or isolated single compounds of robinia pseudo-acacia var. umbraculifera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5708B1 (ko)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idcc 4301을 포함하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KR20210127655A (ko) 참도박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JP2016027012A (ja) Ucp−1発現促進剤
KR101383960B1 (ko) 떫은감 추출물을 이용한 ampk 활성화 및 장내 지방 흡수 억제를 통한 체중조절용 기능성 식품 개발
KR20150012926A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69717B1 (ko)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03583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60575B1 (ko) 소맥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09249331A (ja) 植物由来の高脂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101868066B1 (ko) 비만 및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Zhou et al. Treatment of obese zebrafish with saringosterol acetate through AMP 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KR102197241B1 (ko) 비단풀 분획물의 항산화 및 ampk 인산화를 통한 지방분화 억제활성용 조성물
KR102567263B1 (ko) 박하, 진피 및 의이인 정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